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5646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85646A KR20240085646A KR1020220170736A KR20220170736A KR20240085646A KR 20240085646 A KR20240085646 A KR 20240085646A KR 1020220170736 A KR1020220170736 A KR 1020220170736A KR 20220170736 A KR20220170736 A KR 20220170736A KR 20240085646 A KR20240085646 A KR 20240085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information
- notification signal
- targ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원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content.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및 보호자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우울, 불안 증세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기관을 방문하길 꺼리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As we enter an aging society,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is increasing due to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and their guardians. However, these problems are continuously worsening as many people are reluctant to visit specialized institutions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의 수가 천만 명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어 초고령 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국내에서는 노인환자 자신은 물론 그들을 돌보는 간병인력과 보호자 모두의 정신 건강을 확인하고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In particular, in Korea, where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s expected to reach 10 million, and we are on the verge of entering a super-aging society, there is a burden of checking and managing the mental health of not only elderly patients themselves, but also the caregivers and guardians who care for them. This is emerging as a social and economic problem.
한편, 최근 헬스케어 서비스는 예방, 개인화, 참여형 트렌드 하에서 공급과 소비가 확장되면서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사물 인터넷(IoT) 기술의 접목을 통해 원격의료와 스마트 홈케어 시대가 도래하고, 만성질환과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개발 및 상용화되는 등 고령자의 건강관리에 유용한 헬스케어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Meanwhile, healthcare services are rapidly expanding as supply and consumption expand under prevention, personalization, and participation trends. The era of telemedicine and smart home care has arr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chronic diseases and health have arrived. Healthcare services useful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the elderly are expanding, with various smart devices for management being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4IR) 기술 중 노령층 등이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기 쉽지 않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체험을 텔레비전 등의 홈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고령 사용자의 우울, 불안, 소외감 등의 정신적 문제를 저감시키면서도 사용자의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among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which are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experience in daily life, ar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home devices such as televisions, thereby reducing depression, anxiety, and feelings of alienation in elderly users.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that can provide users' interest while reducing mental problem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7117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is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71172.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이 결정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이에 대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capable of executing user-tailored content, the details of whi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user's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signal that induces user particip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o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collecting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target content, which is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determining se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user's re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A step of selectively executing target conten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 인지능력 분석 정보 및 생활패턴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life pattern record information.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상기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the type and execution level of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the timing of output of the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lifestyle pattern record information.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출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put step may output the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time.
또한, 상기 유형은 신체 활동 관련 콘텐츠,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 및 비상상황 대처 가이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hysical activity-related content, virtual companion plant-related content, virtual companion animal-related content, and emergency response guide content.
또한, 상기 반응 데이터는, 상기 알림 신호가 표출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기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상기 사용자의 응시 정보 및 상기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action data may include gaze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the display time of the notification signal for the user terminal on which the notification signal is displayed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the display time of the notification signal.
또한, 상기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대상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조자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ep of collecting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may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ssistant for the user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존재하면,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을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보조자가 함께 참여 가능한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etermining step, if the assistant is present in the target space, the type of target content may be determined as a type in which the user and the assistant can participate together.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단독으로 위치하는 경우 대비 상기 실행 수준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assistant is present in the target space, the execution level may be adjusted upward compared to when the user is located alone in the target space.
또한, 상기 대상 콘텐츠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arget content may include virtual reality (VR)-based content.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상기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참여 유도부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a collection unit that determines se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arget content, which is user-customiz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 content setting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that induces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a participation inducing unit that selectively selects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It may include a content execution unit that runs as .
또한, 상기 콘텐츠 설정부는, 상기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상기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setting unit may determine the type and execution level of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timing of output of the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lifestyle pattern record information. there i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be presen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이 결정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이에 대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r-customized content, the details of whi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can be executed by considering the user's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signal that induces user participation. Devices and methods can be provid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부 활동이 미비한 노인 사용자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외로움, 불안 등의 심리적 문제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신체적 문제를 가상현실 기반의 맞춤형 콘텐츠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is institute,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loneliness and anxiety due to social isolation of elderly users with limited external activities and physical problems due to lack of exercise can be solved through customized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노인 재교육을 통한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개인의 건강과 생활의 질적 향상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는 영상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is institute, it is possible to provide video education content that supports independent living through re-education of the elderly and easily improves the quality of personal health and life.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콘텐츠의 유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tform including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ypes of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by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o users.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tform including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100)(이하, '콘텐츠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IoT 단말(300), 웨어러블 디바이스(400) 및 촬영 디바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은 콘텐츠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IoT 단말(300), 웨어러블 디바이스(400) 및 촬영 디바이스(5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 가능한 셋탑 박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콘텐츠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IoT 단말(300), 웨어러블 디바이스(400) 및 촬영 디바이스(500) 및 셋탑 박스를 포함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The
특히,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맞춤형 콘텐츠를 실행(재생)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대상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바이스(HMD, 201), 텔레비전(202), 스마트 폰(20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맞춤형 콘텐츠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헬스케어, 안전 관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IoT 단말(300)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예를 들면, 가정 등) 내에 배치되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대상 콘텐츠에 대한 대상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IoT 단말(300)은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예시적으로, IoT 단말(300)은 텔레비전(202)과 연동된 셋탑 박스,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T 단말(300)은 텔레비전(202)과 연동하여 텔레비전(20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종 프로그램의 중계 또는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셋탑 박스에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 가능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본 플랫폼(10)을 통해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대상 콘텐츠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전술한 알림 신호는 IoT 단말(300)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40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촬영 디바이스(500)는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예를 들면, 가정 등) 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등장하는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 대상 콘텐츠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알림 신호 출력 후 알림 신호에 대응한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 대상 콘텐츠의 실행 화면에 표출되는 영상(예를 들면, 대상 콘텐츠가 사용자 촬영 영상을 기초로 하여 소정의 오브젝트를 오버레이(중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기반 콘텐츠인 경우 등) 등을 획득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참고로, 도 1은 촬영 디바이스(500)가 홈 CCTV 형태 등 사용자 단말(200)과 구분되는 별도의 디바이스인 것으로 도시하나,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촬영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IoT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탑재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For reference, Figure 1 shows that the photographing
이하에서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 인지능력 분석 정보 및 생활패턴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specific details of the target content, which is silver healthcare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0)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를 들면, 혈압, 맥박, 체온, 혈당, 심박수, 호흡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를 들면, 팔, 다리 등)의 움직임과 관련한 제한(불편) 사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사용자의 보행 관련 정보(평균 보행 속도, 일일 평균 걸음 수 등)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biosignals (eg,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blood sugar, heart rate, respiratory rate, etc.) collected through the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대상 콘텐츠의 제공 시 사용자의 이동(거동) 범위, 운동 강도 등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과 연계된 세부 사항을 설정하는데 활용되는 것일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be used to set details related to the user's body movements, such as the user's movement range and exercise intensity, when providing target conten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사용자의 질환 유무, 질병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사용자의 시력 정보 및 청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s disease, disease history, etc. Additionally,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vision information and hearing informa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는 대상 콘텐츠 제공 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출된 신체능력 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능력 평가는 크기별 글자 맞추기, 색상 구별하기, 숫자/글자 등의 오브젝트를 번갈아 순서대로 선택하기, 움직이는 물체 선택하기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nalysis result data for physical ability evaluation expressed through the
또한, 사용자의 인지능력(cognitive capability) 분석 정보는 대상 콘텐츠의 실행 난이도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결정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정보로서 대상 콘텐츠 제공 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출된 인지능력 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능력 평가는 아이콘(오브젝트)의 의미와 연관된 그림 매칭하기, 색깔이 동일한 도형 찾기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mainly used to determine detail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executing the target content, and i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expressed through the
또한, 사용자의 인지능력 분석 정보는 대상 콘텐츠 제공 전 사용자 단말(200) 및 IoT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된 검사 설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도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 및 IoT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출되는 인지능력 평가의 난이도는 인지능력 평가가 수행되기에 앞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검사 설문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인지능력 평가 프로세스 및 검사 설문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may be derived based on the user's response data to the test questionnaire provided by at least one of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는 사용자의 심리상태 분석 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리상태 분석 결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0) 등을 통해 수집된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리상태 분석 결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400)를 통해 수집된 생체 신호에 따른 수면 시간, 야외 활동 시간, 식사량, 신체 움직임, 보행 수 등을 고려하여 추론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심리상태 분석 결과는 촬영 디바이스(50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내지 IoT 단말(300)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에 대한 분석(예를 들면, 안면 인식 기반의 표정 분석, 음성 인식 기반의 발화 분석 등)을 통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user's psychological state. As an example, the psychological state analysis result may be derived based on biometric signals collected through the
또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 중 생활패턴 기록 정보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 신체 활동 수준(걸음 수, 이동 거리 등), 식사량, 식사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생활패턴 기록 정보는 촬영 디바이스(50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시간대 별 사용자의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생활패턴 기록 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400)에 의해 수집된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사용자 상태(보행 상태, 수면 상태 등)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일 수 있다.Additionally, among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lifestyle recor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leep time, physical activity level (number of steps, distance traveled, etc.), amount of meals, meal times, etc. In this regard, the life pattern record information may be data collected in time series of the user's behavior by time zon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user's image captured through the
종합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IoT 단말(300), 웨어러블 디바이스(400), 촬영 디바이스(500)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n summary, the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개인화 정보 중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제공 가능한 콘텐츠의 유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ypes of content that can be provided by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은 신체 활동 관련 콘텐츠(C1),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C2),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C3) 및 비상상황 대처 가이드 콘텐츠(C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ypes of content provided by the
신체 활동 관련 콘텐츠(C1)는 예를 들어 노인 요가 프로그램, 스트레칭 프로그램 등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출되는 신체 활동 가이드를 시청하며 해당 동작을 따라하도록 하는 내용의 콘텐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촬영 디바이스(50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영상과 콘텐츠 내에서 제공되는 신체 활동 가이드의 유사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콘텐츠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평가된 콘텐츠 성취도에 기반한 피드백(예를 들면, 특정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보다 가이드에 가깝게 유도하는 안내 음성 등)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physical activity-related content C1 may be content that allows the user to watch a physical activity guide displayed through the
또한,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C2)는 예시적으로 가상 화분, 가상 농장 등에 마련되는 가상의 식물/작물의 생육에 가상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예를 들면, 물주기, 거름주기, 가지치기 등)을 반영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C2)와 관련한 실행 수준(난이도)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행위의 유형(수), 가상 식물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한 영향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virtual companion plant-related content (C2) exemplifies user operations performed in a virtual environment on the growth of virtual plants/crops provided in virtual pots, virtual farms, etc. (e.g., watering, fertilizing, pruning, etc.) ) may be content that reflects In this regard, changing the level of execution (difficulty) with respect to virtual companion plant-related content (C2) determines the type (number) of action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and the degree to which user manipulations have a negative or positive impact on the virtual plant. It can be understood as changing the degree of influence, etc.
또한,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C3)는 예시적으로 가상 애완동물 등의 양육 과정에 가상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조작(예를 들면, 먹이주기, 산책, 예방접종, 교배 등)을 반영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C3)와 관련한 실행 수준(난이도)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행위의 유형(수), 가상 애완동물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한 영향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virtual pet-related content (C3) may be content that reflects user operations (e.g., feeding, walking, vaccination, breeding, etc.) performed in a virtu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raising a virtual pet, etc. there is. In this regard, varying the level of execution (difficulty) with respect to virtual pet-related content (C3) depends on the type (number) of actions the user can manipulate, user manipulations that have a negative or positive impact on the virtual pet.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changing the impact on, etc.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개인화 정보 중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한편,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수집된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되는 사용자의 생활패턴(예를 들면, 기상 시간, 식사 시간, 보행 수 등)을 고려하여 특정 시점에 적합한 유형의 실버 헬스케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iming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hat induces participation in target content based on lifestyle pattern record information is specifically based on the user's lifestyle pattern identified based on personalized information collected for the user (e.g., This may mean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induce user participation in the appropriate type of silver healthcare conten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taking into account wake-up time, meal time, number of steps, etc.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가 식사 종료 후 미리 설정된 적정 기간을 초과하도록 신체 움직임이 미비한 경우 신체 활동 관련 콘텐츠(C1) 유형의 대상 콘텐츠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다 활발한 신체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s body movement is insufficient to exceed a preset appropriate period after finishing a meal, the
또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의 보행 수가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수집된 시점 등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 활발한 시간대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C2) 및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C3)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에 해당하는 대상 콘텐츠에 대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대상 콘텐츠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arget content may include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VR).
또한, 대상 콘텐츠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알림 신호는 사용자 단말(200) 및 IoT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신호, 음향 신호 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 notification signal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arget content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visual signal, an acoustic signal, etc. through at least one of the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림 신호에 대응한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알림 신호에 대응한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는 알림 신호가 표출되는 사용자 단말(200) 및 IoT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사용자의 응시 정보 및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림 신호가 표출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응시 여부 및 시선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대상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반대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림 신호가 표출되었음에도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자가 응시하지 않거나 알림 신호를 응시한 후 사용자의 시선이 해당 알림 신호가 표출되는 영역에 유지되지 않거나 알림 신호를 종료하는 사용자 입력일 인가하는 등 사용자의 대상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대상 콘텐츠가 미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Conversely, the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림 신호가 표출된 후 사용자가 일어서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대상 콘텐츠의 참여를 위한 지정 위치로 이동하는 등의 신체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사용자의 관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대상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람 신호가 표출된 후 수집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상 콘텐츠의 실행을 승낙하는 발화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알람 신호가 표출된 후 수집된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상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승낙을 의미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면, 고개를 끄덕이는 동작 등)를 취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관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대상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반대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알람 신호가 표출된 후 수집된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상 콘텐츠의 실행을 거부하는 발화를 수행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알람 신호가 표출된 후 수집된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상 콘텐츠의 실행에 대한 거부를 의미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스처(예를 들면, 고개를 젓는 동작 등)를 취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관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대상 콘텐츠가 미실행 되도록 할 수 있다.Conversely, the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대상 콘텐츠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알림 신호가 출력된 후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아 해당 콘텐츠가 미실행된 경우, 해당 유형의 대상 콘텐츠에 대한 향후(예를 들면, 익일의 근접 시간대 등)의 알림 신호 출력 시점을 변경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참여 가능성이 보다 높은 시점에 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알림 신호 출력 시점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content is not executed due to low user interest after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participation in the target content is output, the
이와 관련하여, 노인 등의 고령 사용자의 경우 스마트 폰, 스마트 티비 등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조작이 익숙치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가 내용적으로는 고령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며,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실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크고, 특히 가상현실(VR) 기반의 콘텐츠의 경우 그 어려움이 더 클 수 있다.In this regard, it is common for elderly users such as the elderly to be unfamiliar with operating user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TVs, and accordingly, silver healthcare content provided through user terminals is not intended for elderly users. Even if it is helpful and can arouse interes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execute the content, and the difficulty can be especially greater in the case of virtual reality (VR)-based content.
이를 고려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고려하여 유형, 실행 수준(난이도), 실행 시점(달리 말해, 알림 신호 출력 시점) 등을 맞춤형 설정하여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대상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고령 사용자가 콘텐츠의 실행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대상 공간에서 사용자에 대한 보조자(예를 들면, 돌봄 인력, 가족, 동거인 등)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보조자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면, 대상 콘텐츠의 유형을 사용자 및 보조자가 함께 참여 가능한 유형으로 결정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단독으로 위치하는 경우 대비 대상 콘텐츠의 실행 수준을 상향 조정하여 보조자의 보조 하에서 사용자가 대상 콘텐츠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수집부(110), 식별부(120), 콘텐츠 설정부(130), 참여 유도부(140) 및 콘텐츠 실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식별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대상 공간에서 사용자에 대한 보조자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The
콘텐츠 설정부(130)는 수집된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콘텐츠 설정부(130)는 개인화 정보 중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콘텐츠 설정부(130)는 개인화 정보 중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설정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해 보조자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대상 콘텐츠의 유형을 사용자 및 보조자가 함께 참여 가능한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다른 예로, 콘텐츠 설정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해 보조자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대상 공간에 단독으로 위치하는 경우 대비 대상 콘텐츠의 실행 수준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by the
참여 유도부(140)는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콘텐츠 실행부(150)는 알림 신호에 대응한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briefly look at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Figure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shown in FIG. 4 can be performed by the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11,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식별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대상 공간에서 사용자에 대한 보조자의 존부를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1, the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콘텐츠 설정부(130)는 단계 S11에서 수집된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콘텐츠 설정부(130)는 단계 S11에서 수집된 개인화 정보 중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2,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콘텐츠 설정부(130)는 단계 S11에서 수집된 개인화 정보 중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12,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콘텐츠 설정부(130)는 보조자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대상 콘텐츠의 유형을 사용자 및 보조자가 함께 참여 가능한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assistant exists in the target space, the
다른 예로, 단계 S12에서 콘텐츠 설정부(130)는 보조자가 대상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대상 공간에 단독으로 위치하는 경우 대비 대상 콘텐츠의 실행 수준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assistant exists in the target space, the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참여 유도부(140)는 단계 S12를 통해 결정된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콘텐츠 실행부(150)는 알림 신호에 대응한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Next, in step S14, the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 to S1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Additionally,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as need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silver healthcar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사용자 맞춤형 실버 헬스케어 콘텐츠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viding user-customized silver healthcare cont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플랫폼
100: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장치
110: 수집부
120: 식별부
130: 콘텐츠 설정부
140: 참여 유도부
150: 콘텐츠 실행부
200: 사용자 단말
300: IoT 단말
400: 웨어러블 디바이스
500: 촬영 디바이스
20: 네트워크10: Platform
100: User-customized content provision device
110: Collection department
120: identification unit
130: Content setting unit
140: Participation Induction Department
150: Content execution department
200: user terminal
300: IoT terminal
400: Wearable device
500: Shooting device
20: Network
Claims (12)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맞춤형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In the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collecting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determining se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arget content, which is customiz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Selectively executing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 인지능력 분석 정보 및 생활패턴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life pattern record information.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상기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etermining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wherein the type and execution level of the target content are determined based on the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출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2,
The determining step is,
Determine the timing of outpu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lifestyle pattern record information,
The output step i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wherein the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based on the determined output time.
상기 유형은 신체 활동 관련 콘텐츠, 가상 반려 식물 관련 콘텐츠, 가상 반려 동물 관련 콘텐츠 및 비상상황 대처 가이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ype includes at least one of physical activity-related content, virtual pet plant-related content, virtual pet-related content, and emergency response guide content.
상기 반응 데이터는,
상기 알림 신호가 표출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상기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상기 사용자의 응시 정보 및 상기 알림 신호의 표출 시점 이후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action data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gaze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the display time of the notification signal for the user terminal on which the notification signal is displayed and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fter the display time of the notification signal.
상기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대상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보조자의 존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ep of collecting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is,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ssistant for the user in the target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cluding: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존재하면,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을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보조자가 함께 참여 가능한 유형으로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In clause 7,
The determining step is,
When the assistant is present in the target space, the type of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as a type in which the user and the assistant can participate together.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존재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대상 공간에 단독으로 위치하는 경우 대비 상기 실행 수준을 상향 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In clause 7,
The determining step is,
When the assistant is present in the target space, the execution level is adjusted upward compared to when the user is located alone in the target space.
상기 대상 콘텐츠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wherein the target content includes content based on virtual reality (VR).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개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맞춤형 콘텐츠인 대상 콘텐츠와 연계된 셋팅 정보를 결정하는 콘텐츠 설정부;
상기 셋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참여 유도부;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한 상기 사용자의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콘텐츠 실행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In a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personalized information;
a content setting unit that determines se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arget content, which is customiz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a participation inducing unit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to induce the user's participation in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a content execution unit that selectively executes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ignal;
A content provision device including.
상기 개인화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능력 분석 정보, 인지능력 분석 정보 및 생활패턴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설정부는,
상기 신체능력 분석 정보 및 상기 인지능력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콘텐츠의 유형 및 실행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생활패턴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것인, 콘텐츠 제공 장치.According to clause 11,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user's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life pattern record information,
The content setting unit,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type and execution level of the target content based on the physical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ability analysis information, and determines an output timing of the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life pattern record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70736A KR20240085646A (en) | 2022-12-08 | 2022-12-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170736A KR20240085646A (en) | 2022-12-08 | 2022-12-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85646A true KR20240085646A (en) | 2024-06-17 |
Family
ID=917144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70736A Pending KR20240085646A (en) | 2022-12-08 | 2022-12-08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085646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54613B1 (en) * | 2024-06-27 | 2025-09-03 | (주)토마토시스템 | An interactive content provision system based on the user's health status within the xr fitness center |
-
2022
- 2022-12-08 KR KR1020220170736A patent/KR20240085646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54613B1 (en) * | 2024-06-27 | 2025-09-03 | (주)토마토시스템 | An interactive content provision system based on the user's health status within the xr fitness cent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6029325B (en) | Smart wearable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utiliz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apture sensors to configure capabilities | |
| KR102022893B1 (en) | Pet car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 |
| Chung et al. | Real‐world multimodal lifelog dataset for human behavior study | |
| US9795324B2 (en) | System for monitoring individuals as they age in place | |
| US20210165490A1 (en) | Wear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 |
| CN109564706B (en) | User interaction platform based on intelligent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 |
| US2018028546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profile | |
| US20170042439A1 (en) |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brainwave-based technologies | |
| CN111373484A (en) | Lact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 |
| US20130245396A1 (en) | Mental state analysis using wearable-camera devices | |
| CN112890787A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Abdulghafor et al. | An analysis of body language of pati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 Woznowski et al. | Classification and suitability of sensing technologies for activity recognition | |
| CA3217950A1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sistent health data collection and multi-level prioritization | |
| KR2024008564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 |
| KR10216583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bnormal health conditions | |
| Chen et al. | Smart technologies for healthcare in smart cities | |
| KR10217313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analysis based sight conservation service | |
| WO202010245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affective response in a user via human generated output data | |
| KR102731375B1 (en) | Server for providing psychological analysis services and psychological care services for patients with depression using multiple external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 |
| CN112396536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intelligent service | |
| KR102805526B1 (en) | Conversational care robot | |
| US20230105048A1 (en) | Robot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 KR10223357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 Kaddachi | Technological Approach for Early and Unobtrusive Detection of Possible Health Changes toward Better Adaptation of Services for Elderly Peop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