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080011512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1512A
KR20080011512A KR1020060071923A KR20060071923A KR20080011512A KR 20080011512 A KR20080011512 A KR 20080011512A KR 1020060071923 A KR1020060071923 A KR 1020060071923A KR 20060071923 A KR20060071923 A KR 20060071923A KR 20080011512 A KR20080011512 A KR 2008001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base
ai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1512A/en
Publication of KR2008001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12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improve blowing efficiency and decrease noise and vibration by forming a turbulent flow prevention plate for precluding air from contacting with a base by an indoor fan. A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abinet(130), an indoor fan(170), a base(140), and a turbulent flow prevention plate(200). The cabinet having plural parts inside constitutes external appearance. The indoor fan is attached to a fan motor generating rotating force and flows air. The base, which is combi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supports load of the indoor fan and the fan motor. The turbulent flow prevention plate, which is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se or fixed on the base, prevents air from contacting with the base by the indoor fan. Additionally, an insertion hole(2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urbulent flow prevention plate is capable of combining the turbulent flow prevention plate with the base by a combining member.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unit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난류방지판이 베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저면 사시도.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constituting the main portion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base.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10. 전면판넬100. Indoor unit 110. Front panel

112. 흡입구 114. 토출구112. Inlet port 114. Outlet port

116. 루버 120. 흡입그릴116. Louver 120. Suction grill

122. 공기유동공 124. 에어필터122.Airflow 124.Air Filter

130. 캐비넷 132. 삽입편130. Cabinet 132. Insertion piece

134. 체결플랜지 140. 베이스134. Tightening flange 140. Base

142. 베이스지지대 144. 지지구멍142. Base support 144. Support hole

146. 보강부 148. 천공부146. Reinforcement part 148. Perforation part

150. 드레인팬 152. 집수공간150. Drain pan 152. Collection space

154. 관통구 160. 실내열교환기154. Through hole 160. Indoor heat exchanger

170. 실내팬 172. 팬모터170. Indoor Fan 172. Fan Motor

176. 모터마운트 180. 오리피스176.Mountmount 180. Orifice

182. 오리피스공 184. 체결공182. Orifice Ball 184. Fastener

200. 난류방지판 220. 삽입구200. Turbulence Block 220. Insertion Hole

240. 형합부240. Molded part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기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의 일면에 난류방지판이 구비되어 소음이 감소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a base supporting the indoor unit to be mounted inside a ceiling to reduce noise.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cools a room by a repetitive action of inhaling hot air in a room, exchanging heat wit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ing it into the room. -Condenser-Expansion valve-Evaporator which forms a series of cycles.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 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In addition, an air conditioner is an outdoor unit (sometimes called an 'outdoor side' or a 'heat sink side') mainly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also called an 'indoor side' or 'heat absorbing side') mainly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nd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ndoor heat exchanger).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The air conditioner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stalled integrally.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한 개의 실외기로 다수 개 공간을 냉/난방하고자 할때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일종인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여러 개의 사무실을 가진 건물에 설치함으로써 각 사무실의 효율적인 공기조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can be effectively applied when cooling / heating a plurality of spaces with one outdoor unit. That is, by installing a multi-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a type of separate air conditioner, in a building having several offices, efficient air conditioning of each office is possible.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on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s are installed in the room for air conditioning, respectively, so that the effect of installing several air conditioners can be obtained.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multi-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o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10 to form an edge of the outer surface to allow the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unit (1) A suction grill 20, a cabinet 30 forming an upper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 and having a plurality of parts built therein, and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30, the indoor unit 1 is ceilinged.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by the base 40 to be mounted therein.

상기 전면판넬(10)은 내부가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며 하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 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개가 천공 형성된다.The front panel 10 is perforat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uction grill 20 is mounted, and a rectangular discharge port 12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The discharge port 12 is to discharge the air heat-exchanged in the indoor unit 1 back to the room,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front panel 10.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2 is formed with a louver 14 forc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The louver 14 has a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ischarge port 12, and is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air flow direction.

따라서, 상기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구석진 곳까지 송풍되어 상기 실내기(1)는 공기조화를 극대화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is blown to the corners so that the indoor unit 1 maximizes air conditioning.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A suction grill 20 having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shape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10. The suction grill 20 allows indoor air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22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2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penet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50)는 상기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상기 실내기(1) 내부에 이물이 적재되는 것을 차단한다.An air filter 50 is provided above the suction grill 20. The air filter 50 filters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inlet 22, and blocks foreign matter from being loaded into the indoor unit 1.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전면판넬(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60)이 안착된다. 상 기 드레인팬(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70)가 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집수공간(62)이 함몰 형성된다.And the drain pan 6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0 described above. The drain pan 60 collects condensed water generated when the indoor heat exchanger 70 exchanges ai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a collecting space 62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드레인팬(60)은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60)의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를 통해 실내 공기는 드레인팬(60)의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The drain pan 60 also serves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suction port 22 to flow upward through the center. In other words, a through hole 6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ain pan 60,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64, indoor air can flow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an 60.

상기 관통구(64) 내부에는 오리피스(66)가 삽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는 드레인팬(60) 하측의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80)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져 상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An orifice 6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4. The orifice 66 is for guiding the air below the drain pan 60 to flow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door fan 80 to be described below. The orifice 66 has a cylindrical shape penet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has a lower end portion. It spreads outward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end.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66)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구(64)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오리피스(66) 내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rifice 66 is moved upwar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4, air flows into the orifice 66.

상기 집수공간(62)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는 상기 에어필터(50)에 의해서 정화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공간(62)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An indoor heat exchanger 70 is installed above the collecting space 62. The indoor heat exchanger (70) exchanges indoor air purified by the air filter (50), and has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collecting space (62).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7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62)에 집수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70 during heat exchange of the indoor air flows downward to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space 62.

상기 실내열교환기(70)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대략 8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 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된다.The outer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70 is provided with a cabinet 30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plates of the indoor unit 1 to form a space therein. The cabinet 30 has an approximately octagonal longitudinal section and an uppe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10 upper surface, and a lower end is coupled to the base support 42 to be described below.

즉, 상기 캐비넷(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42)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편(32)이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과 스크류체결 가능하도록 체결플랜지(34)가 다수개 형성된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3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iece 32 protruding outward so that one side of the base support 42 is inserted and fixed,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flange so as to b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0 ( 34 are formed in plurality.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8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82)와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an indoor fan 8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abinet 30. The indoor fan 80 is connected to a fan motor 82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when power is applied, and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fan motor 82.

따라서, 상기 팬모터(82)가 회전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강제되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캐비넷(30)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2)로 토출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an motor 82 is rotated to force the air flow inside the indoor unit 1,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22, and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2 is After heat exchange by the heat exchanger 70 is guided by the cabinet 30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2).

상기 팬모터(82)는 모터마운트(84)에 의해서 유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모터마운트(84) 내부에는 팬모터(82) 상부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84)는 전술한 베이스(40)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fan motor 82 is regulated in flow by the motor mount 84. That is, the motor mount 84 is accommodated so that the flow of the upper part of the fan motor 82 is regulated, and the motor mount 84 is fixedly mount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40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fan motor 82 can rotate at a high speed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is regulated inside the indoor unit 1.

한편, 상기 베이스(40)와 캐비넷(30) 사이에는 베이스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팬모터(82)와 실내팬(80)의 하중이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으로 인한 베이스(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Meanwhile, a base support 42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40 and the cabinet 30. The base support 42 is configur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40 due to the load when the load of the fan motor 82 and the indoor fan 80 is supported by the base 40.

즉,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외형이 상기 베이스(4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 며 외측 테두리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지지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2')는 전술한 삽입편(32)에 삽입되어 유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베이스(40)를 상방 지지하게 된다.That is, the base support 42 is formed so that the outer shape corresponds to the base 40 and the support portion 42 'bent downward in the outer edge is formed. The support part 42 ′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iece 32 described above to support the base 40 upward by restricting flow.

상기 베이스지지대(42)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결합구멍(4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멍(43)은 상기 모터마운트(84)가 베이스(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support 42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43 drilled in a square shape. The coupling hole 43 is configured to allow the motor mount 84 to be fastened to the base 40.

상기 배이스지지대(42)의 상측에는 상기 베이스(4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중앙부에 모터마운트(84)가 체결되어 상기 실내팬(80) 및 팬모터(8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The base 40 is provided on the base support 42. The base 40 forms an upper appearan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motor mount 84 is fastened to the center to support the load of the indoor fan 80 and the fan motor 82.

따라서, 상기 베이스(40)에는 이러한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강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41)는 베이스(40)의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다양한 형상을 함몰시켜 형성된 것이다.Therefore, the reinforcement part 41 is formed in the base 40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due to such a load. The reinforcement part 41 is formed by recessing various shapes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0.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베이스(4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41)는 베이스(40)의 하면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하방향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80)이 회동하여 실내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베이스(40)의 하면에서 돌출된 보강부(41)와 간섭되어 난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base 40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part 41 for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reinforcing part 41 also protrudes downward in the same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40. Therefore, when the indoor fan 80 rotates and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the introduced indoor air interferes with the reinforcing part 4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40 to generate turbulence.

또한,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되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urbulence occurs inside the indoor unit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and vibration are generated.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의 발생으로 사용자는 감성불만을 느끼게 되므로 제품만족도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user feels emotional discomfort, causing a decrease in product satisfac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의 하측에 난류방지판을 더 구비하여 실내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베이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내기 내부의 난류 발생이 방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further provided with a turbulence prevention plate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to prevent the air blown by the indoor fan to contact the bas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nside the indoor unit It is to provide the indoor unit of a harmonic.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기 내부의 난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송풍 능력이 향상되고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blocks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side the indoor unit to improve the air blowing capability and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 부품이 설치되는 캐비넷과; 회전력을 발생하는 팬모터와 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하는 실내팬과; 상기 캐비넷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팬 및 팬모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베이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난류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nd a plurality of parts are installed therein; An indoor fan coupled with a fan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o generate an air flow; A bas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binet and supporting loads of the indoor fan and the fan motor; I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for blocking the air flowing by the indoor fan to contact the b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난류방지판은 베이스에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base.

상기 난류방지판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난류방지판이 체결부재에 의해 베 이스에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구가 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 for drilling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by the fastening member.

상기 난류방지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돌출된 보강부와 형합되는 형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with the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protruding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상기 난류방지판의 횡단면적은 상기 실내팬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door fan.

상기 난류방지판의 외곽 형상은, 실내 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의 외곽 형상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hap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that heat-exchanges the indoor air with the refrigerant.

상기 난류방지판의 하면은 평면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 내부의 난류 발생이 방지되어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side the indoor unit is prevented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면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door unit 100 is fixed to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the lower surface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10)과, 상기 전면판넬(1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120)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 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100 has a front panel 110 forming an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and a suction grill 1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anel 110 to allow indoor air to flow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forming a top exterior of the indoor unit 100 and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30 with the cabinet 130 having a plurality of parts therein, and allowing the indoor unit 100 to be mounted inside the ceiling.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by the base (140 in FIG. 3).

상기 전면판넬(110)은 정사각형 모양의 판넬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흡입그릴(12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110)의 중앙부에는 정사각형 모양의 흡입구(112)가 천공되며, 상기 흡입구(112)는 흡입그릴(120)의 외곽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The front panel 110 has a square panel shape, the suction grill 120 is mounted in the center. That is, a square suction hole 112 is punctur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0, and the suction hole 112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and size of the suction grill 120.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 내부에 흡입그릴(120)이 설치되면,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기(100)의 하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uction grill 120 is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port 112, the suction grill 12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100.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110)의 전후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14)는 흡입구(11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와 실내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110 ar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14 of a long rectangular shape. The discharge port 114 is configured to guid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to be discharged back to the room,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00. .

상기 토출구(114) 내부에는 토출구(114)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16)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116)는 토출구(114)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uver 116 is mounted inside the discharge port 114 to forc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4. The louver 116 has a square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discharge port 114, and is rotatably installed based on one end.

즉, 상기 루버(116)의 일단에는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루버모터(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루버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루버(116)가 연동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That is, one end of the louver 116 is connected to a louver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louver 116 is interlocked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louver motor to repeat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따라서, 상기 루버(116)의 상면과 토출구(11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 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의 회동에 의해 루버(116)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116)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116 and the discharge port 1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louver 116 and the discharge air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louver motor at a time, so that the louver 116 ) Forces the discharged air to be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흡입그릴(120)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면(全面)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공기유동공(122)이 형성된다.The suction grill 120 serves to guide the indoor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e air flow hole 122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ont (full surface).

상기 공기유동공(122)은 흡입그릴(1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air flow hole 12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suction grill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pace in the center of the indoor unit 10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room.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상기 공기유동공(122)을 통해서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토출구(114)에 의해 안내되어 다시 실내로 유입된다.Therefore, when the indoor unit 100 is operated, in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air flow hole 122, and guided by the discharge port 114 to be introduced again into the room.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1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124)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124)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이 천공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n air filter 124 is provided above the suction grill 120. The air filter 124 filters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fine holes are perforated in the entire surface.

따라서,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124)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Therefore, foreign matters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remai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icro holes and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filter 124 so that the foreign matters inside the indoor unit 100. Loading is prevented beforehand.

상기 에어필터(124)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60)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drain pan 150 is provided above the air filter 124. The drain pan 150 is configur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wh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and the indoor air exchange hea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viewed from above. It is larger than the outer size of).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된 집수공간(152)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공간(152)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포집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152)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 collecting space 152 recessed downwar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ain pan 150.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accommodated and seated in the collection space 152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flows downwar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space 152. do.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The drain pan 150 also serves to guide the air purified by the air filter 124 to flow upward through the drain pan 150.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11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through hole 154 is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drain pan 150. Therefore, the indoor air can flow upward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and the through hole 154.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152)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에어필터(124)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pan 150, more specifically, on the collecting space 152.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for heat-exchanging the indoor air purified by the air filter 124, the refrigerant to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flows.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In addi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bent in a substantially rhombus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More specifically,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has a shape in which the elongated tube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with air, and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152)에 집수 된다.Therefore, the indoor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154 is forced to flow in the front and rear /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change heat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Condensate generated in the water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pace (152).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를 차폐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cabinet 130 is provided out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he cabinet 130 is octagonal when a plurality of plate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and forms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 surfac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100 to shield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100).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는 전면판넬(110)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베이스지지대(142)의 하면과 결합된다. And,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130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anel 110,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pport 142 to be described below.

즉, 상기 캐비넷(1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142)의 하단부 일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후에 상방 절곡된 삽입편(132)이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사각판 모양의 체결플랜지(134)가 외측으로 돌출된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13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iece 132 that is bent upwards after protruding outward so th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ase support 142 may be accommodated therein. 134 protrudes outward.

따라서, 상기 삽입편(132)과 체결플랜지(134)가 베이스지지대(142)의 하면과 전면판넬(110)의 상면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면, 상기 캐비넷(130) 내부는 외부로부 터 격리되어 공기의 유동이 차단된다.Therefore, when the insertion piece 132 and the fastening flange 134 is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support 1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by a fastening member, the inside of the cabinet 130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The flow of air is blocked.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축결합되어 연동함으로써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n indoor fan 17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abinet 130. The indoor fan 170 is configured to force the air flow by being axially coupled with the fan motor 172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suction force in the upper direction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door fan 170. And generates wind pow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112)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indoor fan 170 receives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fan motor 172 and rotates at a high spee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t the lower side is transmitted to the through hole 154 and the suction port 112 to suck the indoor air. It becomes possible.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door fan 170 is blown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ass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hereby performing heat exchange by the refrigerant.

상기 팬모터(172)의 상측에는 모터마운트(176)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마운트(176)는 실내팬(170)과 축결합된 팬모터(172)가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40)의 저면에 모터마운트(176)의 상면이 접한 후에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된다.The motor mount 176 is provided above the fan motor 172. The motor mount 176 regulates the fan motor 172 which is axially coupled with the indoor fan 170 so as not to fall downward, and is fastened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motor mount 176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40. It is fastened by a member (not shown).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은 하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더라도 모터마운트(176)에 의해서 견고하기 지지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door fan 170 maintains a constant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cabinet 130 without falling downward, and the motor mount 176 even when the fan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fan motor 172. Can be firmly supported.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orifice 18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fan 170, more specifically, inside the through hole 154. The orifice 180 serves to guide the air flow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ain pan 150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door fan 17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ncreases in diameter downwar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be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of the drain pan 150.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orifice hole 182 is formed inside the orifice 180 to guide the air below the drain pan 150 to penetrate the drain pan 150.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inner diameter of the orifice hole 182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door fan 17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door fan 170 is located inside the orifice hole 182.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Therefore, when the indoor fan 170 rotates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o the lower side, the air of the lower side based on the drain pan 150 flows upward along the orifice hole 182 to the indoor fan 170. Inflow to the center of the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에는 천공 성형된 체결공(184)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184)은 오리피스(180)가 드레인팬(150)에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공(184)에 삽입된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관통구(154)의 외측에 체결되면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의 중앙에 고정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orifice 18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84 is formed. The fastening hole 184 is to prevent the orifice 180 is fastened to the drain pan 150 to be separated, 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84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154 The orifice 18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drain pan 150.

상기 실내기(100)의 상면에는 대략 팔각판 모양의 베이스(14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40)는 일측이 실내 공간의 천장에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되어 상기 실내팬(170) 및 팬모터(172)를 포함하는 실내기(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상기 모터마운트(176)가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구멍(144)이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base 140 of an approximately octagonal plate shape. The base 140 is one side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by a fixing member (not shown) to support the load of the indoor unit 100 including the indoor fan 170 and the fan motor 172, the center portion A support hole 144 is formed to support the motor mount 176 in a fastened state.

따라서, 상기 모터마운트(176)의 테두리부를 관통한 체결부재가 상기 지지구멍(144)에 체결되면 상기 모터마운트(176)는 베이스(14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edge of the motor mount 176 is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144, the motor mount 176 is mainta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140.

상기 베이스(140)의 전면(全面)에는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의 보강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146)는 베이스(14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팬 및 팬모터의 하중을 감안할 때 상기 베이스(14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14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art 146 having a shape symmetrical left and right. The reinforcement part 146 i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ase 140, and considering the load of the indoor fan and the fan motor, the reinforcement part 146 is preferably forme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part of the base 140.

한편, 상기 베이스(140)의 하측에는 베이스지지대(1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142)는 상기 베이스(140)의 하면 테두리부를 지지하여 베이스(1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146)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support 142 is provided below the base 140. The base support 142 i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140 by supporting the lower edge of the base 140, and performs the same role as the reinforcement 146.

따라서, 상기 베이스지지대(142)와 보강부(146)에 의해 상기 베이스(140)는 변형이 방지된다.Therefore, the base 140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the base support 142 and the reinforcement part 146.

상기 베이스지지대(142)의 중앙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된 천공부(148)가 구비된다. 상기 천공부(148)는 전술한 모터마운트가 베이스(1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er of the base support 142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portion 148 perforat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drilling portion 148 serves to guide the fastening position so that the above-described motor mount can be fastened to the base 140.

한편, 상기 베이스(140)의 하면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난류방지판(200)이 구비된다.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상기 실내팬에 의해 강제로 유동하는 공기와 베이스(140)의 하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략 사 각형 모양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0 is provided with a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serves to block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0 and the air forcedly flows by the indoor fan,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베이스(140)에 결합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상면은 베이스(140)에 접촉하고 하면의 중앙부는 모터마운트(176)의 상단부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40)의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구멍(14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구(220)가 천공된다. In addition,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base 140. More precisely,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contacts the base 140 and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maintains th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motor mount 176. To this end, the insertion hole 220 is dri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14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hole 144.

따라서, 상기 모터마운트(176) 및 삽입구(220)를 동시에 관통한 체결부재가 지지구멍(144)에 체결되면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베이스(140)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베이스(140)와 실내기(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서로 접촉할 수 없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motor mount 176 and the insertion hole 220 at the same time is fastened to the support hole 144,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0, the base 140 ) And the air flowing inside the indoor unit 100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상기한 역할 외에 상기 실내기(1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외측 방향으로 간섭없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also serves to guide the air flowing inside the indoor unit 100 to flow outwardly in an interference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ole.

즉,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하면에는 어떠한 돌출 및 함몰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매끄러운 하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That is, no protruding and recessed shap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and form a flat surface. Therefore, the air flowing outwar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door fan 170 flows outward along the smooth bottom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상면에는 형합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형합부(240)는 난류방지판(200)이 베이스(140)에 부착될 때 난류방지판(200)의 상면과 베이스(140)의 하면이 서로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부(146)와 형합 된다. A mold 2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The fitting part 240 is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40 do not lift each other when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is attached to the base 140. Is matched with.

이를 위해 상기 형합부(240)는 보강부(146)와 대응되는 문양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부(146)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면 상기 형합부(240)는 난류방지판(200)의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보강부(146)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 상기 형합부(240)는 난류방지판(200)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형합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the matching part 240 has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part 146. More specifically, when the reinforcing portion 146 protrudes downward, the matching portion 240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46 protrudes upward. In this case, the matching part 24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to be able to join each other.

따라서, 상기 난류방지판(200)이 베이스(140) 하면에 결합되면 그 결합된 부위는 도 5와 같이 형합되어 들뜨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난류방지판(200)과 베이스(140)가 들뜬 상태에서 상기 난류방지판(200)이 공기와 접촉했을 때 상기 난류방지판(200)이 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refore, when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40, the combined portion is shaped as shown in FIG.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from shaking when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comes into contact with air while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and the base 140 are excited.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그 횡단면적이 실내팬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중앙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상방 및 측방으로 토출하더라도 토출되는 공기는 난류방지판(200)과 접촉하면서 안내되어 실내열교환기(160)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The turbulence blocking plate 200 has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indoor fan. Therefore, even if the indoor fan 170 sucks the indoor air through the center and discharges it upward and sideways, the discharged air is guided while contacting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to flow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do.

그리고,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외곽 형상은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형상, 보다 정확하게는 실내열교환기(160)의 내측 사다리꼴 모양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난류방지판(200)과 실내열교환기(160)가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난류방지판(200)은 실내열교환기(160)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듯 놓이게 된다.(도 5 참조)In addition, the outer shap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200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more precisely, to the inner trapezoidal shap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herefore, when the turbulence blocking plate 200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are mounted inside the indoor unit 100, the turbulence blocking plate 200 is placed as if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See FIG. 5)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루버모터(미도시)는 루버(116)를 회전시켜 토출구(11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팬모터(172)는 실내팬(17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되어 상기 실내팬(170)은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an air conditioner, the louver motor (not shown) opens the discharge port 114 by rotating the louver 116. At the same time, the fan motor 172 transmits the rotational power to the indoor fan 170 so that the indoor fan 170 rotates at a high speed.

상기 실내팬(17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 하측에는 상방향의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 실내팬(170)이 발생한 흡입력은 상기 흡입구(112)로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indoor fan 170 is rotated, a suction force in an upward direction is gener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indoor fan 170.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indoor fan 170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ort 112 so that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24)를 경유하면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은 걸러지게 되며, 정화된 공기만이 상기 에어필터(124)를 관통하게 된다.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0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24,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filtered out, and only the purifi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124.

상기 에어필터(124)를 관통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8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관통구(154)를 관통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다.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124 is guided by the orifice 180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54, and at the same time flows into the indoor fan 170.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실내팬(170)에 의해 강제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며, 송풍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냉매에 의한 열교환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fan 170 is forced by the indoor fan 170 and blown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lown indoor air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to be heat exchanged by the refrigerant.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으로부터 대각선 상방향으로 송풍된 실내 공기는 상기 난류방지판(200)의 매끄러운 하면과 접촉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접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blown diagonally upward from the indoor fan 170 flows outward while contacting the smooth bottom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20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에 의해 냉매와 열교환 된 실내공기는 캐비넷(130)의 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114)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물론 상기 루버(116)는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토출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indoor air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160 is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abinet 130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4. Of course, the louver 116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guide the discharge to the corner of the room by interfering the discharge air.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may be mad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난류방지판의 하면을 편편하게 형성하였으나, 실내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따라서는 난류방지판의 하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is formed flat, but the low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depending on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indoor fa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실내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베이스의 하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난류방지판을 더 구성하였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further configured so that the air blown by the indoor fan does not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따라서, 베이스의 하면과 실내공기의 간섭에 의해 난류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urbulence is not genera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indoor air, thereb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또한, 상기한 이유로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의 풍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nd power of the heat-exchan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improved for the above reason.

뿐만 아니라, 실내기의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감성불만이 미연에 방지되며, 제품 만족도 향상이 기대된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indoor unit, the user's emotional discomfort is prevented in advance, and product satisfaction is expected to be improved.

Claims (7)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 부품이 설치되는 캐비넷과;A cabinet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 plurality of parts installed therein; 회전력을 발생하는 팬모터와 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하는 실내팬과;An indoor fan coupled with a fan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to generate an air flow; 상기 캐비넷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실내팬 및 팬모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와;A bas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binet and supporting loads of the indoor fan and the fan motor;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베이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난류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d a turbulence preventing plat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block the air flowing by the indoor fan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은 베이스에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rbulence preventing plate is fixedly fixed to the b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의 중앙부 일측에는,According to claim 2, At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상기 난류방지판이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에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구가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for drilling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by a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의 상면 일측에는,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상기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돌출된 보강부와 형합되는 형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의 횡단면적은 상기 실내팬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turbulence blocking plate is larger than a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door fa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의 외곽 형상은,According to claim 4, The outer shape of the turbulence prevention plate, 실내 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의 외곽 형상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indoor unit corresponds to an outer shape of an indoor heat exchanger that exchanges indoor air with a refrigeran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방지판의 하면은 평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turbulence blocking plate is a flat surface.
KR1020060071923A 2006-07-31 2006-07-3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drawn KR200800115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23A KR20080011512A (en) 2006-07-31 2006-07-3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23A KR20080011512A (en) 2006-07-31 2006-07-3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12A true KR20080011512A (en) 2008-02-05

Family

ID=3934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23A Withdrawn KR20080011512A (en) 2006-07-31 2006-07-31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151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409A (en) * 2017-04-28 2017-08-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Electric motor mounting structure and embedded air-conditioner
CN114893826A (en) * 2022-05-10 2022-08-12 瑞繁(北京)人工环境科技有限公司 An indoor unit of low energy consumption air conditio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409A (en) * 2017-04-28 2017-08-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Electric motor mounting structure and embedded air-conditioner
CN107062409B (en) * 2017-04-28 2019-12-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motor mounting structure and embedded air conditioner
CN114893826A (en) * 2022-05-10 2022-08-12 瑞繁(北京)人工环境科技有限公司 An indoor unit of low energy consumption air conditioner
CN114893826B (en) * 2022-05-10 2025-01-14 瑞繁(北京)人工环境科技有限公司 A low-energy-consumption indoor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9747B (en) Air-conditioning
US7614248B2 (en) Air conditioner
KR102600958B1 (en) Air Conditioner
KR10185280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62390B1 (en) Air conditioner
KR10131968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335748B1 (en) Air conditioner
KR20090078477A (en)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Indoor Air Conditioner
WO2007081078A2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10081371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1151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60845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1342217B1 (en) A ventilation air-flow structure for indoor unit of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CN215832047U (en) Indoor air conditioner
KR2008005693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91195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629027B1 (en) Air conditioner
KR100529914B1 (en) An indoor unit of duct type air-conditioner
CN112539539A (en) Air inlet gri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0850938B1 (en) Ceiling-installed air conditioner
KR100707468B1 (en) Corner type air conditioner
KR20060117832A (en) Drain Fan of Air Conditioner
KR20070077642A (en) Air conditioners and indoor units
KR2011002750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624737B1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