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230047726A -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726A
KR20230047726A KR1020210130905A KR20210130905A KR20230047726A KR 20230047726 A KR20230047726 A KR 20230047726A KR 1020210130905 A KR1020210130905 A KR 1020210130905A KR 20210130905 A KR20210130905 A KR 20210130905A KR 20230047726 A KR20230047726 A KR 2023004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hibition hall
virtual exhibition
unit
avat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70125B1 (en
Inventor
고수영
Original Assignee
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영 filed Critical 고수영
Priority to KR1020210130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125B1/en
Publication of KR2023004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1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dapt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ystem. The system comprises: a virtual exhibition building unit which uses a web framework (WF) to build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ystem;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which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wishing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system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a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which, when an entrance request to the virtual exhibition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building uni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alls the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rom the database unit; an avatar generating unit which, based on the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generates a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and an avatar interconnecting unit which interconnects at least one user avatar, generated by the avatar generating unit and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 to the virtual exhibition system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syst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adapt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ystem which can provide experiences of realistic communications with other spectators even in a virtual space by the user profile adapting system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ystem.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방문 및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3D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at users can visit and view using their terminals, and to display 3D user avatars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at is linked.

일반적으로 전시관, 화가, 공예가, 사진가, 조각가 등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제작되는 미술, 공예, 사진, 조각 등과 같은 작품을 전시함과 아울러, 전시된 작품의 매매도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상의 공간을 가리킨다.In general, it refers to an offline space that exhibits works such as arts, crafts, photographs, sculptures, etc. produced by artists such as exhibition halls, painters, craftsmen, photographers, sculptors, etc., as well as enabling the sale and sale of the exhibited works. .

이러한 전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전시관을 방문하여 여러 유명작가의 전시된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마음에 드는 작품에 대해서는 매매도 할 수 있는 등 시민들의 문화생활 공간으로의 전시관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People who use these exhibition halls can visit the exhibition halls to appreciate the exhibited works of various famous artists, and also sell and sell works they like. The demand for exhibition halls as a cultural life space of citizens is steadily increasing are doing

그러나, 종래의 전시관은 물리적인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작가의 제한이 심하여 능력이 있으나 유명세를 얻지 못한 수많은 작가들은 전시관에 자신의 작품을 제대로 전시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며,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관람객의 수도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 exhibition halls have limited physical space, so the number of artists who can exhibit their works is severely limited, so many talented but not famous artists do not even get a chance to properly display their works in the exhibition hall, and are accepted at once.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spectators that can be accommodated.

또한, 어렵게 전시관을 오픈한다 하더라도 그 운영비 또한 상당히 높은 수준임에 따라 관람객에 의한 입장료 수입으로는 적자를 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xhibition hall is opened with difficulty, the operation cost is also quite high,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a deficit with the admission fee income by visitors.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165호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시스템에 등록된 작가들의 예술 작품에 대한 관람 및 작품 구매를 위한 정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관람객용 제1 단말장치와,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시스템에 작가로 등록하여 자신의 예술 작품에 대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업로드시키며, 인터넷 가상 전시관 개설의 요청이 가능한 작가용 제2 단말장치와,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 DB를 구비하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와, 시스템에 접속한 관람객들이 인터넷을 통해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여 등록된 작가들로부터 업로드된 예술작품을 작가들의 전시관 개설 요구에 따라 할당된 전시관에 전시하며, 관람객들의 전시관 관람 요구시 해당 전시관에 등록된 예술작품을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제1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관람객이 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전시관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Prior Art Document Publication No. 10-2002-0080165 discloses that the system can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data for viewing and purchasing works of art by artists registered in the system can be transmitted/received. A first terminal device for visitors and a second terminal for artists who can access th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register as an artist in the system, upload moving or still image data for their art works, and request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et virtual exhibition hall. A database storage unit equipped with a device and various information DB required for system operation, and a number of virtual exhibition halls built so that visitors connected to the system can enjoy art works through the Internet, and uploaded art from registered artists. Works are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lls allocated according to the artists' request to open an exhibition hall, and when visitors request to view the exhibition hall, the works of art registered in the exhibition hall ar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device in the form of moving or still images so that the visitors can appreciate them. Disclosed is a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nclud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server.

그러나, 전술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관람객이 예술작품을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시청하는 제한된 행위만을 할 수 있으며, 마치 오프라인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의 분위기를 느끼고, 타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해주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described above allows visitors to perform only a limited act of viewing a work of art as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and provides an experience of directly visiting an offline exhibition hall to feel the atmosphere of the site and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not be provided.

KRKR 10-2002-0080165 10-2002-0080165 AA KRKR 10-2017-0062089 10-2017-0062089 AA KRKR 10-2019-0078015 10-2019-0078015 A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온라인 상에 3D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품이 전시된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 구축된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를 대체하는 3D아바타가 가상 공간에 입장하여 전시관을 관람하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일한 관람 공간 내에 진입한 타인들의 아바타를 인식하고 소통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타 관람객과 가상공간 내에서도 실감나게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이 가능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a virtual space in which a number of works are displayed is constructed using 3D modeling technology online, and a 3D avatar replacing a user enters the virtual space in the constructed virtual space.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where you can experience the exhibition hall and experience the site,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 the avatars of others who have entered the same viewing space and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to communicate realistically with other visitors in the virtual spa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in the system.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은 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관 구축부,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호출하는 사용자 정보 호출부, 상기 사용자 정보 호출부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아바타 연동부를 포함한다.That is,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uses a web framework (WF) to build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the virtual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at wants to enter the exhibition hall system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and receives an entry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f so, an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base uni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that calls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called from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and an avatar creation unit that creates an avatar creation unit and an avatar linkage unit that links at least one or more user avata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s created in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한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은, 가상 전시관 구축부가 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입력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호출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아바타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 호출부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아바타 연동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method with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performed in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with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uses a web framework (WF) to apply the online-based Build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at wants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y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When a request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s received from the database unit, calling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atabase uni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the avatar creation unit calling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Creating a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avatar link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user terminals cre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and linking at least one or more user avatars.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상에 3D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품이 전시된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 구축된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를 대체하는 3D아바타가 가상 공간에 입장하여 전시관을 관람하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일한 관림 공간 내에 진입한 타인들의 아바타를 인식하고 소통 채널을 제공함으로써 타 관람객과 가상공간 내에서도 실감나게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이 가능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space in which a number of works are displayed is built using 3D modeling technology online, and a 3D avatar replacing a user in the built virtual space enters the virtual space to view the exhibition hall and experience the site At the same time, by recognizing the avatars of others who have entered the same viewing space and providing a communication channel,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with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capable of experiencing realistic communication with other visitors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effect that can provide a method is deriv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ire service configuration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profile application for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method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excessively inclu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positive sense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ire service configuration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실제 작품에 대해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로 구현하고, 웹페이로 접속 가능한 가상 공간 내에 디지털 객체를 전시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l work according to a request of one or more user terminals 10 accessed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as a digital object through 3D modeling and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that displays digital objects in a virtual space accessible through a web p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사용자가 WebGL 기반 3차원 전시관 안에서 자신이 사전에 웹페이지에서 등록한 사진이나 닉네임을 포함하는 프로필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3차원 공간에서 Javascript형식의 정보를 담고 있는 3D모델 형식 즉, 3차원 입체 형태의 사용자 아바타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profile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 or nickname that the user registered in a web page in advance in a WebGL-based 3D exhibition hall. It can be shown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3D model containing Javascript-type information in a 3-dimensional space, that is, as a user avatar in a 3-dimensional solid form.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일예로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전시를 웹 호스팅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사용자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할 데이터베이스(Database)와, WebGL서버와 별개인 웹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eb-hosts an online exhibition in HTML5 format using, for example, a WebGL framework. In addition,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may build a database for record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and a web server separate from the WebGL server.

또한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동시 접속이 가능하도록하는 서버를 구축하고, 사용자가 WebGL 전시관으로 입장 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 사진이나 닉네임, 이메일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Javascript형식으로 연동하여 호출 가능하다. In addition, a server is built using the WebGL framework to enable simultaneous access by users, and when a user enters the WebGL exhibition hall,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picture, nickname, email, etc. stored in the database is interlocked and called in Javascript format. possibl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사용자의 정보를 반영할수 있는 3차원 버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er Interface)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3D version of a user interface capable of reflecting user information.

사용자 단말(10)은 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을 통해 자신이 보유한 그림, 영상, 사진 및 조각등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작가, 소유자등이 이용하는 단말과, 가상 전시관에 입장하여 작품을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객이 이용하는 단말,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에 전시되는 그림, 영상, 사진 및 조각등의 작품에 대한 해설을 제공하는 큐레이터 또는 해설가가 소지하는 단말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The user terminal 10 is a terminal used by artists, owners, etc. who wish to exhibit their works such as paintings, videos, photographs and sculptures through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a virtual exhibition hall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terminals used by visitors who want to enter and view the works, and terminals possessed by curators or commentators who provide commentary on works such as paintings, videos, photographs, and sculptures displayed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작가, 소유자 등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자신의 소유권을 갖는 작품의 전시를 요청함과 아울러, 실제 작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예를 들면, 작가명, 작품명, 제작날짜, 종류 등에 대한 작품해설과 관련된 데이터 및 3D 모델링을 위한 치수, 도면, 외형에 대한 이미지 등의 외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해야 한다.Authors, owners, etc. request exhibitions of works of their own ownership through the user terminal 10, as well as commentary on detailed information about actual works, for example, artist name, work name, production date, type, etc. You must enter work information including external appearance data such as data related to and dimensions for 3D modeling, drawings, and external image.

또한, 관람을 목적으로 하는 관람객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에 접속하여 공개된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 및 로그인 절차를 완료한 후, 웹 페이지 상에서 관람객을 대체할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3D 아바타를 통해 가상 전시관에 입장하여 내부에 배치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동시간대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관람객을 대체할 3D 아바타를 확인하고, 다른 관람객과 채팅 등의 소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used by the audience for the purpose of viewing accesses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esses the web page that provides the open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and completes the membership sign-up and log-in procedures, It is possible to create a 3D avatar to replace the viewer on the web page,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through the created 3D avatar, and view digita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works placed inside. In addition, a 3D avatar to replace other visitors accessing the web page providing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at the same time can be checked, and a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chatting can be formed with other visitors.

또한, 작품 해설을 제공하는 큐레이터 또는 해설가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에 접속하여 공개된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 및 로그인 절차를 완료한 후, 웹 페이지 상에서 큐레이터 또는 해설가를 대체할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동시간 대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에 입장한 관람객의 3D 아바타와 가상공간 내에서 작품 해설 및 질의응답에 관한 소통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possessed by the curator or commentator providing commentary on the work accesses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esses the web page providing the open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and completes the membership sign-up and log-in process. After that, create a 3D avatar to replace the curator or commentator on the web pag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3D avatars of visitors entering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t the same time and commentary on works and Q&A within the virtual space.

전술한 사용자 단말(1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2D 영상을 재생하는 통상의 평판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3D 영상에 특화된 VR HMD 디스플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As the user terminal 10 described abov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 pad, tablet PC ( All kinds of handheld-based mobile terminal devices, such as Tablet PCs, etc., and various well-known computing devices such as stationary PCs and notebook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may be connected to a VR HMD display specialized for 3D images as well as a general flat panel display that reproduces 2D images.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복수의 작품을 3D 모델링하여 생성한 디지털 객체가 전시되는 가상 전시관을 생성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정보통신망에 공개하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웹 호스팅한다.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reates a virtual exhibition hall in which digital objects generated by 3D modeling of a plurality of works are displayed, and uses a WebGL framework that is disclos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web page to display HTML5 format Web-hosts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이를 위해,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웹호스팅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3D 아바타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에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아바타를 입장시킴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운영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creates a 3D avata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 to use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web-hosted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nd at least one avatar is created in the virtual space at the same time. A virtual exhibition hall can be operated by entering the above 3D avatars.

이러한 가상 전시관은, HTML, 자바 스크립트 등의 공지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고, 가상 전시관에 대한 영상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에 송출될 수 있다.Such a virtual exhibition hall may be implemented in a known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HTML or JavaScript, and an image of the virtual exhibition hal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in a streaming manner.

전술한 가상 전시관이 포함되는 웹 페이지가 공개, 전송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유선전화망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망의 일 예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which the web page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virtual exhibition hall is disclosed and transmitted, as an example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a wired telephone network such a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network (WAN) area network), or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Internet consists of several services that exist on the TCP/IP protocol and its upper layer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 ( It may mean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 (long-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DM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 (Wireless Broadband), or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etc., any one may be used, but is limited to this it is not going to be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작품을 대체할 수 있는 디지털 객체를 생성 및 전시하는 가상 전시관을 웹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상에 공개함으로써, 전시관 관람을 원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관람을 즐길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irtual exhibition hall that creates and exhibits digital objects that can replace works online through a web page, so that those who want to view the exhibition hall A large number of users can enjoy viewing comfortably anytime, anywhe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 생성된 사용자의 3D 아바타를 통해 동시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에 진입한 다른 사용자의 3D 아바타와 실시간 소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어 보다 실감나는 관람 및 의견 교환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form a real-time communication channel with 3D avatars of other users who have entered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user's 3D avatar created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t is possible to view and exchange opinions more realistical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의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20)은 통신부(210),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 사용자 정보 입력부(230), 사용자 정보 호출부(240), 아바타 생성부(250), 아바타 연동부(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 및 데이터베이스부(2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virtual exhibition building unit 220,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 a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240, and an avatar. It includes a generating unit 250, an avatar linking unit 260, a user interface unit 270, and a database unit 280.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the user terminal 10 . Her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s, and the like.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웹 프레임워크(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한다.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220 build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using a web framework (WF).

일 양상에 있어서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웹호스팅한다. 이때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다수의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기생성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이미 생성된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들 중 하나를 호출하여 웹호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가상 전시관들 중 자신이 원하는 형태나 종류의 가상 전시관을 선택하여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ne aspect,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220 web-hosts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n HTML5 format using the WebGL framework. At this time,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220 may further provide a function of selecting one of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s pre-generated in HTML5 format using a plurality of WebGL frameworks. For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220 may call one of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s such as an art gallery or a museum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using the WebGL framework and host the web.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nd build a desired shape or type of virtual exhibition hall among various virtual exhibition halls.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거나, 자신의 전시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작가, 예술가 또는 작품의 소유권을 가진 소유자 등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작품의 전시 등록을 요청받는다.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220 receives a request for exhibition registration of works from the user terminal 10, such as a writer, artist, or an owner who has ownership of a work, who wants to exhibit his or her own work or hold an exhibition.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소정의 심사 과정을 거쳐 작품 전시가 결정되면, 작품 전시가 결정된 작품에 대하여, 입력된 작품 정보의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D 모델링은 실제 작품의 전체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의 폴리곤과, 각 폴리곤의 표면에 매핑되는 텍스처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폴리곤 및 텍스처는 대상 작품의 전체의 외형, 표면의 색상 및 거칠기 등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When the exhibition of works is determined through a predetermined screening process,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220 may create a digital object through 3D modeling based on the external appearance data of the input work information for the work whose exhibition is determined. Here, the 3D modeling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polygons corresponding to the entire frame of the actual work and a texture mapped to the surface of each polygon, and these polygons and textures may be composed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target work, color and roughness of the surface, etc. This can be reflected as such.

또한,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디지털 객체가 전시된 가상 전시관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의 스케일 비율정보에 따라, 실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의 스케일을 1:N(N은 0을 제외한 유리수)로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220 sets the scale of the digit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ctual work to 1:N (N is a rational number excluding 0) according to the scale ratio information of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where the digital object is displayed. can be adjusted with

즉, 가상 전시관 스케일에 따라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디지털 객체 및 기타 객체와, 아바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에 전시된 각 디지털 객체들이 실제 작품에 대응한 비율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거부감이 없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by relatively adjusting the size of digital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vatars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virtual exhibition hall, each digital object dis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has a ratio corresponding to the actual work, making users feel repulsive. It makes it feel natural and free of blemishes.

그리고, 생성된 디지털 객체 및 이에 대한 메타 데이터 등은 데이터 베이스부의 디지털 객체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created digital object and meta data thereof may be stored as digital object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그리고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가상공간 정보를 통해 웹 상에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등록된 각 작품에 대한 디지털 객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상 공간 상에 디지털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exhibition building unit 220 creates a 3D virtual space on the web through virtual space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refers to digital object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work to create a digital object in the virtual space. By placing objects, a virtual exhibition hall can be built and operated.

이러한 가상 전시관은 동적 HTML, 자바 스크립트에 의해 구현되어 웹 페이지를 통해 접속 및 열람할 수 있으며, 가상 전시관에 방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지한 PC,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 및 가상 전시관에 입장할 수 있다. These virtual exhibition halls are implemented by dynamic HTML and JavaScript so that they can be accessed and browsed through web pages. You can access the web page and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접속이 가능하도록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 제공 서버를 구축한다. 이에 따라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는 동시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에 입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3D 아바타를 서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즉,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다수 사용자들의 3D 아바타를 공존하도록하여 서로의 움직임등을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In one embodiment,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220 builds a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enables simultaneous access by multiple users using the WebGL framework. Accordingl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220 is implemented to mutually check the 3D avatars of at least one or more users who have entered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by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and coexisting 3D avatars of multiple users in real time, the effect of realizing a metaverse capable of recognizing each other's movements in real time is derived.

사용자 정보 입력부(230)는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관람객 또는 큐레이터나 해설가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한다.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possessed by a visitor or a curator or commentator who wants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28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 뿐 아니라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정보와 같은 필요한 개인 정보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입력부(230)로 입력된 사용자 개인 정보의 노출 정도가 소정의 기준으로 제한되고 보안성이 보장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user information is interpreted to include necessary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e-mail or phone number information as well as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security is guaranteed.

데이터베이스부(2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unit 28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or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부(280)는 가상 전시관 구축을 위한 가상공간 정보 및 전시 작품에 대한 디지털 객체 정보,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unit 280 stor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virtual space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digital object information for exhibition works,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사용자 정보 호출부(24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280)로부터 사용자 정보 입력부(230)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호출한다.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240 receives a request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220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database unit 280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 Call user information including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호출부(240)는 프로필 사진, 닉네임, 이메일 정보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Javascript 형식으로 연동하여 호출이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240 can be called by link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profile picture, nickname, e-mail information, etc. in a Javascript format.

아바타 생성부(250)는 사용자 정보 호출부(240)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3차원으로 생성한다. The avatar generator 250 creates a three-dimensional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24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바타 생성부(250)는 사용자 정보 호출부(240)에서 호출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3D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한다. 아바타 생성부(250)는 Javascript 형식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그래픽 형태의 3D 사용자 아바타 객체를 생성해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vatar generator 250 generates a 3D user avatar based on user information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er 240 . The avatar creation unit 250 may create a 3D user avatar object in graphic form from user information in Javascript form.

아바타 연동부(260)는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아바타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킨다. The avatar linking unit 260 links at least one 3D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s created by the avatar generator 250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220 .

일 양상에 있어서, 아바타 연동부(260)는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에서 구축된 3차원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아바타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Javascript 형식의 정보를 담고있는 3D 모델 형식의 사용자 아바타를 호출하여 연동시킨다. In one aspect,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260 is a 3D model format containing Javascript forma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250 in the 3D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220. Call and interlock with the user's avatar.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바타 연동부(260)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에서 가상 전시관 구축부(220)에서 구축된 가상전시관을 열고 접속한 사용자 프로필을 Real-time 업데이트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부(280)로부터 호출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260 opens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220 on the web using the WebGL   framework and updates the accessed user profile in a   Real-time   database unit ( 280) to inter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바타 연동부(260)는 사용자 단말(10)의 설정에 따라, 1인칭 시점뿐만 아니라, 3D 아바타를 중심으로 하는 3인칭 시점의 뷰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디지털 객체를 관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linking unit 260 may provide not only a first-person view, but also a third-person view centered on the 3D avata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terminal 10. may provide a function of viewing a digital object while mov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from a first or third person point of view.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전시관에는 다수의 조명이 설치될 수 있고, 아바타 연동부(260)는 조명의 위치 및 빛의 방향에 따라 각 장소에 배치된 디지털 객체에 3D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s may be installed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and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260 applies 3D lighting effects to digital objects arranged in each pl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light. can be appli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객체의 위치 및 3D 아바타의 위치와 3D아바타의 시선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광원 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보다 현장감 있는 관람을 경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view a screen where a light source effect is applied to the digital objec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gital object, the position of the 3D avatar, and the gaze of the 3D avatar, and experience a more realistic viewing experience.

그리고,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들은 3D 모델링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하좌우, 근/원거리 및 전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디지털 객체를 관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digital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work are produced by 3D modeling, the user can view the digital object from various angles from up and down, left and right, near/far distance, and all directions.

아바타 연동부(260)는 사용자 아바타와 동일한 가상 전시관 내에서 소정 거리 이내에 다른 사용자에 대한 3D 아바타에 대해 기본적인 닉네임이나, 역할정보(해설가인지, 조각가인지등의 여부)를 제공해줄 수 있다.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260 may provide basic nicknames or role information (whether the user is a commentator or a sculptor) for 3D avatars of other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s the user's avata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 profile application for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과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에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 가능함에 따라, 가상 공간 내에 복수의 3D 아바타가 입장할 수 있고, 사용자간 상호 교류 및 연계에 기반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및 움직임, 대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s two or more users can access the virtual exhibition hall provided by the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3D avatars can enter the virtual space, and functions based on interaction and linkage between users can be provided. can provide In addition, it can be controlled to freely move, move, and talk in a 3D space.

이때 3D 아바타는 도 3의 AA와 같이 3차원 프로필이 적용된 3D 패널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타인의 프로필이 적용된 패널형을 선택하면 연동되게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된 기본적인 닉네임이나, 역할정보(해설가인지, 조각가인지등의 여부)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3D avata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3D panel to which a 3D profile is applied, as shown in AA of FIG. 3 . When a user selects a panel type to which another person's profile is applied, user information such as a basic nicknam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80 or role information (whether the user is a commentator or a sculptor) can be provided.

일례로서, 동일 시점 및 공간에 존재하는 둘 이상의 아바타는 양자의 시점에서 서로를 볼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화, 채팅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말풍선, 텍스트 또는 음성형태, 채팅창 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작품에 의한 감상 및 정보 교환 등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As an example, two or more avatars existing in the same viewpoint and space can be rotated so that they can see each other from both viewpoints, and accordingly, communication such as conversation and chatting can be performed. Such communica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speech bubble, text or voice, or chat window according to inputs from two or more user terminals 10, and free communication such as appreciation of works and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특히 서로의 대화 내용은 설정에 따라 주변의 제 3 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오프라인 전시관과는 달리 전시관 내부 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타 관람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conversations between each other are processed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ird parties around them according to the setting, so that unlike offline exhibition halls,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out harming other visitors even though it is inside the exhibition hall.

또한, 가상 공간상에서 3D 아바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아바타가 디지털 객체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해설을 자동으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3D avatar in the virtual space can be tracked in real time, and when the avatar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digital object eve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he commentary on the work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object is automatically played. ,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natur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work while moving through the virtual exhibition hall.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아바타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고,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 아바타 편집 신호를 입력받는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unit 270 displays the user avatar generated by the avatar generator 250 on a 3D sp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user avatar editing signal on the 3D space. .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사용자 아바타의 액션, 성별, 연령, 신체 옵션, 의류,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표정을 포함하는 적용 옵션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unit 270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ng application options including actions of the user's avatar, gender, age, body options, clothes, accessories, hairstyles, makeup, and facial expressions.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3D 사용자 아바타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편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부(28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로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270 may receive various types of editing signals applicable to the 3D user avatar, reflect them as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80, and store th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user profile application method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은 가상 전시관 구축부가 웹 프레임워크(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한다(S500).A method of apply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performed by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a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er uses a web framework (WF) to apply a user profile. A 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s built (S500).

일 양상에 있어서,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웹호스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s web-hosted in HTML5 format using the WebGL framework.

이때 가상 전시관 구축부는 다수의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기생성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상 전시관 구축부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이미 생성된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들 중 하나를 호출하여 웹호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가상 전시관들 중 자신이 원하는 형태나 종류의 가상 전시관을 선택하여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may further provide a function of selecting one of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s pre-generated in HTML5 format using a plurality of WebGL frameworks. For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building unit may call one of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s such as an art gallery or a museum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using the WebGL framework and host the web.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nd build a desired shape or type of virtual exhibition hall among various virtual exhibition halls.

가상 전시관 구축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가상공간 정보를 통해 웹 상에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등록된 각 작품에 대한 디지털 객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가상 공간 상에 디지털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creates a 3D virtual space on the web through virtual space information by referring to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d references digital object information for each registered work to place a digital object on the virtual space. You can build and operate virtual exhibition halls.

가상 전시관 구축부는 동시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에 입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3D 아바타를 서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s implemented to mutually check 3D avatars of at least one or more users who have entered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t the same time.

그리고 사용자 정보 입력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S510).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at wants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unit (S5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 뿐 아니라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정보와 같은 필요한 개인 정보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이때 사용자 정보 입력부(230)로 입력된 사용자 개인 정보의 노출 정도가 소정의 기준으로 제한되고 보안성이 보장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user information is interpreted to include necessary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e-mail or phone number information as well as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security is guaranteed.

이후에 사용자 정보 호출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S520),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호출한다(S530). Later, when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receives a request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from the user terminal (S520), it calls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atabase uni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 S5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호출부는 프로필 사진, 닉네임, 이메일 정보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Javascript형식으로 연동하여 호출이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can be called by link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profile picture, nickname, e-mail information, etc. in a Javascript format.

그리고 아바타 생성부가 사용자 정보 호출부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3차원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한다(S540). Then, the avatar creation unit creates a 3D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S540).

아바타 생성부는 Javascript 형식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그래픽 형태의 3D 사용자 아바타 객체를 생성해낼 수 있다. The avatar creation unit may create a 3D user avatar object in graphic form from user information in Javascript form.

이후에 아바타 연동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킨다(S550).Thereafter,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links at least one or more user avata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s created in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S550).

이때,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단계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구축된 3차원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Javascript 형식의 정보를 담고있는 3D 모델 형식의 사용자 아바타를 호출하여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in the step of linking the avatar, the user avatar in the form of a 3D model containing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Javascript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is called and interlocked with the 3D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in the step of building the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바타 연동부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에서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을 열고 접속한 사용자 프로필을 Real-time 업데이트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호출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아바타 연동부는 동시에 동일한 가상 전시관에 입장하여 연동된 3D 사용자 아바타 객체를 서로에게 노출시켜 보다 실감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in one embodiment,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opens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in the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on the web using the WebGL framework, and calls and interlocks the user profile accessed from the database unit in a real-time update method. The avatar linking unit may enter the same virtual exhibition hall at the same time and provide a more realistic virtual exhibition hall service by exposing the linked 3D user avatar objects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바타 연동부는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1인칭 시점뿐만 아니라, 3D 아바타를 중심으로 하는 3인칭 시점의 뷰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디지털 객체를 관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may provide not only a first-person view but also a third-person view centered on a 3D avatar according to settings of a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view a first-person or third-person view. It can provide a function of viewing digital objects while moving the virtual exhibition hal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전시관에는 다수의 조명이 설치될 수 있고, 아바타 연동부는 조명의 위치 및 빛의 방향에 따라 각 장소에 배치된 디지털 객체에 3D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객체의 위치 및 3D 아바타의 위치와 3D 아바타의 시선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광원 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보다 현장감 있는 관람을 경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s may be installed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and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may apply 3D lighting effects to digital objects arranged in each pl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light. . Accordingly, the user may view a screen to which a light source effect is applied to the digital objec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gital object, the position of the 3D avatar, and the line of sight of the 3D avatar, and experience a more realistic viewing experience.

이때 동일 시점 및 공간에 존재하는 둘 이상의 3D 사용자 아바타는 양자의 시점에서 서로를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대화, 채팅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3D 사용자 아바타에 적용되는 말풍선, 텍스트 또는 음성형태, 채팅창 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작품에 의한 감상 및 정보 교환 등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wo or more 3D user avatars existing in the same viewpoint and space can see each other from both viewpoints, and accordingly, communication such as conversation and chatting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Such communica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a speech bubble applied to a 3D user avatar, a text or voice form, or a chat window according to inputs from two or more user terminals, and free communication such as appreciation of works and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고,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 아바타 편집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60).In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vatar generated in the step of creating an avatar is displayed on a 3D spac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avatar editing signal is provided on the 3D space (S560). .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아바타의 액션, 성별, 연령, 신체 옵션, 의류,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표정을 포함하는 적용 옵션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vid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a function of selecting an application option including actions of the user avatar, gender, age, body options, clothes, accessories, hairstyles, makeup, and facial expressions.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적용 옵션 선택 사항을 반영하여 3D 사용자 아바타를 편집할 수 있다(S570).In addition, the 3D user avatar may be edited by reflecting the application option selection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57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3D 사용자 아바타를 보다 자유롭게 편집하거나 변경하거나, 표정등을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여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사용자의 실제 감정이나 상황을 보다 정확히 반영한 3D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freely edit or change his/her 3D user avatar, or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thereby arousing interest and creating a 3D user avatar that more accurately reflects the user's actual emotions or situations. can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10 : 사용자 단말 20 :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210 : 통신부 220 : 가상 전시관 구축부
230 : 사용자 정보 입력부 240 : 사용자 정보 호출부
250 : 아바타 생성부 260 : 아바타 연동부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80 : 데이터베이스부
10: user terminal 20: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210: communication unit 220: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230: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40: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250: Avatar creation unit 260: Avatar interlocking unit
270: user interface unit 280: database unit

Claims (10)

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관 구축부;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호출하는 사용자 정보 호출부;
상기 사용자 정보 호출부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및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아바타 연동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A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that build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using a web framework (WF);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desiring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nd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a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that calls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atabase uni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when a request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an avatar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of the user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and
An avatar linking unit that links at least one or more user avata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s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Profile appl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웹호스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A system for apply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s web-hosted in HTML5 format using the WebGL frame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연동부는,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3차원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Javascript 형식의 정보를 담고있는 3D 모델 형식의 사용자 아바타를 호출하여 연동시키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vatar interlocking unit,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which calls and links the user avatar in the form of a 3D model containing the Javascript forma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3D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n the user profile enforc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고,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 아바타 편집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which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that displays the user avatar generated by the avatar generator in a 3D spac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user avatar editing signal in the 3D space User profile enforcement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아바타의 액션, 성별, 연령, 신체 옵션, 의류,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표정을 포함하는 적용 옵션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at provides application option selection functions including user avatar's action, gender, age, body options, clothing, accessories, hairstyle, makeup, and expression.
제 1 항 내지 5항 중 한 항에 기재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에 있어서,
가상 전시관 구축부가 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 WF)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입력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 호출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으로 입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아바타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 호출부에서 호출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 닉네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아바타 연동부가 상기 가상 전시관 구축부에서 구축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
A method of apply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performed in a user profile application system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tep of constructing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using a web framework (web framework, WF)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at wants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y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and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calling the user's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atabase unit to the user information input unit when a request to enter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t by the virtual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uni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by a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generating, by an avatar creation unit, a user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profile picture and nickname information of the user called by the user information calling unit; and
Linking at least one or more user avata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user terminals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by the avatar linking unit in the virtual exhibition hall building unit; How to apply user profi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는,
WebGL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TML5 형식으로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온라인 전시를 웹호스팅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s to build the system are:
A method of applying a user profile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line exhibition of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is web-hosted in HTML5 format using the WebGL framewor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를 연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구축된 3차원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상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된 Javascript 형식의 정보를 담고있는 3D 모델 형식의 사용자 아바타를 호출하여 연동시키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of interlocking the avatar,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at calls and links a 3D model-type user avatar containing Javascript-typ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creation unit to the 3D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built in the system construction step. How to apply a user profile withi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사용자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고,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 아바타 편집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6,
Displaying the user avatar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avatar on a 3D space through a user terminal,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avatar editing signal in the 3D space; further comprising, an online-based How to apply user profiles within the virtual pavilion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아바타의 액션, 성별, 연령, 신체 옵션, 의류, 악세서리,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표정을 포함하는 적용 옵션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방법.

According to claim 9,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A method of applying a user profile with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hall system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option selection function including action, gender, age, body options, clothing, accessories, hairstyle, makeup, and expression of the user avatar.

KR1020210130905A 2021-10-01 2021-10-01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Active KR102670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05A KR102670125B1 (en) 2021-10-01 2021-10-01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905A KR102670125B1 (en) 2021-10-01 2021-10-01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726A true KR20230047726A (en) 2023-04-10
KR102670125B1 KR102670125B1 (en) 2024-05-30

Family

ID=8598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905A Active KR102670125B1 (en) 2021-10-01 2021-10-01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12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1470A (en) * 2023-10-24 2024-01-02 北京蜂鸟映像电子商务有限公司 Onlin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40163381A (en) 2023-05-10 2024-11-19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System and method for artwork evaluation in metaverse space
WO2024248227A1 (en) * 2023-06-02 2024-12-05 주식회사 맥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ity-linked content in metaverse
KR102741006B1 (en) * 2023-06-27 2024-12-10 주식회사 맥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home shopping in metaverse
KR20250017541A (en) 2023-07-27 2025-02-04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Metaverse system performing advertisement contents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en) 2001-04-12 2002-10-23 강화영 Virtual art gallery system using internet and art exhibiting, se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e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00028689A (en) * 2008-09-05 2010-03-15 고광현 System and method of composing photo-character
KR20110070056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quality 3D avatar for user
KR20170062089A (en)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the real-time face of 3d avatar
KR20190078015A (en)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board using 3D avatar
KR102219367B1 (en)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en) 2001-04-12 2002-10-23 강화영 Virtual art gallery system using internet and art exhibiting, sell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e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00028689A (en) * 2008-09-05 2010-03-15 고광현 System and method of composing photo-character
KR20110070056A (en)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quality 3D avatar for user
KR20170062089A (en)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매니아마인드 Method and program for making the real-time face of 3d avatar
KR20190078015A (en)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글로브포인트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board using 3D avatar
KR102219367B1 (en)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3381A (en) 2023-05-10 2024-11-19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System and method for artwork evaluation in metaverse space
WO2024248227A1 (en) * 2023-06-02 2024-12-05 주식회사 맥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ity-linked content in metaverse
KR102741006B1 (en) * 2023-06-27 2024-12-10 주식회사 맥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ve home shopping in metaverse
KR20250017541A (en) 2023-07-27 2025-02-04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Metaverse system performing advertisement contents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7331470A (en) * 2023-10-24 2024-01-02 北京蜂鸟映像电子商务有限公司 Onlin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331470B (en) * 2023-10-24 2024-06-18 北京蜂鸟映像电子商务有限公司 Online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125B1 (en)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0125B1 (en) System and Methid for adapting user profile i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KR101842657B1 (en) Method for providing VR SNS
CN114125523A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14115519B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pplications in a virtual environment
CN114930399A (en) Image generation using surface-based neurosynthesis
KR20230054414A (en) Cross-Domain Neural Networks for Synthesizing Images with Fake Hair Combined with Real Images
US20130258040A1 (en) Interactive Avatar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WO2013152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vatar generation, rendering and animation
Aigner Heritage-making ‘from below’: the politics of exhibiting architectural heritage on the Internet–a case study
KR20130131179A (en) Cyber model house system using metaverse
US11651108B1 (en) Time access control in virtual environment application
CN11420128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based virtual computing resources within a virtual environment
EP3962078A1 (en) Ad hoc virtual communication between approaching user graphical representations
KR20230128065A (en) Flow-guided motion retargeting
CN118974777A (en) Neural network control variables
US202500460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ing augmented reality (ar) models
US20250252652A1 (en) Neural shading of reflective surfaces
Cadi Yazli et al. Modeling craftspeople for cultural heritage: A case study
KR20240093792A (en) Generate ground truth for machine learning
KR20220143457A (en) 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CN108959311B (en) Social scen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US12009938B2 (en) Access control in zones
US12022235B2 (en) Using zones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for limiting audio and video
KR102493140B1 (en) Online remembrance and funeral service provision system
US11928777B1 (en) Using optical labels in a virtual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