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230128825A -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825A
KR20230128825A KR1020220026207A KR20220026207A KR20230128825A KR 20230128825 A KR20230128825 A KR 20230128825A KR 1020220026207 A KR1020220026207 A KR 1020220026207A KR 20220026207 A KR20220026207 A KR 20220026207A KR 20230128825 A KR20230128825 A KR 20230128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s
patrol
autonomous
driving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0551B1 (en
Inventor
지승현
Original Assignee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투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51B1/en
Publication of KR20230128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5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60W30/146Speed lim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순찰 차량 주행 경로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하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patrol vehicle traveling path and an apparatus therefor.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one or more key areas based on th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and generating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switched to the enhanced alert mode.

Description

순찰 차량 주행 경로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Method for generating patrol vehicle driving rout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순찰 차량 주행 경로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patrol vehicle travel path and an apparatus therefor.

정보통신 기술과 차량 산업의 융합으로 인해 빠르게 차량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화로 인해, 차량은 단순한 기계적 장치에서 스마트카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카의 핵심기술로 자율 주행이 주목 받고 있다. 자율 주행이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브레이크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기술이다.Due to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vehicle industry, smartization of vehicles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smartization, vehicles are evolving from simple mechanical devices to smart cars, and autonomous drivin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technology of smart cars. Autonomous driving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vehicle to reach its destination on its own without the driver manipulating the steering wheel, accelerator pedal, or brake.

자율 주행 차량은 차량이 도로 상에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계산, 카메라 등 센서를 이용해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 이러한 상황에 따른 차량 운행 결정 및 결정에 따른 차량 제어하는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Self-driving vehicles are equipped with technology that calculates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road, detects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using sensors such as cameras, determines vehicle operation according to these situations, and control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cision.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자율 주행 차량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택시 기사가 필요하지 않은 자율 주행 택시, 식료품 등 필요한 물품을 주문하면 배송해주는 배송 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하는 것은 인적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적용이 도모되고 있다. Based on these technologies, autonomous vehicles can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Examples include self-driving taxis that do not require taxi drivers, and delivery systems that deliver necessary items such as groceries when ordered. Since the use of autonomous vehicles can reduce human resource consumption, applications to various fields are promoted.

범죄를 감시하고 위급상황에 대응하는 경찰차(순찰차)의 순찰 업무에도 자율 주행 차량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경찰차의 순찰만으로도 범죄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된 바 있다. 자율 주행 차량 기술을 치안 업무와 접목시킴으로써 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효과적으로 범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It can also be considered to apply self-driving vehicle technology to patrol tasks of police cars (patrol cars) that monitor crimes and respond to emergencies. In particular, it has been verified through many studies that only patrols by police cars are effective in reducing crime rates. By combining self-driving vehicle technology with public safety, manpower shortages can be resolved and crimes and accide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foregoing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순찰 차량 주행 경로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patrol vehicle travel path and an apparatus therefo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oblems and advantage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comprising: receiving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one or more key zones based on th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coordinates of the one or more key points; and when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switching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the alert enhanced mode.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comprising: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and a processor performing an operation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program, receiving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one or more main zones based on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and generating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generating a patrol route to include and, when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an enhanced alert mode. there is.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the first aspect is recorded on a computer.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단순히 순찰(주행) 경로를 입력하고 이에 따라 차량을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위치 정보를 기초로 능동적 및 즉각적으로 태스크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순찰 경로를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순찰 업무를 수행하도록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stead of simply inputting a patrol (driving) route and driving the vehicle accordingly, the patrol route is actively and immediatel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sk based on the main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effectively perform patrol tasks by setting.

또한, 특정 상황 및 특정 지역에 속하는 경우 운행 모드를 변경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 효과적인 순찰 업무 수행 또는 긴급 상황에 대한 대비 등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belongs to a specific situation and a specific area,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the situation, perform effective patrol work, or prepare for an emergency by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by changing the driving mode.

또한, 서버에 의한 통제 방식인 중앙 집중 방식이 아니라,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자율적으로 순찰 경로를 설정하고 순찰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서버 또는 자율 주행 순찰 체계 전체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autonomously sets the patrol route and performs patrol tasks, rather than the centralized method, which is a control method by the server, even when a plurality of self-driving patrol vehicles are operated, the server or self-driving patrol vehicle Overload of the entire system can be prevented.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인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에서 생성된 예시적인 주요 구역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에서 생성된 예시적인 순찰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인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으로 그룹화된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그룹화를 통한 순찰 경로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지도이다.
도 11a 내지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강화 모드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a 및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차량에 설치된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1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map showing exempl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map showing exemplary major zones generated in a reg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s a map showing an exemplary patrol route generated in a certai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map showing exemplary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certai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map showing illustratively grouped main point coordinates and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certain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A to 10C are maps for explaining creation of a patrol route through grouping of a certain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A to 11C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on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in a boundary enhancement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A and 12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a device installed in an autonomous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ncludes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as functional block structure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 varying number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mponent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circuit configurations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Also,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is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prior art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mponent" may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mpon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ing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ed.

이하에서, '차량'은 자동차, 버스, 오토바이, 킥보드 또는 트럭과 같이 기관을 가지고 사람이나 물건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모든 종류의 운송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vehicle' may refer to all types of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car, bus, motorcycle, kickboard, or truck that are used to move people or objects with engines.

이하에서, 특정 동작 또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라는 기재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에 포함된 구성, 장치, 유닛, 프로세서가 해당 동작 또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가 되는 경우 또한 포함함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as a subject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or method step means that a component, device, unit, or processor included i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r method step. It will be understood that being the subject of doing also means including.

마찬가지로, 특정 동작 또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서버'라는 기재는 경찰 본부의 서버 측에 포함된 구성, 장치, 유닛, 프로세서가 해당 동작 또는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가 되는 경우 또한 포함함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imilarly, the description of 'server' as a subject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or method step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a configuration, device, unit, or processor included in the server side of the police headquarters becomes a subject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r method step.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what it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어 자율 주행 차량(10)을 구현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에 장착되는 자율 주행 장치는, 주변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카메라를 포함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율 주행 장치는 자율 주행 차량(10)의 전면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벤트 센서를 통해, 전방에서 운행 중인 선행 차량(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장치는 자율 주행 차량(10)의 전면은 물론, 옆 차로에서 운행중인 다른 주행 차량(30)과, 자율 주행 차량(10) 주변의 보행자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vehicle to implement an autonomous vehicle 10 .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mounted on the autonomous vehicle 10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cluding cameras) for collecting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autonomous driving device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preceding vehicle 20 running in front through an image sensor and/or an event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 The self-driv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nsors for detecting the front side of the self-driving vehicle 10, another driving vehicle 30 operating in a side road, and pedestrians around the self-driving vehicle 10.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화각(FoV)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자율 주행 차량(10)의 전면에 장착된 센서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각(FoV)을 갖는 경우에, 센서의 중앙에서 검출되는 정보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센서의 중앙에서 검출되는 정보에, 선행 차량(2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정보가 대부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nsors for collecting situational information around the self-driving vehicle may have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FoV) a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when a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the autonomous vehicle 10 has an angle of view (FoV) as shown in FIG. 1 , information detected in the center of the sensor may have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This may be because most of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preceding vehicle 20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center of the sensor.

자율 주행 장치는, 자율 주행 차량(10)의 센서들이 수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자율 주행 차량(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한편, 센서들이 수집한 정보 중에 적어도 일부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elf-driving device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self-driving vehicle 10 by processing information collected by sensors of the self-driving vehicle 10 in real time, while storing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s in a memory device. .

도 2를 참조하면, 자율 주행 장치(40)는 센서부(41), 프로세서(46), 메모리 시스템(47), 및 차체 제어 모듈(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1)는 복수의 센서(카메라를 포함함)(42-45)를 포함하며, 복수의 센서들(42-45)은 이미지 센서, 이벤트 센서, 조도 센서, GPS 장치,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40 may include a sensor unit 41 , a processor 46 , a memory system 47 , a vehicle body control module 48 , and the like. The sensor unit 4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ing a camera) 42-45, and the plurality of sensors 42-45 include an image sensor, an event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GPS device,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can include

센서들(42-45)이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46)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46)는 센서들(42-45)이 수집한 데이터를 메모리 시스템(47)에 저장하고, 센서들(42-45)이 수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체 제어 모듈(48)을 제어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47)은 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과, 메모리 장치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제공될 수 있다.Data collected by sensors 42-45 may be passed to processor 46. The processor 46 stores the data collected by the sensors 42-45 in the memory system 47, and controls the body control module 48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sensors 42-45 to control the vehicle movement can be determined. The memory system 47 may include two or more memory devices and a system controller controlling the memory devices. Each of the memory devices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emiconductor chip.

메모리 시스템(47)의 시스템 컨트롤러 외에, 메모리 시스템(47)에 포함되는 메모리 장치들 각각은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컨트롤러는 신경망과 같은 인공지능(AI)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센서들(42-45) 또는 프로세서(4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연산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산 데이터를 메모리 칩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ystem controller of the memory system 47, each of the memory devices included in the memory system 47 may include a memory controller, and the memory controller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operation circuit such as a neural network. The memory controller may generate calculation data by assigning a predetermined weight to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s 42 to 45 or the processor 46 and store the calculation data in a memory chip.

도 3은 자율 주행 장치가 탑재된 자율 주행 차량의 센서(카메라를 포함함)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5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전면에 장착된 센서가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50)에는 자율 주행 차량의 전면부(51), 자율 주행 차량과 같은 차로의 선행 차량(52), 자율 주행 차량 주변의 주행 차량(53) 및 배경(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age data acquired by a sensor (including a camera) of an autonomous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Referring to FIG. 3 , image data 50 may be data acquired by a sensor mounted on the front of an autonomous vehicle. Therefore, the image data 50 may include the front part 51 of the autonomous vehicle, the preceding vehicle 52 in the same lane as the autonomous vehicle, the driving vehicle 53 and the background 54 around the autonomous vehicle. .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50)에서, 자율 주행 차량의 전면부(51)와 배경(54)이 나타나는 영역의 데이터는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율 주행 차량의 전면부(51)와 배경(54)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갖는 데이터로 간주될 수 있다.In the image data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 the data of the area where the front part 51 and the background 54 of the autonomous vehicle appear is data that has little possibility to affect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can be In other words, the front part 51 and the background 54 of the autonomous vehicle may be regarded as data having relatively low importance.

반면, 선행 차량(52)과의 거리, 및 주행 차량(53)의 차로 변경 움직임 등은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한 운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50)에서 선행 차량(52) 및 주행 차량(53) 등이 포함되는 영역의 데이터는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52 and the movement of the driving vehicle 53 to change lanes may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saf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ccordingly, data of an area including the preceding vehicle 52 and the driving vehicle 53 in the image data 50 may have a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driving the autonomous vehicle.

자율 주행 장치의 메모리 장치는, 센서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50)의 영역별로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선행 차량(52)과 주행 차량(53) 등이 포함되는 영역의 데이터에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자율 주행 차량의 전면부(51)와 배경(54)이 나타나는 영역의 데이터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 memory device of the self-driving device may store the image data 50 received from the sensor by assigning different weights to each region. For example, a high weight is given to data in an area including the preceding vehicle 52 and the driving vehicle 53, and a low weight is given to data in an area where the front part 51 and the background 54 of the self-driving vehicle appear. can be grant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image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하나 이상의 단안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깊이 추정을 위한 심층 신경망 모델의 학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집된 영상 데이터에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Image data collected through one or more monocular cameras may be used to train a deep neural network model for depth estimation. Collected imag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객체에 관한 정보는 객체 종류 정보 및 객체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객체 종류 정보는 객체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이며, 큰 범위인 그룹과 세부 범위인 클래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객체 속성 정보는 객체의 현재 상태에 대한 속성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며, 움직임 정보, 회전 정보, 교통 정보, 색상 정보, 및 가시성 정보를 포함한다.Information about objects includes object type information and object property information. Here, the object type information is index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object, and is composed of a group, which is a large range, and a class, which is a detailed range. And, the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es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object, and includes motion information, rotation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color information, and visibility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객체 종류 정보에 포함되는 그룹 및 클래스는 아래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groups and classes included in the object type information may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객체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Action, Rotate, Traffic info, color, Visibility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ls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 property information may include Action, Rotate, Traffic info, color, and visibility information.

Action 정보는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표현하며 정차, 주차, 이동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차량의 경우 정차, 주차, 이동이 객체 속성 정보로 결정될 수 있고, 신호등과 같이 움직일 수 없는 객체의 경우 디폴트 값인 정지로 객체 속성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Action information expresses mo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can be defined as stop, parking, and movement. In the case of a vehicle, stop, parking, and movement may be determined as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n immovable object such as a traffic light,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a default value of stop.

Rotate 정보는 객체의 회전 정보를 표현하며 정면, 후면, 수평(horizontal), 수직(vertical), 측면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차량의 경우 정면, 후면, 측면으로 객체 속성 정보가 정해질 수 있고,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신호등은 각각 수평 또는 수직으로 객체 속성 정보가 정해질 수 있다.Rotate information expresses rot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can be defined as front, back, horizontal, vertical, and side. In the case of a vehicle, object property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for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and object property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for horizontal or vertical traffic lights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raffic info는 객체의 교통정보를 의미하며, 교통표지판의 지시, 주의, 규제, 보조 표지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Color는 객체의 색상 정보를 의미하며 객체의 색상, 신호등 및 교통표지판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Traffic info means the traffic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can be defined as directions, cautions, regulations, auxiliary signs, etc. of traffic signs. Color means the color information of an object and can express the color of an object, the color of traffic lights and traffic signs.

도 4를 참조하면, 수집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은 신호등, 표지판, 현재 주행 차로, 로드 마킹, 횡단보도, 방지턱, 교차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4 , objects included in the collected image data may be traffic lights, signs, current driving lanes, road markings, crosswalks, barriers, intersection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개시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경찰 본부의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면밀하게 순찰할 필요가 있는 주요 구역을 생성한다.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수신한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생성하였던 주요 구역에 속하게 되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An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key point coordinates re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rver of a police headquarters and creates key areas that need to be carefully pa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key point coordinates.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creates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received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s, and allows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move according to the patrol rout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in real time, and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fall within the created main area, control to switch the operat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enhanced vigilance mode. do.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인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5 is a map showing exempl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3개의 주요 지점 좌표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을 시작하는 순찰 출발지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5 , coordinates of three main points and a patrol starting point where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starts patrolling are shown.

본 개시에서, 주요 지점 좌표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통해 중점적으로 순찰이 필요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여,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coordinates of main points refer to coordinates indicating a location requiring intensive patrolling through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coordinates of key points and generate a patrol route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key points.

일 실시예에서, 주요 지점 좌표는 고정된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에서 결정한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본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장소,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 인적이 드문 장소, 가로등 설치가 되지 않은 장소, 범죄 취약 계층(여성, 청소년 등)이 밀집된 장소 등을 주요 지점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본부는 과거에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의해 생성되었던 이력이 있는 접선 좌표를 주요 지점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본부는 과거에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긴급 신호를 수신한 경우 긴급 신호를 발신한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단말 좌표를 주요 지점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본부는 과거에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출동한 바 있는 신고 좌표를 주요 지점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즉, 고정된 좌표인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하여금 중점적으로 순찰하도록 하기 위해 지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key point coordinates may be fixed coordinates. For example, the key point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determin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For example, the police headquarters coordinates key points such as places where accidents often occur, places where CCTVs are not installed, places where people are rare, places where streetlights are not installed, and places where the vulnerable to crime (women, teenagers, etc.) are concentrated. can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the police headquarters may determine tangential coordinates that have a history generated by autonomous patrol vehicles in the past as main point coordinates. For example, when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in the past, the police headquarters may determine terminal coordinates of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an emergency signal as the coordinates of a main point. For example, the police headquarters may determine the coordinates of a report where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has been dispatched in the past as the coordinates of a main point. This is provided for purposes of simple illustr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at is, the main point coordinates, which are fixed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representing any appropriate location that the police headquarters can designate for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focus on patrolling.

다른 실시예에서, 주요 지점 좌표는 이동하는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 좌표는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된 좌표일 수 있다. '허가된 이동 단말기'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주요 지점 좌표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경찰 본부에서 제공하는 단말기, 경찰 본부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단말기를 소지한 자는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주요 지점 좌표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는 좌표이다.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즉, 이동하는 좌표인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하여금 중점적으로 순찰하도록 하기 위해 지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key point coordinates may be moving coordinates. For example, the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included in a signal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oordinates of a main point to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may be, for example, a terminal provid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or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Since a person possessing a terminal can move, in this case, coordinates of key points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can be changed in real time. This is provided for purposes of simple illustr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at is, the main point coordinates, which are moving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indicating the location of any suitable target that the police headquarters can designate in order to hav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focus on patrolling.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요 지점 좌표는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 좌표는 다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생성한 접선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 좌표는 다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단말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 좌표는 다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출동하는 목적지 정보를 나타내는 신고 좌표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추가적으로 수신되는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가 복수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운용함에 있어, 자율 주행 순찰 차량 간의 연계를 용이하게하는 임의의 적합한 좌표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additionally received coordinates. For example, the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tangential coordinates generated by another autonomous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For example, the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terminal coordinates of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when another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from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report coordinates indicating destination information to which other self-driving patrol vehicles are dispatched. This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simple example, and the additionally received main point coordinates may be any suitable coordinates that facilitate linkage between autonomous patrol vehicles when the police headquarters operates a plurality of autonomous patrol vehicles.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에서 생성된 예시적인 주요 구역을 나타내는 지도이다. 6 is a map showing exemplary major zones generated in a reg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3개의 주요 지점 좌표, 이에 기초한 3개의 주요 구역 및 순찰 출발지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6 , coordinates of three main points, three main areas based thereon, and a patrol starting point are shown.

본 개시에서, 주요 구역은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구역으로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중점적으로 순찰하여야 하는 구역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구역에 진입하면, 보다 면밀한 순찰을 위하여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 main zone is an area set based on coordinates of a main point, and refers to an area where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should focus on patrolling. In one embodiment, whe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enters a major area,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switched for closer patrolling.

주요 구역은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임의의 적합한 방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구역은 각 주요 지점 좌표로부터 반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구역은 각 주요 지점 좌표로부터 반경으로 100m, 200m, 500m, 1km 등의 거리만큼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구역은 각 주요 지점 좌표로부터 반경으로 인접한 주요 지점 좌표와의 거리만큼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구역은 각 주요 지점 좌표가 속한 블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즉, 주요 구역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Key zones may be created in any suitable manner based on key point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main zone may be s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adius from the coordinates of each main point. For example, the main zone may be set as a distance of 100m, 200m, 500m, 1km, etc. as a radius from the coordinates of each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main zone may be set as much as the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djacent to the coordinates of each main point in a radius. In one embodiment, the main area may be set as a block to which the coordinates of each main point belong. This is provided for purposes of simple illustr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at is, the key zone may be created in any suitable way tha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generate based on key point coordinates to effectively patrol.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에서 생성된 예시적인 순찰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7 is a map showing an exemplary patrol route generated in a certai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3개의 주요 지점 좌표, 3개의 주요 구역, 순찰 출발지 및 3개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는 순찰 경로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7 , a patrol route including three main point coordinates, three main areas, a patrol starting point, and three main point coordinates is shown.

본 개시에서, 순찰 경로는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여,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 patrol route may be created to include key point coordinates. In the present disclosure, an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receive coordinates of key points and generate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coordinates of key points.

주행 경로의 노선(route)의 측면에서,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최단 거리를 주행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최단 시간으로 주행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실시간 교통 정보에 기초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순찰 경로는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노선을 선택하여 생성될 수 있다. In terms of a route of the driving route, in an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ravels the shortest distanc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ravels in the shortest tim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based 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patrol rout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any suitable route to include key point coordinates.

주행 경로의 순서의 측면에서,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지점 좌표 중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순찰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 출발지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주요 지점 좌표를 가장 먼저, 다음 그 좌표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아직 순찰 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주요 지점 좌표, 그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순찰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가장 길이가 긴 순찰 경로가 생성되도록 순서를 결정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순찰 경로는 주요 지점 좌표에 대해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순찰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In terms of the order of the driving route, in an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patrols in an order close to a patrolling starting point among coordinates of a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where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s closest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first, then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that is closest to the coordinates and is not yet included in the patrol route, and then You can create patrol routes to repeat patrols in the same way.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the patrol route by determining an order such that the patrol route having the longest length is generated.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patrolling routes can be created to patrol point coordinates in any suitable order.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가 아닌, 순찰 경로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경찰 본부)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을 수행할 구간을 미리 정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좌표(예컨대,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는 경우, 전술한 방식으로 좌표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만, 순찰 경로를 수신하는 경우, 추가적인 경로 생성 동작 없이 수신한 순찰 경로를 따라 순찰하도록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전송하는 순찰 경로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구간 별로 속도를 달리하여 순찰할 수 있도록,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patrol route rather than coordinates of key points. 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police headquarters) may predetermine a section in which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will patrol, generate a patrol route, and transmit the patrol route to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Whe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receives coordinates (eg, key point coordinates), it performs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route based on the coordinates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but when receiving a patrol route, it is received without an additional route creation operatio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be controlled to patrol along a patrol route. In one embodiment, the patrol route transmitted by the server may include speed information so tha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patrol at a different speed for each section.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인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8 is a map showing exemplary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certai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3개의 주요 지점 좌표, 이에 기초한 3개의 주요 구역, 순찰 출발지 및 7개의 2차 주요 지점 좌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8 , coordinates of three main points, three main areas based thereon, a patrol starting point, and seven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are shown.

본 개시에서, 2차 주요 지점 좌표는, 주요 지점 좌표와 마찬가지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통해 중점적으로 순찰이 필요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뿐만 아니라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여, 주요 지점 좌표와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2차 주요 지점 좌표에 대해서는 주요 구역을 생성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like the main point coordinates, refer to coordinates indicating a location requiring intensive patrolling through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s well as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and generate a patrol route includ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does not create a main area for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찰 경로는 주요 지점 좌표와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모두 포함하도록 생성되지만, 2차 주요 지점 좌표에 대해서는 주요 구역이 생성되지 않는다. 즉,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2차 주요 지점 좌표도 순찰할 수 있도록 주행 경로가 생성되지만, 제한된 순찰 시간 내에서 효과적으로 순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순찰 좌표에 차등을 두어, 2차 주요 지점 좌표와 연관된 지역에서는 개별적으로 운행 모드를 전환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rol route is created to include both the main point coordinates and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but no main zone is created for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That is, a driving route is created so tha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also patrol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main point, but the patrolling coordinates are differentiated so that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can effectively patrol within a limited patrol time, and the area associat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main point. may be designed not to individually switch the driving mode.

일 실시예에서, 2차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에서 결정한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찰 본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장소,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 인적이 드문 장소, 가로등 설치가 되지 않은 장소, 범죄 취약 계층(여성, 청소년 등)이 밀집된 장소 등을 2차 주요 지점 좌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즉, 2차 주요 지점 좌표는 경찰 본부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하여금 중점적으로 순찰하도록 하기 위해 지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ary key point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determin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For example, the police headquarters can identify places where accidents often occur, places where CCTVs are not installed, places where people are rare, places where streetlights are not installed, and places where the vulnerable to crime (women, teenagers, etc.) are concentrated. It can be determined by point coordinates. This is provided for purposes of simple illustra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at is,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main points may be coordinates indicating any suitable location that the police headquarters can designate to allow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focus on patrolling.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뿐만 아니라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 경로의 노선의 측면에서,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최단 거리를 주행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최단 시간으로 주행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순찰 경로는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노선을 선택하여 생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generate a patrol route to include not only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but also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In terms of the route of the driving route, in an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ravels the shortest distanc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ravels in the shortest time.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patrol rout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any suitable route such that it includes keypoint coordinates and secondary keypoint coordinates.

주행 경로의 순서의 측면에서,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지점 좌표를 먼저 순찰하고,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순찰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지점 좌표 또는 2차 주요 지점 좌표 중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순찰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 출발지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한 주요 지점 좌표 또는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가장 먼저, 다음 그 좌표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아직 순찰 경로에 포함되지 않은 주요 지점 좌표 또는 2차 주요 지점 좌표, 그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순찰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terms of the order of the driving route, in an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uch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patrols the main point coordinates first and then patrols the main point coordinates second.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patrols in an order closest to a patrol starting point among coordinates of a main point or coordinates of a second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sets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or the secondary main point where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s closest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first, and then the coordinates are located closest to the coordinates and are not yet included in the patrol route. A patrol route can be created to repeatedly patrol the main point coordinates or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in the same way thereafter.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예시적으로 그룹화된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타내는 지도이다. 9 is a map showing illustratively grouped main point coordinates and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of a certain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그룹 1, 그룹 2 또는 그룹 3으로 그룹화된 주요 지점 좌표와 2차 주요 지점 좌표, 주요 구역 및 순찰 출발지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9 , the main point coordinates grouped into group 1, group 2 or group 3,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main area, and patrol start point are shown.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그룹화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그룹화하면, 그룹화된 지역을 비슷한 시간대에 순찰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순찰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by group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main point. By group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key point, an effective patrol route can be constructed so that the grouped areas are patrolled at similar times.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각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직선 거리상으로 가장 가까운 주요 지점 좌표와 그룹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각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위도 또는 경도 거리상으로 가장 가까운 주요 지점 좌표와 그룹화할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그룹화 방식을 통해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그룹화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roup the coordinates of each secondary main point with the coordinates of the nearest main point on a straight line distanc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roup each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 with the closest main point coordinates in latitude or longitude distance.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roup the main point coordinates and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through any suitable grouping method.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그룹화한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그룹 단위로 순찰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그룹 사이의 순찰 순서인 그룹 순번을 결정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그룹 내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의 순찰 순번인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ary main point are grouped,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figure a patrol route in a group unit.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a group order, which is a patrol order between groups, and determines a group order, which is a patrolling order of main point coordinates and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in the group, for each group to patrol. path can be created.

도 10a 내지 10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지역의 그룹화를 통한 순찰 경로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지도이다. 10A to 10C are maps for explaining creation of a patrol route through grouping of a certain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a는 예시적인 그룹 순번을 설명한다.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그룹화가 수행되므로, 그룹 순번은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그룹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순찰 출발지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주요 지점 좌표가 속한 그룹이 가장 먼저, 다음 그 주요 지점 좌표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아직 순번에 포함되지 않은 주요 지점 좌표가 속한 그룹, 그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하여 그룹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위도 또는 경도 값이 작은 순서대로 그룹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그룹 순번은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결정되었다(그룹2 - 그룹1 - 그룹3의 순서로 순찰하는 경로임).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그룹 간의 그룹 순번을 결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10A illustrates an exemplary group ordering. Since group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main point coordinates, the group ord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in point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order of the groups may be determined by listing them in order close to the starting point of patrol based on the coordinates of each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group to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located closest to the patrolling starting point belongs first, then the group to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located closest to the main point coordinates and not yet included in the order belong, and then repeated in the same way Group order may be determined. In one embodiment, the order of the groups may be determin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latitude or longitude values based on the main point coordinates. Referring to FIG. 10A , an exemplary group order number is determined by arranging them in the order of closeness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s (a route to be patroled in the order of group 2 - group 1 - group 3).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any suitable manner capable of determining group ordering between groups may be employed.

도 10b는 예시적인 그룹 내 순번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그룹에 속한 주요 지점 좌표가 가장 먼저, 다음 주요 지점 좌표와 가까운 순서대로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열하여 그룹 내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그룹에 속한 주요 지점 좌표가 가장 마지막, 주요 지점 좌표와 먼 순서대로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열하여 그룹 내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 순번 상 전 그룹의 주요 지점 좌표와 거리가 가까운 순서대로 그룹 내 순번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그룹에 대하여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하는 방식이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그룹 3의 그룹 내 순번은 주요 지점 좌표를 첫번째 순번, 다음 주요 지점 좌표와 가까운 순서대로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열하여 결정되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각 그룹에 대하여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10B illustrates exemplary intra-group ordering. In one embodiment, the order within the group may be determined by list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belonging to each group first, and then listing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in the order of proximity to the coordinates of the next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order within the group may be determined by listing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in the order in which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belonging to each group are the last and distant from the coordinates of the last main point. In one embodiment, the order within the group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distance to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of the previous group in the order of the group order. 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determining an order within a group may be applied to each group equally or differently. Referring to FIG. 10B , the order number within the group of the exemplary group 3 is determined by arrang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 in the first order and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 in the order of proximity to the coordinates of the next main point.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any suitable manner in which the order within the group can be determined for each group may be employed.

도 10c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난 그룹 순번 및 그룹 내 순번을 기초로 생성된 예시적인 순찰 경로를 도시한다. FIG. 10C shows an exemplary patrol route generated based on the group turn number and the intra-group turn number shown in FIGS. 10A and 10B.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생성된 주요 지점 좌표 및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는 순찰 경로에 따라 순찰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주요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엔 운행 모드를 전환하게 될 것이다.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will patrol according to the patrol route including the main point coordinates and th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genera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When entering a major area that has been identified, the driving mode will be switched.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순찰 경로와 달리,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임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경찰 본부가 신고 접수를 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긴급하게 인력을 배치하여 경찰차를 출동시키는 것에 앞서, 해당 지역에서 이미 순찰을 수행하고 있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기존에 주행하던 순찰 경로에서 벗어나, 임시 경로를 생성하여,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임시 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unlike the patrol routes described above, autonomous patrol vehicles may create temporary routes.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police headquarters receives a report. In this case, it may be effective to move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that is already patrolling in a corresponding area prior to dispatching police vehicles by urgently deploying personnel. In this cas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deviate from an existing patrol route and create a temporary route so that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drives along the temporary route.

경찰 본부가 신고 접수를 받은 경우, 경찰 본부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신고 접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신고 접수 신호는 경찰차가 출동하는 목적지 정보를 나타내는 신고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신고 좌표를 수신하는 경우, 기존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따라 이동하던 순찰 경로를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현재 좌표부터 신고 좌표까지 임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현재 좌표부터 신고 좌표까지 최단 거리를 주행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현재 좌표부터 신고 좌표까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최단 시간으로 주행하도록 임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임시 경로는 현재 좌표와 신고 좌표를 포함하도록 하는 임의의 적합한 노선을 선택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신고 좌표를 수신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긴급 출동 모드로 전환(후술)할 수 있다. When the police headquarters receives the report, the police headquarters may transmit a report reception signal to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the report reception signal may include report coordinates indicating destin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police car is dispatched. In one embodiment, when receiving the reported coordinates,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store a patrol route along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has moved in a memory devic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reate a temporary route from the current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reported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rol route to travel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urrent coordinates to the reported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reate a temporary route so tha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ravels from the current coordinates to the reported coordinates in the shortest time.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he temporary route can be created by selecting any suitable route to include the current coordinates and the declared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an emergency dispatch mode (described later) when receiving the reported coordinates.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상황에 따라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구역에 진입하면, 보다 면밀한 순찰을 위하여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일반 순찰 모드에서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주요 구역을 벗어나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에서 일반 순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switch the driving method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according to circumstances.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from the normal patrol mode to the enhanced alert mode for closer patrol whe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enters a main area.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from the enhanced alert mode to the normal patrol mode whe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leaves the main area.

일반 순찰 모드는 일반적인 상황 즉,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위치가 주요 구역 밖일 때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일 수 있다. 일반 순찰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특정 제한 또는 부가적인 기능이 없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The normal patrol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n a general situation, that is, when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s outside a main area. In normal patrol mod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be controlled without any specific restrictions or additional functions.

경계 강화 모드는 면밀한 순찰이 필요한 상황 즉,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위치가 주요 구역에 속할 때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일 수 있다.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경계 및 순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특정 제한이 있는 상태로 제어되거나,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The enhanced vigilance mode may be a driving mode of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in a situation requiring careful patrol, that is, when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belongs to a major area. In the alert enhancement mod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controlled with certain restrictions or added with functions to enhance alert and patrol functions.

일 실시예에서,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최고 속도는 소정의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값은 20km/h, 30km/h, 50km/h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경찰 본부(또는 서버)로 경계 강화 모드 전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방범등 또는 비상등을 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서버로 전송 또는 실시간 송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speed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n the alert enhanced mode may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20 km/h, 30 km/h, 50 km/h,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in the enhanced vigilance mod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enhanced vigilance mode to the police headquarters (or server).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urn on a crime prevention light or an emergency light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n the alert reinforcement mode. In one embodiment, in the enhanced alert mod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acquire image data through a camera mounted o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store the obtained data in a database, transmit it to a server, or transmit it in real time. there is.

도 11a 내지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강화 모드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1A to 11C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screens displayed on a permitted mobile terminal in a boundary enhancement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순찰 경로 및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를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는 순찰 차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안전을 도모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허가된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경찰 본부에서 제공하는 단말기, 경찰 본부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계 강화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허가된 이동 단말기에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이동 경로 및 좌표를 제공함으로써,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가 이를 참고하게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the alert enhanced mode,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patrol route along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s moving and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Through this, the owner of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patrol vehicle to promote or verify safety. As described above,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terminal provid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or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In this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in the enhanced alert mode provides the moving route and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so that the own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can refer to them.

도 11a를 참조하면,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에 경찰 본부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실시예가 나타난다.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전자 장치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A , an embodiment in which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police headquarters is installed in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is shown.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C, a smart TV,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a 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a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and other mobile electronic devices. there is.

도 11a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지도 인터페이스(1110)에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전송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순찰 경로 및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표시될 수 있다.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의 위치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의 소지자는 조작 인터페이스(1120)를 통해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 인터페이스(1120)는 메시지 발신 버튼, 긴급 신호 발생 버튼, 신고 버튼,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 the map interface 1110 of the application screen may display the patrol route along which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s moving and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ransmit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The location of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1100 may also be displayed. In one embodiment, the own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can operate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through the operation interface 1120 . In one embodiment, the manipulation interface 1120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message transmission button, an emergency signal generation button, a report button, and a text input interface.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경계 강화 모드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로 인한 속도 제한 등이 일시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수신한 단말 좌표에 기초하여 접선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접선 좌표는,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과 같은 경우,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만나기 위한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생성된 접선 좌표까지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생성된 접선 좌표까지의 경로를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receive terminal coordinates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from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when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in the enhanced alert mode. . In one embodiment,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emporarily release a speed limit or the like due to a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tangential coordinates based on the received terminal coordinates. The tangential coordinates may represent location information for meeting the own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and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when the hold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path from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tangential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the generated path to the tangential coordinates to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도 11b를 참조하면,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의 소지자가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를 통해 긴급 신호를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접선 좌표를 생성하여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에 전송하는 실시예가 나타난다.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전송한 접선 좌표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지도 인터페이스(1110)에 표시(★로 표시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는 지도 인터페이스(1110)를 통해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의 소지자로 하여금 접선 좌표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B, the owner of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11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through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1100, and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generates tangential coordinates An embodiment of transmission to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1100 is presented.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may receive tangential coordinates transmitt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and display them (marked with ★) on the map interface 1110 of the application screen. In one embodiment,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may guide the owner of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1100 to move to tangential coordinates through the map interface 1110 .

도 11c를 참조하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접선 좌표까지 경로를 생성하고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로 전송하는 실시예가 나타난다. 허가된 이동 단말기(1100)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전송한 접선 좌표까지 경로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지도 인터페이스(1110)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C ,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creates a path from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tangential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path to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is shown.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1100 may receive a route up to the tangential coordinates transmit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and display the route on the map interface 1110 of the application screen.

일 실시예에서, 접선 좌표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순찰 경로 상의 임의의 좌표 중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단말 좌표와 가장 가까운 좌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선 좌표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긴급 신호를 수신한 때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와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단말 좌표와의 중점일 수 있다. 이는 예시로서 제공되며, 접선 좌표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angential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closest to terminal coordinates of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among arbitrary coordinates on a patrol route of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tangential coordinate may be the midpoint of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and the terminal coordinates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whe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This is provided as an example, and tangent coordinates may be generated in any suitable way.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접선 좌표를 생성하는 것에 대신하여,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허가된 이동 단말기까지 긴급 경로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긴급 경로를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긴급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실시간으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를 전송하고 단말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newly create an emergency rout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instead of generating tangential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n emergency route to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move along an emergency rout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and receive terminal coordinates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와 단말 좌표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문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은 1m, 2m, 5m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사람이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문을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승한 사람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탑승한 사람의 신분증과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신원 확인 후,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 출발지로 복귀 또는 신분증 상의 주소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o open a door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and the terminal coordinates is equal to or less than a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threshold may be 1 m, 2 m, 5 m,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detect whether a person is on board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and close the door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heck the identity of a person rid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For exampl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verify the identit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card of the person on board and information on the own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return to a patrol starting point or to move to an address on an identification card after identity verification.

도 12a 및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2A and 12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devices installed in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승한 사람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를 통해 자신의 신원을 인증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erson rid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authenticate his or her identity through a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he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C, a smart TV, a PDA, a laptop, a 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a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and other mobile electronic devices. The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connec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or may be a part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는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허가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의 신원을 표시할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사람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는, 예를 들어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에 탑승한 사람의 신분증을 캡처하거나 안면을 인식하는 등의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차량에 탑승한 사람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신원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차량에 탑승한 사람이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설치된 기기(1200)를 작동할 수 없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에 탑승한 사람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순찰 출발지로 복귀할 것인지 또는 신분증 상의 주소로 복귀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A , the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display the identity of the holder of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1210, and a person riding the vehicle can use the interface 121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device 1200 installed o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is able to access the vehicle through any suitable means, such as, for example, capturing the identity of a person in the vehicle via a built-in camera or recognizing the face. The identity of the person on board can be verified.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be designed so that a person in the vehicle cannot operate the device 1200 installed in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hrough the interface 1210 unless the identity is authenticated. there is. In one embodiment, the person in the vehicle may select via interface 1210 whether to return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or to the address on the identification card.

도 12b를 참조하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차량에 탑승한 사람의 신원을 확인한 후,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순찰 출발지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가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순찰 출발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생성한 경로와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를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승한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승한 사람은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경찰 본부와 접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B ,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checks the identity of a person riding in the vehicle and then controls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of patrol is shown.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a route to a patrol starting point and provide the created route and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a person riding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hrough the interface 1210. there is. In one embodiment, a person in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contact the police headquarters via interface 1210.

전술한 경계 강화 모드에 관한 예시들 외에도,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경계 및 순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examples of the aforementioned vigilant enhancement mode,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for enhancing vigilance and patrol functions of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신고 좌표를 수신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긴급 출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긴급 출동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방범등, 비상등 또는 사이렌을 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긴급 출동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최고 속도 제한이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긴급 출동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교통 법규(도로의 속도 규정, 교통 신호)를 무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긴급 출동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중앙 차선을 무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로서 제공되며, 긴급 출동 모드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신고 좌표를 향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emergency dispatch mode when receiving the report coordinates.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urn on a crime prevention light, an emergency light, or a siren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n an emergency dispatch mode. In one embodiment,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have no maximum speed limit in an emergency dispatch mod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ignore traffic laws (road speed regulations, traffic signals) in an emergency dispatch mod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o ignore the center lane in an emergency dispatch mode. This is provided as a simple example, and in the emergency dispatch mode,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quickly move toward the reported coordinates in any appropriate manner.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은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암행 순찰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통하여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은, 예를 들어, 다른 차량의 비정상적인 차선 변경 감지를 통한 음주 운전 예측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은, 예를 들어, 신호를 위반하는 다른 차량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은, 예를 들어, 속도 규정을 위반하는 다른 차량 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예시로서 제공되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는 시민을 위험하게 하는 사건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an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By installing the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an perform tasks such as covert patrol without the input of additional personnel.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perform an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through a camera or sensor mounted o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The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predic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etection of an abnormal lane change of another vehicle. An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detecting other vehicles violating a signal. The driving abnormality detection fun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detection of other vehicles violating speed regulations. This is provided as a simple example, and autonomous patrol vehicles may be equipped with any suitable feature to prevent incidents and accidents endangering citizens.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이상 운전을 감지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이상 운전 차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이상 운전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상 운전 감지 기능은 운행 모드 별로 온/오프가 상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bnormal driving is detected,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obtain image data and/or information of the abnormally driving vehicle through a camera mounted on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cquired image data and/or abnormal driving vehicle information to a server. In one embodiment, the abnormal driving detection function may be turned on/off differently for each driving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경찰 본부의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주요 지점 좌표를 전송하여 순찰을 위한 위치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제어 장치가 자율적으로 경로를 생성하고 순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요 지점 좌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인 순찰을 위한 신호, 데이터 등을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전송하거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of the police headquarters may notify location information for patrol by transmitting the coordinates of key points to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he server may transmit key point coordinates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patrol vehicle control device can autonomously create a route and perform patrol tasks. In addition, signals and data for effective patrolling in various situations may be transmitted to or received from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전송하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 허가된 이동 단말기가 전송하는 단말 좌표 등의 위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이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찰 본부에 신고가 접수된 경우,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 신고 접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찰 본부에 신고가 접수된 경우, 서버는 복수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 중 신고 좌표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대해서만 신고 접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으로부터 경계 강화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may monitor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ransmitted by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terminal coordinates transmitted by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may receive image data transmitted by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store it in a database. In one embodiment, when a report is received to the police headquarters, the server may transmit a report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In one embodiment, when a report is received to the police headquarters, the server may transmit a report acknowledgment signal only to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located closest to the report coordinates among the plurality of self-driving patrol vehicles. In one embodiment, the server may receive an enhanced alert mode switching signal from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관련되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할지라도, 앞서 설명된 내용들은 도 13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shown in FIG. 13 is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contents may be applied to the method of FIG. 13 even if omitted below.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1310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in step 1310, coordinates of one or more main points may be received.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좌표 및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된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ordinates of one or more main poi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ordinates included in a signal received from a server and coordinates included in a signal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n authorized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및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and one or more secondary key point coordinates may be received.

단계 1320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1320, one or more key zones may be creat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one or more key points.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각각으로부터 반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설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may be s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adius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단계 1330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1330, a patrol route may be created to includ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대해서 순번을 결정하고, 순번에 기초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order may be determined for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a patrol rout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rder, and an order may be determined by arranging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in an order close to a patrol starting point.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및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atrol route may be created to includ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and one or more secondary key point coordinates.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 각각을 가장 가까운 주요 지점 좌표와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그룹 사이에 그룹 순번을 결정하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하고, 그룹 순번 및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의 그룹 내 순번에 기초하여 순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ary key point coordinates is grouped with the closest key point coordinates to create one or more groups, a group order is determined among the one or more groups, and an order within the group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and may generate a patrol route based on the group order and the intra-group order of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속하는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순번을 결정하여 그룹 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roup order may be determined by listing the main point coordinates belonging to one or more groups in order close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and determining the order.

일 실시예에서, 주요 지점 좌표를 제 1 순번으로 결정하고, 주요 지점 좌표와 가까운 순서대로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열하여 이후 순번을 결정하여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rder within the group may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ordinates of the main points as the first order, listing the coordinates of the second main points in the order close to the main point coordinates, and then determining the order.

단계 1340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In step 1340, if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main zones,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switched to the enhanced alert mode.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최고 속도를 소정의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speed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일 실시예에서, 순찰 경로 및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를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ordinates of the patrol route and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transmitted to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를 수신하고,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단말 좌표를 수신하며, 단말 좌표에 기초하여 접선 좌표를 생성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접선 좌표까지 경로를 생성하며, 접선 좌표를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와 단말기 좌표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문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terminal coordinates are received from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tangential coordinates are generated based on the terminal coordinates, and a rout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the tangential coordinates is determined. and transmits the tangential coordinates to the permitted mobile terminal, and opens the door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the coordinates of th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일 실시예에서, 접선 좌표는 순찰 경로 상의 임의의 좌표 중 단말 좌표와 가장 가까운 좌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angential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closest to the terminal coordinates among arbitrary coordinates on the patrol route.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사람이 탑승하였음을 감지하고,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며, 순찰 출발지로 복귀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a person has boarded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confirm the identity of the person, and control the vehicle to return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일 실시예에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mage data may be obtained through a camera mounted on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the image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server.

일 실시예에서, 단계 1340 이후에, 서버로부터 신고 좌표가 수신되는 경우, 순찰 경로를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하고,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신고 좌표까지 임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fter step 1340, when the reported coordinates are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patrol route may be stored in a memory device, and a temporary rout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reported coordinates may be created.

일 실시예에서, 단계 1340 이후에, 자율 주행 순찰 차량에 탑재된 카메라 또는 센서를 통해 이상 운전을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 및 이상 운전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 및 이상 운전 차량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fter step 1340, when abnormal driving is detected through a camera or sensor mounted on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image data and information on the abnormal driving vehicle ar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image data and abnormally driving vehicle are acquired. of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14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통신부(1410), 프로세서(1420) 및 DB(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의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n apparatus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10, a processor 1420, and a DB 1430. In the apparatus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of FIG. 14 ,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e embodiment are show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4 .

통신부(141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or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4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mobil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a broadcast reception unit (not shown).

DB(1430)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프로세서(14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1430)는 결제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DB 1430 is hardware for storing various data processed in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and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420. The DB 1430 may store paymen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DB(14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B 1430 includes random access memory (RAM) such a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CD-ROM. ROM, Blu-ray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or flash memory.

프로세서(1420)는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20)는 DB(14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1410), DB(14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DB(14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20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For example, the processor 1420 may generally control an input unit (not shown), a display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1410, and the DB 143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B 1430. The processor 14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DB 1430 .

프로세서(1420)는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제어 장치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2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

프로세서(14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420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and micro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 실시예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이동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카메라가 탑재된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a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C, a smart TV,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a 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a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and other mobile electronic devic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In addition,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may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such as a watch, glasses, hair band, and ring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processing function.

다른 실시예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생산 과정 이후 튜닝(tuning)을 통해 차량 내에 삽입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embedd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to a vehicle through tuning 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또 다른 실시예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는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는 차량에 탑재된 장치들로부터 차량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a server located outside the vehicle. A server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or a plurality of computer devices that communicate over a network to provide commands, codes, files, content, services, and the like. The server may receive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from devices mounted on the vehicle, and determine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data.

또 다른 실시예로,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1400)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이동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 차량 내에 임베디드 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a process performed by the device 1400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some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embedded in a vehicle, and a server located outside the vehicle. .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through various components, and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t this time, the medium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a ROM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An example of a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between two user devices.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r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s memory.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an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stated to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due to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Claims (12)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receiving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one or more key zones based on th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generating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coordinates of the one or more key points; and
switching the driving mode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an enhanced alert mode when the coordinates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Inclu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좌표 및 허가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된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coordinates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authorized mobile termina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각각으로부터 반경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설정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is s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adius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대하여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순번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reating the patrol route,
determining an order for the coordinates of the one or more main points; and
generating the patrol route based on the order;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rder is,
Determining the order by listing the coordinates of the one or more main points in order close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및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Receiving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and one or mor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The step of creating the patrol route,
Generating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one or more main point coordinates and the one or mor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2차 주요 지점 좌표 각각을 가장 가까운 주요 지점 좌표와 그룹화하여, 하나 이상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사이에 그룹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순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의 그룹 내 순번에 기초하여 상기 순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of creating the patrol route,
generating one or more groups by grouping each of the one or more secondary main point coordinates with the nearest main point coordinates;
determining a group order among the one or more groups;
determining an order within a group for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and
generating the patrol route based on the group order and the intra-group order of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How to inclu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 각각에 속하는 주요 지점 좌표를 기준으로 순찰 출발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여 순번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group order,
Determining the order by listing the main point coordinates belong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groups in order close to the patrol starting point,
metho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내 순번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요 지점 좌표를 제 1 순번으로 결정하고, 주요 지점 좌표와 가까운 순서대로 2차 주요 지점 좌표를 나열하여 이후 순번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rder in the group,
The main point coordinates are determined as the first order, and the second main point coordinates are listed in order close to the main point coordinates to determine the subsequent order,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신고 좌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순찰 경로를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부터 상기 신고 좌표까지 임시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reporting coordinates are received from the server,
storing the patrol route in a memory device; and
generating a temporary rout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the reported coordinates;
How to include mor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최고 속도를 소정의 값으로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step of switching to the boundary enhancement mode,
and limiting the maximum speed of the autonomous patrol vehicle to a predetermined value.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을 생성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지점 좌표를 포함하도록 순찰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좌표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요 구역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순찰 차량의 운행 모드를 경계 강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patrol vehicle,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program is stored;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calculations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program;
receiv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Create one or more key zones based on the one or more key point coordinates;
Create a patrol route to include the coordinates of the one or more key points;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belong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ain zones, to switch the driving mode of the self-driving patrol vehicle to an enhanced alert mode,
Device.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is recorded on a computer.
KR1020220026207A 2022-02-28 2022-02-28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Active KR102590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07A KR102590551B1 (en) 2022-02-28 2022-02-28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07A KR102590551B1 (en) 2022-02-28 2022-02-28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25A true KR20230128825A (en) 2023-09-05
KR102590551B1 KR102590551B1 (en) 2023-10-19

Family

ID=879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07A Active KR102590551B1 (en) 2022-02-28 2022-02-28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5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84799A (en) * 2024-02-27 2024-03-29 山东道万电气有限公司 A patrol robot control system based on patrol information
KR102751950B1 (en) * 2023-12-14 2025-01-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Hotspot-based patrol route optimization method and optimization device for smart polic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284A (en) * 1997-12-09 1999-07-05 김영환 Intrusion alarm automatic tracking method and device
JP2011150516A (en) * 2010-01-21 2011-08-04 Ihi Aerospace Co Ltd Semiautonomous traveling system for unmanned vehicle
JP2019046368A (en) * 2017-09-06 2019-03-22 Kddi株式会社 Management device, parking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200020531A (en)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한국모바일택시복지사업단 Auto open and shut system for door of vehicle
KR20210059461A (en) * 2019-11-15 2021-05-25 조문옥 Personal vehicle assignment service server providing assignment service for personal vehicle throug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KR20220021669A (en)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에스피스퀘어 Area patrol system with patrol dr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284A (en) * 1997-12-09 1999-07-05 김영환 Intrusion alarm automatic tracking method and device
JP2011150516A (en) * 2010-01-21 2011-08-04 Ihi Aerospace Co Ltd Semiautonomous traveling system for unmanned vehicle
JP2019046368A (en) * 2017-09-06 2019-03-22 Kddi株式会社 Management device, parking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200020531A (en)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한국모바일택시복지사업단 Auto open and shut system for door of vehicle
KR20210059461A (en) * 2019-11-15 2021-05-25 조문옥 Personal vehicle assignment service server providing assignment service for personal vehicle throug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KR20220021669A (en)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에스피스퀘어 Area patrol system with patrol dr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1950B1 (en) * 2023-12-14 2025-01-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Hotspot-based patrol route optimization method and optimization device for smart policing
CN117784799A (en) * 2024-02-27 2024-03-29 山东道万电气有限公司 A patrol robot control system based on patrol information
CN117784799B (en) * 2024-02-27 2024-04-30 山东道万电气有限公司 Inspection robot control system based on inspec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551B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313414B2 (en)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
US20230004157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KR102274273B1 (en) Planning stopping loca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364902B2 (en) Testing predictions for autonomous vehicles
US12005897B1 (en) Speed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US11112793B2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CN107608388B (en) Autonomous police vehicle
CN112885145B (en) Crossing risk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US20190064805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20190064800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10220776B1 (en) Scenario based audible warning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190064803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CN110036425A (en) Dynamic routing for autonomous vehicles
JP6406356B2 (en) Travel control device
JP7176098B2 (en) Detect and respond to matric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926259B1 (en) Alert modality selection for alerting a driver
WO2019046204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US20190064802A1 (en) Mixed-mode driving of a vehicle having autonomous driving capabilities
KR20240087776A (en) Present relevant warnings to vehicle drivers
EP4145420A1 (en) Hierarchical processing of traffic signal face states
KR10259055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driving route of patrol vehicle
Premalatha et al. A smart transportation design system for restricted areas with vehicle automation technologies using raspberry Pi B and open CV python–An experimental approach
JP2024175581A (en) Notification device and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JP202407919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8354952A (en) Gesture signal detection system using super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