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425A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1425A KR20230131425A KR1020220135904A KR20220135904A KR20230131425A KR 20230131425 A KR20230131425 A KR 20230131425A KR 1020220135904 A KR1020220135904 A KR 1020220135904A KR 20220135904 A KR20220135904 A KR 20220135904A KR 20230131425 A KR20230131425 A KR 202301314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dried
- unit
- food waste
- bla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3—Shafts with both stirring means an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2—Discharge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mechanism from mixing to discharging, e.g. by either guiding a mixture back into a receptacle or discharging 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건조시켜 부피를 대폭 줄이기 위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덮개(11)에 의해 입구(12)가 개폐되고,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하부 유로(13)와, 습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유로(14)가 형성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10) 저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건조실(10) 내부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히터부(20); 상기 건조실(1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는 교반날(30); 상기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여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40); 및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연결되어, 건조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회수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피건조물이 건조과정 중에 잘게 파쇄되면서 수분 제거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의 배출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덮개(11)에 의해 입구(12)가 개폐되고,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하부 유로(13)와, 습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유로(14)가 형성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10) 저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건조실(10) 내부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히터부(20); 상기 건조실(1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는 교반날(30); 상기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여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40); 및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연결되어, 건조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회수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피건조물이 건조과정 중에 잘게 파쇄되면서 수분 제거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의 배출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회수용기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물기만을 제거한 탈수상태로 버려지고 있지만, 탈수 후에도 음식물 쓰레기 자체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부피 감소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수집과 운반과정에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가정 또는 음식점 일부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하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방류하는 분쇄처리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는 하수구 막힘 및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하면서 분쇄기 사용에 따른 분쇄물 배출기준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폐기물관리법상 파쇄분쇄 등으로 처리시 고형물의 20% 미만만 흘려보낼 수 있고, 80%는 회수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100% 갈아서 버리면 불법으로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대상이 된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418605호에서, 중공형의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진 방향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드럼 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돌기부와 연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부재는 등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구성이 선 제시된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공개특허 10-2009-0073392호에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배출구의 입구 면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컷팅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한 다음 배출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므로, 건조시 수분이 제거되어 부피가 50% 이상 감소되고, 무게는 80% 이상 줄어들지만,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일일이 수동으로 배출하여 건조실을 비우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건조과정 중에 잘게 파쇄되면서 수분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쓰레기를 자동으로 회수용기로 배출시키는 반송부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되, 덮개(11)에 의해 입구(12)가 개폐되고,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하부 유로(13)와, 습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유로(14)가 형성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10) 저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건조실(10) 내부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히터부(20); 상기 건조실(1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는 교반날(30); 상기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여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40); 및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연결되어, 건조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회수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이송스크루(104)를 포함하는 반송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루(104)는 건조실(10) 중심에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 유로(13) 측에서 건조실(10)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반출모터(107)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반출바퀴(105)를 포함하는 반송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반출바퀴(105)는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임펠라(105a)를 구비하여, 상기 반출바퀴(105)가 회전하면 하부 유로(13)로부터 건조된 음식물을 건조실(1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미건조된 잔류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스크루(104)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반송부(100)의 배출 측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8)를 건조실의 건조실(10)의 바닥 대비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출바퀴(105)의 일부 영역에는 하부 유로(13)를 마감하기 위한 평면 또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마감면(105b)이 형성되며, 마감면(105b)이 하부 유로(13)에 대응되는 각도에서 반출바퀴(105)를 정지하기 위해 반출바퀴(105)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외향 돌출되는 감지편(110b)과, 이 감지편(110b)를 인식하는 센서(110a)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부(30)는 건조실(10) 내벽에 설치되는 파쇄날부(16)와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쇄날부(16)는 회전하는 교반날(30)의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어 횡날과 종날을 형성하고, 건조실(10) 내벽에 돌출되는 파쇄돌기(16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건조과정 중에 잘게 파쇄되면서 수분 제거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의 배출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센서에 의해 건조가 완료되면 스크류 또는 반출바퀴가 회전하여 건조물을 회수용기로 반송하므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기 전에 일일이 건조실을 비워야 하는 불편이 없다.
반출바퀴의 일부에는 건조과정에서 미건조된 음식물이 하부유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판이 형성되어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반출바퀴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가 건조실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날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이송스크루가 적용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반송부의 평면 구성도
도 8은 마감면이 구비되지 않은 반출바퀴의 단면 상태도
도 9는 도 6의 반송부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가 건조실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날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이송스크루가 적용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반송부의 평면 구성도
도 8은 마감면이 구비되지 않은 반출바퀴의 단면 상태도
도 9는 도 6의 반송부의 저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건조과정 중에 잘게 파쇄되면서 수분 제거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의 배출처리가 용이하도록 건조실(10), 히터부(20), 교반날(30), 여과부(40), 반송부(100) 및 회수부(5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반송부가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10)은 덮개(11)에 의해 입구(12)가 개폐되고,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하부 유로(13)와, 습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유로(14)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실(10)은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피건조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히터부(20)에 의한 히팅효율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주면에 단열을 위한 보온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실(10) 하부 일측에 하부 유로(13)가 개방되어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되는바, 이때 상기 하부 유로(13)는 밸브에 의해 개폐되거나 후술하는 반송부(100)에 의해 피건조물이 강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미건조된 액체가 하부 유로(1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건조실(10)의 바닥은 하부 유로(13)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20)는 건조실(10)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헌 것으로, 상기 건조실(10) 저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부(20)는 건조실(10)을 성형 시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제적되거나, 또는 건조실(10)의 외면에 탈부착식으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20)는 제어부에 의해 on/off 작동이 제어되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건조실(10)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히터부(20)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날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날(30)은 상기 건조실(1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교반날(30)은 건조실(10) 하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감속축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날부(30)는 건조실(10) 내벽에 설치되는 파쇄날부(16)와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파쇄날부(16)는 회전하는 교반날(30)의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어 횡날과 종날을 형성함으로써 부피나 길이가 긴 음식쓰레기가 파쇄날부(16)와 교반날(30)에 의해 절삭되는 효과를 제공토록 하며, 건조실(10) 내벽에는 파쇄돌기(16a)를 돌출 형성하여 절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날(30)은, 파쇄날부(16)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날부(160) 저면과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 교반하는 하부 회전날(32)과, 파쇄날부(16)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날부(30) 상면과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 교반하는 상부 회전날(34)과, 상부 회전날(34) 단부에 종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반경이 파쇄돌기(16a)에 근접되어 피건조물을 분쇄하는 분쇄날(36)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교반날(30)의 하부 회전날(32)과 상부 회전날(34)이 파쇄날부(16) 저면과 상면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가위원리에 의해 피건조물을 파쇄하고, 또 상부 회전날(34)이 파쇄날부(16)를 통과하는 시점에 분쇄날(36)이 파쇄돌기(16a)에 근접 경유하면서 피건조물이 잘게 분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40)는 상기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여과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부(40)는,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팬(42) 토출구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상향 여과유로(44)와, 상향 여과유로(44) 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습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여과필터(46)와, 여과필터(46) 하단부와 대응하는 상향 여과유로(44) 하부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포집 배출하는 드레인통(48)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필터(46)는 필터함과 덮개로 형성되고, 필터함 내부에 필터카트리지(활성탄 팩을 포함하는 탈취필터)가 교체 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필터 카트리지를 국부적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유지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향 여과유로(44)의 하부에는 팬(42)에 의해 유입된 습공기가 내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습공기가 상향 여과유로(44)를 타고 상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여과필터(46)를 경유하여 배출되므로, 여과 중 응축된 침출수가 중력 방향으로 분리되어 하부에 위치된 드레인통(48)으로 포집되므로, 습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향 여과유로(4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하수구로 유입되도록 배관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부(50)는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연결되어 건조실(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건조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저장한다. 상기 회수부(50)는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한 회수용기(51)로 구성되어 누구나 손쉽게 피건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는 건조실(10)에 설치되는 습도센서에 의해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파악하고, 건조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회수부(50)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는 반송부(100)가 구비된다.
건조물의 강제배출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반송부(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이송스크루(104)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레바퀴와 유사한 회전식 반출바퀴(105)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이송스크루(104)가 적용된 반송부(100)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이송스크루(1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로(13) 측에서 횡방향, 즉 건조실 중심에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송부(100)는 하부 유로(13) 측에서 건조실(10)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반송부(100)가 횡방향 또는 법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미건조된 잔류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스크루(104)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반송부(100)의 배출 측 단부에 형성되어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8)를 건조실(10)의 바닥 대비 높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반송부(100)에 이송스크루(104)가 수직 또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 적용 시, 이송스크루(104) 배출 측 단부에는 편심밀편(106)이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부로 이송된 피건조물을 가압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반송부(100)는 동력전달부재(102)에 의해 교반날(30)과 연계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교반날(30)에 결합되는 모터의 중심축과 이송스크루(104)의 중심축은 벨트 또는 체인으로 형성되는 상기 동력전달부재(102)로 연결된다.
이 때,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교반날(30)이 어느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면서 건조시킬 때는 피건조물이 강제배출 되지 않도록 이송스크루(104)가 배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건조 후 반송부(100)를 통해 배출시킬 때는 모터를 역회전 시켜 이송스크루(104)가 건조실(10) 내의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교반날(30)과 반송부(100)를 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이송스크루(104)가 적용된 반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반송부(100)의 일측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회수부(50)와 가이드관(109)으로 연결되는 배출구(108)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배출구(108)는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를 갖도록 형성하여 바닥에 잔유할 수 있는 물기가 피건조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건조물이 이송스크루(104)에 의한 상향 이송 중에 배출구(108)를 통해 가이드관(109)을 타고 회수부(50)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이송스크루 대신 반출바퀴가 적용된 반송부의 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단면 구성도이고, 도 7은 교반날과 반송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반송부(100)는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반출모터(107)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반출바퀴(105)와, 하부 유로(13)의 반대측에 건조실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되는 배출구(108)와, 배출구(108)를 통해 토출되는 피건조물을 회수부(50) 내로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관(109)를 포함한다.
상기 반출바퀴(105)는 반출모터(107)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임펠라(105a)가 형성되어,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임펠라(105a)가 교반날(30) 회전 시 하부 유로(3)로 유입되는 피건조물을 퍼 올려 건조실(10)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6과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출바퀴(105)의 영역에는 하부 유로(13)를 마감하기 위한 평면 또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마감면(10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편(105b)은 음식쓰레기를 건조할 때 교반날의 회전작용에 의해 피건조물의 일부가 하부 유로(13)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편(105b)의 면적은 하부 유로(13)의 면적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마감편(105b)이 구비되지 않은 반출바퀴(105)의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마감편(105b)이 없다면 교반날(30)의 회전반경을 벗어나는 사각지대(D)가 형성되어 여기에 미건조된 음식물이 적체되어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과정에서 뼈조각과 같은 딱딱한 이물질이 임펠라(105a)에 끼게 되면 반출바퀴(105)가 회전되지 않는 오작동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마감면(105b)이 하부 유로를 폐쇄한 위치에서 반출모터(107)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감지유닛(110)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도 9는 반출바퀴가 적용된 반송부의 저면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마감면(105b)이 하부 유로(13)에 대응되는 각도에서 반출바퀴(105)를 정지하기 위해 반출바퀴(105)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외향 돌출되는 감지편(110b)과, 이 감지편(110b)를 인식하는 센서(110a)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에 반송부(100)의 작동이 끝나면 센서(110a)가 감지편(110b)을 인식할 때 반출모터(107)를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건조실
11: 덮개 12: 입구 13: 하부 유로
14: 상부 유로 16: 파쇄날부 16a: 파쇄돌기
20: 히터부
30: 교반날
32: 하부 회전날 34: 상부 회전날 36: 분쇄날
40: 여과부
42: 팬 44: 상향 여과유로 46: 여과필터 48: 드레인통
50: 회수부 51: 회수용기
100: 반송부
102: 동력전달부재 104: 이송스크루
105: 반출바퀴 105a: 임펠라 105b: 마감면
106: 편심밀편 108: 배출구 109: 가이드관
110: 감지유닛 110a: 센서 110b: 감지편
D: 사각지대
11: 덮개 12: 입구 13: 하부 유로
14: 상부 유로 16: 파쇄날부 16a: 파쇄돌기
20: 히터부
30: 교반날
32: 하부 회전날 34: 상부 회전날 36: 분쇄날
40: 여과부
42: 팬 44: 상향 여과유로 46: 여과필터 48: 드레인통
50: 회수부 51: 회수용기
100: 반송부
102: 동력전달부재 104: 이송스크루
105: 반출바퀴 105a: 임펠라 105b: 마감면
106: 편심밀편 108: 배출구 109: 가이드관
110: 감지유닛 110a: 센서 110b: 감지편
D: 사각지대
Claims (7)
- 덮개(11)에 의해 입구(12)가 개폐되고,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하부 유로(13)와, 습공기가 배출되는 상부 유로(14)가 형성되는 건조실(10);
상기 건조실(10) 저면,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건조실(10) 내부를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히터부(20);
상기 건조실(1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건조물을 교반하도록 구비되는 교반날(30);
상기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여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여과부(40); 및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연결되어, 건조 후 배출되는 피건조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회수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이송스크루(104)를 포함하는 반송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스크루(104)는 건조실(10) 중심에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 유로(13) 측에서 건조실(10)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0)의 하부 유로(13)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을 강제 배출하도록 반출모터(107)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반출바퀴(105)를 포함하는 반송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반출바퀴(105)는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 복수개의 임펠라(105a)를 구비하여,
상기 반출바퀴(105)가 회전하면 하부 유로(13)로부터 건조된 음식물을 건조실(10)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미건조된 잔류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스크루(104)를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또는, 반송부(100)의 배출 측 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8)를 건조실의 건조실(10)의 바닥 대비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바퀴(105)의 일부 영역에는 하부 유로(13)를 마감하기 위한 평면 또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마감면(105b)이 형성되며,
마감면(105b)이 하부 유로(13)에 대응되는 각도에서 반출바퀴(105)를 정지하기 위해 반출바퀴(105)의 중심축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외향 돌출되는 감지편(110b)과, 이 감지편(110b)를 인식하는 센서(110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부(30)는 건조실(10) 내벽에 설치되는 파쇄날부(16)와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파쇄날부(16)는 회전하는 교반날(30)의 경로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어 횡날과 종날을 형성하고, 건조실(10) 내벽에 돌출되는 파쇄돌기(16a)가 형성되며,
상기 교반날(30)은,
파쇄날부(16)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날부(160) 저면과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 교반하는 하부 회전날(32)과,
파쇄날부(16)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쇄날부(30) 상면과 교차되면서 피건조물을 파쇄 교반하는 상부 회전날(34)과,
상부 회전날(34) 단부에 종방향으로 돌출되고, 파쇄돌기(16a)와 교차하면서 피건조물을 분쇄하는 분쇄날(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40)는, 건조실(10) 상부 유로(14)에 연결되어 습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팬(42) 토출구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상향 여과유로(44)와, 상향 여과유로(44) 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습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하는 여과필터(46)와, 여과필터(46) 하단부와 대응하는 상향 여과유로(44) 하부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포집 배출하는 드레인통(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364 | 2022-03-04 | ||
KR20220028364 | 2022-03-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1425A true KR20230131425A (ko) | 2023-09-13 |
Family
ID=8802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5904A Ceased KR20230131425A (ko) | 2022-03-04 | 2022-10-20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1425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3392A (ko) | 2007-12-31 | 2009-07-03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KR101418605B1 (ko) | 2008-09-30 | 2014-07-14 | 코웨이 주식회사 |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
2022
- 2022-10-20 KR KR1020220135904A patent/KR20230131425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3392A (ko) | 2007-12-31 | 2009-07-03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KR101418605B1 (ko) | 2008-09-30 | 2014-07-14 | 코웨이 주식회사 |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25425B2 (ja) | 生ゴミ処理装置 | |
KR101316410B1 (ko) | 회전 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장치 | |
EP0469122B1 (en) | Domestic waste processor | |
EP0625373A2 (en) | Dry waste grinder | |
WO2014108043A1 (zh) | 一种多功能自动垃圾处理器 | |
KR100792851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 |
KR20100040061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40100823A (ko) |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20210037055A (ko) | 스마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90041801A (ko) |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220112919A (ko) |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 |
US3565350A (en) | Comminuting apparatus | |
KR20100009895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230131425A (ko)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753808B1 (ko) |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 |
KR200414796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70082135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533191B1 (ko) |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 |
KR20150017210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385735B1 (ko) |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장치 | |
KR20230137541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432666B1 (ko)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US3716197A (en) |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0839377B1 (ko) | 음식쓰레기 배출량 감소장치 | |
KR200440708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