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220074700A -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700A
KR20220074700A KR1020210078582A KR20210078582A KR20220074700A KR 20220074700 A KR20220074700 A KR 20220074700A KR 1020210078582 A KR1020210078582 A KR 1020210078582A KR 20210078582 A KR20210078582 A KR 20210078582A KR 20220074700 A KR20220074700 A KR 2022007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ransistor
gate
driving circuit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석
이성진
유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59,50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50257B2/en
Priority to CN202111027786.2A priority patent/CN114627798B/en
Priority to CN202510027208.0A priority patent/CN119559892A/en
Publication of KR2022007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700A/en
Priority to US17/893,908 priority patent/US11610530B2/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복수의 픽셀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픽셀 라인은 각각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픽셀은 각각 픽셀 구동 회로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픽셀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각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게이트 구동 회로는 픽셀 구동 회로의 n형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줄일 수 있다.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a non-display area including a gate driving circuit providing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are implemented with a p-type transistor and an n-type transistor, respectively, The gate driving circuit provides a gate signal to the n-type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ly, a stable output may be provided and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Description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구동 능력이 향상된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gate driving circuit with improved driving capability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 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계발광 표시장치, 액정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양자점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market for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the use of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quantum dot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이 중에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이 높으며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스캔 신호에 의해서 턴-온되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고, 구동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한다. 그리고, 발광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발광소자를 발광시킨다. 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 무기발광소자, 및 퀀텀닷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m,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high luminous efficiency, and a large viewing angle. In general,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es a data voltage to a gate electrode of a driving transistor using a transistor turned on by a scan signal, and charges a data voltage supplied to the driving transistor to a storage capacitor. T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emits light by outputting the data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using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a quantum dot device.

전계발광 표시장치에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게이트 신호는 스캔 신호 및 에미션 신호를 포함한다.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에미션 신호와 하나 이상의 스캔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일반적으로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A gate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supplied to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the gate signal includes a scan signal and an emission signal.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driven using an emission signal and one or more scan signals. In general, a gate driving circuit generating a scan signal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for sequentially outputting the gate signal.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최소 장치인 표시패널은 픽셀 어레이(pixel array)가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칩온필름(Chip On Film) 또는 칩온글래스(Chip On Glass)의 형태로 표시패널에 부착되거나,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인 베젤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이하 GIP)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GIP 형태의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라인의 개수에 대응하여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각 스테이지는 일대일로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를 출력한다. 게이트 라인은 표시영역에 배치된 픽셀 어레이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발광소자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A display panel, which is a minimum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has a pixel array disposed therein, and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for not displaying an image. The gate driving circuit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in the form of a chip on film or chip on glass, or a gate-in-panel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in film transistors in a bezel area that is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t is sometimes implemented in the form of (Gate In Panel, hereinafter GIP). The GIP type gate driving circuit has stag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ate lines, and each stage outputs gate pulse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gate lines on a one-to-one basis. The gate line supplies a gate signal to the pixel array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emit light.

따라서, 픽셀 어레이에 정확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능력 향상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transmit an accurate signal to the pixel array, a method for improving the driving cap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gate driving circuit is being sought.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픽셀 어레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미션 신호와 스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As mentioned above,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includes a pixel array and a gate driving circuit for providing at least one emission signal and a scan signal to the pixel array.

픽셀 어레이를 이루는 각각의 픽셀들은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에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픽셀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픽셀 구동 회로는 발광소자에 정확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 구동 회로가 신뢰성을 갖기 위해 n타입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를 줄이기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n타입 트랜지스터에 안정적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가 요구된다.Each pixel constituting the pixel array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ixel driving circuit providing a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o provide an accurate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leakage current of the transistor by using an n-type transistor in order to ensure reliability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ly, a gate driving circuit for stably providing a gate signal to such an n-type transistor is requir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n타입 트랜지스터에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gate driving circuit for outputting a gate signal to be provided to an n-type transistor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gate driving circuit capable of reducing a non-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저속 주파수 구동시에도 안정적인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gate driving circuit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output even when driving at a low speed,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회로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노드로 로우 전압을 전달하는 풀다운부,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노드로 제3 클럭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을 전달하는 풀업부, 제1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스타트 신호를 Q 노드에 전달하는 Q 노드 제어부,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QB 노드에 하이 전압을 전달하는 QB 노드 제어부, 및 Q 노드 및 제4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Q 노드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Q 노드 유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QB 노드 제어부는 Q 노드에 연결된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저주파 구동시에도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is controlled by a Q node and is controlled by a pull-down unit that transfers a low voltage to an output node, a QB node and a high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to the output node. A pull-up unit transferring a level voltage, a Q node controller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and transferring a start signal to the Q node, a QB node controller controlled by the Q node to transfer a high voltage to the QB node, and a Q node and a Q node holding unit including a second capacitor controlled by the fourth clock signal and connected to the Q node. In addition, the QB node controller includes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Q no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output even during low-frequency driv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픽셀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복수의 픽셀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픽셀 라인은 각각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복수의 픽셀은 각각 픽셀 구동 회로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픽셀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각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게이트 구동 회로는 픽셀 구동 회로의 n형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줄일 수 있다.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region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a non-display region including a gate driving circuit providing gate signals to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A separate display panel is included.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are implemented with a p-type transistor and an n-type transistor, respectively, The gate driving circuit provides a gate signal to the n-type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ly, a stable output may be provided and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풀다운부, 풀업부, Q 노드 제어부, 및 QB 노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표시패널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using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ing a pull-down unit, a pull-up unit, a Q node control unit, and a QB node control unit, image quality of a display panel may be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모두 포함하는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표시패널의 베젤 영역을 줄이고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using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ing both the n-type transistor and the p-type transistor,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can be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can be secured.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Q 노드의 전압을 유지시키는 Q 노드 유지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iability of a signal output from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may be improved by using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ing the Q node holding unit for maintaining the Q node voltage.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명세서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명세서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described in the problems, problem solving means, and effects to be solved above do not specify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the scope of the claims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the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Unless ' is used,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may be included.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본 명세서에서 표시패널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는 n타입 또는 p타입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구조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 3전극 소자이다. 소스 전극은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한다.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한다. 드레인 전극은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인가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as an n-type or p-type transistor. For example, the transistor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istor having a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structure. A transistor is a three-electrode device including a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The source electrode supplies a carrier to the transistor. In the transistor, carriers begin to migrate from the source. The drain electrode is an electrode through which carriers exit the transisto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transistor are not fixed, and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transist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applied voltage.

이하에서, 게이트 온 전압(gate on voltage)은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될 수 있는 게이트 신호의 전압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gate off voltage)은 트랜지스터가 턴-오프(turn-off)될 수 있는 전압이다.Hereinafter, the gate on voltage is the voltage of the gate signal at which the transistor can be turned on, and the gate off voltage is the voltage at which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voltage that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픽셀(PX)이 배열된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re disposed.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PX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re arranged, and a driving circuit providing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110 .

서브픽셀(PX)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픽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ub-pixels PX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re illustrated as constituting a pixel arra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구동 회로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GD), 데이터 구동 회로(120) 및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includes a data driving circuit 120 providing a data signal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 gate driving circuit GD providing a gate signal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The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be included.

표시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서브픽셀(PX)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픽셀(PX)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DL) 및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NDA that is an outer area of the display area DA. A plurality of sub-pixels PX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A data line DL providing a data signal to the plurality of subpixels PX and a gate line GL providing a gate signal may be disposed.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은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데이터 구동 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서브픽셀(PX)과 데이터 구동 회로(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단일 배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링크 배선을 이용하여 복수의 배선들을 컨택홀을 통해 연결시킴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may extend to the non-display area NDA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 The data line DL electrically connects the sub-pixel PX and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wire, or may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s through a contact hole using a link wire. may be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게이트 구동 회로(G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서브픽셀(PX)과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추가적으로, 비표시 영역(DA)에는 게이트 구동 회로(GD)가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거나 구동하는데 필요한 게이트 구동 관련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 관련 배선들은 하이레벨 게이트 전압을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하이레벨 게이트 전압과, 로우레벨 게이트 전압을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로우레벨 게이트 전압 배선과, 복수의 클럭 신호를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공급하는 복수의 클럭 배선과, 하나 이상의 스타트 신호를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스타트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may extend to the non-display area NDA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The gate line GL electrically connects the subpixel PX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dditionally, gate driving related lines necessary for the gate driving circuit GD to generate or drive gate signals may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DA. For example, the gate driving-related wirings include one or more high-level gate voltages for supplying a high-level gate voltage t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nd one or more low-level gates for supplying a low-level gate voltage t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t may include a voltage line, a plurality of clock lines supplying a plurality of clock signals t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nd one or more start wirings supplying one or more start signals t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nd the like.

표시패널(110)에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서브픽셀(PX)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각각 행 또는 열로 배치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은 열로 배치되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e display panel 110 ,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in the subpixels PX.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may be arranged in rows or columns,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re arranged in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is assumed to be arranged in rows.

컨트롤러(13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The controller 130 starts scanning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match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Controls the data drive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컨트롤러(13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하는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타이밍 신호들을 수신한 컨트롤러(130)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 및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출력한다.The controller 130 receives, from the outside, timing signals including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 input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together with the input image data. The controller 130 receiving the timing signals generates and output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GD.

예를 들어, 컨트롤러(130)는 데이터 구동 회로(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 소스 샘플링 클럭,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outputs various data control signals including a source start pulse, a source sampling clock,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to control the data driving circuit 130 . The source start pulse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one or mor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s constituting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 The source sampling clock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timing of data in each of th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s.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

또한, 컨트롤러(130)는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 게이트 쉬프트 클럭,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또는 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gate control signal including a gate start pulse, a gate shift clock, and a gate output enable signal to control the gate driving circuit GD. The gate start pulse controls the operation start timing of one or mor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constituting the gate driving circuit GD. The gate shift clock is a clock signal commonly input to one or mor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and controls shift timing of a scan signal (or gate pulse).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specifies tim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컨트롤러(130)는 통상의 표시장치 기술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이거나,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 기능도 더 수행할 수 있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a timing controller used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technology or a control device capable of further performing other control functions including the timing controller.

컨트롤러(130)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데이터 구동 회로(120)와 함께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and 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circuit.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는 시프트 레지스터, 래치 회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출력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는 경우에 따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one or mor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s. Th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atch circuit, a digital-to-analog converter, an output buffer, and the like. Th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in some cases.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 또는 칩 온 패널(COP, Chip o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데이터 신호 생성 회로는 표시패널(110)에 연결된 소스-회로 필름 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 is configured to bond the display panel 110 by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a chip on glass (COG) method, or a chip on panel (COP) method. It may be connected to the pad,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 or may be disposed integratedly on the display panel 110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ata signal generating circuits may be implemented in a chip on film (COF) method mounted on a source-circuit film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서브픽셀(PX)을 구동시킨다.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시프트 레지스터, 레벨 시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gate driving circuit GD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to drive the subpixels PX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evel shifter, and the like.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 또는 칩 온 패널(COP, Chip o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에 연결되거나, GIP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는 표시패널(110)에 연결된 게이트-회로 필름 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GD)가 복수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하고, 복수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는 GIP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The gate driving circuit GD is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a chip on glass (COG) method, or a chip on panel (COP, Chip on panel) method for the display panel 110 . It may be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 or may be implemented as a GIP type and integ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may be implemented in a chip on film (COF) method mounted on a gate-circuit film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and the plurality of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are implemented in a GIP type to b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display panel 110 . For example, when it is placed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트랜지스터 턴-온 전압 또는 트랜지스터 턴-오프 전압의 스캔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의해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13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The gate driving circuit GD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of a transistor turn-on voltage or a transistor turn-off voltage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by the gate driving circuit GD,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conver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30 into an analog data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의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일 수 있다.The data driving circuit 12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 For example, it may be an upper side, a lower side,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 Also,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 panel design method, and the like. For example, it may b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의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일 수 있다.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 For example, it may be an upper side, a lower side,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 Also,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 panel design method, and the like. For example, it may b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

이하에서는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표시패널(110)의 상측에 위치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표시패널(11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표시패널(110)에서 게이트 구동 회로(GD)가 차지하는 영역의 폭(W)을 베젤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베젤이 작을수록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의 심미적인 효과가 있기 때문에 베젤을 축소하기 위해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간소화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Hereinafter, the data driving circuit 120 is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s position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width W of the region occupied by the gate driving circuit GD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referred to as a bezel, and since the smaller the bezel has an aesthetic effect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100 , the bezel may be reduced. There is a demand to simplify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 order to reduce the size.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은 복수의 스캔 라인 및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캔 라인 및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은 서로 다른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노드로 서로 다른 종류의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들이다.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an lines and a plurality of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The plurality of scan lines and the plurality of emission control lines are wirings that transmit different types of gate signals to gate nodes of different transistors.

따라서,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게이트 라인(GL)의 한 종류인 복수의 스캔 라인으로 스캔 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스캔 구동 회로와 다른 한 종류인 복수의 발광 제어 라인으로 발광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ate driving circuit GD outputs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s to a plurality of scan driving circuits that output scan signals to a plurality of scan lines that are one type of the gate line GL and a plurality of light emission control lines that are another type of the gate line GL.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riving circuits.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 및 게이트 구동 회로(G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는 픽셀 라인(PG)을 도시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ally, FIG. 2 illustrates a gate driving circuit GD and a pixel line PG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서브픽셀(PX)을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픽셀(PX)들이 표시하는 계조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예로, 각각의 서브픽셀(PX)은 열 라인(column line)을 따라 배열되는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고, 행 라인(pixel line)을 따라 배열되는 게이트 라인(GL)과 연결된다. 이 경우, 동일한 행 라인에 위치한 서브픽셀들(PX)을 픽셀 라인(PG)이라고 지칭하며, 동일한 픽셀 라인에 있는 서브픽셀들(PX)은 동일한 게이트 라인(GL)을 공유하며 동시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제1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서브픽셀들(PX)을 제1 픽셀 라인(PG(1))이라고 지칭하고, 제n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서브픽셀들(PX)을 제n 픽셀 라인(PG(n))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픽셀 라인이 p개라 할 때, 제1 픽셀 라인부터 제p 픽셀 라인은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와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구동된다.The display area DA includes a plurality of sub-pixels PX, and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gray level displayed by each of the sub-pixels PX. 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each sub-pixel PX is connected to a data line DL arranged along a column line, and a gate line GL is arranged along a pixel line. is connected with In this case, the subpixels PX located on the same row line are referred to as pixel lines PG, and the subpixels PX located on the same pixel line share the same gate line GL and simultaneously provide a gate signal. receive Accordingly, the subpixels PX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are referred to as a first pixel line PG(1), and the subpixels PX connected to the nth gate line are referred to as the nth pixel line PG(n). )) can be referred to as When the number of pixel lines disposed in the display area DA is p, the first pixel line to the p-th pixel line are sequentially drive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서브픽셀들(PX)을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신호 라인이나 구동부 등이 위치하며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As men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display area DA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sub-pixels PX and a non-display area NDA in which a signal line or a driver is located and not displaying an image. includes

서브픽셀(PX)은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픽셀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픽셀 구동 회로는 발광소자에 일정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발광기간에서 발광하고, 발광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발광하지 않는다. 발광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픽셀 구동 회로가 초기화되고, 스캔 신호가 픽셀 구동 회로에 입력되며, 프로그래밍 및 픽셀 구동 회로 보상 기간 등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셀 구동 회로 보상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보상일 수 있다. 발광기간 이외의 기간에는 발광소자가 특정 휘도로 발광할 수 있는 전류가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으므로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발광소자의 애노드와 구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에미션 트랜지스터를 연결할 수 있다. 에미션 트랜지스터는 에미션 라인에 연결되어 에미션 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에미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발광기간에서 에미션 신호는 턴-온 전압이고, 발광기간 이외의 기간에서 에미션 신호는 턴-오프 전압일 수 있다. The sub-pixel PX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pixel driving circuit that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driving transist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so that a constant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element emits light during the light emission period, and does not emit light during periods other than the light emission period. In a period other than the light emission period,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be initialized, a scan signal may be input to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a programming and pixel driving circuit compensation period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ixel driving circuit compensation may be a threshold voltage compensat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In a period other than the light-emitting period, the light-emitting element must not emit light because a current capable of emitting light with a specific luminance is not constantly supplied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For example, in a way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does not emit light, an emission transis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driving transistor. The emission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emission line and controlled by the emission signal output from the emission driver. In the emission period, the emission signal may be a turn-on voltage, and in periods other than the emission period, the emission signal may be a turn-off voltage.

표시패널(110)에 포함된 서브픽셀(PX)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는 스캔 신호 및 에미션 신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에미션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신호는 스캔 라인을 통해 픽셀 라인(PG)에 인가되고, 에미션 신호는 에미션 라인을 통해 픽셀 라인(PG)에 인가된다. The gate signal for driving the sub-pixels PX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scan signal and an emission signal. Accordingly,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separately include a driver applying a scan signal and a driver applying an emission signal. The scan signal is applied to the pixel line PG through the scan line, and the emission signal is applied to the pixel line PG through the emission line.

도 2의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만을 표시한다. 표시 영역(DA)에 포함된 픽셀 라인이 p개라고 할 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제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1)) 내지 제p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p))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이 중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 내지 제(n+3)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3))만을 도시한다. 이 경우, p 및 n은 자연수이고 1≤n≤p 이다. The gate driving circuit GD of FIG. 2 displays only a driver that applies a scan signal. When the number of pixel lines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DA is p,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tes the first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 1 ) to the pth gate signal. circuit SGD(p). FIG. 2 shows only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SGD(n) to (n+3)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SGD(n+3) among them. In this case, p and n are natural numbers, and 1≤n≤p.

게이트 구동 회로(GD)에는 제1 클럭 신호(GCLK1), 제2 클럭 신호(GCLK2), 로우 전압(VGL), 하이 전압(VGH), 제1 스타트 신호(Vst1), 및 제2 스타트 신호(Vst2)가 인가되는 배선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우 전압(VGL)은 -4.5V 내지 -6.5V 이고, 하이 전압(VGH)은 12V 내지 13V 일 수 있다.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대응하여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시프트하면서 스캔 신호를 제n 픽셀 라인(PG(n))에 제공한다.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first clock signal GCLK1 , a second clock signal GCLK2 , a low voltage VGL, a high voltage VGH, a first start signal Vst1 , and a second start signal Vst2 . ) to which the wires are applied. For example, the low voltage VGL may be -4.5V to -6.5V, and the high voltage VGH may be 12V to 13V.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provides the scan signal to the n-th pixel line PG(n) while shifting the first start signal Vst1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제1 스타트 신호(Vst1)는 제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1))에 입력되고, 제2 스타트 신호(Vst2)는 제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2))에 입력된다. 제3 게이트 생성 회로(SGD(3)) 내지 제p 게이트 생성 회로(SGD(p))는 각각 이전 게이트 생성 회로의 이전 게이트 생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를 스타트 신호로 입력받음으로써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2))의 스타트 신호로 입력되고, 제n 픽셀 라인(PG(n))으로 입력된다.The first start signal Vst1 is input to the first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1), and the second start signal Vst2 is input to the second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2). Each of the three gate generating circuits SGD( 3 ) to the pth gate generating circuit SGD(p) operates by receiving a scan signal output from the previous gate generating circuit of the previous gate generating circuit as a start signal. ,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input as a start signal of the (n+2)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2), It is input to the nth pixel line PG(n).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는 각각 하이 레벨의 전압과 로우 레벨의 전압 사이를 스윙하며,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다만, 제1 클럭 신호(GCLK1)와 제2 클럭 신호(GCLK2)는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클럭 신호(GCLK2)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위상을 180도 이동시킨 신호이다.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swing between a high level voltage and a low level voltage, respectively, and have the same period. However,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ve different phases. Specifically,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is a signal in which the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shifted by 180 degrees.

도 2에서는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 및 제(n+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2))에 제1 클럭 신호(GCLK1)가 입력되고, 제(n+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1)) 및 제(n+3)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3))에는 제2 클럭 신호(GCLK2)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포함된 홀수 번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는 제1 클럭 신호(GCLK1)가 입력되고, 짝수 번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는 제2 클럭 신호(GCLK2)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복수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차례대로 제1 클럭 신호(GCLK1)와 제2 클럭 신호(GCLK2)가 교대로 연결되지만, 그 순서가 한정되지는 않는다.In FIG. 2 ,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and the (n+2)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2), and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2) 1)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is input to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1) and the (n+3)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3). That is,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odd-numbered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ed i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even-numbered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GCLK2) is input. Although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in sequence, the order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구성하는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를 예로서 설명한다. 3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llustrates an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constituting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s an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풀다운부(PD), 풀업부(PU), Q 노드 제어부(CQ), 및 QB 노드 제어부(CQ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ncludes a pull-down unit PD, a pull-up unit PU, a Q node control unit CQ, and a QB node control unit CQB.

풀다운부(PD)는 Q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오프 전압으로 출력하고, 풀업부(PU)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온 전압으로 출력한다. 풀다운부(PD) 및 풀업부(PU)에 의해 결정되는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인가된다. The pull-down unit P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as a turn-off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pull-up unit PU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 Vgout(n)) is output as a turn-on voltage.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determined by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is applied to the n-th pixel line PG(n).

Q 노드 제어부(CQ)는 Q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이용하여 Q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 n이 3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는 제(n-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2))의 제(n-2) 출력 신호(Vgout(n-2))를 스타트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The Q node controller CQ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 node using the first start signal Vst1. Whe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3, the (n-2)th output signal Vgout(n-2) of the (n-2)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2) can be used as a start signal.

QB 노드 제어부(CQB)는 QB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Q 노드 제어부(CQ)에 의해 인가된 Q 노드 전압에 따라 QB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B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B node according to the Q node voltage applied by the Q node controller CQ.

턴-오프 전압은 턴-오프 전압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턴-오프 전압은 p형 트랜지스터의 경우 하이 전압이고, n형 트랜지스터의 경우 로우 전압이다. 그리고, 턴-온 전압은 p형 트랜지스터의 경우 로우 전압이고, n형 트랜지스터의 경우 하이 전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모두 포함한다.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포함된 픽셀 구동 회로에 제공된다. 특히, 픽셀 구동 회로는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n 출력 신호(Vgout(n))는 n형 트랜지스터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turn-off voltag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istor to which the turn-off voltage is applied. The turn-off voltage is a high voltage for a p-type transistor and a low voltage for an n-type transistor. In addition, the turn-on voltage is a low voltage in the case of a p-type transistor and a high voltage in the case of an n-type transistor. The n-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both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provided to a pixel driving circuit included in the n-th pixel line PG(n). In particular, when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implemented with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may control turn-on and turn-off of the n-type transis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구체적인 회로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서 이어서 설명한다.A specific circuit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4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타트 신호(Vst1) 및 제2 스타트 신호(Vst2)는 각각 4 수평 기간(4H)의 하이 레벨 펄스를 갖고, 제2 스타트 신호(Vst2)는 제1 스타트 신호(Vst1)보다 2 수평 기간(2H) 만큼 쉬프트된 신호이다.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는 각각 4 수평 기간(4H)의 주기를 갖는다.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 각각은 2 수평 기간(2H)보다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로우 레벨 펄스와 2 수평 기간(2H)보다 긴 기간에 해당하는 하이 레벨 펄스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와 제2 클럭 신호(GCLK2) 각각은 주기의 절반보다 짧은 로우 레벨 펄스와 주기의 절반보다 긴 하이 레벨 펄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스타트 신호(Vst1)의 로우 레벨 전압이 하이 레벨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와 중첩되면 출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의 길이가 하이 레벨 펄스의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GCLK2)도 제1 클럭 신호(GCLK1)와 마찬가지로 로우 레벨 펄스의 길이가 하이 레벨 펄스의 길이보다 짧다.3 and 4 , the first start signal Vst1 and the second start signal Vst2 each have a high-level pulse of 4 horizontal periods 4H, and the second start signal Vst2 has a first start It is a signal shifted by two horizontal periods (2H) from the signal Vst1.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period of 4 horizontal periods 4H.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low-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shorter than two horizontal periods 2H and a high-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longer than two horizontal periods 2H. .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low level pulse shorter than half a period and a high level pulse longer than half a period. For example, whe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low-level voltage of the first start signal Vst1 is converted to the high-level voltage overlaps the low-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 output signal may not be gener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length of the low 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 level pulse. In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 lik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length of the low-level puls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level pulse.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인가되는 제1 스타트 신호(Vst1)의 하이 레벨 펄스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 및 로우 레벨 펄스와 중첩된다. The high-level pulse of the first start signal Vst1 applied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overlaps the high-level pulse and the low-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첫째로, 제1 스타트 신호(Vst1)가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입력되기 전에 시작하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부터 설명한다.First, the first cycle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at starts before the first start signal Vst1 is input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will be described.

Q 노드 제어부(CQ)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는 직렬로 연결되고, 모두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어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받은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Q 노드에 제공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Q 노드와 제1 트랜지스터(T1) 사이에 연결되어 Q 노드 전압의 버퍼 역할을 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하고, 제1 스타트 신호(Vst1) 또한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따라서, Q 노드 제어부(CQ)는 로우 레벨의 전압을 Q 노드에 제공한다. The Q node controller CQ is implemented with a first transistor T1 and a second transistor T2 .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transistor T2 are connected in series, and both are implemented as p-type transistors.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o provide the first start signal Vst1 to the second transistor T2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trolled by the low voltage VGL to provide the first start signal Vst1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Q node. The second transistor T2 is always turned on by the low voltage VGL.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between the Q node and the first transistor T1 to serve as a buffer for the Q node voltage.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and the first start signal Vst1 also has a low level voltage. Accordingly, the Q node controller CQ provides a low level voltage to the Q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에서 Q 노드에 제공된 제1 스타트 신호(Vst1)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고, 로우 레벨의 전압은 풀다운부(PD)에 제공된다. 풀다운부(PD)는 제7 트랜지스터(T7) 및 제1 커패시터(Cq1)로 구현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로우 전압(VGL)을 출력 한다. 제1 커패시터(Cq1)는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노드와 제n 출력 신호(Vgout(n))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VO)에 연결된다. 제1 커패시터(Cq1)는 Q 노드의 전압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부트스트래핑시켜 제n 출력 신호(Vgout(n))가 로우 전압(VGL)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제n 출력 신호(Vgout(n))의 로우 전압(VGL) 출력 이후 Q 노드를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유지시킨다.In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start signal Vst1 provided to the Q node is a low-level voltage, and the low-level voltage is provided to the pull-down unit PD. The pull-down unit PD is implemented with the seventh transistor T7 and the first capacitor Cq1.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controlled by the Q node to output the low voltage VGL. The first capacitor Cq1 is connected to the gate n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and the output node VO to which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is output. The first capacitor Cq1 bootstraps the voltage of the Q node in a lowering direction so that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can maintain the low voltage VGL, and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 the Q node is maintained at a low level voltage after the low voltage VGL is output.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한다. QB 노드 제어부(CQB)는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로 구현된다.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는 QB 노드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모두 Q 노드에 의해 제어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므로, 동일 구간에서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는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된다.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에 의해 하이 전압(VGH)은 QB 노드에 제공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를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함으로써 회로의 연결이 간소화되므로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폭(W)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n형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을 산화물로 구현함으로써 제3 트랜지스터(T3)의 문턱전압 마진을 확보하고, 제3 트랜지스터(T3)에 제공되는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 unit (CQB).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implemented with a third transistor T3 and a fourth transistor T4 .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QB node, and both are controlled by the Q node. Since the third transistor T3 is implemented as an n-type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turned on or turned on in the same period. The -off state is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ff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he high voltage VGH is provided to the QB node by the turned-on fourth transistor T4 . Since circuit connection is simplified by implementing the third transistor T3 as an n-type transistor, the width W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be reduced.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active layer of the n-type transistor as an oxide, the threshold voltage margin of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secured and the voltage provid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normally transmitted.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동안 QB 노드에 제공된 하이 전압(VGH)은 풀업부(PU)에 제공된다. 풀업부(PU)는 제8 트랜지스터(T8)로 구현된다. 그리고, 제8 트랜지스터(T8)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턴-오프된다.The high voltage VGH provided to the QB node during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provided to the pull-up unit PU. The pull-up unit PU is implemented with the eighth transistor T8. And, the eighth transistor T8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ff by being controlled by the QB node.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 동안 제1 클럭 신호(GCLK1)는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고, 제1 스타트 신호(Vst1) 또한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 하이 레벨 전압의 제1 클럭 신호(GCLK1)는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시킨다. Subsequently, 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a low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and the first start signal Vst1 also has a low level voltage converted to a high level voltag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of the high level voltage turns off the first transistor T1.

제1 트랜지스터(T1)와 Q 노드 사이에 제2 트랜지스터(T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어 Q 노드는 플로팅되지만 크게 흔들리지는 않는다. 또한, 제1 커패시터(Cq1)에 의해 Q 노드 및 제n 출력 신호(Vgout(n))는 로우 전압(VGL)으로 유지된다. A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Q node, and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ff so that the Q node floats but does not significantly shake. In addition, the Q node and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are maintained at the low voltage VGL by the first capacitor Cq1.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기간(1)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로우 전압(VGL)이다. Accordingly, 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the low voltage VGL.

둘째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를 설명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는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하고, 제1 스타트 신호(Vst1)는 하이 레벨의 전압 상태이다.Secon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a low-level voltage, and the first start signal Vst1 has a high-level voltage.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어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받은 제1 스타트 신호(Vst1)를 Q 노드에 제공한다. 즉, Q 노드 제어부(CQ)는 하이 레벨의 전압을 Q 노드에 제공한다.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o provide the first start signal Vst1 to the second transistor T2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trolled by the low voltage VGL to provide the first start signal Vst1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Q node. That is, the Q node controller CQ provides a high level voltage to the Q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에서 Q 노드에 제공된 제1 스타트 신호(Vst1)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고, 하이 레벨의 전압은 풀다운부(PD)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7 트랜지스터(T7)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턴-오프된다. In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start signal Vst1 provided to the Q node is a high-level voltage, and the high-level voltage is provided to the pull-down unit PD. Accordingly,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ff by being controlled by the Q node.

그리고,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하므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된다. 턴-온된 제3 트랜지스터(T3)는 로우 전압(VGL)을 QB 노드에 제공한다. And, since 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ler CQB,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by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has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turned off by The turned-on third transistor T3 provides the low voltage VGL to the QB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동안 QB 노드에 제공된 로우 전압(VGL)은 풀업부(PU)에 제공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에 의해 턴-온되어 하이 전압(VGH)을 출력 노드(VO)로 출력 한다. The low voltage VGL provided to the QB node during the low 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provided to the pull-up unit PU.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n by the QB node to output the high voltage VGH to the output node VO.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 동안 제1 클럭 신호(GCLK1)는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고, 제1 스타트 신호(Vst1)는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제1 스타트 신호(Vst1)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하이 레벨 전압의 제1 클럭 신호(GCLK1)는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시킨다. Q 노드는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하고, QB 노드는 로우 레벨의 전압을 유지한다.Subsequent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a low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and the first start signal Vst1 is changed from a high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It is converted to a low level voltage.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a time point at which the voltage of the low level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to a voltage of a high level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voltage of the high level of the first start signal Vst1 is converted into a voltage of a low level.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of the high level voltage turns off the first transistor T1. The Q node maintains a high level voltage, and the QB node maintains a low level voltage.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기간(2)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하이 전압(VGH)이다. 하이 전압(VGH)의 출력 신호(Vgout(n))는 4 수평 기간(4H) 만큼 유지되고, 제n 픽셀 라인에 제공되어 n타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킨다.According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the high voltage VGH.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high voltage VGH is maintained for 4 horizontal periods 4H, and is provided to the n-th pixel line to turn on the n-type transistor.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 및 게이트 구동 회로(G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는 픽셀 라인(PG)을 도시한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pecifically, FIG. 5 illustrates a gate driving circuit GD and a pixel line PG to which a signal output from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될 제2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5에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만을 표시한다. 표시 영역(DA)에 포함된 픽셀 라인이 p개라고 할 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제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 내지 제p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p))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이 중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 내지 제(n+3)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3))만을 도시한다. 이 경우, p 및 n은 자연수이고 1≤n≤p 이다. In FIG. 5 , similarly to FIG. 2 , the gate driving circuit GD displays only a driver that applies a scan signal. When the number of pixel lines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DA is p,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tes the first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to the pth gate signal. circuit SGD(p). FIG. 2 shows only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SGD(n) to (n+3)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SGD(n+3) among them. In this case, p and n are natural numbers, and 1≤n≤p.

게이트 구동 회로(GD)에는 제1 클럭 신호(GCLK1), 제2 클럭 신호(GCLK2), 로우 전압(VGL), 하이 전압(VGH), 제3 클럭 신호(OCLK1), 제4 클럭 신호(OCLK2), 및 스타트 신호(Vst)가 인가되는 배선들을 포함한다.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대응하여 스타트 신호(Vst)를 시프트하면서 스캔 신호를 제n 픽셀 라인(PG(n))에 제공한다.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first clock signal GCLK1 , a second clock signal GCLK2 , a low voltage VGL, a high voltage VGH, a third clock signal OCLK1 , and a fourth clock signal OCLK2 . , and wires to which the start signal Vst is applied.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provides the scan signal to the n-th pixel line PG(n) while shifting the start signal Vst in response to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스타트 신호(Vst)는 제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1))에 입력되고, 제2 게이트 생성 회로(SGD(2)) 내지 제p 게이트 생성 회로(SGD(p))는 각각 이전 게이트 생성 회로에서 출력되는 스캔 신호를 스타트 신호로 입력받음으로써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1))의 스타트 신호로 입력되고, 제n 픽셀 라인(PG(n))으로 입력된다.The start signal Vst is input to the first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 1 ), and the second gate generating circuit SGD( 2 ) to the p-th gate generating circuit SGD(p) generate previous gates, respectively. It operates by receiving the scan signal output from the circuit as the start signal. Specifically,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input as a start signal of the (n+1)-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1). and is input to the n-th pixel line PG(n).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는 각각 하이 레벨의 전압과 로우 레벨의 전압 사이를 스윙하며,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다만, 제2 클럭 신호(GCLK2)와 제1 클럭 신호(GCLK1)는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클럭 신호(GCLK2)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위상을 180도 이동시킨 신호이다.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swing between a high level voltage and a low level voltage, respectively, and have the same period. However,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and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have different phases. Specifically,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is a signal in which the pha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shifted by 180 degrees.

도 5에서는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 및 제(n+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2))에 제1 클럭 신호(GCLK1)가 입력되고, 제(n+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1)) 및 제(n+3)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3))에는 제2 클럭 신호(GCLK2)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GD)에 포함된 홀수 번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는 제1 클럭 신호(GCLK1)가 입력되고, 짝수 번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는 제2 클럭 신호(GCLK2)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복수의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차례대로 제1 클럭 신호(GCLK1)와 제2 클럭 신호(GCLK2)가 교대로 연결되지만, 그 순서가 한정되지는 않는다.In FIG. 5 ,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and the (n+2)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2), and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2) 1)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is input to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1) and the (n+3)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3). That is,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odd-numbered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ed i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1 is input to the even-numbered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GCLK2) is input. Although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s in sequence, the order is not limited thereto.

제3 클럭 신호(OCLK1) 및 제4 클럭 신호(OCLK2)는 각각 하이 레벨의 전압과 로우 레벨의 전압 사이를 스윙하며,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다만, 제3 클럭 신호(OCLK1)와 제4 클럭 신호(OCLK2)는 서로 다른 위상(phase)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4 클럭 신호(OCLK2)는 제3 클럭 신호(OCLK1)의 위상을 180도 이동시킨 신호이다.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swing between a high level voltage and a low level voltage, respectively, and have the same period. However,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have different phases. Specifically,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is a signal in which the phas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is shifted by 180 degrees.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구성하는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를 예로서 설명한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llustrates an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constituting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s an example.

도 6을 참조하면,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풀다운부(PD), 풀업부(PU), Q 노드 제어부(CQ), QB 노드 제어부(CQB), 및 Q 노드 유지부(KQ)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ncludes a pull-down unit PD, a pull-up unit PU, a Q node control unit CQ, a QB node control unit CQB, and a Q node holding unit. (KQ).

풀다운부(PD)는 Q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오프 전압으로 출력하고, 풀업부(PU)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온 전압으로 출력한다. 풀다운부(PD) 및 풀업부(PU)에 의해 결정되는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인가된다. The pull-down unit P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as a turn-off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pull-up unit PU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 Vgout(n)) is output as a turn-on voltage.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determined by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is applied to the n-th pixel line PG(n).

Q 노드 제어부(CQ)는 Q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스타트 신호(Vst)를 이용하여 Q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 제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1)에는 스타트 신호(Vst)가 입력되고, 제2 게이트 신호 생회(SGD2)부터는 이전 출력 신호를 스타트 신호로 이용한다. n이 2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제(n-1)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1))의 제(n-1) 출력 신호(Vgout(n-1))를 스타트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The Q node controller CQ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 node using the start signal Vst. A start signal Vst is input to the first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1 , and a previous output signal is used as a start signal from the second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2 . Whe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the (n-1)th output signal Vgout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 is the (n-1)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1). (n-1)) can be used as a start signal.

QB 노드 제어부(CQB)는 QB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Q 노드 제어부(CQ)에 의해 인가된 Q 노드 전압에 따라 QB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B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B node according to the Q node voltage applied by the Q node controller CQ.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주파수를 변동하며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이 아닌 정지화면이나 그림, 텍스트를 표시하는 구간에서는 약 1Hz의 저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저주파수 구동시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지만 반대로 화면의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에 약간의 휘도 변동이 깜박거림 등으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출력 신호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포함된 Q 노드 유지부(KQ)는,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신호가 로우 전압(VGL)일 때, 풀다운부(PD)를 턴-온시키기 위한 전압을 Q 노드에 유지시켜준다.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riven while changing a frequenc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it may be driven at a low frequency of about 1 Hz in a section displaying a still image, picture, or text rather than playing a video.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when driving at a low frequency, on the contrary, since a slight change in luminance may be perceived as flickering due to slow motion of the screen, the output signal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ust be kept constant. The Q node holding unit KQ included in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urns on the pull-down unit PD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is the low voltage VGL. It maintains the voltage to make it happen at the Q node.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모두 포함한다.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포함된 픽셀 구동 회로에 제공되며, 특히 n형 트랜지스터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both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provided to a pixel driving circuit included in the n-th pixel line PG(n), in particular, a turn of the n-th transistor -On and turn-off can be controlled, but not limited thereto.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구체적인 회로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서 이어서 설명한다.A specific circuit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7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타트 신호(Vst)는 1 수평 기간(1H)의 하이 레벨 펄스로 구현된다.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는 각각 2 수평 기간(2H)의 주기를 갖는다. 제1 클럭 신호(GCLK1) 및 제2 클럭 신호(GCLK2) 각각은 1 수평 기간(1H)보다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로우 레벨 펄스와 1 수평 기간(1H)보다 긴 기간에 해당하는 하이 레벨 펄스를 갖는다.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와 제2 클럭 신호(GCLK2) 각각은 주기의 절반보다 짧은 로우 레벨 펄스와 주기의 절반보다 긴 하이 레벨 펄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스타트 신호(Vst)의 로우 레벨 전압이 하이 레벨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와 중첩되면 출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의 길이가 하이 레벨 펄스의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제2 클럭 신호(GCLK2)도 제1 클럭 신호(GCLK1)와 마찬가지로 로우 레벨 펄스의 길이가 하이 레벨 펄스의 길이보다 짧다.6 and 7 , the start signal Vst is implemented as a high-level pulse of one horizontal period (1H).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2H.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low-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shorter than one horizontal period 1H and a high-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longer than one horizontal period 1H. .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has a low level pulse shorter than half a period and a high level pulse longer than half a period. For example, when a point in time when the low-level voltage of the start signal Vst is converted to the high-level voltage overlaps with the low-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 output signal may not be gener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length of the low 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 level pulse. In the second clock signal GCLK2 , lik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length of the low-level puls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level pulse.

제3 클럭 신호(OCLK1) 및 제4 클럭 신호(OCLK2)는 각각 2 수평 기간(2H)의 주기를 갖는다. 제3 클럭 신호(OCLK1) 및 제4 클럭 신호(OCLK2) 각각은 1 수평 기간(1H)의 로우 레벨 펄스와 하이 레벨 펄스를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클럭 신호(OCLK1)와 제4 클럭 신호(OCLK2)는 제1 클럭 신호(GCLK1)와 달리 출력 신호쪽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이므로 출력 신호의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3 클럭 신호(OCLK1)와 제4 클럭 신호(OCLK2)의 로우 레벨 펄스와 하이 레벨 펄스는 동일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each have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2H. Each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has a low-level pulse and a high-level pulse of one horizontal period (1H). Referring to FIG. 6 ,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are connected to the output signal, unlik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and thus do not affect the generation of the output signal. Accordingly, the low-level pulses and the high-level pulses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may have the same length.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인가되는 스타트 신호(Vst)의 하이 레벨 펄스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와 중첩된다. The high-level pulse of the start signal Vst applied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overlaps the low-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첫째로, 스타트 신호(Vst)가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입력되기 전에 시작하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부터 설명한다.First, the first cycle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at starts before the start signal Vst is input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will be described.

Q 노드 제어부(CQ)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는 직렬로 연결되고, 모두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어 스타트 신호(Vst)를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받은 스타트 신호(Vst)를 Q 노드에 제공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하고, 스타트 신호(Vst) 또한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따라서, Q 노드 제어부(CQ)는 로우 레벨의 전압을 Q 노드에 제공한다. The Q node controller CQ is implemented with a first transistor T1 and a second transistor T2 .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transistor T2 are connected in series, and both are implemented as p-type transistors.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to the second transistor T2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trolled by the low voltage VGL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Q node. The second transistor T2 is always turned on by the low voltage VGL.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and the start signal Vst also has a low level voltage. Accordingly, the Q node controller CQ provides a low level voltage to the Q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에서 Q 노드에 제공된 스타트 신호(Vst)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고, 로우 레벨의 전압은 풀다운부(PD)에 제공된다. 풀다운부(PD)는 제7 트랜지스터(T7)로 구현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로우 전압(VGL)을 출력 한다.In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start signal Vst provided to the Q node is a low-level voltage, and the low-level voltage is provided to the pull-down unit PD. The pull-down unit PD is implemented as a seventh transistor T7.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controlled by the Q node to output the low voltage VGL.

그리고,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한다. QB 노드 제어부(CQB)는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로 구현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과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모두 Q 노드에 연결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므로, 동일 구간에서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는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된다. 턴-온된 제4 트랜지스터(T4)에 의해 하이 전압(VGH)은 QB 노드에 제공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를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함으로써 회로의 연결이 간소화되므로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폭(W)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n형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을 산화물로 구현함으로써 제3 트랜지스터(T3)의 문턱전압 마진을 확보하고, 제3 트랜지스터(T3)에 제공되는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nd, 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ler (CQB).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implemented with a third transistor T3 and a fourth transistor T4 .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both connected to the Q node. Since the third transistor T3 is implemented as an n-type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turned on or turned on in the same period. The -off state is opposit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ff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he high voltage VGH is provided to the QB node by the turned-on fourth transistor T4 . Since circuit connection is simplified by implementing the third transistor T3 as an n-type transistor, the width W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may be reduced.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active layer of the n-type transistor as an oxide, the threshold voltage margin of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secured and the voltage provid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may be normally transmitted.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동안 QB 노드에 제공된 하이 전압(VGH)은 풀업부(PU)에 제공된다. 풀업부(PU)는 제8 트랜지스터(T8) 및 제3 커패시터(Cqb)로 구현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3 커패시터(Cqb)는 출력 노드(VO) 및 QB 노드에 연결되고, 출력 노드(VO)의 로우 전압(VGL)과 QB 노드의 하이 전압(VGH)으로 충전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턴-오프된다. The high voltage VGH provided to the QB node during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provided to the pull-up unit PU. The pull-up unit PU is implemented with the eighth transistor T8 and the third capacitor Cqb. The eighth transistor T8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third capacitor Cqb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VO and the QB node, and is charged with the low voltage VGL of the output node VO and the high voltage VGH of the QB node.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ff by being controlled by the QB node.

그리고, Q 노드 및 제4 클럭 신호(OCLK2)는 Q 노드 유지부(KQ)를 제어한다. Q 노드 유지부(KQ)는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2 커패시터(Cq2)로 구현된다.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는 모두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4 클럭 신호(OCLK2)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고, 제6 트랜지스터(T6)는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제4 클럭 신호(OCLK2)의 로우 레벨의 전압을 A 노드에 제공한다. 제2 커패시터(Cq2)는 A 노드와 Q 노드에 연결되어, A 노드 및 Q 노드 각각에 제공된 전압으로 충전된다.In addition, the Q node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control the Q node holding unit KQ. The Q node holding part KQ is implemented with a fifth transistor T5 , a sixth transistor T6 , and a second capacitor Cq2 . Both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ixth transistor T6 are implemented as p-type transistors. The fifth transistor T5 is turned on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 and the sixth transistor T6 is turned on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o turn on the fourth clock signal A low level voltage of (OCLK2) is provided to node A. The second capacitor Cq2 is connected to the A node and the Q node, and is charged with a voltage provided to the A node and the Q node, respectively.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 동안 제1 클럭 신호(GCLK1)는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시킨다. Subsequently, 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a low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to turn off the first transistor T1 .

제1 트랜지스터(T1)와 Q 노드 사이에 제2 트랜지스터(T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어 Q 노드는 플로팅되지만 Q 노드 유지부(KQ)에 의해 Q 노드의 전압은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n 출력 신호(Vgout(n))는 로우 전압(VGL)으로 유지된다. A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Q node, and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ff so that the Q node floats, but the Q node is held by the Q node holding unit KQ. The voltage may be maintained at a low level voltage. The seventh transistor T7 maintains a turned-on state and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is maintained at the low voltage VGL.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기간(1)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로우 전압(VGL)을 유지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가 저주파수 구동시 Q 노드 유지부(KQ)를 통해 Q 노드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는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maintains the low voltage VGL 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riven at a low frequency, the voltage of the Q node is constantly maintained through the Q node holding unit KQ, so that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can be stably driven. .

둘째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를 설명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는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하고, 스타트 신호(Vst)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가 끝나기 전에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어 하이 레벨의 전압인 상태이다.Secon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a low-level voltage, and the start signal Vst changes from a low-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before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ends. It is a state in which it is converted to a high-level voltage and is a high-level voltage.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어 스타트 신호(Vst)를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받은 스타트 신호(Vst)를 Q 노드에 제공한다. 즉, Q 노드 제어부(CQ)는 하이 레벨의 전압을 Q 노드에 제공한다.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to the second transistor T2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trolled by the low voltage VGL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Q node. That is, the Q node controller CQ provides a high level voltage to the Q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에서 Q 노드에 제공된 스타트 신호(Vst)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고, 하이 레벨의 전압은 풀다운부(PD)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7 트랜지스터(T7)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턴-오프된다. In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start signal Vst provided to the Q node is a high-level voltage, and the high-level voltage is provided to the pull-down unit PD. Accordingly,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ff by being controlled by the Q node.

그리고,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하므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B 노드에 로우 전압(VGL)을 제공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QB 노드에 제공되던 하이 전압(VGH)을 차단한다. And, since 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ler CQB,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by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o provide the low voltage VGL to the B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ff by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o cut off the high voltage VGH provided to the QB node.

그리고,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4 클럭 신호(OCLK2)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되어 B 노드와 QB 노드를 차단하고, 제6 트랜지스터(T6) 또한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된다. In addition, the fifth transistor T5 is turned off by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to cut off the B node and the QB node, and the sixth transistor T6 also has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urned off by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동안 풀업부(PU)의 제3 커패시터(Cqb)에 의해 QB 노드는 하이 전압(VGH)을 유지하고 제8 트랜지스터(T8)의 턴-오프 상태를 유지시킨다.During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e QB node maintains the high voltage VGH by the third capacitor Cqb of the pull-up unit PU and turns off the turn-off state of the eighth transistor T8. keep it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 동안 제1 클럭 신호(GCLK1)는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고, 스타트 신호(Vst)는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 하이 레벨 전압의 제1 클럭 신호(GCLK1)는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시킨다. 하지만, Q 노드 유지부(KQ)에 의해 Q 노드는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한다.Subsequent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a low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and the start signal Vst is changed from a high level voltage to a low level voltage. is converted to a voltag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of the high level voltage turns off the first transistor T1. However, the Q node maintains a high level voltage by the Q node holding unit KQ.

QB 노드 제어부(CQB)의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로우 전압(VGL)을 B 노드에 인가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된다. The third transistor T3 of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turned on by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to apply the low voltage VGL to the B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It is turned off by the level voltage.

Q 노드 유지부(KQ)의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4 클럭 신호(OCLK2)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B 노드의 로우 전압(VGL)을 QB 노드에 전달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오프된다. 그리고, Q 노드의 전압은 제2 커패시터(Cq2)에 의해 유지된다.The fifth transistor T5 of the Q node holding unit KQ is turned on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to transfer the low voltage VGL of the B node to the QB node. The sixth transistor T6 is turned off by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voltage of the Q node is maintained by the second capacitor Cq2.

한편, QB 노드에 전달된 로우 전압(VGL)은 풀업부(PU)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의 로우 전압(VGL)에 의해 턴-온되고, 제3 클럭 신호(OCLK1)의 하이 레벨의 전압을 제n 출력 신호(Vgout(n))로 출력한다.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3 클럭 신호(OCLK1)가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하는 1 수평 기간(1H) 동안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한다. Meanwhile, the low voltage VGL transferred to the QB node controls the pull-up unit PU. Specifically,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n by the low voltage VGL of the QB node, and outputs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s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do.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maintains a high level voltage during one horizontal period 1H during which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maintains a high level voltage.

그리고,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기간(2)이 끝나기 전에 제3 클럭 신호(OCLK1)은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고, 제4 클럭 신호(OCLK2)은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4 클럭 신호(OCLK2)에 의해 제5 트랜지스터(T5)는 턴-오프되지만, Q 노드의 전압에는 영향이 없다. 그리고, 제3 클럭 신호(O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은 턴-온된 제8 트랜지스터(T8)를 통해 출력 노드(VO)에 전달되어, 출력 노드(VO)의 전압 변화는 제3 커패시터(Cqb)의 커플링 효과로 인해 QB 노드에 영향을 미친다. QB 노드는 제3 클럭 신호(OCLK1)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전압 차이만큼 전압이 낮아지면서 동시에 출력 노드(VO) 전압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감소시킨다. In addition, before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ends,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is converted from a high level voltage to a low level voltage,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is a low level voltage. voltage is converted to a high level voltage. In this case, although the fifth transistor T5 is turned off by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the voltage of the Q node is not affected. And,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node VO through the turned-on eighth transistor T8, and the voltage change at the output node VO is applied to the third capacitor Cqb. affects the QB node due to the coupling effect of The QB node decreases the voltage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the falling time of the output node VO voltage.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기간(2)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1 수평 기간(1H)에 해당하는 하이 전압(VGH)을 출력한다. 이 경우,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제3 커패시터(Cqb)를 풀업부(PU)에 배치시킴으로써 제n 출력 신호(Vgou(n))의 폴링 타임을 줄이고 출력 신호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high corresponding to one horizontal period 1H. Output the voltage (VGH). In this case,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reduces the polling time of the n-th output signal Vgou(n) by disposing the third capacitor Cqb in the pull-up unit PU,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도 8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8은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구성하는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를 예로서 설명한다. 8 is a circuit diagram of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llustrates an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constituting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s an example.

이하에서 설명될 제3 실시예에서 앞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는 도 2의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블록도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Als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block diagram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of FIG. 2 .

도 8을 참조하면,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풀다운부(PD), 풀업부(PU), Q 노드 제어부(CQ), 및 QB 노드 제어부(CQ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ncludes a pull-down unit PD, a pull-up unit PU, a Q node control unit CQ, and a QB node control unit CQB.

풀다운부(PD)는 Q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오프 전압으로 출력하고, 풀업부(PU)는 QB 노드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n 출력 신호(Vgout(n))를 턴-온 전압으로 출력한다. 풀다운부(PD)와 풀업부(PU)는 직렬 연결되고 출력 노드(VO)를 공유한다. 풀다운부(PD) 및 풀업부(PU)에 의해 결정되는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인가된다. The pull-down unit P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as a turn-off voltage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pull-up unit PU responds to the voltage of the QB node and outputs the n-th output signal ( Vgout(n)) is output as a turn-on voltage.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are connected in series and share the output node VO.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determined by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is applied to the n-th pixel line PG(n).

Q 노드 제어부(CQ)는 Q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스타트 신호(Vst)를 이용하여 Q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 n이 3 이상의 자연수인 경우,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는 제(n-2)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2))의 제(n-2) 출력 신호(Vgout(n-2))를 스타트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The Q node controller CQ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 node using the start signal Vst. Whe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3, the (n-2)th output signal Vgout(n-2) of the (n-2)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2) can be used as a start signal.

QB 노드 제어부(CQB)는 QB 노드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Q 노드 제어부(CQ)에 의해 인가된 Q 노드 전압에 따라 QB 노드에 턴-온 전압 또는 턴-오프 전압을 인가한다.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a compone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QB node, and applies a turn-on voltage or a turn-off voltage to the QB node according to the Q node voltage applied by the Q node controller CQ.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모두 포함한다.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제n 출력 신호(Vgout(n))는 제n 픽셀 라인(PG(n))에 포함된 픽셀 구동 회로에 제공된다. 특히, 픽셀 구동 회로가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는 경우, 제n 출력 신호(Vgout(n))는 n형 트랜지스터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n-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both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provided to a pixel driving circuit included in the n-th pixel line PG(n). In particular, when the pixel driving circuit is implemented with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may control turn-on and turn-off of the n-type transis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구체적인 회로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서 이어서 설명한다.A specific circuit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에 입력되는 게이트 신호들의 파형도이다.9 is a waveform diagram of gate signals input to a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타트 신호(Vst)는 2 수평 기간(2H)의 하이 레벨 펄스를 갖고, 제1 클럭 신호(GCLK1)는 2 수평 기간(2H)의 주기를 갖는다. 제1 클럭 신호(GCLK1)는 1 수평 기간(1H)보다 짧은 기간에 해당하는 하이 레벨 펄스와 1 수평 기간(1H)보다 긴 기간에 해당하는 로우 레벨 펄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스타트 신호(Vst)의 로우 레벨 전압이 하이 레벨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와 중첩되면 출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의 길이가 로우 레벨 펄스의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다.8 and 9 , the start signal Vst has a high-level pulse of 2 horizontal periods 2H, and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has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2H.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has a high-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shorter than one horizontal period 1H and a low-level pulse corresponding to a period longer than one horizontal period 1H. For example, when a point in time when the low-level voltage of the start signal Vst is converted to the high-level voltage overlaps with the high-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 output signal may not be gener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 length of the high 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 level pulse.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인가되는 스타트 신호(Vst)의 하이 레벨 펄스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 및 로우 레벨 펄스와 중첩된다.The high-level pulse of the start signal Vst applied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overlaps the high-level pulse and the low-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첫째로, 스타트 신호(Vst)가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에 입력되기 전에 시작하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부터 설명한다.First, the first cycle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at starts before the start signal Vst is input to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will be described.

Q 노드 제어부(CQ)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T1)는 n형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어 스타트 신호(Vst)를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받은 스타트 신호(Vst)를 Q 노드에 제공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로우 전압(VGL)에 의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Q 노드와 제1 트랜지스터(T1) 사이에 연결되어 Q 노드 전압의 버퍼 역할을 한다. The Q node controller CQ is implemented with a first transistor T1 and a second transistor T2 .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transistor T2 are connected in series, the first transistor T1 is implemented as an n-type transistor, and the second transistor T2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first transistor T1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to the second transistor T2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trolled by the low voltage VGL to provide the start signal Vst received from the first transistor T1 to the Q node. The second transistor T2 is always turned on by the low voltage VGL.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between the Q node and the first transistor T1 to serve as a buffer for the Q node voltage.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는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하고, 스타트 신호(Vst) 또한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가 로우 레벨의 전압인 동안 스타트 신호(Vst)는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 제1 클럭 신호(GCLK1)가 로우 레벨의 전압인 동안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오프 상태이다.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and the start signal Vst also has a low level voltage. Subsequently, whil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a low-level voltage, the start signal Vst is converted to a high-level voltage. Whil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a low-level voltage, the first transistor T1 is in a turned-off state.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주기(1) 중 제1 클럭 신호(GCLK1)가 하이 레벨의 전압일 때, 스타트 신호(Vst)도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한다.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when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has a high level voltage, the start signal Vst also maintains a high level voltage.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므로, Q 노드 제어부(CQ)는 스타트 신호(Vst)의 하이 레벨의 전압을 Q 노드에 제공한다.Since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n by the high-level pulse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Q node controller CQ provides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start signal Vst to the Q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 기간에서 Q 노드에 제공된 스타트 신호(Vst)는 하이 레벨의 전압이고, 하이 레벨의 전압은 풀다운부(PD)에 제공된다. 풀다운부(PD)는 로우 전압(VGL)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된 제7 트랜지스터(T7) 및 제1 커패시터(Cq1)로 구현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므로,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오프된다.In the high-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start signal Vst provided to the Q node is a high-level voltage, and the high-level voltage is provided to the pull-down unit PD. The pull-down unit PD is implemented with the seventh transistor T7 and the first capacitor Cq1 connected to the line to which the low voltage VGL is provided. Since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ff by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한다. QB 노드 제어부(CQB)는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로 구현된다.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는 QB 노드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모두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Q 노드와 연결되고 제1 전극은 로우 전압(VGL)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되며 제2 전극은 QB 노드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 및 제1 전극은 하이 전압(VGH)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시킴으로써 다이오드 컨택되고 제2 전극은 QB 노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제4 트랜지스터(T4)는 하이 전압(VGH)에 의해 제어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하이 전압(VGH)에 의해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QB 노드의 상태를 기본적으로 하이 전압(VGH)으로 유지시킨다. 이 경우,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로우 전압(VGL)을 QB 노드에 제공한다.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 unit (CQB).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implemented with a third transistor T3 and a fourth transistor T4 .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QB node, and both are implemented as n-type transistors.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is connected to the Q node, the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wiring to which the low voltage VGL is provided,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B node. The gat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are connected to a wiring to which the high voltage VGH is provided, thereby making diode contact,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QB node. Accordingly, the third transistor T3 is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is controlled by the high voltage VGH. The fourth transistor T4 basically maintains the state of the QB node at the high voltage VGH by always maintaining the turned-on state by the high voltage VGH. In this case,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by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Q node to provide the low voltage VGL to the QB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하이 레벨 펄스 기간동안 QB 노드에 제공된 로우 전압(VGL)은 풀업부(PU)에 제공된다. 풀업부(PU)는 하이 전압(VGH)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된 제8 트랜지스터(T8)로 구현된다. 그리고, 제8 트랜지스터(T8)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에 제공된 로우 전압(VGL)에 의해 턴-온되어, 제n 출력 신호(Vgout(n))로 하이 전압(VGH)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첫번째 기간(1) 중 제1 클럭 신호(GCLK1)가 로우 레벨 펄스 기간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헝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로우 전압(VGL)이고, 제1 클럭 신호(GCLK1)가 하이 레벨 펄스 기간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하이 전압(VGH)이다.The low voltage VGL provided to the QB node during the high-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provided to the pull-up unit PU. The pull-up unit PU is implemented as an eighth transistor T8 connected to a line to which the high voltage VGH is provided. And, the eighth transistor T8 is implemented as a p-type transistor.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n by the low voltage VGL provided to the QB node to provide the high voltage VGH as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Accordingly, during the first period (1)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on circuit SGD(n) during the low-level pulse period. is the low voltage VGL, and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s the high voltage VGH during the high-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둘째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를 설명한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는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스타트 신호(Vst)는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시작한다. 스타트 신호(Vst)는 제1 클럭 신호(GCLK1)가 로우 레벨의 전압인 동안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된다.Secon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starts with a low-level voltage, and the start signal Vst starts with a high-level voltage. The start signal Vst is converted from a high level voltage to a low level voltage while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a low level voltag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에서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오프되고 Q 노드는 하이 레벨의 전압을 유지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와 Q 노드 사이에 제2 트랜지스터(T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되어 Q 노드는 플로팅되지만 제2 트랜지스터(T2)에 의해 Q 노드의 전압은 크게 흔들리지는 않는다. 하이 레벨의 전압은 제7 트랜지스터(T7)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시킨다. In the low-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ff and the Q node maintains a high-level voltage. A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Q node, and the first transistor T1 is turned off so that the Q node is floated, but the voltage of the Q node is caused by the second transistor T2 does not vibrate much. The high level voltage maintains the seventh transistor T7 in a turned-off state.

그리고, Q 노드는 QB 노드 제어부(CQB)를 제어하므로, 제3 트랜지스터(T3)는 Q 노드의 하이 레벨의 전압에 의해 턴-온 상태를 유지하며 QB 노드에 로우 전압(VGL)을 제공한다. And, since the Q node controls the QB node controller CQB, the third transistor T3 maintains a turn-on state by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provides the low voltage VGL to the QB node.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 펄스 기간동안 QB 노드에 제공된 로우 전압(VGL)은 풀업부(PU)에 제공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QB 노드에 의해 턴-온되어 하이 전압(VGH)을 출력 노드(VO)로 출력 한다. 출력 노드(VO)는 풀다운부(PD)와 풀업부(PU)가 직렬연결되어 공유하는 노드로, 출력 신호(Vgout(n))가 제공되는 노드이다.The low voltage VGL provided to the QB node during the low level pulse period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provided to the pull-up unit PU. 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n by the QB node to output the high voltage VGH to the output node VO. The output node VO is a node shared by serially connected to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and is a node to which the output signal Vgout(n) is provided.

이어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주기(2) 동안 제1 클럭 신호(GCLK1)는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고, 스타트 신호(Vst)는 로우 레벨의 전압이다. 제1 클럭 신호(GCLK1)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서 하이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스타트 신호(Vst)이 하이 레벨의 전압에서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전환되는 시점 이후이다. Subsequent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a low level voltage to a high level voltage, and the start signal Vst is a low level voltage. The time when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is converted from the low level voltage to the high level voltage is after the start signal Vst is converted from the high level voltage to the low level voltage.

하이 레벨 전압의 제1 클럭 신호(GCLK1)는 제1 트랜지스터(T1)를 턴-온시킨다. Q 노드 제어부(CQ)는 스타트 신호(Vst)의 로우 레벨의 전압을 Q 노드로 전달한다. Q 노드는 풀다운부(PD)를 제어하므로, 제7 트랜지스터(T7)는 Q 노드에 의해 로우 전압(VGL)을 출력한다. 제1 커패시터(Cq1)는 Q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과 제n 출력 신호(Vgout(n))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VO)에 연결된 제2 전극으로 구현된다. 제1 커패시터(Cq1)는 Q 노드의 전압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부트스트래핑시켜 제n 출력 신호(Vgout(n))가 로우 전압(VGL)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제n 출력 신호(Vgout(n))의 로우 전압(VGL) 출력 이후 Q 노드를 로우 레벨의 전압으로 유지시킨다.The first clock signal GCLK1 of the high level voltage turns on the first transistor T1. The Q node controller CQ transfers the low-level voltage of the start signal Vst to the Q node. Since the Q node controls the pull-down unit PD, the seventh transistor T7 outputs the low voltage VGL by the Q node. The first capacitor Cq1 is implemented a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VO from which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is output. The first capacitor Cq1 bootstraps the voltage of the Q node in a lowering direction so that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can maintain the low voltage VGL, and the n-th output signal Vgout(n) ), the Q node is maintained at a low level voltage after the low voltage VGL is output.

그리고, Q 노드의 로우 레벨의 전압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T3)는 턴-오프되고, QB 노드는 제4 트랜지스터(T4)에 의해 하이 전압(VGH)으로 전환된다.In addition,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ff by the low level voltage of the Q node, and the QB node is converted to the high voltage VGH by the fourth transistor T4 .

따라서, 제1 클럭 신호(GCLK1)의 두번째 기간(2) 동안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의 출력 신호(Vgout(n))는 하이 전압(VGH)을 유지하다 로우 전압(VGL)으로 전환된다. 하이 전압(VGH)의 출력 신호(Vgout(n))는 2 수평 기간(2H) 만큼 유지되고, 제n 픽셀 라인에 제공되어 n타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타입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p타입 트랜지스터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during the second period 2 of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maintains the high voltage VGH and the low voltage VGL ) is converted to The output signal Vgout(n) of the high voltage VGH is maintained for two horizontal periods 2H and is provided to the n-th pixel line to turn on the n-type transis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type transistor to turn off the p-type transistor.

제n 게이트 신호 생성 회로(SGD(n))는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제1 트랜지스터(T1),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를 포함하고, 제4 트랜지스터(T4)를 다이오드 컨택시킴으로써 회로의 연결이 간소화되므로 게이트 구동 회로(GD)의 폭(W)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n형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을 산화물로 구현함으로써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3 트랜지스터(T3)의 의 누설 전류를 줄이고 문턱전압 마진을 확보하여 각각의 트랜지스터에 제공되는 전압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n-th gate signal generating circuit SGD(n)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1 , a third transistor T3 , and a fourth transistor T4 implemented as an n-type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 Since the circuit connection is simplified by making the diode contact, the width W of the gate driving circuit GD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active layer of the n-type transistor as an oxide, the leakage current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third transistor T3 is reduced and the threshold voltage margin is secured, so that the voltage provided to each transistor can be normally transmitted. .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The gate driving circuit and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회로(GD)에 있어서, 게이트 구동회로(GD)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노드(VO)로 로우 전압(VGL)을 전달하는 풀다운부(PD),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노드(VO)로 제3 클럭 신호(OCLK1)의 하이 레벨의 전압을 전달하는 풀업부(PU), 제1 클럭 신호(GCLK1)에 의해 제어되고 스타트 신호(Vst)를 Q 노드에 전달하는 Q 노드 제어부(CQ),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QB 노드에 하이 전압을 전달하는 QB 노드 제어부(CQB), 및 Q 노드 및 제4 클럭 신호(OCLK2)에 의해 제어되고 Q 노드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Cq2)를 포함하는 Q 노드 유지부(KQ)를 포함한다. 그리고, QB 노드 제어부(CQB)는 Q 노드에 연결된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저주파 구동시에도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s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includes a pull-down unit PD that transfers the low voltage VGL to the output node VO; The pull-up unit PU, which is controlled by the QB node and transfers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to the output node VO,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generates the start signal Vst. The Q node controller CQ transmitted to the Q node, the QB node controller CQB controlled by the Q node to transfer a high voltage to the QB node, and the Q node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a Q node holding part KQ including a second capacitor Cq2 connected to . In addition,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connected including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Q no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output even during low-frequency driving.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풀다운부(PD)와 풀업부(PU)는 출력 노드(VO)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고, 풀업부(PU)는 제3 커패시터(Cqb)를 포함하며, 제3 커패시터(Cqb)는 출력 노드(VO)와 QB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ull-down unit PD and the pull-up unit PU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the output node VO, and the pull-up unit PU includes a third capacitor Cqb, and the third The capacitor Cqb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VO and the QB node.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타트 신호(Vst)는 1 수평 기간(1H)을 주기로 하이 레벨의 전압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art signal Vst may have a high level voltage with a period of one horizontal period (1H).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3 클럭 신호(OCLK1) 및 제4 클럭 신호(OCLK2)는 2 수평 기간(2H)을 주기로 180도 위상 차이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and the fourth clock signal OCLK2 may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2H.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풀업부(PU)를 통해 출력 노드(VO)에 전달되는 제3 클럭 신호(OCLK1)의 하이 레벨의 전압은 상기 제3 클럭 신호(OCLK1)와 동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igh-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transmitted to the output node VO through the pull-up unit PU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third clock signal OCLK1.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클럭 신호(GCLK1)는 2 수평 기간(2H)을 주기로 로우 레벨 전압의 길이가 하이 레벨 전압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 the length of the low level voltage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 level voltage in two horizontal periods 2H.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Q 노드 제어부(CQ)는 로우 전압(VGL)에 연결되어 항상 턴-온 상태인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트랜지스터는 Q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Q node controller CQ may include a transistor connected to the low voltage VGL and always in a turned-on state, and the transistor may be connected to the Q no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복수의 픽셀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DA) 및 복수의 픽셀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GD)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NDA)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픽셀 라인은 각각 복수의 픽셀(PX)을 포함하고, 복수의 픽셀(PX)은 각각 픽셀 구동 회로와 발광 소자(EL)를 포함하고, 픽셀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각각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픽셀 구동 회로의 n형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고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을 줄일 수 있다.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area D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a gate providing a gate signal to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The display panel 110 is divided into a non-display area NDA including the driving circuit GD.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X,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PX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EL, and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GD are Each is implemented with a p-type transistor and an n-type transistor,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GD provides a gate signal to the n-type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ccordingly, a stable output may be provided and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may be reduced.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풀다운부(PD) 및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풀업부(PU)를 포함하고, 풀다운부(PD) 및 풀업부(PU)는 직렬 연결되어 로우 전압(VGL) 또는 하이 전압(VGH)을 픽셀 구동 회로의 n혀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pull-down unit PD controlled by a Q node and a pull-up unit PU controlled by a QB node, and a pull-down unit PD and a pull-up unit (PU)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provide a low voltage VGL or a high voltage VGH as a gate signal to the n-ton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또한, 풀다운부(PD)는 로우 전압(VGL)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되고, 풀업부(PU)는 하이 전압(VGH)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풀다운부(PD)는 Q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풀업부(PU)와 풀다운부(PD)가 공유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패시터(Cq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 회로(GD)는 제1 클럭 신호(GCLK1) 및 로우 전압(VGL)에 의해 제어되어 스타트 신호(Vst)를 Q 노드에 전달하는 Q 노드 제어부(CQ)를 포함하고, Q 노드 제어부(CQ)는 서로 다른 타입의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회로(GD)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QB 노드 제어부(CQB)를 포함하고, 두 개의 트랜지스터는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Also, the pull-down unit PD may be connected to a line provided with the low voltage VGL, and the pull-up unit PU may be connected to a line provided with the high voltage VGH. Also, the pull-down unit PD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Cq1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node shared by the pull-up unit PU and the pull-down unit PD. . In addi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Q node controller CQ that is controlled by the first clock signal GCLK1 and the low voltage VGL to transfer the start signal Vst to the Q node, and the Q node controller (CQ) may include two transistors of different types. Also, the gate driving circuit GD includes a QB node controller CQB implemented with two transistors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the two transistors may be n-type transistors.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QB 노드 제어부(CQB)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로우 전압(VGL)이 제공되는 배선과 연결된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전극과 일전극이 모두 하이 전압(VGH)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트랜지스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QB 노드를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QB node controller CQB is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a transistor connected to a wiring to which the low voltage VGL is provided, and a wiring to which both the gate electrode and one electrode are provided with the high voltage VGH. It may include a transistor connected to the. Also, the two transistors can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share a QB nod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전계발광 표시장치
110 : 표시패널
120 : 데이터 구동 회로
130 : 컨트롤러
100: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ing circuit
130: controller

Claims (15)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출력 노드로 로우 전압을 전달하는 풀다운부;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출력 노드로 제3 클럭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을 전달하는 풀업부;
제1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스타트 신호를 상기 Q 노드에 전달하는 Q 노드 제어부;
상기 Q 노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QB 노드에 하이 전압을 전달하는 QB 노드 제어부; 및
상기 Q 노드 및 제4 클럭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Q 노드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Q 노드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QB 노드 제어부는 상기 Q 노드에 연결된 n형 트랜지스터 및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a pull-down unit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transferring a low voltage to the output node;
a pull-up unit controlled by the QB node and configured to transmit a high-level voltage of a third clock signal to the output node;
a Q node control unit controlled by a first clock signal and transmitting a start signal to the Q node;
a QB node controller controlled by the Q node to transfer a high voltage to the QB node; and
a Q node holding unit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a fourth clock signal and including a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Q node;
The QB node control unit includes an n-type transistor and a p-type transistor connected to the Q node, the gate driving circu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부와 상기 풀업부는 상기 출력 노드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풀업부는 제3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커패시터는 상기 출력 노드와 상기 QB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down unit and the pull-up unit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output node,
The pull-up unit includes a third capacitor,
and the third capacitor is coupled to the output node and the QB n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는 1 수평 기간을 주기로 하이 레벨의 전압을 갖는,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tart signal has a high level voltage with a period of one horizontal peri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럭 신호 및 상기 제4 클럭 신호는 2 수평 기간을 주기로 180도 위상 차이가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rd clock signal and the fourth clock signal have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부를 통해 상기 출력 노드에 전달되는 상기 제3 클럭 신호의 하이 레벨의 전압은 상기 제3 클럭 신호와 동기된,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high level voltage of the third clock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put node through the pull-up unit is synchronized with the third clock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신호는 2 수평 기간을 주기로 로우 레벨 전압의 길이가 하이 레벨 전압의 길이보다 짧은,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ength of the low level voltag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igh level voltage in the first clock signal with a period of 2 horizontal perio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Q 노드 제어부는 로우 전압에 연결되어 항상 턴-온 상태인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Q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 회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Q node controller includes a transistor connected to a low voltage to be always in a turned-on state, wherein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Q node.
복수의 픽셀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복수의 픽셀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 라인은 각각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은 각각 픽셀 구동 회로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픽셀 구동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각 p형 트랜지스터와 n형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픽셀 구동 회로의 n형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a display panel divided into a non-display area including a gate driving circuit providing a gate signal to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lines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The pixel driving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are implemented with a p-type transistor and an n-type transistor, respectively,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provides a gate signal to the n-type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Q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풀다운부 및 QB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풀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부 및 상기 풀업부는 직렬 연결되어 로우 전압 또는 하이 전압을 상기 픽셀 구동 회로의 n형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로 제공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pull-down unit controlled by a Q node and a pull-up unit controlled by a QB node,
The pull-down unit and the pull-up unit are connected in series to provide a low voltage or a high voltage to the n-type transistor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as a gate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부는 로우 전압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풀업부는 하이 전압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된, 전계발광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ll-down unit is connected to a line to which a low voltage is provided, and the pull-up unit is connected to a line to which a high voltage is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부는 상기 Q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풀업부와 상기 풀다운부가 공유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ull-down unit includes a first capacito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Q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node shared by the pull-up unit and the pull-dow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1 클럭 신호 및 로우 전압에 의해 제어되어 스타트 신호를 상기 Q 노드에 전달하는 Q 노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Q 노드 제어부는 서로 다른 타입의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Q node controller that is controlled by a first clock signal and a low voltage to transmit a start signal to the Q node, wherein the Q node controller includes two transistors of different types. display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Q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QB 노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QB 노드 제어부는 두 개의 n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QB node controller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the QB node controller includes two n-type transisto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Q 노드에 의해 제어되고 로우 전압이 제공되는 배선과 연결된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전극과 일전극이 모두 하이 전압이 제공되는 배선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wo transistors are
a transistor controlled by the Q node and connected to a wiring to which a low voltage is provided;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transistor in which both a gate electrode and one electrode are connected to a wiring to which a high voltage is provid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QB 노드를 공유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two tran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share the QB node.
KR1020210078582A 2020-11-27 2021-06-17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ending KR20220074700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59,504 US11450257B2 (en) 2020-11-27 2021-08-27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111027786.2A CN114627798B (en) 2020-11-27 2021-09-02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510027208.0A CN119559892A (en) 2020-11-27 2021-09-02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7/893,908 US11610530B2 (en) 2020-11-27 2022-08-23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580 2020-11-27
KR20200162580 2020-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700A true KR20220074700A (en) 2022-06-03

Family

ID=8198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82A Pending KR20220074700A (en) 2020-11-27 2021-06-17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47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33928B1 (en) Gate driver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4627798B (en)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18982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4694577A (en) Gate drive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ing gate drive circuit
US20110273434A1 (en) Sca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20220090924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15705816B (en) Pix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741403B1 (e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10045171A (en) Scan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can Driver
KR102420492B1 (en) Level shifter device using serial interfa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6386506A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ixel driving circuit
US12277894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30046712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61480B2 (en) Scan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40106446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69825A (en) Emitting Signal Generator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Emitting Signal Generator
KR102854036B1 (en) Scan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18390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20074700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50232710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710293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250279041A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86084A (en) Display device
KR20250115757A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40107890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2-X000 Request for amendment of application rejec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