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338A - 3D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 Google Patents
3D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5338A KR20140085338A KR1020130162335A KR20130162335A KR20140085338A KR 20140085338 A KR20140085338 A KR 20140085338A KR 1020130162335 A KR1020130162335 A KR 1020130162335A KR 20130162335 A KR20130162335 A KR 20130162335A KR 20140085338 A KR20140085338 A KR 201400853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polarization
- lenticular lens
- linearly polarized
- polarized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입체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시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얻는다.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하는 메인 디스플레이(10)와, 메인 디스플레이(10)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메인 디스플레이(10)의 구동 속도의 2배 이상의 구동 속도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20)와, 서브 디스플레이(20)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부여하는 렌티큘러 렌즈(30)를 구비한다. A method of driving a 3D display and a display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points without reducing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in a spectacle-free 3D display is obtained.
A main display 10 for outputting the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a main display 10 for outputting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main display 10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ation state is maintained, A sub display 20 capable of switching to a driving speed of at least two times the driving speed of the lenticular lens 10 and a lenticular lens 30 for gi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to the two kinds of linearly polarized lights emitted from the sub display 20 .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종래부터 3D 디스플레이로서 안경 방식 및 무안경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안경 방식으로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고속으로 전환 표시하고, 이와 동기하여 안경이 좌우 각각의 시야를 상호 차단함으로써 시차(視差)를 생성하는 셔터 안경 방식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s a 3D display, a spectacle method and a non-spectacle method are known. For example, there is known a shutter glasses system in which a right eye image and a left eye image are switched and displayed at a high speed in the eyeglass system, and the glasses are intercepted from each other in synchronism with each other to generate parallax.
또, 다른 안경 방식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회전방향의 원편광만을 통과시키고 역회전 원편광을 제거하는 편광 필터를 사용한 원편광 안경 방식이 알려져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편광의 진폭방향을 시간적으로 전환하는 액티브 리타더 방식이 알려져 있다. As another spectacle method, there is known a circularly polarized spectacle system using a polarizing filter which passes only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a specific rotation direction and removes counter-rotat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re is known an active retarder method for temporally switching the amplitud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한편 무안경 방식으로는, 디스플레이 앞에, 좌우 2화소마다 홈을 설치한 차폐판을 세움으로써 양안 시차를 만들어 내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무안경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앞에, 가는 반원통이 연결된 형상(어묵 형상)의 렌티큘러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양안 시차를 만들어 내는 렌티큘러 렌즈 방식이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non-eyeglass system, there is known a parallax barrier system which creates a binocular parallax by forming a shield plate provided with grooves in front of the display for each two pixels. In addition, a lenticular lens system in which a binocular parallax is produced by disposing a lenticular lens in a shape (in the form of an acicular shape) connected to a thin semicylinder in front of a display in another non-eyeglass system is known.
여기서 도 7에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3D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7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는 광학적으로 등방적이다. 또, 도 7에서는 시점 수(視點 數, 후술한다)가 1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7 illustrates a 3D display using a lenticular lens system. In Fig. 7, the lenticular lens is optically isotropic. Fig. 7 shows a case where the number of viewpoints (to be described later) is one.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서는 각 방식 모두 전용 안경을 써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안경에 의해 좌우 눈에 들어오는 화상을 변경한다는 원리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In glasses-based 3D displays, there is a problem that dedicated glasses must be used in each mode.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there is a principle restriction that the image entering the right and left eyes is changed by glasses.
또, 셔터 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안경 중량이 무거워지고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셔터를 동작시키는 기구로서 안경에 구동회로를 장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Further, in the shutter glasses type 3D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glasses becomes heavy and the cost increases.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it is necessary to attach a driving circuit to the spectacles as a mechanism for operating the shutter.
또,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3D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휘도가 낮아진다는(영상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광원과 눈 사이의 배리어(차폐판)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원리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Also, in the parallax barrier type 3D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is lowered (the image becomes darker) as compared with the 3D display of the lenticular lens type.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there is a fundamental restriction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arrier (shielding plat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eye.
또한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서는 각 방식 모두 3D 화상을 명료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영역(시점 수, 視點 數)이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의 원인으로는 3D 화상의 초점이 맞는 포인트가, 예를 들면 정면으로만 한정된다는 원리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Further, in the non-eyeglass type 3D displa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the number of viewpoints, the number of viewpoints) in which the 3D image can be visually confirmed visually is limited.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there is a principle restriction that the point to which the 3D image is focused is limited to, for example, the front.
더욱이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점 수(r)를 늘리는 대책을 취하면 3D 공간 영상의 해상도가 1/r로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이 문제의 원인으로는, 시점 수(r)와 동일한 수의 화소 수를 1 세트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olution of the 3D spatial image is reduced to 1 / r when a measure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points (r) is taken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The reason for this problem in the non-eyeglass type 3D display is that the number of pixels equal to the number of viewpoints r must be set to one s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된 것으로,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입체 영상(3D 공간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시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display and a display driv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viewpoints without lowering the resolution of a stereoscopic image (3D spatial image) .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는,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메인 디스플레이의 구동 속도의 2배 이상의 구동 속도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부여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구비한 것이다. A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isplay for emitting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 subdisplay capable of switching the emission light emitted from the main display to a driving speed at least twice the driving speed of the main display whether to output the polarization maintaining state or the polarization direction by 90 degrees; And a lenticular lens that gives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o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sub display.
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은,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시키는 제 1 편광 단계; 제 1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제 1 편광 단계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전환하는 제 2 편광 단계; 제 2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굴절시켜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상(結像)시키는 결상 단계를 포함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riving method including: a first polarization step of emitting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 second polarization step of switching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polarization step to be em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arization state is maintained or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rotated by 90 degrees to a speed at least twice as fast as the first polarization step; And an image forming step of refracting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polarizing step at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to form an image at different positions.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는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메인 디스플레이의 구동 속도의 2배 이상의 구동 속도로 전환하고, 렌티큘러 렌즈는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굴절시킨다. According to the 3D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outputs the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sub display displays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main display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polarization state or rotat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by 90 degrees And the lenticular lens refracts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s emitted from the sub display to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에 따르면, 제 1 편광 단계는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시키고, 제 2 편광 단계는 제 1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제 1 편광 단계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전환하며, 결상 단계는 제 2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굴절시켜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상시킨다. According to the display dri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ing step emits the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the second polarizing step emits the outgoing light emitted in the first polarizing step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polarization state The polarizing direction is rotated at 90 degrees and the polarizing direction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polarizing direction is switched to a speed at least twice as fast as the first polarizing step and the image forming step refracts the two kind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at the second polarizing step at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Position.
이로써,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입체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시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us, in the non-eyeglass 3D display, the number of viewpoints can be increased without lowering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렌티큘러 렌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동작(서브 디스플레이가 오프일 때)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의 동작(서브 디스플레이가 온일 때)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원편광 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액티브 리타더 방식의 3D 디스플레이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3D 디스플레이를 예시한 설명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3D display according to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enticular lens of a 3D display according to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3D display (when the sub display is OFF)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3D display (when the sub display is 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3D display of a circularly polarizing glasses system.
6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n active retarder type 3D display.
7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3D display of a lenticular lens syste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3D display and a display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1)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3D 디스플레이(1)는 메인 디스플레이(10), 서브 디스플레이(20) 및 렌티큘러 렌즈(30)로 구성되고, 관찰자가 볼 때, 렌티큘러 렌즈(30), 서브 디스플레이(20), 메인 디스플레이(10)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메인 디스플레이(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이고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0)는 LCD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등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여도 편광판을 붙여서 직선편광을 출사할 수 있으면 된다. The
또, 메인 디스플레이(10)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의 편광방향과 서브 디스플레이(20)의 입사측 기판의 배향방향(러빙축)은 서로 일치한다.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from the
서브 디스플레이(20)는 고속 구동이 가능한 LCD이고, 전압의 온/오프로 메인 디스플레이(10)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반 파장만큼(λ/2) 위상을 지연시켜서(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전환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서브 디스플레이(20)는 미도시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고, 메인 디스플레이(10)의 2배 이상의 구동 속도로 동작된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20)는 네마틱 액정이어도 좋고 스멕틱 액정(강유전성 액정(FLC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이어도 좋다. 또, 서브 디스플레이(20)의 전극은 전면 전극이어도 좋고 패턴 전극이어도 좋다. Specifically, the
여기서, 서브 디스플레이(20)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은, 렌티큘러 렌즈(30)의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에 평행하게 입사된다. Here,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렌티큘러 렌즈(30)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에 일축 배향된 액정성 물질로 구성되고, X축 및 Y축에서 각각 굴절률이 다른 특성, 즉 복굴절성(광학적 이방성)을 갖는다. 또, 렌티큘러 렌즈(30)의 표면은 광을 복수의 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평탄화되어 있지 않다. The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30)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의 복굴절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장축방향(예를 들면 X축)의 굴절률은 ne이고, 단축방향(예를 들면 Y축)의 굴절률은 no이다. Here, the
또한 렌티큘러 렌즈(30)는 중합성 액정을 사용하여 배향 후 중합하여도 좋고 고분자 액정을 사용해도 좋다. 또, 렌티큘러 렌즈(30) 내의 액정 배향법은 러빙법도 좋고 광배향법도 좋고 전단력을 부여하는 방법도 좋다. Further, the
또, 메인 디스플레이(10), 서브 디스플레이(20) 및 렌티큘러 렌즈(30)는 각각 플렉서블한 구성이어도 좋다.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3D 디스플레이(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오프일 때의 3D 디스플레이(1)의 동작을 도시하고, 도 4는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온일 때의 3D 디스플레이(10)의 동작을 도시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또, 여기서는 서브 디스플레이(20)가 TN(Twisted Nematic)형 LCD이고, 렌티큘러 렌즈(30)의 장축방향 굴절률(ne)이 단축방향 굴절률(no)보다 큰 경우(ne > no)를 예로서 설명한다.Here, the case where the
도 3에 있어서,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오프인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0)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직선편광)의 진동방향은 서브 디스플레이(20)에서 90 ° 회전된다.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20)로부터 출사된 편광의 진동방향은 렌티큘러 렌즈(30)의 장축방향과 일치하고, 렌티큘러 렌즈(30)를 통과하는 광은 굴절률 ne로 굴절된다.3, when the
이에 대하여 도 4에 있어서,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온인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0)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직선편광)의 진동방향은, 액정이 서 있으므로 서브 디스플레이(20)를 통과해도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20)로부터 출사된 편광의 진동방향은 렌티큘러 렌즈(30)의 단축방향과 일치하고, 렌티큘러 렌즈(30)를 통과하는 광은 굴절률 no로 굴절된다. 4, when the
여기서,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오프일 경우(도 3의 경우) 및 서브 디스플레이(20)가 온일 경우(도 4의 경우)에 있어서, ne > no 이므로 도 3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30)를 통과한 광이, 도 4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30)를 통과한 광보다 렌티큘러 렌즈(30)에 가까운 위치(L1 < L2)에서 결상(結像)한다.In this case, since ne> no in the case where the
즉, 서브 디스플레이(20)를 스위칭 시킴으로써 렌티큘러 렌즈(3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결상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That is, by switching the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20)를, 메인 디스플레이(10)의 구동속도(예를 들면 60 ㎐ = 1/60 s)의 2배의 구동속도(즉, 120 ㎐ = 1/120 s)로 고속 스위칭 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한 상태와 도 4에 도시한 상태가 고속으로 전환된다.At this time, when the
이로써 관찰자는 도 3의 결상 위치 및 도 4의 결상 위치 양쪽에서 3D 영상을 볼 수 있다. 즉, 3D 영상(공간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시점 수를 늘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시점 수를 2배로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bserver can view the 3D image at both the imaging position in Fig. 3 and the imaging position in Fig. That is, the number of viewpoints can be increased without lowering the resolution of the 3D image (spatial image). Specifically,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viewpoints can be doubled.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는 입사된 광을 직선편광으로서 출사하고, 서브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메인 디스플레이의 구동속도의 2배 이상의 구동속도로 전환하고, 렌티큘러 렌즈는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굴절시킨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따라서 무안경 방식 3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입체 영상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시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non-eyeglass 3D display, the number of viewpoints can be increased without lowering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또, 서브 디스플레이는 LCD이므로, 서브 디스플레이를 메인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제조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Since the sub-display is an LCD,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new manufacturing facility since the sub-display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main display.
또한 렌티큘러 렌즈를 일축 배향된 액정성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초점 위치에서 결상시킬 수 있고, 시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Further, by constituting the lenticular lens with a uniaxially oriented liquid crystalline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age two kinds of linearly polarized lights emitted from the sub display at different focus position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points.
1 : 3D 디스플레이
10 : 메인 디스플레이
20 : 서브 디스플레이
30 : 렌티큘러 렌즈1: 3D display
10: Main display
20: Sub display
30: Lenticular lens
Claims (4)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구동 속도의 2배 이상의 구동 속도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서브 디스플레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부여하는 렌티큘러 렌즈를 구비한 3D 디스플레이.
A main display which emits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 subdisplay capable of switching the output light emitted from the main display to a driving speed at least two times the driving speed of the main display whether to output the polarization maintaining state or the polarization direction by 90 degrees,
And a lenticular lens which gives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o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sub display.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인 3D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sub display is a liquid crystal display.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일축 배향된 액정성 물질로 구성되는 3D 디스플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rein the lenticular lens is composed of a uniaxially oriented liquid crystal material.
상기 제 1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출사광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출사할지 또는 편광방향을 90 ° 회전하여 출사할지를, 상기 제 1 편광 단계의 2배 이상의 속도로 전환하는 제 2 편광 단계와,
상기 제 2 편광 단계에서 출사된 2종류의 직선편광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굴절시켜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상(結像)시키는 결상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A first polarization step of outputting the incident light as linearly polarized light,
A second polarization step of switching the outpu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polarization step to be emitted at a state of maintaining the polarization state or rotat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by 90 degrees at a speed of twice or more than that of the first polarization step ,
And an image forming step of refracting the two types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polarizing step at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to form an image at different pos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2-283987 | 2012-12-27 | ||
| JP2012283987A JP6013176B2 (en) | 2012-12-27 | 2012-12-27 | 3D display and display driving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5338A true KR20140085338A (en) | 2014-07-07 |
| KR101631619B1 KR101631619B1 (en) | 2016-06-24 |
Family
ID=5140625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62335A Active KR101631619B1 (en) | 2012-12-27 | 2013-12-24 | 3D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6013176B2 (en) |
| KR (1) | KR10163161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870822B (en) * | 2019-04-19 | 2021-01-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medium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512684A (en) * | 1994-10-25 | 1998-12-02 | ジェームズ エル ファーガソン | Opti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active and passive dithering using birefringence, color image superposition, and display enhancement |
| JP2003158752A (en) | 2001-09-04 | 2003-05-30 | Sanyo Electric Co Ltd | Multi-len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twin- len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JP2006520919A (en) * | 2003-02-05 | 2006-09-14 |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 Display device |
| JP2009237461A (en) * | 2008-03-28 | 2009-10-15 | Toshiba Corp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862462B2 (en) * | 1993-09-09 | 1999-03-03 | シャープ株式会社 | 3D display device |
| KR101555892B1 (en) * | 2007-10-02 | 2015-10-13 |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2012
- 2012-12-27 JP JP2012283987A patent/JP6013176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12-24 KR KR1020130162335A patent/KR10163161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512684A (en) * | 1994-10-25 | 1998-12-02 | ジェームズ エル ファーガソン | Optical display system and method, active and passive dithering using birefringence, color image superposition, and display enhancement |
| JP2003158752A (en) | 2001-09-04 | 2003-05-30 | Sanyo Electric Co Ltd | Multi-len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twin- lens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JP2006520919A (en) * | 2003-02-05 | 2006-09-14 |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 Display device |
| JP2009237461A (en) * | 2008-03-28 | 2009-10-15 | Toshiba Corp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JP6013176B2 (en) | 2016-10-25 |
| JP2014126729A (en) | 2014-07-07 |
| KR101631619B1 (en) | 2016-06-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527862B2 (en) | Multiview display device | |
| JP5142356B2 (en) |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panel | |
| KR101122199B1 (en) | 2D-3D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 |
| KR102143373B1 (en) | Switchable lens device, and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60092150A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 |
| CN102809848B (en) | Reflective bore hole 3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 KR20150092424A (en) | Display device | |
| KR101233895B1 (en) | Stereoscopic image dislcay device | |
| KR101298874B1 (en) | Polarizing Glasses | |
| TWI471608B (en) | Naked eye type and glasses type switchabl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 |
| KR101291806B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 |
| KR101782006B1 (en) | polarizing glasses for watching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ed and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 |
| KR101631619B1 (en) | 3D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 |
| JP5581125B2 (en) | Stereoscopic image recognition device | |
| KR101879717B1 (en) |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device | |
| KR102041152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KR101387784B1 (en) | Sub pannel and three dimensinaol image display having the same | |
| JP2010224550A (en) | Retardation element and display | |
| KR101799935B1 (en) | 3 dimensional image displayable system | |
| KR101702078B1 (en) |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system | |
| EP2887108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US8436895B2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 KR102193610B1 (en) | Switchable Lens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 KR20130017887A (en) | 3d display using active retarder including substrates disposed to compenste their phase retardations each other | |
| KR20140050896A (en) | Method of forming lens layer and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system including the lens lay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