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230035153A - Cannula seal assembly - Google Patents

Cannula seal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153A
KR20230035153A KR1020237007139A KR20237007139A KR20230035153A KR 20230035153 A KR20230035153 A KR 20230035153A KR 1020237007139 A KR1020237007139 A KR 1020237007139A KR 20237007139 A KR20237007139 A KR 20237007139A KR 20230035153 A KR20230035153 A KR 2023003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instrument insertion
seal assembly
insertion guide
wi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08964B1 (en
Inventor
로버트 씨. 레이드
저스틴 크롬
타일러 제이. 모리세트
3세 조셉 피. 오반
윌리엄 에이. 버뱅크
데이비드 디트로이
Original Assignee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896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최소 침습 수술 동안 사용되는 기밀 실 어셈블리가 다양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이 실링부 및 주위의 플렉스부를 포함하고 있다. 실링부의 상하면은 삽입되는 기기에 대해 경사져 있고, 상면의 각도는 하면의 각도 보다 기기의 샤프트에 대해 보다 예리하다. 이러한 플렉스부는 코루게이트 형상을 갖고 있고, 서포트 리브는 하나 이상의 코루게이션 그루브에 있고, 이러한 서포트 리브에 의해 그루브는 용이하게 접어지지만 그루브가 넓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는 또한 실링부가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링부 위에 위치되어 있고 실링부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 피스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에 제거가능하게 고정한다. 반전방지 피스는 기기가 빠질 때 와이퍼 실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셈블리가 실 어셈블리, 캐뉼라, 수술 기기, 밀폐기, 내시경, 및 원격조정 의료 장치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 어셈블리는 캐뉼라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는 제조 또는 원격조정 수술 동안 사용될 수 있다. Airtight seal assemblies used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clude various features. The wiper seal includes a sealing portion and a surrounding flex por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ling portion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evice to be inserted, and the angle of the upper surface is sharper with respect to the shaft of the device than the angle of the lower surface. This flex part has a corrugated shape, and the support ribs are in one or more corrugation grooves, and these support ribs can easily fold the grooves but prevent the grooves from widening. These support ribs als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from inverting.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positioned above the sealing portion and moves laterally with the sealing portion. A latch piece removably secures the seal assembly to the cannula. The anti-reverse piece prevents the wiper seal from reversing when the machine is pulled out. Assemblies may include various combinations of thread assemblies, cannulas, surgical instruments, obturators, endoscopes, and teleoperated medical devices. The seal assembly can rotate within the cannula. These seal assemblies may be used during fabrication or teleoperated surgery.

Figure P1020237007139
Figure P1020237007139

Description

캐뉼라 실 어셈블리{CANNULA SEAL ASSEMBLY}Cannula seal assembly {CANNULA SEAL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 시스템용 캐뉼라 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medical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cannula threa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ystems.

최소 침습 수술에서, 수술 부위에 추가적인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체강에 공기 흡입된다. 최소 침습 수술 기기를 신체 안으로 안내하는 캐뉼라를 통해 흡입 가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밀 실이 보통 캐뉼라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밀 실은 아무런 수술 기기가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지 않을 때 개방 캐뉼라를 통해 흡입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수술 기기가 이러한 캐뉼라를 통해 삽입될 때 캐뉼라와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통해 가스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air is sucked into the body cavity to provide additional working space at the surgical site. In order to prevent inhalation gas from escaping through the cannula that guides th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into the body, one or more airtight seals are usually coupled to the cannula. This airtight seal prevents suction gas from escaping through the open cannula when no surgical instruments are inserted through the cannula, and also prevents gas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nnula and instrument shaft when surgical instruments are inserted through this cannula. .

미국 특허 번호 6,123,689(1997년 3월 28일 출원)는 최소 침습 수술 캐뉼라 실 어셈블리가 필요로 하는 기본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의 예인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을 개시하고 있다. 2개의 환형 플랜지는 실 어셈블리를 통해 삽입된 다양한 직경의 기기 샤프트에 대해 기밀 실을 제공하고, 트랩 도어는 기기가 실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될 때 기밀 실을 제공하도록 닫힌다. 어댑터부는 환형 플랜지에 의해 실링된 샤프트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기기 샤프트에 대해 실링하도록 실 어셈블리 위에 결합될 수 있다. 기기 샤프트는 내시경 및, 밀폐기와 같은 다른 수술 액세사리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있다. US Patent No. 6,123,689 (filed March 28, 1997) discloses an example of a device that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required of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cannula seal assembly,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 The two annular flanges provide a gastight seal for instrument shafts of various diameters inserted through the seal assembly, and the trap door closes to provide a gastight seal when the instrument is removed from the seal assembly. The adapter portion may be coupled over the seal assembly to seal against an instrument shaft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haft diameter sealed by the annular flange. Instrument shafts include shafts used for endoscopes and other surgical accessories such as obturators.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현재의 캐뉼라 실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만,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향상은 수술 기기가 실을 통해 삽입될 때 일어날 수 있고 (특히 박막, 격막형 와이퍼 실에 대한) 효과적인 실링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펑크 및 찢어짐에 대한 내성의 증가, 2개 이상의 실에 대한 필요를 최소화하여 동작 비용을 줄이는 광범위한 샤프트 직경에 대한 기기 샤프트의 효과적인 수용, 기기 샤프트가 실을 통해 삽입되고 빠질 때 기기 샤프트에 대한 감소된 마찰력(이로 인해 기기는 증가된 정밀도로 원격조정 제어될 수 있고, 삽입/빠짐 축을 따른 임의의 다른 힘을 줄임으로써, 그리고 기기 샤프트가 왕복함에 따라 실이 반전되는 경향을 줄임으로써 원격조정하는 의사에게 보다 정확한 삽입/빠짐 축 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감소된 부품 비용,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성, 및 제조 및 수술중 사용시 용이한 조립을 포함한다. Current cannula threa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re generally effective, but need improvement. These improvements can occur when a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through a seal, and increase resistance to puncture and tear, reducing or preventing effective sealing (especially for thin film, diaphragm-type wiper seals),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two or more seals. effective accommodation of the instrument shaft for a wide range of shaft diameters, minimizing operating costs; reduced frictional force on the instrument shaft as it is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seals (so that the instrument can be remotely controlled with increased precision; By reducing any other force along the insertion/extraction axis, and by reducing the tendency of the thread to reverse as the instrument shaft reciprocates, more accurate insertion/extraction axis force feedback can be provided to the teleoperating surgeon), reduced These include part cost, easy and economical manufacturability, and easy assembly during manufacture and intraoperative use.

다음의 요약은 기본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요약이 아니고, 핵심 부재를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요약이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실시예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만, 그 목적은 아래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서 제외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형태로 일부 특징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following summary introduces cert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basic understanding. This summary is not an extensive summary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identify key elements or to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his summary contains information relating to various featur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s purpose is to present some specific embodiments in a general form as excluded from the more detailed description below.

하나의 특징에서, 수술 기기가 실을 통과함에 따라 실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One feature includes a feature that prevents the thread from inverting as the surgical instrument passes through it.

하나의 특징에서, 와이어 실이 실을 통해 삽입되는 수술 기기 샤프트에 대한 비교적 높은 마찰력 및, 실을 통해 빠지는 수술 기기 샤프트에 대한 비교적 낮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In one feature, the wire seal includes features that provide relatively high friction against the instrument shaft being inserted through the yarn and relatively low friction against the surgical instrument shaft being pulled out through the yarn.

하나의 특징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을 통해 수술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아래의 와이퍼 실로 말단으로 뻗어 있다. In one feature,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extends distally from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to the wiper seal below to assist in guiding surgical instrument tips through the seal without damaging the seal.

하나의 특징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을 통해 수술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와이퍼 실의 상부로 결합되어 있다. In one feature,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wiper seal to assist in guiding surgical instrument tips through the seal without damaging the seal.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 보울에 제거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단일 래치 피스(piece)를 포함하고 있다. In one feature, the seal assembly includes a single latch piece that removably secures the seal assembly to the cannula bowl.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수술 기기가 실을 통해 빠질 때 실이 근접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반전방지 특징부를 포함하고 있다. In one feature, the seal assembly includes an anti-reverse feature that prevents the thread from being pulled in the proximal direction when the surgical instrument is pulled through the thread.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의 보울 안에서 회전할 때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사이에 실이 유지된다. In one feature, the seal is maintained between the seal assembly and the cannula as the seal assembly rotates within the bowl of the cannula.

이것들과 다른 특징이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These and other feature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은 실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수술 기기 실 어셈블리 예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단면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c 내지 도 3ab는 다양한 와이퍼 실 서포트 리브(rib) 구성의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 실시예의 단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1은 실 어셈블리를 위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의 조합부 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에 결합되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의 래치부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가 옵션의 실 반전방지 피스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제거된 실 어셈블리 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b는 실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상부가 정위치에 있는 실 어셈블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c 내지 도 13i는 다양한 반전방지 피스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밀폐기 예의 사시도이다.
도 15a는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도면에 대해 직각으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6는 캐뉼라, 이러한 캐뉼라에 래치된 실 어셈블리, 및 실 어셈블리에 래치된 밀폐기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함께 결합되어 원격조정 매니퓰레이터의 말단부에 장착된 캐뉼라 및 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캐뉼라 및 실 어셈블리를 통합한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의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 assembly.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eal assembly shown in FIG. 1;
2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n example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wiper seal embodiment; FIG. 3A is a cross-sectional top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and FIG. 3B is a top plan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3C-3AB are top and perspective views of various wiper seal support rib configurations.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FIG. 4A is a cross-sectional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 and FIG. 4B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combination of a spacer and latch piece for a seal assembly.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latch portion of the spacer and latch piece shown in FIG. 11 where the seal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nnula.
13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seal assembly with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removed to show an embodiment of an optional seal anti-inversion piece, and FIG. 13B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al assembly with the top of the housing of the seal assembly in place. am. 13c-13i are plan views of various anti-reverse piece configurations.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n obturator;
1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up of an exemplary obturator coupled to the top of a seal assembly, and FIG.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t right angles to the view of FIG. 15A.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device assembly comprising a cannula, a seal assembly latched to the cannula, and an obturator latched to the seal assembly.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nula and seal assembly coupled together and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a remote manipulator.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lecontrolled medical device 178 incorporating a cannula and seal assembly.

본 설명과 첨부한 도면들은 예시적인 구체예들을 예시하며,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한다. 다양한 기계적, 조성적, 구조적, 전기적 및 작동 상의 변화가 본 설명의 범위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청구된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주지된 회로, 구조 또는 기술은 명세서를 모호하게 하지 않고자 상세히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았다. 제목은 독자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설명을 형성하지 않는다. Th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as the claims define the scope of the invention. Various mechanical, compositional, structural, electrical and operational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escription and the claimed subject matter including equivalents. In some instances, well-known circuits, structures, or techniques have not been shown or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pecification. Headings are intended to assist the reader and do not form part of this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아래", "보다 낮은", "위", "상부", "근접", "말단"등과 같은 공간 관련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특징부의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관련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 및 방향에 더해, 사용 또는 동작중인 장치의 상이한 위치(즉, 공간 위치) 및 방향(즉, 공간의 회전 변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장치가 뒤집어지면,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의 "아래"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 또는 특징부의 "위"가 된다. 따라서, 용어 "아래"는 위와 아래의 위치 및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이와 달리 배향될 수 있고(90도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공간 관련 설명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축을 따른 그리고 축 둘레의 이동의 설명은 다양한 특별한 장치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평행", "수직", "둥근", 또는 "사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용어는 문맥상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절대적인 수학적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러한 기하학적 용어에 의해 제조 또는 등가 기능으로 인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부재가 "둥근" 또는 "대략 둥근"으로 기술되어 있다면, 정확하게 원형이 아닌 구성요소(예를 들어, 경미하게 직방형이거나 다측 다각형) 역시 이러한 표현에 포함된다. Also, the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patially related terms such as "below", "lower", "above", "top", "proximal", "distal", etc., refer to one member or feature of another member or feature as shown in the drawing. Can be used to describe a relationship with wealth. These spatially related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positions and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different positions (ie, spatial positions) and orientations (ie, rotational displacements in space)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device in the figure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another element or feature will be “above” the other element or feature. Thus, the term "below" can include both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The device may otherwise be oriented (rotated 90 degrees or in other directions) and spatially related descriptions used herein interpreted accordingly. Likewise, descriptions of movement along and around various axes include various specific device positions and orientations. Also, geometric terms such as "parallel", "perpendicular", "round", or "rectangular" do not require absolute mathematical precision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Instead, these geometrical terms allow for variations due to manufacturing or equivalent functions. For example, if a member is described as "round" or "approximately round," elements that are not precisely circular (eg, slightly rectangular or multisided polygons) are also included in the description.

또한, 문맥상 달리 표현하지 않으면, 단수형 "한" 및 "그"는 복수형 역시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그리고,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등은 기술된 특징, 단계, 동작, 부재,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부재, 구성요소, 및/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결합된 것으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결합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 결합될 수 있다. Also,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as well. And, the terms “comprise,” “comprising,” and the like indicate the presence of a described feature,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but specify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components. or the presence or addition of groups. Components described as coupled may be coupled directly, electrically or mechanically, or may be coupled indirectly through one or more intermediate components.

하나의 실시예, 또는 적용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된 부재는 실시될 때마다, 이들이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기술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 또는 적용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가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고 제2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지 않았다면, 부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 실시예에 포함된 것으로 청구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실시예, 또는 적용과 연관되어 도시되고, 기술된 하나 이상의 부재는 구체적으로 달리 기술되거나 하나 이상의 부재가 실시예를 비기능 상태로 하거나 이러한 부재의 2개 이상이 접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 또는 특징에 통합될 수 있다. Whenever practiced, elements described in detail for one embodiment or application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shown or described. For example, if an element is described in detail for one embodiment and not for a second embodiment, the element may nevertheless be claimed to be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us,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repet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or more elements that are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single embodiment or application may be specifically described otherwise or one or more elements may render the embodiment non-functional or such elements If two or more of the do not provide collapsible functionality, they may be incorporated into other embodiments, or features.

기계적 구조, 요소, 또는 어셈블리와 같은 부품과 연관된 용어 "유연한"은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사실, 이러한 용어는 이러한 부품이 부품에 해를 주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고 복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많은 "강성" 물체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러한 물체가 "유연"하지 않다고 생각될지라도, 재료 특성으로 인해 경미한 고유의 탄성 "구부러짐"을 갖고 있다. 유연한 부품은 무한 자유도(DOF)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의 예는 자주 상당한 단면 변형 없이, 다양한 단순하거나 복합적인 곡선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닫힌, 구부러짐가능 튜브(예를 들어, NITINOL, 폴리머, 연성 고무등으로 만들어진다), 및 나서형 코일 스프링등을 포함한다. 다른 유연한 부품이 등골의 사형 배열과 유사한 일련의 조밀하게 이격된 구성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무한 DOF 부품에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등골 배열에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운동학 체인에서 짧은 링크이고, 각각의 링크 사이의 가동 기계적 제약(예를 들어, 핀 힌지, 컵 및 볼, 라이브 린지등)에 의해 이러한 링크 사이의 상대 운동의 하나(예를 들어, 피치) 또는 2개(예를 들어, 피치 및 요)의 DOF가 가능하다. 짧은, 유연한 부품은 자체가 다수의 결합된 링크로 만들어진 운동학 체인일 수 있지만, 운동학 체인에서 2개의 링크 사이에 하나 이상의 DOF를 제공하는 단일 기계학적 제약(조인트)으로서 기능하고 모델화될 수 있다. 당업자는 부품의 유연성이 강성 측면에서 기술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term "flexible" in connection with parts such as mechanical structures, elements, or assemblies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In fact, this term means that these parts can be repeatedly bent and returned to their original shape without harming the parts. Many "rigid" objects have a slight inherent elastic "bend" due to material properties, even though such objects are not considered "flexible" when the term is used. Flexible parts can have infinite degrees of freedom (DOF). Examples of such components are closed, bendable tubes (eg made of NITINOL, polymers, soft rubber, etc.), and spiral coil springs, which can be bent into a variety of simple or complex curves, often without significant cross-sectional deformation. includes Other flexible parts can approximate these infinite DOF parts by using a series of closely spaced components similar to the serpentine arrangement of the spine. In this stapes arrangement, each component is a short link in the kinematic chain, and the movable mechanical constraints between each link (e.g., pin hinge, cup and ball, live limb, etc.) limit the relative motion between these links. One (eg pitch) or two (eg pitch and yaw) DOFs are possible. A short, flexible part may itself be a kinematic chain made of multiple coupled links, but may function and be modeled as a single mechanical constraint (joint) providing more than one DOF between two links in a kinematic chain. 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flexibility of a component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stiffness.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da Vinci Xi® Surgical System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이 원격조정, 그리고 적용가능하다면, 비원격조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da Vinci Xi® Surgical System에 대한 실시예는 단지 예이고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imarily described in terms of embodiments using the da Vinci Xi® Surgical System marketed by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remotely controlled and, where applicable, non-remotely controlled embodiments. The embodiments for the da Vinci Xi® Surgical System are examples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features disclosed herein.

실 어셈블리seal assembly

도 1은 최소 침습 수술 기기를 위한 실 어셈블리(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근접 및 말단 배향 방향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본 발명 및 연관된 도면에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0)는 캐뉼라(20)의 근접단부(보통 캐뉼라의 근접 단부의 캐뉼라 보울 안)에 위치되어 있고, 최소 침습 수술 기기(3)의 일부는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를 통해 환자 신체 내의 수술 부위(4)로 뻗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술 기기(3)는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기계 DOF를 갖는 수술 엔드 이펙터(3a) 및 하나 이상의 기계적 DOF를 갖는 팔목 메커니즘(3b)과 같은 다양한 말단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어서, 의사는 엔드 이펙터(3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수술 기기(3)는 의사가 수술 절차 동안 기기를 작동함에 따라 여러번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를 통해 말단으로 삽입하고 근접방향으로 당겨진다(즉, 왕복한다). 래치부(도시되지 않음)는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뉼라(2)에 대해 실 어셈블리(1)를 정위치에 유지한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 assembly 10 for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Proximal and distal orientation directions are indicated by arrows, and these directions generally generally apply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sociated figures. As shown in Fig. 1, the seal assembly 10 is position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nnula 20 (usually in the cannula bowl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nnula), and a part of th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3 is the seal assembly ( 1) and extending through the cannula 2 to the surgical site 4 within the patient's body. The surgical instrument 3 may optionally include various distal parts such as a surgical end effector 3a with one or more mechanical DOFs and a wrist mechanism 3b with one or more mechanical DOFs, so that the surgeon can use the end effector 3a ) direction can be changed. Surgical instrument 3 is inserted distally through thread assembly 1 and cannula 2 and pulled proximally (i.e., reciprocated) several times as the surgeon operates the instrument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A latch (not shown) holds the seal assembly 1 in place relative to the cannula 2,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는 함께 조립될 때 실 어셈블리 하우징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5) 및 상부 하우징(6)을 포함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5) 및 상부 하우징(6)은 완성된 단일 하우징을 만들기 위해 결합된 2개의 별개의 피스로서 도시되어 있고, 옵션으로 이러한 완성 실 어셈블리 하우징은 단일 피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 어셈블리(1)는 와이퍼 실(7) 및 유체(예를 들어, 기체, 액체) 역류 방지 실(8)을 더 포함하고 있다. 다수의 와이퍼 실(7) 실시예가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역류 방지 실(8)은 옵션으로, 실을 통한 유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고유의 엘라스토머 재료 특성에 의해 그리고 실의 말단측에 대한 유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슬릿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지만, 유체 또는 물체가 이러한 실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다수의 형태의 실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실은 단일 슬릿 "덕빌" 형태, 교차 3-슬릿 3겹 형태, 교차 2-슬릿("크로스-슬릿" 또는 "십자형") 형태, 및 S-곡선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역류 방지 타입 실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트랩 도어, 체크 밸브등). As shown, the seal assembly 1 includes a lower housing 5 and an upper housing 6 which when assembled together form a seal assembly housing. The lower housing 5 and the upper housing 6 are shown as two separate pieces joined to form a single complete housing, and optionally this complete seal assembly housing is formed as a single piece. The seal assembly 1 further includes a wiper seal 7 and a fluid (eg gas, liquid) backflow prevention seal 8 . A number of wiper seal 7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An anti-backflow seal 8 is optionally available in which one or more slits are kept closed (by the inherent elastomeric material properties and by hydraulic pressure to the distal side of the seal) to prevent fluid backflow through the seal, but the fluid or It may be one of a number of types of seals that are open to allow objects to pass through these seals. These yarns include single slit "duckbill" shapes, crossed 3-slit 3-ply shapes, crossed 2-slit ("cross-slit" or "cross") shapes, and S-curved shapes. Other non-return type seals may be used (eg trap doors, check valves, etc.).

사용에서, 역류 방지 실(8)은 아무런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되지 않을 때 수술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파선 대안 위치(9)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 있다.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될 때, 역류 방지 실(8)은 개방되고, 와이퍼 실(7)은 수술 기기의 샤프트에 대해 밀봉하여 마찬가지로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와이퍼 실(7) 및 역류 방지 실(8)은 수술 기기가 캐뉼라에 삽입되는 여부와 관계없이, 수술 절차 동안 흡입 가스 또는 다른 유체가 캐뉼라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협동한다. In use, the anti-backflow seal 8 is closed as shown by the broken line alternative position 9, which prevents surgical suction gas or other fluids from escaping through the cannula when no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 When the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the non-return seal 8 is opened and the wiper seal 7 seals against the shaft of the surgical instrument to likewise prevent suction gases or other fluids from escaping through the cannula. Thus, the wiper seal 7 and the anti-backflow seal 8 cooperate to prevent suction gases or other fluids from escaping through the cannula during surgical procedures, regardless of whether surgical instruments are inserted into the cannul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7) 및 역류 방지 실(8)은 하부 하우징(5)과 상부 하우징(6)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지만, 하우징 내측에 실을 고정하는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의 사용등과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 내측에 실을 유지하는 다른 구성 역시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옵션의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 역시 하술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iper seal 7 and the anti-backflow seal 8 are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housing 5 and the upper housing 6, but there is no adhesive or other means of fixing the seal inside the housing. Other configurations for retaining the seal inside the seal assembly housing, such as for use, are also possible. One or more optional spacers (not shown) may also b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as described below.

도 1은 실 어셈블리를 통해 기기가 삽입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흡입 가스가 환자에 들어갈 수 있고 가스 및 부유 미립자(예를 들어, 연기)가 환자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배출 가스(10)는 실 어셈블리(1)의 포트(11)를 통해 들어간다/나온다. 포트(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5)을 통과하여 실 어셈블리 하우징 안에 있다. 그다음, 들어간 가스는 하부 하우징(5)의 내측벽과 역류 방지 실(8)의 외측벽 사이를 흘러 캐뉼라를 통과하거나 수술 기기(3)와 캐뉼라의 내측벽 사이의 갭을 통과하여 환자 안으로 들어간다. 배출 가스는 역 경로를 따른다. 흡입/배출 가스가 실 어셈블리(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예를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개 이상의 포트가 가스가 실 어셈블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명한 경로를 보장하기 위해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FIG. 1 also shows that the seal assembly can be configured to allow inhalation gas to enter the patient and allow gas and airborne particulates (eg smoke) to exit the patient, whether or not an instrument is inserted through the seal assembly. As shown, intake/exhaust gas 10 enters/exits through port 11 of seal assembly 1 . The port 11 passes through the lower housing 5 and is in the seal assembly housing as shown. Then, the entered gas flow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housing 5 and the outer wall of the non-reflux chamber 8 and passes through the cannula or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urgical instrument 3 and the inner wall of the cannula and enters the patient. Exhaust gases follow the reverse path.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allowing intake/exhaust gas to pass through the seal assembly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wo or more ports may optionally be used to ensure a clear path for gas to pass through the seal assembly.

일부 실시예에서, 실 어셈블리(1)는 와이퍼 실(7)의 근접측에 위치된 기기 삽입 가이드(12)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12)는 예를 들어, 기기가 삽입될 때 기기 엔드 이펙터(3a)가 와이퍼 실(7)을 펑크나거나, 찢거나, 걸려 찢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술 기기의 말단부를 와이퍼 실(7) 안으로 안내하도록 돕는다.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기기 가이드(12)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예를 들어,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6)과 단일 피스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별개의 피스로 형성되어 있고, 별개 피스로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거나 함께 이동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seal assembly 1 includes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12 located on the proximal side of wiper seal 7 .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12 guides the distal end of the surgical instrument to prevent, for example, the instrument end effector 3a from puncturing, tearing, snagging, or damaging the wiper seal 7 when the instrument is inserted. It helps to guide into the wiper seal (7). A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some embodiments, the instrument guide 12 is fixed relative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eg, optionally formed in one piece with the upper housing 6), and other In an embodiment the instrument guide is formed as a separate piece from the seal assembly housing, and as a separate piece may be fixed relative to or move with the seal assembly housing.

하나의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와 이러한 실 어셈블리(1)를 통해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다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또 다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캐뉼라(2), 및 실 어셈블리(1)와 캐뉼라(2)에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을 어셈블리로 생각한다. 2개의 추가적인 특징에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의 조합, 및 실 어셈블리(1), 캐뉼라(2), 및 이러한 실 어셈블리(1) 및 캐뉼라(2)에 삽입되는 수술 기기의 조합은 수술 기기 이동을 제어하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da Vinci Xi® Surgical System과 같은 원격조정 의료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의료 장치는 또한 "수술 시스템" 또는 "수술 로봇"과 같은 용어로 부른다. 위와 아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가 수술 기기에 대해 적절한 기밀 실을 유지함으로써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이다. In one aspect, a combination of a seal assembly 1 and a surgical instrument inserted through the seal assembly 1 is considered an assembly. In another feature, the combination of seal assembly 1 and cannula 2 is considered an assembly. In another feature, the combination of the thread assembly 1, the cannula 2, and surgical instruments inserted into the thread assembly 1 and the cannula 2 is considered an assembly. In two additional features, the combination of the seal assembly 1 and the cannula 2, and the combination of the seal assembly 1, the cannula 2, and surgical instruments inserted into the seal assembly 1 and the cannula 2. This extends to include remotely controlled medical devices that control movement of surgical instruments. Telecontrolled medical devices such as the da Vinci Xi® Surgical System sold by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 are known and such medical devices are also referred to by terms such as “surgical system” or “surgical robot”. As described above and below, the seal assembly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teleoperated medical device to perform surgery by maintaining an appropriate airtight seal to the surgical instrument.

도 1a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이해를 위해 다수의 구성요소가 생략된, 실 어셈블리(1)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길이방향 및 측방향이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길이방향은 기기 삽입 및 당김 축에 대략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측방향은 기기 삽입 및 당김 축에 대략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1a는 와이퍼 실(7)을 통해 삽입된 수술 기기(3)의 샤프트를 도시하고 있다. 와이퍼 실(7)은 실링부(13)를 둘러싸는 내측 실링부(13) 및 외측 플렉스(flex)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7)을 통해 삽입되고 빠질 때, 플렉스부(14)에 의해 실링부(13)가 장축 A를 따라 말단으로 그리고 근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플렉스부(14)에 의해 실링부(13)가 수술 기기 하우징 안에서 측방향으로(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링부(13)는 상부 환형면(15) 및 이러한 상면(15)의 반대인 하부 환형면(16)을 포함하고 있다. 상면(15) 및 하면(16)은 환형상 와이퍼 실 립(lip)(17)에서 교차하여 원형 개구를 형성하고, 립(17)은 수술 기기(3)의 샤프트 외면(18)에 대해 밀봉한다. 따라서, 실링부(13)는 플렉스부(1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워서 플렉스부(14) 보다 강성이 높다. 그러나, 실링부(13)는 측방향으로 충분히 유연하여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와이퍼 실(7)은 4.7 내지 9.4 mm의 범위(5-8 mm 범위로도 부른다)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퍼 실(7)은 9.7 내지 14.2 mm의 범위(10-12 mm 범위로도 부른다)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봉한다. 이러한 와이퍼 실은 다양한 다른 직경 범위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거나, 단일 특정 기기 샤프트 직경으로 작업하기에 가장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FIG.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seal assembly 1 similar to FIG. 1 but with a number of components omitted for clarity.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re indicated by arrows, where longitudinal means a direction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instrument insertion and pull-out axis, and later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instrument insertion and pull-out axis. 1a shows the shaft of the surgical instrument 3 inserted through the wiper seal 7 . The wiper seal 7 includes an inner sealing portion 13 and an outer flex portion 14 surrounding the sealing portion 13 . When the surgical instrument 3 is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wiper seal 7, the flex portion 14 allows the sealing portion 13 to move distally and proximally along the long axis A. The flex part 14 also allows the sealing part 13 to move laterally (horizontally) within the surgical instrument housing. The sealing portion 13 includes an upper annular surface 15 and a lower annular surface 16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15 . The upper face 15 and the lower face 16 intersect at an annular wiper seal lip 17 to form a circular opening, which lip 17 seals against the shaft outer face 18 of the surgical instrument 3. . Therefore, the sealing part 13 is relatively thick compared to the flex part 14 and has higher rigidity than the flex part 14 . However, the sealing portion 13 is sufficiently flexible in the lateral direction to accommodate various machine shaft diameters. In one embodiment, for example, the wiper seal 7 seals effectively against surgical instrument shaft diameters in the range of 4.7 to 9.4 mm (also referred to as the 5-8 mm range). In another embodiment, the wiper seal 7 effectively seals against surgical instrument shaft diameters in the range of 9.7 to 14.2 mm (also referred to as the 10-12 mm range). These wiper seals may be sized to accommodate a variety of different diameter ranges, or may be made of materials most appropriate to work with a single specific machine shaft diameter.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5)은 기기(3)의 샤프트에 대해 각도 α로 경사져 있고 하면(16)은 기기(3)의 샤프트에 대해 각도 β로 경사져 있다. 이것을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수술 기기가 장축 A를 따라 삽입되고 빠지도록 실 어셈블리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규정된 장축 A에 대해 각도 α 및 β 만큼 경사져 있다. 각도 α는 각도 β 보다 작다(보다 급하다). 따라서, 상면(15)의 방사형 폭은 하면(16)의 방사형 폭 보다 크다.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7)을 통해 말단으로 삽입됨에 따라, 샤프트 외면(18)에 대한 상면(15)과 실 립(17) 사이의 접촉은 실링부(13)를 말단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마찬가지로, 수술 기기(3)가 와이퍼 실(17)을 통해 빠짐에 따라, 샤프트 외면(18)에 대한 하면(16)과 실 립(17) 사이의 접촉은 실링부(13)를 근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As shown, the upper surface 15 is inclined at a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shaft of the device 3 and the lower surface 16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haft of the device 3 at an angle β. Stated this another way, angles α and β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jor axis A defin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eal assembly such that the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and withdrawn along the major axis A. Angle α is smaller (more acute) than angle β. Accordingly, the radial width of the upper surface 15 is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lower surface 16 . As the surgical instrument 3 is inserted distally through the wiper seal 7, the contact between the seal lip 17 and the upper surface 15 to the shaft outer surface 18 moves the sealing portion 13 distally. there is a tendency Similarly, as the surgical instrument 3 is withdrawn through the wiper seal 17, the contact between the lower surface 16 and the seal lip 17 to the shaft outer surface 18 moves the seal 13 in the proximal direction. tend to do

비교적 더 두꺼운 실링부(13), 및 상면(15)과 하면(16)의 각도 및/또는 방사형 폭은 다수의 장점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박막 격막 실이 균일하거나 거의 균일한 두께를 가져서, 기기가 삽입될 때 기기 팁에 의해 펑크나거나 찢어지게 된다. 플렉스부(14)에 대한 실링부(13)의 보다 큰 두께는 기기가 처음 삽입될 때 펑크 또는 찢어짐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돕지만, 플렉스부(14)는 얇은 격막 실의 유연성과 유사한 전체 실 길이방향 및 측방향 유연성을 제공한다. 하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구성에서, 플렉스부(14)는 전형적인 박막 격막 실에 비교하여 와이퍼 실(7)에 대한 보다 우월한 유연성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플렉스부(14)가 기기에 의해 접촉되지 않아 보다 얇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체 유연성은 초기 삽입, 제거, 및 사용 동안 실 어셈블리 내의 기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및 측방향 이동을 수용한다. 상면(15)의 상대적으로 급한 각도 α는 기기 팁을 실 립(17)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안내하도록 도와 펑크 또는 찢어짐의 위험이 더 감소된다. 외측 두께를 증가시키는 실링부(13)를 따라, 기기 샤프트와의 보다 두꺼운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기기 샤프트에 대해 압축되는 립(17)으로부터 나온 실링부(13)의 두께는 립(17)과 표면(18) 사이의 개구를 생성함으로써 실을 파괴하는, 샤프트가 실 어셈블리 안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기기 샤프트 표면(18)으로부터 분리되고 직방형상으로 늘어지는 실 립(17)의 일부의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상황은 때로 최종 실 개구 형상으로 인해 "캣-아이(cat eye)" 상태로 부르고, 박막 격막 실이 수용할 수 있는 직경 범위의 하단부에서 기기 샤프트 직경과 관련하여 문제가 더 커진다. 립(17)에서 정점을 갖는, 실링부(13)의 거의 삼각형인 단면 형상 때문에, 원형 개구는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용이하게 확장되고, 와이퍼 실 기능은 보존되고 실링부(13)의 길이방향 구부러짐은 상당히 감소된다. 원형 개구 근방의 재료의 일반적으로 보다 적은 양에 의해 실링부(13)는 비교적 보다 적은 저항으로 측방향으로 외측으로 압축될 수 있고, 원형 개구로부터 먼 재료의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양에 의해, 원형 개구가 더 확장됨에 따라 실링부(13)가 외측으로 측방향 압축에 저항하는 것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The relatively thicker sealing portion 13 and the angular and/or radial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5 and 16 provide a number of advantages. Typical thin-film diaphragm seals have a uniform or nearly uniform thickness, so that when the device is inserted, it is punctured or torn by the device tip. The greater thickness of the sealing portion 13 relative to the flex portion 14 helps protect it from punctures or tears when the instrument is first inserted, but the flex portion 14 provides a full seal longitudinal and Provides lateral flexibility. As will be discussed below, in some configurations, flex portion 14 provides superior flexibility characteristics to wiper seal 7 compared to typical thin-film diaphragm seals because flex portion 14 is not subject to contact by an instrument. This is because it can be made thinner. This overall flexibility accommodates longitudinal and lateral movement of the instrument shaft within the seal assembly during initial insertion, removal, and use. The relatively steep angle α of the top surface 15 helps guide the instrument tip into the configuration formed by the seal lip 17, further reducing the risk of puncture or tearing. Along the sealing portion 13 increasing the outer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ortion 13 coming from the lip 17 being compressed against the machine shaft to form a thicker contact with the machine shaft is (18) to break the seal by creating an opening between them, the problem of a portion of the seal lip (17) detaching from the instrument shaft surface (18) and sagging in a rectangular shape when the shaft is moved laterally within the seal assembly. help reduce or eliminate This situation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cat-eye” condition due to the shape of the final seal opening, and becomes more of a problem with machine shaft diameters at the lower end of the range of diameters that thin-film diaphragm seals can accommodate. Because of the almost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l 13, with its apex at the lip 17, the circular opening easily expands to accommodate a variety of machine shaft diameters, while the wiper seal function is preserved and the seal 13 Longitudinal bending i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 generally smaller amount of material near the circular opening, the seal 13 can be compressed laterally outward with relatively less resistance, and with a generally larger amount of material far from the circular opening, the circular open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compression of the sealing portion 13 outwards tends to increase as is further expanded.

하면(16)의 방사형 폭과 비교된 상면(15)의 상대적으로 더 큰 방사형 폭으로 인해, 기기가 삽입되고 빠질 때 하면(16)과 비교하여 상면(15)의 비교적 보다 많은 부분이 기기 샤프트 표면(18)에 접촉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상면(15)과 기기 샤프트 사이의 접촉 면적은 하면(16)과 기기 샤프트 사이의 접촉 면적 보다 크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기기가 삽입됨에 따라 비교적 높고 기기가 빠짐에 따라 비교적 낮은 마찰력이 와이퍼 실(7)과 기기 샤프트 표면(18) 사이에 발생된다. 기기 빠짐 동안의 보다 낮은 마찰력은 기기가 완전히 빠질 때 와이퍼 실(7)이 근접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도와서, 와이퍼 실이 실 하우징 내의 상부 개구를 통해 근접하여 반전되지 않도록 돕는다. 도면에 도시되고 하술된 와이퍼 실 실시예에서, 각도 α 및 β가 같거나 각도 α가 각도 β 보다 클지라도, 비교적 높은 기기 삽입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면(15)의 방사형 폭(즉, 접촉 면적)이 하면(16)의 방사형 폭 보다 크도록 실링부(13)가 옵션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특별히 기기 샤프트가 실을 통해 전후로 일정하게 이동함에 따라 부드러운 제어가 필요한 원격 조정에서, 낮은 마찰력(예를 들어, 스틱 슬립 상태를 피하도록 충분히 낮다)을 갖는 양호한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또한, 기기가 실을 통해 부적절하게 미끄러져 (수동 복강경 절차 동안 기기의 자체 무게로 인해) 환자를 다치게 하지 않도록 기기 삽입에 적절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와이퍼 실의 기술된 실링부는 수용가능한 삽입/빠짐 마찰력은 물론 이러한 증가된 삽입 저항 마찰력을 제공한다. 다른 와이퍼 실(7) 특징은 물론 추가 비대칭 삽입/빠짐 저항 특징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Due to the relatively larger radial width of the upper face 15 compared to the radial width of the lower face 16, a relatively larger portion of the upper face 15 compared to the lower face 16 is exposed to the instrument shaft surface when the instrument is inserted and withdrawn. (18) will be contacted. In other word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surface 15 and the machine shaft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surface 16 and the machine shaft. Due to this contact, a relatively high frictional force is developed between the wiper seal 7 and the instrument shaft surface 18 as the instrument is inserted and relatively low as the instrument is withdrawn. The lower frictional force during appliance withdrawal helps prevent the wiper seal 7 from being pulled proximally when the appliance is completely withdrawn, thereby preventing the wiper seal from proximally invert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in the seal housing. In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s and described below, the radial width (i.e., contact area) of upper surface 15 to provide a relatively high instrument insertion friction force, even if angles α and β are equal or angle α is greater than angle β.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sealing portion 13 can optionall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lower surface 16 .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ind it necessary to provide a good sealing function with low friction (e.g. low enough to avoid a stick-slip condition), especially in remote controls where smooth control is needed as the machine shaft moves constantly back and forth through the sea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However, on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dequate resistance to instrument insertion so that the instrument does not inadvertently slide through the thread and injure the patient (due to the instrument's own weight during manual laparoscopic procedures). The described sealing portion of the wiper seal provides acceptable insertion/extraction friction as well as this increased resistance to insertion friction. Other wiper seal 7 features as well as additional asymmetric insertion/extraction resistance features are detailed below.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14)가 상면(15)과 하면(16) 사이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실링부(13)의 외주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플렉스부(14)는 립(17)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옵션으로, 플렉스부(14)는 극단적인 근접 및 말단 위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길이방향 위치에서 실링부(13)의 주변부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스부(14)는 옵션으로 립(17)과의 다양한 길이방향 관계를 갖는 위치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부착 및 립 정렬의 예가 아래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A , a flex part 14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aling part 13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15 and the lower surface 16 . Flex portion 14 is also shown longitudinally aligned with lip 17 . However, as an option, flex portion 14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seal portion 13 at various longitudinal positions, including extreme proximal and distal positions. Likewise, flex portion 14 is optionally positioned in various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th lip 17 . An example of such longitudinal attachment and lip alignment is shown in detail below.

제1 예Example 1

도 2는 수술 기기 실 어셈블리(20)의 예의 단면 정면도이다. 실 어셈블리(20)는 함께 조립될 때 원통형 실 어셈블리 하우징(21)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동안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은 먼저 6각형 구멍 및 간섭 핀과 정렬된 다음, 초음파 용접이 사용되어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을 함께 고정시킨다. 영구 압축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다른 주지된 영구 결합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21a) 및 상부 하우징(21b)은 강성 폴라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지고, 옵션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강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20 . The seal assembly 20 includes a lower housing 21a and an upper housing 21b which when assembled together form a cylindrical seal assembly housing 21 . As shown, during manufacturing, the lower housing 21a and upper housing 21b are first aligned with the hexagonal holes and interference pins, then ultrasonic welding is used to secure the lower housing 21a and upper housing 21b together. let it Other well-known permanent bonding techniques may be used, such as permanent compression fit or the use of adhesives. In one embodiment, lower housing 21a and upper housing 21b are made of rigid polycarbonate, optionally other rigid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metal may be used.

하부 하우징(21a)은 수술 캐뉼라(도시되지 않음)의 근접 단부의 캐뉼라 보울에 삽입되는 말단부(22), 및 캐뉼라의 외측에 있는 근접 단부(23)를 포함하고 있다. 근접 단부(23)는 옵션으로 말단부(22) 보다 일반적으로 크고, 근접 단부(23) 아래의 릴리프 표면(24)은 캐뉼라의 근접 단부 위에 안착되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21a)은 그 외벽 표면(26)에 환형 그루브(25)를 더 포함하고 있다. O링(27)은 그루브(25)에 삽입되어 있고, 실 어셈블리(20)가 캐뉼라 보울에 삽입될 때, O링(27)은 캐뉼라 보울의 내벽면에 대해 실링하여 흡입 가스가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과 하부 하우징(21)의 외측벽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O링(27)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보울 사이의 실을 유지하면서 캐뉼라 보울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당업자는 O링(27)이 일반적으로 캐뉼라 실로 부를 수 있고 실 어셈블리의 외측벽과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 사이에서 실링하는 기능을 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실을 유지하면서 캐뉼라 보울 안에서 실 어셈블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패킹 또는 캐스킷 타입의 실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The lower housing 21a includes a distal end 22 that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bowl at the proximal end of a surgical cannula (not shown), and a proximal end 23 that is external to the cannula. The proximal end 23 is optionally generally larger than the distal end 22, and a relief surface 24 under the proximal end 23 is seated and held over the proximal end of the cannula. The housing 21a further includes an annular groove 25 on its outer wall surface 26 . The O-ring 27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5, and when the seal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bowl, the O-ring 27 seals agains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nnula bowl so that the suction gas flows into the cannula bowl. It is prevented from escaping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lower housing 21 .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O-ring 27 allows the seal assembly to rotate within the cannula bowl while maintaining a seal between the seal assembly and the cannula bowl. One skilled in the art will generally refer to the o-ring 27 as a cannula seal and functions to seal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seal assembly and the inner wall of the cannula bowl, in some embodiments allowing rotation of the seal assembly within the cannula bowl while retaining the sea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packing or gasket types of seals are shown.

하부 하우징(21a)은 말단부(22)쪽으로 외측으로 측방향으로 경미하게 테이퍼되어 역류 방지 실의 측방향 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내벽면(28)을 더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어, 확장된 역류 방지 실이 도시된 도 7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면(28)은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부(21b) 근방에서 경미하게 넥다운되어 있다. 이러한 넥다운은 하부 하우징부에서 구조적 힘을 증가시킨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옵션의 방사형-내측-돌출 리브(29)가 이러한 넥다운 영역에 있다. 리브(29)는 가스가 실 어셈블리의 포트를 통해 수술 부위로 들어가거나 나오기 위해 하우징의 내측벽과 역류 실의 외면 측벽 사이를 통과할 때 역류 실의 외측벽면이 가스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The lower housing 21a further includes an inner wall surface 28 that may taper slightly laterally outward toward the distal end 22 to increase lateral movement of the non-return seal (e.g., an extended backflow seal). see FIG. 7 where the anti-seal is shown). As shown in Figure 2, the inner wall surface 28 is optionally slightly necked down near the upper housing portion 21b. This neckdown increases the structural strength in the lower housing portion. Also, as shown in Figure 2, there are a number of optional radial-inwardly-protruding ribs 29 in this neckdown area. The ribs 29 help prevent the outer wall of the regurgitation seal from blocking gas flow as gas passe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ide wall of the regurgitation chamber to enter or exit the surgical site through the port of the seal assembly.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1)은 또한 밸브 바디(31), 회전 밸브 부재(32), 외부 피팅(fitting)(33)(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형 루어록), 내부 피팅(34)(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루어 테이퍼 피팅), 및 가스 채널(30a)을 포함하는 옵션의 가스 밸브(30)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부재(32)는 환형상 리테이너 플랜지(35)를 사용하여 밸브 바디(31)에 스냅-피팅되고 회전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옵션의 서포트 리브(30b)가 밸브 바디(31)와 실 어셈블리 하우징(21)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30)가 하우징(21)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추가 구조적 강도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1a), 밸브 바디(31), 외부 피팅(33), 및 서포트 리브(30b)는 일체 단일 피스로 형성되어 있고, 옵션으로 함께 결합되는 2개 이상의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수술 절차 동안, 흡입 가스원(도시되지 않음)은 피팅(33, 34)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 부재(32)는 가스가 채널(30a)을 통해 실 어셈블리 내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전된다. 대안으로, 배출 가스 싱크(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진공원)가 피팅(33, 34)에 결합될 수 있고, 밸브 부재(32)는 가스가 채널(30a)을 통해 실 어셈블리로부터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회전된다. As shown in FIG. 2, the lower housing 21 also includes a valve body 31, a rotary valve member 32, an external fitting 33 (e.g., a threaded luer lock as shown). ), an internal fitting 34 (eg, a Luer taper fitting as shown), and an optional gas valve 30 comprising a gas channel 30a. As shown, the valve member 32 is snap-fitted and rotationally fixed to the valve body 31 using an annular retainer flange 35 .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optional support ribs 30b are disposed between the valve body 31 and the seal assembly housing 21 to provide additional structural support to help prevent the valve 30 from falling out of the housing 21. provides strength. As shown, the lower housing 21a, the valve body 31, the outer fitting 33, and the support rib 30b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iece, and may optionally be formed as two or more pieces joined together. can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a suction gas source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ittings 33 and 34 and the valve member 32 rotated to allow gas to flow through the channel 30a and into the seal assembly. Alternatively, an exhaust gas sink (not shown; e.g., a vacuum source) may be coupled to the fittings 33, 34, and the valve member 32 may direct gas outwardly from the seal assembly through the channel 30a. It is rotated so that it flows.

상부 하우징(21b)은 아래에 있는 와이퍼 실 쪽으로 말단쪽으로 뻗은 옵션의 환형상 기기 삽입 가이드(37)에 이르는, 옵션의 말단 테이퍼링 환형상 깔때기부(36)를 포함하고 있다. 깔때기부(36) 및 기기 삽입 가이드(37)는 기기가 삽입되는 실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중심이 맞추어진 원형 구멍(38)을 상부 하우징(21b)에 함께 형성한다. 구멍(38)의 직경은 아래의 와이퍼 실의 구멍 보다 크고, 구멍(38)의 직경과 와이퍼 상면의 치수 사이의 관계는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깔때기부(36)는 수술 기기 팁을 구멍(38)쪽으로 안내하도록 돕고, 기기 가이드(37)는 아래의 와이퍼 실을 통한 삽입을 위해 기기 팁을 정렬하고 안내하도록 돕는다.The upper housing 21b includes an optional distal tapering annular funnel portion 36 leading to an optional annular instrument insertion guide 37 extending distally into the underlying wiper seal. The funnel portion 36 and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37 together form a circular hole 38 centered o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seal assembly into which the instrument is inserted, in the upper housing 21b. The diameter of the hole 38 is larger than that of the wiper seal be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of the hole 38 and the dimens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per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Funnel portion 36 helps guide the surgical instrument tip toward aperture 38 and instrument guide 37 helps align and guide the instrument tip for insertion through the underlying wiper seal.

하우징(21b)은 옵션으로, 물체가 제거가능하게 하우징(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래치 수용 특징부(39)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수용 특징부(39)는 실에 완전히 삽입되는 밀폐기(도시되지 않음)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21b)의 내면을 통해 밀폐기 래치(도시되지 않음)가 뻗어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이다. 이러한 밀폐기 래치는 윈도우를 형성하는 주변부 아래에 맞물려져 있다. 캐뉼라, 실, 및 밀폐기는 환자의 신체벽을 통해 캐뉼라를 의사가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어셈블리를 함께 형성한다. 도시된 래치 수용 특징부(39)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밀폐기 또는 다른 물체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많은 주지된 래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제2 실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 위의 래치는 하우징(21)의 상부에 대해 제2 실 어셈블리를 유지한다. (메인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리듀서" 실을 보여주는) 미국 특허 번호 6,123,689를 참조하라. 제2 실 어셈블리는 하우징(21)의 와이퍼 실의 구멍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퍼 실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실 어셈블리는 하우징(21)에 결합될 때 본 발명의 다른 곳에서 기술된 조합과 유사한 추가적인 다양한 조합을 형성한다. Housing 21b optionally includes one or more latch receiving features 39 that allow objects to be removably coupled to housing 21 . As shown, latch receiving feature 39 extends and engages a sealer latch (not shown)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upper housing 21b to retain the sealer (not shown) fully inserted into the seal. It is a window that allows This sealer latch is engaged below the periphery forming the window. The cannula, thread, and obturator together form an assembly that allows a surgeon to insert the cannula through a patient's body wal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llustrated latch receiving feature 39 represents a number of well-known latch mechanisms that will allow an obturator or other object to be remov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housing 21 . In another example, a latch on a second seal assembly (not shown) holds the second seal assembly against the top of the housing 21 . See U.S. Patent No. 6,123,689 (showing a "reducer" seal that can be remov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seal assembly). The second seal assembly includes a wiper seal hol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per seal hole in the housing 21 . When coupled to the housing 21, the second seal assembly forms additional various combinations similar to those described elsewhere herei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40)이 하부 하우징(21a)과 상부 하우징(21b)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40)은 크로스-슬릿 실이다. 역류 방지 실(40)의 폴딩 측벽(41)의 각각의 두께는 실(40)의 말단부(42)쪽으로 경미하게 테이퍼되어 있다. 실(40)의 근접단부의 보다 두꺼운 폴딩 측벽(41)이 기기가 제거될 때 역류 방지 실이 스냅핑되어 다시 닫힌 위치가 되도록 돕는다. 실(40)의 말단부에서의 보다 얇은 폴딩 측벽(41)은 기기가 실(40)을 통해 삽입될 때 실(40)과 기기 사이에 측벽 유연성을 증가시켜 그 결과 마찰력을 낮춘다. 비교적 보다 얇은 말단측 벽(41)은 또한 기기가 제거될 때 측벽의 외면에 대한 유체 배압이 실이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역류 방지 실(4)은 기기가 역류 방지 실(40)을 통해 삽입될 때 리브(39)에 대해 밀어지는 충분한 가스 흐름이 폴딩 측벽(41)을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측벽(41) 내측 폴드(fold)중 하나가 가스 채널(34)과 정렬되도록(즉, 인접한 측벽(41) 외측 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채널(34)로부터 45도 오프셋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1a) 안에 배향되어 있다. 역류 방지 실(40)의 내부는 와이퍼 실이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역류 방지 실(40)이 위의 와이퍼 실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방향으로 깊고 측방향으로 충분히 넓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실(40)은 염화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의료 등급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실리콘, 우레탄과 같은 고무 재료 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non-return seal 40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housing 21a and the upper housing 21b. A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non-return seal 40 is a cross-slit seal.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olding sidewalls 41 of the non-return seal 40 tapers slightly towards the distal end 42 of the seal 40. The thicker folding sidewall 41 at the proximal end of the seal 40 helps the non-return seal snap back into a closed position when the appliance is removed. The thinner folding sidewall 41 at the distal end of yarn 40 increases sidewall flexibility between yarn 40 and the device as the appliance is inserted through yarn 40, resulting in lower friction. The relatively thinner distal side wall 41 also helps keep the seal closed when the instrument is removed, fluid back pressure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non-return seal 4 is placed inside the side wall 41 to ensure that sufficient gas flow pushed against the rib 39 passes through the folding side wall 41 when an instrument is inserted through the non-return seal 40. oriented in the lower housing 21a such that one of the folds is aligned with the gas channel 34 (i.e., the adjacent sidewall 41 outer fold is 45 degrees offset from the gas channel 34, as shown); has been The interior of the non-return seal 40 is such that as the wiper seal moves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the non-return seal 40 is deep enoug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ide enough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non-return seal 4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wiper seal above. has been In an embodiment, the anti-backflow seal 40 is made of a medical grade elastomeric material such as chlorinated polyisoprene, or a rubber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Other suitable materials may be used.

도 2는 역류 방지 실(40) 위에 위치되고 하부 하우징부와 상부 하우징부(21a, 21b) 사이에 샌드위치된 옵션의 환형상 스페이서(43)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상 스페이서(43)는 하우징(21)을 캐뉼라에 제거가능하게 고정하는 래치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피스로서 결합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3)는 와이퍼와 역류 방지 실 모두 위에 위치되어 와이퍼의 외주와 역류 방지 실이 터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43)는 와이퍼와 역류 방지 실 사이에 위치되어 와이퍼와 역류 실의 근접단부 사이에 보다 많은 길이방향 공간을 제공하여서, 와이퍼 실이 역류 방지 실로부터의 접촉 간섭 없이 적절히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스페이서(43)는 각각의 실과 하우징 사이에 기밀 실을 보장하고 각각의 실이 하우징 안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하우징 피스가 함께 고정될 때 역류 방지 실과 와이퍼 실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압축하는 하나 이상의 환형상 보스를 옵션으로 포함하고 있다. FIG. 2 shows an optional annular spacer 43 positioned over the non-return seal 40 and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housing portions 21a, 21b.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some embodiments, the annular spacer 43 is coupled as a single piece integrally formed with a latch that removably secures the housing 21 to the cannula. In some embodiments, the spacer 43 is positioned over both the wiper and the non-return seal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per and the non-return seal touch. However, as shown, a spacer 43 is positioned between the wiper and the non-return seal to provide more longitudinal space between the wiper and the proximate end of the non-return seal so that the wiper seal can be moved without contact interference from the non-return seal. enable it to function properly. The spacer 43 is one or more seals that compress either or both the anti-return seal and the wiper seal when the upper and lower housing pieces are secured together to ensure an airtight seal between each seal and the housing and to prevent each seal from rotating within the housing. An annular boss is included as an op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44)은 와이퍼 실이 역류 방지 실(40) 위에 (근접하여) 있도록 환형상 스페이서(43) 위에 위치되어 있다. 와이퍼 실(44) 내의 기기 구멍은 기기가 와이퍼 및 역류 방지 실 모두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역류 방지 실(40)의 크로스 슬릿의 교차점 위에 정렬된다. 와이퍼 실의 세부사항은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As shown, the wiper seal 44 is positioned over the annular spacer 43 such that the wiper seal is over (close to) the non-return seal 40 . The instrument hole in the wiper seal 44 is aligned over the intersection of the cross slits of the non-return seal 40 such that the instrumen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both the wiper and non-return seal. The details of the wiper seal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의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와이퍼 실(44)의 외주 위에(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사용될 때,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와이퍼 실(44)에 대한 상부 하우징(21b)의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돕는다. 또한, 환형상 스페이서(45)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와이퍼 실 반전방지 특징부를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an optional annular spacer 45 is positioned over (close to) the periphery of the wiper seal 44 . When used, the annular spacer 45 helps distribute the pressure of the upper housing 21b against the wiper seal 44. Additionally, the annular spacer 45 may optionally include a wiper seal anti-reverse featur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따라서, 도 2는 하부 하우징(21a)과 상부 하우징(21b) 사이에서 옵션의 스페이서(43, 45)를 따라 샌드위치된, 실 하우징(21) 내의 역류 방지 실(40) 위에 위치된 와이퍼 실(44)을 도시하고 있다. 2 shows a wiper seal 44 positioned over a non-return seal 40 in seal housing 21, sandwiched along optional spacers 43, 45 between lower housing 21a and upper housing 21b. ) is shown.

와이퍼 실wiper seal

도 3은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단면 상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와이퍼 실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실 실시예의 단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지루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된 와이퍼 실 특징부는 물론, 이러한 와이퍼 실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상술되고 하술되는 다른 와이퍼 실 실시예에 적용된다.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wiper seal embodiment; FIG. 3A is a cross-sectional top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and FIG. 3B is a top plan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seal embodiment shown in FIG. 3 , FIG. 4A is a cross-sectional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 and FIG. 4B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 To avoid tedious description, the wiper seal features described above, as well as various features described for this wiper seal embodiment, apply to other wiper sea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below.

도 2, 3, 3a, 3b, 4, 4a 및 4b를 참조하면, 와이퍼 실(44)은 대략 환형상이고 환형상 외주부(45), 환형상 내부 실링부(46), 및 외주부(45)와 실링부(46) 사이의 환형상 플렉스부(47)를 포함하고 있다. 외주부(45)는 하우징(21) 내의 와이퍼 실(44)을 지지하여, 실링부(46)는 와이퍼 실(44)을 통과하는 기기 샤프트가 하우징(21) 내측으로 이동할 때 길이방향 및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46)는 옵션의 작은 환형상 보스를 그 말단측에 갖고 있고, 다양한 다른 옵션의 구성(예를 들어, 근접측의 환형상 보스, 인터럽트 환형상 보스 또는 돌기등)이 와이퍼 실(44)을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46)는 도 1 및 도 1a에 대해 일반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 그것은 수술 기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빠지는 구멍을 형성하는, 원형 실 립(50)에서 만나는 환형상 상면(48)과 환형상 하면(49)을 포함하고 있다. 실 립(50)은 수술 기기 샤프트의 외면에 대해 실링한다. 실 립(50)은 단일, 원형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옵션으로, 편평한, 코루게이트등과 같은 다른 표면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옵션으로, 하나 이상의 작은, 이산 환형상 링이 기기 샤프트에 대해 실링하기 위해 립(50)에 배치되어 있다. 실링부(46)는 유연하여서, 다양한 기기 샤프트 치수(예를 들어, 약 5-8.5 mm 또는 약 10-12 mm - 실링부(46) 치수는 다른 치수 범위를 적절히 수용하도록 변할 수 있다)를 수용한다. 상면(48)의 방사형 폭이 하면(49)의 방사형 폭 보다 크고, 상면(48)과 삽입된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각도가 하면(49)과 삽입된 기기 샤프트 사이의 각도 보다 가파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3, 3a, 3b, 4, 4a and 4b, the wiper seal 44 has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and seals with the annula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45, the annular inner sealing portion 4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45. An annular flex portion 47 between the portions 46 is included. The outer periphery 45 supports the wiper seal 44 within the housing 21 so that the seal 46 is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damped when the instrument shaft passing through the wiper seal 44 moves inside the housing 21. can move As shown, the outer periphery 46 has optional small annular bosses on its distal side, and various other optional configurations (eg, proximal annular bosses, interrupt annular bosses or protrusions, etc.) It may be used to mount the wiper seal 44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The sealing portion 46 functions as gener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 and 1A. It includes an annular upper face 48 and an annular lower face 49 which meet at a circular seal lip 50,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surgical instrument shaft is inserted and withdrawn. Seal lip 50 seal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instrument shaft. The seal lip 50 may be formed as a single, circular face or, optionally, as other surface shapes such as flat, corrugated, or the like. Optionally, one or more small, discrete annular rings are disposed on the lip 50 to seal against the machine shaft. The seal 46 is flexibl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machine shaft dimensions (eg, about 5-8.5 mm or about 10-12 mm - the dimensions of the seal 46 can be varied to suitably accommodate other dimensional ranges). do. It can be seen that the radial width of the upper surface 48 is greater than the radial width of the lower surface 49, and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48 and the inserted instrument shaft is steep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lower surface 49 and the inserted instrument shaft. .

플렉스부(47)는 실링부(46)를 둘러싸고, (i) 실링부(46)가 실 어셈블리 안에서 말단으로 그리고 근접 방향으로(길이발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ii) 실링부(46)가 상당한 왜곡 없이 실 어셈블리 내에서 옆으로(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따라서, 상술된 "캣-아이" 문제를 줄인다), (iii) 큰 직경 기기 샤프트가 삽입될 때 방사형 외측으로 뻗는 실링부(46)를 수용한다. 따라서, 실링부(46)의 다양한 특징의 장점은 플렉스부(47)의 장점과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47)는 하나 이상의 상부(근접 배향) 환형 폴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부(말단 배향) 환형 폴드를 포함하는, 환형상 코루게이션 구성으로서 대안으로 기술된, 대략 환형상의 폴딩 벨로우 구성을 갖고 있는데, 여기에서, 환형 그루브가 인접한 상부 폴드와 인접한 하부 폴드를 분리한다(즉, 그루브는 폴드의 역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폴드는 폴드 사이의 플렉스부(47) 재료 역시 눌러질 수 있지만, 힌지로서 동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일정하거나 다양한 두께를 갖는 편평(평면), 환형상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플렉스부(47)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 portion 47 surrounds the seal portion 46 and (i) allows the seal portion 46 to move distally and proximally (longitudinal) within the seal assembly, and (ii) seal portion 46. (iii) a seal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when a large diameter instrument shaft is inserted. Receive section 46. Thus, the advantages of various features of the sealing portion 46 are combined with the advantages of the flex portion 47 . As shown, flex portion 47 has a generally annular shape, alternatively described as an annular corrugated configuration, comprising one or more upper (nearly oriented) annular folds and/or one or more lower (distal oriented) annular folds. It has a folding bellow configuration, wherein an annular groove separates an adjacent upper fold from an adjacent lower fold (ie, the groove is formed by reversing the folds). These folds act as hinges, although the flex portion 47 material between the folds can also be compressed. In other embodiments, other suitable flex portion 47 may be used, including, for example, a flat (planar), annular diaphragm having a constant or variable thickness.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렉스부(47)는 내부 상부 환형 폴드(51)에서 실링부(46)에 결합되고 외부 상부 환형 폴드(52)에서 외주부(45)에 결합된다. 상부 환형 폴드(51, 52) 사이에 하부 환형 폴드(53)가 존재한다. 그 결과, 하부 환형 그루브(54)가 실링부(46)와 하부 환형 폴드(53)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 환형 그루브(55)가 상부 환형 폴드(51, 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6)는 하부 환형 그루브(54)에 위치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57)는 상부 환형 그루브(55)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6, 57)의 각각이 5개 존재하고, 다른 수(예를 들어, 3, 4, 6, 또는 그 이상)가 사용될 수 있다. 개별적인 서포트 리브(56, 57)가 와이퍼 실(44)의 반대 및 역에 서로 반대로 위치되지만, 이들은 다른 상호 상대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서포트 리브(56)의 수는 서포트 리브(57)의 수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리브(56) 및 서포트 리브(57)는 옵션으로 환형 그루브 내에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이격될 수 있다. 3개 또는 그 이상의 서포트 리브의 대칭 이격은 운동에 대한 저항을 모든 측방향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고, 비대칭 이격(또는 서로 반대로 배향된 2개의 서포트 리브만을 사용)은 하나 이상의 측방향으로의 운동을 돕는 경향이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lex portion 47 is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46 at an inner upper annular fold 51 and to the outer periphery 45 at an outer upper annular fold 52 . Between the upper annular folds 51 and 52 there is a lower annular fold 53. As a result, a lower annular groove 54 is form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46 and the lower annular fold 53, and an upper annular groove 55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nular folds 51 and 52. The support rib 56 is located in the lower annular groove 54, and the support rib 57 is located in the upper annular groove 55. As shown, there are five each of support ribs 56, 57, although other numbers (eg, 3, 4, 6, or more) may be used. Although the individual support ribs 56 and 57 are located opposite and inverse of the wiper seal 44 opposite each other, they can be arranged in other mutually relative orientations. Also, in some embodiments, the number of support ribs 56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support ribs 57 . And, the support ribs 56 and 57 can optionally be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spaced within the annular groove. Symmetrical spacing of three or more support ribs tends to keep the resistance to motion constant in all lateral directions, while asymmetric spacing (or using only two support ribs oriented opposite to each other) provides resistance to motion in one or more lateral directions. It tends to help with exercise.

도 4,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6)는 하부 환형 그루브(54)에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6)는 양측에서 실링부(46)에 결합된 면처리된 반원형 실린더부(58), 및 반원형 실린더부(58)와 하부 환형 그루브(54)의 외측벽 사이에 뻗은 웹부(59)의 2개의 부분을 갖고 있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56)의 방원형 실린더부(58)는 대략 실링부(46) 주변에 스캘롭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실린더부(58)는 실링부(46)에서 서로 경미하게 분리되어 있고, 옵션으로 실링부(46)에서 서로 터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 4A and 4B , the support ribs 56 are equally spaced from the lower annular groove 54 . Each support rib 56 has a faceted semicircular cylinder portion 58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46 on both sides, and a web portion 59 extending between the semicircular cylinder portion 58 and the outer wall of the lower annular groove 54. ) has two parts. The rectangular cylinder portions 58 of these support ribs 56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scallop pattern approximately around the sealing portion 46 . As shown, the semicircular cylinder parts 58 are sligh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sealing part 46 and can optionally touch each other at the sealing part 46 .

도 3, 3a, 및 3b에서, 서포트 리브(57)는 상부 환형 그루브(55)에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는 일측에서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외측벽에 결합된 면처리된 사분원형 실린더부(60), 및 부분(60)의 타측과 상부 환형 그루브의 내측벽 사이에서 뻗은 웹부(61)의 2개의 부분을 갖고 있다. 서포트 리브(57)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의 대략 절반만을 갖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의 형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3a, and 3b, the support ribs 57 are equally spaced from the upper annular groove 55. Each support rib 57 is a faceted quadrant cylinder portion 60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upper annular groove 55 on one side, and a web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60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annular groove. (61) has two parts.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support rib 57 is similar to that of the support rib 56, except that it has only approximately half of the semicircular cylindrical portion of the support rib 56.

서포트 리브(56) 및 서포트 리브(57) 모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트 리브(57)는 반원형 실린더부를 가질 수 있거나, 서포트 리브(56)는 사분원형 실린더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서포트 리브 형상은 단일, 부드러운(예를 들어, S 형상) 또는 날카로운 각도의(예를 들어, 지그재그) 폴딩 피스를 그루브 내측벽 사이에서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 리브(57)의 사부 및 서포트 리브(57)의 하부는 기술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처리될 수 있거나, 실(44)의 측방향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Both support ribs 56 and 57 may have other shapes. For example, support rib 57 may have a semi-circular cylinder portion, or support rib 56 may have a quarter-circular cylinder portion. Other support rib shapes include a single, smooth (eg S shape) or sharply angled (eg zigzag) folding piece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groove. The oblique portion of support rib 57 and the lower portion of support rib 57 may be faceted as described or shown, or may b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lateral direction of yarn 44 .

도 2, 4, 4a, 4b로부터 서포트 리브(56)의 하부 환형 그루브(54)의 외측벽으로의 부착부가 실링부(46)의 레벨 아래로(말단으로) 뻗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기 빠짐과 언폴딩 상부 환형 폴드(51) 동안 인접 방향으로 실링부(46)가 당겨지는 것(즉, 실 반전)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반전방지 특징부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서포트 리브(56) 구성은 압축에 대한 비교적 작은 저항 및 확장에 대한 비교적 큰 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58)에 의해 보다 큰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도록 늘어져 개방될 수 있어서, 하부 환형 그루브(54)를 대칭 압축한다. 또한 반원형부(58)에 의해, 실링부(46)가 플렉스부(47) 안에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환형 그루브(54)가 비대칭 압축될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Figs. 2, 4, 4a, 4b that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support rib 56 to the outer wall of the lower annular groove 54 extends below (towards the end) the level of the sealing portion 46. This configuration acts as an anti-reverse feature to help prevent pulling the seal 46 in the proximal direction (i.e., reversing the seal) during instrument pull-out and unfolding top annular fold 51. This configuration of support ribs 56 provides relatively little resistance to compression and relatively high resistance to expansion. Thus, the semi-circular cylindrical portion 58 of the support rib 56 can stretch open to accommodate larger machine shaft diameters, thereby symmetrically compressing the lower annular groove 54. The semicircular portion 58 also allows the lower annular groove 54 to be compressed asymmetrically as the sealing portion 46 moves laterally into the flex portion 47 .

따라서, 반전방지 유익과 환형 그루브의 압축에 대한 낮은 저항 모두 제공된다. 이러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에 의해 서포트 리브(56)는 반원형 벽이 V 형상으로 직선으로 당겨짐에 따라 비교적 낮은 저항을 갖고 비교적 짧은 거리를 뻗을 수 있고, 그후에, 추가 뻗음에 대해 비교적 높은 저항을 제공하여, 서포트 리브 재료 자체가 늘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에 의해 서포트 리브(56)는 저항이 거의 없는 상태로 자체로 거의 완전히 접힐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반원형 실린더 형상의 수직벽에 의해 성형이 용이하여, 완전한 와이퍼 실이 단일, 균일한 피스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술되는 서포트 리브(57) 구성은 물론, 상술되고 하술되는 다른 서포트 리브(56) 구성에서 유사한 특징 및 장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us, both the anti-reverse benefit and low resistance to compression of the annular groove are provided. Due to this semi-circular cylinder shape, the support rib 56 can extend a relatively short distance with relatively low resistance as the semi-circular wall is pulled straight into a V shape, and then provides a relatively high resistance to further extension, providing support The rib material itself needs to be stretched. Also, due to this semicircular cylinder shape, the support rib 56 can be folded almost completely on itself with little resistance.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the semicircular cylinder shaped vertical wall facilitates shaping so that a complete wiper seal can be formed as a single, uniform piec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imilar features and advantages exist in the support rib 57 configuration discussed below, as well as other support rib 56 configurations discussed above and below.

또한, 특정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웹이 (그루브 구성에 따라) 실링부에 보다 가깝도록 웹 및 반원형 실린더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 다른 곡선 또는 직선 사이드를 포함하도록 반원형 실린더 형상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도시된 서포트 리브(56)는 2개의 벽을 갖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는데, 각각의 벽의 제1 사이드는 그루브(54)의 측벽중 하나에 앵커되고, 각각의 벽의 제2 사이드는 그루브(54)의 측벽중 다른 하나에 앵커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서포트 리브(56)의 벽이 그루브(54)의 외측벽과 결합하는 레벨은 서포트 리브(56)의 벽이 그루브(54)의 내측벽과 결합하는 레벨 보다 아래로(말단으로) 뻗어 있다. 또한, 그루브(54)의 내측벽이 실링부(46)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서포트 리브(56)는 옵션으로 플렉스부(47) 내의 임의의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whil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many variations such as reversing the web and semi-circular cylinder orientation to bring the web closer to the seal (depending on the groove configuration), changing the semi-circular cylinder shape to include different curved or straight sides, etc. this is possible Thus, in general, the illustrated support ribs 56 can be described as having two walls, with a first side of each wall anchored to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groove 54 and a second side of each wall. The side is anchored to the other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groove 54. And also, the level at which the wall of the support rib 56 joins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54 extends below (towards the end) the level at which the wall of the support rib 56 joins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54. . Further, although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54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the sealing portion 46, the support rib 56 may optionally be disposed in any groove within the flex portion 47.

일부 와이퍼 실(46) 실시예에서, 의료급의 실리콘 윤활유와 같은 윤활유(62)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원통부(58)와 실링부(46) 사이에 형성된 포켓중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있다. 수술 기기가 실링부(46)를 통해 삽입되고 빠짐에 따라, 실링부(46)의 그리고 플렉스부(47)의 플렉싱에 의해 일부 윤활유(62)가 포켓 밖으로 밀어내어진 후에, 하면(49)을 가로질러 수술 기기 샤프트와 실링부(46) 사이의 접촉부에 윤활유을 바른다. 하나의 적절한 윤활유는 NuSil Technology LLC's MED-420 (~5,000 cP)이다. 다른 적절한 윤활유는 NuSil's MED-361 (~12,5000 cP)이고, 다양한 점성을 갖는 다른 적절한 윤활유가 사용될 수 있다. In some wiper seal 46 embodiments, a lubricant 62, such as medical grade silicone lubricant, is disposed in one or more of the pockets formed between the semicircular cylindrical portion 58 of the support rib 56 and the sealing portion 46. . As the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sealing portion 46, after some lubricant 62 is pushed out of the pocket by the flexing of the sealing portion 46 and of the flex portion 47, the lower surface 49 Lubricate the contact between the surgical instrument shaft and the sealing portion 46 across the . One suitable lubricant is NuSil Technology LLC's MED-420 (~5,000 cP). Another suitable lubricant is NuSil's MED-361 (˜12,5000 cP), and other suitable lubricants of various viscosities may be used.

도 2, 3, 3a, 3b에서, 장축에 대한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측벽 각도로 인해, 상부 환형 그루브(55) 내의 서포트 리브(57) 방향이 하부 환형 그루브(54) 내의 서포트 리브(56) 방향으로부터 대략 역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가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외측벽에 부착하는 레벨은 각각의 서포트 리브(57)가 상부 환형 그루브(55)의 내측벽(그 상부는 플렉스부(47)가 실링부(46)와 결합하는 곳에 있다)에 부착되는 레벨 보다 위로(근접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기 삽입 동안 실링부(46)가 말단으로 밀어지고 가능하게 하부 환형 폴드(53)를 언폴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서포트 리브(57)의 사분원형 실린더부(60) 및 웹(61) 조합은 서포트 리브(56)의 반원형 실린더부(58)와 웹(59) 조합을 지지하도록 유사하게 기능하고, 상술된 유사한 구성 변형이 가능하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는 다소 각각의 서포트 리브(56) 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링부(46)가 비교적 보다 큰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도록 확장함에 따라 상부 환형 그루브(55)가 대칭적으로 용이하게 접히고, 실링부(46)가 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루브(55)가 비대칭적으로 용이하게 접혀져, 사분원형 실린더브(60)는 반원형 실린더부(58)비교하여 붕괴에 대한 저항을 더 감소시키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서포트 리브(57)는 서포트 리브(56)와 유사한 반원형 실린더형부(또는 변형)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하부 환형 그루브 내의 서포트 리브(56)에 있어서, 플렉스부(47)가 다수의 상부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경우에, 서포트 리브(57)는 임의의 수의 상부 환형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2, 3, 3a, 3b, due to the angle of the sidewall of the upper annular groove 55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the orientation of the support rib 57 in the upper annular groove 55 is the same as that of the support rib 56 in the lower annular groove 54. ) direction is approximately reversed. The level at which each support rib 57 attaches to the outer wall of the upper annular groove 55 is such that each support rib 57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upper annular groove 55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the flex portion 47 is the sealing portion). (46)) extends above (in the proximate direction) the level to which it is attached. This configuration helps to prevent the seal 46 from being pushed distally and possibly unfolding the lower annular fold 53 during instrument insertion. The quadrant cylindrical portion 60 and web 61 combination of support ribs 57 function similarly to support the semi-circular cylindrical portion 58 and web 59 combination of support ribs 56, similar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transformation is possible It can be seen that each support rib 57 is somewhat larger than each support rib 56 . Upper annular groove 55 folds symmetrically and easily as seal 46 expands to accommodate a relatively larger machine shaft diameter, and as seal 46 moves laterally, groove 55 Folded easily asymmetrically, the quarter-circular cylinder portion 60 serves to further reduce its resistance to collapse compared to the semi-circular cylinder portion 58. However, in some embodiments, support rib 57 includes a semicircular cylindrical portion (or variant) similar to support rib 56 . And, for the support ribs 56 in the plurality of lower annular grooves, when the flex portion 47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annular grooves, the support ribs 57 can be disposed in any number of upper annular grooves. there is.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다른 서포트 리브 구성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 내의 환형 폴드에 의해 형성된 상부 또는 하부 그루브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a)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되어 있는 와이퍼 실(46a)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a)는 각각 정점이 그루브의 하부쪽으로 향하고, 원뿔형부 벽이 그루브의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면처리된 원뿔형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면처리된 원뿔은 옵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또는 경사져 있고, 옵션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거나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As noted above, various other support rib configurations may be used in the upper or lower groove formed by the annular fold in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3C and 3D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a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a locat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The support ribs 57a each include a faceted conical portion with the apex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groove and the conical portion wall being longitudinally oriented joined by small webs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groove. These faceted cones may optionally be rectangular or beveled as shown, and may optionally be round or have other shapes as shown.

도 3e 및 도 3f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b)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b)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b)는 각각 그루브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실린더 벽은 그루브의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7b)의 실린더의 직경은 그루브의 상부에서의 그루브의 폭 보다 다소 작다. 3E and 3F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b,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b locat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Each of the support ribs 57b includes a longitudinally oriented cylinder within the groove, the cylinder walls being joined by small webs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groove.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of the support rib 57b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at the top of the groove.

도 3g 및 도 3h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c)가 이러한 그루브에 위치되어 있는 와이퍼 실(46c)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b)와 유사하게, 서포트 리브(57c)는 각각 그루브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고, 실린더 벽은 그루브의 내측벽과 외측벽에 작은 웹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서포트 리브(57c)의 실린더는 서포트 리브(57b)의 실린더의 직경 보다 크고, 이러한 직경은 대략 그루브의 상부에서의 그루브의 폭이다. 3g and 3h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c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c located in these grooves. Similar to support ribs 57b, support ribs 57c each contain a cylinder oriented longitudinally within the groove, the cylinder walls joined by small webs to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groove. The cylinder of the support rib 57c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of the support rib 57b, and this diameter is approximately the width of the groove at the top of the groove.

도 3i 및 도 3j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d)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d)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a)도 3c 및 도 3d)와 대조적으로, 서포트 리브(57d)는 면처리된 반원뿔부이고, 이러한 원뿔부의 일측 에지는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 에지는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3I and 3J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d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d locat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In contrast to the support rib 57a (Figs. 3c and 3d), the support rib 57d is a faceted semi-conical section, one edge of which is joined to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and the other edge to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is bound to

도 3k 및 도 3l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e)가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e)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e)의 구성은 도 3k 및 도 3l이 면처리된 반원 실린더 구성이 상부 그루브에 위치될 수 있고 면처리된 반원 실린더가 이들의 개구가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배향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도 4, 4a, 4b)의 구성과 유사하다. 3K and 3L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e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e locat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e is illustrated in Figs. 3k and 3l that faceted semicircular cylinder configurations can be positioned in the upper groove and that the faceted semicircular cylinders can have their openings oriented radially outward. Except for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support rib 56 (FIG. 4, 4a, 4b).

도 3m 및 도 3n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f)가 플렉스부 상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f)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f)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57)(도 3, 3a, 3b)의 구성과 유사하다. 3M and 3N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f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f located in the flex portion upper groove.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f is similar to that of the support rib 57 (Figs. 3, 3A, 3B).

도 3o 및 도 3p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g)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g)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g)의 구성은 구불구불한 S-커브이고, 이러한 서포트 리브의 일측 에지는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의 타측 에지는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가 부착된 그루브 내외측벽 위치는 와이퍼 실에 중심이 맞추어진 동일한 시계 위치(12, 4, 8시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에 있고,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는 이러한 시계 위치의 양측에 뻗어 있다. 3O and 3P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g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g position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g is a meandering S-curve, one edge of this support rib is joined to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and the other edge of the support rib is joined to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As shown, the positions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grooves to which the support ribs are attached are at the same clock positions centered on the wiper seal (12, 4, and 8 o'clock positions are shown), and the serpentine folds of the ribs are at these clock positions. stretched on both sides of

도 3q 및 도 3r은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h)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h)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h)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57h)의 구불구불한 폴드가 서포트 리브(57g)의 구불구불한 폴드 보다 시계 면을 따라 더 뻗어 있다는 점(즉, 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6g)(도 3o 및 도 3p)와 유사한 구불구불한 S-커브이다. 3Q and 3R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h in whic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h are locat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h is such that the serpentine fold of support rib 57h extends further along the clock face (i.e., has a larger dimension) than the serpentine fold of support rib 57g. Except it is a meandering S-curve similar to support rib 56g (Figs. 3o and 3p).

도 3s 및 도 3t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i)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i)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i)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일측 에지가 와이퍼 실에 중심이 맞추어진 하나의 시계 위치에서 그루브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있고 서포트 리브의 타측 에지가 다른 시계 위치(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에서 그루브의 외측벽에 결합되어 있는 구불구불한 S-커브이다. 도 3s 및 도 3t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폴드는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지 않는다. 그리고 각각의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내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는 각각의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외측벽에 부착되는 시계 위치와 상이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리브는 12시 위치에 내측벽에 부착되어 있고 1시 위치에서 외측벽에 부착되어 있다. 3S and 3T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i in whic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i are position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i is such that one edge of the support rib is joined to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at one clockwise position centered on the wiper seal and the other edge of the support rib is engaged at a different clockwise position (eg, As shown, it is a serpentine S-curve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displaced clockwise). As shown in Figures 3S and 3T, the serpentine fold does not extend beyond the clock position where the support ribs are attached to the sidewall. And the clock position at which each support rib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clock position at which each support rib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As shown, for example, one rib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at the 12 o'clock position and attached to the outer wall at the 1 o'clock position.

도 3u 및 도 3v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j)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j)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j)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의 하나(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에 보다 가까운 폴드)가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은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의 구성과 유사하다. 3U and 3V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j in whic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j are position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j is different except that one of the serpentine folds of the support rib (e.g., the fold closer to the sealing portion, as shown) extends beyond the clockwise position where the support rib is attached to the sidewall.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pport rib 57i (Figs. 3s and 3t) is similar.

도 3w 및 도 3x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k)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k)의 상부 사시도이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57k)의 구성은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의 양측이 서포트 리브가 측벽에 부착된 시계 위치를 넘어 뻗은 것을 제외하면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의 구성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3u 및 도 3v에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서포트 리브의 구불구불한 폴드가 반드시 대칭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3W and 3X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k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k positioned in the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each support rib 57k is similar to that of support rib 57i (Figs. 3s and 3t) except that both sides of the serpentine fold of the support rib extend beyond the clockwise position where the support rib is attached to the sidewall. do. This embodiment, along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u and 3v, shows that the serpentine folds of the support rib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symmetrical.

도 3y 및 도 3z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m)가 각각 플렉스부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m)의 상부 사시도이다. 서포트 리브(57m)는 도 3s 내지 도 3x에 대략 기술된 서포트 리브의 합성 변형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방향 환형상 벽(즉, 실린더)(57m)은 그루브의 측벽 사이에 위치된 다음, 구불구불한 서포트 리브가 그루브의 내측벽과 환형상 벽 사이에, 그리고 환형상 벽과 그룹의 외측벽 사이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서포트 리브부(57m-ii)는 그루브의 내측벽과 환형상 벽(57m-i) 사이에 결합되고, 서포트 리브부(57m-iii)는 환형상 벽(57m-i)과 그루브의 외측벽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서포트 리브부(57m-ii)는 서포트 리브(57i)(도 3s 및 도 3t)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y 및 도 3z에 도시된 서포트 리브 구성은 상호연결된 서포트 리브의 웹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의 그루브의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들은 임의의 서포트 리브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3Y and 3Z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a wiper seal 46m in whic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m are positioned in flex portion grooves, respectively. Support rib 57m is a synthetic variant of the support rib described broadly in FIGS. 3S-3X. As shown, a longitudinal annular wall (i.e., cylinder) 57m is located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groove, then a serpentine support rib is plac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and the annular wall, and the annular wall and the group coupled between the outer walls of As shown, for example, the support rib portion 57m-ii is coupl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groove and the annular wall 57m-i, and the support rib portion 57m-iii is connected to the annular wall 57m-ii. -i) and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Each support rib portion 57m-ii is configured similarly to support rib 57i (Figs. 3s and 3t), bu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used. The support rib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Y and 3Z shows that a web of interconnected support ribs can be positioned in one or more of the grooves of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Embodiments include any support rib configuration.

도 3aa 및 도 3ab는 등간격의 서포트 리브(57n)가 각각 이러한 그루브에 위치된 와이퍼 실(46n)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리브(57n)는 각각 그루브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직선, 방사형 리브이다. 리브(57n)는 늘어짐에 대한 강한 저항을 제공하여서,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 플렉스부의 최내측 하부 그루브에 위치되는 경우에 양호한 실 반전방지 특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기 샤프트 직경의 작은 증가 또는 작은 측방향 운동으로 인한) 와이퍼 실의 실링부의 비교적 작은 방사형 운동을 위해, 리브(57n)는 이들의 재료의 탄성 압축력에 의존한다. 그리고, 와이퍼 실의 실링부의 비교적 보다 큰 방사형 운동을 위해, 리브(57)는 이들의 재료의 탄성 버클링에 의존한다. Figures 3aa and 3ab are top perspective views of the wiper seal 46n with equally spaced support ribs 57n positioned in these grooves, respectively. As shown, the support ribs 57n are straight, radial rib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groove, respectively. The rib 57n provides strong resistance to sagging and thus provides good seal anti-reverse characteristics when located, for example, in the innermost lower groove of the wiper seal flex portion, as shown. For relatively small radial movements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wiper seal (e.g., due to a small increase in the diameter of the machine shaft or a small lateral movement), the ribs 57n rely on the elastic compressive force of their material. And, for a relatively greater radial movement of the sealing portion of the wiper seal, the ribs 57 rely on the elastic buckling of their material.

도 2에서, 상부 환형 폴드(51)가 기기 삽입 가이드(37)의 환형상 말단부의 대략 아래에 (말단에) 있도록 하는 크기를 옵션으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기기가 빠질 때 와이퍼 실(144)이 반전되지 않도록 돕는데, 그 이유는 기기가 빠짐에 따라 비교적 두껍고 보다 적은 유연성을 갖는 스케일리부(46)가 근접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기기 삽입 가이드(37)가 방지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또한, 기기 삽입 구멍(38)의 직경은 삽입되는 기기의 팁이 실링부(46)의 경사진 상면(48)에 접촉하는 경향이 있어서 와이어 실(44)을 통과하고 펑크내거나 찢지 않도록 밀어지도록 실링부(46)의 외경을 내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구멍(38)의 직경은 상면(48)의 외주 직경보다 작어서, 삽입된 기기 팁은 먼저 두꺼운 실링부(46)의 상면(48)과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기 팁은 비교적 얇은 플렉스부(47)에 접촉하여 잠재적으로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떨어지도록 안내된다.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annular fold 51 is optionally sized to be approximately below (at the distal end) the annular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37 . This configuration also helps prevent the wiper seal 144 from inverting when an instrument is withdrawn, since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 37) to help prevent it.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device insertion hole 38 is such that the tip of the device to be inserted tends to contact the inclined upper surface 48 of the sealing portion 46 and passes through the wire seal 44 and is pushed so as not to puncture or tear. It has a size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46 protrudes inward. As shown,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38 is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48, so that the inserted instrument tip will first contact the upper surface 48 of the thick sealing portion 46. . In this configuration, the instrument tip is guided away so as not to contact and potentially damage the relatively thin flex portion 47 .

또한, 실링부(46)가 역류 방지 실에 접촉하지 않고 말단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환형 폴드(53)와 역류 방지 실(42)의 내부 폴딩 측벽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는 것을 도 2에서 알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3)가 비교적 더 얇거나 생략되도록 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플렉스부(47)가 역류 방지 실(42)의 내부 측벽에 접촉할 수 있고, 접촉 위치 또는 근방에서의 플렉스부(47) 외부 측벽의 각도에 의해 여전히 실링부(46)는 말단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lower annular fold 53 and the inner folding sidewall of the non-return seal 42 to allow the seal 46 to move distally and laterally without contacting the non-return seal. It can be seen in Figure 2. In some embodiments, the flex portion 47 may contact the inner sidewall of the non-return seal 42, such as the spacer 43 being relatively thinner or omitted, and the flex portion at or near the contact location. (47) The angle of the outer sidewall still allows the seal 46 to move distally and laterally.

실시예에서, 와이퍼 실(44)은 염화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의료 등급의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실리콘, 우레탄등과 같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wiper seal 44 is made of a medical grade elastomeric material such as chlorinated polyisoprene or a rubber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Other suitable materials may be used.

제2 예2nd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63)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63)는 (실링부(65)를 포함하는) 와이퍼 실(64) 및 역류 방지 실(66)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과 상부 하우징 사이의 옵션의 스페이서(예를 들어, 도 2, 부재 45)는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생략되어 와이퍼 실(64)의 상면은 성형을 위해 동일 평면을 갖는다. 5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63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features, and modific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seal assembly 63 includes a wiper seal 64 (including a sealing portion 65 ) and a backflow prevention seal 66 . An optional spacer between the wiper seal and the upper housing (e.g., FIG. 2, member 45) has been omitted from the illustrated embodiment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wiper seal 64 is flush for shaping purposes.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65)는 하부(말단) 직선 면부(69)로 부드럽게 전이되는 상부(근접) 오목면부(68)를 포함하는 환형상 상면(67)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환형상면(67)은 상부 환형상 면(48)과 유사하게 만들어져 있다. 하우징(71) 내의 기기 삽입 구멍(7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72)가 상부 오목면부(68) 내측으로 경미하게 돌출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와이퍼 실(64)의 플렉스부의 상부 환형 폴드(73)는 기기 삽입 가이드(72)의 말단부와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한다. 환형 폴드(73)의 상면은 옵션으로 평면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다른 상면 형상이 옵션으로 사용되어 실링부(65)가 삽입 가이드(72)의 말단부 아래에 측방향으로 경미하게 이동할 수 있다. As shown, the sealing portion 65 includes an annular top surface 67 that includes an upper (proximal) concave portion 68 that smoothly transitions into a lower (distal) straight face portion 69 . Upper annular face 67 is made similar to upper annular face 48 .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70 in the housing 71 is sized so that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72 protrudes slightly into the upper concave portion 68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the upper annular fold 73 of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64 contacts or nearly contacts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72 . The top surface of the annular fold 73 is optionally shown as flat, and other top shapes can optionally be used to allow the sealing portion 65 to move slightly laterally under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guide 72 .

도 2에서, 삽입 가이드(37)의 말단부와 실링부(46) 사이의 관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기가 처음에 극도로 장축 방향을 벗어나 삽입되는 경우에(예를 들어, 수술실 직원은 팁을 기기 삽입 구멍에 안착시킨 후에 기기를 기기를 틸트업하여 삽입을 위해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참조), 팁은 상부 환형 폴드(51)의 상부와 기기 가이드(37)의 하부 사이의 작은 갭에 들어갈 수 있다. 도 2의 와이퍼 실(440 및 그 실링부(46)와 대조적으로, 도 5의 와이퍼 실(64)에서 상부 오목면부(68)(및 상부 환형 폴드(73))는 상부 하우징(71)과 그 삽입 가이드(72)와 가깝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근접 방향으로 뻗어진다. 이러한 접촉 또는 거의 접촉 상태는 축외 삽입 기기 팁이 실링부(65) 밖의 플렉스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돕고, 축외 삽입 기기의 팁이 와이퍼 실을 통과하도록 돕는다. 또한 실 어셈블리의 장축에 대해 오목면부(68)의 비교적 보다 예리한 각도는 기기 팁이 실링부를 캐치온하지 않도록 도와, 팁이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와이퍼 실을 통과하도록 한다. In FIG. 2 , despite the advanta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guide 37 and the sealing portion 46, if the instrument is initially inserted extremely off-long axis (e.g., an operating room staff may insert the tip After seating in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the instrument can be tilted up and aligned for insertion; see, for example, FIG. 7 ), the tip being between the top of the upper annular fold 51 and the bottom of the instrument guide 37 can fit into the small gap of In contrast to the wiper seal 440 and its sealing portion 46 of FIG. 2, the upper concave portion 68 (and the upper annular fold 73) of the wiper seal 64 of FIG. It extends in the proximal direction to come into close or contact with the insertion guide 72. This contact or near-contact helps the tip of the off-axis insertion device to avoid contact with the flex portion outside the sealing portion 65, and the tip of the off-axis insertion device to wipe the wiper. Additionally, the relatively sharper angle of concave portion 68 relative to the long axis of the seal assembly helps keep the instrument tip from catching on the seal, allowing the tip to pass through the wiper seal without damaging the seal.

제3 예Example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74)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74)는 (실링부(76)를 포함하는) 와이퍼 실(75)과 역류 방지 실(77)을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64)(도 5 참조)와 그 실링부(65)에 대조적으로, 와이퍼 실(75) 및 그 실링부(76)은 비교적 보다 깊다(즉,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류 방지 실(77)은 역류 방지 실(40)(도 2)와 동일한 깊이를 갖고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옵션으로, 와이퍼 실(75) 및 그 길이방향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보다 깊게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퍼 실과 상부 하우징 사이의 옵션의 스페이서(예를 들어, 도 2, 부재 45)는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생략된다. 6 is a cross-sectional eleva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74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features, and vari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seal assembly 74 includes a wiper seal 75 (including a sealing portion 76 ) and a backflow prevention seal 77 . In contrast to the wiper seal 64 (see Fig. 5) and its sealing portion 65, it can be seen that the wiper seal 75 and its sealing portion 76 are relatively deeper (i.e., extend longitudinally). there is. The non-return seal 77 has the same depth as the non-backflow seal 40 (FIG. 2), and in some embodiments may optionally be made deeper to accommodate the wiper seal 75 and its longitudinal movement. there is. An optional spacer between the wiper seal and the upper housing (e.g., FIG. 2, member 45) is omitted from the illustrated embodiment.

실링부(65)(도 5)와 유사하게, 실링부(76)는 하부 직선면부(80)에 부드럽게 전이되는 상부 오목면부(79)를 포함하는 환형상 상면(78)을 포함한다. 하부 직선면부(80)는 삽입되는 수술 기기에 대해 직선면(69)(도 5)보다 가파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그래서 보다 큰 폭(표면적)을 갖고 있다)(즉, 면각도는 실 어셈블리의 장축에 대해 보다 예리하다). 따라서, 상부 환형상면(78)은 상부 환형상면(67)(도 5) 보다 비교적 방사상으로 더 넓다. 환형상 하부 직선면(80)의 급경사각은 또한 와이퍼 실을 형성하도록 사용된 비교적 부드러운 재료를 펑크내거나 찢지 않고 기기 팁이 와이어 실을 통과하도록 돕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 및 와이퍼 실의 상대적인 구성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Similar to the sealing portion 65 (FIG. 5), the sealing portion 76 includes an annular upper surface 78 that includes an upper concave portion 79 that smoothly transitions to the lower rectilinear portion 80. The lower straight face portion 80 is formed to have a steeper angle than the straight face 69 (FIG. 5) with respect to the inserted surgical instrument (and thus has a larger width (surface area)) (ie, the face angle is the seal assembly is sharper for the long axis of ). Accordingly, the upper annular surface 78 is relatively radially wider than the upper annular surface 67 (FIG. 5). The steep angle of the annular lower straight face 80 also helps the instrument tip pass through the wire seal without puncturing or tearing the relatively soft material used to form the wiper seal. As shown in FIG. 6 , the relative configuration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and wiper seal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5 .

도 2, 5, 6에서, 와이퍼 실의 중심에서, 두꺼운 실링부의 상면이 서로 혼합되는 이러한 표면의 다양한 조합과 함께, 평면, 오목 및 가능하게는 볼록 환형상면을 포함하는 많은 표면 변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5 and 6, in the center of the wiper seal, the upper surface of the thick seal can have many surface variations, including flat, concave and possibly convex annular surface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surfaces blending together. can know that

제4 예Example 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81)의 일부의 단면 상승도이다. 실 어셈블리(81)는 실 어셈블리(82), 역류 방지 실(83), 역류 방지 실(83)의 근접한 와이퍼 실(84), 및 와이퍼 실(84)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기기 삽입 가이드(85)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82)에 기기 삽입 구멍(86)을 형성한다. 삽입 가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일체부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옵션으로 그후에 상부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또는 접착제로 결합되는 별개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elevation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81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features, and modific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 assembly 81 includes the seal assembly 82, the non-return seal 83, the wiper seal 84 proximate to the non-return seal 83, and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close to) the wiper seal 84. 85) are included.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is fixed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nd forms an instrument insertion hole 86 in the housing 82 . The insertion guide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as shown, or optionally may be formed as a separate part which is then mechanically or adhesive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가이드(37)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21) 안으로 뻗은 것(도 2) 보다 훨씬 더(더 말단방향으로) 실 어셈블리 하우징(82) 안으로 말단으로 뻗어 있다.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는 와이퍼 실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의 말단의 깊이까지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82)의 근접 단부(87)와 말단부(88) 사이에 거의 약 4/10인 깊이(3/10 또는 5/10과 같이 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까지 뻗어 있다. 달리 말하면, 기기 삽입 가이드(85)는 와이퍼 실의 최근접부의 평면을 지나 말단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달리 말하면,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 상부 그루브에서, 그루브의 외측벽은 와이퍼 실의 실이부가 실링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중심 근방에 있도록 그 내측벽 보다 길다(예를 들어, 약 2배 이상 길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삽입 가이드가 보다 짧은 길이를 가졌다면 팁이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했을 각도 보다 비교적 많이 예리한 각도에서, 실 어셈블리(81)에 삽입되는 기기의 말단 팁이 와이퍼 실(84)의 실링부(89)의 상부 환형상면(88)과 접촉하도록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뻗은 길이가 보장한다. 이러한 진보된 기기 가이드 특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술 기기(90)의 삽입 방향을 고려함으로써 설명된다. 삽입 방향(90a)에서의 수술 기기는 예를 들어, 기기 삽입 가이드의 길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방향(90a)에서의 수술 기기(90)의 말단 팁(91)은 가파른 각도에서 와이퍼 실의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할 수 있어, 팁(91)이 와이퍼 실을 펑크내거나 찢을 위험을 증가시키고, 일부 예에서 팁(91)의 환형상면과의 접촉 각도로 인해 팁(91)이 와이퍼 실을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술 기기 방향(90b)은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어서, 수술 기기(90)의 말단 팁(91)이 비교적 예리한 각도에서 와이퍼 실의 상부 환형상면과 접촉할 것이고, 그래서 팁(91)이 와이퍼 실을 펑크내거나 찢을 위험을 감소시키고, 환형상면이 팁(91)이 와이퍼 실을 훨씬 더 보다 효과적으로 통과하도록 보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89)는 실링부(65)(도 5)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고, 다양한 실링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7,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extends farther (more distally) into the seal assembly housing 21 than, for example,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37 extends into the seal assembly housing 21 (Fig. 2). It extends distally into the housing 82.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extends to a depth distal to where the wiper seal is coupled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s show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is between the proximal end 87 and the distal end 88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82 about a 4/10 depth (more like 3/10 or 5/10). or less). In other words,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extends distally beyond the plane of the nearest portion of the wiper seal. In other words, in the groove above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is longer (e.g., about twice as long) as the inner wall such that the seal portion of the wiper seal is near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aling assembly. 5 and 6,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ed into the seal assembly 81 is at an angle that is relatively sharper than the angle at which the tip would have contacted the upper annular surface i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had a shorter length. The extended length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ensures that the tip contacts the upper annular surface 88 of the sealing portion 89 of the wiper seal 84. This advanced instrument guide feature is illustrat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one surgical instrument 90, as shown in FIG. The surgical instrument in the insertion direction 90a is for the case wher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as shown in FIG. 2 . Thus, the distal tip 91 of the surgical instrument 90 in direction 90a may contact the upper annular surface of the wiper seal at a steep angle, increasing the risk of the tip 91 puncturing or tearing the wiper seal. , in some instances, the contact angle of the tip 91 with the annular surface may prevent the tip 91 from passing through the wiper seal. In contrast, the surgical instrument direction 90b is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so that the distal tip 91 of the surgical instrument 90 will contact the upper annular surface of the wiper seal at a relatively sharp angle. , thus reducing the risk of the tip 91 puncturing or tearing the wiper seal, and the annular surface ensures that the tip 91 penetrates the wiper seal much more effectively. As shown, the sealing portion 89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sealing portion 65 (FIG. 5),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sealing portion configurations may be u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실(83)과 와이퍼 실(84)의 길이는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증가된 길이를 수용하도록 뻗어 있다. 실 어셈블리 하우징(81)의 전체 길이는 삽입되는 캐뉼라 보울(도시되지 않음, 도 2 참조)의 깊이에 의해 대략 제한된다. 정상 조작 동안 역류 방지 실(83)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기기가 삽입될 때 캐뉼라 내면이 역류 방지 실(83)의 기능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역류 방지 실(83)의 길이는 역류 방지 실(83)이 닫힌(실링된) 위치에 있을 때 실 어셈블리(81)의 말단부(88)를 통과하여 뻗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 실(84)의 실링부(89)는 옵션으로 역류 방지 실(83)에 가능한 멀리 뻗어, 역류 방지 실(83)은 실링부(89) 및 그 인접한 플렉스부의 근접-말단 및 측방향 이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부의 상부 환형 그루브(93)의 외면은 옵션으로, 와이퍼 실(84)의 플렉스부에 대한 추가 지지를 제공하고 와이퍼 실이 이러한 외벽에서 근접방향으로 반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껍고, 길이방향으로 보강 리브(94)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강 리브(94)는 이러한 서포트 리브 사이의 거리의 대략 절반인 폭을 갖는 인접한 상부 서포트 리브(9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보강 리브(94)가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lengths of the non-return seal 83 and the wiper seal 84 are extended to accommodate the increased length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 The overall length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81 is approximately limited by the depth of the cannula bowl (not shown, see FIG. 2) into which it is inserted. To prevent damage to the non-return seal 83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of the cannula from interfering with the function of the non-return seal 83 when the instrument is inserted, the length of the non-return seal 83 is The non-return seal 83 is configured so that it does not extend through the distal end 88 of the seal assembly 81 when in the closed (sealed) position. The sealing portion 89 of the wiper seal 84 optionally extends as far as possible to the non-return seal 83 so that the non-return seal 83 is resistant to the near-end and lateral movement of the seal 89 and its adjacent flex portion. do not interfere As shown in Figures 7 and 3B,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annular groove 93 of the flex section optionally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the flex section of the wiper seal 84 and the wiper seal reverses proximally on this outer wall. It may be configured with thick, longitudinal reinforcing ribs 94 to prevent In one embodiment, each reinforcing rib 94 i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upper support ribs 95 having a width that is approximately half the distance between such support ribs. More or fewer reinforcing ribs 94 may be used in various locations.

또한, 옵션의 서포트 리브(96)가 기기 삽입 가이드(85)에 대한 증가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기기 삽입 가이드(85)의 외면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방사형 서포트 리브(96)의 말단부(97)는 옵션으로 기기 삽입 가이드(85)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기기가 와이퍼 실(84)을 통해 빠질 때 플렉스부의 내부 환형 폴드가 기기 가이드(85)의 말단부(98)과 서포트 리브(96)의 말단부(97) 모두와 접촉한다. 말단부(97)는 근접 길이방향 운동 제한 정지부 및 측방향 운동 가이드 표면으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실링부(89)의 운동의 근접 범위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 내의 그 측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제한된다. 이러한 근접 운동 제한은 기기가 제거될 때, 특히 기기가 장축을 벗어난 방향으로 제거되는 경우에 와이퍼 실이 삽입 가이드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캐치온하지 않도록 한다. Additionally, optional support ribs 96 may be dispos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extending radially outward to provide increased support for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The distal ends 97 of the radial support ribs 96 are optionally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so that the inner annular folds of the flex portion are positioned against the instrument guide 85 as the instrument is pulled through the wiper seal 84. ) and the distal end 97 of the support rib 96. The distal end 97 acts as a proximal longitudinal motion limiting stop and lateral motion guide surface. Thus, the proximity range of motion of the seal 89 is limited regardless of its lateral position within the seal assembly housing. This proximity motion restriction ensures that the wiper seal does not temporarily or permanently catch on the insertion guide when the instrument is removed, particularly if the instrument is removed off its long axis.

옵션의 방사형 서포트 리브(99)는 추가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실 어셈블리(81)의 근접 단부(8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리브(96, 99)는 옵션으로, 상부 하우징의 상면 아래에서 그 다음 기기 가이드(85)의 외측을 따라 말단으로 뻗은 대략 L 형상의 서포트 브래킷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합될 수 있다. Optional radial support ribs 99 may be placed under proximal end 87 of seal assembly 81 to provide additional structural support. The support ribs 96 and 99 can optionally be combined together to form a generally L-shaped support bracket that extends distally along the outside of the instrument guide 85 and then under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제5 예Example 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100)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실 어셈블리(100)가 (하부 하우징(101a) 및 상부 하우징(10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01), 하부 하우징(101a) 안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02), 역류 방지 실(102)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매커니즘)(103), 스페이서(103)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04), 및 와이퍼 실(104)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상부 하우징(101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 하우징(101b)은 도 2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20) 구성과 유사하게, 근접 하우징(101b)의 상부 아래에 삽입 가이드(105)로부터 방사형 외측으로 뻗은 일체로 형성되고, 짧은, 고정된 기기 삽입 가이드(105) 및 서포트 리브(106)를 포함하고 있다. 8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100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and modific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eal assembly 100 comprising a seal assembly housing 101 (including a lower housing 101a and an upper housing 10b), a backflow prevention seal 102 located distally in the lower housing 101a, and a backflow prevention seal 102. Spacer (and optional latch mechanism) 103 positioned over (proximate) anti-seal 102, wiper seal 104 positioned over (proximate) spacer 103, and over (proximate) wiper seal 104 ) and an upper housing 101b positioned thereon. The upper housing 101b is an integrally formed, short, fixed applianc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insertion guide 105 under the top of the proximity housing 101b,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al assembly 20 shown in FIG. 2 . It includes an insertion guide 105 and a support rib 106.

와이퍼 실(10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실(84)의 구성과 대략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실 어셈블리와 대조적으로, 실 어셈블리(100)는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에 부착된 제2,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를 포함하고 있어,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실링부(108)가 이동함에 따라 근접-말단으로(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7 , the wiper seal 104 is configured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wiper seal 84 . However, in contrast to the seal assembly shown in FIG. 7 , the seal assembly 100 includes a second, floating device insertion guide 107 attached to the sealing portion 108 of the wiper seal 104, so that device insertion The guide 107 moves proximally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as the sealing portion 108 mov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고, 근접 단부(109), 말단부(110), 내측벽면(111), 및 외측벽면(112)을 갖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근접 단부(109)는 옵션으로, 방사형 서포트 리브(106)에 터치하거나 거의 터치하여,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추가 근접 이동을 방지하고(그리고 와이퍼 실(104)이 상술된 바와 같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 가이드(107)의 측방향 이동 가이드 표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근접 단부(109)는 방사형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에 의해 그 근접 운동 범위 한계에서 유지되면서 측방향으로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고정된 기기 삽입 가이드(105)의 말단부는 옵션으로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거나, 서포트 리브(106)의 하부를 넘어 뻗을 수 있다. 대안으로, 옵션의 스페이서가 상부 하우징(101b)과 말단부(109)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서, 스페이서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근접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 참조, 반전방지 피스(152), 또는 유연한 핑거(154)가 없는 유사한 링이 스페이서 예이다.) 기기 삽입 가이드(105)는 부우 기기 삽입 가이드(107) 근접 단부(109)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근접 하우징(101a)의 기기 삽입 구멍(114)의 직경은 근접 단부(109)에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면(111)에 의해 규정된 직경 보다 작다. 따라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말단부(109)가 구멍(114)을 통해 노출되지 않고 그 극한 운동 범위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삽입되는 기기의 어느 부분도 기기 삽입 동안 말단부(109)의 일부를 캐치온하지 않을 것이다. As shown in FIG. 8 , the floating device insertion guide 107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 proximal end 109, a distal end 110, an inner wall surface 111, and an outer wall surface 112. In one embodiment, the proximal end 109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optionally touches or nearly touches the radial support rib 106 to prevent further proximal movement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and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seal 104 provides a lateral movement guide surface of the insertion guide 107 ). Thus, the proximal end 109 can slide smoothly laterally while remaining at its proximal range of motion limit by the lower portion of the radial support ribs 106 . The distal end of the fixed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5 can optionally be flush with the bottom of the support rib 106 or can extend beyond the bottom of the support rib 106 . Alternatively, an optional spacer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housing 101b and the distal end 109 so that the spacer can limit proximal movement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 (For example, see FIG. 13A , an anti-reverse piece 152 or a similar ring without flexible fingers 154 is an example of a spacer.)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5 is a boo device insertion guide 107 proximal end 109 ) protrudes inwardly, the diameter of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114 of the proximate housing 101a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efined by the inner wall surface 111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at the proximate end 109. Thus,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can move laterally through its extreme range of motion without the distal end 109 being exposed through the aperture 114, such that no portion of the instrument being inserted remains within the distal end 109 during instrument insertion. will not catch on any part of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말단부(110)는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의 외주와 접촉 상태에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110)는 실링부(108)가 와이퍼 실(104)의 플렉스부와 결합하는 상부 환형 폴드(115)에 접촉 상태에 있거나 근방에 있다. 도 8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외츠벽(112)이 와이퍼 실(104)과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 사이의 접촉을 위한 지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옵션으로 환형 폴드(115)의 상부 아래로 뻗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서포트 리브 구성에 따라, 포함될 수 있는 플렉스부에 서포트 리브를 수용하는 컷아웃, 또는 다른 말단부(110)구성). 마찬가지로, 도 8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111)이 옵션으로 측벽(111)과 실링부(108)의 상면(116) 사이에 부드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환형 폴드(115)의 상부 아래에 뻗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08)의 상면(116)의 외부는 상술된 바와 같이, 오목하여 측벽(111)과 상면(116) 사이에 부드러운 표면 전이를 더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유 삽입 가이드(107)는 단순히 와이퍼 실(104)에 대해 안착하고 어셈블리의 구성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결합 프로세스에 의해(예를 들어, Loctite® 4011™를 사용하여), 또는 기계 부착에 의해 와이퍼 실(104)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기기 삽입 가이드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 안에서 삽입 가이드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실 위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The distal end 110 of the floating device insertion guide 107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aling portion 108 of the wiper seal 104 . As shown, the distal end 110 is in contact with or near the upper annular fold 115 where the seal 108 engages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104 . 8 shows that the outer wall 112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is optionally below the top of an annular fold 115 to increase the support for contact between the wiper seal 104 and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depending on the support rib configuration, a cutout to accommodate the support ribs in the flex portion that may be included, or other distal end 110 configuration). Similarly, FIG. 8 shows that the inner wall 111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optionally has an annular fold 115 to provide a smooth transition between the side wall 111 and the upper surface 116 of the sealing portion 108. It is shown that it can be stretched under the top. As shown, the exterior of the top surface 116 of the sealing portion 108 is concave, as described above, to further provide a smooth surface transition between the sidewall 111 and the top surface 116. In some embodiments, the floating insertion guide 107 simply rests against the wiper seal 104 and is held in place by the construction of the assembly. In other embodiments,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may be secured to the wiper seal 104, for example by an adhesive or bonding process (eg, using Loctite® 4011™), or by mechanical attachment. can Additionally, 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can be attached to various locations on the wiper seal to allow for lateral movement of the insertion guide within the seal assembly housi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07)의 내측벽(111)은 옵션으로, 와이퍼 실(104)의 실링부(108)의 상면쪽으로 기기 팁을 안내하도록 돕기 위해, 그리고 이러한 상면으로의 부드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경미하게 오목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 내측벽 구성(예를 들어, 평면, 볼록, 컴파운드등)이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inner wall 111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07 is optionally provided to assist in guiding the instrument tip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08 of the wiper seal 104 and to such upper surface. It can be made slightly concave to provide a smooth transition to .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other inner wall configurations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eg flat, convex, compound, etc.) may be used as described below.

제6 예Example 6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117)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실 어셈블리(117)가 (하부 하우징(118a) 및 상부 하우징(118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18), 말단 하우징(118a) 안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19), 역류 방지 실(119)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메커니즘)(120), 스페이서(120)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21), 와이퍼 실(121)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근접 하우징(118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 어셈블리(117)는 또한 다양한 다른 연관된 실 어셈블리(117)와 함께 구성요소가 대략 실 어셈블리(100)(도 8)에 대해 기술된 바와 구성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22)를 포함하고 있다. 도 9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의 대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9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117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and modific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seal assembly 117 comprising a seal assembly housing 118 (including a lower housing 118a and an upper housing 118b), a non-return seal 119 located distally within the distal housing 118a, and a backflow prevention seal 119. Spacer (and optional latch mechanism) 120 positioned over (proximate) anti-seal 119, wiper seal 121 positioned over (proximate) spacer 120, over (proximate) wiper seal 121 ) positioned proximal housing 118b. Seal assembly 117 also includes a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22 whose components are configured generally as described for seal assembly 100 (FIG. 8), along with various other associated seal assemblies 117. 9 shows an alternative constru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22)의 내측벽(123)은 그 인접 단부(125)에 인접한 상부(124)를 포함하고, 상부(124)는 그 말단부(127)에 인접한 하부(126)에 부드럽게 전이된다. 상부(124)는 경미한 오목형상(또는 옵션으로 직선 또는 볼록형상)을 갖고 있고, 하부(126)는 평면이다(또는 옵션으로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을 갖고 있다). 하부(126)의 원통형, 수직 측벽은 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된 전이 보다 와이퍼 실(121)의 실링부 상면(128)으로의 비교적 보다 덜 가파른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부(126)의 수직 측벽은 기기 자체의 삽입 방향 각도를 제한하고, 그 결과 기기 팁의 상면(128) 캐치온 경향이 보다 낮아진, 와이퍼 실(121)을 통한 향상된 기기 팁 삽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많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 내측벽 구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옵션으로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고정 기기 삽입 가이드(예를 들어, 도 7의 기기 삽입 가이드(85) 참조)의 내측벽을 유사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 the inner wall 123 of the floating device insertion guide 122 includes a top 124 adjacent its proximal end 125 and the top 124 adjacent its distal end 127. There is a smooth transition to the lower part 126. The upper portion 124 has a slight concave shape (or optionally straight or convex shape) and the lower portion 126 is planar (or optionally concave or convex). The cylindrical, vertical side wall of the lower part 126 forms a relatively less steep angle to the sealing top surface 128 of the wiper seal 121 than, for example, the transition described in FIG. 8 . Nonetheless, the vertical sidewall of the lower portion 126 limits the insertion direction angle of the device itself, resulting in improved instrument tip insertion through the wiper seal 121 with a lower catch-on tendency of the upper surface 128 of the instrument tip. found that it can be obtained. Thus, it can be seen that many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ner wall configurations exist. 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similarly construct the inner wall of a stationary instrument insertion guide (see, eg, instrument insertion guide 85 in FIG. 7 ) in the seal assembly housing as an option.

제7 예Example 7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와 대략 유사한 구성, 구성요소, 특징 및 변형을 갖는 다른 실 어셈블리 실시예의 일부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 어셈블리(129)가 (하부 하우징(130a) 및 상부 하우징(130b)을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30a) 얀에 말단에 위치된 역류 방지 실(131), 역류 방지 실(1310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스페이서(및 옵션의 래치 메커니즘)(132), 스페이서(132)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와이퍼 실(133), 및 와이퍼 실(133)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상부 하우징(130b)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 어셈블리(129)는 또한 다양한 다른 연관된 실 어셈블리(129)와 함께 구성요소가 대략 실 어셈블리(100)(도 8) 및 (117)(도 9)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0은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135) 및 상응하는 와이퍼 실부의 대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10 is a cross-sectional eleva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 having substantially similar configurations, components, features, and modifications to other seal assemb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seal assembly 129 comprising a seal assembly housing 130 (including a lower housing 130a and an upper housing 130b), a non-return seal 131 located distal to the yarn of the lower housing 130a, Spacer (and optional latch mechanism) 132 positioned over (proximate) non-return seal 1310, wiper seal 133 positioned over (proximate) spacer 132, and over (proximate) wiper seal 133 The seal assembly 129 also has various other associated seal assemblies 129, as well as components approximately the seal assembly 100 (FIG. 8) and 117. ) (Fig. 9), and a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3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gure 10 shows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end 135 of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and the corresponding wiper seal.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의 말단부(135)는 삽입 가이드의 내외측벽면 사이의 환형 그루브(136)를 포함하고 있다. 와이퍼 실(133)은 와이퍼 실(133)의 실링부가 그 플렉스부에 결합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으로(근접 방향으로) 뻗은 환형상 보스(137)를 포함하고 있다. 환형상 보스(137)는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가 와이퍼 실(133)에 고정되는 것을 돕기 위해 내측 환형 그루브(136)에 끼워맞추어진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환형 그루브(136)의 가장 깊은 (조립될 때 가장 근접하에 배향된) 부분이 테이퍼되어 충분한 재료 두께가 그루브 측벽과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 사이에 존재하고, 환형상 보스(137)의 상응하는 근접부의 내부는 테이퍼 형상과 일치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기기 가이드(134)의 말단부(134a)가 와이퍼 실(133)의 실링부(133a)의 상부 환형상면(133b)과 접촉하여 2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부드러운 표면 전이를 형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환형 그루브(136)와 환형상 보스(137) 사이에 작은 간격이 존재한다. 이러한 간격은 또한 환형상 보스(137)와 삽입 가이드(134)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결합 접착제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보장한다. 옵션의 기계 부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 실(133)과 부유 기기 삽입 가이드(134) 사이의 결합 구성은 기기가 실 어셈블리(129)로 삽입됨에 따라 와이퍼 실(133)과 기기 삽입 가이드(134)를 분리할 수 있는 기기 팁으로부터의 측방향 힘에 저항하는데 도움이 된다. As shown in FIG. 10 , the distal end 135 of the floating device insertion guide 134 includes an annular groove 136 between inner and outer wall surfaces of the insertion guide. The wiper seal 133 includes an annular boss 137 extending upward (in a proximal direction) from a position where the sealing portion of the wiper seal 133 engages the flex portion thereof. The annular boss 137 fits into the inner annular groove 136 to help secure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34 to the wiper seal 13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eepest (orientated closest when assembled) portion of the annular groove 136 is tapered so that sufficient material thickness exists between the groove sidewall and the insertion guide inner wall, and the annular boss 137 ) is beveled to match the tapered shape. An annular groove to ensure that the distal end 134a of the instrument guide 134 contacts the upper annular surface 133b of the sealing portion 133a of the wiper seal 133 to form a smooth surface transition between the two components. There is a small gap between 136 and the annular boss 137. This spacing also ensures sufficient space for the bonding adhesive used to couple the annular boss 137 and the insertion guide 134. Optional mechanical attachments may be used. This coupling arrangement between the wiper seal 133 and the floating instrument insertion guide 134 is such that as the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seal assembly 129, the wiper seal 133 and instrument insertion guide 134 can be separated from the instrument tip. helps to resist the lateral forces of

실 어셈블리 래치seal assembly latch

도 11은 링 형상의 스페이서부(139)와 이러한 스페이서부(139)의 외주에 서로 반대로 위치된 2개의 래치(140)를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를 위한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138)의 조합의 상부 사시도이다. 스페이서부(139)의 내주에서, 상승된 환형상 보스(141)는 근접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139) 및 래치(140)는 단일 피스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페이서 래치의 조합(138)은 유연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져 있고, 하술된 바와 같이 U형상 굴곡부를 위한 적절한 유연성을 제공한다면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래치(140)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단일 래치 및 3개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고 있다. 하술된 바와 같이, 개시된 특징에 따른 단일 래치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에 효과적으로 래치할 것이다. 11 shows an upper portion of a combination of spacer and latch pieces 138 for a seal assembly, including a ring-shaped spacer portion 139 and two latches 140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periphery of the spacer portion 139. It is a perspective view.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spacer portion 139, a raised annular boss 141 extends proximally. As shown, the spacer portion 139 and the latch 140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iece. In one embodiment, this combination of spacer latches 138 is made of flexible polycarbonate, although other materials may be used provided they provide adequate flexibility for a U-shaped bend as described below. And, while two latches 140 are shown, other embodiments include a single latch and three or more latches. As discussed below, a single latch according to the disclosed features will effectively latch the seal assembly to the cannula.

스페이서부(139)는 위에서 일반적으로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도 2의 43, 도 8의 103, 도 9의 120, 도 10의 132). 스페이서 및 래치 피스(138)가 실 어셈블리에 조립될 때, 환형상 보스(141)가 상부 및 하부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부분 사이에 정렬되어, 와이퍼 실의 주변부는 상부 하우징 피스와 환형상 스페이서부(139)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압축되고, 역류 방지 실의 주변부는 하부 하우징 피스와 환형상 스페이서브(139)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압축된다. 이러한 경미한 압축은 기밀 실을 형성한다. 환형상 보스(141)는 옵션으로, 스페이서부(139)의 외주에 또는 근방에 위치될 수 있거나, 그 내주와 외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형상 보스는 말단쪽으로 뻗을 수 있다. 2개 이상의 환형상 보스는 다양한 조합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spacer portion 139 functions as generally shown and described above (43 in FIG. 2, 103 in FIG. 8, 120 in FIG. 9, 132 in FIG. 10). When the spacer and latch piece 138 is assembled to the seal assembly, the annular boss 141 is aligned between th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eal assembly housings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wiper seal is flush with the upper housing piece and the annular spacer portion 139. ), and the periphery of the anti-backflow seal is sandwiched and compressed between the lower housing piece and the annular spacer 139. This slight compression forms an airtight seal. The annular boss 141 may optionally be positioned at or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spacer portion 139, or may be positioned between its inner periphery and outer periphery. In some embodiments, the annular boss may extend distally. Two or more annular bosses may be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도 12는 캐뉼라에 결합된 실 어셈블리 내의 스페이서 및 래치(138)의 래치부(140)의 단면도이다. 래치부(140)는 일단부에서 스페이서부(139)에 결합된 U 형상의 탄성 굴곡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타단부에서, 굴곡부(142)는 래치 피스(143)의 중간 영역에 결합되어 있다. 굴곡부(142)가 래치 피스(143)에 결합된 중간 영역 위에(근접하여) 파지(예를 들어, 수술 장갑에 의해 덮힌 손가락에 의한 파지)를 돕는 패턴이 있는 핑거 탭(144)이 있다. 중간 영역의 아래에(말단에) 스페이서부(139)쪽으로 측방으로 내측으로 뻗는 핑거(146)를 포함하는 래치 탭(145)이 있고, 핑거(146) 아래에 캐치(147)가 스페이서(139)쪽으로 내측으로 배향되어 있다. 캐치(147)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안으로 압축될 때 캐치(147)가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진 후에 캐뉼라에 래치되도록 돕기 위해 내측-배향 말단 경사 리드-인 표면(148)을 옵션으로 포함하고 있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ch portion 140 of the spacer and latch 138 in the seal assembly coupled to the cannula. The latch part 140 includes a U-shaped elastic bent part 142 coupled to the spacer part 139 at one end. At the other end, the bent portion 142 is coupled to the middle region of the latch piece 143 . Above (close to) the intermediate region where flexure 142 is coupled to latch piece 143 is a patterned finger tab 144 that aids in gripping (eg, by a finger covered by a surgical glove). Below (at the distal end) of the middle region is a latch tab 145 comprising a finger 146 extending laterally inward towards the spacer portion 139, and a catch 147 below the finger 146 to the spacer 139. It is oriented inward to the side. Catch 147 optionally includes an inward-facing distal inclined lead-in surface 148 to assist in latching onto the cannula after catch 147 is bent radially outward when the seal assembly is compressed into the cannula bowl.

사용할 때, 래치 피스(143)는 굴곡부(142)에 의해 형성된 지주 둘레로 회전하여, 핑커 탭(144)이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이동할 때, 래치 탭(145)이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이동한다.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의 근접 단부에서 캐뉼라 보울에 삽입될 때, 리드-인 표면(148)은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와 접촉하여, 래치 탭(145)이 외측으로 이동한다. 일단 캐치(147)가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의 말단부에 있으면, 굴곡부(142)는 래치 탭(145)을 그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캐치(147)를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아래에 위치지정하여서,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149)로 제거가능하게 래치한다. 래치부(140)는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안에 압축될 때 핑거 탭(144)을 압착하지 않고 캐뉼라 보울을 래치할 정도로 충분한 탄성을 갖고 있고, 핑거 탭(144)이 압착될 때까지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In use, latch piece 143 rotates around the post formed by bend 142 so that latch tab 145 moves radially outward as pinker tab 144 moves radially inward. When the seal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cannula bowl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nnula, the lead-in surface 148 contacts the cannula bowl flange 149a, causing the latch tab 145 to move outward. Once catch 147 is at the distal end of cannula bowl flange 149a, bend 142 returns latch tab 145 to its original position, positioning catch 147 under cannula bowl flange 149a. Thus, the seal assembly is removably latched onto the cannula 149. The latch portion 140 has sufficient elasticity to latch the cannula bowl without compressing the finger tab 144 when the seal assembly is compressed into the cannula bowl, and the seal assembly retains the cannula until the finger tab 144 is compressed. It has sufficient rigidity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from the bowl.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에 래치될 때,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및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표면(쇼울더)(150)은 캐치(147)와 핑거(146)의 하부(말단)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그 결과, 캐뉼라 보울로부터 실 어셈블리를 제거하려고 하는 경우에, 캐치(147)는 캐뉼라 플랜지(149a)의 하부에 접촉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표면(쇼울더)(150)의 상부(근접) 표면은 핑거(146)의 하면에 접촉하여,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로부터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래치 구성의 장점은 굴곡부(142)로 이동되지 않고 캐치(147)와 핑거(146) 사이에 유지력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또한, 래치 탭(145)의 설계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캐뉼라 보울 내측의 한계 없이 장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래치부중 하나만 캐뉼라 플랜지와 맞물린 경우에, 실 어셈블리에 대한 근접 인력은 맞물린 래치부 둘레로 실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고, 그다음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하부(예를 들어, 도 2의 22 참조)가 캐뉼라 보울의 내측벽과 접촉할 것이고,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양측 래치부(140)는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핑거 탭(144)을 압착함으로써 해제되어야 한다. 부주의한 래치 해제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도 13b의 157 참조), 물리적 가드를 핑거 탭(144) 근방에 위치지정함으로써 더 방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 when the seal assembly is latched onto the cannula bowl, the cannula bowl flange 149a and seal assembly housing relief surface (shoulder) 150 engage the underside (distal end) of the catch 147 and fingers 146. ) is located between the surfaces. As a result, when attempting to remove the seal assembly from the cannula bowl, the catch 147 contacts the underside of the cannula flange 149a, and the upper (proximal) surface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relief surface (shoulder) 150 is fingered. Contact the underside of 146 to prevent the seal assembly from being removed from the cannula bowl. An advantage of this latch configuration is that a holding force is maintained between the catch 147 and the finger 146 without moving into the bent portion 142 . Additionally, the design of the latch tab 145 allows the seal assembly to rotate about its long axis without limitations inside the cannula bowl,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Also, if only one of the two latch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cannula flange, the proximity force on the seal assembly will tend to rotate the seal assembly around the engaged latch portion,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e.g., FIG. 2 ). 22) will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cannula bowl, preventing the seal assembly from being removed from the cannula. Accordingly, both latch portions 140 must be released by squeezing the finger tabs 144 to remove the seal assembly from the cannula. Inadvertent unlatching can be further prevented by positioning a physical guard proximate the finger tab 144, as described below (eg, see 157 of FIG. 13B).

반전방지 피스anti-reverse piece

도 13a는 와이퍼 실 위에(근접하여) 위치된 옵션의 실 반전방지 피스(152)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가 제거된 실 어셈블리(151)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3b는 하우징의 상부가 정위치에 있는 실 어셈블리(151)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의 외주 영역(153)은 와이퍼 실의 상부 외주면과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하면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기능한다(예를 들어, 도 2의 스페이서(45)를 참조). 반전방지 피스(152)는 외주 영역(153)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내측으로 뻗은 다수의(16개 도시되어 있다) 반전방지 핑거(154)를 포함하고 있고, 핑거(154)의 팁(155)은 수술 기기가 삽입되는 중심 구멍(156)을 형성한다. 구멍(156)의 직경은 옵션으로 실 어셈블리(151)가 수용하도록 설계된 최소 직경 수술 기기 샤프트 보다 크거나 동일하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54)는 옵션으로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패턴(예를 들어, 직선 내측으로 뻗고, 임의의 각도로 내측으로 뻗는 등의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으로, 핑거는 옵션으로 2개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타입은 핑거의 팁이 외주 근방의 핑거 힌지 포인트와 방사형으로 정렬되어 있고, 다른 타입은 핑거의 팁이 외주 근방의 핑거 힌지 포인트로부터 방사형으로 오프셋되어 있다(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13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al assembly 151 with the top of the housing removed to show an embodiment of an optional seal anti-reverse piece 152 positioned over (proximate) the wiper seal, and FIG. 13B is a top view of the housing.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eal assembly 151 in place. 13A and 13B, the outer circumferential area 153 of the anti-reverse piece 152 functions as a spacer betwee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per sea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e.g., FIG. 2 see spacer 45 in ). The anti-inversion piece 152 includes a plurality of (16 shown) anti-inversion fingers 154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153, the tips 155 of the fingers 154 serving as surgical instruments. forms a central hole 156 into which is inserted. The diameter of aperture 156 may optionally be greater than, equal to, or less than the smallest diameter surgical instrument shaft that seal assembly 151 is designed to receive. As shown, the fingers 154 are optionally formed in a helical pattern, although other patterns may be used (e.g., extending straight inward, extending inward at any angle, etc.). Thus, more generally, the finger can optionally be configured in two ways, one type where the tip of the finger is radially aligned with the finger hinge point near the circumference, and another type where the tip of the finger is radially aligned with the finger hinge point near the circumference. It is radially offse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rom the finger hinge point.

반전방지 피스(152)는 편평하고 딱딱하지만 탄성의 지료로 만들어져, 기기가 삽입될 때 핑거(154)가 아래로(말단으로) 구부러지는 경우에, 반전방지 피스(152)는 기기가 빠질 때 그 평면 구성으로 복귀한다. 직선, 방사형 핑거와 달리, 나선형 패턴 핑거는 방사형 외측으로 이동하고 중첩되어, 빠지는 기기의 일부에 잡히지 않는다. 직선, 방사형 핑거를 포함하는 다른 핑거 패턴이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nti-inversion piece 152 is made of a flat, rigid but elastic material, so that if the finger 154 bends down (distal) when the device is inserted, the anti-inversion piece 152 will deflect it when the device is withdrawn. Return to flat configuration. Unlike straight, radial fingers, spiral pattern fingers move radially outward and overlap, so they don't get caught in the part of the device that is missing. Other finger patterns including straight and radial fingers may be used as described below.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는 핑거 위로 도중까지 방사형 내측으로 뻗어 팁(155)만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기기 삽입 구멍을 통해 보인다. 동작시, 핑거(154)는 수술 기기가 실 어셈블리에 삽입될 때 하방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충분히 길다. 기기가 빠질 때, 핑거는 아래의 와이퍼 실이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에서 기기 삽입 구멍을 통해 반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팁(155)이 하우징의 기기 삽입 구멍에 의해 형성된 길이방향 실린더에 경미하게 뻗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팁(155)이 기기의 일부(예를 들어, 팔목 어셈블리 또는 수술 엔드 이펙터)를 캐치온하는 경우에, 팁은 구멍을 통해 위로(근접방향으로) 경미하게 구부러져 기기가 빠질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의 내주 는 기기가 팁을 위로 구부릴 때 팁(155)을 위한 지주로서 동작한다. 팁(155)은 옵션으로, 정상 사용 동안 팁과 수술 기기 샤프트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둥글거나 및/또는 윤활유를 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반전방지 피스(152)는 2퍼센트 실론산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즉, 윤활성을 위해 용융 실리콘을 갖는 HDPE)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유연한, 내구성의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B,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extends radially inward half way over the fingers so that only the tip 155 is visible through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in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In operation, the fingers 154 are long enough to readily bend downward when a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seal assembly. When the instrument is withdrawn, the fingers prevent the underlying wiper seal from inverting through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at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One or more tips 155 catching on a portion of an instrument (eg, a wrist assembly or a surgical end effector) by allowing the tip 155 to slightly extend into the longitudinal cylinder formed by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in the housing. In this case, the tip may be bent slightly upward (proximally) through the hole and the device may be dislodged.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housing forming this hole acts as a support for the tip 155 when the instrument bends the tip upward. Tip 155 is optionally rounded and/or lubricat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tip and the surgical instrument shaft during normal use. In one embodiment, the anti-reflection piece 152 is mad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with 2 percent silonic acid (ie, HDPE with molten silicone for lubricity). Other flexible, durable plastics may be used.

도 13c는 반전방지 피스(152)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동일-길이-나선형-패턴 핑거(154)가 16개의 상응하는 나선-패턴 컷(154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핑거가 말단으로 구부러지고 방사형 외측으로 변위됨에 따라 재료 고장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각각의 컷(154a)의 외측 방사형 단부에 크랙-정지 구멍(15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크랙-정지 구멍은 옵션으로 모든 반전방지 피스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54)의 각각의 팁(155)은 대략 사각형이고, 옵션으로 수술 기기 구성요소에서의 캐칭을 방지하도록 돕기 위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어 기기 샤프트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13C is a plan view of the anti-reverse piece 152. As shown, sixteen equal-length-spiral-patterned fingers 154 are formed by sixteen corresponding spiral-pattern cuts 154a. A crack-stop hole 154b is formed at the outer radial end of each cut 154a to help prevent material failure as the finger bends distally and displaces radially outward. These crack-stop holes can optionally be used on all anti-reverse piece embodiments. As shown, each tip 155 of the fingers 154 is approximately square and can optionally have a rounded shape to help prevent catching at surgical instrument components to reduce friction against the instrument shaft. .

도 13d는 반전방지 피스(152a)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a)는 외주(153a)로부터 내측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나선형 패턴 핑거(154c)를 포함하고, 각각의 나서형 패턴 핑거(154c)는 보다 짧은 나서형 패턴 서브핑거(154d)로 분할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가 4개의 서브핑거(154d)로 분리된 4개의 나서형 패턴 핑거(154c)가 존재한다. 나선형 패턴 핑거(154c)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a)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로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있고, 이러한 나선형 패턴 서브핑거(154d)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a)의 반경의 약 55 퍼센트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 있다. 다른 핑거와 서브핑거 사이의 상대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e는 반전방지 피스(152b)의 평면도이다.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패턴 핑거(154e)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b)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고, 나선형 패턴 서브핑거(154f)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b)의 반경의 약 40 퍼센트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에서, 서브핑거를 형성하는 컷의 길이는 반경에 대해 약 40 내지 55 퍼센트이지만, 다른 컷 길이 핑거와 서브핑거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나선형 패턴 핑거 및 서브핑거는 기기가 삽입되거나 빠질 때 벌려지고 비툴어지도록 동작하고, 이러한 벌림 및 비틀림 동안 서브핑거의 보다 짧아진 운동 범위는 와이퍼 실 실링부의 상부 환형상 면 위에 구부러진 서브핑거를 유지하여, 환형상 면을 날카로운 기기 팁으로부터 보호한다. 13D is a plan view of the anti-reverse piece 152a. As shown, the anti-reverse piece 152a includes a plurality of spiral pattern fingers 154c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153a, each spiral pattern finger 154c having a shorter spiral pattern subfinger. (154d). As shown in FIG. 13D, there are four spiral pattern fingers 154c each separated into four subfingers 154d. The cuts forming the spiral pattern fingers 154c extend radially outward at about 80 percent of the radius of the anti-return piece 152a, and the cuts forming the spiral pattern subfingers 154d are It extends radially outward about 55 percent of its radius. Relative lengths between other fingers and subfingers may be used. For example, FIG. 13E is a plan view of the anti-reverse piece 152b. As shown in FIG. 13E, the cuts forming the spiral pattern fingers 154e extend radially outward to about 80 percent of the radius of the anti-reverse piece 152b, and the cuts forming the spiral pattern subfingers 154f extends radially outward at about 40 percent of the radius of the anti-reverse piece 152b. Thus, in one feature, the length of the cut forming the subfinger is between about 40 and 55 percent of the radius, but other cut lengths may be used to form the fingers and subfingers. The spiral pattern fingers and subfingers operate to open and twist when the device is inserted or pulled out, and the shorter range of motion of the subfingers during this opening and twisting keeps the bent subfingers on the upper annular surface of the wiper seal sealing part, , to protect the annular face from sharp instrument tips.

반전방지 피스의 나서형 패턴 특징이 바람직한 특성을 갖지만, 다른 반전방지 피스 실시예에서, 직선의 내측 방사형 핑거가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f는 외주 영역(153b)으로부터 내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동일 길이 직선 핑거(154g)를 갖는 반전방지 피스(152c)의 평면도이다. 도 13f에 18개의 핑거(154g)가 존재하고, 다른 수의 핑거가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g는 12개의 직선 방사형 핑거가 사용된 실시에를 도시하고, 도 13h는 6개의 직선 방사형 핑거가 사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f, 도 13g, 도 1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를 형성하는 방사형 컷은 비교적 좁아서, 방사형 핑거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핑거의 폭은 증가한다. 또한, 도 13g 및 도 13h는 내부 팁(155a)(도 13g) 및 (155b)(도 13h)이 원형을 가져서 기기 구성요소가 반전방지 피스를 통해 삽입되고 빠짐에 따라 기기 구성요소를 캐치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와, 기기 샤프트에 대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Although the spiral pattern feature of the anti-reverse piece is a desirable characteristic, in other anti-reverse piece embodiments, straight inner radial fingers may optionally be used. For example, FIG. 13F is a top view of an anti-return piece 152c having a plurality of equal length straight fingers 154g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153b. There are 18 fingers 154g in FIG. 13F, other numbers of fingers may optionally be used. For example, FIG. 13G shows an embodiment where 12 straight radial fingers are used, and FIG. 13H shows an embodiment where 6 straight radial fingers are used. As shown in Figures 13f, 13g, and 13h, the radial cuts forming the fingers are relatively narrow, so that as the number of radial fingers decreases, the width of each individual finger correspondingly increases. 13G and 13H also show that inner tips 155a (FIG. 13G) and 155B (FIG. 13H) have a circular shape to catch on the device component as it is inserted and withdrawn through the anti-reverse piece. can help prevent this, reducing friction on the machine shaft.

또한, 도 13d 및 도 13e의 나선형 패턴 핑거에 대해 상술된 핑거 및 서브핑거 구성은 방사형 직선 핑거를 위해 옵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i는 외주 영역(153b)로부터 내측으로 뻗은 다수의 직선 핑거(154h)를 포함하는 반전방지 피스(152d)를 도시하고 있고, 각각의 개별적인 핑거(154h)는 서브핑거(154i)로 분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방지 피스(152d)는 4개의 핑거(154h)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핑거(154h)는 3개의 서브핑거(154i)를 포함하고 있다. 핑거(154h)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d)의 반경의 약 80 퍼센트까지 뻗고, 서브핑거(154i)를 형성하는 컷은 반전방지 피스(152)의 반경의 약 55 퍼센트까지 뻗는다. 다시, 다양한 다른 컷 길이가 핑거 및 서브핑거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nger and subfinger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for the spiral pattern fingers of FIGS. 13D and 13E may optionally be used for radial straight fingers. For example, FIG. 13I shows an anti-reverse piece 152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aight fingers 154h extending inwardly from outer circumferential region 153b, each individual finger 154h being a subfinger 154i. separated by As shown, the anti-reverse piece 152d includes four fingers 154h, and each finger 154h includes three subfingers 154i. The cut forming the finger 154h extends to about 80 percent of the radius of the anti-reverse piece 152d, and the cut forming the sub-finger 154i extends to about 55 percent of the radius of the anti-reverse piece 152. Again, a variety of other cut lengths may be used to form fingers and subfingers.

다른 하우징 특징Other housing features

도 13b는 또한 2개의 추가 실 어셈블리 하우징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51)의 하우징은 옵션으로 각각의 래치 핑거 탭(144)의 양측에 하우징으로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뻗은 가드(157)를 포함하고 있다. 가드(157)는 연관된 핑거 탭(144)이 부주의하게 내측으로 눌러져 실 어셈블리를 캐뉼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13B also shows two additional seal assembly housing features. As shown, the housing of seal assembly 151 optionally includes a guard 157 on either side of each latch finger tab 144 that extends radially outward into the housing. The guard 157 helps prevent the associated finger tab 144 from being inadvertently pressed inward to release the seal assembly from the cannula.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어셈블리(151)의 하우징은 옵션으로 그 상면에 2개의 래치 윈도우(158)를 포함하고, 이러한 윈도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되고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하술된 밀폐기와 같은 다른 의료 장치를 하우징의 상면에 옵션으로 래치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하우징(151)의 상면(151a)은 윈도우(158) 사이의 원호를 따라 평평하고 부드럽다. 이러한 상면 구성에 의해, 구성요소의 래치가 윈도우(158) 안으로 떨어질 때까지 구성요소는 하우징에 방사형으로 중심이 맞추어지고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Also shown in FIG. 13B, the housing of seal assembly 151 optionally includes two latch windows 158 on its upper surface, which windows a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nd in more detail below. As such, it is used to optionally latch other medical devices, such as the obturator described belo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lso, the upper surface 151a of the housing 151 is flat and smooth along the arc between the windows 158. This top configuration allows the component to be radially centered in the housing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until the component's latch drops into window 158 .

밀폐기sealer

도 14는 샤프(160), 샤프트(160)의 말단부의 팁(61), 및 샤프트(160)의 근접 단부의 근접부(162)를 포함하는 밀폐기(159) 예의 사시도이다. 2개의 래치가 근접부(162)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고, 이러한 래치(163)는 밀폐기(159)를 실 어셈블리의 상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밀폐기에 사용된 재료는 실 어셈블리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sealer 159 that includes a sharp 160, a tip 61 at the distal end of shaft 160, and a proximate portion 162 at the proximal end of shaft 160. Two latches are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proximity portion 162, and these latches 163 are used to secure the obturator 159 to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The materials used in these sealers are similar to those used in seal assemblies.

도 15a는 실 어셈블리(165)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164)의 단면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기 샤프트(166)는 실 어셈블리(165)를 통해 뻗어 있다. 2개의 탄성 래치 굴곡부(167)는 밀폐기 샤프트(166)의 근접 단부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 굴곡부(167)의 원단부에, 실 어셈블리(164)의 상면의 윈도우(169)를 통해 삽입되고, 각각의 윈도우(169)를 형성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의 립 아래에서 캐치하는 캐치(168)가 있다. 이러한 래치는 실 어셈블리에 대해 밀폐기를 단단히 유지한다. 캐치(168)는 옵션으로, 캐치가 윈도우(158)에 떨어질 수 있도록 밀폐기가 회전된 후에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를 말단으로 밀어 실 어셈블리에 래치될 수 있도록 경사져 있다. 래치 굴곡부(167)는 또한 핑거 탭(170)을 포함하고 있고, 핑커 탭(170)을 방사형 내측으로 압축함으로써, 캐치(168)는 방사형 내측으로 이동하여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1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ximate portion 164 of an example obturator coupled to the top of seal assembly 165 . As shown in FIG. 15A , obturator shaft 166 extends through seal assembly 165 . Two resilient latch bends 167 are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proximal end of the obturator shaft 166. At the distal end of the bend 167, a catch 168 inserted through the window 169 on the top surface of the seal assembly 164 and catching under the lip of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forming each window 169 there is These latches hold the obturator firmly against the seal assembly. The catch 168 is optionally beveled so that the seal assembly can be latched onto the seal assembly by pushing the seal assembly distally after the seal has been rotated so that the catch can drop into the window 158. The latch bend 167 also includes a finger tab 170, and by compressing the finger tab 170 radially inward, the catch 168 moves radially inward so that the sealer can be removed from the seal assembly.

도 15b는 도 15a의 도면의 직각에서 취해진, 실 어셈블리(165)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기 예의 근접부(164)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 어셈블리 단면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 15b는 밀폐기 근접부(164)가 2개의 말단으로 돌출한 간섭 탭(164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밀폐기가 실 어셈블리의 상면에 완전히 안착될 때, 이러한 간섭 탭(164)의 각각은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165a)와 핑거 탭(144) 사이에 있어서, 핑커 탭(144)이 방사형 내측으로 눌리는 것이 방지되어 밀폐기와 실 어셈블리의 조합이 캐뉼라 플랜지(149a)로부터 언래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FIG.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proximity portion 164 coupled to the top of seal assembly 165, taken at right angles to the view of FIG. 15A. The seal assembly cross section shown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2 . 15B shows that the obturator proximal portion 164 includes two distally protruding interference tabs 164a. When the obturator is fully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al assembly, each of these interference tabs 164 is between the top 165a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and the finger tab 144 so that the finger tab 144 is pressed radially inward. This prevents the obturator and seal assembly combination from unlatching from the cannula flange 149a.

도 12 및 도 15b에서, 래치 피스(143) 특징에 의해 실 어셈블리는 캐뉼라(149)에 단단히 래치될 수 있고 실 어셈블리와 여기에 결합된 임의의 구성요소가 캐뉼라(149) 내측의 장축 A 둘레로 제한 없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뉼라 보울 플랜지(149a) 및 실 어셈블리 하우징 릴리프 면(쇼울더)(150)은 래치(143)의 핑거(146)와 캐치(147) 사이에 유지되고, 캐뉼라 플랜지(149)의 부드러운 언더사이드에 의해 캐치(147)는 간섭 없이 이동하고, O링(165b)은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 보울의 내벽 사이에 기밀 실을 유지한다. 실 어셈블리가 캐뉼라 보울 내의 장축 둘레에 회전할 수 있는 양을 제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옵션의 정지부(도시되지 않음)가 캐뉼라 플랜지(149)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 어셈블리의 캐뉼라 보울에서 회전하는 능력은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동안 필요한 대로, 실 어셈블리의 유체 입출구 밸브를 임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배향하거나 밸브를 재배향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캐뉼라 보울에서 실을 회전시키는 능력에 의해 실은 처음에 다양한 방향에서 캐뉼라에 래치된 다음 사용을 위해 필요한 대로 회전될 수 있어, 완전한 실 배향 정렬이 초기 래칭에 필요하지 않다. 12 and 15B, the latch piece 143 feature allows the seal assembly to be securely latched to the cannula 149 and the seal assembly and any components coupled thereto rotate around the long axis A inside the cannula 149. It can be seen that it can rotate without restriction. The cannula bowl flange 149a and the seal assembly housing relief face (shoulder) 150 are held between the fingers 146 and the catch 147 of the latch 143, and are caught by the soft underside of the cannula flange 149. 147 moves without interference, and O-ring 165b maintains an airtight seal between the seal assembly and the inner wall of the cannula bowl. One or more optional stops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underside of the cannula flange 149 to limit the amount the seal assembly can rotate about its long axis within the cannula bowl. The ability to rotate in the cannula bowl of the seal assembly provides the ability to orient the fluid inlet/outlet valve of the seal assembly in any desired direction or reorient the valve as needed during use, as shown below. And, the ability to rotate the yarn in the cannula bowl allows the yarn to be initially latched to the cannula in a variety of orientations and then rotated as needed for use, such that perfect yarn orientation alignment is not required for initial latching.

하나의 특징에서, 캐뉼라, 실 어셈블리, 및 밀폐기의 조합은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기는 캐뉼라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은 캐뉼라(172), 캐뉼라(172)에 래치된 실 어셈블리(173), 및 실 어셈블리(173)에 래치되고 캐뉼라(172) 및 실 어셈블리(173)를 통해 뻗은 밀폐기(174)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의 사시도이다. 밀폐기(174)의 상부(근접 단부)는 손바닥을 수용하도록 원형상을 갖고 있다. 사용시, 의사는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의 말단부를 환자의 신체벽을 통해 삽입하고, 일단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가 삽입되면, 의사는 밀폐기(174)를 언래치하고 실 어셈블리(173) 및 캐뉼라(172)로부터 당겨, 내시경 또는 치료 수술 기기와 같은 다른 의료 장치가 실 어셈블리(173) 및 캐뉼라(172)를 통해 삽입되어 수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In one feature, the combination of the cannula, seal assembly, and obturator is an assembly. This seal assembly allows the obturator to be coupled to the cannula. 16 includes cannula 172, seal assembly 173 latched to cannula 172, and obturator 174 latched to seal assembly 173 and extending through cannula 172 and seal assembly 17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al device assembly 171. The top (proximal end) of obturator 174 has a circular shape to accommodate a palm. In use, the surgeon inserts the distal end of the medical device assembly 171 through the patient's body wall, and once the medical device assembly 171 is inserted, the surgeon unlatches the obturator 174 and seals assembly 173 and Pulled from cannula 172, another medical device, such as an endoscope or therapeutic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through thread assembly 173 and cannula 172 to reach the surgical site.

또 다른 특징에서, 방사상 중심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밀폐기 근접부(164)에 배치되고, 적어도 밀폐기 팁(161)은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투명한 밀폐기 팁이 알려져 있다. 내시경이 방사상 중심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밀폐기 샤프트(163)를 통해 밀폐기 팁(16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투명한 밀폐기 팁에 의해 의사는 신체 벽을 통한 삽입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에서, 캐뉼라, 실 어셈블리, 투명한 말단부를 갖는 밀폐기, 및 이러한 밀폐기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조합이 어셈블리이다. 이러한 실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기는 캐뉼라에 결합될 수 있다. In another feature, a radially centered hole (not shown) is disposed in the obturator proximal portion 164, and at least the obturator tip 161 is made transparent. Such transparent sealer tips are known. The endoscope is inserted into the obturator tip (161) through the radially centered hole and through the obturator shaft (163). This transparent obturator tip allows the surgeon to see the insertion through the body wall. Thus, in one feature, the combination of a cannula, a seal assembly, an obturator with a transparent distal end, and an endoscope inserted within the obturator is an assembly. This seal assembly allows the obturator to be coupled to the cannula.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72)는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ornia에 의해 판매되는 시스템과 같은,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의 일부인, 원격조정 의료 장치 매니퓰레이터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의료 장치 어셈블리(171), 또는 그 구성요소중 하나는 수동 복강경 절차와 같은 비원격조정 수술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cannula 172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teleoperated medical device manipulator that is part of a teleoperated surgical system, such as the system sold by Intuitive Surgical, Inc., Sunnyvale, Calif.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medical device assembly 171, or one of its components, may be used for non-remotely controlled surgical procedures, such as manual laparoscopic procedures.

원격조정 의료 장치remote controlled medical device

도 17은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의 일부인, 원격조정 매니퓰레이터(177)의 말단부에 함께 결합되어 장착된 캐뉼라(175) 및 실 어셈블리(176)의 사시도이다. 실 어셈블리(176)는 본 발명에 기술된 다양한 실 어셈블리 구성을 나타낸다. 실 어셈블리(176)의 밸브(176a)는 더블 헤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175)에서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조합이 상응하는 매니퓰레이터(177)와 도킹된 상태에서 다수의 캐뉼라(175)와 실 어셈블리(176)가 근접부에서 환자에게 삽입될 때, 하나 이상의 밸브(176a)를 배향시키는 능력에 의해 연관 튜빙이 밸브(176a)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환자 안으로 다양한 다른 캐뉼라 인입 포트 둘레의 살균 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길을 정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방향은 기기가 실 어셈블리와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동안 변경될 수 있다.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nula 175 and seal assembly 176 fitted together and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a teleoperated manipulator 177, which is part of a teleoperated surgical system. Seal assembly 176 represents various seal assembly configurations described herein. It can be seen that valve 176a of seal assembly 176 can rotate either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cannula 175, as indicated by the double-headed arrow. Associated by the ability to orient one or more valves 176a when multiple cannulas 175 and seal assemblies 176 are inserted into a patient in proximity, each combination docked with a corresponding manipulator 177. The tubing can be more easily coupled to valve 176a and more effectively routed in a sterile field around various other cannula entry ports into the patient. Additionally, the valve orientation can be changed while the instrument is being inserted through the seal assembly and cannula.

도 18은 적어도 하나의 캐뉼라(175) 및 실 어셈블리(176)를 통합하는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 예 -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da Vinci Xi® Surgical System의 환자측 구성요소의 일부)- 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기기(179) 예는 매니퓰레이터(177)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수술 기기(179)의 샤프트(180)는 실 어셈블리(176) 및 캐뉼라(175)를 통해 뻗어 있다. 일부 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기 샤프트 크기의 하나의 범위(예를 들어, 5-8 mm)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실 어셈블리의 각각이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기기 매니퓰레이터와 함께 사용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기기 샤프트 크기의 다른 범위(예를 들어, 10-12 mm)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실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다른 상응하는 매니퓰레이터와 함께 사용된다.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teleoperated medical device 178 - a teleoperated surgical system (part of the patient side component of the da Vinci Xi® Surgical System) - incorporating at least one cannula 175 and seal assembly 176. . As shown in FIG. 18 , example surgical instrument 179 is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manipulator 177, and shaft 180 of surgical instrument 179 extends through seal assembly 176 and cannula 175. there is. In some examples, each of the one or more seal assemblies accommodating one range of instrument shaft sizes as described (eg, 5-8 mm) is used with one or more corresponding instrument manipulators, and the instrument as described One or more other seal assemblies accommodating different ranges of shaft sizes (eg 10-12 mm) are used with one or more other corresponding manipulators.

따라서, 실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원격조정 수술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예로서, 실 어셈블리 및 캐뉼라 조합은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의 4개의 매니퓰레이터의 각각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다양한 수술 기기가 환자의 하나 이상의 포트를 통해 삽입되어 수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다양한 기기 샤프트 직경을 수용하는 단일 실 어셈블리에 의해 원격조정 의료 장치(178)는 상이한 샤프트 직경을 갖는 다양한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캐뉼라를 위한 동일한 실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작동이 단순화지는데, 그 이유는 오직 하나의 수술 기기 샤프트 직경에 사용되도록 전용의 상이한 실 어셈블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하다면, 각각의 캐뉼라에 대해 실 어셈블리를 변경할 필요 없이 2개의 매니퓰레이터 사이에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수술 기기가 상호교환될 수 있다.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thread assembly is generally not only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but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enabling the remotely operated surgical system to operate effectively. As an example of use, the thread assembly and cannula combination is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four manipulators of the telecontrolled medical device 178 so that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can be inserted through one or more ports on the patient to reach the surgical site. . A single seal assembly accommodating various instrument shaft diameters allows the telecontrolled medical device 178 to simultaneously use a variety of instruments with different shaft diameters, and operation is simplified by using the same seal configuration for each cannula.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need for a dedicated different seal assembly to be used for only one surgical instrument shaft diameter. Thus, surgical instruments with different diameters can be interchanged between the two manipulators, if necessary, without the need to change the seal assembly for each cannula.

Claims (14)

의료 장치에 있어서,
상부를 포함하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
기기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와이퍼 실; 및
기기 삽입 구멍을 둘러싸기 위해 와이퍼 실과 실 어셈블리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기기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와이퍼 실에 결합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의료 장치.
In medical devices,
a seal assembly housing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 wiper seal in which an instrument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positioned between the wiper seal and the seal assembly housing to surround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wiper seal;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laterally movable relative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와이퍼 실은 기기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실링부는 상면을 포함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링부의 상면 아래로 뻗어있는 내부 측벽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per seal includes a sealing portion in which an instrument insertion hole is formed;
The sealing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The med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an inner sidewall extending below an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와이퍼 실은 환형상 코루게이션 및 환형상 보스를 포함하고;
환형상 코루게이션은 근접 환형 폴드를 포함하고;
환형상 보스는 환형 폴드로부터 근접방향으로 뻗어 있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말단부 및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에 형성된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와이퍼 실의 환형상 보스는 기기 삽입 가이드의 환형 그루브 내에 있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per seal includes an annular corrugation and an annular boss;
An annular corrugation contains close annular folds;
an annular boss extends proximally from the annular fold;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a distal end and an annular groov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The med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annular boss of the wiper seal is within an annular groove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의료 장치에 있어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 와이퍼 실, 및 기기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은 상부를 포함하고;
기기 삽입 구멍은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고 기기 삽입 구멍을 둘러싸며;
와이퍼 실은 제1 깊이에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제1 깊이의 말단인 제2 깊이로 실 어셈블리 하우징 안으로 말단으로 뻗어있는, 의료 장치.
In medical devices,
a seal assembly housing, a wiper seal, and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The seal assembly housing includes a top portion;
An instrument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fixed to the top of the seal assembly housing and surrounds the instrument insertion hole;
the wiper seal is coupled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t a first depth;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extends distally in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t a second depth distal to the first depth.
의료 장치에 있어서,
실 어셈블리 하우징;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주부, 내부 실링부, 및 외주부와 내부 실링부 사이의 플렉스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실; 및
와이퍼 실과 실 어셈블리 하우징 사이에 있고 근접 기기 삽입 구멍을 갖는 기기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In medical devices,
seal assembly housing;
a wiper seal inclu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coupled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n inner sealing portion, and a flex portio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sealing portion; and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n instrument insertion guide between a wiper seal and a seal assembly housing and having a proximity instrument insertion aperture.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와이퍼 실에 결합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며;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wiper seal and separated from the seal assembly housing;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laterally movable relative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기기 삽입 가이드의 외면으로부터 방사형 외측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서포트 리브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med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one or more support ribs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제5항에 있어서,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는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에 접촉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contacts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결합되고 근접 기기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제1 기기 삽입 가이드; 및
와이퍼 실에 결합되는 제2 기기 삽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Device insertion guides:
a first device insertion guide coupled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and including a proximity device insertion hole; and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strument insertion guide coupled to a wiper seal.
제9항에 있어서,
제2 기기 삽입 가이드는 실 어셈블리 하우징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econd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laterally movable relative to the seal assembly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제2 기기 삽입 가이드의 외측벽 및 내측벽은 와이퍼 실의 플렉스부의 근접부 아래로 뻗어있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med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outer and inner walls of the second instrument insertion guide extend below proximal portions of the flex portion of the wiper seal.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와이퍼 실에 결합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내측벽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wiper seal and separated from the seal assembly housing;
The med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an inner wall at least partially concave.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와이퍼 실에 결합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은:
기기 삽입 가이드의 근접부에 인접한 상부; 및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에 인접한 하부를 포함하고;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하고 하부는 평면인,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wiper seal and separated from the seal assembly housing;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an inner wall, the inner wall comprising:
an upper portion proximal to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and
a lower portion adjacent to a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A medical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concave and the lower portion is planar.
제5항에 있어서,
기기 삽입 가이드는 와이퍼 실에 결합되고 실 어셈블리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고;
기기 삽입 가이드의 말단부는 기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고;
와이퍼 실은 내부 실링부가 플렉스부에 결합되는 위치로부터 근접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부 보스를 포함하고;
와이퍼 실의 환형부 보스는 기기 삽입 가이드의 환형 그루브 내로 수용되는, 의료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s coupled to the wiper seal and separated from the seal assembly housing;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includes an annular groove between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The wiper seal includes an annular portion boss extending proximally from a position where the inner seal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lex portion;
wherein the annular boss of the wiper seal is received into an annular groove of the instrument insertion guide.
KR1020237007139A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Active KR1027089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54227P 2014-03-17 2014-03-17
US61/954,227 2014-03-17
PCT/US2015/020887 WO2015142794A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KR1020227010902A KR102507087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902A Division KR102507087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153A true KR20230035153A (en) 2023-03-10
KR102708964B1 KR102708964B1 (en) 2024-09-25

Family

ID=541451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139A Active KR102708964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KR1020167028666A Active KR102384039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KR1020227010902A Active KR102507087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666A Active KR102384039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KR1020227010902A Active KR102507087B1 (en) 2014-03-17 2015-03-17 Cannula seal assembly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463395B2 (en)
EP (4) EP3753509B1 (en)
JP (3) JP6595498B2 (en)
KR (3) KR102708964B1 (en)
CN (3) CN111419306B (en)
WO (1) WO201514279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14802A (en) 2023-07-21 2025-02-03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A Cannula Capable of Rotating a Sealing Portion
KR20250014792A (en) 2023-07-21 2025-02-03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A Medical Check Unit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 Cannula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3182B2 (en) 2014-02-21 2021-06-15 3Dintegrated Aps Set comprising a surgical instrument
KR102708964B1 (en) 2014-03-17 2024-09-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Cannula seal assembly
US11020144B2 (en) 2015-07-21 2021-06-01 3Dintegrated Aps Minimally invasive surgery system
CN108024806B (en) 2015-07-21 2022-07-01 3D集成公司 Cannula assembly kit, trocar assembly kit, sleeve assembly,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552652B2 (en) 2015-08-18 2024-07-03 B. Braun Melsungen AG Catheter devices with valves
DK178899B1 (en) 2015-10-09 2017-05-08 3Dintegrated Aps A depiction system
EP3463158B1 (en) * 2016-05-26 2023-08-30 Covidien LP Cannula assemblies for use with robotic surgical systems
JP6871279B2 (en) * 2016-07-11 2021-05-12 コンメッド コーポレーション Cannula assembly for robot-assisted pressure-controlled laparoscopic surgery
CN106137338B (en) * 2016-08-01 2017-10-27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uncture outfit diaphragm seal of the fold of floating containing multidimensional
AU2017324450B2 (en) * 2016-09-12 2022-09-2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robotic access system for irregularly shaped robotic actuators and associated robotic surgical instruments
JP6644664B2 (en) * 2016-10-11 2020-02-12 京セラ株式会社 Seal unit for trocar
EP3534819B1 (en) 2016-11-02 2024-01-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Robotic surgical stapler assembly configured to use stapler reload
US11166744B2 (en) 2016-11-14 2021-11-0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Electrically conductive reducer device,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7049441B (en) * 2017-06-03 2023-05-26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Puncture outfit with automatic reset lock catch
CN107049379B (en) * 2017-06-03 2023-05-26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Sleeve assembly comprising automatic reset lock catch
EP3412229A1 (en) * 2017-06-07 2018-12-12 Servizo Galego de Saúde (SERGAS) Surgery multichannel device
US20190059938A1 (en) * 2017-08-28 2019-02-28 Covidien Lp Access apparatus including seal component with protective guards
US20210213269A1 (en) * 2018-05-15 2021-07-15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nstrument seal
US10820924B2 (en) * 2018-06-15 2020-11-03 Ethicon Llc Asymmetric shaft seal
BR112020022458A2 (en) * 2018-06-25 2021-02-09 Oetiker Ny, Inc. fluid connector with resealable membrane valve
US10987135B2 (en) * 2018-07-13 2021-04-27 Ethicon Llc Seal cartridge design for trocar assemblies
US20210315660A1 (en) * 2018-08-14 2021-10-14 Covidien Lp Surgical devices including features to facilitate cleaning
WO2020127328A1 (en) 2018-12-17 2020-06-25 B. Braun Melsungen Ag 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CN116687529A (en) 2019-03-26 2023-09-05 康美公司 Gas circulation system with gas-tight access cover and valve-tight access cover for robotic-assisted surgery
CN110388779B (en) * 2019-07-19 2021-08-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Kitchen appliance
US11432843B2 (en) 2019-09-09 2022-09-06 Covidien Lp Centering mechanisms for a surgical access assembly
US11523842B2 (en) * 2019-09-09 2022-12-13 Covidien Lp Reusable surgical port with disposable seal assembly
US20220338901A1 (en) 2019-09-30 2022-10-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Instrument entry guide
US20220401125A1 (en) 2019-09-30 2022-12-2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ing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WO2021067467A1 (en) 2019-09-30 2021-04-0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ingle port instrument access device
EP4065211A1 (en) * 2019-11-27 2022-10-05 Galvani Bioelectronics Limited System and methods for laparoscopic delivery and deployment of a neural interface
US12324606B2 (en) * 2020-01-28 2025-06-10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JP2023514193A (en) 2020-02-11 2023-04-05 エンボ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urgical cannula with removable pressure seal
US12268414B2 (en) * 2020-02-26 2025-04-08 Covidien Lp Retention anchor for surgical access devices
US11446058B2 (en) * 2020-03-27 2022-09-20 Covidien Lp Fixture device for folding a seal member
US11944347B2 (en) 2020-04-10 2024-04-02 Cilag Gmbh International Cannula assembly
CN111658086B (en) * 2020-06-19 2024-08-27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Multi-channel puncture outfit for endoscopic surgery
US11751908B2 (en) * 2020-06-19 2023-09-12 Covidien Lp Seal assembly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2383303B2 (en) * 2020-11-10 2025-08-12 Covidien Lp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plural zero closure valves
CN112754617B (en) * 2021-01-05 2022-08-26 常州安康医疗器械有限公司 Visual puncture outfit capable of keeping abdominal pressure
EP4376736A4 (en) 2021-07-30 2025-05-14 CONMED Corporation GAS-SEALED ACCESS CAP FOR ROBOTIC CANNULA AND METHOD FOR PERFORMING ROBOT-ASSISTED SURGERY
CN117297835B (en) * 2023-11-28 2024-02-06 上海宏普医疗器械有限公司 Puncture tectorial membrane suppo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1483A (en) * 1993-02-10 1995-05-02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20080300545A1 (en) * 2007-06-01 2008-12-04 Chin-Cheng Hsieh Trocar Cannula with an Elastic Ring
US20120004613A1 (en) * 2006-04-18 2012-01-05 Franer Paul T Pleated trocar seal

Family Cites Families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336A (en) 1982-09-28 1994-05-03 Applied Medical Resources Seal protection mechanism
US4655752A (en) 1983-10-24 1987-04-07 Acufex Microsurgical, Inc. Surgical cannula
US4929235A (en) * 1985-07-31 1990-05-29 Universal Medical Instrument Corp. Self-sealing percutaneous tube introducer
US5180373A (en) 1991-06-07 1993-01-1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Valve system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anatomical body portions
US5385553A (en) 1991-07-18 1995-01-3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with floating septum seal
EP0600895B1 (en) 1991-08-30 1999-08-04 Origin Medsystems, Inc. Trocar with multiple converters and detachable obturator
US5273545A (en) 1991-10-15 1993-12-28 Apple Medical Corporation Endoscopic cannula with tricuspid leaf valve
US5545142A (en) 1991-10-18 1996-08-13 Ethicon, Inc. Seal members for surgical trocars
US5197955A (en) 1991-10-18 1993-03-30 Ethicon, Inc. Universal seal for trocar assembly
CA2093748C (en) 1992-04-24 1996-11-12 Roy D. Gravener Valve assembly for introducing instruments into body cavities
US5496280A (en) 1992-07-02 1996-03-0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valve assembly
US5407433A (en) 1993-02-10 1995-04-18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5354280A (en) 1993-02-19 1994-10-1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rocar and seal arrangement
US5391153A (en) 1993-04-09 1995-02-21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Trocar with linear movement seal
US5492304A (en) 1993-06-16 1996-02-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eal assembly for accommodating introduction of surgical instruments
US5312363A (en) 1993-07-13 1994-05-17 Symbiosis Corporation Low friction slit valve
CA2126150C (en) 1993-07-14 2005-02-22 David T. Green Seal assembly for accommodating introduction of surgical instruments
US5391154A (en) 1993-08-30 1995-02-2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US5752938A (en) 1994-09-12 1998-05-19 Richard-Allan Medical Industries, Inc. Seal for surgical instruments
US5720730A (en) 1995-09-01 1998-02-24 Blake, Iii; Joseph W. Lubricated trocar valve
US5662615A (en) 1995-09-01 1997-09-02 Blake, Iii; Joseph W. Valve and valve cartridge for trocar
US5782817A (en) 1995-11-06 1998-07-21 Cordis Corporation Catheter introducer having toroidal valve
US5628732A (en) 1996-01-19 1997-05-13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with improved universal seal
US5814026A (en) 1996-03-19 1998-09-29 Yoon; Inbae Endoscopic portal having a universal seal and methods for introducing instruments therethrough
US5788676A (en) 1996-03-25 1998-08-04 Yoon; Inbae Endoscopic portal having multiple universal seals and method of introducing instruments therethrough
US5820600A (en) 1996-05-14 1998-10-13 Innerdyne, Inc. Adjustable introducer valve
US5820604A (en) * 1996-06-11 1998-10-13 Endolap, Inc. Cannula cap including yeildable outer seal and flapper valve
US5820606A (en) 1996-06-11 1998-10-13 Origin Medsystems, Inc.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
US5727770A (en) 1997-02-07 1998-03-17 Core Dynamics, Inc. Double valve cannula seal
ES2333616T3 (en) 1997-05-02 2010-02-24 Tyco Healthcare Group Lp CANULA ASSEMBLY
EP2111884A1 (en) 1997-05-28 2009-10-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US6127320A (en) 1998-01-19 2000-10-03 University Of Cincinnati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creasing lubricity of rubber surfaces
US6228061B1 (en) 1998-02-03 2001-05-08 Imagyn Medical Technologies California, Inc. Trocar seal system having dual seals
US5989224A (en) 1998-02-23 1999-11-23 Dexide Corporation Universal seal for use with endoscopic cannula
US6093176A (en) 1998-03-10 2000-07-25 Core Dynamics, Inc. Trocar with disposable valve and reusable cannula
JP4208266B2 (en) * 1998-04-13 2009-01-14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Conical universal seal with non-uniform surface and seal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6860869B2 (en) 1999-03-26 2005-03-01 William G. Dennis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US6258065B1 (en) 1999-03-26 2001-07-10 Core Dynamics, Inc. Surgical instrument seal assembly
US7153319B1 (en) 2000-01-26 2006-12-26 Genico, Inc. Trocar system having shielded trocar
US6595946B1 (en) 2000-02-25 2003-07-2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Valve assembly
GB0012461D0 (en) 2000-05-24 2000-07-12 Surgical Innovations Ltd Surgical seal
US20030004529A1 (en) 2001-06-28 2003-01-02 Mark Tsonton Trocar having an improved seal design
US20040260244A1 (en) * 2001-08-31 2004-12-23 Piechowicz Michael E. Seals for trocars
WO2003043683A1 (en) 2001-11-13 2003-05-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ulti-seal trocar system
US7235062B2 (en) 2002-01-24 2007-06-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loating gel seal
US20040066008A1 (en) 2002-10-04 2004-04-08 Smith Robert C. Introducer seal assembly
US7083626B2 (en) 2002-10-04 2006-08-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endent valve
JP2007506527A (en) 2003-09-24 2007-03-22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Anti-inversion trocar seal
US8012128B2 (en) 2003-09-30 2011-09-06 Ethicon Endo-Surgery Inc. Button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WO2005060844A1 (en) 2003-12-12 2005-07-0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hielded septum trocar seal
US7585288B2 (en) * 2004-01-23 2009-09-08 Genico, Inc. Trocar and cannula assembly having conical valve and related methods
US20060047293A1 (en) 2004-01-23 2006-03-02 Haberland Gary W Trocar having planar fixed septum seal and related methods
US20050209608A1 (en) 2004-03-22 2005-09-22 O'heeron Peter T Trocar seal
US7591802B2 (en) * 2005-04-29 2009-09-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eal housing having anti-inversion features
EP1933733A2 (en) * 2005-10-14 2008-06-2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port
US20070244426A1 (en) 2006-04-13 2007-10-18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Duck bill septum combination
US7789861B2 (en) 2006-04-18 2010-09-07 Ethicon Endo-Surgery, Inc. Pleated trocar seal
DE112006003933B4 (en) * 2006-06-20 2017-11-09 Avesto Tech Bv Access port valve assembly and medical access port
CN1907513A (en) 2006-07-31 2007-02-07 周泰立 One-way valve for puncture outfit
US8257315B2 (en) * 2006-10-11 2012-09-04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seal with retraction induced hinge
US7833199B2 (en) * 2006-10-11 2010-11-16 Ethicon Endo-Surgery, Inc. Trocar seal with retraction induced hinge
US8052152B2 (en) * 2007-03-09 2011-11-08 Federal-Mogul Corporation Dynamic shaft sea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US20090012476A1 (en) * 2007-07-05 2009-01-08 Galt Medical Corporation Hemostasis valve for a catheter introducer
AU2009223316B2 (en) 2008-03-14 2014-05-2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Instrument seal
US20110004062A1 (en) 2008-03-24 2011-01-06 Hideaki Asai Anti-leak valve unit for overtube
US8273060B2 (en) 2008-04-28 2012-09-25 Ethicon Endo-Surgery, Inc. Fluid removal in a surgical access device
EP2378988B1 (en) 2009-01-09 2016-04-2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Pleated trocar shield
US20100270751A1 (en) 2009-04-23 2010-10-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nti-roll ribbed seal
US8545515B2 (en) 2009-09-23 2013-10-0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urved cannula surgical system
US20110071541A1 (en) 2009-09-23 2011-03-24 Intuitive Surgical, Inc. Curved cannula
KR20200064161A (en) * 2009-11-13 2020-06-0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Curved cannula surgical system
US20120108905A1 (en) * 2010-10-28 2012-05-03 Tyco Healthcare Group Lp Portal apparatus with a contoured compliant seal
CN102551845B (en) * 2010-12-21 2016-03-02 周星 For annular sealing device and the perforator of perforator
KR101092938B1 (en) 2011-04-22 2011-12-12 배경철 Laparoscopic Surgery Bush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18631A1 (en) * 2012-07-11 2014-01-16 Covidien Lp Surgical seal assembly including a guard member
US9913972B2 (en) 2012-09-07 2018-03-1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nnula seal
ES2806266T3 (en) * 2013-03-15 2021-02-17 Applied Med Resources Trocar Surgical Seal Gasket
KR102708964B1 (en) 2014-03-17 2024-09-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Cannula seal assembly
KR20180039031A (en) * 2018-03-19 2018-04-17 이병갑 Check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1483A (en) * 1993-02-10 1995-05-02 Origin Medsystems, Inc. Gas-tight seal accommodating surgical instruments with a wide range of diameters
US20120004613A1 (en) * 2006-04-18 2012-01-05 Franer Paul T Pleated trocar seal
US20080300545A1 (en) * 2007-06-01 2008-12-04 Chin-Cheng Hsieh Trocar Cannula with an Elastic 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14802A (en) 2023-07-21 2025-02-03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A Cannula Capable of Rotating a Sealing Portion
KR20250014792A (en) 2023-07-21 2025-02-03 주식회사 바스칸바이오제약 A Medical Check Unit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 Cannula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039B1 (en) 2022-04-07
US11534205B2 (en) 2022-12-27
JP2021191420A (en) 2021-12-16
KR102507087B1 (en) 2023-03-07
EP3753509B1 (en) 2023-11-29
KR20220048041A (en) 2022-04-19
JP2017508534A (en) 2017-03-30
US20230043818A1 (en) 2023-02-09
KR20160135285A (en) 2016-11-25
US10463395B2 (en) 2019-11-05
CN116531060A (en) 2023-08-04
US20170095269A1 (en) 2017-04-06
EP3753508A1 (en) 2020-12-23
CN106255469B (en) 2020-05-19
EP3119295A1 (en) 2017-01-25
US12232769B2 (en) 2025-02-25
KR102708964B1 (en) 2024-09-25
CN111419306B (en) 2023-05-23
JP7299278B2 (en) 2023-06-27
CN106255469A (en) 2016-12-21
JP6595498B2 (en) 2019-10-23
EP3119295A4 (en) 2018-03-14
WO2015142794A1 (en) 2015-09-24
EP3753510A1 (en) 2020-12-23
EP3753509A1 (en) 2020-12-23
JP2020022765A (en) 2020-02-13
CN111419306A (en) 2020-07-17
EP3753508B1 (en) 2022-11-09
JP6963594B2 (en) 2021-11-10
EP3119295B1 (en) 2020-05-13
US20200100815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087B1 (en) Cannula seal assembly
US12262913B2 (en) Devices for and methods of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JP5226065B2 (en) Elastically deformable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a telescoping guide tube
JP5252694B2 (en) Self-shrinking orifice seal
US20070244426A1 (en) Duck bill septum combination
EP2337508B1 (en) Devices for performing minimally-invasive surgical procedures through a single incision
US20100076381A1 (en) Trocar valve seals
JP2011000434A (en) Access assembly having flexible housing
MXPA04009631A (en) Rotational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