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66U - flower pot supporter - Google Patents
flower pot suppo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666U KR20180003666U KR2020170003174U KR20170003174U KR20180003666U KR 20180003666 U KR20180003666 U KR 20180003666U KR 2020170003174 U KR2020170003174 U KR 2020170003174U KR 20170003174 U KR20170003174 U KR 20170003174U KR 20180003666 U KR20180003666 U KR 2018000366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ollen
- water supply
- water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443 Ricin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화분(A)의 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화분(A)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이 고정되어 쓰러지지 않게 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본체(10)를 측방향으로 밀어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pedestal of a new structure which is easy to use. The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portion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 coupling portion 11 for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pollen 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aster 2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pots A is stored in the through holes 12, , The pollen (A) is fixed and does not collapse when the pollen (A)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 This makes it easy to use and allows the user to easily move the position by pushing the main body .
Description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pedestal of a new structure which is easy to use.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울 때 사용되는 화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하측면에는 배수구(1)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 the flowerpot used when growing plants in a room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따라서, 내부에 흙을 담아서 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물을 줄 경우, 여분의 물은 상기 배수구(1)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어, 흙이 일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aise the plants by storing the soil therein, and when water is supplied, the excess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한편, 이러한 화분(A)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울 때는 화분(A)을 화분받침대에 올려놓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common to place the pot (A) on a flowerpot when using the pot (A).
상기 화분받침대는 등록실용신안 20-0317082호나 20-0245614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pollen pedestal is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and is widely used, as shown in a number of prior documents, including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17082 or No. 20-0245614.
그런데, 이러한 화분받침대는 화분(A)을 단순히 올려놓게 됨으로, 사용자의 실수로 화분(A)이나 화분받침대를 건드리면 화분(A)이 쓰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llen support (A) is simply placed on the pollen support, the pollen (A) may fall if the user accidentally touches the pollen (A) or the pollen support.
또한, 이러한 화분받침대는 설치 또는 이동이 불편하고, 화문에 물을 줄 때,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나오는 물을 처리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flower pot pedestal is inconvenient to install or mov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troublesome to treat the water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화분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en pedestal having a new structure that is easy to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화분(A)의 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화분(A)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portion capable of storing water therein is formed and a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분(A)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배수구(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화분(A)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13)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삽입관(13)에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15)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6)를 조작하면, 상기 급수펌프(15)가 구동되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화분(A)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A) is provided with a drain port (1) at the center of its lower side, the engaging portion (11) is concave downward, An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화분(A)의 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화분(A)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이 고정되어 쓰러지지 않게 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본체(10)를 측방향으로 밀어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portion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
도 1은 일반적인 화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의 화분받침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의 화분받침대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polle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t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action of the pot suppor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받침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화분(A)은 상면이 개방된 하측면에는 배수구(1)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흙을 담아서 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물을 줄 경우, 여분의 물은 상기 배수구(1)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2 to 4 illustrate a flowerpot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erpot A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그리고,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화분받침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30)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design, the flowerpot base includes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의 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을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면에는 화분(A)의 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결합부(11)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상기 결합부(1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화분(A)을 하단을 끼워 고정하면 화분(A)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결합부(11)의 일측에는 관통공(12)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분(A)에 물을 주면,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내린 여분의 물이 상기 결합부(11)에 일차로 수닙된 후,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when water is given to the pot (A),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1) of the pot (A) And then flows into the
또한, 상기 결합부(11)의 중앙부에는 삽입관(13)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삽입관(13)에는 급수관(14)이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는 급수펌프(15)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펌프(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가 구비된다.A
상기 삽입관(13)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상기 삽입관(13)이 상기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상기 화분(A)의 중앙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급수관(14)은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삽입관(13)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10) 내부의 하측으로 연장된다.The upper end of the
상기 급수펌프(1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된 것으로, 작동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삽입관(13)으로 공급한다.The
상기 조작스위치(16)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16)를 누르면 급수펌프(15)가 구동된다.The
상기 캐스터(2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복수개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casters (20)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잡고 본체(10)를 끌거나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화분받침대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화분(A)의 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화분(A)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이 고정되어 쓰러지지 않게 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가 본체(10)를 측방향으로 밀어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llen pedestal thus constructed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
특히, 화분(A)을 상기 결합부(11)에 결합한 상태로 화분(A)에 물을 주면, 상기 배수구(1)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 물이 상기 관통공(12)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수집됨으로, 화문에 물을 줄 때, 화분(A)의 하측으로 흘러나온 물을 처리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when water is applied to the pollen A in a state where the pollen A is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30)가 구비됨으로,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잡고 본체(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어서, 본체(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화분(A)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배수구(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화분(A)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13)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삽입관(13)에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15)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6)를 조작하면, 상기 급수펌프(15)가 구동되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화분(A)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A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화분(A)에 손쉽게 물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llen (A) can be easily watered by using the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10).
10. 본체
20. 캐스터
30. 손잡이10.
30. Handle
Claims (3)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A space portion capable of storing water therein is formed and a coupling portion 11 which is capable of coupling the lower end of the flower pot 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through hole 12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1, (10) configured to st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A)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nd a caster (20)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손잡이(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화분(A)의 하측면 중앙부에는 배수구(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하면 화분(A)의 배수구(1)를 통해 화분(A)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13)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공간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은 삽입관(13)에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15)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펌프(15)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에 화분(A)을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6)를 조작하면, 상기 급수펌프(15)가 구동되어,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14)을 통해 화분(A)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ain port (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pot (A)
The engaging portion 11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pots A through the drain port 1 of the pots A when the pots A are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s 11, A tube 13,
A water supply pipe 14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nd having a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pace and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13,
A water supply pump 15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4 and an operation switch 16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15,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16 in a state where the pollen A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 the water supply pump 15 is driven to move the water stor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4). ≪ RTI ID = 0.0 > 11.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174U KR20180003666U (en) | 2017-06-20 | 2017-06-20 | flower pot suppo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3174U KR20180003666U (en) | 2017-06-20 | 2017-06-20 | flower pot suppor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666U true KR20180003666U (en) | 2018-12-28 |
Family
ID=6495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3174U Ceased KR20180003666U (en) | 2017-06-20 | 2017-06-20 | flower pot suppo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3666U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518A (en) * | 2020-01-16 | 2020-06-02 | 广州花生壳园艺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hange planting platform and commodity circulation frame and packing carton that operation flowerpot and flowerpot match |
KR20220130428A (en) | 2021-03-18 | 2022-09-27 | (주)하우스젠 | Flowerpot stand and hanging planter stand unit using the same |
-
2017
- 2017-06-20 KR KR2020170003174U patent/KR20180003666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13518A (en) * | 2020-01-16 | 2020-06-02 | 广州花生壳园艺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hange planting platform and commodity circulation frame and packing carton that operation flowerpot and flowerpot match |
KR20220130428A (en) | 2021-03-18 | 2022-09-27 | (주)하우스젠 | Flowerpot stand and hanging planter stand unit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03666U (en) | flower pot supporter | |
KR100997306B1 (en) | Pot Planter with Water Supply Room | |
US20210161080A1 (en) | Flower pot saucer with a drainage system | |
KR200424597Y1 (en) | Pots for Vegetable Cultivation | |
KR200465181Y1 (en) | Flowerpot Combination table | |
KR20160074150A (en) | Multi purpose flowerpot soucer | |
KR101749452B1 (en) | flower tower for auto-water supply having support bar of 3 point connection | |
KR101231973B1 (en) | Indoor cultivation appliance | |
KR101914112B1 (en) | Flowerpot | |
CN209693575U (en) | A kind of kok-saghyz cultivation tray | |
CN105822940A (en) | Table lamp with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 |
CN214178197U (en) | Water accumulation preventing flowerpot | |
CN204560394U (en) | A kind of flowerpot with umbrella shelf | |
KR20150003110U (en) | Scleronychia Person having the auxiliary flowerpot which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are possible from the main flowerpot | |
CN108112461A (en) | A kind of automatic flower-watering device | |
KR200257496Y1 (en) | A Multistage Shelf for Growing Plants | |
US1549274A (en) | Plant support | |
CN213306430U (en) | Flowerpot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pipe | |
KR101397466B1 (en) | functional flowerpot | |
CN210581924U (en) | A kind of wooden hot wax lazy flower stand | |
CN209787956U (en) | Automatic cultivation device of watering plant | |
KR200279507Y1 (en) | A flowerpot water injection system | |
CN211152895U (en) |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 |
JP3087913U (en) | Irrigation equipment | |
JP4784799B2 (en) | flower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62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4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129 |
|
AMND | Amendment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
|
U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87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30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9 Appeal identifier: 2018101001870 Request date: 201804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8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30 Effective date: 20190624 |
|
U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date: 20190625 Patent event code: UJ13011S01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810100187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90624 Request date: 201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