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72A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172A KR20150106172A KR1020140028323A KR20140028323A KR20150106172A KR 20150106172 A KR20150106172 A KR 20150106172A KR 1020140028323 A KR1020140028323 A KR 1020140028323A KR 20140028323 A KR20140028323 A KR 20140028323A KR 20150106172 A KR20150106172 A KR 201501061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resistive
- memory
- resistive element
- region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6—Complex metal oxides, e.g. perovskites, spi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44—Multiple simultaneous or quasi-simultaneous cache accessing
- G06F12/0846—Cache with multiple tag or data arrays being simultaneously acc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 프로세서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구현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132: 제1 가변 저항 소자 136: 제2 가변 저항 소자
146: 제6 콘택 156: 제1 패드
157: 제2 패드
Claims (20)
-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1 가변 저항 소자가 배치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데이터 센싱에 이용되는 기준 저항 소자가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저항 소자는,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상기 복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각각과 접속하는 복수의 콘택; 및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는 상기 콘택 중 일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인접한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는 상기 콘택 중 일부와 접속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및 상기 인접한 제2 가변 저항 소자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저항 소자는,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중 양단에 배치되는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면서 상기 제1 패드와 접속하지 않는 콘택과 접속하고, 외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하단과 접속하는 하부 콘택,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상단과 접속하는 상부 콘택, 및 상기 상부 콘택의 상단과 접속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은, 상기 상부 콘택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배선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 소자는, 제1 강자성층, 제2 강자성층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터널 베리어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 소자보다 아래 레벨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일단과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보다 아래 레벨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준 저항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과 중첩하는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상기 소자는 서로 절연되는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셀 어레이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주변회로 영역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셀 어레이 영역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의 추출이나 해독 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신호의 입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명령을 해독한 결과에 따라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을 수행하는 데이터, 상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연산을 수행하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상기 기억부의 일부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연산을 수행하는 코어부;
상기 연산을 수행하는 데이터, 상기 연산을 수행한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연산을 수행하는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캐시 메모리부; 및
상기 코어부와 상기 캐시 메모리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코어부와 상기 캐시 메모리부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에서 상기 캐시 메모리부의 일부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수신된 명령을 해석하고 상기 명령을 해석한 결과에 따라 정보의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명령을 해석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를 이용해 상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정보를 이동시켜 저장하는 주기억장치; 및
상기 프로세서, 상기 보조기억장치 및 상기 주기억장치 중 하나 이상과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 내에서 상기 보조기억장치 또는 상기 주기억장치의 일부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공급되는 전원에 관계없이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저장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저장 장치와 외부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 장치; 및
상기 저장 장치,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임시 저장 장치 중 하나 이상과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 내에서 상기 저장 장치 또는 상기 임시 저장 장치의 일부인
전자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공급되는 전원에 관계없이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메모리;
외부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상기 메모리와 외부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버퍼 메모리 중 하나 이상과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메모리 시스템 내에서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버퍼 메모리의 일부인
전자 장치.
-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정의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 제1 및 제2 가변 저항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 상에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 각각과 접속하는 복수의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 상에,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는 상기 콘택 중 일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인접한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는 상기 콘택 중 일부와 접속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및 상기 인접한 제2 가변 저항 소자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상에,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제2 가변 저항 소자 중 양단에 배치되는 제2 가변 저항 소자와 접속하면서 상기 제1 패드와 접속하지 않는 콘택과 접속하고, 외부 배선과 연결되는 제2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하단과 접속하는 하부 콘택,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상단과 접속하는 상부 콘택, 및 상기 상부 콘택의 상단과 접속하는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택 형성 단계는, 상기 상부 콘택 형성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제1 패드 형성 단계는, 상기 배선 형성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 저항 소자 형성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강자성층, 터널 베리어층 및 제2 강자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강자성층, 상기 터널 베리어층 및 상기 제2 강자성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보다 아래 레벨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가변 저항 소자의 일단과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보다 아래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 가변 저항 소자가 배열되는 영역과 중첩하는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323A KR102161610B1 (ko) | 2014-03-11 | 2014-03-11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4/323,962 US9559145B2 (en) | 2014-03-11 | 2014-07-03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323A KR102161610B1 (ko) | 2014-03-11 | 2014-03-11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172A true KR20150106172A (ko) | 2015-09-21 |
KR102161610B1 KR102161610B1 (ko) | 2020-10-05 |
Family
ID=5406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323A Active KR102161610B1 (ko) | 2014-03-11 | 2014-03-11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559145B2 (ko) |
KR (1) | KR1021616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36879B2 (en) * | 2014-01-24 | 2016-05-10 |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 Multiple phase change materials in an integrated circuit for system on a chip application |
KR102357987B1 (ko) * | 2017-07-14 | 2022-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734551B1 (ko) | 2019-03-29 | 2024-11-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1270938B2 (en) * | 2020-06-24 | 2022-03-08 |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33941A (en) * | 1988-06-07 | 1990-06-12 | Honeywell Bull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operation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data processing system |
KR20060100280A (ko) * | 2005-03-16 | 2006-09-20 |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
KR20080089189A (ko) * | 2007-03-30 | 2008-10-06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자기저항 효과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자기저항 랜덤 액세스메모리 |
US20090040802A1 (en) * | 2007-08-07 | 2009-02-1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mounted lsi and fabric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20110090980A (ko) * | 2008-10-31 | 2011-08-10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저항성 메모리 |
US20120063196A1 (en) * | 2010-09-14 | 2012-03-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esh operation of resistive memory device |
KR20130122350A (ko) * | 2012-04-30 | 2013-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288B1 (ko) | 2008-07-07 | 2010-11-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수직 자기형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107190A (ko) * | 2010-03-24 | 2011-09-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항성 메모리의 마모 셀 관리 방법 및 장치 |
US9245610B2 (en) * | 2012-09-13 | 2016-01-26 | Qualcomm Incorporated | OTP cell with reversed MTJ connection |
KR20140102993A (ko) * | 2013-02-15 | 2014-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증가된 온/오프 비를 갖는 자기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 |
US9190452B2 (en) * | 2013-04-25 | 2015-11-17 | Keisuke Nakatsuka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323A patent/KR102161610B1/ko active Active
- 2014-07-03 US US14/323,962 patent/US955914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33941A (en) * | 1988-06-07 | 1990-06-12 | Honeywell Bull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the operation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 data processing system |
KR20060100280A (ko) * | 2005-03-16 | 2006-09-20 | 가부시끼가이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 |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
US20060209585A1 (en) * | 2005-03-16 | 2006-09-21 | Renesas Technology Corp.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20080089189A (ko) * | 2007-03-30 | 2008-10-06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자기저항 효과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자기저항 랜덤 액세스메모리 |
US20090040802A1 (en) * | 2007-08-07 | 2009-02-1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mounted lsi and fabric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KR20110090980A (ko) * | 2008-10-31 | 2011-08-10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 저항성 메모리 |
US20120063196A1 (en) * | 2010-09-14 | 2012-03-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sistiv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esh operation of resistive memory device |
KR20120028166A (ko) * | 2010-09-14 | 2012-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저항성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시 제어 방법 |
KR20130122350A (ko) * | 2012-04-30 | 2013-1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263071A1 (en) | 2015-09-17 |
US9559145B2 (en) | 2017-01-31 |
KR102161610B1 (ko) | 202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23026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arrier layer | |
KR20160073847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9520187B2 (en) | Electric device having wire contacts coupled to stack structures with variable resistance elements | |
KR20180016882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29529A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4929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102287A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50102323A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06485A (ko) |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19920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36988A (ko) | 전자 장치 | |
KR2015011099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6007385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80795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80086351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87744B1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34961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55783B1 (ko) | 전자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20794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61610B1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70064018A (ko) | 전자 장치 | |
US9905613B2 (en) | Movement of oxygen vacancies in an electronic device | |
KR20160073792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6678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50054518A (ko) |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