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05A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Google Patents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105A KR20150004105A KR1020130077146A KR20130077146A KR20150004105A KR 20150004105 A KR20150004105 A KR 20150004105A KR 1020130077146 A KR1020130077146 A KR 1020130077146A KR 20130077146 A KR20130077146 A KR 20130077146A KR 20150004105 A KR20150004105 A KR 20150004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owboard
- ski
- fixing
- fixing part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6—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stowing or holding means for elongated articles, e.g. skis inside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60R5/042—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to create an enclosed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e.g. with ventilation apertures for transporting do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전방에서 고정하기 위해 트렁크룸과 연통된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된 전방고정부와, 상기 전방고정부의 상하 방향 조절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면에 구비된 조절부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에 있어 후방고정부 인출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 구비되는 감김부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을 위해 트렁크룸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에 체결되는 후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키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폭이 큰 스노우보드와 같은 적재물을 장착할 수 있고, 적재물의 요동을 방지하며 적재물이 적재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 트렁크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키뿐만 아니라 스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스노우보드를 트렁크에서 후방 시트 백 프레임 방향으로 장착 고정해 주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스키 쓰루 장치로서, 차량의 트렁크 공간을 통해 스키만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스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스노우보드는 적재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룸(100)의 전방에는 시트 막이판(101)을 형성하되, 상기 시트 막이판(101)을 관통하는 개구부(101a)를 더 형성하고 있는 바, 이 개구부(101a)에 스키를 집어 넣어 스키 고정을 수행하여 왔으나, 상기 스키 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큰 스노우보드의 경우에는 개구부(101a)의 폭 공간이 협소하여 스노우보드를 집어 넣어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스키 쓰루 장치로 제안된 기술로는, 공개특허 특1999-028110호(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실1998-029922호(특허문헌 2) 등이 안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후방시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팔받침대의 수납홈 내측벽에 형성되며 일측단에는 고정벨트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걸림고리를 형성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삽입되는 걸쇠를 형성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고정 벨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물품이 삽입되는 적재홀이 각각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팔 받침판이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내설되는 수납홈과, 상기 적재홀과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홀을 형성하며 트렁크와 차실내의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벽으로 구성되는 스키적재장치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후방시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자동차의 리어시트와 트렁크룸을 관통하는 개구부 일측에 다수개의 홈 및 안내편이 형성된 고정구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핀설하고, 트렁크룸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대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키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된 상기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스키를 차량 내부에 장착 고정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나, 상기 특허문헌 1은 스키의 후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트렁크룸에 지지대가 마련되어 있어, 트렁크룸의 공간이 협소해져 스키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트렁크 공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아울러, 특허문헌 2는 스키 중앙 부근에서만 스키를 장착 고정함에 따라 차량 주행 중에 스키의 전방과 후방 부분이 흔들거리는 문제점과 함께 이러한 스키의 흔들림으로 트렁크 내부의 구조물과 충돌하여 충돌에 따른 소음이나 스키의 파손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는, 기존의 2열 시트 백 중앙부와 트렁크를 통과하는 홀 크기를 확대시켜 스노우보드와 같은 폭이 큰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게 하며 장착 상태에서 운행 중 적재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줄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전방에서 고정하기 위해 트렁크룸과 연통된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된 전방고정부와, 상기 전방고정부의 상하 방향 조절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면에 구비된 조절부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에 있어 후방고정부 인출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 구비되는 감김부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을 위해 트렁크룸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에 체결되는 후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고정부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고정하게 하는 끼움구와, 상기 끼움구에서 연장되어 조절부의 수직홈이나 경사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장봉과, 상기 수직홈 또는 경사홈에서의 상기 연장봉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연장봉 끝단에 형성된 걸림구와, 상기 연장봉에 삽입된 채 일측은 상기 끼움구에 걸림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홈 또는 경사홈에 걸림되어 끼움구의 폭 조절을 위해 끼움구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김부는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몸체에 걸림 고정되어 후방고정부를 트렁크룸의 후방으로 인출 인입하게 하는 태엽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고정부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 후방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면에 고정되어 트렁크룸 후방에 구비된 걸이대와 체결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을 삽입하게 되는 다수개의 끼움홈과, 후미 양측에 볼트에 의한 체결로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힌지되어 좌우로 벌어지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부재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방 양측면에 삽입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고정하되, 폭 조절을 이루게 되는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에 삽입되어 일단은 회동부재에 타단은 조절대에 고정되어 조절대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는, 기존에 좁은 홀 공간으로 인해 적재가 불가능했던 스노우보드와 같은 폭이 넓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노우보드의 후단부를 장착 고정하는 수단을 추가 마련하되, 적재물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트렁크의 공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2열 시트 백 벤치 타입 중앙부의 홀 공간을 확대하여 스노우보드와 같은 폭이 큰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적재 가능하게 하고,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전방과 후방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요동 및 충돌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장착 위치를 도시한 차량 트렁크의 내부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전방고정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후방고정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후방고정부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동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전방고정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후방고정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요부인 후방고정부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동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키뿐만 아니라 스키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스노우보드를 포함하여 차량 트렁크에서 후방 시트 백 프레임 사이로 장착 고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후방 시트 백 프레임 중앙에 형성된 트렁크룸과 연통을 이루게 되는 개구부의 폭이 기존의 개구부 폭보다 확장시킨 상태에서 스키뿐만 아니라 스노우보드를 장착 고정하는 수단들이 개구부 주변에 마련됨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장착 고정하기 위하여 트렁크룸(80)과 연통된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된 전방고정부(10)와, 트렁크룸(80)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50)와 체결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부를 고정하는 후방고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고정부(40)는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서 인출되어 트렁크룸(80)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50)에 체결되는 바, 후방고정부(40)의 인출은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 구비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고정부(40)에 걸림 고정되는 태엽스프링(32)을 구성함으로써 후방고정부(40)의 인출이 구현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고정부(10)는 후방 시트 백 프레임(70)의 개구부(71) 주변에 구비되는 바, 상기 전방고정부(10)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전방 부근의 양측면에 삽입 체결되는 끼움구(11)와, 상기 끼움구(11)에서 연장된 연장봉(12)과, 상기 연장봉(12) 끝단에 형성된 걸림구(13)와, 상기 연장봉(12)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14)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고정부(10)가 체결되는 개구부(71)의 양측면에는 조절부(20)가 구비되는 바, 수직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홈(21)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다수개의 경사홈(2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방고정부(10)가 상기 조절부(20)에 체결되는데,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전방고정부(10)의 연장봉(12)이 조절부(20)의 수직홈(21) 또는 경사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봉(12) 끝단에 형성된 걸림구(13)의 상기 수직홈(21) 또는 경사홈(22) 걸림에 의해 끼움구(11)의 탈거됨을 방지하고, 이때 탄성스프링(14)은 상기 연장봉(12)에 삽입된 채 일단은 끼움구(11)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홈(21) 또는 경사홈(22)에서 걸림 고정된다.
이때, 끼움구(11)를 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끼움구(11)는 상기 탄성스프링(14)에 의해 탄성을 제공받음에 따라 일례로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종류별 폭이 다를 경우에 상기 끼움구(11)의 폭 조절로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20)의 수직홈(21)은 상기 끼움구(11)의 상하 이동을 위하여 형성됨이고, 상기 수직홈(21)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채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경사홈(22)은 끼움구(11)의 고정을 위함이다.
한편, 후방고정부(40)를 트렁크룸(80) 후방으로 인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감김부(30)는 후방 시트 백 프레임(70)에 마련되는 바, 회전축(31)이 후방 시트 백 프레임(70)에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3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고정부(40)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32)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고정부(4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엽스프링(32)의 타단과 걸림되어 고정된 고정몸체(41)와, 상기 고정몸체(41) 후부에 체결된 후크부(43)와, 상기 고정몸체(41) 후방 양측에 결합되는 체결부재(44)와, 상기 체결부재(44)에 힌지 체결되는 회동부재(4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몸체(4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끼움홈(42)이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44)는 상기 회동부재(46)를 힌지 체결하기 위한 상 하부 방향에 형성된 돌출편(44a)과, 상기 돌출편(44a)에 힌지핀(45)을 삽입하기 위한 홀(44b)과, 상기 돌출편(44a)의 일측에서 회동부재(46)를 받쳐 지지하게 되는 지지편(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재(46)는 도 7에서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대(46a)와, 상기 조절대(46a)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46b)을 더 포함한다.
한편, 전술된 트렁크룸(80) 후방에는 걸이대(5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몸체(41)의 후부에 형성된 후크부(43)와 체결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백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스키와 스노우보드는 그 폭이 서로 달라 전방고정부(10)의 끼움구(11) 폭 조절을 구현하며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양측면을 고정시켜야만 한다.
일례로 스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스노우보드의 장착 고정을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고정부(40)의 고정몸체(41)를 트렁크룸(80)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50) 방향으로 인출시킨다. 이러한 고정몸체(41)의 인출 과정에서 고정몸체(41)는 태엽스프링(32)을 잡아당김에 따라 회전축(3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몸체(41)의 인출이 완료되면 고정몸체(41)에 후방에 마련된 후크부(43)를 트렁크룸(80)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50)에 체결시킴으로써 고정몸체(41)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몸체(41)의 고정이 완료되면, 스노우보드를 개구부(71)로 삽입한 다음, 스노우보드의 후단부를 고정몸체(41)에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구(11) 중 어느 하나의 끼움구(11)에 삽입한다. 이때 회동부재(46)를 고정몸체(41)에서 회전시켜 좌우로 펼친다.
곧, 스노우보드의 후방 폭에 맞도록 좌우로 펼쳐진 회동부재(46)에서 조절대(46a)의 폭을 조절하여 벌리게 되는데, 이때 탄성스프링(46b)에 의해 조절대(46a)는 탄성을 제공받은 상태가 된다.
스노우보드의 후방 폭에 조절대(46a)의 폭이 맞춰지게 되면, 조절대(46a)는 탄성스프링(46b)의 탄성에 의해 스노우보드의 후방 양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스노우보드의 후방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개구부(71)를 관통한 스노우보드의 전방을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71) 좌우에 마련된 조절부(20)의 수직홈(21)에서 전방고정부(10)의 끼움구(11)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한 후, 다수개로 형성된 경사홈(22) 중 어느 하나의 경사홈(22)을 선택한 다음, 상기 끼움구(11)를 선택한 어느 하나의 경사홈(22)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끼움구(11)가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사홈(22)에 걸착된 상태에서 대향하고 있는 끼움구(11) 폭을 스노우보드의 전방 폭에 맞도록 조절하게 되면 대향된 끼움구(11)는 스노우보드의 전방 양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삽입되어 스노우보드의 전방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대향된 끼움구(11) 각각은 탄성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스노우보드의 전방 양측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스노우보드의 자중에 의해 상기 끼움구(11)는 스노우보드를 지지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개구부(71) 주변에서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전방 고정이 이루어지고, 트렁크룸(80)의 후방에서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노우보드를 차량에 장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몸체(41)를 트렁크룸(80)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50)로부터 분리한 다음, 감김부(30)의 태엽스프링(32) 복원력에 의해 고정몸체(41)가 후방 시트 백 프레임(70)의 근처에 위치되어 트렁크의 이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2열 벤치 타입(Bench Type)의 중앙 홀 공간의 사출구조물을 확대하여 스노우보드와 같이 폭이 넓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고 이러한 적재물이 차량운행 중 움직이지 않도록 장착 고정해 줌으로써 승객 안전을 지켜주고 적재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 발생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10 : 전방고정부 11 : 끼움구
12 : 연장봉 13 : 걸림구
14 : 탄성스프링
20 : 조절부 21 : 수직홈
22 : 경사홈
30 : 감김부 31 : 회전축
32 : 태엽스프링
40 : 후방고정부 41 : 고정몸체
42 : 끼움홈 43 : 후크부
44 : 체결부재 44a : 돌출편
44b : 홀
45 : 힌지핀
46 : 회동부재 46a : 조절대
46b : 탄성스프링
50 : 걸이대
70 : 후방 시트 백 프레임 71 : 개구부
80 : 트렁크룸
12 : 연장봉 13 : 걸림구
14 : 탄성스프링
20 : 조절부 21 : 수직홈
22 : 경사홈
30 : 감김부 31 : 회전축
32 : 태엽스프링
40 : 후방고정부 41 : 고정몸체
42 : 끼움홈 43 : 후크부
44 : 체결부재 44a : 돌출편
44b : 홀
45 : 힌지핀
46 : 회동부재 46a : 조절대
46b : 탄성스프링
50 : 걸이대
70 : 후방 시트 백 프레임 71 : 개구부
80 : 트렁크룸
Claims (6)
-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전방에서 고정하기 위해 트렁크룸과 연통된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주변에 구비된 전방고정부;
상기 전방고정부의 상하 방향 조절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면에 구비된 조절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에 있어 후방고정부 인출을 위해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 구비되는 감김부;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 고정을 위해 트렁크룸 후방에 마련된 걸이대에 체결되는 후방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고정하게 하는 끼움구;
상기 끼움구에서 연장되어 조절부의 수직홈이나 경사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연장봉;
상기 수직홈 또는 경사홈에서의 상기 연장봉 탈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연장봉 끝단에 형성된 걸림구;
상기 연장봉에 삽입된 채, 일측은 상기 끼움구에 걸림되고, 타측은 상기 수직홈 또는 경사홈에 걸림되어 끼움구의 폭 조절을 위해 끼움구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는,
후방 시트 백 프레임에서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몸체에 걸림 고정되어 후방고정부를 트렁크룸의 후방으로 인출 인입하게 하는 태엽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고정부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 후방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후면에 고정되어 트렁크룸 후방에 구비된 걸이대와 체결되는 후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단을 삽입하게 되는 다수개의 끼움홈;
후미 양측에 볼트에 의한 체결로 고정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힌지되어 좌우로 벌어지는 회동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의 후방 양측면에 삽입되어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를 고정하되, 폭 조절을 이루게 되는 조절대;
상기 조절대에 삽입되어 일단은 회동부재에 타단은 조절대에 고정되어 조절대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탄성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7146A KR20150004105A (ko) | 2013-07-02 | 2013-07-02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77146A KR20150004105A (ko) | 2013-07-02 | 2013-07-02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04105A true KR20150004105A (ko) | 2015-01-12 |
Family
ID=524764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77146A Withdrawn KR20150004105A (ko) | 2013-07-02 | 2013-07-02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04105A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81476A (ko) | 2020-12-09 | 2022-06-16 |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 본인 인증을 위해 인공지능 카메라를 활용한 이상행동 감지 시스템 |
| KR20220152887A (ko) | 2021-05-10 | 2022-11-17 |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 보스메인중앙서버에 의한 무인매장관리시스템 |
| KR20220159225A (ko) | 2021-05-25 | 2022-12-02 | 박진석 | 비대면 성인인증이 필요한 상품 배달 시스템 |
-
2013
- 2013-07-02 KR KR1020130077146A patent/KR20150004105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81476A (ko) | 2020-12-09 | 2022-06-16 |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 본인 인증을 위해 인공지능 카메라를 활용한 이상행동 감지 시스템 |
| KR20220152887A (ko) | 2021-05-10 | 2022-11-17 |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 보스메인중앙서버에 의한 무인매장관리시스템 |
| KR20220159225A (ko) | 2021-05-25 | 2022-12-02 | 박진석 | 비대면 성인인증이 필요한 상품 배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272754B2 (en) | Modular vehicle bed cover apparatus | |
| EP3371007B1 (en) | Vehicle entertainment center assembly with hanger | |
| US9150126B1 (en) | Anchor latch assembly for child restraint system | |
| BR102016002827A2 (pt) | montagem veicular para encostos e almofadas | |
| KR20030076344A (ko) | 쇼케이스의 선반 장치 | |
| US20110101055A1 (en) | Headrest hanger | |
| WO1997041001A1 (en) | Removable storage assembly fastening system | |
| US20160215527A1 (en) | Universal holder for a folding bicycle lock | |
| US9931999B2 (en) | Back panel lower clip anchorage features for dynamic events | |
| KR20150004105A (ko)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쓰루 장치 | |
| JP2017533134A (ja) | 車両用ルーフボックス装着装置 | |
| EP2464543A1 (en) | Retention system | |
| CN203698143U (zh) | 一种汽车座椅上的头枕式万用支架 | |
| US20170197528A1 (en) | Headrest for a vehicle | |
| US9937872B2 (en) | Vehicle entertainment center assembly with hanger | |
| GB2547477B (en) | Vehicle grab handle with integrated coat hanger | |
| CN213262084U (zh) | 车辆和车辆座椅 | |
| US9399432B2 (en) | Stable mounting system for seatback shelving | |
| BR102013013433A2 (pt) | Cargo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 |
| US9260061B1 (en) | Equipment and accessories holder | |
| US20130241252A1 (en) | Motor vehicle rear seat | |
| US9706841B2 (en) | Storage unit and anchoring system therefor | |
| KR200412701Y1 (ko) |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 |
| US9039062B1 (en) | Tailgate enclosure apparatus | |
| US9586528B2 (en) | Storage assembly for use with vehicle storage platfor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