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80060007A - 보조 주사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주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07A
KR20180060007A KR1020160158973A KR20160158973A KR20180060007A KR 20180060007 A KR20180060007 A KR 20180060007A KR 1020160158973 A KR1020160158973 A KR 1020160158973A KR 20160158973 A KR20160158973 A KR 20160158973A KR 20180060007 A KR20180060007 A KR 2018006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lunger
syringe
clamp
outer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혁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상혁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혁,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상혁
Priority to KR102016015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007A/ko
Publication of KR2018006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0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the piston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2005/14513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secondary fluid driving or regulating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31Syringe barrel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sealing or sl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와 보조 주사기의 연동에 의해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는 보조 주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 보조 주사기, 제1 클램프, 제2 클램프, 공기 배출/공급 장치로 진공 펌프와 컨트롤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주사기는 겉통, 밀대와 바늘을 갖는 주사기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보어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겉통과, 보조 겉통의 보어에 끼워져 있는 밀대를 갖는다. 제1 클램프는 겉통과 보조 겉통을 클램핑한다. 제2 클램프는 밀대와 보조 밀대가 서로 연동되도록 겉통과 보조 겉통을 클램핑한다. 진공 펌프는 보어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보조 밀대를 운동시킬 수 있도록 진공 라인에 의해 구멍과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 패널은 진공 펌프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펌프의 작동에 의해 주사기의 밀대와 보조 주사기의 보조 밀대가 연동되어 정확하며,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 주사 장치{ASSISTANT INJECTION APPLIANCE}
본 발명은 주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와 보조 주사기의 연동에 의해 주사 시술자의 악력 부하를 경감시켜 정확하며,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는 보조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액체 물질을 주입하거나 빼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며, 주로 약물의 주사에 사용되고 있다. 주사기는 겉통(Hollow barrel) 또는 실린더(Cylinder), 밀대(Plunger) 또는 피스톤(Piston), 바늘 (Needl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겉통의 손가락받침(Finger flange)을 둘째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으로 받쳐준 상태에서 밀대의 엄지누름대(Thumb rest)를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 밀대가 전진되면서 겉통 안에 저장되어 있는 약물이 바늘을 통해 배출되어 주사할 수 있다.
한편, 의료기관에서 단체로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경우, 의사, 간호사 등의 주사 시술자가 엄지누름대를 엄지손가락으로 일일이 눌러 주사하게 되면, 엄지손가락에 무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사기의 사용을 보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조 주사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보조 주사 장치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166479호 "주사기의 음압 및 양압 발생 보조 장치"는 실린더 외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압력수단의 일단이 실린더의 플랜지 및 로드 바의 플랜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력수단의 바가 직선 이동되면, 로드 바가 연동되어 주사 및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사기와 압력수단의 결합이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동조작에 의해 압력수단의 바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손가락에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미흡하다.
이러한 수동조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조 주사 장치의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745554호 "자동 주사 장치"는 본체, 주사기 이송수단, 피스톤 이송수단, 배터리, 제어 및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는 주사기가 장착되는 지지대, 손잡이, 스위치를 구비하는 핸드헬드 타입(handheld type)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기 이송수단은 제1 스텝모터(Step motor)와 제1 리드스크루(Lead screw)에 의해 지지대를 왕복이동시킨다. 피스톤 이송수단은 주사를 위해 제2 스텝모터와 제2 리드스크루에 의해 피스톤을 이동시키게 된다. 주사 시술자가 손잡이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제1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 리드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지지대를 왕복이동시켜 주사기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제2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2 리드스크루가 회전되면서 피스톤을 이동시켜 약물을 주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 주사 장치는 두 개의 스텝모터의 리드스크루의 채택에 의해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무거워 손에 들고 사용하기 매우 불편하며,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다. 또한, 리드스크루의 행정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의 크기(Size)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사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성이 우수한 보조 주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보조 주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조 주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는, 겉통, 밀대와 바늘을 갖는 주사기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보어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겉통과, 보조 겉통의 보어에 끼워져 있는 밀대를 갖는 보조 주사기와; 겉통과 보조 겉통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프와; 밀대와 보조 밀대가 서로 연동되도록 겉통과 보조 겉통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프와; 보어로부터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여 보조 밀대를 운동시킬 수 있도록 에어 라인에 의해 구멍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 배출/공급 수단과; 공기 배출/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는, 진공 펌프의 작동에 의해 주사기의 밀대와 보조 주사기의 보조 밀대가 연동되어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주사 장치 내의 진공 수준을 적당하게 설정하면, 주사 시술자의 손가락에 가하는 힘에 따라 주사 장치의 속도 또는 진행/정지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어 주사 시술자의 손가락 감각을 기존의 주사 장치와 매우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진공 펌프의 온오프(On/Off) 제어 외에 진공 펌프의 연속 운전 조건에서 보조 주사 장치 내의 진공 수준을 외력이 있어야만 전진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작은 손가락 힘으로 전진시킬 수 있으며, 손을 떼면 진행이 중지되는 거동을 만들 수 있어 주사자의 손의 감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주사기와 보조 주사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1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2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2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1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1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2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에 사용되는 주사기(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겉통(22), 밀대(24)와 바늘(26)을 구비한다. 겉통(22)은 보어(Bore: 22a)와, 보어(22a)와 연결되도록 겉통(2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2b)을 갖는다. 밀대(24)의 선단은 보어(22a) 안에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엄지누름대(24a)가 겉통(22) 밖에 배치되도록 밀대(24)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바늘(26)은 구멍(22b)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주사기(20)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사기(20)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 주사기(30)를 구비한다. 보조 주사기(30)는 보어(32a)와 구멍(32b)을 갖는 보조 겉통(32)과, 엄지누름대(34a)를 갖는 보조 밀대(34)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보조 주사기(30)는 주사기(20)에서 바늘(26)만 없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겉통(22)과 보조 겉통(32)을 클램핑(Clamping)하는 한 쌍의 제1 클램프(Clamp: 40)를 구비한다. 제1 클램프(40)들은 겉통(22, 32)의 상부와 하부에 간격을 두고 클램핑되어 있다. 제1 클램프(40)들 각각은 보조 겉통(32)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42)과, 겉통(22)을 끼울 수 있도록 한쪽에 입구(44a)가 형성되어 있는 개방 구멍(44)을 갖는다. 한 쌍의 탄성변형부(44b)가 입구(44a)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클램프(40)들은 보조 겉통(32)에 대해 겉통(22)을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며, 단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밀대(24)와 보조 밀대(34)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클램핑하는 제2 클램프(50)를 구비한다. 제2 클램프(50)는 보조 밀대(34)의 엄지누름대(34a)를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으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홈(52)과, 밀대(24)의 엄지누름대(24a)가 슬라이딩 타입으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홈(54)과, 밀대(24)의 엄지누름대(24a)가 걸릴 수 있도록 제1 홈(52)과 제2 홈(54)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는 단(Step: 56)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56)의 형성은 엄지누름대(24a, 34a)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만 해당된다. 엄지누름대(24a, 34a)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단(56)은 배제된다. 연결 구멍(58)이 제1 홈(52)과 제2 홈(54)을 연결하도록 제2 클램프(50)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밀대(24)와 보조 밀대(34)는 연결 구멍(58)을 통과하도록 연결 구멍(58)에 끼워져 있다.
제2 클램프(50)는 제2 홈(54)의 전방, 즉 입구 쪽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돌기(54a)를 갖는다. 탄성돌기(54a)들은 제2 홈(54)에 엄지누름대(24a)를 끼울 때 탄성변형에 의해 엄지누름대(24a)의 진입을 원활하게 허용한다. 엄지누름대(24a)에 제2 홈(54)에 끼워진 후, 탄성돌기(54a)들은 복원되어 엄지누름대(24a)가 제2 홈(5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보조 겉통(32)의 구멍(32b)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 배출/공급 장치로 진공 펌프(Vacuum pump: 60)를 구비한다. 진공 펌프(60)는 에어 라인(Air line: 62)으로 플렉시블 튜브(Flexible tube: 64)에 의해 구멍(32b)과 연결되어 있다. 진공 펌프(60)의 작동에 의해 보조 겉통(32)의 보어(Bore: 32a)로부터 구멍(32b)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보어(32a)를 따라 보조 밀대(34)가 전진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펌프(60)는 에어 펌프(Air pump)나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겉통(32)의 보어(32a) 내의 진공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기(Flow controller: 66)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기(Pressure controller: 68)가 플렉시블 튜브(64)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진공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70)과 전력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유닛(Power supply unit: 80)을 구비한다. 컨트롤 패널(70)은 제어기(Controller: 72), 파워 스위치(Power switch: 74), 버튼(Button), 발광다이오드 인디케이터(Light Emitting Diode indicator, LED indicator), 오디오 장치(Audio device), 디스플레이(Displa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72)는 진공 펌프(60), 유량 제어기(66) 또는 압력 제어기(68)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성되어 있다. 오디오 장치는 보조 주사 장치(10)의 제어 모드(Control mode)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나 경고음을 출력하는 버저(Buzzer)로 구성될 수 있다. 의사, 간호사 등의 주사 시술자는 컨트롤 패널(70)의 조작에 의해 진공 펌프(60)의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기(72)는 진공 펌프(60)의 제어 모드를 LED 인디케이터, 오디오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주사 상태를 주사 시술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유닛(80)은 상용전력의 공급을 위해 실내의 전원접속기구에 접속되어 있는 파워 코드(Power cord)를 구비한다. 전원공급유닛(80)은 충전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10)는 주사 시술자가 손으로 붙들고 사용할 수 있는 핸드헬드 건(Handheld gun: 90)을 더 구비한다. 핸드헬드 건(90)은 손잡이(92)와, 손잡이(92)의 한쪽으로부터 총열과 같이 연장되어 있는 지지대(94)로 구성되어 있다. 주사기(20)와 보조 주사기(30)는 핸드헬드 건(90)의 지지대(94)에 탑재되어 있다. 바늘(26)은 핸드헬드 건(90)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클램프(40)들은 핸드헬드 건(90)에 고정되어 있다. 핸드헬드 건(90)의 손잡이(92)에 진공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스위치(Button switch: 96)가 장착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 있어서, 진공 펌프(60), 컨트롤 패널(70)과 전원공급유닛(80)은 사용편의성을 위해 핸드헬드 건(90)의 손잡이(92)나 지지대(94)에 장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약물이 수용되어 있는 주사기(20)의 밀대(24)와 보조 주사기(30)의 보조 밀대(34)가 후퇴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사기(20)와 보조 주사기(30)는 제1 클램프(40)들과 제2 클램프(50)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클램핑되어 연동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겉통(22)과 보조 겉통(32)은 제1 클램프(40)들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다. 주사 시술자가 겉통(22)을 개방 구멍(44)의 입구(44a)에 밀어 넣으면, 탄성변형부(44b)의 탄성변형에 의해 입구(44a)가 확장되면서 겉통(22)의 진입을 허용하게 된다. 겉통(22)이 입구(44a)를 통과하여 개방 구멍(44) 안에 배치되면, 탄성변형부(44b)가 복원되면서 입구(44a)를 축소시켜 겉통(22)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주사 시술자는 보조 밀대(34)의 엄지누름대(34a)를 제2 클램프(50)의 제1 홈(52)에 끼운 후, 밀대(24)의 엄지누름대(24a)를 제2 홈(54)에 끼운다. 엄지누름대(24a)는 단(56)에 걸려 구속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사 시술자가 버튼스위치(96)를 눌러 전원을 온(On)시키게 되면, 진공 펌프(60)가 정회전된다. 진공 펌프(60)의 작동에 의해 보어(32a) 안의 공기는 구멍(32b)와 플렉시블 튜브(64)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의 유량은 유량 제어기(66)에 의해 설정 값으로 제어되고, 공기의 압력은 압력 제어기(68)에 의해 설정 값으로 제어되어 주사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의 배출에 의해 보조 밀대(34)가 전진되고, 보조 밀대(34)와 제2 클램프(50)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밀대(24)도 전진된다. 밀대(24)의 전진에 의해 보어(22a) 안에 수용되어 있던 약물은 바늘(26)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진공 펌프(60)의 작동에 의해 밀대(24)가 보조 밀대(34)와 연동되어 약물을 환자 등에게 간편하고 안전하게 주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사의 완료 후, 진공 펌프(60)가 역회전되면 진공 펌프(60)가 에어 컴프레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공기가 플렉시블 튜브(64)와 구멍(32b)을 통해 보어(32a) 안에 공급되면서 보조 밀대(34)를 후퇴시키게 되고, 보조 밀대(34)와 함께 밀대(24)도 후퇴된다. 보조 밀대(34)는 진공 펌프(60)의 전원을 오프(Off)시킨 상태에서 주사 시술자가 엄지누름대(34a)를 이용하여 후퇴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1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제1 클램프(140)는 보조 겉통(32)이 끼워지는 구멍(142)과, 겉통(22)이 끼워지는 입구(144a)가 형성되어 있는 개방 구멍(144)과, 개방 구멍(144)의 입구(144a)를 여닫을 수 있는 래치(Latch: 150)를 구비한다. 입구(44a)는 겉통(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150)의 한쪽 끝은 입구(144a)의 한쪽에 피봇(Pivot: 15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냅 훅(Snap hook: 154)이 래치(150)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다. 스냅 훅(154)은 입구(144a)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구멍(156)에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150)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의 탄성에 의해 입구(144a)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래치(150)는 토글 클램프(Toggle clamp)나 래칫 클램프(Ratchet clamp)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겉통(22)이 개방 구멍(44)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냅 훅(154)이 걸림구멍(156)에 결합되면, 래치(150)가 입구(44a)를 폐쇄하게 되므로, 겉통(22)이 개방 구멍(144)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클램프(140)에 의한 주사기(20)의 클램핑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주사를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1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제1 클램프(240)와 앞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의 제1 클램프(140)의 차이는 구멍(142)이 래치(250)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입구(242a)를 갖는 개방 구멍(24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제1 클램프(240)의 구성에 의해 겉통(22)과 보조 겉통(32)을 간편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주사 장치에서 제2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제2 클램프(350)는 한쪽은 보조 주사기(30)의 엄지누름대(34a)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클램프(340)는 주사기(20)의 엄지누름대(24a)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352)과, 보조 밀대(34)를 끼울 수 있도록 홈(352)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54)을 갖는다. 홈(352)의 전방에 엄지누름대(24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탄성돌기(3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클램프(340)가 엄지누름대(24a)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보조 밀대(34)와 제2 클램프(340)의 구성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보조 주사 장치 20: 주사기
22: 겉통 24: 밀대
26: 바늘 30: 보조 주사기
32: 보조 겉통 34: 보조 밀대
40, 140, 240: 제1 클램프 50, 350: 제2 클램프
60: 진공 펌프 70: 컨트롤 패널
80: 전원 공급 유닛 90: 핸드헬드 건
96: 버튼 스위치 150, 250: 래치

Claims (8)

  1. 겉통, 밀대와 바늘을 갖는 주사기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보어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겉통과, 상기 보조 겉통의 보어에 끼워져 있는 밀대를 갖는 보조 주사기와;
    상기 겉통과 상기 보조 겉통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밀대와 상기 보조 밀대가 서로 연동되도록 상기 겉통과 상기 보조 겉통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보어로부터 공기를 배출 및 공급하여 상기 보조 밀대를 운동시킬 수 있도록 에어 라인에 의해 상기 구멍과 연결되어 있는 공기 배출/공급 수단과;
    상기 공기 배출/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보조 주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보조 겉통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상기 겉통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갖는 개방 구멍을 구비하는 보조 주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래치를 더 구비하는 보조 주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보조 겉통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갖는 제1 개방 구멍과;
    상기 겉통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입구를 갖는 제2 개방 구멍과;
    상기 제1 및 제2 개방 구멍 각각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래치를 더 구비하는 보조 주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보조 밀대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엄지누름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제1 홈과;
    상기 밀대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엄지누름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제2 홈과;
    상기 밀대와 상기 보조 밀대가 통과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을 연결하도록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구멍을 구비하는 보조 주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의 전방에 상기 밀대의 엄지누름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탄성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보조 주사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의 한쪽은 상기 보조 밀대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엄지누름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밀대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엄지누름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홈과;
    상기 밀대가 통과되도록 끼워지며, 상기 홈과 연결되도록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상기 밀대의 엄지누름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홈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돌기를 구비하는 보조 주사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와 상기 보조 주사기를 탑재하여 손으로 붙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클램프가 장착되는 핸드헬드 건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핸드헬드 건에 상기 공기 배출/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스위치가 더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공급 수단은 진공 펌프로 이루어지는 보조 주사 장치.
KR1020160158973A 2016-11-28 2016-11-28 보조 주사 장치 Ceased KR20180060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73A KR20180060007A (ko) 2016-11-28 2016-11-28 보조 주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73A KR20180060007A (ko) 2016-11-28 2016-11-28 보조 주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07A true KR20180060007A (ko) 2018-06-07

Family

ID=6262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73A Ceased KR20180060007A (ko) 2016-11-28 2016-11-28 보조 주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82B1 (ko) * 2023-04-17 2024-01-23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압력 감지 자동 약물 주사 시스템
KR102649939B1 (ko) * 2023-12-01 2024-03-2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자동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주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094B1 (ko) * 1991-09-30 1999-11-15 스티븐 비. 데이비스 두개의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투여장치
JP2011518018A (ja) * 2008-04-21 2011-06-23 メドトロニック カルディオ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深度が制御された注入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094B1 (ko) * 1991-09-30 1999-11-15 스티븐 비. 데이비스 두개의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투여장치
JP2011518018A (ja) * 2008-04-21 2011-06-23 メドトロニック カルディオ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深度が制御された注入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1-518018호(2011.06.23.)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82B1 (ko) * 2023-04-17 2024-01-23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압력 감지 자동 약물 주사 시스템
KR102649939B1 (ko) * 2023-12-01 2024-03-21 대신엔터프라이즈(주) 자동주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주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934A (ko) 자동 주사장치
KR101864360B1 (ko) 무선 충전 주사액 자동 주입장치
US20200254188A1 (en) Storage case
KR101487908B1 (ko) 피부 시술 장치
US20220273876A1 (en) Pen-like syringe system
US20080221549A1 (en) Rapid injection device
CN106492311A (zh) 一种手持式可辅助注射器自动抽吸和注射的装置
US12109390B2 (en) Infusion system having an infusion pump and having a pump module that can be coupled thereto
KR20180060007A (ko) 보조 주사 장치
US20220016347A1 (en) Injection device
US8366679B2 (en) Self filling injection device
CN211022864U (zh) 一种腔镜直线型切割吻合器
CN208591316U (zh) 手持式配药装置
US20050221253A1 (en) Dental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dental injections
EP3398632A1 (en) Automatic multifunctional liquid injector having separation type operation device
CN213030794U (zh) 一种内窥镜注射针架以及应用有该针架的内窥镜注射针
US12133788B2 (en) Applicators
JP6745320B2 (ja) 採水ディスペンサー及び純水製造装置
CN113599614A (zh) 造影剂注射装置及注射系统、可读存储介质与电子设备
KR102476760B1 (ko) 약물주입장치
CN219846749U (zh) 一种电动植骨的植骨器械
CN218739733U (zh) 一种注射泵
US20240225486A9 (en) Syringe with Integrated Vein Finder
US20210290851A1 (en) Ergonomic Fine-Precision Injection And Aspiration Safety Device For Aesthetic Injections
CN108392417A (zh) 手持式配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