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740A -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 Google Patents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0740A KR20170060740A KR1020150165259A KR20150165259A KR20170060740A KR 20170060740 A KR20170060740 A KR 20170060740A KR 1020150165259 A KR1020150165259 A KR 1020150165259A KR 20150165259 A KR20150165259 A KR 20150165259A KR 20170060740 A KR20170060740 A KR 20170060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information
- clothing
- fashion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Recommending goods or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 G06K9/00006—
-
- G06K9/00597—
-
- G06Q50/30—
-
- H04N5/22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은 사용자의 입장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 및 호출하는 사용자 인식부;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패션뷰 모듈을 구성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패션뷰패션뷰, 사용자 단말기 및 제조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데이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접한 다수의 매장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의류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어 구매에 도움을 주고 오프라인 매장의 판매 활성화에 기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ffline fashion / apparel shop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user upon entry of a user and creating and calling a profile of the user; A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s body shape information in the called profile; A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the motion and taking a picture when the fitting of the user is finished; An apparel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for separately storing information on consumers and clothes in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A central control unit for grasping the pattern of the clothes based on the photographed clothes photograph and recommending the user to the store or the clothes of the nearby shop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cognized body information, a photo capturing screen,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display is constituted as a fashion view module, and is connected to a fashion view fashion view, a user terminal and a manufacturer using a wireless network, The user can easily confirm cloth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his / her taste in a plurality of adjacent stor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urchase and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sales of the offline sto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에서의 판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여러 의류 매장에서 착용했던 옷을 편리하게 비교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의류의 정보를 맞춤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에서의 판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ctivating sales in an offline fashion / apparel st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enabling a consumer to easily compare clothes worn in various apparel stores, ≪ RTI ID = 0.0 > offline fashion / apparel < / RTI >
일반적으로 의류 매장에서 옷을 구매할 때, 사용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의류가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아닌지와 자신의 몸에 잘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구입하기 전에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의류 매장에서는 별도의 피팅룸 등이 구비되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거울이 의류 매장에 구비된다.In general, when purchasing clothes at a clothing store, the user often wears the clothes he or she wants to purchase before purchasing them to check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themselves and whether they fit well with their body. To this end, a garment shop is provided with a separate fitting room, and a user-visible mirror is provided in the garment shop.
사용자가 의류 구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IT 기술을 접목하여 의류 구입이 보다 편리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8599호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팅 룸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 2014.02.13)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18599 (fitting room system for customized service and its method, publication date: 2014.02.13 ) Is disclosed.
상기 개시된 공개특허는 피팅룸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기술이다. The disclosed patent is a technique of utilizing a virtual image us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in a fitting room.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하나의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의류를 한 매장에서만 확인하지 않고, 다양한 매장에서 다양한 의류를 확인해보거나 착용한 이후에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은 실용성에 문제가 있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that can be used in one store. The user is more likely to check various garments at various stores or purchase them after wearing them, rather than checking only the clothes he wants to purchas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problem in practicality.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사용자가 매장에 입장하기 전까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없었고, 자체적으로 광고지를 만들어 무작위로 전달하거나 매장 외부에 광고를 위한 현수막 등을 걸어 주변을 통행하는 사용자들에게 간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Generally, in the offline store, the user can not provide the product information to the consumer in the offline store until the user enters the store, and the user can make a self-made flyer or send it at random or hang around the banner for advertising And indirectly provides information to us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들에게 원활한 정보제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7809호 (상가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공개일: 2002.06.22)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ese problems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s in an offline stor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2-0047809 (a system for providing a shop information ser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Feb. 22, 2002).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상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고객이 상가 건물 혹은 대형 매장 건물 내에 방문할 경우 이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건물 내에 입점 된 각 매장의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건물 내의 특정 매장에서 돌발 이벤트 등이 발생 될 경우 이 정보를 상기 건물 내에 방문한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relates to a commerci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and when a customer visits a shopping mall or a large-sized store building, the customer provides information on each store in the building through the terminal And when an unexpected event or the like occurs in a specific store in the building, th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 terminal of a customer visiting the building.
그러나 이러한 상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이 대형 상가 혹은 백화점에 입주해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없었으며, 사용자가 매장에 입장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hopp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e system can not be utilized when the offline store is not occupied in a large shopping mall or a department store, and information can not be provided even when the user does not enter the store.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팅 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소비자가 의류를 비교함에 있어 소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바가 크고 실질적인 착용 모습에 대한 실시간 비교가 불가능하였으며, 설치된 매장 간의 연결이 되지 않아 소비자가 다른 매장의 의류를 비교하고 구매하는 과정에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fitting room system and the method for customized ser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ssible for the consumer to compare the clothes with each other in real time, There were problems in the process of consumers comparing and purchasing clothing in other stores.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 중 상가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여러 매장의 상품 정보나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매장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이 입주한 상가 및 백화점에 입장해야 하였으며, 사용자는 매장에서 광고하는 정보만을 단편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받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Also,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the commercial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is system can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or even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tores to a user. However, in order to transmit information of a store, The user has to enter stores and department stores, and the us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only recognizes the information advertised in the stores in a fragmentary manner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들이 고객이 되기까지의 흐름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의 정보수집 절차를 계획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들의 소비패턴 및 취향을 분석하여 매장에 인접한 사용자들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매장과 제조업체 및 유통사와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tastes of users in the offline shops by plann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of the software based on the flow until the in-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users adjacent to the store,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system by establishing a system between the offline store and the manufacturer and the distribu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은 사용자의 입장시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 및 호출하는 사용자 인식부;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패션뷰 모듈을 구성하여 패션뷰 서버, 제조사(유통업체) 및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관리자를 통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ffline fashion / apparel shop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user upon entry of a user and creating and calling a profile of the user; A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s body shape information in the called profile; A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the motion and taking a picture when the fitting of the user is finished; An apparel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for separately storing information on consumers and clothes in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A central control unit for grasping a pattern of the cloth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ed clothes photograph to recommend a user to the user at the store or a nearby stor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cognized body information, the photographing screen,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gital signage is connected to the fashion view server, the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the user terminal And is managed through an administrator.
상기에서 사용자 인식부는 피팅 룸의 입구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피팅룸 입장 시 사용자 안구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부; 홍채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주소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초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recognition unit may be an iris recognition unit applied to the entrance of the fitting room to recognize the iris of the user's eye when the user enters the fitting room.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when the iris recognition is not easy; And an address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 by using a name,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When the user is an initial user, the user registration process is performed.
상기에서 사용자 인식부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하여 연령대 분석, 성별 분석, 구매패턴 분석을 통해 고객 정보 분석과정을 실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recognition unit performs a customer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on the recognized user through age group analysis, gender analysis, and purchase pattern analysis, and forms a database.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는 사용자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피팅 룸 내부의 센서를 이용한 신장 측정부; 피팅 룸 바닥에 설치된 체중 측정부 및 체지방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comprises: an elongation measuring unit using a sensor in a fitting room installed to measure a body shape of a user recognized through a user recognizing unit; The body fat analyzer analyzes the body fat based o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user through the body weight measuring part and the body fat measuring part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fitting room and measures the body shape of the user using the body part analyzing algorithm.
상기 체지방 측정부는 피팅 룸의 바닥에 발 사이즈의 전극부가 설치되며, 설치된 전극부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법을 통해 체성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fat measurement unit is provided with a foot-sized electrode unit on the bottom of the fitting room, and the installed electrode unit analyzes the body composition through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method to dataize the body shape of the user.
상기 체형분석 알고리즘은 사용자 이미지의 높이와 넓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배경구역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임의로 분할하는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dy shape analyzing algorithm analyzes a height and a width of a user image, and divides the space into A01, A02, and A03 to Z99 to divide the user and the background area in the analyzed image. A body image quantification process for expressing a user's body shape by digitizing a user part of the zone, an information matching process for inferring a user's body shape by comparing digitized image data with a body shape database, Extracting a body shape information from the extracted body shap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extracted body shap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상기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인식, 음성인식, 디스플레이 터치를 통한 조작을 통해 피팅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era module photographs the fitting picture through motion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and display touch operation when the user's fitting is finished.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는 상의의 데이터를 분리/저장하는 상의 인식부, 하의의 데이터를 분리/저장하는 하의 인식부, 신발 및 기타 악세사리 데이터를 분리/저장하는 악세사리 인식부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is divided into an identification unit for separating / storing data of an image, a lower recognition unit for separating / storing lower data, and an accessory recognition unit for separating / storing shoes and other accessory data .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루어진 패널로써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부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경우 광고/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is a panel made up of digital signage, and provides an interface unit to a user, and provides advertisement / promotion when there is no user.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를 통해 분리된 의류를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내며, 분리된 의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새로운 조합으로 의류를 조합하는 실사 피팅부; RFID 칩을 통해 등록된 매장 내의 의류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입어보지 못한 의류를 가상으로 피팅하며 몸의 체형에 따라 사이즈(S, M, L)를 조정하고 피팅사진 촬영이 가능한 가상 피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interface unit displays the clothes separated through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on the display and combines the clothes in a new combination by the user using the separated clothing data; And a virtual fitting unit that can virtually fit clothes that the user has not worn using clothes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store through the RFID chip and adjust the sizes (S, M, and L)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body, .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 신체정보 측정부, 카메라 모듈, 의류정보 분리저장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매장 내의 상품 정보 및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상표, 색상, 디자인, 소재 등의 의류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패션뷰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stores data collected in the user recognition unit, the body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the camera module, and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on / storage unit in a database,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collects / analyzes clothing information such as color, design, and material,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fashion view server through a network.
상기 중앙 제어부는 매장 내의 실시간 상품관리 및 정보수집을 위해 RFID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uses an RFID chip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for real-time product management and information collection in a store.
상기 중앙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디자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entral control unit uses a garment type analysis algorithm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garment design worn by the user.
상기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은 의류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의류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1, A2 ~ Z9 까지 분할하는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rment type analysis algorithm is a process of analyzing images of garments and dividing a space between A1 and A2 to Z9 for distinguishing between clothing and background in the analyzed image, An image matching process for analogizing the design of clothing by comparing digitized image data with a clothing type database, a clothing information extracting process for extracting a user's clothing taste based on the matched data, And storing the user's clothing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in a database.
상기 중앙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색상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entral control unit uses a color algorithm to collect color information of the clothes worn by the user.
상기 색상 알고리즘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 데이터화 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 정리된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lor algorithm includes a color image data conversion process of analyzing a captured image to produce a data, a color extraction process of extracting colors of the image data, a color grouping process of arranging color information used in the clothing by grouping extracted colors, And a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the color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color used in the garment, and the extracted color information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패션뷰 서버는 각 매장에 설치된 패션뷰 모듈의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수집/분석된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제조사(유통업체) 및 사용자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hion view server collectively analyzes the collected / analyzed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fashion view module installed in each store,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 manufacturer (distributor) and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상기 패션뷰 서버는 트위터, 페이스북, 포털사이트의 패션정보를 수집하여 패션뷰 모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키워드 그룹화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하여 매장별 고객맞춤 분석자료를 사용자 및 제조사(유통업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hion view server collects fashion information of Twitter, Facebook, and portal sites and performs grouping and analysis of keyword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e fashion view module to provide customized analysis data for each store to users and manufacturers (distributors) To the user.
상기 패션뷰 서버는 관리자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사용자 인식 모션의 패턴, 중앙 제어부에서 수집된 의류정보를 분석하는 알고리즘 등의 소프트웨어적 업그레이드 및 하드웨어적 유지/보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hion view server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software upgrade such as a pattern of a user-recognized motion of a camera module by an administrator, an algorithm for analyzing clothing information collected at a central control unit, and hardware maintenance / repair.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패션뷰 APP을 통해 패션뷰 서버와 연결되고, 패션뷰 APP은 사용자가 방문했던 매장별 소비통계, 착용한 의상에 대한 착용이력(History),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된 사용자 취향별 추천상품을 제공하며, SNS 및 문자메세지와 연동하여 지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ashion view server through the fashion view APP, and the fashion view APP stores the consumption statistics for each store visited by the user, the history of wearing the clothes worn,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cquaintances in cooperation with SNS and text messages.
상기 패션뷰 APP은 매장 내의 상품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의 예약/구매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hion view APP includes a product reservation / purchase function of a product desired by the user in real time by grasping the product inventory in the store.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은 판매자가 매장의 의류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빠르고 광범위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들이 고객이 되기까지의 흐름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의 정보수집 절차를 계획하여 사용자의 개인별 정보를 파악하고 맞춤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의 단점을 극복하고 제조사 및 유통업체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enables the merchant to quickly and broadly manage the data on the clothing items of the store, and the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 of the software based on the flow until the offline store visitors become the custom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merchandise tailored to the customers visiting the store by planning,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the offline store by link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link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with the manufacturer and distributor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패션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식부의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신체정보 측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정보 분리저장부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체형 분석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색상 알고리즘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ashion view module of an offline fashion / apparel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er recogni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on /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offline fashion / apparel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ody-part analysis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othing type analysis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the color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패션뷰 모듈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fashion view module of an offline fashion / apparel shop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패션뷰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시스템을 통칭한다.The fashio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vely refers to a system of an offline fashion / apparel sales activation 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패션뷰 모듈은 사용자 인식부(10), 신체정보 측정부(20), 카메라 모듈(30),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 중앙 제어부(50), 데이터베이스(60),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shion view module of the offline fashion / apparel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에 도시된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매장의 피팅 룸의 입구; 통상적으로 피팅 룸의 도어가 설치된 곳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를 착용하기 위해 피팅 룸에 입장 시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불러온다.The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피팅 룸에 입장 시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홍채 인식부(11); 홍채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 장갑이나 외부적인 요인으로 홍채, 지문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찾거나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한 적이 없을 경우 최초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주소 인식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변화가 생겨 인식의 장애가 있을 경우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 프로필을 호출하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사용자 인식부(10)는 인식된 사용자에 대하여 연령대 분석, 성별 분석, 구매패턴 분석을 통해 고객 정보 분석 과정을 실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3에 도시된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20)는 사용자 인식부(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프로필에 피팅 시의 체형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형상화 하고, 체형에 맞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The body
상기 신체정보 측정부(20)는 피팅 룸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70)의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의 신장을 파악하는 신장 측정부(21); 피팅 룸의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 측정부(22); 피팅 룸의 바닥에 설치되어 체지방을 측정해 체형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체지방 측정부(23)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상기 체지방 측정부(23)의 체지방 측정기는 크게 나누어 인체로부터 생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용 전극들과 이 전극들로부터 수신된 생체임피던스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전기 회로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지방 측정기에 있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전극의 수에 따라서 4점식, 6점식, 8점식 등으로 구분한다.The body fat measurement device of the body
일반적으로 체지방 측정용 전극은 클립형태의 전극을 손목, 발목에 장착하거나, 또는 일회용 전극을 좌우 손목, 발, 손등 발등에 조합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접촉형태의 전극을 좌우 손바닥과 발바닥에 조합적으로 접촉하여, 인체내에 미세전류를 가하고 그로부터 전압을 측정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한다.In general, the electrode for measuring body fat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clip-shaped electrode to the wrist or ankle, or attaching a disposable electrode to the left and right wrists, a foot, a back of a hand or the like in combination or attaching a contact type electrode to the left and right palms and soles So that a micro current is applied to the human body and a voltage is measured therefrom to measure the bioelectrical impedance.
상기 체지방 측정부(23)는 피팅 룸의 바닥에 발 사이즈의 전극부가 설치되며, 설치된 전극부는 생체전기임피던스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며, 상기 신장 측정부(21), 체중 측정부(22)에서 측정된 신장과 체중에 체지방 측정부에서 측정된 체지방을 토대로 체형을 분석하여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등 옷에 가려져 일반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체형을 데이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도 7에 도시된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은 사용자 이미지의 높이와 넓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와 배경구역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임의로 분할하는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241) 과정,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242) 과정, 수치화된 이미지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245)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243) 과정,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244)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상기 이미지 데이터화(241) 과정에서 사용자의 체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공간을 A01, A02, A03 ~ Z99 까지 세밀하게 나누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In order to finely analyze the user's body shape in the process of image data generation (241), it is based on finely dividing the space into A01, A02, and A03 to Z99.
상기 카메라 모듈(30)은 피팅 룸 내의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모션인식을 통해 프로그램상으로 지정된 동작을 취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인식, 디스플레이부(7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피팅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he wearer wears the clothing in the fitting room, the
도 4에 도시된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피팅 사진을 바탕으로 사용자와 의류의 정보를 분리/저장하여 사용자가 입어보지 않은 조합의 의류들을 새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는 상기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피팅 사진의 상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상의 인식부(41); 하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하의 인식부(42); 상,하의를 제외한 신발 및 기타 악세사리들을 인식하여 분리/저장하는 악세사리 인식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도 1과 도 6에 도시된 패션뷰 모듈(130)의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10), 신체정보 측정부(20), 카메라 모듈(30),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된 정보를 패션뷰 서버(80)에 네트워크(120)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브랜드, 색상, 디자인, 소재 등의 의류 정보를 상기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로부터 수집하여 패션뷰 서버(80)와 연계하며, 해당 매장 및 인근 매장의 의류와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의류를 추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매장의 의류정보 수집을 위해 RFID 칩(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을 사용하며, 상기 RFID 칩은 상품, 박스등 제품을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되어 공급사슬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 SCM)과 같이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한 매장내의 상품 정보 관리에 사용되며, 저장용량, 인식거리 등의 바코드의 한계를 보완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 태그의 인식과 고속인식을 통한 대기비용을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매장의 의류에 각각 코드를 부여하여 상품목록을 데이터화하여 패션뷰 서버(80)에 저장/관리하며, 사용자는 피팅 룸의 패션뷰 모듈(130) 및 패션뷰 APP(10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인근 매장에서 보유한 의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패션뷰 모듈(130)을 이용하여 의류의 정보를 호출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피팅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RFID 칩에서 RFID 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로 하여금 이 정보를 읽고, 통신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을 말하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 cm에서 수십 m에 떨어져 있는 사물이나 사람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로부터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In the above RFID chip, RFID has information on all processes of production, circulation, storage and consumption in a tag attached to a product, and has its own antenna. The reader reads this information and integrates with the inform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It refers to the activity or chip to be used. It is a technology that uses radio frequency to recognize tags attached to objects or persons distant from several centimeters to tens of meters, and to exchange information from tags.
RFID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RFID 태그를 활용하여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입력된 RFID 태그는 상품, 박스, 팔레트 등에 부착되어 Gate/POS 등에 설치된 리더에서 발사된 주파수가 RFID 태그에 접촉하게 된다. RFID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 입력된 Data를 안테나로 전송한다. 안테나는 전송 받은 Data를 변조하여 리더로 전달되어 리더는 Data를 해독하여 Host Computer로 전송한다.The RFID operation principle is as follows. RFID tags are used to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inputted RFID tag is attached to a product, a box, a pallet, etc., and a frequency emitted from a reader installed at a gate / PO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FID tag. The RFID tag responds to the frequency and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antenna. The antenna modulates the transmitted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reader. The reader decodes th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host computer.
표 1에 나와 있는 것처럼 RFID는 여러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RFID가 바코드와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바코드와 달리 전파를 이용한다.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RFID has several characteristics. Unlike bar codes, RFID uses radio waves, unlike bar codes that read using light. It is not only operating at short distances, it can read tags from a distance, and can receive information through objects.
RFID의 특징은 여러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RFID는 기존에 있는 무선인식 시스템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의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두번째로 동시에 여러 개의 태그를 고속으로 인식할 수 있어 대기비용의 절약이 가능하고 물체를 투과하여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비 접촉식이기 때문에 열악한 외부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네 번째로 RFID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명이 길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 중 인식이 가능해서 실시간 재고 파악과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복제 및 위조/변조가 어려워 보안 유지 및 정품인증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다.The characteristics of RFID can be seen in various ways. First, RFID can store as much data as can be compared with existing wireless recognition systems. Second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several tags at a high speed at the same time, thereby saving the cost of waiting and allow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objects. Third, it is non-contact type, so it can be used in harsh outdoor environment. Fourth, RFID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for long life. It is capable of real-time inventory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because it can be recognized while moving. Finally, replication and tampering / tampering are difficult, enabling the use of security and activation features.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 디자인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51)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8에 도시된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51)은 의류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서 의류와 배경의 구분을 위해 공간을 A1, A2 ~ Z9 까지 분할하는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11),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51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51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rment type analysis algorithm 51 shown in Fig. 8 includes a garment image
상기 중앙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색상 알고리즘(52)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9에 도시된 색상 알고리즘(52)은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화 하는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521), 데이터화 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522),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523), 정리된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 과정(5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5에 도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루어진 패널로써 상기의 과정을 디스플레이에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조작 가능한 인터페이스부(72)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경우 판매자가 등록한 매장의 프로모션 또는 광고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제공하는 광고/프로모션(71)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인터페이스부(72)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를 통해 분리된 의류를 디스플레이상의 우측에 나타내며, 우측의 분리된 의류 데이터를 이용해 사용자가 착용해보지 못한 조합으로 의류를 조합해 볼 수 있는 실사 피팅부(73)화면을 제공한다.The
또한 RFID 칩을 통해 패션뷰 서버(80)에 등록된 매장 내의 의류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입어보지 못한 의류를 가상으로 피팅할 수 있고, 몸의 체형에 따라 가상 의류 이미지의 사이즈(S, M, L 등)를 조정하고 피팅 사진 촬영도 가능한 가상 피팅부(72)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othes that are not worn by the user can be virtually fitted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in the store registered in the
상기 네트워크(120)는 패션뷰 모듈(130)의 중앙 제어부(50)와 패션뷰 서버(80),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조사(유통업체)(90)와 3G, 4G, LTE, wifi, bluetooth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패션뷰 서버(80)는 트위터, 페이스북, 포털사이트의 패션정보를 수집하여 패션뷰 모듈(13)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키워드 그룹화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하여 매장별 고객맞춤 분석자료를 사용자 및 제조사(유통업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도 6에 도시된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의 전체적인 구성도에 따른 본 발명은 각 매장에서 패션뷰 모듈(130)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패션뷰 서버(80)에 연계하고, 사용자의 매장별 의류 소비패턴 등을 데이터화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패션뷰 APP(101)을 통해 전달하며, 제조사(유통업체)(90)에도 판매되거나 고객이 피팅을 위해 선택한 의류의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사(유통업체)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의류상품을 분석하고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nti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offline fashion / apparel shop sales activation solution shown in FIG. 6 associates user data collected through the
상기 패션뷰 서버(80)는 관리자(110)에 의해 카메라 모듈(30)의 사용자 인식 모션의 패턴, 중앙 제어부(50)에서 수집된 의류정보를 분석하는 알고리즘 등의 소프트웨어적 업그레이드 및 하드웨어적 유지/보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상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고 한정된다. 또한,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determin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사용자 인식부
11 : 홍채 인식부 12 : 지문인식부
13 : 주소 인식부
20 : 신체정보 측정부
21 : 신장 측정부 22 : 체중 측정부
23 : 체지방 측정부 24 : 체형분석 알고리즘
241 : 체형 이미지 데이터화 242 : 체형 이미지 수치화
243 : 정보매칭 244 : 체형정보추출
245 : 체형 데이터베이스
30 : 카메라 모듈
40 : 의류정보 분리저장부
41 : 상의 인식부 42 : 하의 인식부
43 : 악세사리 인식부
50 : 중앙 제어부
51 : 의류 형태분석 알고리즘 511 : 의류 이미지 데이터화
512 : 의류 이미지 수치화 513 : 이미지 매칭
514 : 의류정보추출 515 :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
52 : 색상 알고리즘 521 : 색상 이미지 데이터화
522 : 색상 추출 523 : 색상 그룹화
524 : 색상 정보 추출
60 : 데이터베이스
70 : 디스플레이부
71 : 광고/프로모션 72 : 인터페이스부
73 : 실사 피팅부 74 : 가상 피팅부
80 : 패션뷰 서버
90 : 제조사(유통업체)
100 : 사용자 단말기 101 : 패션뷰 APP
110 : 관리자
120 : 네트워크
130 : 패션뷰 모듈10:
11: iris recognition unit 12: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13: address recognition section
20: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21: height measuring unit 22: weight measuring unit
23: body fat measurement part 24: body shape analysis algorithm
241: Body image data conversion 242: Body image quantification
243: Information matching 244: Body shape information extraction
245: body type database
30: Camera module
40: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on / storage unit
41: image recognition unit 42:
43: Accessory recognition unit
50:
51: Clothing type analysis algorithm 511: Apparel image dataization
512: Apparel image quantification 513: Image matching
514: Clothing information extraction 515: Clothing type database
52: Color algorithm 521: Color image dataization
522: Color Extraction 523: Color Grouping
524: Color information extraction
60: Database
70:
71: Advertisement / Promotion 72: Interface part
73: Actual fitting portion 74: Virtual fitting portion
80: fashion view server
90: Manufacturer (distributor)
100: user terminal 101: fashion view APP
110: Manager
120: Network
130: Fashion view module
Claims (21)
호출된 프로필에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인식하는 신체정보 측정부(20);
사용자의 피팅이 끝나면 모션을 인식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30);
촬영된 사진에서 소비자와 의류의 정보를 따로 저장하는 의류정보 분리저장부(40);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촬영된 의류 사진을 바탕으로 의류의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 또는 인근 매장의 의류를 추천하는 중앙 제어부(50);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인식된 신체정보 및 사진촬영화면, 의류정보 등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가 패션뷰 모듈(130)을 구성하여 패션뷰 서버(80), 제조사(유통업체)(90) 및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관리자(110)를 통해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A user recognition unit 10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a user upon entering the user and creating and calling a profile of the user;
A body information measuring unit 20 for recognizing the user's body shape information in the called profile;
A camera module (30) for recognizing the motion and taking a picture when the fitting of the user is finished;
An apparel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40) for separately storing information on consumers and clothes in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A central control unit (50) for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cloth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ed clothes photograph and recommending the user to the store or the clothes of the nearby shops;
The display unit 70, which outputs the recognized body information, the photographed image, the clothing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display through the digital signage, constitutes the fashion view module 130 to form the fashion view server 80, (Distributor) 90 and the user terminal 100, and is managed through the manager 110. The offline-style fashion /
홍채 인식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12);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주소 인식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최초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 등록과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6]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ser recognition unit (10) comprises: an iris recognition unit (11) which is applied to an entrance of a fitting room and recognizes an iris of a user's eye when the user enters a fitting room;
A fingerprint recognizing unit (12) for recognizing iris recognition through a fingerprint when the iris recognition is not easy;
And an address recognizing unit (13) for recognizing the user by using a name,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When the user is an initial user, a user registra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recognition unit (10) performs a customer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on the recognized user through age group analysis, gender analysis, and purchase pattern analysis, solution.
피팅 룸 바닥에 설치된 체중 측정부(22) 및 체지방 측정부(23)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 및 체중을 바탕으로 체지방을 분석해 체형분석 알고리즘(24)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The body-information measuring unit 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information measuring unit 20 comprises: an elongation measuring unit 21 using a sensor inside a fitting room installed to measure a body shape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user recognizing unit 10;
The user's body shape is measured by analyzing the body fat based o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user through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22 and the body fat measuring unit 23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fitting room,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3] The body fat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at measurement unit (23) is provided with a foot size electrode unit on the bottom of the fitting room, and the body part of the body part is analyzed by 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To-dat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2.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module (30) photographs a fitting picture through operation through motion recognition, speech recognition, and display touch when the user's fitting is finished.
하의의 데이터를 분리/저장하는 하의 인식부(42);
신발 및 기타 악세사리 데이터를 분리/저장하는 악세사리 인식부(43)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ng and storing unit (40) comprises: a recognizing unit (41) for separating / storing data of clothing,
A lower recognition section 42 for separating / storing lower data;
And an accessory recognition unit (43) for separating / storing shoes and other accessory data.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70) is a panel made of digital signage, and provides an interface unit (72) to the user and provides an advertisement / promotion (71)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central control unit 50 to transmit data collect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10, the body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0, the camera module 30 and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on and storage unit 40 to the database 60 ),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collects / analyzes clothing information such as the brand information, the color, the design, and the material of the clothing worn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fashion view server 80 through the network Features an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2.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50) uses an RFID chip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hip) for real time product management and information collection in the store.
The fashion view server (8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hion view server (80) integrat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 analyz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50) of the fashion view module (130) (120) to the terminal (100) via the network (120).
The fashion view server (8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hion view server (80) comprises a software updater such as a pattern of a user-recognized motion of the camera module (30) and an algorithm for analyzing cloth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entral controller And hardware maintenance / repair are provided.
The fashion view server (8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hion view server (80) collects fashion information of Twitter, Facebook, and portal sites and performs grouping and analysis of keyword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fashion view module (130) An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featuring custom analytics to users and manufacturers (distributors).
3.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50) utilizes a clothing type analysis algorithm (51) to collect information of the clothing design worn by the user.
3.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50) uses a color algorithm (52) to collect color information of the wearer's clothing.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사용자 부분을 수치화 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표현하는 체형 이미지 수치화 과정(24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체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하는 정보 매칭 과정(24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추출하는 체형 정보 추출 과정(2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데이터베잇(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ody shape analysis algorithm (24) analyzes the height and the width of the user image, and divides the space into A01, A02, and A03 to Z99 Step 241;
A body image quantification process (242) for expressing a user's body shape by digitizing a user part of a zone generated through an image data process;
An information matching step (243) of comparing the digitized image data with the body type database to infer the body shape of the user;
And a body information extracting step (244) of extracting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atched data, and the body shape information of the user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is stored in the databit (60)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nterface unit (72) displays clothes separated through the clothing information separation / storage unit (40) 73); A virtual fitting portion 74 for fitting clothing that is not worn by the user using the clothing information in the store registered through the RFID chip and adjusting the size (S, M, L)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body, Wherein the offline fashion / clothing store sales activation solution is provided.
The user view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user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fashion view server (80) through a fashion view APP (101) It provides a recommended product for each user's taste analyzed through history and algorithms, and i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acquaintances in conjunction with SNS and text messages.
이미지 데이터화 과정을 통해 생성된 구역의 의류 부분을 수치화하여 의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의류 이미지 수치화 과정(512);
수치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 형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의류의 디자인을 유추하는 이미지 매칭 과정(513);
매칭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류 취향을 추출하는 의류 정보 추출 과정(514);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Claim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lothing type analysis algorithm (51) comprises: an apparel image data acquisition process (511) for analyzing images of the clothes and dividing the space into A1 and A2 to Z9 for distinction between clothes and background in the analyzed images;
A garment image digitizing process (512) for collecting garment data by digitizing a garment portion of a zone generated through an image dataizing process;
An image matching process 513 for comparing the digitized image data with the clothing type database to infer the design of the clothing;
An apparel information extracting step (514) of extracting clothes taste of the user based on the matched data; And stores the user's clothing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process in the database (60).
데이터화 된 이미지의 색상을 추출하는 색상 추출 과정(522);
추출된 색상의 그룹화를 통해 의류에 사용된 색상의 정보를 정리하는 색상 그룹화 과정(523); 정리된 색상 정보를 추출하여 의류에 사용된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정보 추출 과정(524);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의 색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패션/의류 매장 판매 활성화 솔루션.
[Claim 15]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lor algorithm (52) comprises: a color image data conversion process (521) for analyzing and digitizing the photographed image;
A color extraction process 522 for extracting a color of the data image;
A color grouping step (523) of arranging color information used in the clothes through grouping of the extracted colors; A color information extracting step (524) of extracting the sorted color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 color used in the garment; And stores the extracted color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database (60). ≪ RTI ID = 0.0 > [10] < / RTI >
[Claim 17] The offline fashion / apparel store sales activating solution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fashion view APP (101) includes a function of reserving / purchasing goods desired by the user in real time while grasping the product stock in the stor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5259A KR20170060740A (en) | 2015-11-25 | 2015-11-25 |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5259A KR20170060740A (en) | 2015-11-25 | 2015-11-25 |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0740A true KR20170060740A (en) | 2017-06-02 |
Family
ID=5922267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5259A Ceased KR20170060740A (en) | 2015-11-25 | 2015-11-25 |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60740A (en) |
Cited By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035259A (en) * | 2018-07-23 | 2018-12-18 | 西安建筑科技大学 | A kind of three-dimensional multi-angle fitting device and fitting method |
| KR20190018130A (en) * | 2017-08-10 | 2019-02-21 | 이종천 |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having show window display 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thereof |
| KR101955813B1 (en) * | 2017-09-08 | 2019-03-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Shopping Mediating Using Virtual-Augmented Reality |
| KR20190082048A (en) * | 2017-12-29 | 2019-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to recommend customer item based on visual information |
| WO2019168224A1 (en) * | 2018-02-28 | 2019-09-06 | (주)미디어포스원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virtual fitting associated service |
| WO2019168223A1 (en) * | 2018-02-28 | 2019-09-06 | (주)미디어포스원 | Immersive virtual-fitting linking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immersive virtual-fitting linking service provision method |
| KR102044901B1 (en) * | 2019-05-30 | 2019-12-02 | 패디코리아 주식회사 | System for generating image-based purchase information of fitting goods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
| KR20190142526A (en) * | 2018-06-18 | 2019-12-27 | 유승상 |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for prospective customers in offline stores |
| KR102077805B1 (en) * | 2018-11-26 | 2020-02-14 | (주)에이텐시스템 | apparatus for analyzing the purchasing behavior pattern of cli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200025046A (en) * | 2018-08-29 | 2020-03-10 | 박윤우 | Foot size based shoe size calculation system |
| KR20200055486A (en) * | 2018-11-13 | 2020-05-21 | 김영욱 | A automation system for unmanned sale of clothes |
| KR20210089309A (en) * | 2020-01-08 | 2021-07-16 | 주식회사 와이즈컨 | Smart window display |
| KR102322310B1 (en) * | 2020-12-04 | 2021-11-08 | 이경세 | Advertisement Apparatus based on Visitor at Store and Method thereof |
| KR102361729B1 (en) | 2021-08-03 | 2022-02-14 | 주식회사 모즈메이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big size clothing based on body shape analysis |
| KR20230033531A (en) * | 2021-09-01 | 2023-03-08 | 김대현 | Method for providing unmanned goods service |
| KR20230063615A (en) * | 2021-11-02 | 2023-05-09 | 원스모어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s and repairs of miscellaneous goods based on demand-supply attributes |
| KR20230137861A (en) * | 2020-03-04 | 2023-10-05 | 케이퍼스트랩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fline purchase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of purchase through customized preparation |
| US11978105B2 (en) | 2018-04-04 | 2024-05-07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
-
2015
- 2015-11-25 KR KR1020150165259A patent/KR2017006074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18130A (en) * | 2017-08-10 | 2019-02-21 | 이종천 |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having show window display 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thereof |
| KR101955813B1 (en) * | 2017-09-08 | 2019-03-08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Shopping Mediating Using Virtual-Augmented Reality |
| KR20190082048A (en) * | 2017-12-29 | 2019-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to recommend customer item based on visual information |
| WO2019168224A1 (en) * | 2018-02-28 | 2019-09-06 | (주)미디어포스원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virtual fitting associated service |
| WO2019168223A1 (en) * | 2018-02-28 | 2019-09-06 | (주)미디어포스원 | Immersive virtual-fitting linking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immersive virtual-fitting linking service provision method |
| US11978105B2 (en) | 2018-04-04 | 2024-05-07 |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
| KR20190142526A (en) * | 2018-06-18 | 2019-12-27 | 유승상 |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and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for prospective customers in offline stores |
| CN109035259B (en) * | 2018-07-23 | 2021-06-29 | 西安建筑科技大学 | A three-dimensional multi-angle fitting device and fitting method |
| CN109035259A (en) * | 2018-07-23 | 2018-12-18 | 西安建筑科技大学 | A kind of three-dimensional multi-angle fitting device and fitting method |
| KR20200025046A (en) * | 2018-08-29 | 2020-03-10 | 박윤우 | Foot size based shoe size calculation system |
| KR20200055486A (en) * | 2018-11-13 | 2020-05-21 | 김영욱 | A automation system for unmanned sale of clothes |
| KR102077805B1 (en) * | 2018-11-26 | 2020-02-14 | (주)에이텐시스템 | apparatus for analyzing the purchasing behavior pattern of cli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044901B1 (en) * | 2019-05-30 | 2019-12-02 | 패디코리아 주식회사 | System for generating image-based purchase information of fitting goods and terminal device for the same |
| KR20210089309A (en) * | 2020-01-08 | 2021-07-16 | 주식회사 와이즈컨 | Smart window display |
| KR20230137861A (en) * | 2020-03-04 | 2023-10-05 | 케이퍼스트랩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fline purchase service providing convenience of purchase through customized preparation |
| KR102322310B1 (en) * | 2020-12-04 | 2021-11-08 | 이경세 | Advertisement Apparatus based on Visitor at Store and Method thereof |
| KR102361729B1 (en) | 2021-08-03 | 2022-02-14 | 주식회사 모즈메이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big size clothing based on body shape analysis |
| KR20230033531A (en) * | 2021-09-01 | 2023-03-08 | 김대현 | Method for providing unmanned goods service |
| KR20230063615A (en) * | 2021-11-02 | 2023-05-09 | 원스모어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s and repairs of miscellaneous goods based on demand-supply attribute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60740A (en) | Offline Fashion-sales Active System | |
| KR20170060736A (en) | Method for supplying a fitting image from offline clothing stores with digital signage | |
| CN110033298B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ystem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 US1029003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retail checkout using context recognition | |
| KR101779094B1 (en) | A integration store management system using intelligent type image analysis technology | |
| US10720039B2 (en) | Smart garment that communicates at least one parameter to a receiver | |
| JP5650499B2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collecting consumer purchase preferences for goods | |
| JP348411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dentification using wireless identification and visual data transmission | |
| KR101779096B1 (en) | The object pursuit way in the integration store management system of the intelligent type image analysis technology-based | |
| KR1015890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Product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
| US20170308911A1 (en) | Shopping cart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shopping behaviors | |
| CN103226774A (en) | Information exchange system | |
| CN108961005A (en) | Information-push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 |
| CN110648186B (en) | Data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CN108596730A (en) |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he smart machine of dress ornament information | |
| JP7082216B2 (en) | Impact measurement methods and devices using social networks | |
| KR20200079721A (en) | Smart cloth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
| CN108335317A (en) | Shopping guide method and device under a kind of line | |
| CN202771478U (en) | Try-on system | |
| JP2021512385A (en) | Methods and systems to support purchasing in the physical sales floor | |
| CN110084657A (en) |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dress ornament | |
| CN110889719A (en) | Advertisement push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 |
| CN110533440A (en) | A kind of internet advertisement information dispensing application method based on video camera | |
| US20160307215A1 (en) |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ttribute information of customer by the same | |
| CN111539787A (en) |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intelligent glasse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6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