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646A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9646A KR20220149646A KR1020220138481A KR20220138481A KR20220149646A KR 20220149646 A KR20220149646 A KR 20220149646A KR 1020220138481 A KR1020220138481 A KR 1020220138481A KR 20220138481 A KR20220138481 A KR 20220138481A KR 20220149646 A KR20220149646 A KR 202201496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adapter
- plug
- switching
- control switch
- electric appli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전기제품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제품에 구비된 플러그와 결합하여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플러그 어댑터, 및 상기 전기제품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 스위치를 포함한다.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cation close to an electric applianc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s combined with a plug provided in the electric appliance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A plug adapter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an electric appliance, and a first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t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electric appliance, and controlling on/off switching of the plug adapter by a user's operation Includes control switch.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어댑터의 스위칭에 기반하여 전기제품의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power control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of an electric appliance based on switching of a plug adapter.
일반적으로, 전기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 벽체에 함입되는 벽체형과 연장선으로 사용되는 외장형이 있다. 전기 콘센트는 플러그 홈(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an electrical outlet is a device for inserting a plug by connecting to a wiring to connect a cord used indoors in an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and there are a wall type embedded in a wall and an external type used as an extension wire. Electrical outle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o prevent the risk of electric shock when the plug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groove (insertion hole).
종래의 전기 콘센트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 상태에서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이 낭비되거나 제품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전기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러그를 뽑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러그를 탈착시키는 것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Even if the electrical appliance is not in use when the plug is plugged into the conventional electrical outle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waste power or may cause a malfunction of the product, which may shorten the life of the electrical product. It is preferable to unplug the plug, but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detach the plug.
특히, 벽체형의 경우 공간이 부족하여 플러그를 탈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외장형인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는 데 있어 멀티 콘센트가 바닥에 놓여 있어서 바닥에 물이 있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감전이나 누전에 따른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all type,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plug due to lack of space. You may have an accident following it.
그리고, 기존의 매입형 전원 콘센트에 별도로 무선 스위칭이 가능한 외장형 콘센트를 별도로 꽂아서 리모컨으로 조작하여, 여기에 꽂아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무선으로 스위칭을 하도록 하는 제품이 나와 있다. 이는 이미 지어진 건물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설치 비용이 비싸며, 리모콘 분실이나 오작동의 우려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duct that enables wireless switching of the power of an electric appliance by inserting an external outlet capable of wireless switching into an existing recessed power outlet and operating it with a remote control. This can be effectively used in an already built building, bu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loss or malfunction of the remote control.
더욱이, 점차 편리한 생활을 위해 전기제품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기제품의 사용으로 낭비되는 대기 전력의 양이 점차 많아지게 되어 이를 줄이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Moreover, the use of electric appliances is increasing for a more convenient life,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standby power wasted due to the use of electric appliances is gradually increased, and a device for reducing the amount of standby power is required.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611호(고안의 명칭: 조명 제어 스위치와 콘센트가 결합된 디바이스, 등록일자: 2019.12.02.)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90611 (name of the design: a device in which a light control switch and an outlet are combined, registration date: 2019.12.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해 해당 전기제품이 있는 위치로 일일이 이동할 필요 없이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꽂혀진 플러그 어댑터(콘센트)를 사용자 접근이 편리한 원격 위치에 설치된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을 통하여 콘센트 자체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 appliance, the user can access the plug adapter (outlet) into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is plugged without having to move one by one to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 appliance is located.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al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that can turn on or off the outlet itself through the operation of a control switch installed at a convenient remote location is provid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전기제품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제품에 구비된 플러그와 결합하여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플러그 어댑터, 및 상기 전기제품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 스위치를 포함한다.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ocation close to an electric applianc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s combined with a plug provided in the electric appliance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A plug adapter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an electric appliance, and a first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t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electric appliance, and controlling on/off switching of the plug adapter by a user's operation Includes control switch.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원 공급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witc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g adapter and the power source, and may selectively switch on/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 사이에서 그 일측이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릿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In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plug adapter and the first control swit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switch. It further includes a bridge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상기 브릿지 모듈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가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되도록 하되,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의 매칭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의 매칭과 관련한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wherein the bridge module matches the plug adapter with the first control switch so that the plug adapter is selectively switched on or off by the first control switch, and cancels matching between the plug adapter and the first control switch A function may be provided or a function of changing a setting related to matching between the plug adapter and the first control switch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n electric appliance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lug adapt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nd turns on/off the plug adapter by a user's ope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상기 플러그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로 구현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상기 플러그와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기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g adapter may be implemented as an outlet having at least one plug insertion hol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ppliance by fitting and coupling the plug with the plug through the plug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제품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해 해당 전기제품이 있는 위치로 일일이 이동할 필요 없이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꽂혀진 플러그 어댑터(콘센트)를 사용자 접근이 편리한 원격 위치에 설치된 컨트롤 스위치의 조작을 통하여 콘센트 자체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제품이 접근이 불편하거나 번거로운 구석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turn on or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 appliance, the plug adapter (outlet) into which the electric appliance is plugged in does not need to be moved one by one to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 appliance i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where user access is convenient. The outlet itself can be turned on or off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stalled control switch, and thus, whe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installed in an inconvenient or cumbersome cor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어댑터의 일례인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일체형 플러그 어댑터의 일례인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이 주방 상부장에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outlet as an example of a plug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outlet, which is an example of a switch-integrated plug ada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is applied to a kitchen upper cabin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arried out below is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 system function normal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o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among the functions omitted not shown below, and also the components omitted as described abov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other similar meanings of signals or information means that signals or information are directly transmitted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as well as passing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o “transmit” or “transmit” a signal or information to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imply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기제품은 주방후드, 에어컨, 조명기기(조명등)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제품을 포괄하는 개념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기제품을 조명등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 및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은 자명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the electrical applian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products that use electricity, such as a kitchen hood, air conditioner, lighting device (lighting, etc.), but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appliance is limited to lighting. do it with It is obvious tha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and easy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어댑터의 일례인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ncludes an outlet which is an example of a plug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100)은 조명등(110), 플러그 어댑터(120), 및 제1 컨트롤 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 the electrical appliance
상기 조명등(110)은 건물 내부 공간 또는 건물 내 수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등(110)은 주방 상부장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달리 붙박이장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조명등(110)은 전원 공급을 위한 플러그(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15)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조명등(110)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조명 인테리어 시공 시에 인테리어 작업자가 전기 관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상기 조명등(110)의 플러그(115)를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에 끼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플러그 어댑터(120)를 통해 제1 컨트롤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인테리어 작업자는 전기배선 작업 없이도 조명 인테리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참고로, 플러그 어댑터(120) 및 제1 컨트롤 스위치(130)의 설치 및 그에 따른 전기배선 작업은 인테리어 작업자가 아닌 전기 관련 전문가에 의해 미리 수행될 수 있다.The
즉, 상기 플러그(115)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에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상기 조명등(110)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를 통해 제1 컨트롤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인테리어 작업자는 전기배선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조명등(110)을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플러그(115)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일반 전기제품에 구비되어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는 상기 조명등(110)의 주변, 즉 상기 조명등(110)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주방 상부장이나 붙박이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115)를 통해 상기 조명등(110)과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명등(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컨트롤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컨트롤 스위치(130)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라 상기 조명등(11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110)의 주변, 예컨대 주방 상부장이나 붙박이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 즉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상기 조명등(110)에 구비된 플러그(115)와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조명등(11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조명등(110)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의 위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조명등(110)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조명등(110)이 주방 상부등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주방 입구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조명등(110)이 붙박이장과 같은 수납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붙박이장이 설치된 침실 입구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또는 입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의 온/오프 스위칭(On/Off Switching)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원 공급원(AC 전원)(10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원(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또는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또는 입력)에 의해 온 스위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전원 공급원(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에 전달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닫아서 상기 전원 공급원(101)과 단락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When on-switching is select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or input), the
반면, 상기 사용자의 수동 조작(또는 입력)에 의해 오프 스위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상기 전원 공급원(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오픈(Open)해서 상기 전원 공급원(101)과 개방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ff-switching is select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or inpu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일체형 플러그 어댑터의 일례인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outlet which is an example of a switch-integrated plug ada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200)은 조명등(110), 플러그 어댑터(120), 제1 컨트롤 스위치(130), 및 제2 컨트롤 스위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여기서, 상기 조명등(110),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 및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도 1의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일체형으로 주방 수납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일체형으로 옷장(붙박이장) 내부에 설치되거나 옷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는 3로 스위치(Three way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컨트롤 스위치(140)는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 역시 3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컨트롤 스위치(130, 140)는 3로 스위치로 각각 구성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3로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원 공급원(101) 및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컨트롤 스위치(130, 140)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조작을 통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witches 130 and 140 are configured as three-way switche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three-way switches is connected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a plug adapter switc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300)은 조명등(110), 플러그 어댑터(120), 제1 컨트롤 스위치(130), 및 브릿지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여기서, 상기 조명등(110),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 및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는 도 1의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릿지 모듈(15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상기 브릿지 모듈(150)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브릿지 모듈(150)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의 사이에서, 그 일측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브릿지 모듈(150)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를 매칭(Matching)시켜,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가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브릿지 모듈(150)은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의 매칭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의 매칭과 관련한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매칭과 관련한 설정은 예컨대 상기 플러그 어댑터(120)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130)가 복수개인 경우에 조명 인테리어의 구성에 맞춰서 여러 개의 연결 대상 중에서 특정 연결 대상(들)을 작업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tting related to the matching is,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조명등
115: 플러그
120: 플러그 어댑터
130: 제1 컨트롤 스위치
140: 제2 컨트롤 스위치
150: 브릿지 모듈110: light
115: plug
120: plug adapter
130: first control switch
140: second control switch
150: bridge module
Claims (5)
상기 전기제품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
a plug adapter installed in a location close to an electric applianc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coupled with a plug provided in the electric appliance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electric appliance according to on/off switching; and
A first control switch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t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electrical appliance and configured to control on/off switching of the plug adapter by a user's manipulation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al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원 공급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rol switch is
The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plug adapter and the power supply source and selectively controls on/off switching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 사이에서 그 일측이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제1 컨트롤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릿지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Between the plug adapter and the first control switch, one end of the bridge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switch.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al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플러그 어댑터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러그 어댑터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control switch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lug adap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adapter, and controlling on/off switching of the plug adapter by a user's manipulation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al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플러그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로 구현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상기 플러그와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기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어댑터 스위칭 기반의 전기제품 전원 제어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adapter is
A plug adapter switching-based electric appliance power control system, which is implemented as an outlet having at least one plug inser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appliance by fitting and coupling the plug with the plug through the plug insert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8481A KR20220149646A (en) | 2020-06-03 | 2022-10-25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89A KR20210150212A (en) | 2020-06-03 | 2020-06-03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KR1020220138481A KR20220149646A (en) | 2020-06-03 | 2022-10-25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89A Division KR20210150212A (en) | 2020-06-03 | 2020-06-03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9646A true KR20220149646A (en) | 2022-11-08 |
Family
ID=78865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89A Ceased KR20210150212A (en) | 2020-06-03 | 2020-06-03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KR1020220138481A Ceased KR20220149646A (en) | 2020-06-03 | 2022-10-25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89A Ceased KR20210150212A (en) | 2020-06-03 | 2020-06-03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10150212A (en)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289A patent/KR20210150212A/en not_active Ceased
-
2022
- 2022-10-25 KR KR1020220138481A patent/KR20220149646A/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212A (en) | 2021-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36554A1 (en) | Modular Electrical Accessory | |
TWI706429B (en) | Modular socket panel | |
US915922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 |
JP2009536779A (en) | Integrated lighting control module and power switch | |
KR20220149646A (en) | Plug adapter switching based power control system | |
EP3258326A1 (en) | Automated control system for homes | |
EP3572737B1 (en) | Air conditioner | |
US20070129814A1 (en) | Industrial controlle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dustrial controller | |
US20140277758A1 (en) | Remotely-Programmable Control Circuit for Single-Phase Motor | |
CN205721137U (en) | A kind of KNX home control circuit | |
KR20220111236A (en) | Lighting package system for bathroom lighting construction | |
CN205015711U (en) | Motor controller | |
US10868690B1 (en) | Programmable logic switch and system | |
CN114384859A (en) | Civil air defense electrical PLC control cabinet | |
KR100342920B1 (en) | Auto air-conditioning system and digital/analog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of | |
US4814929A (en) | Breaker box interface device | |
CN106019975A (en) | Multimedia remote integrated controller | |
CN105739401A (en) | Amplifier | |
EP3590195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remote systems with a power cord | |
JPH06303706A (en) |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 |
TWM511059U (en) | Embedded Wi-Fi wireless power switch control device | |
KR20110101445A (en) | Multi-outlet device with built-in microcomputer | |
EP3742239A1 (en) | Smart building system for the wireless control and command of electric interfaces/actuators | |
KR20050119929A (en) | Multi-tap outlet device controlled using a computer and its control method | |
CN205581600U (en) | Heat dissipa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060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06728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