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50021378A -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378A
KR20150021378A KR20130098657A KR20130098657A KR20150021378A KR 20150021378 A KR20150021378 A KR 20150021378A KR 20130098657 A KR20130098657 A KR 20130098657A KR 20130098657 A KR20130098657 A KR 20130098657A KR 20150021378 A KR20150021378 A KR 2015002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ystem
power
power saving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택
전성익
안백송
이병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9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378A/ko
Priority to US14/453,248 priority patent/US20150058648A1/en
Publication of KR2015002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7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원격지에 장착된 전력 및 상태 표시부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SAVING OF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소모 전력 절감을 위해 사용자에게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및 전력 소모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 IT 시스템의 고성능화 및 대용량화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IT 분야의 전력 소비량은 제조업 분야의 소비량에 비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IT 분야의 에너지 절감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IT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기술로는 대표적으로 저전력 설계(Low Power Design) 기술이 있다. 저전력 설계 기술은 피크 전력(peak power) 최소화 및 전력 누수 최소화 기술로 하드웨어 설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저전력 하드웨어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연비가 좋게 설계된 자동차도 사용자가 잘못된 운전 습관으로 운전을 하거나 운용에 불필요한 장치를 계속 사용할 경우 연료를 절감할 수 없듯이, 컴퓨터 시스템에서도 저전력 하드웨어 설계만으로는 목표한대로 전력 절감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력 절감을 위해 컴퓨터 시스템 장치들 중 전력 소모가 많다고 알려진 표시 장치의 소모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스크린 세이버(screensaver) 기능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스크린 세이버가 동작해도 표시 장치의 전력 소모가 계속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back light)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하나 전력 절감 효과가 크지 않다.
또한 전력 절감을 위해 표시 장치를 오프(off)시켜 전력 소모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나 표시 장치를 오프시켜 놓을 경우 컴퓨터 시스템 본체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표시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를 알 수 없어서 실수로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해버리거나 컴퓨터 시스템을 본래의 상태로 다시 기동(Wake up)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컴퓨터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때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여 전력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 장치가 절전 모드나 스크린 세이버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및 전력 소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모드로 동작하게 하거나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가 제공된다. 전력 절감 장치는 정책 등록부, 전력 절감 제어부, 그리고 전력 및 상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책 등록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한다. 상기 전력 절감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전력 소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장치의 전원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원격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전력 절감 장치는 원격 상태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상태 전송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로 전송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 그리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책 등록부, 상기 전력 절감 제어부 및 상기 원격 상태 전송부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상기 메모리에 로드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는 상기 I/O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I/O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정책,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모니터의 배젤, 사용자의 휴대 단말, 키보드 및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절감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전력 절감 모드로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며,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대기 모드 및 스크린 세이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절감 장치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을 절감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설정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원격지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지의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전력 절감 모드의 작동을 인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가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직접 입력 받거나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서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는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모니터의 배젤, 사용자의 휴대 단말, 키보드 및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패치 형태로 상기 원격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절감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이 절전 모드 등으로 전환되어 표시 장치가 켜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량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량 및 상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모드로 동작하게 하거나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모되는 전력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절감 장치에서 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상태 표시부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및 상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전력 및 상태 표시부가 장착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력 절감 장치(100)는 정책 등록부(110), 전력 절감 제어부(120), 원격 상태 전송부(130) 및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정책 등록부(11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한다. 예를 들어, 정책 등록부(110)는 컴퓨터 시스템(200)이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으면 대기 모드,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 및 스크린 세이버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컴퓨터 시스템(200)의 표시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할 수 있다.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상태 정보, 사용 상태 정보 및 전력 소모 정보를 수집한다.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상태 정보, 사용 상태 정보 및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200)의 부속 장치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전원을 제어한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200)에서 전력 절감 제어부(120)의 전원 제어에 따라서 부속 장치의 전원을 실제로 제어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고급 구성 및 전원 인터페이스(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ACPI) 상태, 전력 절감 정책의 설정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배터리 잔량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컴퓨터 시스템(200) 내부의 온도, 습도,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 및 전류, 내부 팬 속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와 수집된 상태 정보를 원격 상태 전송부(130)로 전달한다.
원격 상태 전송부(13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에 전송한다.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절감 장치에서 전력 절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한다(S210).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S220), 컴퓨터 시스템(200)의 사용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2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200)을 특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 상태 정보로 컴퓨터 시스템(200)의 스크린 세이버가 작동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수집된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사용 상태 정보 및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200)의 부속 장치들의 전원을 제어한다(S240). 예로서, 전력 절감 모드 중의 하나로 스크린 세이버가 작동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스크린 세이버 이벤트가 발생하는 순간을 인지하고, 컴퓨터 시스템(200)의 표시 장치(28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원공급장치 등에서 측정된 전력 소모 정보를 수집한다(S310).
전력 절감 제어부(1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320).
원격 상태 전송부(13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에 전송한다(S330).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S34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및 상태 표시부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410).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명령을 컴퓨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420).
컴퓨터 시스템(200)은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명령에 따라서 동작을 제어한다(S430). 예를 들어, 전원 오프의 명령인 경우, 컴퓨터 시스템(200)은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에서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200)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전력 절감 장치(100)의 정책 등록부(110), 전력 절감 제어부(120) 및 원격 상태 전송부(130)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컴퓨터 시스템(200)에 결합되어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컴퓨터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저장 장치(23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240), 통신부(250), BMC(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260), 표시 제어부(270) 및 표시 장치(280)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200)은 전원공급장치(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230)는 하드 디스크 (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등의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240)는 프로세서(210) 및/또는 메모리(220)가 저장 장치(2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50)는 프로세서(210) 및/또는 메모리(220)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10)는 정책 등록부(110), 전력 절감 제어부(120) 및 원격 상태 전송부(13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220)에 로드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명령은 저장 장치(2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I/O 인터페이스(240)을 통해서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2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BMC(260)는 전력관리버스(power management bus, PMBus) 또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를 통해 전원공급장치(290)와 연결되어 있고, PMBus 또는 I2C 버스를 통해 전원공급장치(290)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전력 사용량 정보를 전력 절감 장치(100)로 제공한다.
표시 제어부(270)는 표시 장치(280)를 제어한다.
표시 장치(28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200)의 모니터에 해당한다.
전원공급장치(290)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컴퓨터 시스템(200)에 공급한다. 전원공급장치(29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를 측정하고,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를 BMC(260)로 전달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29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를 토대로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사용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력 및 상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프로세서(141), 메모리(142), I/O 인터페이스(143), 입력부(144), 통신부(145), 전원 공급부(146) 및 표시부(147)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1)는 CPU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2)는 DRAM, RDRAM, SD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43)는 프로세서(141) 및/또는 메모리(142)가 컴퓨터 시스템(200)에 유선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I/O 인터페이스(143)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가 수신될 수 있거나 입력부(144)로부터의 전력 절감 정책이 컴퓨터 시스템(200)에 송신될 수 있다.
입력부(144)는 I/O 인터페이스(143)와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200)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전력 절감 정책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입력부(144)는 사용자로부터 컴퓨터 시스템(2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은 예를 들면, 제어하고자 하는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4)로 버튼 등이 지원될 수 있다.
통신부(145)는 프로세서(141) 및/또는 메모리(142)가 컴퓨터 시스템(200)에 무선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신부(145)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0)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가 수신될 수 있거나 입력부(144)로부터의 전력 절감 정책이나 컴퓨터 시스템(200)의 온/오프 명령 등이 컴퓨터 시스템(200)에 전송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6)는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46)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7)는 I/O 인터페이스(143)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4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패널로서, 플랙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자체적인 전원 공급부(146)를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200)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도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패치 형태로 다양한 물품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전력 및 상태 표시부가 장착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표시 장치(280)의 베젤 즉, 외부 프레임이나 컴퓨터 시스템(200)의 본체(600)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700)의 일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8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도 11과 같이 컴퓨터 시스템(2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시스템(200)과 소정 거리 내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키보드(800) 옆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2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900)의 경우,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노트북 컴퓨터(900)의 케이스 외곽에 장착시켜 노트북 컴퓨터(900)의 덮개를 닫았을 때도 보이게 할 수 있다.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는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의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 어디에든 장착될 수 있다.
즉, 컴퓨터 시스템(200)의 표시 장치(28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를 장착시켜서, 컴퓨터 시스템(200)의 표시 장치(28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력 소모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전력 및 상태 표시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하는 정책 등록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전력 소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력 절감 제어부, 그리고
    원격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전력 및 상태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로 전송하는 원격 상태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 그리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책 등록부, 상기 전력 절감 제어부 및 상기 원격 상태 전송부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상기 메모리에 로드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는 상기 I/O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로 전송되는 전력 절감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I/O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정책, 전력 절감 모드 및 전원 온/오프 모드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전력 및 상태 표시부는 패치 형태를 가진 전력 절감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원격지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모니터의 배젤, 사용자의 휴대 단말, 키보드 및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전력 절감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전력 절감 모드로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며,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대기 모드 및 스크린 세이버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장치.
  9. 전력 절감 장치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을 절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설정된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그리고
    원격지의 표시 장치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정보와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지의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전력 절감 정책에 따라서 전력 절감 모드의 작동을 인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가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는 대기 모드 및 스크린 세이버 모드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정책을 직접 입력 받거나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서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그리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하는 단계, 상기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일부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상기 메모리에 로드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전력 절감 방법.
  14. 제9항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정책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5. 제9항에서,
    상기 원격지는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모니터의 배젤, 사용자의 휴대 단말, 키보드 및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패치 형태로 상기 원격지에 장착되는 전력 절감 방법.
  16. 제9항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고급 구성 및 전원 인터페이스 상태 및 전력 절감 정책의 설정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7. 제9항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의 온도, 습도, 전원 공급 장치의 전압 및 전류, 내부 팬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잔량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19. 제9항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모드 및 온/오프 모드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방법.
KR20130098657A 2013-08-20 2013-08-20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Withdrawn KR20150021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57A KR20150021378A (ko) 2013-08-20 2013-08-20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US14/453,248 US20150058648A1 (en) 2013-08-20 2014-08-06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657A KR20150021378A (ko) 2013-08-20 2013-08-20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78A true KR20150021378A (ko) 2015-03-02

Family

ID=5248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657A Withdrawn KR20150021378A (ko) 2013-08-20 2013-08-20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58648A1 (ko)
KR (1) KR20150021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06B1 (ko) * 2019-10-28 2020-05-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리소스모니터 분석을 통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방법
KR102148825B1 (ko) * 2020-04-29 2020-08-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실행 프로그램 그룹별 제어 신호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모니터 장치의 에너지 절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8538B2 (en) * 2014-09-19 2017-06-1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N110618909B (zh) * 2019-09-27 2021-03-26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i2c通讯的故障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777436B (zh) * 2021-03-05 2022-09-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種週邊裝置之省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196A (ja) * 2002-07-16 2004-02-19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の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の動的決定
JP2008186238A (ja) * 2007-01-30 2008-08-14 Hitachi Ltd 電源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電源制御画面の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AU2009231581A1 (en) * 2008-04-03 2009-10-08 Belkin International, Inc. Power management conn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110113360A1 (en) * 2009-11-12 2011-05-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06B1 (ko) * 2019-10-28 2020-05-26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리소스모니터 분석을 통한 컴퓨터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 방법
KR102148825B1 (ko) * 2020-04-29 2020-08-27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시스템 실행 프로그램 그룹별 제어 신호로 에너지를 절감하는 모니터 장치의 에너지 절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8648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6804B2 (en) Digital photo frame with power saving function and related power saving method
US9471121B2 (en) Microprocessor 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US9678554B2 (en) Low power mode operation when charging a device
KR100488088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전력 관리 방법
US103943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90249103A1 (en) Platform power management based on latency guidance
KR101330212B1 (ko)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509458B2 (en) Information device with improved operating modes
KR20150021378A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JP200724966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ステート制御方法
US20140184518A1 (en) Variable touch screen scanning rate based on user presence detection
US9184629B2 (en) Stored-power system including power management
US7065664B2 (en)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KR20070024993A (ko)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04802A (zh) 控制電力供應單元於閒置狀態期間的電力消耗之技術
US20120278542A1 (en) Computer system and sleep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5506A (ko) 대기 전력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대기 전력 제어 방법
US20100042859A1 (en) Computer having Power Saving State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07742B2 (en) Power saving operating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by disabling a connection port to a touch device before the touch device enters power-saving mode
TWI400601B (zh)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JP201317687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90423A (ja) コンピュータおよび電源装置
CN201562144U (zh) 在高低能耗模式之间切换的电子设备和包括其的电子相框
CN100399237C (zh) 可自动切换电源模式的可携式电子装置及其切换方法
US72697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graphics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