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566A -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1566A KR20220131566A KR1020210036317A KR20210036317A KR20220131566A KR 20220131566 A KR20220131566 A KR 20220131566A KR 1020210036317 A KR1020210036317 A KR 1020210036317A KR 20210036317 A KR20210036317 A KR 20210036317A KR 20220131566 A KR20220131566 A KR 202201315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electronic
- user
- signature
- electronic sign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 user device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processes a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electronic content, or ,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the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the electronic signature is processed for each selected content cont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콘텐츠의 가치증대를 위한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for increasing the value of electronic content.
통상적으로, 전자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일컬으며, 더 구체적으로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부호/음성/음향/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른다.In general, electronic content refers to various information or its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or computer communication, and more specifically, digital characters/codes/voices/sounds/images/videos for use in wired/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It refer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duced and processed/distributed in this way or its contents.
예를 들어, 전자콘텐츠는 교육용 영상콘텐츠, 유튜브와 같은 채널에 업로드되는 미디어용 영상콘텐츠, 전자연구노트 등이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content may include educational video content, media video content uploaded to a channel such as YouTube, and electronic research notes.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미디어용 영상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속출하고 있다. 미디어용 영상콘텐츠의 제작자가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타인이 미디어용 영상콘텐츠의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공동제작인 경우 미디어용 영상콘텐츠의 권리귀속과 지분비율 문제 등 다양하다.With the advent of the one-person media era, copyright issues for video content for media are increasing one after another. If the creator of video content for media infringes on the copyrights of others, others infringe on the copyright of video content for media, or in case of co-production, there are various issues such as the ownership of video content for media and the ownership ratio.
저작권의 발생은 국내 저작권법에 따르면, 저작물의 창작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등록, 기탁 등 일체의 절차나 방식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물이 창작만 되었다면 등록이라는 별도의 특별한 절차없이도 보호를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mestic copyright law, copyright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creation of a work and does not require any procedures or methods such as registration or deposit.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작권 등록하는 이유는 법정추정력/대항력 발생, 법정손해배상 청구 가능, 보호기간 연장의 효과, 침해물품 통관보류 신고자격 취득 등 다양한 법률적 효력이 발생함으로써 저작권의 권리를 쉽게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시에 따른 간접적인 홍보효과 등 다양하다.Nevertheless, the reason for copyright registration is that various legal effects such as the occurrence of legal presumptive power/resistance power, the possibility of claiming statutory damages, the effect of extension of the protection period, and acquisition of qualification to report infringing goods withholding customs clearance, etc. There are various indirect publicity effects due to the publication of works.
또한, 저작권 등록하지 않으면 권리자자 직접 모든 주장사실을 입증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권리자라고 할지라도 모든 주장사실을 입증하지 못한다면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right holder must prove all claims directly if the copyright is not registered. In other words, even the right holder cannot be protected if he cannot prove all the assertions.
예를 들면, 임의의 작가가 출판을 목적으로 작성된 기록물이 저작권 등록 전이고, 어떠한 채널 등에 전혀 공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물이 노출되어 제3자에 의해 출판된 경우를 가정해보면, 피해를 입은 작가는 공신력있는 입증자료의 부재로 인하여 본인의 권리를 사실상 보호받기 어려운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상당하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record created by an arbitrary writer for publication is published by a third party after the record has been exposed and published in a state where the record has not been released to any channel, etc., before copyright registration Due to the lack of evidence that exists, there is a considerable possibility that the person will face a limi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protect his/her rights in effect.
또 다른 예로 전자연구노트를 들 수 있다. 2020년 대한민국 정보의 연구개발 총 예산은 24조 2195억원이고, 2019년 정부 및 민간을 합친 연구개발 총액은 89조471억원에 이르며, 매년 증가세에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 과제에서 필요 제출항목이 연구노트이며, 연구기록 데이터의 손실, 연구노트 작성시간의 증가, 연구기록 충실도 저하, 연구노트 제출률 저하, 연구데이터 1건당 손실비용 증가 등의 이유로 서면연구노트에서 전자연구노트로 전환중이다.Another example is an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The total R&D budget of the Republic of Korea information in 2020 is 24,219.5 billion won, and the total R&D combined with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in 2019 amounted to 89.471 trillion won, and it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ese R&D projects, the required submission item is a research notebook, and written research notes for reasons such as loss of research record data, increase in research note writing time, decrease in research record fidelity, decrease in research note submission rate, and increase in cost of loss per research data is being converted to an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연구노트의 존재이유는 연구계획, 과정, 성과의 기록과, 연구의 독자성 증명수단(전자서명, 시점인증, 공동연구시 권리자 귀속과 지분비율 책정, 영업비밀 등)으로 활동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전자연구노트는 연구기록의 입력 편의성 증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연구노트 내용의 퀄리티 증대 분야에 대해서는 연구활동으로 일임하고 있고 연구활동 결과가 연구노트로 반영되지 않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는 집중되지 않고 있다.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research notebook is to record the research plan, process, and performance, and to act as a means of proof of the originality of the research (digital signature, time-of-day authentication, attribution to the right holder and establishment of the share ratio during joint research, trade secrets, etc.). However, the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cused on increasing the input convenience of research records, and the field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research notes is entrusted to research activities, and for structural problems in which the results of research activities are not reflected in the research notes is not concentrating.
예를 들면, 다수의 참여연구원들이 참여한 연구과제에서, 연구활동 결과를 1인의 연구원이 전자연구노트에 기록하고, 작성자 본인 및 결제권자의 전자서명을 받는 방식으로서, 다수의 참여연구원들 중 1인이 작성함에 따른 연구기록 누락, 연구원 개별 연구성과 반영하는 것에 한계점 봉착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다수의 참여연구원별로 각각 작성되는 구조라고 하더라도 비효율적인 연구활동 초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For example, in a research project in which a number of participating researchers participated, one researcher records the results of research activities in an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and receives the electronic signatures of the author himself and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pay. There are problems such as omission of research records due to this preparation and limitations in reflecting individual research achievements of researchers, and there are problems that may cause inefficient research activities even if the structure is written for each participating researcher.
더 나아가, 개인 대 개인, 기업 대 기업, 기업 대 기관 등 다자 참여구조의 연구활동이 많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종래의 전자연구노트 기술은 연구활동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권리 귀속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다자 참여구조에서 효율적인 연구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비대면 연구활동을 전자연구노트에 반영하기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Furthermore, at this point in time when research activities with a multilateral participation structure such as individual-to-individual, company-to-company, and company-to-institution are increasing, the conventional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technology is limited in clear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ghts attribution while faithfully reflecting research activities.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tructural limitations to reflect non-face-to-face research activities, which can be said to be efficient research activities in a multilateral participatory structure, in the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따라서, 이와 같은 전자콘텐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solving such problems of electronic cont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을 전자서명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콘텐츠 내용별로 선택하여 전자서명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ectronically sign the electronic content creation process or to select and electronically sign the created electronic content for each content. To provide a user device and method for sig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user device for digital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includes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The electronic signa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is processed, or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elected from amo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nd then the electronic signature is processed for each selected content.
또한,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 또는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은 적어도 1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한 것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may be generated through participation of at least one use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도 대응되는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시점인증을 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further processes time authent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Point-in-time authentication can be further processed for each selected conten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further processes the conversion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the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r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 mo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s,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s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can handle mo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은, 사용자 장치에서, 전자콘텐츠 전자서명이 가능한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이 실행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단계,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user method for digitally signing electronic content, in a user device, the step of activating a function capable of electronically signing electronic content, the process of generating electronic content is executed, The step of upload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at least one or more corresponding to the user amo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nd processing the digital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 after content content is selected.
또한,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 또는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은 적어도 1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한 것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may be generated through participation of at least one user.
또한,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도 대응되는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ontent selected after further processing of time authent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select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urther processing point-in-time authentication for each.
또한,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urther processing is performed to convert the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the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r the generated electronic Converting 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 after at least one cont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content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result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을 전자서명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내용별로 선택하여 전자서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lectronic content creation process can be digitally signed, or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can be selected for each content and digitally sig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콘텐츠의 저작권을 입증하기 위한 증빙자료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quickly generate evidence for proving the copyright of the electronic cont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 참여자들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콘텐츠, 또는 다수 참여자들에 의해 생성된 전자콘텐츠에 대한 권리 귀속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learly identify a right attribution relation to electronic content generated by multiple participants or electronic content generated by multiple participan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대면 활동에 대한 증빙 또는 권리 귀속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proof or right attribution relationship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을 전자서명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내용별로 선택하여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한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gitally sign the creation process of electronic content, or to convert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hav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자 참여의 전자콘텐츠를 노출하는 경우, 각 참여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노출 가능한 전자콘텐츠로 편집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osing electronic content of multi-party particip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dited as electronic content that can be exposed by reflecting the intention of each participa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명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변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독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자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명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 변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일부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이어 나머지 부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노출 시, 내용 확인한 참여자들과 관련된 전자서명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사용자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ign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a user's sole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multi-par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multi-par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conversion of various electronic contents into electronic docu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partially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remaining parts following the electronic documenting of the electronic content shown in FIG. 11 .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related to participants who have confirmed the content when exposing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콘텐츠의 가치증대를 도모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을 전자서명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내용별로 선택하여 전자서명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value of electronic content, and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electronic content creation process to be digitally signed, or to be electronically signed by selec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for each content.
본 발명에서의 전자콘텐츠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을 일컬으며,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문자/부호/음성/음향/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통틀어 이른다. As mentioned above, electronic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various information or its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or computer communication, etc. It refers to various information or its contents that are digitally produced and processed/distributed.
예컨데, 전자콘텐츠는 교육용 영상콘텐츠, 유튜브와 같은 채널에 업로드되는 미디어용 영상콘텐츠, 전자연구노트 등이 해당될 수 있고, 전자서명을 포함한 전자문서로 변환되어 가치증대될 수 있다.For example, electronic content may include educational video content, video content for media uploaded to channels such as YouTube, electronic research notes, etc., and may be converted into electronic documents including electronic signatures to increase valu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20)를 포함하되, 프로세서(110)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다.As shown in FIG. 1 , the
사용자 장치(100)는 클라우드 등 다양한 형태의 서버 구성을 포함한 시스템 연동을 통해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 모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도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 모델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에서의 프로세스를 처리한다.The
전술된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 모델은 웹 기반, 앱 기반,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고, 이러한 구현 구조를 토대로 프로세서(110)는 이를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역할을 한다. The electronic signature model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conten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web-based, app-based, and hybrid, and the
일례로, 프로세서(110)의 전자서명 처리는 사용자로 하여금 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내용을 확인한다는 인정을 처리하는 전자서명이거나, 사용자 본인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내용을 증명한다는 전자서명일 수 있고, 앞서 언급된 서버 구성을 포함한 시스템 연동을 통해 전자서명 프로세스를 처리하거나, 별도의 인증장치와 연동하는 전자서명 인증구조인 경우에는 전자서명을 포함한 인증을 연동 가능한 별도의 인증장치에 연계하는 처리인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digital signature processing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명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sign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도 2의 a) 도면에서는 생성중인 전자콘텐츠(A)에 대한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 도면에서는 생성된 전자콘텐츠(A)에 대한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a) show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content of the electronic content (A) being generated, and Figure 2b) show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content on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
도 2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콘텐츠(A)를 생성하는 과정중에서도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① 시점부터 ② 시점까지 생성된 콘텐츠 내용을 저장할 때, ① 시점부터 ② 시점까지 생성된 콘텐츠 내용에 대해 전자서명을 할 수 있고, 이후 ② 시점부터 ③ 시점까지 생성된 콘텐츠 내용이 더 추가된 후 이 콘텐츠 내용을 저장할 때 ② 시점부터 ③ 시점까지 생성된 콘텐츠 내용에 대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전자콘텐츠(A)에 포함될 콘텐츠 내용을 모두 생성한 후 이를 한번에 전자서명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a) of FIG. 2, the user can make an electronic signature dur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 For example, when the user saves the content created from the
또한, 도 2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업로드한 후 업로드된 전자콘텐츠(B)의 콘텐츠 내용별로도 전자서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에서 제1 콘텐츠 내용과 제2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제1 콘텐츠 내용과 제2 콘텐츠 내용에 대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iagram b) of FIG. 2 , after upload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B), the user can also electronically sign for each content of the uploaded electronic content (B).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first conten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ontent from among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B, and may electronically sign the selected first conten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ontent. can
전자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예컨데, 문서인 경우, 문서 내 원하는 콘텐츠 내용을 블록 선택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고, 영상인 경우, 영상의 재생구간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영상 내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content, a method of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electronic conten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ocument, content content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a block of desired content in the document, and in the case of an image, content content in the image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a playback section of the image. As such,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content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onic contents.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 또는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은 적어도 1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한 것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전술된 도 2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하는 것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한 전자콘텐츠에 대한 전자서명 시 각자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 내용에 대해 전자서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 or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B may be generated through participation of at least one user. As shown in the diagram a) of FIG. 2, the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constituting the already created electronic content (B) is the content that each user contributed when electronically signing the electronic content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ed. It can be used more usefully because it can execute digital signature for
더 나아가, 프로세서(110)는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도 대응되는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거나,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문서 변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ocument convers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도 3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반영할 수 있고, 전자서명이 처리된 결과와 이와 대응되는 콘텐츠 내용에 대한 전자기록을 포함한 전자문서로 변환되며, 변환된 전자문서를 내보내기로 출력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the electronic signature can be reflected for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 and the electronic record of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tored. It is converted 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도 3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를 업로드한 후 업로드된 전자콘텐츠(B) 중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반영할 수 있고, 전자서명이 처리된 결과와 이와 대응되는 콘텐츠 내용에 대한 전자기록을 포함한 전자문서로 변환되며, 변환된 전자문서를 내보내기로 출력 가능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b), after uploading the already created electronic content (B), the electronic signature can be reflected for each content of the uploaded electronic content (B), and the resul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processing and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n electronic record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verted electronic document can be output by export.
도 3의 a) 도면 및 b) 도면 모두에서, 전자콘텐츠의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하여 귀속 권한이 명확히 분리된 경우, 전자문서로 변환되어 출력될 때 미승인된 전자서명자의 1 이상 콘텐츠 내용에 대해서는 전자문서에 반영되지 않거나, 반영되더라도 내용 식별이 안되도록 마킹 처리할 수 있다.In both the a) and b) drawings of FIG. 3, if the attribution authority is clearly separated by digitally signing for each content of the electronic content, when it is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document and output, the contents of one or more contents of an unauthorized electronic signer are electronically Marking can be processed so that the content is not reflected in the document, or even if it is reflected, the content cannot be identif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독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a user's sole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및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전자콘텐츠(A) 단위로 전자서명을 하는 것보다 전자콘텐츠(A)의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하기 때문에 저작권 입증하기 위한 객관적 입증자료 확보를 앞당길 수 있고, 전자콘텐츠(A) 작성 중에 외부 노출되더라도 저작권 입증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4, in the process of creating electronic content (A), the electronic signature can be quickly completed for each content, and it is better to sign electronically in units of electronic content (A). Since the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of the electronic content (A) is made, it is possible to accelerate the acquisition of objective evidence to prove the copyrigh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e the copyright even if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reation of the electronic content (A).
여기서,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할 때 전자서명 실행되거나, 별도 전자서명 버튼을 통해 전자서명이 실행되거나, 미리 정해진 데이터 용량이 되었을 때 전자서명이 자동 실행되는 등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Here, the digital signature time point for each content content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 variously, such as executing a digital signature when saving, executing a digital signature through a separate digital signature button, 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electronic signature when a predetermined data capacity is reached.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의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도 다양하게 설계 가능한데,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을 선택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에 대해 일괄 전자서명하거나,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하는 등 이 또한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Electronic signatures for each content of the already created electronic content (B) can be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electing one or more content and then collectively signing the selected content or electronically signing for each selected content. It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multi-par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A)는 사용자 1인이 생성하는 것외에 다자 참여로 생성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As shown in the diagram a) of FIG. 5 , the electronic content A is generated by multi-party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being generated by one user in many cases.
전자콘텐츠(A)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콘텐츠 내용들 중, 제1 콘텐츠 내용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본인이 직접 생성한 콘텐츠 내용으로서 이를 증명하는 전자서명이 요구되고, 제2 콘텐츠 내용은 타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 내용으로서 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서 전자서명이 요구된다. 즉, 제1 콘텐츠 내용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자서명이 실행될 것이고, 제2 콘텐츠 내용은 타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자서명이 실행될 것이다. 각 처리결과는 공동 생성중인 전자콘텐츠 내역에 반영되어 공유될 수 있다.Among the contents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s (A), the first contents are contents generated by the user himself through the user device, and an electronic signature to prove this is required, a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contents are contents of other users. As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created by , created by other users, an electronic signature is required. That is, the first content content will be digitally signed through a user device, and the second content content will be digitally signed through another user device. Each processing result may be reflected and shared in the electronic content details being jointly created.
도 5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은 사용자 본인에 의해 생성된 것을 입증하기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콘텐츠 내용을 확인한 것에 대해서도 입증내역 확보가 요구되는 바 이를 위해서도 진행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b), the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is not only to prove that the user has created it, but also to secure the verification details for confirming the content of the other party. This is done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자 참여의 전자서명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signature of multi-par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의 콘텐츠 내용들 중 본인이 생성 및 기여한 콘텐츠 내용(예: 제1 콘텐츠 내용, 제9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iagram a) of FIG. 6 , the user can select the contents (eg, first contents, ninth contents) created and contributed by the user among contents contents of the electronic contents (B)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have.
마찬가지로, 타 사용자도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의 콘텐츠 내용들 중 본인이 생성 및 기여한 콘텐츠 내용(예: 제5 콘텐츠 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Similarly, other users may also select content content created and contributed by the user (eg, content content 5) from among the content content of the electronic content B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사용자 및 타 사용자는 각각 본인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 선택된 콘텐츠 내용에 대해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및 타 사용자 모두 온라인 연결되어 함께 실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 및 타 사용자 중 1인이 선 실행한 후 공유하여 공유받은 자가 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참여 가능한 사용자들은 2 이상으로 더 구성되어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user and other users can each digitally sign the selected content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ir own user device. Both the user and other users are connected online and can be executed together. Here, it is also possible to proceed by further configuring two or more users who can participate.
또한, 도 6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B)의 콘텐츠 내용별 전자서명도 사용자 본인에 의해 생성된 것을 입증하기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콘텐츠 내용을 확인한 것에 대해서도 입증내역 확보가 요구되는 바 이를 위해서도 진행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iagram b) of FIG. 6 , the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content content of the already created electronic content (B) is not only for verifying that the user has created it, but also confirming the content content of the other party. It is also possible to proceed for this, as it is required to secure eviden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명 방식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서명 방식은 도 7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의 단일 장치 구성인 경우와, 도 7의 b) 도면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장치(200)와 제2 사용자 장치(300)로 복합 장치 구성인 경우로 구분 가능하다.The electronic signature method includes the case of a single device configuration of the
도 7의 a) 도면에 도시된 방식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에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서 전자서명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method shown in a) of FIG. 7 , an electronic signature is possible by inpu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the
도 7의 b) 도면에 도시된 방식인 경우, 제1 사용자 장치(200)에는 인증정보 입력없이 전자서명 요청을 하게 되고, 제2 사용자 장치(300)에서 집중 인증 처리하는 방식으로 전자서명 인증을 하게 되면, 그 인증 결과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200)에 전자서명 완료 여부가 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ethod shown in FIG. 7 b), the electronic signature request is made to the
일례로, 제1 사용자 장치(200)가 PC인 경우, 제2 사용자 장치(300)는 휴대폰 또는 휴대용 태블릿일 수 있으며, 전자서명 요청이 개시되는 사용자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300)인 경우에는 제2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전자서명 요청이 개시되고 인증정보 입력도 제2 사용자 장치(300)에 입력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 변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specifically explaining the conversion of various electronic contents into electronic docu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영상, 음성, 문자, 부호, 음향 등 다양한 전자콘텐츠(A 또는 B)를 전자서명하고, 전자서명된 결과와 이와 대응되는 콘텐츠 내용이 전자기록으로 포함된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lectronic contents (A or B) such as images, images, voices, texts, symbols, and sounds are digitally signed, and the resul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s are stored as electronic records. It can be converted into an embedded electronic document.
전자콘텐츠(A 또는 B)의 종류에 따라, 전자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모듈 구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콘텐츠(A 또는 B)가 영상인 경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AI 텍스트 변환모듈(미도시), 사용자 음성과 대응되는 시점에 해당되는 영상 선별을 위한 .AI 영상 추출모듈(미도시) 등 구성이 요구된다.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content (A or B),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into an electronic documen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content (A or B) is an image, an AI text conversion module (not shown) that converts audio into text, and an .AI image extraction module (not shown) for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city), etc., are requir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용 영상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생성되는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할 수 있고, 도 9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서명 반영된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콘텐츠 내용이 포함된 전자기록으로 변환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a) of FIG. 9, an electronic signature can be made for each cont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video content for media, and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n electronic document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record including corresponding content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자 참여한 영상회의를 진행하면서 생성되는 콘텐츠 내용에 대해서도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할 수 있고, 도 10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서명 반영된 결과와 이에 대응되는 콘텐츠 내용이 포함된 전자기록으로 변환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a) of FIG. 10, an electronic signature can be made for each content content generated during a video conference with multi-party participation, and as shown in FIG. 10 b), the electronic signature is reflected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n electronic document converted into an electronic record including the result and corresponding contents.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일부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partially illustrating electronic documentation of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연구활동의 연구성과 귀속 및 지분 책정을 위한 입증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evidence for attributing research results and setting shares in joint research activities.
도 11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참여연구원은 본인의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수기 형태로 작성되는 전체 연구공유 페이지(a)에 'A+B = ?'와 같은 연구활동에 필요한 질의사항을 수기 작성한 후, 이 작성한 수기 메모를 제2 참여연구원에 메시지 형태(T)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참여연구원은 'A+B = ?'와 같은 연구활동에 필요한 질의사항도 연구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가설인 경우 이에 대해 전자서명을 실행하고, 이후 제2 참여연구원에게 전술된 바와 같이 메시지송출할 수 있다.11 b)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performs research activities such as 'A+B = ?' on the entire research sharing page (a) written in handwritten form through his/her
이에 대해, 제2 참여연구원은 본인의 사용자 장치(400)를 통해 제1 참여연구원이 전송한 수기메시지(R)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second participating researcher may check the handwritten message R transmitted by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through the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콘텐츠의 전자문서화를 이어 나머지 부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remaining parts following the electronic documentation of the electronic content shown in FIG. 11 .
제2 참여연구원이 해당 수기메시지(R)를 활성화하게 되면 해당 수기메시지(R)가 포함된 전체 연구공유 페이지(b)로 변환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participating researcher activates the handwritten message (R), it can be converted to the entire research sharing page (b) including the handwritten message (R).
제2 참여연구원은 제1 참여연구원이 질의한 'A+B = ?'에 대해 연구활동을 실시한 결과, 'A+B = C 또는 K'라는 연구성과를 도출했다고 가정할 때, 제2 참여연구원은 'A+B = C 또는 K'라는 연구성과를 전체 연구공유 페이지(b)에 수기 입력한 후, 이에 대해 전자서명을 실행할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2nd Participating Researcher has derived the research result of 'A+B = C or K' as a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activities on 'A+B = ?' asked by the 1st Participating Researcher, the 2nd Participating Researcher After handwriting the research result of 'A+B = C or K' on the entire research sharing page (b), you can execute an electronic signature on it.
도 12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제2 참여연구원은 'C 또는 K'를 수기 메시지(T)로 하여 제1 참여연구원에게 회신할 수 있고, 제1 참여연구원은 'C 또는 K'의 수기 메시지(R)를 수신한 후, 'C 또는 K'이 포함된 전체 연구공유 페이지(a)를 통해 연구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제1 참여연구원은 'C 또는 K'의 연구성과가 제2 참여연구원에 귀속된 것이 반영된 전자서명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a), the second participating researcher may reply to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by using 'C or K' as the handwritten message (T), and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may reply to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by using 'C or K' as the handwritten message (T). After receiving the handwritten message (R) of ', you can check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entire research sharing page (a) containing 'C or K'. Of course, the first participating researcher can also check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signature reflecting that the research performance of 'C or K' is attributed to the second participating researcher.
도 12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연구공유 페이지는 다자 활동 내역이 수기 메모를 기반으로 명시적으로 기록되며, 이뿐 아니라 각 연구내용 단위(즉, 콘텐츠 내용)로 전자서명되는 바 다자 참여 구도의 연구활동에 대한 권리 귀속 및 지분 등을 객관적으로 명시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b), in the entire research sharing page, multilateral activity details are explicitly recorded based on handwritten notes, as well as digitally signed by each research content unit (ie, content content).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specify the attribution of rights and shares in research activities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또한, 다자 활동 내역을 수기 메모로 기록할 때, 각 연구원별로 대응되는 색상을 부여함으로서, 입력되는 수기 메모의 색구분만으로도 연구원별 연구내용을 용이하게 분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multilateral activity history is recorded as a handwritten memo,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the research contents for each researcher only by color classification of the input handwritten memo by giving a corresponding color to each research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문서 단위가 아닌 연구내용 단위로 전자연구노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영상 회의도 전자연구노트로 전자문서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비대면 전자연구노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다자활동에 대한 증빙 또는 권리 귀속 관계를 더 명확히하여 비대면 다자활동을 더 활성화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lectronic research notebook in units of research content rather than in units of electronic documents,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electronically document the aforementioned video conference as an electronic research note. This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create non-face-to-face electronic research notes,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revitalize non-face-to-face multilateral activities by clarifying the evidence or right attribution relationship for non-face-to-face multilateral activitie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콘텐츠의 노출 시, 내용 확인한 참여자들과 관련된 전자서명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related to participants who have confirmed the content when exposing electron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예: 전자연구노트)의 노출 시, 전자콘텐츠(예: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조기 확인한 참여자들(①, ②, ③, ④)에 대한 영업비밀 유지방안도 요구된다할 것이다.13 a)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electronic content (eg, electronic research note) is exposed, participants (①, ②, ③, ④) who check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content (eg, electronic research note) early There will also be a need for measures to maintain trade secrets.
이 경우, 도 13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예: 전자연구노트)의 내용을 조기 확인한 참여자들에 대해서도 '내용 확인'에 대한 전자서명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b) of FIG. 13 ,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secure an electronic signature for 'confirmation of contents' even for participants who have confirmed the contents of electronic contents (eg, electronic research notes) early.
일례로, 연구발표된 성과 내용을 회의상에서 발표한 후 발표된 자료에 대한 식별정보가 회의모니터에 개시되고, 연구활동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 각각은 본인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식별정보 입력으로 전자서명하고자 하는 대상 전자콘텐츠를 특정하고 이에 대해 각각 전자서명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announcing the results of a research presentation at a mee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ublished data is displayed on the conference monitor, and each participant attending the research activity meeting wants to digitally sign by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ir user device. Target electronic content can be specified and digitally signed for each.
이는, 전자연구노트 작성뿐만 아니라, 대외비 성격의 자료를 비지니스 미팅에서 발표할 때, 온라인 강의자료 배포, 온라인 강의 또는 오프라인 강의 등 출석체크 등으로 다양하게 활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writing electronic research notes,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such as presenting confidential material at a business meeting, distributing online lecture materials, checking attendance for online lectures or offline lectures, etc.
전술된 참석자의 전자서명이 있으면, 도 13의 c)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서명 결과가 반영됨을 회의석상에 참여한 참석자들 모두가 확인할 수도 있다.If there is an electronic signature of the above-mentioned participants, as shown in the diagram c) of FIG. 13 , all participants in the meeting may confirm that the resul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is reflected.
도 14는 도 1의 사용자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은 사용자 장치에서 전자콘텐츠 전자서명이 가능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개시된다(S1).As shown in FIG. 14 , the user method for digital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is initiated by activating a function capable of digital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in the user device (S1).
이후,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이 실행되거나,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3).Thereafter, the process of generating electronic content is executed, or a step of uploading already created electronic content is performed (S3).
이후,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이미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5).Thereafter, the electronic signa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lectronic content is processed, or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elected from among the content element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and then the selected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ent. A step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proceeds (S5).
이후, 전자콘텐츠 전자서명이 가능한 기능을 종료할 경우 앞서 언급된 각 단계별 추가 실행도 종료된다(S7).Thereafter, when the function capable of digitally signing electronic content is terminated, the above-mentioned additional execution of each step is also terminated (S7).
이외, 보다 구체적인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은 도 1 내지 도 13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는 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more specific user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is sufficiently disclosed in FIGS. 1 to 13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또한, 본 발명은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을 전자서명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콘텐츠 내용별로 선택하여 전자서명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that can digitally sign the creation process of electronic content, or select and electronically sign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for each content content. Alternatively, the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has sufficient business possibility and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0 : 사용자 장치 110 : 프로세서
120 : 메모리 200 : 제1 사용자 장치
300 : 제2 사용자 장치 400 : 타 사용자 장치100: user device 110: processor
120: memory 200: first user device
300: second user device 400: other user device
Claims (8)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The processor is
Processes a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 electronic content, or selects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nd then selects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 User device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processing.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 또는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은 적어도 1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한 것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device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t least one us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도 대응되는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further processes time authent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selected content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 user device for digital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that further processes point-in-time authentication for each conten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further processes conversion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r Converting 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 after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elected among the content contents constituting the electronic content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User device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further processing.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이 실행되거나, 생성된 전자콘텐츠가 업로드되는 단계;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activating, in the user device, a function capable of digitally signing electronic content;
a step of executing an electronic content generation process or upload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Processes a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selects at least on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nd selects each selected content A user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signature.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 또는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은 적어도 1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한 것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The user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or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is genera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t least one user.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도 대응되는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시점인증을 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Time authent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re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is further processed, or at least one cont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elected from among the content content constituting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and then the selected content content is viewed A user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urther processing authentication.
상기 전자콘텐츠의 생성과정에서 만들어진 콘텐츠 내용별로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거나, 상기 생성된 전자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내용들 중 상기 사용자와 대응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콘텐츠 내용이 선택된 후 선택된 콘텐츠 내용별로 전자서명을 처리한 결과와 이 처리결과와 대응되는 전자기록을 포함하는 전자문서로 변환하는 것을 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콘텐츠의 전자서명을 위한 사용자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electronic content,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user's electronic signature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content and the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is further processed, or the generated electronic content is processed. After selecting at least one or mo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user from among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contents, further processing of converting into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result of processing an electronic signature for each selected contents and an electronic record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User method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36317A KR20220131566A (en) | 2021-03-22 | 2021-03-22 |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36317A KR20220131566A (en) | 2021-03-22 | 2021-03-22 |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31566A true KR20220131566A (en) | 2022-09-29 |
Family
ID=834618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36317A Withdrawn KR20220131566A (en) | 2021-03-22 | 2021-03-22 |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131566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05071B1 (en) | 2001-04-18 | 2006-07-26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Safe and conven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
-
2021
- 2021-03-22 KR KR1020210036317A patent/KR20220131566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05071B1 (en) | 2001-04-18 | 2006-07-26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Safe and conven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디지털 콘텐츠 사업의 유망분야 비교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2호2006.11. 737 - 740 pag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90319948A1 (en) | Remote authentication and identification proofing systems and methods | |
| Whitley et al. | Who do you think you are? A review of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information systems, identification and identity | |
| US8428227B2 (en) | Certifie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 |
| JP5003125B2 (en) | Minutes creation device and program | |
| Gluck et al. | Participatory and Inclusive Constitution Making:. | |
| JP2020517034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cluding and delivering electronic documents | |
| McIntyre et al. | How Rwandan journalists use WhatsApp to advance their profession and collaborate for the good of their country | |
| CN113949838A (en) | A paperless conference system,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Obuya et al. | “Caught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How Kenyan journalists are coping with pressure for media accountability | |
| CA2759682C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ducting transactions remotely | |
| CN119316551A (en) | A paperless conference terminal intelligent interac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medium thereof | |
| KR20220131566A (en) | User apparatus for electronic signature of electronic content,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 |
| JP2009230267A (en) | Conference room equipment and conference recording system using the same | |
| CN113420133A (en) | Sess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Flick et al. | Engag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responsible innovation | |
| Fasihullah et al. | Negotiating in the digital age: Exploring the role of technology in modern negotiations | |
| JP739139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 |
| US20140282107A1 (en) | System and method to interactively collaborate utilizing segmented layers in a network environment | |
| CN102004957A (en) |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attendee information | |
| Czaran et al. | Improving research impact through the use of media | |
| Siassiakos et al. | Utiliz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Greek public administration | |
| Azni et al. | Certificate Authority Capacity and Digital Signature Market Demand in Promoting Interoperability in Malaysia | |
| CN113537818B (en) | Online examin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 |
| US20240422019A1 (en) |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for journalizing an e-notary | |
| Mott | VoiceThread: A useful program evaluation too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