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50041403A -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403A
KR20150041403A KR20130119881A KR20130119881A KR20150041403A KR 20150041403 A KR20150041403 A KR 20150041403A KR 20130119881 A KR20130119881 A KR 20130119881A KR 20130119881 A KR20130119881 A KR 20130119881A KR 20150041403 A KR20150041403 A KR 20150041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formation
channels
channel
absolute address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범
민석인
이상근
이승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403A/ko
Priority to US14/255,583 priority patent/US20150101001A1/en
Priority to EP20140175920 priority patent/EP2863644A1/en
Publication of KR2015004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0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전환된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에 대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채널 전환에 따른 채널 전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isplay a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빠른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채널에서 대기 채널로 채널 전환을 수행하고, 채널 전환된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데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전환 시 발생하는 시간 지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채널 전환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종래의 채널 전환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수의 튜너부를 구비하여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같은 채널 전환 방법은 복수의 튜너부 중 하나의 메인 튜너부를 통해 시청 채널을 선국하고, 나머지 서브 튜너부를 통해 시청 채널과 인접한 주변 채널을 선국하여 해당 주변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버퍼에 임시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 같은 종래의 채널 전환 방법은 시청 채널과 인접한 주변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버퍼에 임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채널 전환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나, 해당 채널로의 전환 시 버퍼에 임시 저장된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데 있어 지연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튜너부 각각에 대응하는 개수의 디코딩부를 구비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복수의 튜너부 각각에 대응하는 개수의 디코딩부를 구비할 경우, 디코딩부 추가에 대한 자원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복잡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 전환에 따른 채널 전환 속도를 개선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전환된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SE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 압축 방식이면, 픽쳐(Picture)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하고, H.264 압축 방식이면 슬라이스(Slice)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테이블에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청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 선택하여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상기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PIP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두 개의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을 디코딩하며, 상기 두 개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시청 채널에 대한 디코딩 수행을 중지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테이블 중에서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상기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픽쳐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로부터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상기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코딩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SE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 압축 방식이면, 픽쳐(Picture)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H.264 압축 방식이면, 슬라이스(Slice)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테이블에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신호부는, 상기 시청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청 채널을 선국하는 메인 튜너부 및 상기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상기 대기 채널로 선택하여 선국하는 서브 튜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상기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부는, 제1 및 제2 디코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PIP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두 개의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을 디코딩하도록 제1 및 제2 디코딩부를 제어하며, 상기 두 개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테이블 중에서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상기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시청 채널에 대한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픽쳐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로부터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위한 구성에 대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채널 전환에 따른 채널 전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대기 채널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 채널에서 채널 전환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로 전환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방송 수신부(110), 디코딩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부(110)는 메인 튜너부(111) 및 서브 튜너부(113)를 통해 선국된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튜너부(111)는 초기 설정된 시청 채널 혹은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시청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 같은 메인 튜너부(111)를 통해 시청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디코딩부(120)는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출력부(130)는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131) 및 비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서브 튜너부(111)는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대기 채널로 선택하여 선국하고, 그 선국된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 같은 서브 튜너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서브 튜너부(111)가 n개 일 경우, n 개의 서브 튜너부(111) 각각은 기설정된 각각의 대기 채널를 선국하고, 선국된 각각의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부(110)는 단일의 메인 튜너부(111)와 다섯 개의 서브 튜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섯 개의 서브 튜너부(113) 중 두 개의 서브 튜너부(113)는 메인 튜너부(111)에서 선국되는 시청 채널과 인접한 상위 두 개의 대기 채널을 선국하며, 나머지 세 개의 서브 튜너부(113)는 메인 튜너부(111)에서 선국되는 시청 채널과 인접한 하위 세 개의 대기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튜너부(111) 및 서브 튜너부(113)를 통해 시청 채널 및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디코딩부(120)는 각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출력부(130)는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131) 및 비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부(110), 제어부(150) 뿐만 아니라 신호 처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21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 같은 신호 처리부(210)는 디모듈레이터(211), 디먹스(212), 버퍼(213), 제1 및 제2 디코딩부(214-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모듈레이터(21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지상파, 케이블 및 위성 방송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변조된 방송 신호를 원래의 방송 신호로 복조한다. 그리고, 디먹스(212)는 복조된 방송 신호를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하며, 버퍼(213)는 디먹스(212)를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된 방송 신호를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디코딩부(214-1,2) 중 적어도 하나는 버퍼(213)에 임시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부(150)는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제3 튜너부(30)는 전술한 메인 튜너부(111)로써 초기 설정된 시청 채널 혹은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시청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튜너부(10,20)와 제4 내지 제6 튜너부(40~60)는 전술한 서브 튜너부(113)로써, 이 중 제1 및 제2 튜너부(10,20)는 제3 튜너부(30)에 의해 선국되는 시청 채널과 인접한 상위 대기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4 내지 제6 튜너부(40~60)는 제3 튜너부(30)에 의해 선국되는 시청 채널과 인접한 하위 대기 채널을 선국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 같이,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를 통해 시청 채널 및 대기 채널로부터 복수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디모듈레이터(211)는 각각의 방송 신호를 원래의 방송 신호로 복조하여 디먹스(212)로 출력한다. 따라서, 디먹스(212)는 디모듈레이터(211)를 통해 복조된 각각의 방송 신호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파싱(Parsing)하여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PES 패킷의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 : ES)에 기초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분리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를 통해 수신된 각각의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분리되면, 버퍼(213)는 각각의 방송 신호별 분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따라서, 제1 디코딩부(214-1) 또는 제2 디코딩부(214-2)는 버퍼(213)에 임시 저장된 방송 신호별 분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1 디코딩부(214-1)는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메인 튜너부(111)인 제3 튜너부(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PIP(Picture in Picture)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 중 제3 튜너부(30)와 나머지 중 하나가 메인 튜너부(111)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IP 모드에서 제3 및 제4 튜너부(30,40)가 메인 튜너부(111)로 설정되면, 제1 디코딩부(214-1)는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메인 튜너부(111)인 제3 튜너부(3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디코딩부(214-2)는 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또다른 메인 튜너부(111)로 설정된 제4 튜너부(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하나 혹은 두 개의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제1 및 제2 디코딩부(214-1,2)를 통해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에 대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대기 채널로의 빠른 채널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서, 디코딩되는 방송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방송 신호의 디코딩을 위한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써,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후술할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 제어부(15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40)는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40)는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테이블은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 중 제1 및 제2 튜너부(10,20)와 제4 내지 제6 튜너부(40~60)를 통해 선국된 각각의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저장부(140)는 제1 및 제2 튜너부(10,20)와 제4 내지 제6 튜너부(40~60)를 통해 수신된 각각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가 기록된 제1 내지 제5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60)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시청 채널에서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저장부(140)에 기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디코딩부(120) 및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정보이며, 시작 어드레스 정보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 튜너부(10~60) 중 제3 튜너부(30)를 통해 선국된 채널은 시청 채널이 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튜너부(10,20)와 제4 내지 제6 튜너부(40~60)를 통해 선국된 채널은 대기 채널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각각의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버퍼(213)에 임시 저장된 각 방송 신호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PES 패킷으로부터 PES 헤더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PES 헤더를 참조하여 각 방송 신호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로부터 각 방송 신호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150)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각 PES 패킷별 요소 스트림에 대한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압축 방식이면, 제어부(150)는 픽쳐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으로부터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H.264 압축 방식이면, 제어부(150)는 슬라이스(Slice) 정보에 기초하여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으로부터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EG 압축 방식으로 이루어진 PES 패킷의 요소 스트림은 I(Intra) 픽쳐 프레임, P(Previous) 픽쳐 프레임 및 B(Bi-directional) 픽쳐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I 픽쳐 프레임은 단독으로 디코딩이 가능하며, P 픽쳐 프레임은 I 픽쳐 프레임을 참조하여 디코딩이 가능하며, B 픽쳐 프레임은 시간적으로 전후에 존재하는 I 픽쳐 프레임 및 P 픽쳐 프레임을 참조하여 디코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으로부터 I 픽쳐 프레임이 위치하는 지점을 절대 어드레스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ES 패킷별 요소 스트림에 대한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제어부(150)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대기 채널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테이블(310,320)은 서로 다른 대기 채널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튜너부(10,20)를 통해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테이블(310)은 제1 튜너부(10)를 통해 선국된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테이블(320)은 제2 튜너부(20)를 통해 선국된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및 제2 테이블(310,320)에 각각 기록되는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는 제1 및 제2 튜너부(10,20)를 통해 선국된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테이블(310,320)의 상단에는 제1 및 제2 튜너부(10,20)를 선국된 대기 채널로부터 가장 먼저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시간 정보(A time)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A ddress)가 기록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제1 및 제2 튜너부(10,20)를 선국된 대기 채널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시간 정보(A time)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A ddress)가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을 위해 추출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는 테이블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테이블에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삭제된 테이블 영역에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해당 테이블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에 대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나머지 대기 채널의 테이블 중에서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전환 명령이 입력된 지점에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시청 채널에 대한 디코딩을 중단하고,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픽쳐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디코딩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기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로부터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디코딩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코딩부(120)는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대기 채널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 채널에서 채널 전환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로 전환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튜너부(111)는 시청 채널인 제1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서브 튜너부(113)는 대기 채널인 제2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튜너부(111) 및 서브 튜너부(113)를 통해 제1 및 제2 채널로부터 각각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코딩부(120)는 제1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따라서, 출력부(130)는 디코딩부(120)를 통해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131) 및 비디오 출력부(13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2 채널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여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시청 채널인 제1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대기 채널인 제2 채널에 대한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같은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제2 채널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410)에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의 방송 신호와 관련하여 a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 b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 및 c 픽쳐 프레임을 레퍼런스 프레임으로 결정하고, 레퍼런스 프레임으로 결정된 a,b,c 픽쳐 프레임 각각에 대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이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410)에 디코딩 가능한 픽쳐 프레임에 대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410)에 디코딩 가능한 픽쳐 프레임은 b 픽쳐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b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채널인 제2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디코딩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획득한 b 픽쳐 프레임에 대한 정보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b 픽쳐 프레임과 동기화되는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디코딩부(120)는 시청 채널인 제1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중단하고, 기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 채널에서 대기 채널로의 채널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5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튜너부 및 서브 튜너부를 통해 선국된 복수의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복수의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채널이 선택되면, 메인 튜너부를 통해 시청 채널을 선국하여 해당 시청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대기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브 튜너부를 통해 대기 채널을 선국하여 해당 대기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이 시청 채널 및 대기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S520). 한편,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530).
실시예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가 단일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일의 디코딩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하나의 시청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채널 중 하나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출력 모드가 PIP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개의 디코딩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채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두 개의 시청 채널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을 디코딩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채널 중 두 개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테이블이 저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위한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판단 결과, 전환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지속적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저장된 테이블 중 입력된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여 출력한다(S5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테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S6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한다(S620).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이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S630).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 압축 방식이면, 픽쳐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H.264 압축 방식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라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640).
여기서, 테이블은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될 수 있다. 이 같이, 해당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해당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테이블로부터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삭제된 테이블 영역에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여 해당 테이블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채널 전환에 대한 전환 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저장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에 대한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디코딩 중인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디코딩 수행을 중지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저장된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서 기저장된 복수의 테이블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입력된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한다(S710).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이 결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 및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S7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이 결정되면,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획득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테이블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 및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획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픽쳐 프레임 및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한다(S730).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해당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방송 수신부 111 : 메인 튜너부
113 : 서브 튜너부 120 : 디코딩부
130 : 출력부 131 : 오디오 출력부
133 : 비디오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211 : 디모듈레이터
212 : 디먹스 213 : 버퍼

Claims (20)

  1.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전환된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한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SE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 압축 방식이면, 픽쳐(Picture)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하고, H.264 압축 방식이면 슬라이스(Slice)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테이블에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 선택하여 선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상기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PIP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두 개의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을 디코딩하며, 상기 두 개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시청 채널에 대한 디코딩 수행을 중지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테이블 중에서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상기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픽쳐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로부터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전환 방법.
  11. 복수의 채널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청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어드레스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중 하나의 대기 채널로의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를 상기 테이블에 기초하여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코딩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로부터 디먹싱된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PES 헤더를 참조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각각의 시간 정보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포함된 요소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부터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압축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각각의 PES 패킷으로부터 결정된 압축 방식 및 시작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코딩 가능한 레퍼런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의 PSE 패킷 중 적어도 하나의 PES 패킷이 MPEG 압축 방식이면, 픽쳐(Picture) 프레임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고, H.264 압축 방식이면, 슬라이스(Slice) 정보에 기초하여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방송 신호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 각각에 대해 생성된 테이블에 PES 패킷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모두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PES 패킷에 대한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테이블에 가장 먼저 기록된 시간 정보 및 어드레스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시간 정보 및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부는,
    상기 시청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시청 채널을 선국하는 메인 튜너부; 및
    상기 시청 채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개수의 주변 채널을 상기 대기 채널로 선택하여 선국하는 서브 튜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상기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하고,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제1 및 제2 디코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PIP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채널 중 두 개의 시청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 각각을 디코딩하도록 제1 및 제2 디코딩부를 제어하며, 상기 두 개의 시청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대기 채널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나머지 대기 채널의 테이블 중에서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테이블에 포함된 절대 어드레스 정보 중 상기 전환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픽쳐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시청 채널에 대한 디코딩을 중단하고,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픽쳐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테이블로부터 디코딩 수행이 가능한 오디오 프레임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절대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대기 채널의 오디오 프레임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코딩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9881A 2013-10-08 2013-10-08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ithdrawn KR20150041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81A KR20150041403A (ko) 2013-10-08 2013-10-08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4/255,583 US20150101001A1 (en) 2013-10-08 2014-04-1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EP20140175920 EP2863644A1 (en) 2013-10-08 2014-07-0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81A KR20150041403A (ko) 2013-10-08 2013-10-08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03A true KR20150041403A (ko) 2015-04-16

Family

ID=5130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881A Withdrawn KR20150041403A (ko) 2013-10-08 2013-10-08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01001A1 (ko)
EP (1) EP2863644A1 (ko)
KR (1) KR201500414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726A (ko) * 2015-11-19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1159847B2 (en) * 2016-09-22 2021-10-26 DISH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ime required for a media content event channel change
US10278235B1 (en) * 2017-10-11 2019-04-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ssignment of channels for communicating with an unmann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9011B1 (en) * 2000-03-23 2003-02-11 Intel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more than one tuner
US8745689B2 (en) * 2002-07-01 2014-06-03 J. Carl Cooper Channel surfing compressed television sign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US20050229221A1 (en) * 2004-04-05 2005-10-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low-delay channel hopping
KR100643279B1 (ko) * 2004-09-23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튜너를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스캐닝 방법
KR100770872B1 (ko) * 2006-02-1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전환 시간 단축을위한 데이터 수신장치 및 방법
EP1954055A3 (de) * 2007-02-02 2010-01-20 ROBUST Electronics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Rundfunkempfängers und Rundfunkempfän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20110042331A (ko) * 2008-07-28 2011-04-26 톰슨 라이센싱 2차 채널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한 고속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1001A1 (en) 2015-04-09
EP2863644A1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255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CN103491430B (zh) 流媒体数据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1022548B (zh) 在具有数字广播接收器的终端中处理数据的方法
US8804051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hannel switching method
JP2006345169A (ja) デジタルテレビ受信端末装置
JP5354664B2 (ja) デジタルデータ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02015A1 (en) Method of Acquisition, Storage and Use of Data Relating to a Three-Dimensional Video Stream,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US20150071608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20150041403A (ko) 채널 전환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804516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901738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548113B2 (ja) 受信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JP2006309819A (ja) 録画再生装置
US20140068658A1 (en) Advertisement embedded system, advertisement embedde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50081706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처리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399686B2 (ja) 受信機
JP2006310977A (ja) チャンネル切替補助装置、出力信号切替方法及びチャンネル切替補助プログラム
JP200805399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791422B2 (ja) コマーシャル判別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68763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55579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54751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7034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KR101199232B1 (ko) 방송 채널을 전환하는 셋톱박스 및 이를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