KR20180089785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9785A KR20180089785A KR1020170014536A KR20170014536A KR20180089785A KR 20180089785 A KR20180089785 A KR 20180089785A KR 1020170014536 A KR1020170014536 A KR 1020170014536A KR 20170014536 A KR20170014536 A KR 20170014536A KR 20180089785 A KR20180089785 A KR 201800897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filter
- air
- support
-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송풍기를 갖는 실내기와; 송풍기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흡입공을 갖는 흡입공 군의 다수 열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흡입패널과; 흡입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필터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대를 포함하며, 필터 지지대는, 아우터 지지대와; 아우터 지지대 보다 크기가 작은 이너 지지대와; 아우터 지지대와 이너 지지대를 잇고 다수의 흡입공 군 사이를 마주보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여,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연결 지지대와 부딪히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송풍기를 향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고, 송풍기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송풍능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door unit having a blower; A suction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rough which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pass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And a filter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the filter including a filter member and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the filter support comprising: an outer support; An inner support which is smaller in size than the outer support; And a connection support member which connects the outer support member and the inner support member and faces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 groups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hole can be sucked quickly toward the blower while minimizing the collision with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The air flow resistance of the air to be blown is minim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패널에 필터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ilter is disposed on a suction panel.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reates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포함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so that the room can be cooled or heated.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공기조화기에는 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흡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suction panel having at least one such hole.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흡입패널의 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가 내장될 수 있다. Inside the air conditioner, a blower for sucking air through the holes of the suction panel may be incorporated.
그리고, 흡입패널에는 흡입패널의 홀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anel.
송풍기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패널의 홀을 통해 필터로 유동될 수 있고, 필터를 통과한 후 송풍기로 흡입될 수 있다. When the blower is driven, the air in the room can flow to the filter through the hole of the suction panel, and can be sucked into the blowe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필터는 사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흡입패널의 홀은 필터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a hole of the suction panel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lter.
본 발명은 필터의 지지대에 의한 유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하여 공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a flow path resistance due to a support of a filter and capable of quickly inhaling indoor ai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송풍기를 갖는 실내기와; 송풍기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흡입공을 갖는 흡입공 군의 다수 열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흡입패널과; 흡입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필터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대를 포함하며, 필터 지지대는 아우터 지지대와; 아우터 지지대 보다 크기가 작은 이너 지지대와; 아우터 지지대와 이너 지지대를 잇고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흡입공 군 사이를 마주보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한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having a blower; A suction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rough which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pass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And a filter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the filter including a filter member and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the filter support comprising: an outer support; An inner support which is smaller in size than the outer support; An outer support and an inner support,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 between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연결 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호 형상으로 굽을 수 있다. The connection support can be bent in an arc shap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아우터 지지대 및 이너 지지대 각각은 원 형상일 수 있다. 연결 지지대는 일단이 아우터 지지대의 내둘레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너 지지대의 외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Each of the outer support and inner support may be circular. On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member.
연결 지지대에는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zigzag-like concave-convex portion on which the filter member is seated can be formed on the connection support.
이너 지지재의 외둘레면과 아우터 지지대의 내둘레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memb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ase may be provided with a staggered concavo-convex portion.
흡입패널은 중앙부와 외둘레부 사이에 다수열의 흡입공 군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열의 흡입공 군 각각은 다수의 흡입공이 중앙부와 외둘레부를 잇는 호 형상의 가상 곡선을 따라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may have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Each of the suction rows of the plurality of rows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n arc-shaped virtual curve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연결 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가상 곡선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onnection support may not overlap the virtual curve in the up-down direction.
이너 지지대는 중앙부와 상하 방향으로 어버랩될 수 있다. 이너 지지대는 중앙부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The inner support can be vertically and vertically aligned with the center portion. The inner support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central portion.
필터 지지대는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lter sup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wherei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may be spaced circumferentially.
연결 지지대의 개수는 흡입공 군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The number of connection supports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suction holes.
흡입패널에는 필터가 끼움되는 필터 마운터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mount on which the filter is fitted.
흡입패널은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제1영여과, 제1영역을 둘러싸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필터 마운터는 제2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includes a first filtration wit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 second area surrounding the first area, and the filter mounter can be fixed to the second area.
필터 마운터는 호 형상이고, 필터 마운터의 복수개는 원형 가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mounter is arcuate, and a plurality of filter mounter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lar imaginary line.
아우터 지지대와 필터 마운터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우터 지지대의 필터 마운터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가 끼움되는 끼움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One of the outer support and the filter mount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lter mounts of the outer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rail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실내기에 결합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discharge panel coupled to the indoor unit and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흡입패널과 필터 마운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토출패널에 착탈되는 후크가 장착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mounter may be provided with a hook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charge panel.
흡입패널은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제1영역과, 제1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토출패널의 저면을 마주보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영역에는 후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may include a first area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med therein and a second area surrounding the first area and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and the second area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
송풍기는 허브가 하부로 돌출되고 허브를 둘러싸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하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는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판부일 수 있다. The blower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hub and surrounding the hub, for sucking in the lower air and blowing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The central portion may be a plate portion facing the hub in the vertical direction.
송풍기는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흡입공이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흡입공은 이너 흡입공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다수의 제1흡입공과,오리피스의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2흡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공은 제2흡입공 보다 개수가 많을 수 있다. 제2흡입공은 제1흡입공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The blower may include an orifice formed with an inner suction hole for guiding air sucked into the centrifugal fan.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facing the inner suction hol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facing the bottom face of the orifi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first suction hole may be more numerous than the second suction hole. The second suction hole may be larger than the first suction hole.
흡입패널은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판과;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흡입구 바디를 포함하고, 복수개 흡입구 바디는 외둘레부와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The suction panel comprises: a lower plate convex downward; And a plurality of suction inlet bodie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penetrating the suction hol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suction inlet bodies may be gradually decreased as they approac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연결 지지대와 부딪히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송풍기를 향해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고, 흡입공를 통과한 후 송풍기를 향해 흡인되는 공기의 유로 저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송풍능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hole is minimized in collision with the connection support,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hole can be sucked quickly toward the blower, and the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hole So that the air blowing ability is high.
또한, 필터부재가 이너 지지대와 연결 지지대와 아우터 지지대에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필터부재의 면적이 크더라도 필터 지지대가 필터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필터부재의 일부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filter member is dispersedly supported on the inner supporter, the connection supporter and the outer supporter, the filter supporter can stably support the filter element even if the area of the filter element is large, and a part of the filter element strikes downw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inimized.
또한, 이너 지지대에 의해 필터 부재의 중앙부가 쳐지는 것이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가 이너 지지대에 부딪힐 때 발생되는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can be minimized by the inner supp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path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hole hits the inner support can be minimized.
또한,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가 이너 지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송풍기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can stably support the inner support, and the resistance of the flow path of the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can be minimized.
또한, 공기 유동이 주로 형성되는 영역의 공기흡입 면적이 크기 때문에, 다량의 공기가 신속하게 송풍기로 흡입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air suction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air flow is mainly formed is lar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sucked into the blower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 및 흡입패널이 함께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토출패널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도시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도시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과 필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과 필터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돌출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마운터의 끼움 레일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가 필터 마운터에 안착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가 필터 마운터에 끼워졌을 때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s. 1 and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anel and a suction panel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panel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nel,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showing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panel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view of a suction panel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fitting rail of a filter m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when the projection shown in Fig. 13 is seated on the filter mounter,
Fig. 16 is a plan view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3 when it is fitted into the filter mou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내기(1)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패널(3)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패널(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1) and a suction panel (3)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passes.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nel (2) through which air blown out from the indoor unit (1) is discharged.
공기조화기는 흡입패널(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기(1)에서 공조시킨 후, 토출패널(2)로 토출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an suck air through the
실내기(1)의 내부에는 열교환기, 가습유닛, 제습유닛, 청정유닛 등의 공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실내기(1)는 공기조화기의 본체일 수 있다. An air conditioning unit such as a heat exchanger, a humidifying unit, a dehumidifying unit, or a clea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실내기(1)의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의 외형은 육면체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In the
토출패널(2)과 흡입패널(3) 중 적어도 하나는 실내기(1)에 연결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토출패널(2)에는 공기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외둘레(2A)가 원형 형상인 원형 토출패널일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흡입패널(3)에는 흡입공(3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외둘레(3A)가 원형 형상인 원형 흡입패널일 수 있다. 흡입공(31)는 흡입패널(3)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공(31)는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흡입공(31)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A
본 실시 예의 공기조화기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등일 수 있고, 이하,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Hereinafter,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패널(2)과 흡입패널(3)는 실내기(1)의 하부에 배치되는 로어 바디 어셈블리(V)를 구성할 수 있다. The
<실내기><Indoor unit>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체결되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이하, 체결부재라 칭함)에 지지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재 결합부(1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The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샤시(11)을 포함할 수 있다. 샤시(11)는 실내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일 수 있다. The
샤시(11)는 체결부재로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11)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부재 결합부(12)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 결합부(12)는 샤시(11)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샤시(1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실내의 공기는 흡입패널(3)의 흡입공(31)을 통과하여 실내기(1)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는 토출패널(2)의 공기토출구(25)를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in the room can be sucked into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 및 흡입패널이 함께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토출패널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S. 1 and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panel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nel,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내기(1)는 송풍기(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송풍기(4)에서 송풍된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열교환기(5) 대신에,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습되는 가습유닛이 설치되거나,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이 설치되거나, 공기가 통과하면서 먼지나 냄세입자 등이 제거되는 청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내기(1)에 설치된 공조유닛이 열교환기(5)인 예로 설명하나, 실내기(1)에 설치된 공조유닛은 열교환기(5)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The indoor unit (1) may include a blower (4). The indoor unit (1)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r (5) in which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4)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The
실내기(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The
실내기(1)에는 흡입패널(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는 공조유닛인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 안내되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패널(2)로 송풍하는 유로일 수 있다.The
실내기(1)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그 하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The
실내기(1)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저면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수직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The
<샤시><Chassis>
샤시(11)는 내부에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전,후,좌,우 네 면과 상면이 모두 막히고 저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The
<송풍기><Blower>
송풍기(4)는 샤시(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disposed inside the
송풍기(4)는 열교환기(5)의 내부에 위치되게 샤시(1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mounted to the
송풍기(4)는 토출패널(2)의 개구부(20) 상측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The blower 4 can be mounted above the
송풍기(4)는 그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일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a centrifugal blower that sucks the air on the lower side thereof and blows the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송풍기(4)는 모터(41)와, 하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는 원심팬(4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include a
모터(41)은 원심팬(42)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원심팬(42)은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심팬(42)는 허브(42A)가 하부로 돌출되고 허브(42A)를 둘러싸는 다수의 블레이드(42B)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심팬(42)은 하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원심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The
오리피스(43)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원심팬(42)으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The
오리피스(43)는 샤시(1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공(6)은 오리피스(43)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rifice (43)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hassis (11). The orifice (43) can b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flow body (13). The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3)의 이너 흡입공(6)을 통과해 원심팬(42)으로 흡입될 수 있고, 원심팬(42)에 의해 원심팬(42)의 원심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원심팬(42)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원심팬(42)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The air blown in the
<열교환기><Heat exchanger>
열교환기(5)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샤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부에 사각형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5)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or hollow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chassis (11).
열교환기(5)는 내부에 송풍기(4)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절곡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서로 상이한 면을 마주보는 4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송풍기(4)의 외측에서 송풍기(4)의 외둘레면을 둘러쌀 수 있다. The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샤시(11)의 내면과 열교환기(5)의 사이에는 공기가 송풍통로(7)(8)(9)(10)로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ssis (11).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실내기 유로바디><Indoor unit air body>
실내기(1)는 실내기 유로바디(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과,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unit flow body (13). The indoor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샤시(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이 실내기(1)에 연결되었을 때, 실내기 유로바디(13)는 토출패널(2)의 상면을 마주볼 수 있다. The indoor
실내기(1)에 형성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복수의 송풍통로><Multiple Ventilation Channels>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이너 흡입공(6)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송풍통로(7)와, 우측 송풍통로(8)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후방측 송풍통로(1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lurality of
좌측 송풍통로(7)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좌측면(1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우측 송풍통로(8)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우측면(1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The right
전방측 송풍통로(9)는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전면(1C)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후방측 송풍통로(10)은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배면(1D)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The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샤시(11)의 내면과 실내기 유로바디(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의 하면에 위치한 네 개의 개구 영역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토출 방향이 서로 나란한 4개의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4 way 토출형 실내기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토출패널><Discharge panel>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와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The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서로 나란한 네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받아 토출패널(2)의 하부 주변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The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1)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The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과 예각의 경사각(θ)을 갖는 하측 경사방향(H2)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The flow of the air bl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ticularly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토출패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연통되는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inlet may be formed in the
토출패널(2)에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인 공기토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공기토출구(25)를 연결하는 연결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복수의 입구(21)(22)(23)(24)와 연결유로(26)와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형성되어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하는 공기토출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입구><Entrance>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에 형성된 송풍통로(7)(8)(9)(10)와 1:1 대응될 수 있다.The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좌측 송풍통로(7)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좌측 입구(21)와, 우측 송풍통로(8)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우측 입구(22)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송풍통로(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후방측 입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복수의 입구(21)(22)(23)(24) 각각의 단면 크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의 단면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Sectional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Sectional shapes of the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일 수 있다.The sectional shapes of the
<공기토출구> <Air outlet>
공기토출구(25)는 연결유로(26)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The
공기토출구(25)는 입구(21)(22)(23)(24) 보다 개수가 작을 수 있다. 공기토출구(25)는 복수개 입구(21)(22)(23)(24) 각각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The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복수의 공기토출구(25)는 원형 가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공기토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호 형상은'C'자 형상과 같은 우호 형상이나 열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공기토출구(25)가 원형일 경우, 공기토출구(25)는 토출패널(2)에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토출구(25)의 원형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25)는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The
<연결유로><Connection Euro>
연결유로(26)는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연결유로(26)는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의 기류를 전환하여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전환 토출통로일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공기토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혼합 토출통로일 수 있다. The
복수의 입구(21)(22)(23)(24)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25)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연결유로(26)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연결유로(26)는 수직기류를 수평기류를 전환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토출패널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Discharge Panel>
토출패널(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복수개 유로바디(50)(60)(7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유로바디(50)(60)(70) 사이에 실내기(1)에서 송풍된 공기가 토출안내되는 공기토출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복수개 유로바디(50)(60)(70)는 메인 유로바디(50)와, 메인 유로바디(50)와 결합된 이너 유로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유로바디(50)(60)(70)은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연결유로(26)로 안내하는 아우터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메인 유로바디><Main Eurobody>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외둘레와 개구부(20)의 사이에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개구부(20)는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개구부(20)는 흡입패널(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개구부(20)는 실내기(1)의 이너 흡입공(6)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메인 유로바디(50)는 개구부(20)가 형성된 어퍼 바디부(51)와, 어퍼 바디부(51) 보다 높이가 낮고 어퍼 바디부(51) 보다 큰 아우터 바디부(52)와,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를 잇는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어퍼 바디부><Upper Body>
어퍼 바디부(51)는 중앙에 개구부(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어퍼 바디부(51)는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아우터 바디부><Outer body part>
아우터 바디부(52)는 이너 유로바디(6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하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연결부><Connection>
연결부(53)은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메인 유로바디(50)의 내부에는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아우터 바디부(52)의 내측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은 개구부(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A space S2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may be formed in the main
<메인 유로바디의 슬릿><Slit of Main Euro Body>
메인 유로바디(50)는 에어가이드(92)가 통과하는 슬릿(5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공기토출구(25)의 옆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 중 장착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92)와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의 형상이 호 형상일 경우, 슬릿(57)은 호 형상일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92)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의 개수는 에어가이드(9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main
<이너 유로바디><Inner Euro Body>
이너 유로바디(60)는 개구부(20)의 주변에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연결유로(26) 및 공기토출구(25)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이너 유로바디(60)는 그 상면이 개구부(20)의 주변에 결합될 수 잇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단이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부가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하단이 메인 유로바디(50) 보다 낮을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너 유로바디(60)에는 중공부(68)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
중공부(68)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는 메인 유로바디(50)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공기토출구(25) 및 연결유로(26)를 형성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공기토출구(25)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 외둘레와 메인 유로바디(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아우터 커버><Outer cover>
아우터 커버(70)는 메인 유로바디(50)과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The
<데코 커버><Deco cover>
토출패널(2)은 유로 바디(50)(60)(70)에 결합된 데코 커버(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데코 커버(90)는 토출패널(2)의 일부이고, 데코 커버(90)의 외둘레는 토출패널(2)의 외둘레(2A)가 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의 외둘레는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데코 커버(90)의 저면은 평면일 수 있다.The
데코 커버(90)는 장착부(56)의 저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중앙에 중공부(93)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93)는 슬릿(57)이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메인 유로바디(50)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The
<흡입패널의 체결><Fastening of suction panel>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이 체결되는 체결부(104)(105)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04)(105)는 후크(16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후크 체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 체결부는 후크(160)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공(10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흡입패널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Suction Panel>
흡입패널(3)은 외둘레를 따라 외둘레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 중앙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패널(3)은 송풍기(4)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3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The
흡입패널(3)은 중앙부(114)와 외둘레부(112) 사이에 송풍기(4)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흡입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4 passes may be formed between the
흡입패널(3)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31)이 형성된 원판(110)과, 원판(110)의 외둘레를 따라 돌출된 아우터 링을 포함할 수 있다. 3 and 6, the
원판(110)은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흡입공(31)은 원판(110)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holes 31 may be formed in the
중앙부(114)는 원판(1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흡입공(31)가 형성되지 않는 판부일 수 있다. The
아우터 링은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링은 흡입패널(3)의 외둘레부(112)가 될 수 있다. 아우터 링의 외둘레면은 흡입패널(3)의 외둘레면(3A)이 될 수 있다. The outer ring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flow body (60). The outer ring may be the outer
중앙부(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42A)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판부일 수 있다. The
<복수개 흡입공 형성 패턴>≪ Multiple suction pattern formation patterns &
복수개 흡입공(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흡입공(6)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다수의 제1흡입공(31A)과, 오리피스(43)의 저면(43B)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2흡입공(31B)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제1흡입공(31A)은 제2흡입공(31B) 보다 개수가 많을 수 있다. 제2흡입공(31B)은 제1흡입공(31A)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에어가이드><Air guide>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guide (92) for guiding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25).
에어가이드(92)는 유로 바디(50)(60)(70)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에어가이드(92)는 유로 바디(50)(60)(70) 중 메인 유로바디(50)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에어가이드(92)의 하강시,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92)에 부딪힌 후, 에어가이드(92)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의 상승시, 공기토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92)의 하단을 지날 수 있다. 에어가이드(92)는 승강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유로가이드일 수 있다. When the
에어가이드(92)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슬릿(57)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슬릿(57)은 유로 바디(50)(60)(70) 중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승강가이드 및 승강기구> ≪ Elevator >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9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9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96)는 메인 유로바디(50)와 아우터 커버(70)와 승강가이드(9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mechanism (96)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air guide (92). The elevating
에어가이드(92)에는 랙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승강기구(96)은 랙에 치합된 피니언과,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토출패널(2)은 로어 바디(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흡입패널(3)이 착탈되는 흡입패널 마운터일 수 있다. The
<로어 바디><Low body>
로어 바디(100)에는 흡입패널(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중공부(P)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P)는 개구부(2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개구부(2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A hollow portion P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로어 바디(100)는 유로 바디(50)(60)(70) 중 이너 유로바디(6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로어 바디(10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면에 결합되는 로어보강바디(101)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중공부(68)로 내삽된 상부보강바디(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상부보강바디(102)에 돌출된 강도보강리브(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로어 보강바디><Lower reinforcement body>
로어 보강바디(101)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형 판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reinforcing
<상부 보강바디><Upper reinforcement body>
상부보강바디(102)는 로어 보강바디(102)의 내둘레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보강바디(102)는 중공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reinforcing
로어 바디(100)의 중공부(P)는 상부보강바디(1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portion P of the
<강보보강리브><Rib reinforced steel>
강도보강리브(103)는 이너 유로바디(60)의 내둘레면에 형성된 끼움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이너 유로바디(6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흡입패널의 착탈><Removal of suction panel>
로어 바디(100)에는 후크(160)가 착탈되는 후크 삽입공(104)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160)의 일부는 후크 삽입공(104)으로 삽입되어 후크 삽입공(104)의 주변(105)에 하측방향으로 걸릴 수 있고, 흡입패널(3)은 토출패널(2)에 장착될 수 있다. The
후크 삽입공(104)은 로어 바디(100) 중 로어 보강바디(101)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패널(3)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 마운터(120)와, 필터(130)와, 후크(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필터 마운터><Filter Mounter>
필터 마운터(120)는 흡입패널(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마운터(120)는 호 형상일 수 있다. 흡입패널(3)에는 복수개 필터 마운터(120)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개 필터 마운터(120)는 원형 가상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필터><Filter>
필터(130)은 흡입패널(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30)은 흡입공(31) 및 중앙부(114) 위에 위치되게 필터 마운터(120)에 장착될 수 있다.The
필터(130)는 흡입공(31)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흡입공(31)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흡입공(3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질 수 있다. The
필터(130)는 외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 원형 필터일 수 있다. 필터(130)는 필터 마운터(120)에 돌려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The
<후크><Hook>
후크(160)은 흡입패널(3)과 필터 마운터(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토출패널(2)에 착탈될 수 있다. The
후크(160)는 필터 마운터(120) 및 흡입패널(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후크(160)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체결부(104)(105)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9 is a plan view showing a s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enlarged.
흡입패널(3)은 다수의 흡입공(31)을 갖는 흡입공 군(A)(B)(C)(D)(E)을 다수 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흡입패널(3)은 중앙부(114)와 외둘레부(112) 사이에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다수열의 흡입공 군 및 흡입공 형성 패턴>≪ Inhalation hole group and suction hole forming pattern in a plurality of rows &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 각각은 다수의 흡입공(31)이 중앙부(114)와 외둘레부(112)를 잇는 호 형상의 가상 곡선(L)을 따라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A), (B), (C), (D) and (E)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connecting the
동일한 흡입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개 흡입공(31)은 중앙부(114)와 외둘레부(112)를 잇는 가상 곡선(L)을 따라 일렬로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한 흡입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개 흡입공(31)은 가상 곡선(L)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constituting the same suction hole group can be arranged in a line along a virtual curve L connecting the
상기와 같이, 가상 곡선(L)을 따라 일렬로 위치하는 복수개 흡입공은 중앙부(114)에서 외둘레부(112)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virtual curve L may be gradually increased in size from the
<이너 흡입공 및 아우터 흡입공><Inner suction hole and outer suction hole>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의 개수는 중앙부(114)에 가장 근접한 흡입공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중앙부(114)의 주변에는 중앙부(114)의 중심(F)까지의 거리(R)가 동일한 다수의 이너 흡입공(31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너 흡입공(31C)은 각 열의 흡입공 군(A)(B)(C)(D)(E)을 구성하는 다수의 흡입공 중 중앙부(114)에 가장 근접한 공기 흡입공이 될 수 있다. (A), (B), (C), (D) and (E)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suction holes closest to the
이너 흡입공(31C)의 개수가 30개일 경우, 흡입패널(3)은 30개의 흡입공 군을 갖을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the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 각각은 외둘레부(112)와 가장 근접한 아우터 흡입공(31D)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multiple rows of suction holes (A), (B), (C), (D) and (E) may include an
<다수의 흡입공 크기 비교><Comparison of size of multiple suction holes>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 각각은 가상 곡선(L)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흡입공(31) 중, 이너 흡입공(31C)의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고, 아우터 흡입공(31D)의 크기가 가장 클 수 있다. (A), (B), (C), (D) and (E) of the plurality of rows constitute the suction holes 31 of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 arranged along the imaginary curve L, And the size of the
공기조화기가 원심팬(42)를 포함할 경우, 흡입패널(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42B) 및 오리피스(43)의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J)으로 다량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패널(3)은 허브(42A)의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K)으로 상대적으로 소량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Whe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the
흡입패널(3)은 상기와 같이 중앙부(114)에서 외둘레부(112)와 가까워질수록 흡입공(31)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블레이드(42B) 및 오리피스(43)의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J)으로 다량의 공기가 신속하게 흡입되게 도울 수 있다. As the
흡입패널(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14)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1영역(X)과, 제1영역(X)을 둘러싸는 제2영역(Y)을 포함할 수 있다. 9, the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은 제1영역(X)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영역(Y)는 제1영역(X)과 외둘레부(112) 사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A), (B), (C), (D) and (E) may be formed in the first area X.
The second area Y may be a ring-shaped area between the first area X and the outer
다수열의 흡입공 군(A)(B)(C)(D)(E)은 제2영역(Y)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A), (B), (C), (D), and (E)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area Y. [
<흡입패널의 장식부><Decorating part of suction panel>
제2영역(A2)에는 흡입공(31)과 형상이 동일한 장식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11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및 둘레면이 모두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장식부(118)는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장식부(118)는 제2영역(A2)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장식부(118)는 제2영역(A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In the second area A2, a
흡입패널(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판(110)과; 원판(110)의 상면에 돌출되고 내부에 흡입공(31)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흡입구 바디(116)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흡입구 바디><Inlet Body>
복수개 흡입구 바디(116)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동일한 흡입공 군을 구성하는 복수개 흡입구 바디(116)는 가상 곡선(L)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복수개 흡입구 바디(116)는 외둘레부(112)와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복수개의 흡입구 바디(116)는 중앙부(114)와 더 가까운 어느 하나의 높이(H1)가 외둘레(112)에 더 가까운 다른 하나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흡입패널(3)은 다수의 흡입공 군(A)(B)(C)(D)(E)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다수의 흡입공(31)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흡입영역과, 흡입공이 형성되지 않고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공기차단영역을 함께 포함할 수 있고, 공기흡입영역과 공기차단영역은 흡입패널(3)의 원주방향으로 교대 형성될 수 있다. The
흡입패널(3)의 공기차단영역은 흡입패널(3) 중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의 사이(G)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air blocking area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과 필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패널과 필터가 확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돌출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마운터의 끼움 레일이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가 필터 마운터에 안착되었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가 필터 마운터에 끼워졌을 때의 평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ction panel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panel and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fitting rail of the filter moun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ounter when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3 is seated on the filter mounter And Fig. 16 is a plan view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 13 when it is sandwiched by the filter mount.
필터(130)는 필터부재(M)와, 필터부재(M)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대(131)(132)(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필터부재><Filter element>
필터부재(M)는 필터 지지대(131)(132)(133)에 올려질 수 있다. 필터부재(M)는 수평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필터부재(M)는 산과 골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M)는 필터 지지대(131)(132)(133)에 올려질 수 있다. 필터부재(M)는 외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 필터부재일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 can be lifted onto the filter supports 131, 132, The filter member M may be zigzag-sha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lter member (M) can be formed with alternating mountains and valleys. The filter member M can be lifted onto the filter supports 131, 132, The filter member M may have a circular outer shape and may be a circular filter member.
<필터 지지대> <Filter support>
필터 지지대(131)(132)(133)는 아우터 지지대(131)와;
아우터 지지대(131) 보다 크기가 작은 이너 지지대(132)와; 아우터 지지대(131)와 이너 지지대(132)를 잇는 연결 지지대(1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supports 131, 132 and 133 include an
필터부재(M)의 외둘레는 아우터 지지대(131)의 내둘레 보다 작을 수 있다. 필터부재(M)의 외둘레는 아우터 지지대(13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member M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필터부재(M)는 이너 지지대(132)와 연결 지지대(133)의 위에 올려질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M can be lifted onto the
아우터 지지대(131) 및 이너 지지대(132) 각각은 원 형상일 수 있다.Each of the
아우터 지지대(131)와 이너 지지대(1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필터부재(M)가 안착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필터(130)는 아우터 지지대(131)과 이너 지지대(132) 각각에 요철부(131A)(132A)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아우터 지지대(131)의 요철부(131A)는 아우터 지지대(131)의 내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이너 지지대(132)의 요철부(132A)는 이너 지지대(13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잇다. The concavity and
<이너 지지대><Inner Support Base>
이너 지지대(132)는 연결 지지대(133)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우터 지지대(1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이너 지지대(132)는 흡입패널(3)의 중앙부(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너 지지대(132)는 중앙부(114)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이너 지지대(132)가 중앙부(114) 보다 클 경우, 중앙부(114) 주변에 위치하는 이너 흡입공(31C)을 통과한 공기는 이너 지지대(132)에 부딪힐 수 있고, 송풍기(4)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은 증대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이너 지지대(132)가 중앙부(114) 보다 크기가 작고, 이너 지지대(132)가 중앙부(114) 위에 중앙부(114)와 오버랩되게 되면, 중앙부(114) 주변에 위치하는 이너 흡입공(31C)을 통과한 공기는 이너 지지대(132)에 부딪히지 않고, 송풍기(4)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송풍기(4)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이너 지지대(132)는 중앙부(114)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아래에서 볼 때, 이너 지지대(132)는 중앙부(114)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The
<연결 지지대><Connection support>
연결 지지대(133)은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의 사이(G)를 마주볼 수 있다.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의 사이(G)는 공기가 실제로 통과하지 못하는 영역이고, 연결 지지대(133)는 최대한 이러한 영역을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연결 지지대(133)는 그 전부가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의 사이(G)를 마주보는 것이 가능하고, 일부가 다수의 흡입공 군(A)(B)(C)(D)(E)의 사이(G)를 마주보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l of the connection supports 133 can face the gap G between the groups of suction holes A, B, C, D and E and a part of the suction holes B (G) of (B), (C), (D) and (E)
연결 지지대(133)는 최대한 많은 영역이 다수의 흡입공 군(A)(B)(C)(D)(E) 사이(G)를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연결 지지대(133)는 호 형상으로 굽은 형상일 수 있다. 연결 지지대(133)는 일단이 아우터 지지대(131)의 내둘레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너 지지대(132)의 외둘레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133)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호 형상으로 굽을 수 있다.The
연결 지지대(133)는 가상 곡선(L)과 같은 형상이거나 가상 곡선(L)과 최대한 비슷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지지대(133)는 가상 곡선(L)과 동일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연결 지지대(133)에는 필터부재(M)가 안착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13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연결 지지대(133)는 상하방향으로 가상 곡선(L)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The
필터 지지대(131)(132)(133)는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133)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133)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lter supports 131, 132 and 1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133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133 may be spaced circumferentially.
연결 지지대(133)의 개수는 흡입공 군(A)(B)(C)(D)(E)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The number of connection supports 133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suction holes (A) (B) (C) (D) (E).
연결 지지대(133)의 개수는 흡입공 군(A)(B)(C)(D)(E)의 개수의 1/2 이하이거나 1/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흡입공 군(A)(B)(C)(D)(E)의 개수가 30일 경우, 연결 지지대(133)의 개수는 5 내지 8일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supports 133 is equal to or less than 1/2 or equal to or less than 1/3 of the number of the suction holes (A), (B), (C), (D) and (E).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suction holes (A), (B), (C), (D) and (E) is 30, the number of connection supports 133 may be 5 to 8.
<필터 마운터><Filter Mounter>
필터 마운터(120)는 흡입패널(3) 중 흡입공(3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마운터(120)는 제2영역(Y)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영역(Y)은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이고, 토출패널(2)의 저면을 마주보는 영역일 수 있다. 제2영역(Y)는 도 7에 도시된 로어 바디(100)의 저면 및 송풍통로 바디(60)의 저면을 마주보는 영역일 수 있다. The
제2영역(Y)에 고정된 필터 마운터(120)는 실내기(1)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흡입공(31)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1)로 신속하게 유동될 수 있다. The
<후크><Hook>
후크(160)는 흡입패널(110)과 필터 마운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된 상태에서, 토출패널(2)에 매달리게 걸릴 수 있다. The
후크(160)는 흡입패널(110)과 필터 마운터(120)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162)와, 체결부(162)와 단차지게 돌출되어 필터 마운터(120)와 이격되고 토출패널(2)의 후크 삽입공(114)으로 삽입되어 후크 삽입공(114)의 주변(115)에 걸리는 걸이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The
후크(160)는 흡입패널(3) 중 흡입공(3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160)는 제2영역(Y)에 고정될 수 있다. 후크(160)를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흡입패널(3)에 고정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의 제2영역(Y)에는 후크(16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9)는 후크(160)와 필터 마운터(120)를 흡입패널(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필터 마운터(120)에는 체결부(119)를 둘러싸고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이너 관통공(121)이 형성된 이너 하우징(122)이 돌출될 수 있다. 필터 마운터(120)은 흡입패널(110)에 안착될 때, 이너 하우징(122)이 체결부(119)를 에워쌀 수 있다. The
후크(160)의 체결부(162)는 이너 하우징(122)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122)을 에워싸는 아우터 하우징(16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63)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아우터 관통공(161)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160)는 아우터 하우징(163)이 이너 하우징(122)을 에워싸게 필터 마운터(120)에 올려질 수 있다. The
체결부재는 아우터 하우징(163)의 아우터 관통공(161) 및 이너 하우징(122)의 이너 관통공(121)을 차례로 관통하고 체결부(119)에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outer through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아우터 지지대(131)와 필터 마운터(1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아우터 지지대(131)와 필터 마운터(120) 중 다른 하나에는 돌출부(140)가 돌려 끼움되는 끼움 레일(150)이 형성될 수 있다.13 to 16, a
<돌출부><Protrusions>
돌출부(140)는 아우터 지지대(131)의 외둘레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돌출부(140)는 필터(120)의 외둘레에 돌출되고 일면(142A)에 걸림턱(141)이 돌출되고 타면(142B)이 필터 마운터(120)에 안착되는 제1 돌출부(142)와, 필터(120)의 외둘레에 걸림턱(141)과 이격되게 돌출된 제2 돌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끼움 레일><Fitting rail>
끼움 레일(150)은 필터 마운터(120)에 돌출된 지지부(152)를 포함할 수 잇다. 지지부(152)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일 수 있다.The
끼움 레일(150)는 지지부(152)에 돌출되고 걸림턱(141) 및 제2 돌출부(144)의 사이에서 걸림턱(141) 및 제2 돌출부(144) 각각을 구속하는 끼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끼움부(154)는 필터(130)의 회전시 걸림턱(141)을 타고 넘은 후, 걸림턱(141) 및 제2 돌출부(144)의 사이로 진입될 수 있고, 걸림턱(141) 및 제2 돌출부(144)의 각각과 접촉될 수 있다. The
걸림턱(141)은 끼움부(154)의 일단(154A)에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걸릴 수 있고, 제2돌출부(144)는 끼움부(154)의 타단(154B)에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The
끼움부(154)는 걸림턱(141) 및 제2돌출부(144)와 맞물릴 수 있고, 필터(130)는 끼움부(154)가 걸림턱(141)과 제2돌출부(144) 사이에 위치할 때, 그 임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The
끼움 레일(150)은 지지부(152)에 끼움부(154)와 이격되게 돌출되고 제1돌출부(142)의 타면(142B)이 안착되는 안착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안착부(156)는 제1돌출부(142)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지 않게 제1돌출부(142)을 지지할 수 있고, 안착부(156)에 올려진 제1돌출부(142)는 걸림턱(141)의 높이가 유지할 수 있으며, 걸림턱(141)은 끼움부(154)에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first projecting
이하,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필터(130)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작업자는 필터(130)를 손으로 잡고 필터(130)를 필터 마운터(12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필터(130)의 외둘레면에 돌출된 돌출부(140)는 필터 마운터(120)의 끼움 레일(150) 주변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고, 작업자는 필터 마운터(120)에 안착된 필터(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operator can hold the
필터(130)의 회전시, 돌출부(140)의 제1돌출부(142)는 끼움부(154)의 아래로 진입되어 끼움부(154)의 아래를 지날 수 있고, 이때, 걸림턱(141)은 끼움부(154)의 저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끼움부(154)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The
지지부(152)에 돌출된 끼움부(154)는 걸림턱(14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밀릴 수 있다.The
제1돌출부(142)는 필터(130)의 회전이 계속됨에 따라 안착부(156) 위로 진입되어 안착부(156)에 올려질 수 있고, 필터(130)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 제1돌출부(142)에 돌출된 걸림턱(14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54)의 일단(154A) 옆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걸림턱(141)이 끼움부(154)의 일단(154A) 옆에 위치될 때, 끼움부(154)에 가해지던 외력은 제거되거나 최소화되고, 끼움부(154)는 복원될 수 있다. The
걸림턱(141)이 끼움부(154)의 일단(154A) 옆에 위치될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144)는 끼움부(154)의 타단(154B) 옆에 위치될 수 있고, 끼움부(154)는 걸림턱(141)과 제2돌출부(144) 사이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양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 The second projecting
즉, 작업자는 필터(130)를 필터 마운터(120)에 안착시킨 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필터(130)를 필터 마운터(120)에 장착할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or can mount the
한편, 필터(130)의 분리 작업시, 작업자는 필터(130)를 그 장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돌출부(1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레일(150)의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작업자는 필터(130)를 회전시킨 후 들어올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필터(130)를 필터 마운터(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15, the operator can rotate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실내기
3: 흡입패널
4: 송풍기
31: 흡입공
120: 필터
131: 아우터 지지대
132: 이너 지지대
133: 연결 지지대
A,B,C,D,E: 흡입공 군
M: 필터부재1: indoor unit 3: suction panel
4: blower 31: suction hole
120: Filter 131: Outer support
132: Inner support 133: Connection support
A, B, C, D, E: suction group M: filter member
Claims (20)
상기 송풍기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공이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흡입공을 갖는 흡입공 군의 다수 열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대는
아우터 지지대와;
상기 아우터 지지대 보다 크기가 작은 이너 지지대와;
상기 아우터 지지대와 이너 지지대를 잇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수의 흡입공 군 사이를 마주보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 indoor unit having an air blower;
A suction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through which air sucked toward the blower passes, and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spaced a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lter disposed above the suction panel,
The filter comprising a filter member and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member,
The filter support
An outer support;
An inner support which is smaller than the outer support;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er supporter and an inner support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air supporter includes a connection supporter facing the plurality of suction inlets.
상기 연결 지지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호 형상으로 굽은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support bar is curv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n arc shape.
상기 아우터 지지대 및 이너 지지대 각각은 원 형상이고,
상기 연결 지지대는 일단이 상기 아우터 지지대의 내둘레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너 지지대의 외둘레면에 연결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uter supporter and the inner supporter is circular,
Wherein the connection support frame has one end connect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상기 연결 지지대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zigzag-like concavo-convex portion on which the filter member is seated is formed on the connection support.
상기 이너 지지재의 외둘레면과 상기 아우터 지지대의 내둘레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upport memb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base has a staggered concavo-convex portion.
상기 흡입패널은 중앙부와 외둘레부 사이에 다수열의 흡입공 군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열의 흡입공 군 각각은 다수의 흡입공이 상기 중앙부와 외둘레부를 잇는 호 형상의 가상 곡선을 따라 일렬로 위치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anel has a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of suction holes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ranged in a line along an arc-shaped virtual curve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가상 곡선과 오버랩되지 않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support does not overlap with the virtual curv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이너 지지대는 상기 중앙부와 상하 방향으로 어버랩되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support is erected vertically to the central portion.
상기 이너 지지대는 상기 중앙부 보다 크기가 작은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support is smaller in size than the central portion.
상기 필터 지지대는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 지지대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Wherei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supports are circumferentially spaced apart.
상기 연결 지지대의 개수는 상기 흡입공 군의 개수 보다 적은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support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uction holes.
상기 흡입패널에는 상기 필터가 돌려 끼움되는 필터 마운터가 배치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anel is provided with a filter mount to which the filter is fitted.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싸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마운터는 상기 제2영역에 고정된 공기조화기.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uction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and a second region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And the filter mounter is fixed to the second region.
상기 필터 마운터는 호 형상이고, 상기 필터 마운터의 복수개는 원형 가상선을 따라 배치된 공기조화기.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lter mounters are arc-shaped, and a plurality of the filter mounters are disposed along a circular hypothetical line.
상기 아우터 지지대와 필터 마운터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지지대와 필터 마운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돌려 끼움되는 끼움 레일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outer support and the filter mount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other one of the outer supporter and the filter mounter is provided with a fitting rail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상기 실내기에 결합되고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패널과 필터 마운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토출패널에 착탈되는 후크가 장착된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panel coupled to the indoor unit and having an air outle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ction panel and the filter mounter is provided with a hook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charge panel.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토출패널의 저면을 마주보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후크를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uction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re formed and a second region surrounding the first region and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And the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hook is fastened to the second region.
상기 송풍기는 허브가 하부로 돌출되고 허브를 둘러싸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하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허브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판부인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includes a centrifugal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hub and surrounding the hub to suck air in the lower portion and blow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nd the center portion is a plate portion facing the hub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송풍기는 상기 원심팬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이너 흡입공이 형성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흡입공은
상기 이너 흡입공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다수의 제1흡입공과,
상기 오리피스의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2흡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흡입공은 상기 제2흡입공 보다 개수가 많고,
상기 제2흡입공은 상기 제1흡입공 보다 크기가 큰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includes an orifice formed with an inner suction hole for guiding air sucked into the centrifugal fan,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facing the inner suction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orifice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suction hole is larger in number than the second suction hole,
Wherein the second suction hole is larger than the first suction hole.
상기 흡입패널은
하측 방향으로 볼록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상면에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 흡입구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흡입구 바디는 상기 외둘레부와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공기조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panel
A lower plate convex downward;
And a plurality of suction inlet bodie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penetrating the suction holes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suction inlet bodies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as they approac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4536A KR102629027B1 (en) | 2017-02-01 | 2017-02-01 |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14536A KR102629027B1 (en) | 2017-02-01 | 2017-02-01 |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89785A true KR20180089785A (en) | 2018-08-09 |
| KR102629027B1 KR102629027B1 (en) | 2024-01-25 |
Family
ID=632509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14536A Active KR102629027B1 (en) | 2017-02-01 | 2017-02-01 |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902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085849A1 (en) * | 2020-10-20 | 2022-04-28 | 주식회사 센추리산업 | Air conditioner having perforated plat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165960A (en) * | 2008-01-16 | 2009-07-30 | Daikin Ind Ltd | Air filter |
| KR20150039399A (en) * | 2013-10-02 | 2015-04-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 KR20160091290A (en) | 2015-01-23 | 2016-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
2017
- 2017-02-01 KR KR1020170014536A patent/KR1026290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165960A (en) * | 2008-01-16 | 2009-07-30 | Daikin Ind Ltd | Air filter |
| KR20150039399A (en) * | 2013-10-02 | 2015-04-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 KR20160091290A (en) | 2015-01-23 | 2016-08-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085849A1 (en) * | 2020-10-20 | 2022-04-28 | 주식회사 센추리산업 | Air conditioner having perforated plat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29027B1 (en) | 2024-01-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0357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2600958B1 (en) | Air Conditioner | |
| KR20190027348A (en) |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2610037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070082237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1345265B1 (en) | air conditioner | |
| KR20180090011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180089785A (en) | Air conditioner | |
| KR102285835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180113711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180103545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102282432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10060074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1342217B1 (en) | A ventilation air-flow structure for indoor unit of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 |
| KR102354742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070082235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20180089784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100600744B1 (en) | Elevation structure of outlet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102643409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2282436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102282476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20180089783A (en) | Air conditioner | |
| KR102278985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 KR10127061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 KR20080011512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