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70071869A -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 Google Patents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69A
KR20170071869A KR1020150180039A KR20150180039A KR20170071869A KR 20170071869 A KR20170071869 A KR 20170071869A KR 1020150180039 A KR1020150180039 A KR 1020150180039A KR 20150180039 A KR20150180039 A KR 20150180039A KR 20170071869 A KR20170071869 A KR 20170071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phone
pattern
user
pass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부형
최희범
정동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869A/en
Publication of KR2017007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6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비콘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활성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으로부터 활성신호를 수신하고 본인인증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도어부로 전송하고 패턴인증하기 위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하고 상기 1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2차 인증하고 상기 2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도어의 개방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어락의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with enhanced security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application designed to enhance the security of a door lock, A beacon for sensing an approach direction and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the smartphone if the smartphone recognizes access; A smartphone for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rom the beacon and transmitting at least any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for transmitting uniqu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to a door unit and performing pattern authenticatio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n a case where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s a result of the primary authentication, A door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using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nd performing a second authentication and opening the door if the second authentication result is a legitimate user; So that the security of the door lock can be enhanced.

Description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본 발명은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비콘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application designed to enhance the security of a door lock.

도어락은 사용자와 비 사용자를 구분하여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게만 도어의 락 및 언락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보안 수단이다. The door lock is an important security measure to protect the user's property by providing the lock and unlock rights of the door only to the authorized user by distinguishing the user and the non-user.

그러나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보안 사고들을 살펴보면 관리자(소유주)의 부주의와 개인정보 보호의 안일함이 합쳐져서 도어를 통해 침입한 불법 침입자에 의해 발생한 사고들이 대다수이다. However, most of the recent security incidents are caused by the accident caused by illegal intruders entering through the door by the carelessness of the owner (owner) and the ease of privacy.

종래의 도어락 기능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집에 들어가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된 카드를 도어락에 접촉시킴으로써 인증시켜 도어를 언락시키거나, 미리 기설정된 번호를 도어락의 키패드에 입력시켜 기설정된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언락시키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function, a user touches a door card wit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o enter the house, thereby unlocking the door by authenticating the door or inputting a predetermined number to the keypad of the door lock, And the method of unlocking the door is selectively used when there is a match.

특히, RFID 카드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언락하기 위한 번호를 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어락이 초기화되는 경우, 비번은 0000 또는 1234 등과 같이 알기 쉬운 번호로 초기화되지만, 사용자는 RFID 카드를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초기화 여부를 모른 상태에서 지나치기 쉽다. 이 경우, 불법 침입자가 1-2회의 비밀번호 입력으로 쉽게 침입할 수 있게 되며, 도난 또는 강력사건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Particularly, when the RFID card is mainly used, the number for unlocking the door may be forgotten and used. When the door lock is initialized, the outbound number is initialized to an easy-to-understand number such as 0000 or 1234. However, since the RFID card is mainly used by the user, In this case, an illegal intruder can easily enter by entering the password 1-2 times, and it can be a target of theft or robbery.

따라서, RFID 카드를 분실하거나 키패드의 번호 유출과 같은 상황에 처하게 될 경우 불법적인 사용자가 인증을 하기 쉬워지고 키패드의 경우 유출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지 않으며, 이러한 인증도구들이 범죄에 쉽게 악용될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f an RFID card is lost or a situation such as a keypad is leaked, illegal users are more likely to be authenticated, and if the keypad is leaked,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leakage. There is a problem.

이와 같은 범죄를 예방하고 손쉽게 도어를 락 및 언락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25345호의 발명(발명의 명칭 :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에서는 비콘이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기저장된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용발명은 스마트폰이 다른 사람의 손에 있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인증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 실내의 도어 근방에 있는 경우 오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문을 개방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crime and easily lock and unlock the doo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425345 (entitled " smart device-based electronic pager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using Wi-Fi beacon frame " Disclos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a user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unique information. However, such a cited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pen the door even if the smartphone is in the hands of another person, and can automatically open the door due to a malfunction when the smart phone is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f the room Problems may ari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25345(발명의 명칭 :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1425345 (entitled " Authentication Method of Smart Device Based Electronic Attendant System Using Wi-Fi Beacon Fram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을 강화하고, 사용자 시점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패턴과 일치하게 패턴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도어락의 잠금이 해제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hance security and to provide a smartphon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inputs a pattern in accordance with a pattern stored in a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that provide convenience of unlocking the door lock.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콘을 이용해 서버가 스마트폰의 정보를 인식하는 1차 보안과 스마트폰이 보낸 패턴과 서버에 저장된 패턴을 비교해서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2차 보안 시스템으로 보안을 강화한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security system which unlocks a door lock only when a server compares primary security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smart phone with patterns transmitted from a smart phone and patterns stored in a server using a beac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with enhanced securit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은,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활성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으로부터 활성신호를 수신하고 본인인증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도어부로 전송하고 패턴인증하기 위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어부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하고 상기 1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2차 인증하고 상기 2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도어의 개방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for detecting the access direction of the predetermined smart phone and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to recognize the access of the smart phone, Beacon; A smart phone for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rom the beacon and transmitting uniqu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to a door unit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o the door unit for pattern authenticatio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n a case where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s a result of the primary authentication, A second authentic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martphon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using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and opens the door if the smartphone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the like.

상기 도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본인인증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에 각각 대응하는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각의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상기 본인인증정보와 일치하며,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상기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에 따라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도어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oor unit may inclu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nd sig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signs, patterns, passwords, and fingerprints inputted by the smartphone user A database section; A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with sig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unlocking of the door when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the fingerprint, the sig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coincide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servo motor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door lock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상기 비교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이미지로 저장하고 있는 상기 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보내온 패턴을 이미지로 변환하여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를 통해 일치여부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aris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dditional image and the pattern sent by the user into an image, and compare the match with an open source computer vision (opencv).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부에서의 비교결과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1차 본인인증 통과 메시를 표시하고,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상기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2차 본인인증 통과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패턴과 상기 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한 경우이면 본인인증 실패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displays a primary authentication passbook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door unit and displays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fingerprint, sign information, pattern And if the unique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if the pattern information is not identical to the pattern information, At least in one case, to display the identity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비콘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상기 도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폰 전화번호 및 패턴을 입력하고 상기 도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communicates with the door unit through the beacon so that the authenticated user's smartphone inputs the smart phone number and pattern to the door unit, and adds, deletes, or modifies user information to the database Lt; / RTI >

상기 도어락은,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판이 구성된 입력부;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 및 상기 터피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에 의해 도어를 락 또는 언학시키는 자물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oor lock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with a number plate for inputting numbers; A display unit configured by a touch panel and displaying a numb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screen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And a lock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by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상기 도어부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1차 인증 및 2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oor unit receives the smartphone phone number of the authenticated user or the other user and receives at least any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f the authenticated user is a legitimate user as a result of the first authentication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add, delete or modify user information to the database.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는 비콘,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도어부가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1차 인증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도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인증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단계에서의 인증결과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일치하는 경우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smart phone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a beacon,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at detects an approach of a predetermined smartphone and an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t least one of the sign, pattern, An automatic door lock service method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including a door unit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n approach of a predetermined smartphone and an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 first authentication step of comparing the uniq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when the comparison results in the first authentication step,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with the door unit; A second authentication step of inputting and authenticating at least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phone; And if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inputted by the smartphone user coincide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in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step,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opening the door lock.

상기 2차 인증단계는,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요청단계; Wherein the second authentication step includes: a request step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o the smartphone;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받는 입력단계; 및 An input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smart phone from among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phone; And

도어부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a judgment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door part matches the signatures, patterns, passwords and fingerprints inputted from the smart phone, the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청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tomatic door lock service method using the beacon and the smart phon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fingerprint and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and fingerprint information do not match And returning the data to the memory.

따라서 본 발명의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도어락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비콘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여 오작동을 감소시켰으며, 2중 인증으로 도어락을 해제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automatic door lock system and the service method using the beacon and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curity by using the beacon and the smart phone application designed to increase the security of the door lock,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The security can be more securely enhanc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고유번호가 인지된 사용자에게만 패턴을 요구하고 입력된 패턴의 입력에 의해 도어를 언락시켜줌으로 인하여 비콘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위치를 잘못 인지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pattern only for a user whose unique number of the smart phone of the user is known, and unlocks the door by inputting the input pattern, thereby causing the beacon to misunderstand the smart phone position of the user and opening the doo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은, 크게 비콘(100), 스마트폰(200) 및 도어부(30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mainly composed of a beacon 100, a smart phone 200, and a door unit 300.

비콘(100)은 도어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어에 의해 구분된 실외측의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어부(30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비콘(100)은 주변의 스마트폰(200)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면, 비콘(100)은 스마트폰(200)으로 활성신호를 전송한다. 활성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00)은 도어부(300)로 스마트폰(200)의 전화번호 또는 고유정보를 전송한다. 도어부(300)는 도어부(300) 내에 구성된 데이터베이스(310)의 본인인증정보를 참조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어부(300)는 수신된 고유정보가 정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인 경우 1차 인증에 의해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패어링을 형성하여 스마트폰(200)과 통신 가능한 상대로 연결된다. 이때, 비콘(100)과 스마트폰(200) 및 스마트폰(200)과 도어부(300) 간에 통신하는 방식은 블루투스 전송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과 블루투스 통신하여 도어부(300)와 스마트폰(200) 간에 패어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부(300)는 기설정된 스마트폰(200)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200)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며, 스마트폰(200)의 접근을 인지하여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스마트폰(200)과 통신한다. 비콘(100)이 인지하는 스마트폰(200)의 접근 방향은 스마트폰(200)이 도어락(3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비콘(100)은 도어락(350)을 중심으로 도어의 외부 또는 실내에 위치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의 움직임 중 하나임을 인지할 수 있다. The beacon 1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or on a door on the outdoor side separated by a door. Or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door portion 300. When the beacon 100 recognizes that the neighboring smartphone 200 is approaching, the beacon 100 transmits an activation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The smartphone 200 receiving the activation signal transmits the phone number or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200 to the door unit 300. The door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referr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310 configured in the door unit 300. If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is a smart phone of a legitimate user, the door unit 300 forms a pairing when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the primary authentica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200 in a communicable manner. At this time, the beacon 100, the smart phone 200, the smart 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may use a Bluetooth transmission scheme. The door unit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phone 200 through Bluetooth to form a pair between the door unit 300 and the smartphone 200. The door unit 300 senses the approach of the predetermined smartphone 200 and the direction of approach of the smartphone 200 and recognizes the access of the smartphone 200, Communication.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200 recognized by the beacon 100 is ei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smartphone 200 moves away from the door lock 350 or the approach direction thereof. Further, the beacon 100 can recognize that the beacon 100 is one of the movements in either direction of the door, either outside the door or inside the door.

스마트폰(200)은 서명잠금, 패턴잠금, 비밀번호잠금, 지문잠금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200)이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 NFC), Wifi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200)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콘(100) 및 도어부(300)와 통신한다. The smart phone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unctions of signature locking, pattern locking, password locking, and fingerprint lock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200 includes at least one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fi communication. Preferably, the smartphone 200 communicates with the beacon 100 and the door unit 300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또한, 스마트폰(200)은 고유정보로서 스마트폰(200)의 전화번호, UUID(Unique User Identidfier) ,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정보를 포함하며, 스마트폰(200)의 근거리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도어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200)의 전화번호, UUID, 메이저 및 마이너 정보는 사용자 스마트폰(200)의 고유정보로 사용되고, 상기 RSSI를 이용하여 도어부(300)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도어부(300)로부터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거리, 위치 및 접근 방향을 측정한다. 따라서,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수신한 RSSI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 스마트폰(200)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martphone 200 includes a phone number, a unique user identifier (UUID), major and minor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200 as unique information, And transmits a received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 to the door unit 300. The phone number, UUID, major and minor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200 are used as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sense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using the RSSI, 300 and the smartphone user's distance, position, and approach direction. Accordingly, the door unit 300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legitimate user smartphone 200 using the RSSI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200. [

스마트폰(200)은 도어부(300)에서의 1차 인증 결과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만 도어부(300)와 링크(패어링)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1차 인증을 통과한 경우 도어부(300)는 1차 인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스마트폰(200)에 전송하여 이를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패턴과 상기 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한 경우이면 본인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mart phone 200 is linked to the door unit 300 only when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ccording to the first authentication result in the door unit 300. [ If the primary authentication is passed, the door unit 300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imary authentication has been performed to the smartphone 200 to display the message. In addition, if the unique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may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when at least one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consistent.

스마트폰(200)과 도어부(300)가 링크로 연결되면, 도어부(300)는 1차 인증 통과 메시지를 표시한 이후, 스마트폰(200)으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푸시한다. 푸시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가 도어부(300)로 전송된다. When the smart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are linked by the link, the door unit 300 displays the first authentication pass message and then transmits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o the smartphone 200 Pushes the prompt to enter. When the user inputs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ush message,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oor unit 300.

도어부(300)는 상기 입력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기록된 각각의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2차 본인인증 통과 메시지를 표시하고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The door unit 300 compares the inputted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information with each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310, And displays the authentication pass message and opens the door.

즉, 1차 인증 통과메시지는 부당한 사용자가 정당한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인증절차에 의해 도어락과 연결될 수 있으나, 2차 인증 통과메시지는 정당한 사용자만의 특징을 표시하는 서명, 패턴, 지문 및 비밀번호를 통해 정당한 사용자를 가려내므로 부당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도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콘(100)은 스마트폰(200)의 진행방향 및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200)이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실내 구조, 비콘(100)의 설치 위치 및 스마트폰(200)의 위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라도 1차 인증에 의해 스마트폰(200)과 도어부(300)가 연결은 되지만 2차 인증절차가 입력되지 않으면 도어는 개방되지 않으므로 오작동이 방지된다. In other words, the primary authentication pass message can be connected to the door lock by an authentication process even if the unjust user has a legitimate smartphone, but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pass message includes the signature, pattern, fingerprint and password So that even if an unauthorized user possesses a smartphone of a legitimate user, the door can not be opened if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s not input. Also, as described above, the beacon 100 can recognize the progress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200, so that the beacon 100 is not operated when the smartphone 200 is in the room. However, even when an error occurs due to a combination of the indoor structu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eacon 100, and the location of the smart phone 200, the smart 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are connected by the primary authentication However, if the second authentication procedure is not inputted, the door is not opened and malfunction is prevented.

인증된 스마트폰(200)은 1차 인증 결과에 의해 도어부(300)와 연결되며, 이 1차 인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이 상기 제어부(330)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330)로 하여금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을 통해 서명, 패턴, 지문 및 비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2차 인증된 후에 데이터베이스(310)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나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ed smartphone 200 is connected to the door unit 30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authentication and the smartphone 200 of the first authenticated user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330 to the control unit 330 May be added, deleted or modified in the database 310 after the second authentication by inputting at least one of signature, pattern, fingerprint and password through the smartphone 200 of the user.

도어부(300)는 데이터베이스(310), 비교부(320), 제어부(330), 서보모터(340) 및 도어락(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oor unit 300 includes a database 310, a comparison unit 320, a control unit 330, a servo motor 340, and a door lock unit 350.

데이터베이스(310)는 스마트폰(200)의 번호, 스마트폰(200)의 고유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본인인증정보, 상기 스마트폰(200) 사용자가 입력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비교하기 위한 각각의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310)는 이와같은 스마트폰(200)의 전화번호, 고유정보 및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다수 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스마트폰(200)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각각의 서명정보, 패턴정보, 지문정보 및 비밀번호정보가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다. 예컨대, A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패턴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B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다른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C사용자 스마트폰에 대응하여서는 비밀번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D사용자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패턴정보와 지문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고유정보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UUID(Unique User Identidfier) ,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및 지문정보는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의 이미지로 저장되고, 비밀번호정보는 암호화된 데이터로 저장된다. The database 310 is used for comparing the number of the smartphone 20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200,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inputted by the user of the smartphone 200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database 310 may store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uniqu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200. In addition,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niqu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martphones 200 are stored in the database 310. For example, the patter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martphone of the user A, and other patterns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martphone of the user B. Password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 user smartphone. In addition, pattern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stored toge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D-user smart phone.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a telephone number of a user, a unique user identifier (UUID), a major, and minor information. Also, the signature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re stored as an image of opencv (Open Source Computer Vision),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is stored as encrypted data.

비콘(100)은 도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비콘(100)과 도어부(300)는 블루투스 또는 Wifi로 연결될 수 있다. 비콘(100)은 항시 전파를 발사하여 50m 내지 10m이내의 스마트폰(200)의 접근을 감지하여 스마트폰(200)에 활성신호를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도록 푸시한다. 스마트폰(200)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도어부(300)로 고유정보를 전송한다. 도어부(300)는 고유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본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폰(200)과 도어부(300) 간에 링크를 연결시킨다.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에 서명, 패턴, 비밀번호 또는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도록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330)에 의해 전송된 푸쉬 메시지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에 의해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스마트폰(200)을 통해 비교부(320)로 입력되면, 비교부(320)는 입력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을 입력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패턴과 지문을 연속으로 입력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패턴과 지문을 입력받아 대응하는 패턴정보와 지문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The beacon 100 is maintained in a state controlled by the door unit 300. At this time, the beacon 100 and the door unit 300 may be connected by Bluetooth or Wifi. The beacon 100 always emits a radio wave to sense the approach of the smartphone 200 within the range of 50 m to 10 m, and pushes the application that can receive the activation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to execute in the background. The smart phone 200 transmits unique information to the door unit 300 by an application. The door unit 300 receives the unique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10 and determines a link between the smart 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mart phone 200 is an authorized user . The door unit 300 transmits a push message to the smartphone 200 to input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When at least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s input to the comparison unit 320 through the smart phone 200 by the smartphone user according to the push message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330, Patterns, passwords, and fingerprints,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10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t at least one of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o be inputted, and security can be improved by inputting two or more. For example, a message for continuously inputting a pattern and a fingerprint may be output, and a pattern and a fingerprint may be input and compared with corresponding pattern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제어부(330)는 비교부(320)에서의 비교결과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한다. 제어부(330)는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서보모터(340)를 제어하여 도어락(350)을 언락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3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when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of the comparison result in the comparison unit 320 match the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the control unit 330 controls the servo motor 340 to control the door lock unit 350 to be unlocked.

서보모터(340)는 전술한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350)의 잠금 상태를 락 또는 언락시키도록 동작시킨다. 예컨대, 서보모터(340)는 문이 닫히는 경우 도어를 자동으로 락시키도록 동작하며, 전술한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데이터베이스(310)에 기록된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동작한다. 즉,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정당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서보모터(34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락된 상태의 도어를 언락시킨다. 또는, 서보모터(340)는 부당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락된 상태의 도어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The servo motor 340 operates to lock or unlock the door lock 35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ervo motor 340 operates to automatically lock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and records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entered by the user in the database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0 described above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t unlocks the door. That is, when at least one of a legitimate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is input from the smartphone 200 of a user determined to be a legitimate user, the servomotor 340 controls the door in a locked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Unlock it.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unauthorized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are input, the servo motor 340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door in the locked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도어락(3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키를 포함하는 입력부(352)가 구성되며,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력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입력받는 표시부(354) 및 자물쇠(3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oor lock 350 includes an input unit 352 including a number key as shown in FIG. 3. The door lock 350 receives an image, displays an input image, and is composed of a touch panel and receives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A display portion 354 and a lock 356. [

도어락(350)에 구성된 입력부(352)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310)에 사용자의 본인인증정보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352)를 통해 입력되는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는 스마트폰의 고유한 전화번호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352 configured in the door lock unit 350 receives the user's smartphone unique number and can add, delete or modify the us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base 310. Meanwhil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52 may be a unique phone number of the smart phone.

입력부(352)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의 고유정보를 입력받은 이후 사용자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표시부(354)를 통해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354)는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352)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고, 표시부(354)를 구성하는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된 이미지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354)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등록 시, 스마트폰 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2차 인증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경우에도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54)는 2차 인증과정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사인, 패턴 또는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After inputt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s smartphone 200 through the input unit 352, the user can input at least one of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hrough the display unit 354 having the touch panel function. The display unit 354 includes a touch panel and displays number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352 and displays images or numbers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354.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54 can display the smartphone number when the user registers the smartphone 200, and can display the number even when registering the password in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process. The display unit 354 displays the input image even when the user registers a sign, a pattern, or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phone 200 in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process.

즉, 사용자의 추가, 삭제 또는 수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을 통해 할 수 있으며, 또는 도어락(350)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That is, the addition, deletion, or modification of the user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smartphone 200 or through the door lock 350 as described above.

자물쇠(356)는 전술한 서보모터(340)의 동작에 의해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거나, 락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경우 제어부(330)의 제어에 의한 서보모터(340)를 동작시켜 자물쇠(356)가 락되며, 전술한 제어부(330) 및 서보모터(340)는 1차 및 2차 인증을 통과한 경우 전술한 언락 과정에 의해 자물쇠(356)를 언락시켜 사용자가 도어를 열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당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물쇠(356)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서보모터(340)를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고, 대응하여 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The lock 356 locks or unlocks the door or keeps the locked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340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the lock 356 is locked by operating the servo motor 3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0. The control unit 330 and the servo motor 340 perform the primary and secondary authentication The lock 356 is unlocked by the above-described unlocking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open the door. If it is determined that an unauthorized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are input, the lock 356 is controlled to not operate the servo motor 3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0, and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lock state correspondingly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 도어락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비콘(100)은 S202단계에서 기 설정된 스마트폰(200)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beacon 100 senses the approach of the smartphone 200 and the direction of approach of the smartphone in step S202.

S204단계에서 비콘(100)은 스마트폰(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비콘(100)의 아이디(Identity)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200)과 도어부(300)를 연결시킨다.The beacon 100 transmits an identity of the beacon 100 to the smartphone 200 and transmits the identity of the beacon 100 to the smartphone 200 and the door unit 300 in step S204, .

S206단계에서 도어부(300)는 도어부(300) 내에 구성된 데이터베이스(310)의 본인인증정보와 수신된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206, the door unit 300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310 configured in the door unit 300 with the received uniqu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본인인증정보와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즉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S206단계, Y), S208단계에서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과 패어링을 형성한다.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과 무선방식,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도어부(100)와 스마트폰(200) 간에 패어링을 형성한다. 비콘(100)은 도어부(300)와 무선방식,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한다. 예컨대, 비콘(100)은 블루투스 통신, Wifi, 시리얼 유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도어부(300)와 통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unique information,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 valid user (Y in step S206), the door unit 300 forms a pair with the smartphone 200 in step S208. The door unit 30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phone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or Wifi. Preferably, a pairing is formed between the door unit 100 and the smart phone 200 according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 beacon 100 communicates with the door unit 300 in a wireless manner or in a wired manner. For example, the beacon 100 communicates with the door unit 300 through any one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a Wifi, and a serial wired communication.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S206단계, N), S210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연결 링크를 연결시키지 않는다. 즉, 인증되지 않은 스마트폰(200)으로는 도어부(300)와 통신할 수 없으며, 도어는 락 상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a legitimate user (step S206, N), the connection link with the smartphone of the user is not connected in step S210. That is, the unauthorized smart phone 200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door unit 300, and the door remains locked.

S212단계에서 도어부(300)는 스마트폰으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기설정된 어느 하나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푸시한다. In step S212, the door unit 300 pushes a message to the smartphone to input any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S214단계에서 스마트폰(200)은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을 대기하여 입력받는다. In step S214, the smartphone 200 waits for input of any one of a signature,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S216단계에서 도어부(30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S216, the door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input from the smartphone 200 match the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and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10 .

도어부(300)는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216단계, N), S212단계로 리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입력을 재입력하도록 요구한다. The door unit 300 returns to step S2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match the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10 (N in step S216) To require the user to re-enter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input.

도어부(300)는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16단계, Y), S218단계에서 도어를 언락시킨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unit 300 is matched (Y in step S216), the door is unlocked in step S218.

한편, 고유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의 UUID(Unique User Identidfier) , 메이저(major), 마이너(minor)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포함하고, 상기 UUID, 메이저 및 마이너는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정보로 사용되고, 상기 RSSI는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판단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que information includes the UUID (Unique User Identifier), major, minor and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s of the smartphone 2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UUID, The miner is used as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smart phone, and the RSSI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user smart phone.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스마트폰 200 : 비콘
300 : 도어부 310 : 데이터베이스
320 : 비교부 330 : 제어부
340 : 서보모터 350 : 도어락
352 : 입력부 354 : 표시부
356 : 자물쇠
100: Smartphone 200: Beacon
300: Door part 310: Database
320: comparison unit 330:
340: Servo motor 350: Door lock
352: input unit 354:
356: Locks

Claims (10)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스마트폰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활성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상기 비콘으로부터 활성신호를 수신하고 본인인증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도어부로 전송하고 패턴인증하기 위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어부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하고 상기 1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2차 인증하고 상기 2차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도어의 개방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A beacon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to the smartphone if it detects an approach of the predetermined smartphone and an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nd recognizes that the smartphone is approaching;
A smart phone for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rom the beacon and transmitting uniqu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to a door unit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o the door unit for pattern authentication; And
A first authent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smartphon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if the first authentication result is a legitimate use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ign, pattern, A second authentic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martphone user is a legitimate user by using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received from the phone and opening the door if the smartphone user is a legitimate user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본인인증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에 각각 대응하는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각각의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상기 본인인증정보와 일치하며,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상기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에 따라 도어를 락 또는 언락시키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The door according to claim 1,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ignatures, patterns, passwords, and fingerprints inputted by the smartphone user, respectively, for comparing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with sig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unlocking of the door when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the fingerprint, the sig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coincide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servo motor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door lock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and an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a smart ph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가 이미지로 저장하고 있는 상기 패턴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보내온 패턴을 이미지로 변환하여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를 통해 일치여부를 비교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beacon system and a smartphone system using beacon and a smart phone to convert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dditional image and the pattern sent by the user into an image and compare the match with an open source computer vision (opencv).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부에서의 비교결과 스마트폰의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1차 본인인증 통과 메시를 표시하고,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상기 사인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정보 및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2차 본인인증 통과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패턴과 상기 패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한 경우이면 본인인증 실패 메시지를 표시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The smartphone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first authentication pass screen is displayed,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sig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and displays a secondary personal authentication pass message when they match,
Wherein the beac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mbination of the unique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a case in which the pattern information and the pattern information are not identical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비콘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상기 도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폰 전화번호 및 패턴을 입력하고 상기 도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The smartphone according to claim 2,
The smartphone of the authenticated user communicates with the door unit via the beacon to input a smart phone number and a pattern, and transmits the beacon and the smart phone to the door unit to add, delete or modify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Used automatic door lock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판이 구성된 입력부;
터치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숫자 및 상기 터피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에 의해 도어를 락 또는 언학시키는 자물쇠: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3. The door lock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 input unit configured by a numeric keypad for inputting numbers;
A display unit configured by a touch panel and displaying a numb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screen input through the touch panel; And
And a lock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by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a door lock system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1차 인증 및 2차 인증 결과 정단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의 스마트폰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정보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The door according to claim 2,
A smart phone number of the authenticated user or the other user and receives at least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o receive the smart phone number of the authenticated user or the other user, Automatic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 phone to add, delete or modify user information in database.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는비콘,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스마트폰의 접근 및 상기 스마트폰의 접근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도어부가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고유정보와 본인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1차 인증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도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인증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단계에서의 인증결과 상기 스마트폰 사용자가 입력한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이 일치하는 경우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상기 도어락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제공 방법.
A smart phone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a beacon,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at detects an approach of a predetermined smartphone and an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t least one of the sign, pattern, A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door lock service using a beacon and a smart phone, the door including a door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sensing step of sensing an approach of the predetermined smartphone and an approach direction of the smartphone;
A first authentication step of comparing the uniqu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when the comparison results in the first authentication step,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with the door unit;
A second authentication step of inputting and authenticating at least one of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phone; And
And if the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entered by the smartphone user are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in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step, determining that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opening the door lock, Service delivery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단계는,
상기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요청단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사인,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을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받는 입력단계; 및
도어부가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 request step of transmitting a push message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sign, pattern, password and fingerprint to the smartphone;
An input step of inputting at least one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smart phone from among a sign, a pattern, a password, and a fingerprint through the smartphone; And
And a judgment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door part is matched with the signature, pattern, password, fingerprint and signature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password, and fingerpr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rom the smart phone, and an automatic door lock service using a smart phone W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서명, 패턴, 비밀번호 및 지문과 대응하는 서명정보, 패턴정보, 비밀번호 및 지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청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서비스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returning to the requesting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ture, the pattern, the password, the fingerprint and the corresponding signature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password,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do not match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determining step, A method of providing an automatic door lock service.
KR1020150180039A 2015-12-16 2015-12-16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Ceased KR201700718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39A KR20170071869A (en) 2015-12-16 2015-12-16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39A KR20170071869A (en) 2015-12-16 2015-12-16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69A true KR20170071869A (en) 2017-06-26

Family

ID=5928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039A Ceased KR20170071869A (en) 2015-12-16 2015-12-16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869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58B1 (en) * 2017-12-28 2018-04-27 송완주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biometric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067785A1 (en) * 2018-09-28 2020-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location and direction of object
KR20200140023A (en)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1040628A1 (en) * 2019-08-28 2021-03-04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KR20230038923A (en)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동영엠텍 Push-pull door lock for non-contact, non-face-to-face automatic entry and exit IoT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KR20240130400A (en) 2023-02-22 2024-08-2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858B1 (en) * 2017-12-28 2018-04-27 송완주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biometric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067785A1 (en) * 2018-09-28 2020-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location and direction of object
US11877204B2 (en) 2018-09-28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n basis of location and direction of object
KR20240046151A (en) * 2018-09-28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h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orolling a function based on a location and a direction of an objection
KR20200140023A (en)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984620B2 (en) 2019-06-05 2021-04-20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2361775B2 (en) 2019-06-05 2025-07-15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O2021040628A1 (en) * 2019-08-28 2021-03-04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US11756356B2 (en) 2019-08-28 2023-09-12 Igloocompany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locks
KR20230038923A (en)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동영엠텍 Push-pull door lock for non-contact, non-face-to-face automatic entry and exit IoT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KR20230040313A (en) * 2021-09-13 2023-03-22 주식회사 동영엠텍 Method for controlling push-pull open/close door lock for IoT control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automatic access
KR20240130400A (en) 2023-02-22 2024-08-29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88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CN107018124B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KR20170071869A (en) 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automatic door rock system using beacon and smartphone
CN105551118B (en) A kind of electron key opening gate method and its device, system
KR102713609B1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90066415A1 (en) Mobi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KR101595413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structure type approved by hierarchical manager based on ICT convergence technology
US20200329037A1 (en) Security system with a wireless security device
KR20140117264A (en) Entry management a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digital door lock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10748366B2 (en) Mobile-bas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access controller
KR101765080B1 (en) smart door lock system based on iot and the method thereof
KR102726058B1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93556A (en) Security System Using Two fact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reof
KR101396411B1 (en)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using pin and biometric and method thereof
KR101599055B1 (en) a lock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password
JP2006350682A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KR101664888B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between Controller and User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062692A (en) Method, user terminal, door lock device and entry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of opening and closing door
KR20200045905A (en)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KR101226645B1 (en) Method for Managing Digital Locking Apparatus By Using Bionic Information, System And Managing Apparatus
KR20110000997A (en) Smart door lock system using smart key
KR20170073109A (en) Doorlock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4211030A (en) Safe management method, safe, and safe management device
KR1027381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with access authorization list
KR1027511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of complex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