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18957A -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8957A KR20250018957A KR1020240064478A KR20240064478A KR20250018957A KR 20250018957 A KR20250018957 A KR 20250018957A KR 1020240064478 A KR1020240064478 A KR 1020240064478A KR 20240064478 A KR20240064478 A KR 20240064478A KR 20250018957 A KR20250018957 A KR 202500189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user activity
- user
- electronic device
-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Force measu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9—Range sublocal,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05—Parameter used as control input for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 A61M2230/42—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라서,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불면증(insomnia)은 정상적인 수면을 취하지 못하며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각성 상태(뜬 눈)로 있거나, 잠을 자더라도 그 시간이 매우 부족한 증상을 통칭하는 말이다. 오랜 기간 동안 깨어 있어 피곤함에도 불구하고 제때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잠에 들어도 곧 깨어나는 증세가 나타난다. 불면증 치료를 위해 기존에는 저분자 화합물(가령, 알약)을 이용한 1 세대 치료제, 생물제제(가령, 항체, 단백질, 세포 등)를 이용한 2 세대 치료제가 사용되었다. 다만, 기존의 치료제의 경우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한편, 최근 수면 유도를 위한 컨텐츠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면 유도를 위한 컨텐츠, 수면 유도에 효과를 가지는 컨텐츠(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그래픽)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10,576,355 B2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의 구간들(예: 들숨/날숨 등)의 비율이 이상적이 기간 비율(desired duration ratio)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즉, 기존의 수면 유도를 위한 방법은, 시스템(또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된 특정한 목표(예: 이상적인 들숨/날숨 기간 비율)에 도달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자극(예: 사운드)을 제공하였다. 특정한 목표는, 예를 들어 수면 유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알려진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목표를 위하여 설정되는 자극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시스템에 의하여 의도한 목표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수면 유도를 위한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생체 징후(예: 들숨/날숨이 구간 비율 등)가 특정한 목표(예: desired duration ratio)를 가지도록 하는, 목표 지향적인 컨텐츠가 제공되었다. 사용자는, 특정한 목표를 위하여 시스템에 의하여 설정되는 자극을 체험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면 유도를 위한 시스템은 수면 유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상태에 대응하는 자극(예: 사운드)을 제공할 뿐이며,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주기성을 확인하고 그 주기성에 기반한 자극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서는 개시하거나 또는 암시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다양한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 예를 들어 호흡이 존재한다. 기존의 수면 유도를 위한 시스템은, 생체 징후의 주기성의 인식 및 이에 대응하는 주기성을 가지는 자극(예: 사운드)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생체 징후(예: 호흡)의 주기성을 확인하고,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적인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체 징후(예: 호흡)의 주기성을 확인하고,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생체 징후의 주기에 대한, 생체 징후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된 액티비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주기성이 확인됨으로써, 생체 신호(physiological signal)의 분석 없이도 보다 정확한 특정 생체 징후의 주기성이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생체 징후의 주기 및 피드백되는 자극(예: 사운드)의 정확한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생체 징후에 대한 주기성에 대한 액티비티를 입력할 것을 요구받음으로써, 해당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생체 징후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자극(예: 사운드)이 사용자에게 피드백됨으로써, 해당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생체 징후, 예를 들어 호흡의 주기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정도의 향상은, 좀 더 느린 호흡의 유도 및/또는 생체 징후와 다른 생체 징후(예: 뇌파)의 동조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면 유도 효과의 향상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목표 지향적인 자극 제공 방식에 의한 사용자가 흥미를 잃음으로써 야기되는 지속 사용 가능성 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본인의 생체 징후에 실시간으로 동기화된 자극 제공 및/또는 속성 변경 자극 제공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지속 사용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개시에 따른 수면 유도를 위한 전자 장치, 서버,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f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공되는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g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h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누적 횟수에 따른 사운드 속성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 내지 도 4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운드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 내지 5d는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 내지 6h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서브 사운드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사운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c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d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진폭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수면 분석 결과의 예시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물리 자극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축 물리 자극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2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내지 22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f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공되는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g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h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누적 횟수에 따른 사운드 속성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 내지 도 4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운드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 내지 5d는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 내지 6h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서브 사운드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b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사운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c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d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진폭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1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수면 분석 결과의 예시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물리 자극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축 물리 자극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및 2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내지 22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또는, 코드,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은, 구조(structure)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물리적으로 접촉(또는, 체결)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중간 개입되는 엔티티를 통하여 연결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결”은, 물리적으로 집적 접촉하는 상태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엔티티가 중간에 개입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은,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연결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라면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는, 하나의 예에서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계 없이(이를, 스탠드-얼론 타입으로 명명할 수 있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탠드-얼론 타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전자 장치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와 연계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또는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계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실행 가능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면 유도를 위한 목적으로 특정 제작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CPU, GPU, NPU, DPU, FPGA, ASIC, 및/또는 So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하나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GPU, NPU, FPGA, ASIC, 및/또는 SoC)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의 연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복수의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GPU, NPU, FPGA, ASIC, 및/또는 SoC)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동작들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고 나머지 일부가 다른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하나의 동작 또는 복수 개의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은, 하나의 물리적으로 독립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메모리들에 분산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단독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하여 분산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복수 개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은, 하나의 프로세서가 단독으로 복수 개의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모두 실행하는 것이거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가 함께 복수 개의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분산 실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의 인퍼런스(inference)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트레이닝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트레이닝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닝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 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지정된 규칙 기반(rule-based)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인공 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 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 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 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뉴럴 네트워크를 생성하거나, 뉴럴 네트워크를 훈련(train) 또는 학습(learn)하거나,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기초로 정보 신호(information signal)를 생성하거나, 뉴럴 네트워크를 재훈련(retrain)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은 본 개시에 따른 수면 유도를 위한 전자 장치, 서버,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대상자의 수면 유도를 위해 컨텐츠(또는, 자극으로 명명할 수 있음)(예를 들어,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컨텐츠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적 컨텐츠 및/또는 촉각적 컨텐츠는, 사용자의 신체 기관(예: 귀 및/또는 감각 기관)을 자극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므로, “자극”으로 명명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할 실시예들에서 “컨텐츠”의 용어는 “자극”으로 교환될 수 있다.
도 1a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입력 장치(120), 출력 장치(130), 하나 이상의 센서(140), 메모리(15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를 구비한 다양한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선통신 장치, 셀룰러 기반의 무선통신 장치, IEEE 802.11 기반(예를 들어, Wifi로 명명될 수도 있음)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에너지, UWB, 지그비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 기반의 통신 장치,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서버(101)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101)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스탠드 얼론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와 서버(101) 사이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이 요구되지는 않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기(transceiver), 통신기(communi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터치 입력 장치(1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입력 장치(120)에서 수집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 음성 데이터,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장치(120)는 각종 입력을 위한 기기(inpu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31, 또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3, 이하 '마이크')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본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출력 장치(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31),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햅틱 모듈 및 광 출력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터치 입력 장치(121) 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출력 기능 및/또는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장치(130)는 각종 출력을 위한 기기(outputt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출력 장치(130)를 통해 바이오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90)는 바이오 피드백(bio feedback) 또는 바이오 소니피케이션(bio sonification) 기반으로 생체 데이터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 장치(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되는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특정 생체 징후에 대한 주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액티비티 수행에 따라서,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바이오 피드백으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는 사운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생체 징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가 제공됨을 바이오 소니피케이션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피드백 측면에서, 프로세서(190)는 신체의 생리학적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정보와 연관된 컨텐츠를 출력 장치(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리학적 과정은,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예를 들어, 호흡(들숨 및 날숨), 심박수, 혈압,) 뿐만 아니라 비주기적인 생체 징후(예: 근육 긴장도, 피부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프로세서(190)는, 예를 들어,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vital sign)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유도하기 위한 UI를 출력 장치(13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입력 장치(120) 및/또는 센서(14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출력 장치(13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에 기반한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따라 생체 징후의 주기성이 확인될 수 있어, 생체 신호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보다 정확한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생체 징후의 주기성을 인지하여야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인지 집중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른 느린 호흡 및/또는 조기 입면을 야기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바이오 피드백에 기반한 컨텐츠 체험에 따라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인지 집중도가 추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다른 생체 징후(예를 들어, 뇌파일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가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와 동기화될 수 있다. 만약,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가 날숨 및 들숨을 가지는 호흡이라면, 다른 생체 징후는 컨텐츠에 의하여 동기화될 수 있는 뇌파(또는, 뇌의 특정된 부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흡의 주기 및 뇌파(또는, 뇌의 특정 부위)가 동기화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빠른 입면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90)에 의한 동작들은, 서버(101)와의 연계 없이 전자 장치(100)가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서버(101)와의 연계를 통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유도하기 위한 UI의 표현,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획득(또는, 확인),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현을 위한 인스트럭션(또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을, 서버(101)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로부터 수신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기반하여,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유도하기 위한 UI의 표현,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획득(또는, 확인),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서버(101)로부터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마켓 등과 같은 소슬부터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로부터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vital sign)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유도하기 위한 UI를 표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성을 가지는 생체 징후(vital sign)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유도하기 위한 UI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입력 장치(120) 및/또는 센서(14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표현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를 서버(101)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 2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제 3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3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표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본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는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 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센서(14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와 연관된 정보, 전자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전자 장치(100)를 착용(또는, 소지)한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 및/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본 장치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140)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터치 입력 장치(121)에 포함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입력 장치(121)와 다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음),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생체 센서(예를 들어,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컨텐츠 표현을 위한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데이터를 (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해당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와 연계를 위한 캐시 메모리 및/또는 프로세서(190)에 포함되는 캐시 메모리 및/또는 레지스터를 의미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전자 장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UI를 플랫폼 기반으로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데, 가령, 웹 사이트,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플랫폼은 PC 어플리케이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다양한 사용자 단말은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플랫폼 기반으로 이용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91)는, 프로세서(192), 통신 장치(193), 메모리(194), 및/또는 센서(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92)는, 센서(195)에 의하여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체 징후에 대한 주기성을 인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인식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91)는, 사용자 액티비티와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액비티의 타입,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 사용자 액티비티의 유지, 및/또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해제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통신 장치(193)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구현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센서(195)에 의하여 센싱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또는, 전처리 및/또는 후처리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19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액티비티와 연관된 정보 및/또는 센싱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대한 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91)의 다양한 예시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a에서와 같이 서버(101)가 실질적으로 물리적인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단말(102)은, 가상 개인 클라우드(virtual private cloud)(100b)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시스템(101a)에 제공할 수 있다. IaaS 시스템(101a)은,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운영 체제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단말(102)의 요청에 기반하여, IaaS 시스템(101a)은, 서비스(예를 들어, 입면 유도를 위한 사운드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 제공을 위한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를 실행 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는,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인 전자 장치(100)에 의한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설정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로의 억세스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절차에 기반하여,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는,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인 전자 장치(100)에 의한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설정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방법은, 서버를 제공하는 동작(181)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를 제공하는 동작(181)은, 예를 들어 물리적인 장치인 서버(101)를 생성, 구축, 및/또는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또는, 서버를 제공하는 동작(181)은, 도 1b에서와 같이, IaaS 시스템(101a)에서의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의 생성 요청의 송신,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의 생성, 실행, 및/또는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방법은, 서비스 제공 요청을 획득하는 동작(182)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서비스 제공 요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18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로의 억세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는, 억세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서비스 제공 요청의 획득으로서 수행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는, 억세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 이후, 전자 장치(100)로부터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함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방법은,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서비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삭제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구현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또는, 가상 개인 클라우드(101b))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추가적인 삭제 명령이 확인됨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다운로드받아 실행함으로써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 제공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다운로드 되는 경우, 서버(100)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소스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어플리케이션 마켓(미도시)이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소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 단말(102)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수행을 야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거나, 및/또는 소스(예를 들어, 서버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마켓)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g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공되는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전체가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서버(101)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와의 연계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계 없이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2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명명될 수도 있으나 제한이 없음)을 실행함으로써, 도 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스트럭션들(또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마켓, 또는 지정된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통하여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그 수신 경로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도 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삭제될 수도 있거나, 또는 삭제 명령이 확인되기 이전까지 저장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중 일부가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면서 나머지 일부가 다른 엔티티(예를 들어, 서버(101)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2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는, 도 2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전체가 전자 장치(100)가 아닌 서버(101)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2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는 호흡일 수 있지만, 제 1 생체 징후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호흡의 수행은, 들숨 및 날숨의 교번적인 수행의 반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예시는 들숨 구간일 수 있으며,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예시는 날숨 구간일 수 있다. 제 1 생체 징후는, 예를 들어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반복으로 인하여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분의 기간 및 제 2 부분의 기간이, 제 1 생체 징후의 1회의 주기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제 1 생체 징후와 무관한(또는, 독립적인, 상관 관계가 없는, 또는 연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인 액티비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온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이벤트)로 설정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오프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해제하는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생체 징후가 호흡인 경우, 사용자에 의한 호흡 행위와 탭 온/오프 이벤트와는 연관이 없다. 즉,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호흡 수행에 따라서, 탭 온/오프 이벤트가 검출될 수 없으며, 사용자는 탭 온/오프 이벤트를 위하여 호흡 수행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손가락을 조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액티비티는, 제 1 생체 징후(또는, 생체 징후가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와는 무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생체 징후와는 무관하게 설정된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에 따라 제 1 생체 징후에 대한 주기성이 확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생체 징후와 연관된 파라미터 분석에 기반한 생체 징후 주기성보다 정확한 주기성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된 목표 지향 방식과는 대조적으로, 사용자의 자의에 의하여 사용자 액티비티가 수행될 수 있음에 따라 수면 유도의 효과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서비스 장기 이용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되는 주기적인 사운드들을 청취함에 따라서, 제 1 생체 징후(예를 들어, 호흡)를 자각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제 1 생체 징후(예를 들어, 호흡)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청취함으로써, 사용자의 제 1 생체 징후에 대한 자각 정도(또는, 인식 정도)가 증대될 수 있다. 호흡에 대한 인지가 편안한 감정을 야기함은 잘 알려져 있다. 편안한 감정은 편도체(amygdala)가 오렉신(orexin) 작동성 뉴런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오렉신 작동성 뉴런의 활성화 정도의 감소에 따라 각성 시스템(예를 들어, 모노아민/콜린 작동성 뉴런)의 활성화 정도 또한 감소가 되며, GABA 작동성 뉴런의 활성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 1 생체 징후에 대한 자각 정도가 증대됨에 따라서, 제 1 생체 징후 자각 이외의 다른 생각이 편도체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됨에 따라서, 오렉신 작동성 뉴런의 활성화 정도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면 유도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서는,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 및 사운드의 주기성의 높은 수준의 동기화가 요구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보다 높은 수준의 동기화를 위하여, 호흡과 연관되는 생체 징후(예를 들어,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흉곽의 이동, HR(heartrate) 등)의 분석에 따른 사운드 제공이 아닌, 사용자의 인지에 기반한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여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들숨/날숨 시작 시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로 동기화된 사운드들 각각의 제공이 요구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보통 들숨-홀드-날숨의 패턴으로 호흡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날숨의 정확한 시작 시점 판단에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호흡과 연관된 생체 데이터의 분석이 아닌, 사용자 인지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한 사운드를 제공함으로써, 생체 징후 및 사운드의 동기화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지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오히려 입면 유도에 도움을 줌에 따라서, 수면 유도 효과가 동반 상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100)가 생체 징후와 연관된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도, 생체 징후에 대하여 정확하게 동기화된 사운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액티비티를 검출하기 위한 간단한 센서(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압력 센서, 스위치 등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만을 구비하면 충분하며, EEG, ECG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은,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의 근육 상태의 긴장 및 이완 각각에 대응하는 액티비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온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이벤트)로 설정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오프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해제하는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 온 이벤트가 발생 시에는, 사용자 손가락 및 터치스크린 표면 사이의 압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손가락(또는, 그 부근의 근육)의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탭 오프 이벤트가 발생 시에는, 사용자 손가락(또는, 그 부근의 근육)에 야기되었던 긴장이 완화(즉, 근육의 이왼)될 수 있다. 근육의 이완은 수면 유도에 도움이 되지만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근육 이완을 요구하는 것보다는, 근육을 일시적으로 긴장시켰다가 이완을 요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근육의 이완 또한 편도체로부터 시작되는 각성 시스템의 활성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온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이벤트)로 설정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가 탭 오프 이벤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해제하는 이벤트)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센싱 데이터(또는, 처리 결과)에 기반하여 탭 온 이벤트 및 탭 오프 이벤트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탭 온 이벤트의 1회 발생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탭 온 이벤트의 기설정된 연속 횟수 이상의 발생(또는, 기설정된 기간 이상의 발생)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전자 장치(100)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유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탭 오프 이벤트)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탭 온 이벤트)의 중단 검출(또는, 검출 실패 확인, 검출 조건 충족 실패 확인, 미 발생 검출로 표현될 수도 있음)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한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2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또는, 청각적인 컨텐츠, 청각적인 자극, 또는 청각적인 피드백으로도 명명될 수 있음)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는, 사용자의 귀 내의 고막을 진동시킴 및/또는 신체 적어도 일부의 동조(entrainment)를 야기함에 따라서, 물리적인 피드백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제 1 사운드에 대하여서는 도 3b 내지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사운드 및/또는 제 2 사운의 제공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통한 제 1 사운드 및/또는 제 2 사운드의 출력 및/또는 전자 장치(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유선 연결 이어폰, 무선 연결 이어폰, 유선 연결 스피커, 무선 연결 스피커, 무선 연결 컨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으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한 데이터 송신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20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예를 들어 탭 온 이벤트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 1 오브젝트(302a) 및/또는 제 1 부분, 예를 들어 들숨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 2 오브젝트(302b)를, 컨텐츠로서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304)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발생할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현재 수행 모드를 나타내는 토글러(toggler)(301) 및/또는 프로그램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305)를 표현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수행 모드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제공하는 수동 모드 및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과 무관하게 지정된 주기에 따라 사운드를 제공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유지의 검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을 수행하는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되는 기간 중 일부가,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가 제공되는 기간 중 일부와 겹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컨텐츠의 제공 기간의 전체가 제 1 사운드의 제공 기간과 겹치거나, 또는 제 1 사운드의 제공 기간의 전체가 컨텐츠의 제공 기간과 겹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컨텐츠의 제공 기간 및 제 1 사운드의 제공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구현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의 누적에 따라서 제 1 사운드의 제공은 반복하되, 컨텐츠의 제공은 중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트리거로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되는 것과 같이 설명되었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되는 것과 같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예에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이 아닌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함을 트리거로 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1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이 아닌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함을 트리거로 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2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2 사운드가 제공되는 시점(또는, 제 2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1 사운드가 제공되는 시점(또는, 제 1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함을 트리거로 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2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함을 트리거로 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 시점 이후 제 1 사운드가 제공되는 중,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이 개시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207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 예를 들어 날숨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209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또는, 청각적인 컨텐츠 또는 청각적인 자극으로도 명명될 수 있음)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사운드에 대하여서는 도 3b 내지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211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예를 들어 탭 오프 이벤트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 3 오브젝트(306a) 및/또는 제 2 부분, 예를 들어 날숨의 수행을 요구하는 제 4 오브젝트(306b)를, 컨텐츠로서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304)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가 발생할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유지의 검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을 수행하는 요구하는 컨텐츠의 제공되는 기간 중 일부가, 예를 들어 제 2 사운드가 제공되는 기간 중 일부와 겹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컨텐츠의 제공 기간의 전체가 제 2 사운드의 제공 기간과 겹치거나, 또는 제 2 사운드의 제공 기간의 전체가 컨텐츠의 제공 기간과 겹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컨텐츠의 제공 기간 및 제 2 사운드의 제공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구현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의 누적에 따라서 제 2 사운드의 제공은 반복하되, 컨텐츠의 제공은 중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교번적인 검출의 누적 횟수가 N회(N은 1이상의 자연수)일 때까지는,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운드 및 제 2 사운드의 교번적인 제공과 함께, 양 컨텐츠들의 교번적인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교번적인 검출의 누적 횟수가 N회를 초과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운드 및 제 2 사운드를 교번적으로 제공하며, 컨텐츠의 교번적인 제공은 중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수행 및/또는 제 1 생체 징후의 부분들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들을 사운드들의 제공 이전에 제공한 이후, 그 제공을 중단할 수도 있다.
제 1 사운드 및 제 2 사운드의 제공은, 전자 장치(100)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외부 출력 장치(예: 유/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운드 및 제 2 사운드의 제공은, 사운드의 출력 및/또는 외부 출력 장치로의 출력을 위한 데이터 제공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운드(341,343) 및 제 2 사운드(342,344)를 교번적으로(alternately)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기간(P1) 동안의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발생(또는, 유지)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발생(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4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의 예시에서는, 제 1 사운드(341)는, 상수의 진폭(예: A1)과 단일 주파수(예: f1)을 가지는 사운드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제 1 사운드(341)는, 복수 개의 주파수들의 서브 사운드들의 합성 사운드일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사운드(341)와 적어도 일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사운드가 더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사운드(341)는, 악기음, 전자음, 미디음, 특수 효과음과 같은 음률로 표현되는 사운드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운드(341)는, 자연의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 인간의 호흡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타인의 목소리에 기반한 호흡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일 수도 있음)일 수도 있으며, 사운드(34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녹음되거나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획득된 사용자의 음성의 특징에 기반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목소리에 기반한 호흡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들숨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를 제공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날숨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의 액티비티의 검출(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다른 인물의 들숨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를 제공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다른 인물의 날숨 소리를 모사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인물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족, 지인일 수 있거나, 또는 유명인일 수도 있으며 제한은 없다. 사운드는 예를 들어 바이노럴 비트를 가지도록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이노럴 비트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입면 유도를 위한 주파수일 수도 있지만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와 함께 추가 사운드(예를 들어, 자연의 소리, 또는 백색 잡음일 수도 있으나 제한이 없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b의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중단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341)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지만,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중단을 위한 트리거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이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중단을 위한 트리거일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의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중단은,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341)의 출력의 즉각적인 중단을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 효과)의 적용을 의미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시점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중단 시점은 중단 트리거의 시점(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기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제 2 기간(P2) 동안의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발생(또는, 유지)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발생(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4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b의 예시에서는, 제 2 사운드(342)는, 상수의 진폭(예: A2)과 단일 주파수(예: f2)을 가지는 사운드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2 사운드(342)의 진폭이 변경되거나, 및/또는 그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파형에는 제한이 없다. 제 2 사운드(342)의 특성(진폭 및/또는 주파수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은, 제 1 사운드(341)의 특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중단에 기반하여 제 2 사운드(342)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지만, 제 2 사운드(342)의 제공 중단을 위한 트리거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도 3b에서, 제 1 사운드(341) 및 제 2 사운드(342)가 상이한 좌표축들 각각에서 표현되었지만,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전자 장치(100)는, 양 좌표축들에 표현되는 사운드들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한편, 도 3b에서의 합성(+) 표시는, 독립적인 사운드들(341,342,343,344)의 합성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나의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333)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41,343)을 하나의 플레이어로(또는, 하나의 음원 재생 기능에 기반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334)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42,344)를 다른 플레이어로(또는, 다른 음원 재생 기능에 기반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의 실행(또는, 복수 개의 음원 재생 기능 호출)에 기반하여, 복수의 액티비티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또는, 복수 기능 호출)에 기반하여, 일부 구간에서 양 액티비티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들 각각을 겹치도록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플레이어의 실행(또는, 하나의 음원 재생 기능의 호출)에 기반하여, 양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사운드들을 재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후 다시 반복적으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발생(또는, 유지)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43)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4)의 발생(또는, 유지)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44)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43)의 속성은, 이전 주기에서의 제 1 사용자(331)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41)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상이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4)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44)의 속성은, 이전 주기에서의 제 2 사용자(332)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42)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3b와 대조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운드(341)를 제공하는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의 종료(또는, 실패)가 확인됨에 기반하여,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341a)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341a)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폭이 감소하는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fade out)이라 명명될 수도 있음)일 수 있으나, 종료 효과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의 종료(또는, 실패)는, 종료 효과 적용의 트리거의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종료가 아닌,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341a)를 제공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는, 지정된 기간의 경과가 종료 효과 적용의 트리거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종료 효과를 위한 트리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종료 효과를 적용한 사운드들(341a,341b,341c,341d)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종료 효과가 적용된 사운드(예: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341a))의 적어도 일부 및 종료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사운드(예: 제 2 사운드(342))의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의 실행(또는, 복수 개의 음원 재생 기능 호출)에 기반하여, 복수의 액티비티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료 효과가 적용된 사운드(예: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341a))의 적어도 일부 및 종료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사운드(예: 제 2 사운드(342))의 적어도 일부가 양 플레이어들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를 통하여서는, 양 플레이어들에 의한 재생 결과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양 사운드의 합성에 대응하는 결과를 하나의 플레이어의 실행(또는, 하나의 기능 호출)에 기반하여 재생할 수도 있으며, 제한이 없다. 한편, 종료 효과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종료 효과가 적용된 부분은, 미리 저장된 미리 지정된 파형(종료의 효과를 위한 파형)의 사운드일 수 있거나, 또는 미리 저장된 사운드에 특정한 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으며, 그 표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3c에서는, 제 1 사용자 액비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이 제 1 사운드(341)의 제공 시작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종료 시점(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 시작 시점)이, 제 1 사운드(341)의 종료 효과 시작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상술한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의 비대칭적인 동기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느린 호흡이 유도될 수 있다. 시작 시점의 동기화에 따라서, 사용자의 뉴런, 뇌파, 및/또는 주의가 사운드에 동기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료 효과에도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점 호흡이 느려질 수 있다. 느린 호흡은,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하며, 부교감 신경의 활성화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느린 호흡은, 과분극(hyperpolarization)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느린 호흡에 따라, 편도체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편도체로부터 시작되는 각성 시스템의 활성화 가능성이 감소됨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51)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352)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b의 예시에서의 제 1 사운드(341)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진폭을 가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도 3d에서의 제 1 사운드(351)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진폭이 증가하는 제 1 부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진폭을 유지하는 제 2 부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진폭이 감소하는 제 3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운드들(351,352,353,354)의 제공이 사용자 액티비티(331,332,333,334)이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액티비티(331,332,333,334)의 검출 시점(또는, 확인되는 시점)과 사운드들(351,352,353,354)의 제공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즉, 시작 시점들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사운드들(351,352,353,354)의 제공 종료 시점은 사용자 액티비티(331,332,333,334)의 검출 종료 시점(또는, 검출 해제 시점)과 상이할(즉, 종료 시점들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는 사운드(351) 및 사운드(352)가 중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또는, 사운드들(351,352)의 합성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운드(351,352)의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는 사운드들(351,352)의 일부들이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작 시점들이 동기화된 사운드를 체험함으로써, 시스템 유도 방식이 아닌 자발적으로 생성한 사운드를 체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의 주파수에 대한 신경 동조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종료 시점들이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긴 호흡(느린 호흡)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긴 호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면 유도에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특히, 사운드들(351,352,353,354)의 마지막 부분인 제 3 부분의 진폭은 감소함에 따라서, 동조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긴 호흡의 유도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e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응하는 파형을 가지는 사운드(351a)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운드(351a)의 파형은, 예를 들어 진폭이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파형일 수 있으나, 그 파형에는 제한이 없다. 파형(또는, 엔벨롭(envelope))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예를 들어, attack, decay, sustain, release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은, 호흡 특성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어택(attack)은 사운드가 처음으로 생성되어 소리가 최대 레벨에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어택 시간 동안 소리는 급격하게 증가하며, 이는 사운드가 어떻게 시작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디케이(decay)는 어택 후에 소리가 최대 레벨에서 sustain 레벨로 내려가는 시간을 나타내고, 디케이 시간 동안 사운드는 감소하면서 Sustain 레벨에 도달할 수 있다. 서스테인(sustain)은 사운드의 지속 시간을 나타내고, 사운드가 유지되는 시간 동안 소리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릴리스(release)는 사용자가 키를 뗐을 때 소리가 서서히 사라지는 시간을 나타내고, 릴리스 시간 동안 소리는 천천히 감소하여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다. 호흡의 특성은, 예를 들어 호흡 시의 흉곽의 움직임, 호흡 기관(예를 들어, 코 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을 통한 공기 흐름(또는, 그 처리 결과로서 미분 또는 적분 값일 수 있지만 처리에는 제한이 없음)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성의 종류 및/또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사운드(351a)는, 예를 들어 지정된 재생 기간(예를 들어, 고정적인 값이거나, 누적 횟수에 따라서 변경 가능한 값일 수도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351a)의 재생 기간을 초과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가 검출된 경우에는, 나머지 부분(351b)에서는 사운드(351a)의 제공이 중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운드(351a)의 잔향(reverb)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나머지 부분(351b)에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나머지 부분(351b)에서 재생 가능한 사운드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유지 기간(P3)이 지정된 재생 기간보다 짧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파형의 사운드의 제 1 부분(353a)을 제공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이 중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의 중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부분(353b)에 대하여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 효과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은 기 설정될 수도 있으며,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이 경과한 이후인 제 3 부분(353c)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f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예를 들어,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61)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351)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예를 들어, 호흡의 날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62)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운드(35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사용자 액티비티(361)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61)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351)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들(362,363,364) 각각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운드들(352,353,354)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들(351,352,353,354) 각각이 지정된 시간의 경과에 기반하여 진폭이 감소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액티비티, 즉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62)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61)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351)의 진폭이 감소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는, 각 사운드들이 지정된 파형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액티비티들(361,362,363,364) 각각이 검출됨에 기반하여, 고정된 재생 길이를 가지는 사운드들(351,352,353,354) 각각이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g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38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8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85 동작에서,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8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g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입력 및/또는 제 1 생체 징후의 부분들에 대한 수행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폰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제공을 삼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검출 시점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제공을 삼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한 제 1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과,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한 제 2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하고, 이후에 다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수행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수행을 반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의 반복적인 검출에 따라서, 제 1 사운드의 제공 및 제 2 사운드의 제공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첫번째의 제 1 사운드(예를 들어, 도 3f에서의 351)의 제공시의 제 1 사운드의 속성(예를 들어, 볼륨, 파형, 주파수, 음색 등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과, 두 번째의 제 1 사운드의 제공 시의 제 1 사운드(예를 들어, 도 3f에서의 353)의 속성이 상이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의 제 1 사운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사운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 2 사운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사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운드 제공의 반복은, 동일한 음원의 반복적인 제공뿐만 아니라, 속성을 변경하면서 음원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상이한 음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사운드 제공의 반복은, 동일한 음원의 반복적인 제공뿐만 아니라, 속성을 변경하면서 음원을 제공하는 것, 및/또는 상이한 음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h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39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9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95 동작에서,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39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 제공을 개시하며, 및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료 효과가 제 1 사운드의 제공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제 2 사운드 및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가 적어도 일부 중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종료 효과는, 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과 같이 진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효과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다. 한편, 종료 효과의 적용은, 기지정된 파형에 대하여 종료 효과를 직접 적용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페이드 아웃과 같은 기지정된 파형을 제공하는 것도 의미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3i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누적 횟수에 따른 사운드 속성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i를 참조하면,”P”의 기간은,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대응하여 사운드가 1회 제공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징후(예를 들어, 호흡)의 제 1 부분(예를 들어, 들숨)에 대응하는 사운드(371) 및/또는 제 2 부분(예를 들어, 날숨)에 대응하는 사운드(372)의 진폭은, 사운드 제공 누적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1 부분(371a)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1 부분(372a)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2 부분(371b)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2 부분(372b)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되어도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3 부분(371c)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3 부분(372c)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4 부분(371d)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4 부분(372d)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5 부분(371e)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5 부분(372e)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되어도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6 부분(371f)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6 부분(372f)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7 부분(371g)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7 부분(372g)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8 부분(371h)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8 부분(372h)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되어도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371)의 제 9 부분(371i)의 진폭 및/또는 사운드(372)의 제 9 부분(372i)의 진폭은 누적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제 2 부분들(371b,372b)의 진폭은 제 5 부분들(371e,372e)의 진폭보다 클 수 있으며, 제 5 부분들(371e,372e)의 진폭은 제 8 부분들(371h,372h)의 진폭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청취하는 누적 횟수 경과에 따른 사운드의 진폭의 최댓값은 점차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부터 음원이 멀어지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어, 입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도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의 실시예는, 도 4b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 내지 도 4e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운드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4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4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431)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44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유지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441)의 제공을 유지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전자 장치(100)는, 40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의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가 탭 온 이벤트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 1 기간(P1) 동안 터치 입력 장치(121)를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다가, 제 2 기간(P2) 동안 터치를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해제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의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407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 검출의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44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운드의 제공의 트리거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일 수 있다. 한편, 도 4b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에 따라서 제 1 사운드(441)의 제공이 중단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433)가 검출됨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운드(443)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433)의 검출의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운드(444)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의 예시에서는, 제 1 사운드(441)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제 1 사운드(441)의 제공 종료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제 2 사운드(442)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제 2 사운드(442)의 제공 종료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와 같이, 제 1 생체 징후를 구성하는 부분이 2개이고, 각 부분의 인지와 연관된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이 2개인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부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가 호흡인 경우, 3개의 부분들, 예를 들어 들숨 부분, 홀드 부분, 및 날숨 부분이 하나의 호흡 주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홀드 부분은 숨을 들이마신 후 날숨을 홀드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4c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들(441,442,443,444)에 대응하는 종료 효과가 적용된 사운드들(441a,442a,443a,444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에 제 1 사운드(441)의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운드(442)의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가 적용된 제 1 사운드(441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433)의 검출 시작 시점에 제 1 사운드(443)의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433)의 검출 확인에 기반하여,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가 적용된 제 2 사운드(442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의 예시에서는, 제 1 사운드(441)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441a)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제 2 사운드(442)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종료 효과가 적용된 제 2 사운드(442a)의 제공 시작 시점 및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작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4d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들(331,333)의 검출 확인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들(351,353)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들(331,333)의 검출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운드들(352,354)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들(351,352,353,354)은 지정된 기간(고정 값이거나 또는 변경 가능할 수도 있음)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 액티비티(331,333)의 검출 실패 및/또는 사용자 액티비티(331,333)의 검출에 기반하여 종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d의 예시에서는, 제 1 사운드들(351,353) 의 제공 시작 시점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333)의 검출 시작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제 2 사운드들(352,354) 의 제공 시작 시점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333)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사운드들(351,352,353,354)의 제공 종료 시점은, 예를 들어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및/또는 검출 실패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e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응하는 파형을 가지는 사운드(351a)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351a)는, 예를 들어 지정된 재생 기간(예를 들어, 고정적인 값이거나, 또는 누적 횟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값일 수도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351a)의 재생 기간을 초과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가 검출된 경우에는, 나머지 부분(351b)에서는 사운드(351a)의 제공이 중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운드(351a)의 잔향(reverb)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나머지 부분(351b)에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나머지 부분(351b)에서 재생 가능한 사운드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기간(P1) 동안의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유지를 확인하고,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간(P2) 동안,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의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운드(352a)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운드(352a)는, 예를 들어 지정된 재생 기간(예를 들어, 고정적인 값이거나, 또는 누적 횟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값일 수도 있음)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검출되지 않는 제 2 기간(P2)이 제 2 사운드(352a)의 재생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부분(352b)에서는 제 2 사운드(352a)의 제공이 중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 2 사운드(352a)의 잔향(reverb)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나머지 부분(352b)에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나머지 부분(352b)에서 재생 가능한 사운드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유지 기간(P3)이 지정된 재생 기간보다 짧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파형의 사운드의 제 1 부분(353a)을 제공 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이 중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의 중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부분(353b)에 대하여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 효과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은 기 설정될 수도 있으며,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이 경과한 이후인 제 3 부분(353c)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 실패의 확인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운드의 제 1 부분(354a)의 제공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검출되지 않는 기간(P4)이, 제 2 사운드의 재생 기간 보다 짧을 수 있다. P4의 기간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5)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5)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부분(354b)에 대하여 종료 효과(예를 들어, 페이드 아웃 효과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은 기 설정될 수도 있으며, 종료 효과의 적용 기간이 경과한 이후인 제 3 부분(354c)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후,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5)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운드(355a)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와 연관된 기간(P1)에 따라서, 제 1 사운드(351a), 즉 저장된 파형의 전체가 재생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와 연관된 기간(P3)에 따라서, 제 1 사운드의 제 1 부분(353a)이 제공되며, 제 2 부분(353b)에 대하여 종료 효과가 적용되어 제공되고, 제 3 부분(353c)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액티비티에 따라서 저장된 파형의 전체가 제공되거나, 또는 일부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의 “제 1 사운드의 제공”은, 제 1 사운드로서 저장된 파형(또는, 음원)의 전체 제공을 의미할 수도 있거나, 또는 파형(또는, 음원)의 일부의 제공을 의미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제 2 사운드의 제공”은, 제 2 사운드로서 저장된 파형(또는, 음원)의 전체 제공을 의미할 수도 있거나, 또는 파형(또는, 음원)의 일부의 제공을 의미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의 실시예는 도 5b 내지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b 내지 5d는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501 동작에서, 도 5b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04)(예를 들어, 탭 온 이벤트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5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04)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50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04) 검출에 기반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수행 및/또는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되는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요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그래픽 오브젝트(302),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04)의 검출 기간에 대응하여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512,513)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04)의 검출 및/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1 시점(t1)에서는 제 1 속성의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를 제공하고, 제 2 시점(t2)에서는 제 2 속성의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2)를 제공하고, 제 3 시점(t3)에서는 제 3 속성의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예시에서는,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512,513)의 속성 중 크기(또는, 면적, 및/또는 형상)가 변경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컬러, 투명도, 및/또는 채도가 속성으로서 변경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507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예시에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탭 오프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503)의 해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 확인으로 치환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509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510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부분의 수행 및/또는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요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그래픽 오브젝트(306), 및 /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에 대응하여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515,516)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및/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제 4 시점(t4)에서는 제 3 속성의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를 제공하고, 제 5 시점(t5)에서는 제 2 속성의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5)를 제공하고, 제 6 시점(t6)에서는 제 1 속성의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6)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예시에서는,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515,516)의 속성 중 크기(또는, 면적, 및/또는 형상)가 변경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컬러, 투명도, 및/또는 채도가 속성으로서 변경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5b 및 5c에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512,513)의 속성 변경의 경향(예를 들어, 크기의 증가)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515,516)의 속성 변경의 경향(예를 들어, 크기의 감소)과 반대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은 없다. 상술한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가 들숨을 수행하는 도중,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및/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512,513)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날숨을 수행하는 도중,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및/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515,516)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그래픽 오브젝트(511,512,513) 및 제 4 그래픽 오브젝트(514,515,516)의 속성 변경(또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주기성(예를 들어, 크기의 변경의 주기성)이 사운드의 주기성 및/또는 사용자의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한편, 그래픽 오브젝트의 속성 변경의 체험에 따라 사용자의 주기성에 대한 동조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뇌 동조가 가능할 수 있어, 입면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도 있다(참조: Respiration modulates oscillatory neural network activity at rest, Daniel S. Kluger, Joachim Gross). 아울러, 그래픽 오브젝트의 속성 변경의 체험에 따라, 제 1 생체 징후의 지연 수행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들숨 과정에서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 증가를 체험함에 기반하여, 들숨 수행을 좀 더 오래 수행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의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입력 및/또는 유지에 기반하여 속성이 변경되는 오브젝트(511)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레퍼런스 오브젝트(519)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레퍼런스 오브젝트(519)는, 세션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과거 시점에서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최대 크기(또는, 제 2 사용자 오브젝트 검출 시점의 크기) 중 최댓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과거 시점 각각에서 제공되는 오브젝트(511)의 적어도 하나의 크기의 최대 크기(또는, 제 2 사용자 오브젝트 검출 시점의 크기)은 상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크기의 최대 크기 중 최댓값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오브젝트(519)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퍼런스 오브젝트(519)의 크기를 자신의 들숨 길이(또는, 호흡의 깊이, 또는 전체 호흡의 길이로 표현될 수도 있음)의 최대 기록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해당 최대 기록을 경신하기를 의욕할 수 있으며, 자발적인 들숨 길이(또는, 호흡의 깊이, 또는 전체 호흡의 길이)의 증가 가능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레퍼런스 오브젝트(519)는, 입면 유도에 효과를 가지는 들숨 길이에 대응되는 값(고정된 값 또는 변경 가능할 수도 있음)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레퍼런스 오브젝트(519)의 속성 및/또는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의 실시예는, 도 6b 내지 6h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b 내지 6h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액티비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6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고 사용자의 근육 상태의 수축과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631)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터치하는 탭 온 이벤트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로서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탭 온 이벤트가 발생하기 위하여서는, 손가락(631) 및 전자 장치(100) 사이의 터치 및/또는 압력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가락(631)의 부분(632)이 긴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7 동작에서,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고 사용자의 근육 상태의 이완과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631)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는 탭 오프 이벤트가,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로서 검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631)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됨에 기반하여, 손가락(631)의 부분(632)의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09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11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요구하는 컨텐츠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의하여,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긴장 및 완화될 수 있다. 신체 상태의 이완은,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부교감 신경 활성화에 따른 수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자에게 신체를 이완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신체를 지속적으로 이완시키는 것을 어려워할 가능성이 있다. 오히려, 사용자에게 신체를 가볍게 긴장하였다가 이완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신체를 지속적으로 이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체의 적어도 일부의 긴장 및 이완의 주기가, 사운드의 제공 주기 및/또는 컨텐츠의 제공 주기와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동조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더 증대될 수도 있다.
도 6c의 예시에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손가락(631)의 일부분(631a)을 제 1 방향(634)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손가락(631)에 의한 터치 입력 장치(121) 상의 터치 위치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함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터치 위치의 이동 방향(또는, 변경 방향)을 제 1 방향(632)으로서 확인할 수 있으나, 그 이동 방향(또는, 변경 방향)의 확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제 1 방향(634)의 입력을 위하여 손가락(631)의 일 부분(631a)에 긴장이 유도될 수 있다. 도 6c의 예시에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손가락(631)의 일부분(631a)을 제 2 방향(633)(예를 들어, 제 1 방향(634)에 대한 반대 방향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손가락(631)에 의한 터치 입력 장치(121) 상의 터치 위치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함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터치 위치의 이동 방향(또는, 변경 방향)을 제 2 방향(633)으로서 확인할 수 있으나, 그 이동 방향(또는, 변경 방향)의 확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제 2 방향(633)의 입력을 위하여 손가락(631)의 일 부분(631a)에 유도되었던 긴장이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방향 전환에 기반하여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방향(634)으로의 터치 위치의 변경, 터치 위치의 정지(또는, 유지), 및 제 2 방향(633)으로의 터치 위치의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터치 위치의 정지 및/또는 제 2 방향(633)으로의 터치 위치 변경의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방향(633)으로의 터치 위치의 변경, 터치 위치의 정지(또는, 유지), 및 제 1 방향(632)으로의 터치 위치의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터치 위치의 정지 및/또는 제 1 방향(634)으로의 터치 위치 변경의 확인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d의 예시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의 주먹을 쥐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예를 들어 링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d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주먹을 강한 정도로 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주먹을 강한 정도로 쥘 필요는 없으며,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의 착용 부위의 근육의 긴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라면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EMG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EMG 센서는, 피부에 접촉되는 근육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기반하여,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를 측정할 수 있거나, 및/또는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링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191)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무선(예: BLE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으로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191)로부터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의 증가에 기반하여(또는, 음의 피크를 확인함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개시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의 주먹을 펴는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의 착용 부위의 근육의 긴장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동작이라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로서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육의 긴장/이완 정도의 감소에 기반하여(또는, 양의 피크를 확인함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e의 예시에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크기의 포터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가 포터블 장치에 압력을 가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포터블 장치에 가하였던 압력의 해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포터블 장치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쥐었다가, 포터블 장치를 파지한 채로 압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장치의 외피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 가능한 복수 개의 서브 외피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하는 동안, 포터블 장치의 외형이 변경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사용자가 포터블 장치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의 근육이 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터블 장치에 가하였던 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의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포터블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f의 예시에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예를 들어 인형(또는, 베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인형(또는, 베개)의 외피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푹신한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침대의 일부인(또는, 침대에 포함되도록) 패드와 같은 하우징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를 안는(hug)(또는,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압력을 부가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에 가하였던 압력의 해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를 안았다가 놓아줌으로써,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체의 적어도 일부의 근육이 긴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에 가하였던 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체의 적어도 일부의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g의 예시에서,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예를 들어 링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 및/또는 터치 위치의 이동과 연관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g의 예시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예를 들어 제 1 방향(671)으로의 터치 이동(또는, 드래그 또는 플릭이라 명명할 수도 있음)일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예를 들어 제 2 방향(672)으로의 터치 이동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도 6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상이한 방향들(671,672)로의 이동은, 손가락의 근육 일부의 긴장 및 이완을 야기할 수 있다.
도 6h의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사용자의 눈 부위를 가리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전자 장치(191)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자세(orientation)의 변경(또는, 기울어진 정도의 변경으로 명명될 수도 있음)에 기반하여, 사용자 액티비티들 중 적어도 일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근육의 긴장 및 이완을 위한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이 요구됨에 따라서, 사용자 근육의 적어도 일부의 긴장 및 이완에 따라 부교감 신경의 활성도가 향상될 수 있어, 수면 유도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체의 적어도 일부의 긴장 및 이완의 주기가, 사운드의 제공 주기 및/또는 컨텐츠의 제공 주기와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동조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수면 유도 효과가 더 증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액티비티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사용자 액티비티는 생체 징후(예를 들어, 호흡)과 연관된 액티비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호흡을 수행함에 따라 변경되는 측정 가능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흉곽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 또는 들숨/날숨 시의 코에서의 에어플로우 등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에 기반한 사운드가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7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을 수행 및/또는 인지하도록 하는 제 1 텍스트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유도하도록 하는 제 2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및/또는 서버(101)는, 사용자의 계정과 연관된 접속 절차 및/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절차 및/또는 인증 절차가 완료된 이후,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 1 텍스트 및/또는 제 2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됨에 기반하여(703 동작-예), 전자 장치(100)는, 70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수행, 제 1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1 컨텐츠와, 및/또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컨텐츠 및/또는 제 1 사운드의 제공을 시작한 이후, 전자 장치(100)는, 70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707 동작-아니오), 전자 장치(100)는, 제 1 컨텐츠 및/또는 제 1 사운드의 제공을 유지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됨에 기반하여(707 동작-예), 전자 장치(100)는, 709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을 수행 및/또는 인지하도록 하는 제 3 텍스트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유도하도록 하는 제 4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11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수행, 제 2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2 컨텐츠와,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제 2 컨텐츠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 시작한 이후, 다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721 동작에서,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23 동작에서,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721 동작 및 723 동작의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 장치(100)는, 특정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을 바로 확인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이 제 1 타입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72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수행, 제 1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1 컨텐츠와, 및/또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운드는, 제 1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이 제 2 타입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727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수행, 제 2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2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2 컨텐츠와,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사운드는, 제 2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73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을 수행 및/또는 인지하도록 하는 제 1 텍스트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유도하도록 하는 제 2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3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이 확인됨에 기반하여(733 동작-예), 전자 장치(100)는, 73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수행, 제 1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1 컨텐츠와, 및/또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컨텐츠 및/또는 제 1 사운드의 제공을 시작한 이후, 전자 장치(100)는, 737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이 유지되는 경우(737 동작-아니오), 전자 장치(100)는, 제 1 컨텐츠 및/또는 제 1 사운드의 제공을 유지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가 확인됨에 기반하여(737 동작-예), 전자 장치(100)는, 739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을 수행 및/또는 인지하도록 하는 제 3 텍스트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해제를 유도하도록 하는 제 4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41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수행, 제 2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해제와 연관된 제 2 컨텐츠와,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제 2 컨텐츠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 시작한 이후, 다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가 확인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753 동작에서,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과 연관된 이벤트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이벤트의 타입이 사용자 액티비티 발생 이벤트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753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수행, 제 1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과 연관된 제 1 컨텐츠와, 및/또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운드는, 제 1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이벤트의 타입이 사용자 액티비티 중단 이벤트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75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수행, 제 2 부분의 인지, 및/또는 제 1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해제와 연관된 제 2 컨텐츠와, 및/또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사운드는, 제 2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의 실시예는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8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를 인지 및/또는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브젝트 및/또는 생체 징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인지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숨을 들이마시면서”의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인 들숨을 유도하기 위한 제 1 서브 오브젝트(8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화면을 누르고”의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유도하기 위한 제 2 서브 오브젝트(8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숨은 내쉬면서”의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인 날숨을 유도하기 위한 제 3 서브 오브젝트(8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손을 떼세요”의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에 대한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을 유도하기 위한 제 4 서브 오브젝트(8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오브젝트(811) 및 제 3 서브 오브젝트(813)는, 예를 들어 도 8a에서의 제 1 생체 징후를 인지 및/또는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오브젝트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서브 오브젝트(812) 및 제 4 서브 오브젝트(814)는, 예를 들어 도 8a에서의 생체 징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대한 인지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기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오브젝트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확인되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 및/또는 제공 중인 사운드들의 타입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의 제공을 유지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는,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인되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타입 및/또는 제공 중인 사운드들의 타입에 따라, 화면으로서 표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한편, 도 8a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 오브젝트 및/또는 제 2 오브젝트의 시각적인(visually) 표현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제 1 오브젝트 및/또는 제 2 오브젝트의 표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8b에서 설명된 서브 오브젝트(811,812,813,814)의 시각적인 표현을 대체하여 및/또는 추가적으로 서브 오브젝트(811,812,813,814)에 대응하는 음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a 이외의 실시예에서도, 텍스트(또는, 오브젝트 및/또는 컨텐츠)에 대한 시각적인 표현은 청각적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시각적인 표현과 함께 청각적인 표현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831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 수행을 요구하는 제 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833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컨텐츠 제공이 시작된 시점 이후에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으나, 그 검출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835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사운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83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또는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 수행을 요구하는 제 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839 동작에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컨텐츠 제공이 시작된 시점 이후에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으나, 그 검출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841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사운드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901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903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과 연관되어 사용자로부터 의도적이 아닌 자연적으로(naturally)(또는, 비 의도적으로(non-intentionally) 발현되는 특징과 연관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가 호흡인 경우에는, 들숨 시에는 흉곽이 상승할 수 있으며, 날숨 시에는 흉곽이 하강할 수 있다. 흉곽의 상승 및 하강 운동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호흡의 주기성(예를 들어, 들숨의 기간, 날숨의 기간, 및/또는 전체 호흡 기간)이 확인될 수 있다. 한편, 흉곽 운동과 연관된 데이터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코/입을 통한 에어 플로우(air flow)와 연관된 데이터, ECG 센싱 데이터(예를 들어, RR 간격의 변경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대체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이용되어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이 확인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90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의 시작 시점이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시작 시점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종료 시점(또는, 제 2 부분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음)에 제 1 사운드의 종료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의 종료 시점(또는, 제 2 부분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음)에 제 1 사운드의 종료 효과 적용 시점(또는, 종료와 연관된 사운드 제공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운드의 시작 시점이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시작 시점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종료 시점(또는, 제 1 부분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음)에 제 2 사운드의 종료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의 종료 시점(또는, 제 1 부분의 시작 시점일 수도 있음)에 제 2 사운드의 종료 효과 적용 시점(또는, 종료와 연관된 사운드 제공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방식이 아닌, 생체 데이터 분석 방식에 기반하여서도 생제 징후와 동기화된 사운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은, 생체 징후 주기성을 판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 확인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의 실시예는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서브 사운드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001 동작에서, 사용자의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과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003 동작에서, 제 1 부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사운드는, 제 1 서브 사운드(1021), 제 2 서브 사운드(1022) 및 제 3 서브 사운드(1023)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합성 결과일 수 있다). 제 1 서브 사운드(1021), 제 2 서브 사운드(1022) 및 제 3 서브 사운드(1023) 각각은 f1-1, f1-2, f1-3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사운드(1021), 제 2 서브 사운드(1022) 및 제 3 서브 사운드(1023)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전자 장치(100)는, 1005 동작에서, 제 1 부분 이후의 제 2 부분과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007 동작에서, 제 2 부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제 1 사운드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와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제 2 사운드는, 제 4 서브 사운드(1031), 제 5 서브 사운드(1032) 및 제 6 서브 사운드(1033)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합성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서브 사운드(1031), 제 5 서브 사운드(1032) 및 제 6 서브 사운드(1033)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제 4 서브 사운드(1031), 제 5 서브 사운드(1032) 및 제 6 서브 사운드(1033) 각각은 f2-1, f2-2, f2-3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1-2 및 f2-2는 M:N의 정수비(예를 들어, 2:3 또는 3:4)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생체 징후가 호흡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들숨 시와 날숨 시에 상이한 주파수에 기반한 사운드를 체험할 수 있어, 주기성을 자각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서 설명된 복수의 서브 사운드의 합성 결과가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사운드로서 제공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복수의 서브 사운드의 합성 결과가 아닌 단일 사운드가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의 실시예는 도 11b 내지 11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b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사운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c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d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진폭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1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1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도 11b에서와 같은 복수 개의 제 1 사운드들(1111a,1111b,1112a,1112b,1113a,1113b)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1111a) 및 사운드(1111b)는, 스테레오 환경(또는, 이어폰 환경)을 위한 좌측 귀 및 우측 귀를 위한 사운드들일 수 있다. 도 11b에서의 a의 notation은 좌측 귀를 위한 사운드이며, b의 notation은 우측 귀를 위한 사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서와 같이, 사운드(1111a,1111b)는 f3-2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운드(1112a,1112b)는 f3-1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운드(1113a,1113b)는 f3-3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10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 중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10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도 11b에서와 같은 복수 개의 제 2 사운드들(1114a,1114b,1115a,1115b,1116a,1116b)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에서와 같이, 사운드(1114a,1114b)는 f4-2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운드(1115a,1115b)는 f4-1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운드(1116a,1116b)는 f4-3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사운드(1111)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1021,1022,1023)을 포함하고(또는, 합성 결과이고), 사운드(1114)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1031,1032,1033)을 포함할(또는, 합성 결과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사운드(1112,1113,1115,1116)는 단일 주파수를 가지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예시적인 것이다. 한편, 도 11b에서와 같이, 사운드(1112a,1112b)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112ab,1112bb,1113ab,1113bb,1114a,1114b,1115ab,1115bb)에는 특수 효과(예를 들어, 노이즈 효과, 리플 효과라 명명할 수도 있지만 제한이 없음) 적용 파형이 포함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도 11d에서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1111,1112,1113) 각각의, 누적 횟수에 따른 진폭 변경이 개시된다. 도 3i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의 기간은,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대응하여 사운드가 1회 제공되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운드(1111)의 진폭은 복수 개의 상승 부분(1121a,1122a,1123a), 복수 개의 유지 부분(1121b,1122b,1123b), 및 복수 개의 감소 부분(1121c,1122c,1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1112)의 진폭은 복수 개의 상승 부분(1131a,1132a,1133a), 복수 개의 유지 부분(1131b,1132b,1133b), 및 복수 개의 감소 부분(1131c,1132c,1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1113)의 진폭은 복수 개의 상승 부분(1141a,1142a,1143a), 복수 개의 유지 부분(1141b,1142b,1143b), 및 복수 개의 감소 부분(1141c,1142c,114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d에서와 같이, 사운드들(1111,1112,1113) 각각의 사운드 별 진폭의 증가, 유지, 및 감소 시점이 상이할 수 있어, 제공 기간 별로 사운드들(1111,1112,1113)의 진폭 조합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의 제공 기간에서는 사운드(1111)가 제공되되, 사운드(1112,1113)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2의 제공 기간에서는 사운드들(1111,1112)은 제공되되 사운드(1113)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운드들(1111,1112)의 T2 시점에 대응하는 진폭의 조합에 따른 합성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3의 제공 기간에서는 사운드들(1111,1112,1113)의 T3 시점에 대응하는 진폭의 조합에 따른 합성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제공 기간(P)마다, 상이한 합성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흥미를 잃지 않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에 기반한 치료제의 유용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중요 지표는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 지속성이다.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의 흥미를 잃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저하되며, 사용 지속성의 증대를 위하여 고정적인 사운드가 아닌 제공 기간(P) 및/또는 세션마다 컨텐츠의 변경이 요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공 기간(P)의 변경 시마다, 사운드들(1111,1112,1113)의 진폭의 조합 변경에 기반하여 상이한 합성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들(1111,1112,1113)의 진폭의 변경은 예시적인 것이며, 변경 가능한 사운드의 속성(예를 들어, 주파수, 음색 등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의 실시예는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201 동작에서, 도 12b에서와 같이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0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 검출과 연관된 제 1 기간(P1)보다 크게 설정된 제 1 연장 기간 동안 제 1 사운드(351)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시점 및 제 1 사운드(351)의 제공 시점은 실질적으로 동기화하되,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 및 제 1 사운드(351)의 제공 종료 시점은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서의 비대칭적인 동기화의 구현 방식들에 대하여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1205 동작에서, 호흡의 날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0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과 연관된 제 2 기간(P2)보다 크게 설정된 제 2 연장 기간 동안 제 2 사운드(352)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 시점 및 제 2 사운드(352)의 제공 시점은 실질적으로 동기화하되,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 및 제 2 사운드(352)의 제공 종료 시점은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서의 비대칭적인 동기화의 구현 방식들에 대하여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제 1 겹침 기간(overlapping period)(1211) 동안, 제 1 사운드(331)의 일부 및 제 2 사운드(332)의 일부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사운드(331)의 제공을 위한 플레이어(또는, 재생 기능) 및 제 2 사운드(332)의 제공을 위한 플레이어(또는, 재생 기능)가 독립적으로 실행됨에 따라서, 제 1 사운드(331)의 일부 및 제 2 사운드(332)의 일부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나, 동시 재생의 구현(또는, 합성 사운드의 표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사용자 액티비티(331,332)의 검출 기간이 지정된 임계 기간 이상인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는 임계 기간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임계 기간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면에 최적화된 것으로 판단된(또는, 설정된) 기간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액티비티(331,332)의 검출 시점 및 사운드(351,352)의 재생 시작 시점이 실질적으로 동기화 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호흡에 기반하여 사운드가 재생되는 것으로 인식함에 따라 사용자의 호흡에 대한 인지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액티비티(331,332)의 종료 시점 및 사운드(351,352)의 재생 종료 시점이 동기화되지 않음에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긴 호흡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3)의 검출에 기반한 제 1 사운드(353)의 제공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4)의 검출에 기반한 제 2 사운드(354)의 제공에 대하여서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에 기반한 제 1 사운드(351)의 제공 및/또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에 기반한 제 2 사운드(352)의 제공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221 동작에서,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2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과 연관된 제 1 기간 내의 상이한 시점들 각각에서 개시되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1,1112,1113))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1,1112,1113))의 제공 시작 시점들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1,1112,1113))의 피크 시점(또는, 진폭 최대 시점)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서브 사운드들에 대응하여 좀 더 긴 들숨을 수행하도록 사용자를 야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25 동작에서, 호흡의 날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2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과 연관된 제 2 기간 내의 상이한 시점들 각각에서 개시되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4,1115,1116))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4,1115,1116))의 제공 시작 시점들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서브 사운드들(예를 들어, 도 11b에서의 서브 사운드들(1114,1115,1116))의 피크 시점(또는, 진폭 최대 시점)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서브 사운드들에 대응하여 좀 더 긴 날숨을 수행하도록 사용자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d의 실시예는 도 12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231 동작에서, 예를 들어 도 12e에서와 같은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3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에 대하여 설정된 제 1 최소 기간(M1) 이상인 제 1 기간 동안 제 1 사운드(351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e에서와 같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331)의 검출 기간(또는, 유지 기간) (P1)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제 1 최소 기간(M1) 이상의 제 1 사운드(351a)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나치게 짧은 기간 동안 들숨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 1 최소 기간(M1) 이상의 제 1 사운드(351a)가 제공됨에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긴 들숨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35 동작에서, 호흡의 날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3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에 대하여 설정된 제 2 최소 기간(M2) 이상인 제 1 기간 동안 제 1 사운드(352a)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e에서와 같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332)의 검출 기간(또는, 유지 기간) (P2)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제 2 최소 기간(M2) 이상의 제 2 사운드(352a)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지나치게 짧은 기간 동안 들숨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 2 최소 기간(M2) 이상의 제 2 사운드(352a)가 제공됨에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긴 날숨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251 동작에서,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53 동작에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잔향(reverberation)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잔향 효과가 적용된 제 1 사운드는,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또는, 유지 기간) 보다 긴 기간 동안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길게 들숨을 수행할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55 동작에서, 호흡의 날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25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잔향 효과가 적용된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잔향 효과가 적용된 제 2 사운드는,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또는, 유지 기간) 보다 긴 기간 동안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길게 날숨을 수행할 것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잔향 효과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원본 사운드에 비하여 좀 더 늦게(lagging) 재생되는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효과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301 동작에서, 제 1 기간 동안 호흡의 들숨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303 동작에서, 사용자의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기간 동안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 중 적어도 일부의 개시 시점은, 제 1 사용자의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동기화될 수 있으나, 동기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11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305 동작에서, 제 2 기간 동안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307 동작에서, 제 2 기간 동안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의 적어도 일부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와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 2 서브 사운드를 포함하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 2 서브 사운드 중 적어도 일부의 개시 시점은, 제 2 사용자의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동기화될 수 있으나, 동기화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도 11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제 2 서브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들 각각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제 2 서브 사운드들 각각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 1 서브 사운드들 중 일부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가, 복수 개의 제 2 서브 사운드들 중 일부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와 상이할 수 있다. 속성은, 예를 들어, 주파수, 진폭, 개시 시점, 제공 기간 및/또는 음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속성에는 제한이 없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1401 동작에서, 제 1 기간 동안,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403 동작에서, 제 1 기간과 실질적으로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생체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생체 센싱 데이터는, 예를 들어 RR(respiratory rate), HR(heartrate), HRV, 뇌파, 스트레스 정도, 숨소리에 대응하는 사운드, 및/또는 근육 긴장도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1405 동작에서, 사용자의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기간 동안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407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생체 센싱 데이터에 적어도 기반하여 제 2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409 동작에서, 제 2 기간 동안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411 동작에서, 제 2 기간 동안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는 제 2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제 2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 2 생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음 제 1 사운드의 속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바로 직전 사운드 제공 기간 동안 획득된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운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일정 기간 동안 확인된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운드의 속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기간에는 제한이 없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사운드의 속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한 사운드의 속성 결정(또는, 변경)은, 적어도 하나의 규칙 기반(rule base)으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의 추론(inference)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LSTM 모델(1420)을 실행할 수 있다. LSTM(1420)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온-디바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 LSTM 모델(1420)의 추론 결과를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LSTM 모델(1420)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시점들(t(0), t(-1),t(t-2),…,t(t-n))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생세 센싱 데이터(PD(t=t(0)), PD(t=t(-1)), PD(t=t(t-2)),…, PD(t=t(t-n))를 입력으로서 수신하여, t(1) 시점에서의 사운드의 속성(또는, 속성 변경 정도)를 출력으로서 제공하도록 트레이닝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생세 센싱 데이터(PD(t=t(0)), PD(t=t(-1)), PD(t=t(t-2)),…, PD(t=t(t-n))(1421)를 입력으로서 LSTM 모델(1420)로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LSTM 모델(1420)으로부터 제공되는 추론 결과인 사운드의 속성(또는, 속성 변경 정도)(1422)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속성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속성 변경 정도로 사운드의 속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LSTM 모델(1420)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인공지능 모델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도 14b에서는, LSTM 모델(1420)(또는, 다른 모델)에, 복수 개의 시점들(t(0), t(-1),t(t-2),…,t(t-n))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생세 센싱 데이터(PD(t=t(0)), PD(t=t(-1)), PD(t=t(t-2)),…, PD(t=t(t-n))가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사운드 속성(또는, 속성 변경 정도)의 추론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에는, 단일 시점에서의 생체 센싱 데이터가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속성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강화 학습과 연관된 에이전트(agent)(1440)을 실행할 수 있다. 에이전트(144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온-디바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 에이전트(1440)의 추론 결과를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시점(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점들일 수 있음)에서의 상태(state)(1430)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1430)는, 예를 들어 RR(respiratory rate), HR(heartrate), HRV, 뇌파, 스트레스 정도, 및/또는 근육 긴장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태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개수 및/또는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태(1430)는, 에이전트(1440)에 의하여 관측(observation)될 수 있다. 에이전트(1440)는, 정책(policy)(1441)에 기반하여, 제 1 시점에서의 상태(1430)에 대응하는 액션(ac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액션은, 예를 들어 사운드의 속성(또는, 속성의 변경 정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확인된 추론 결과인 액션에 기반하여, 제 1 시점 이후의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서 제공되는 사운드의 속성을 결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에이전트(1440)는, 강화 학습 알고리즘(1442)에 기반하여 정책(1441)을 조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화 학습 알고리즘(1442)은, 제 1 시점에서의 상태(1430) 및/또는 보상(reward)에 기반하여, 정책(1441)을 조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보상은, 예를 들어 입면 유도에 적합한 레퍼런스 및 제 1 시점에서의 상태(1430)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보상의 설정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자동 모드 및/또는 수동 모드에서의 사운드의 속성의 결정은 예시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속성이 결정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501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드는, 서비스 제공 개시 시에 제공되는 디폴트 모드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의 만족을 확임함에 기반하여, 사용 모드를 제 1 모드로서 확인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0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와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 각각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운드의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이 요구됨에 따라, 제 1 모드가 수동 모드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05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2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의 만족을 확임함에 기반하여, 사용 모드를 제 2 모드로서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구현에서는, 제 2 모드가 디폴트 모드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 중 적어도 일부의 미 검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교번적인 검출의 실패 확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롱-프레스, 더블 탭, 드래그 제스처, 플릭, 지정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일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음)의 검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하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제 1 모드에서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에 기반하여 확인되는 들숨 및/또는 날숨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적어도 하나의 임계 길이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임계 길이는, 예를 들어 입면에 효과가 있는 길이로서 설정되거나, 또는 입면에 효과가 있는 길이에 기반하여 설정된 값(예를 들어, A를 곱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연속되는 호흡의 길이의 차이가 제 1 임계 차이 이하인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연속되는 호흡의 길이의 차이가 제 2 임계 차이 이상인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조건은, 제 1 모드 진입 후의 지정된 기간 경과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변경됨에 기반하여, 모드 변경과 연관된 컨텐츠(예를 들어, 시각적 컨텐츠, 청각적 컨텐츠, 및/또는 촉각적 컨텐츠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07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로부터 독립적으로,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과는 무관하게,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운드의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이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제 2 모드가 자동 모드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제 1 모드에 기반한 사용자 호흡 길이의 연장 및/또는 동조 효과가 구현된 이후, 제 2 모드에 기반한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과 무관하게 사운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제 1 모드에서 입면한 이후에도, 제 2 모드에 기반한 호흡 유도를 위한 사운드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 1 모드에 기반한 사운드들을 체험하다가 입면 직전에서의 사용자 액티비티들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사운드 제공이 중단된다면, 사용자는 사운드가 갑자기 중단됨을 인지하여 각성도가 증가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교번적인 수행의 중단을 제 2 모드로의 진입 조건으로서 확인함에 따라, 사운드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 중단에 기반한 사용자 각성도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511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1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모드에서는, 사운드들의 제공을 위하여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이 요구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15 동작에서, 제 1 모드 중 확인된 사용자 액티비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17 동작에서,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로의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검출되기 이전, 제 1 모드에서 확인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또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의 제공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로의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검출되기 이전의 N회(N은 1 이상의 자연수) 동안의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 각각에 기반하여,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N회는, 예를 들어 이벤트 검출 직전의 N회일 수 있으나,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초기 N회, 또는 중간 N회일 수도 있고, 또는 제 1 모드 세션 전체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N 회 동안의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 각각의 평균 각각을,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으로서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모드 중 확인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기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정된 규칙에 적용함으로써,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으로서 확인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에서, 1519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로부터 독립적으로, 확인된 인가 기간들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521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2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25 동작에서, 제 1 모드 중 확인된 사용자 액티비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모드에서의 복수 개의 오디오 사운드들의 인가 기간들 각각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27 동작에서,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 변경을 위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에 따라서 사용 모드가 제 2 모드로 변경됨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는, 1529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로부터 독립적으로, 확인된 인가 기간들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31 동작에서, 제 2 모드 중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드에서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조정 규칙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입면에 적합한 최적 기간으로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이 전이(transfer)되도록 점진적으로(또는, 단계적으로),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직전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에 지정된 연산 규칙에 기반하여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에서의 N 번째의 사운드 인가 기간에 상수(constant)를 곱함 또는 더함으로써, N+1 번째의 사운드 인가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인가 기간이 지정된 임계 기간이 될 때까지 상수를 곱함 또는 더함으로써 사운드 인가 기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모드에서의 N 번째 사운드 인가 기간과 임계 기간 사이의 관계에 기반한 값(예를 들어, N번째 사운드 인가 기간 / 임계 기간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또는, 해당 값에 추가적인 연산을 수행한 값)을, N 번째 사운드 인가 기간에 곱함으로써, N+1 번째의 사운드 인가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인가 기간이 지정된 임계 기간이 될 때까지 연산 결과에 따라 확인된 값을 곱함으로써 사운드 인가 기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1 모드에서 수행되었던 들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 및/또는 날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에 기반하여, 1531 동작에서의 사운드 인가 기간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조정 규칙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드에서 수행되었던 들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 및/또는 날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이 변경되는 경향 및/또는 속력을 나타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1531 동작에서의 사운드 인가 기간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조정 규칙을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들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 및/또는 날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력으로 변경(예를 들어, 증가)되는 경우에는, 제 2 모드에서의 사운드 인가 기간들의 조정 정도가 상대적으로 클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싱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싱 데이터에 대한 인공지능 모델의 추론 결과에 기반하여,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을 조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규칙 기반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싱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들 각각의 인가 기간(또는, 인가 기간 조정 정도)가 확인될 수도 있다.
도 1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541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임에 기반하여 제 1 동작들을 반복할 수 있다. 제 1 동작들은,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고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1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동작들은, 생체 징후의 제 2 부분,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 확인)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에 대응하고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 확인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2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543 동작에서, 사용 모드를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의 만족을 확인함에 기반하여, 사용 모드를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하여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1545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2 모드임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로부터 독립적으로(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과 무관하게, 또는 자동적으로), 제 2 동작들의 수행을 반복할 수 있다. 제 2 동작들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동작들은,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또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실패 확인)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사운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의 실시예는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면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601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1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60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피드백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의 액티비티의 반복적인 검출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사운드들의 제공을 반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605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반복적인 검출이 중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다가, 수면에 들거나, 또는 수면 직전의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액티비티의 반복적인 수행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사용자 액티비티의 반복적인 수행을 중단하고, 자동 모드인 제 2 모드로의 진입을 원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1607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반복적 수행 검출의 실패에 기반하여, 사용 모드를 제 2 모드로 전환할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609 동작에서, 사용 모드가 제 2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로부터 독립적으로, 복수 개의 사운드들 각각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611 동작에서, 입면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로서의 탭 온 이벤트(1611a,1612a,1613a) 및 다른 타입의 사용자 액티비티로서의 탭 오프 이벤트(1611b,1612b)가 교번적으로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탭 온 이벤트(613a) 이후 탭 오프 이벤트의 발생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일정 기간(1622) 내의 추가적인 탭 온 이벤트의 발생 확인에 실패함에 기반하여, 사용 모드를 제 1 모드로부터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교번적인 수행이 확인된 기간(1621)을, 입면 소요 기간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면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교번적인 수행을 수행하였다면, 기간(1621)이 입면 소요 기간으로서 확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또는, 확인된 기간(1621)에 지정된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입면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도 있으며, 그 확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16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수면 분석 결과의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수면 분석 결과에 대한 화면(1640)을 제공할 수 있다. 화면(1640)은,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16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입면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1641)를 제공할 수 있다. 화면(1640)은, 입면 소요 시간 이외에도,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정보(1642), 깊은 수면 및 REM(rapid eye movement) 수면에 대한 정보(1643) 및/또는 회복에 대한 정보(1644)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화면(164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 및/또는 진행 상황 정보(나의 호흡 점수, 회차 정보 등)와 연관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USER)로부터 수집되는 EEG 신호를 주파수 변환(가령, FFT(fast fourier transform) 이용)하여, 깊은 수면, 얕은 수면, REM 수면 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수면 장애도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집되는 EEG 신호에서 알파 주파수의 증가를 통해 사용자가 편안해하는지 추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USER)가 수면 상태로 진입하거나 이전이라도(제1 또는 제2 사운드 제공 중), 뇌파 신호가 기 설정된 상태인 경우, 들숨 구간 및/또는 날숨 구간을 확대하기 위한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USER)의 EEG 신호에 기반하여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확대가 수면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들숨 구간에 대해서만 확대를 시도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EEG 신호를 통해 수면 상태를 평가하고, 날숨 구간에 대해서만 확대를 시도한 후, 소정 기간 경과 후 EEG 신호를 통해 수면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701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세션 별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확인 방식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1703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면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의 분석에 기반하여, 현재 세션에서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의 속성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705 동작에서, 결정된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입면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던 세션 중 이용되었던 사운드의 속석을, 현재 세션에서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의 속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입면 소요 시간에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수면과 연관된 정보(예를 들어, 전체 수면 시간, 깊은 수면 및 REM 수면 시간, 수면의 질과 같을 수 있으나 제한이 없음)에 기반하여, 현재 세션에서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의 속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입면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및/또는 수면의 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대응하는 속성을 가지는 사운드가 제공됨에 따라서, 사용자 특화된(user specified) 사운드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의 실시예는 도 18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801 동작에서, 제 1 기간 동안,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180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1 방향과 연관되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b에서와 같이, 사운드 제공 장치들(1801,1802)이 사용자의 귀에 인입될 수 있다. 사운드 제공 장치들(1801,1802)에서 각각 출력되는 사운드들의 위상들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가상적인 음원(1811,1812,1813,1814)이 존재하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제공 장치들(1801,1802) 각각에서 제공되는 사운드들의 위상들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기간 동안에 제공되는 사운드들이 예를 들어 제 1 가상적인 음원(1811)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방향과 연관된 사운드의 제공으로 명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805 동작에서, 제 2 기간 동안,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807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 2 방향과 연관되는 복수 개의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제공 장치들(1801,1802) 각각에서 제공되는 사운드들의 위상들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 2 기간 동안에 제공되는 사운드들이 예를 들어 제 2 가상적인 음원(1812)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 2 방향과 연관된 사운드의 제공으로 명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운드의 제공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운드의 발생 위치가 제 1 가상적인 음원(1811), 제 2 가상적인 음원(1812), 및 제 3 가상적인 음원(1813)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컨텐츠의 이용을 위하여서는, 사운드 제공의 컴플렉시티가 요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운드의 제공 방향 변경으로 컴플렉시티가 향상될 수 있으며, 컨텐츠 이용의 지속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식하는 사운드의 제공 방향은, 랜덤하게 변경되거나, 또는 경향성을 가지게끔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가 사용자에게로 다가오는 효과,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효과,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화는 효과등이 가능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도 1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c의 실시예는 도 18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공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831 동작에서, 제 1 기간 동안,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1833 동작에서, 복수 개의 타입들의 사용자 액티비티들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제공 방향의 변경과 연관되는 수 개의 사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d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 1 기간 동안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가 제 1 가상적인 음원(1811)의 위치로부터 제 2 가상적인 음원(1812)의 위치로 변경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사운드들의 위상들 각각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주기 내에서도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가 변경(즉, 사운드 제공 방향이 변경)되는 것과 같이 인식할 수도 있다. 한편, 가상적인 음원의 위치의 변경 방향(예를 들어, 도 18d에서는 우측 방향)이, 매 주기마다 고정적일 수도 있거나, 또는 주기 별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물리 자극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의 실시예는 도 19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축 물리 자극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1901 동작에서, 주기성을 가지는 제 1 생체 징후의 제 1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1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1 접촉 물리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접촉 물리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 장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도록, 예를 들어 안마 의자, 안마용 안대 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 장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에 의한 접촉 물리 자극의 제공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구동 장치의 운동을 제어함 및/또는 전자 장치(100)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구동 장치로의 운동을 야기하는 데이터를 제공함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9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 1 기간(P1) 동안의 제 1 사용자 액티비티(1931)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에 대응하여 제 1 구동 신호(1941)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구동 신호(1941)에 의하여 구동 장치가 예를 들어 제 1 운동(예를 들어, 제 1 방향으로의 회전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9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905 동작에서, 제 1 부분과 상이한 제 2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와 연관되는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1907 동작에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검출에 기반하여,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제 2 접촉 물리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b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제 2 기간(P2) 동안의 제 2 사용자 액티비티(1932)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에 대응하여 제 2 구동 신호(1942)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구동 신호(1942)에 의하여 구동 장치가 예를 들어 제 2 운동(예를 들어, 제 2 방향으로의 회전일 수 있지만 제한이 없음)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도, 전자 장치(100)는, 제 3 기간(P3) 및 제 4 기간(P4) 동안 제 1 사용자 액티비티(1933) 및 제 2 사용자 액티비티(1934)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들(1933,1934)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접촉 물리 자극들(1933,1934)의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또는, 사용자의 생체 징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접촉 물리적인 자극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물리적인 자극은,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물리적인 자극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2201 동작에서,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는,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을 야기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한은 없다. 전자 장치(100)는, 2203 동작에서, UI를 통하여 입력되는 속성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의 설정을 야기하는 오브젝트를 조작됨으로써,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적어도 일부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의 적어도 일부가 설정(또는, 변경)된 사운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이 선호하는 속성을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이 없다. 전자 장치(100)는, 2205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액티비티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2207 동작에서, 제 1 생체 징후의 주기성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를 피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속성의 설정은, 세션이 시작도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세션 시작 이후 사운드 제공 중에 수행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2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에 시달리는 환자에게, 호흡의 들숨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들숨 구간의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수행하고, 호흡의 날숨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날숨 구간의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를,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할 것을 안내하는 동작(230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과 제 2 사용자 액티비티 발생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를,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집하는 동작(2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자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한,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는 동작(23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에 시달리는 환자에게, 호흡의 들숨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들숨 구간의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호흡의 날숨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를 중단할 것을 것을 안내하는 동작(231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발생 및 중단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를,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집하는 동작(231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자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한,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를 피험자에게 제공하는 동작(23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0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상이한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수행에 따라,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1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 중단에 따라, 수행 구간 및 중단 구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제 1 용량에 따라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2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상이한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수행에 따라,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23)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량의 경구용 약 및 디지털 치료제의 투여에 따른 환자의 불면증 개선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2425)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개선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제 1 용량의 조정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24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제 1 용량에 따라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3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 중단에 따라, 수행 구간 및 중단 구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33)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량의 경구용 약 및 디지털 치료제의 투여에 따른 환자의 불면증 개선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2435)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개선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제 1 용량의 조정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24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제 1 용량에 따라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4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상이한 사용자 액티비티들의 수행에 따라, 사용자 액티비티들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43)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량의 경구용 약 및 디지털 치료제의 투여에 따른 환자의 불면증 개선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2445)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개선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제 1 용량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치료제의 사운드들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조정 또는 유지하는 동작(244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불면증의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불면증 치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을 제 1 용량에 따라 투여(administer)하는 동작(2451)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불면증 환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복용 후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 구간 및 날숨 구간 동안의 사용자 액티비티의 수행 및 중단에 따라, 수행 구간 및 중단 구간에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사운드들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를 투여하는 동작(2453)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제 1 사용량의 경구용 약 및 디지털 치료제의 투여에 따른 환자의 불면증 개선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2455)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개선 정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경구용 약의 제 1 용량을 유지하면서, 디지털 치료제의 사운드들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조정 또는 유지하는 동작(2457)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
-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됨-;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는 동작-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됨-;
을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전자 장치. -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시에,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의 호흡의 들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1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호흡의 날숨을 위한 기간에 대한 사용자 인지와 연관된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타입들로 구성된 제 2 피드백 그룹을 제공하하도록 야기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들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들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1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1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는 상기 호흡의 상기 날숨으로부터 야기되는 사용자 액티비티가 아닌 상기 날숨으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액티비티이며, 상기 제 2 피드백 그룹의 제공의 시작 시점은 상기 제 2 사용자 액티비티의 검출 시점과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099466 | 2023-07-31 | ||
| KR20230099466 | 2023-07-31 | ||
| KR1020240002224 | 2024-01-05 | ||
| KR1020240002224A KR20250018946A (ko) | 2023-07-31 | 2024-01-05 | 수면 유도를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저장 매체 |
| KR1020240061711 | 2024-05-10 | ||
| KR20240061711 | 2024-05-10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18957A true KR20250018957A (ko) | 2025-02-07 |
Family
ID=94395631
Family Applications (17)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64478A Pending KR20250018957A (ko) | 2023-07-31 | 2024-05-17 | 수면 유도를 위한 다감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4591A Pending KR20250018958A (ko) | 2023-07-31 | 2024-05-17 |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청각적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4698A Pending KR20250018960A (ko) | 2023-07-31 | 2024-05-17 | 의식적 사용 상태 또는 무의식적 사용 상태에서의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4605A Pending KR20250018959A (ko) | 2023-07-31 | 2024-05-17 |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기 위한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음향화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425A Pending KR20250018964A (ko) | 2023-07-31 | 2024-05-22 |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청각적 피드백 생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350A Pending KR20250018961A (ko) | 2023-07-31 | 2024-05-22 | 사용자의 호흡 패턴에 의도적으로 적어도 일부 대응되지 않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407A Pending KR20250018963A (ko) | 2023-07-31 | 2024-05-22 | 인공지능 모델의 추론 결과에 기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수면 유도용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383A Pending KR20250018962A (ko) | 2023-07-31 | 2024-05-22 | 사용자의 호흡 패턴에 동기화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70647A Pending KR20250018967A (ko) | 2023-07-31 | 2024-05-30 | 불면증 환자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에 기반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치료제 제공을 위한 방법 |
| KR1020240070648A Pending KR20250018968A (ko) | 2023-07-31 | 2024-05-30 | 청각적 피드백에 기반한 불면증 치료 방법 |
| KR1020240070646A Pending KR20250018966A (ko) | 2023-07-31 | 2024-05-30 | 경구복용 수면제와 겸용되는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
| KR1020240070645A Pending KR20250018965A (ko) | 2023-07-31 | 2024-05-30 | 특정 주파수 비율에 기반하여 생성된 진동성을 가지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100657A Active KR102780511B1 (ko) | 2023-07-31 | 2024-07-30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88A Pending KR20250040602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41A Pending KR20250040903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40A Pending KR20250040601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39A Pending KR20250040600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Family Applications After (16)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64591A Pending KR20250018958A (ko) | 2023-07-31 | 2024-05-17 |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청각적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4698A Pending KR20250018960A (ko) | 2023-07-31 | 2024-05-17 | 의식적 사용 상태 또는 무의식적 사용 상태에서의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4605A Pending KR20250018959A (ko) | 2023-07-31 | 2024-05-17 | 자율신경계를 조절하기 위한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음향화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425A Pending KR20250018964A (ko) | 2023-07-31 | 2024-05-22 | 측정된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청각적 피드백 생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350A Pending KR20250018961A (ko) | 2023-07-31 | 2024-05-22 | 사용자의 호흡 패턴에 의도적으로 적어도 일부 대응되지 않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407A Pending KR20250018963A (ko) | 2023-07-31 | 2024-05-22 | 인공지능 모델의 추론 결과에 기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최적화된 수면 유도용 청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66383A Pending KR20250018962A (ko) | 2023-07-31 | 2024-05-22 | 사용자의 호흡 패턴에 동기화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070647A Pending KR20250018967A (ko) | 2023-07-31 | 2024-05-30 | 불면증 환자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에 기반한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치료제 제공을 위한 방법 |
| KR1020240070648A Pending KR20250018968A (ko) | 2023-07-31 | 2024-05-30 | 청각적 피드백에 기반한 불면증 치료 방법 |
| KR1020240070646A Pending KR20250018966A (ko) | 2023-07-31 | 2024-05-30 | 경구복용 수면제와 겸용되는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
| KR1020240070645A Pending KR20250018965A (ko) | 2023-07-31 | 2024-05-30 | 특정 주파수 비율에 기반하여 생성된 진동성을 가지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40100657A Active KR102780511B1 (ko) | 2023-07-31 | 2024-07-30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88A Pending KR20250040602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41A Pending KR20250040903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40A Pending KR20250040601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KR1020250029639A Pending KR20250040600A (ko) | 2023-07-31 | 2025-03-07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2) | US20250312558A1 (ko) |
| KR (17) | KR20250018957A (ko) |
| WO (1) | WO2025028997A1 (ko)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6355B1 (ko) | 1999-08-18 | 2006-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2단계 급속 열처리를 이용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 KR20200001226A (ko) | 2018-06-27 | 2020-01-06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
Family Cites Families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AU2003249549A1 (en) * | 2002-08-09 | 2004-02-25 | Intercure Ltd. | Generalized metronome for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
| JP2005296358A (ja) * | 2004-04-12 | 2005-10-27 | Hiroyuki Iso | リラクゼーション支援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1255008A (ja) * | 2010-06-09 | 2011-12-22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入眠誘導システム |
| IL233353B (en) * | 2014-06-24 | 2019-05-30 | 2Breathe Tech Ltd |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sleep and detecting the transition to sleep |
| US11033708B2 (en) * | 2016-06-10 | 2021-06-15 | Apple Inc. | Breathing sequence user interface |
| JP6479720B2 (ja) * | 2016-08-30 | 2019-03-06 | 株式会社電通 | 瞑想補助装置および瞑想補助システム |
| US12377241B2 (en) * | 2019-01-03 | 2025-08-05 | Lg Electronics Inc. | Sleep inducing device |
| BE1026998B1 (fr) * | 2019-01-28 | 2020-08-27 | Oncomfort S A | Procédé et système pour générer une session thérapeutique |
| CN112439119A (zh) * | 2019-08-28 | 2021-03-05 | 朱滨 | 一种基于触摸感知进行呼吸调节同步的实时反馈引导系统 |
| US20220202312A1 (en) * | 2020-12-30 | 2022-06-30 | Auralab Technologies Incorporated | Respiratory Biofeedback-Based Content Selection and Playback for Guided Sessions and Device Adjustments |
| KR102378040B1 (ko) * | 2021-10-22 | 2022-03-24 | 웰트 주식회사 | 데이터 기반의 수면 장애 치료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 KR102429256B1 (ko) * | 2021-12-31 | 2022-08-04 | 주식회사 에이슬립 | 음향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2024
- 2024-05-17 KR KR1020240064478A patent/KR20250018957A/ko active Pending
- 2024-05-17 KR KR1020240064591A patent/KR20250018958A/ko active Pending
- 2024-05-17 KR KR1020240064698A patent/KR20250018960A/ko active Pending
- 2024-05-17 KR KR1020240064605A patent/KR20250018959A/ko active Pending
- 2024-05-22 KR KR1020240066425A patent/KR20250018964A/ko active Pending
- 2024-05-22 KR KR1020240066350A patent/KR20250018961A/ko active Pending
- 2024-05-22 KR KR1020240066407A patent/KR20250018963A/ko active Pending
- 2024-05-22 KR KR1020240066383A patent/KR20250018962A/ko active Pending
- 2024-05-30 KR KR1020240070647A patent/KR20250018967A/ko active Pending
- 2024-05-30 KR KR1020240070648A patent/KR20250018968A/ko active Pending
- 2024-05-30 KR KR1020240070646A patent/KR20250018966A/ko active Pending
- 2024-05-30 KR KR1020240070645A patent/KR20250018965A/ko active Pending
- 2024-07-30 WO PCT/KR2024/011122 patent/WO2025028997A1/ko active Pending
- 2024-07-30 KR KR1020240100657A patent/KR102780511B1/ko active Active
-
2025
- 2025-01-03 US US19/009,414 patent/US20250312558A1/en active Pending
- 2025-03-07 KR KR1020250029688A patent/KR20250040602A/ko active Pending
- 2025-03-07 KR KR1020250029641A patent/KR20250040903A/ko active Pending
- 2025-03-07 KR KR1020250029640A patent/KR20250040601A/ko active Pending
- 2025-03-07 KR KR1020250029639A patent/KR20250040600A/ko active Pending
- 2025-04-03 US US19/169,587 patent/US2025022905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76355B1 (ko) | 1999-08-18 | 2006-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2단계 급속 열처리를 이용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 KR20200001226A (ko) | 2018-06-27 | 2020-01-06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로마테라피를 적용한 수면유도용 패치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18963A (ko) | 2025-02-07 |
| KR20250018961A (ko) | 2025-02-07 |
| KR20250040601A (ko) | 2025-03-24 |
| KR20250040602A (ko) | 2025-03-24 |
| KR20250018967A (ko) | 2025-02-07 |
| KR102780511B1 (ko) | 2025-03-19 |
| KR20250018962A (ko) | 2025-02-07 |
| KR20250040903A (ko) | 2025-03-25 |
| KR20250018968A (ko) | 2025-02-07 |
| US20250312558A1 (en) | 2025-10-09 |
| WO2025028997A1 (ko) | 2025-02-06 |
| KR20250018964A (ko) | 2025-02-07 |
| KR20250018958A (ko) | 2025-02-07 |
| KR20250018960A (ko) | 2025-02-07 |
| KR20250018959A (ko) | 2025-02-07 |
| KR20250018966A (ko) | 2025-02-07 |
| US20250229054A1 (en) | 2025-07-17 |
| KR20250018965A (ko) | 2025-02-07 |
| KR20250019588A (ko) | 2025-02-10 |
| KR20250040600A (ko) | 2025-03-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19419450B2 (en) | Systems and methods of wave generation for transcutaneous vibration | |
| US2019018925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optimized patient treatment experience | |
| AU2009268428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psychiatric disorders | |
| US20220362095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transcutaneous vibration for sexual arousal | |
| US20100305466A1 (en) | Incentive spirometry and non-contact pain reduction system | |
| CN115802938A (zh) | 用于检测rem行为障碍的系统和方法 | |
| US20250090790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transcutaneous vibration | |
| KR102780511B1 (ko) | 수면 유도를 위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그 저장 매체 | |
| KR20250018946A (ko) | 수면 유도를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저장 매체 | |
| US20250213814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temperature and visual stimulation patterns | |
| HK40055947B (en) | Systems and methods of wave generation for transcutaneous vibr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