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870A -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0870A KR20140070870A KR1020120136353A KR20120136353A KR20140070870A KR 20140070870 A KR20140070870 A KR 20140070870A KR 1020120136353 A KR1020120136353 A KR 1020120136353A KR 20120136353 A KR20120136353 A KR 20120136353A KR 20140070870 A KR20140070870 A KR 201400708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ush notification
 - notification
 - call request
 -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 서비스에서의 푸시 알림을 이용한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 개시된다.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이 통화 연결을 요청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notifying a call request using a push notification in a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VoIP) service is disclosed. A method of notifying a call request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includes receiving a call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using an mVoIP service from a first terminal, receiving a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a second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a push notification informing that the first terminal has requested a call connec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determining, based on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ransmitting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Descrip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 서비스에서의 푸시 알림을 이용한 통화 요청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s using push notifications in a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VoIP) service.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 인터넷(예를 들면, 와이브로, 모바일 와이맥스, 3GPP LTE, 4G LTE 등)과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의 연동을 통하여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Voice over IP; mVoIP)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휴대 인터넷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로서 m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obile VoIP (mVoIP) has been developed through interworking of portable Internet (eg WiBro, mobile WiMAX, 3GPP LTE, 4G LTE, etc.) and IMS (IP Multimedia Subsystem) ) Network to provide an mVoIP-based call service as an additional service to a mobile Internet subscriber.
구체적으로, mVoIP란 휴대 인터넷망의 데이터 서비스를 기반으로 음성 전화급의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그리고 VoIP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패킷으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다. VoIP를 이동성 정도에 따라 고정 VoIP(Fixed VoIP)와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로 분류할 때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면 고정 VoIP이고,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이나 와이브로(WiBro)와 같은 무선 인터넷 망에 기반을 두면 mVoIP이다.Specifically, mVoIP mean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VoIP service based on a data service of a portable Internet network. VoIP is a technology that converts voice to packets and transmits them over a network using IP addresses. When VoIP is classified as fixed VoIP and m-VoIP according to the degree of mobility, it is fixed VoIP using high-speed Internet network, HSDPA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WiBro (WiBro) is mVoIP based on wireless Internet network.
         현재 mVoIP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mVoIP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As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mVoIP, efforts are continuing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mVoIP use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VoIP 서비스에서,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반복적인 통화 요청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mVoIP 서비스에서의 푸시 알림을 이용한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 제공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of notifying a call request using a push notification in an mVoIP service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providing a repeated call request notification to a receiver by using a push notification in the mVoIP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이 통화 연결을 요청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notifying a call request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call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using an mVoIP service from a first terminal,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terminal has requested a call connec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ransmitting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notification.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l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hat room in which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s .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restric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복수의 버디들 각각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 및 제2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가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버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comprises receiving, from the first terminal, the instant message service I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ddies and the inform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restricted using the buddy list when the buddy list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he buddy list.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푸시 알림이 적어도 한 번 전송되는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푸시 알림이 한 번 전송되는 제2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includes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push notification at least once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a second type in which the push notification is transmitted onc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can do.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setting a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 알림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first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o re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when determining to re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And setting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단말에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s set to a first type,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push- Transmitting a message to be activated to the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and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setting the first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first type.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setting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may include sett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상기 푸시 알림이 한 번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includes setting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to be transmitted once when the push notification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버디 리스트 또는 대화방 리스트를 기초로 제2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에게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상기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 second terminal based on a buddy list or a chat room list of an instant message service, Receiving a message for activating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from a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whe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Activating the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message, and transmitt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using the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대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tailed attribute of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to an mVoIP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mVoIP 서비스에서, 푸시 알림을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반복적인 통화 요청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mVoIP 서비스에서의 푸시 알림을 이용한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 제공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of notifying a call request using a push notification in an mVoIP service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providing a repeated call request notification to a receiver by using a push notification in the mVoIP servic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계 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푸시 알림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supporting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ransmission of a push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실시예에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하,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110). 구체적으로,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는 서로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는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mVoIP 서비스뿐만 아니라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IM)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은 mVoIP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mVoIP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과 제2 단말은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mVo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call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using an mVoIP service from a first terminal (110). Specificall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mVoIP service. Here, the call may include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Als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support an instant message service using an mVoIP service as well as an instant message (IM) application. Here, the instant message application may be software supporting mVoIP service and instant message service, for exampl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and providing an mVoIP service and an instant message servic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receive the mVoIP service using the instant message appl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mVoIP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발신측인 제1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요청 메시지는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아이디(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화방에 대한 정보는 대화방의 아이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의 사용자가 제2 단말의 사용자와 통화하기 위해, 제1 단말은 서버를 통해 제2 단말에게 통화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mVoIP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반응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로 푸시 알림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푸시 알림과 함께,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에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을 대화방의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n instant message server and an mVoIP server.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can receive the call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call connection from the first terminal, which is the calling side. Here, the call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hat room in which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s. This may be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call connection using the mVoIP servic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include ID information of each instant message service of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t room may include the ID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to talk to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may make a call request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server. At this time, the mVoIP server receives the call request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instant message server in response thereto. In addition to the push notification, the instant message server may transmit an instant message informing that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 in the chat room. At this time,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can search the chat room in which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 by using the ID information of the chat room. If there is no chat room in which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 the chat room can be opened using the ID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또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20).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mVoIP 서비스에서, 제1 단말이 통화 요청을 하는 경우,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제2 단말에게 통화 요청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푸시 알림이란 단말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사항을 각종 효과와 함께 알람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이 푸시 알림을 수신하면, 제2 단말은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하, 알림 시간)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요청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의 환경에 따라 알림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통화 연결 시간과 동일한 경우,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푸시 알림을 한 번 수신함으로써, 통화 연결 시간 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된 경우에는, 푸시 알림을 한 번 수신함으로써, 제한된 알림 시간 동안만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이 알림 시간 이후에는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하지 않음으로, 제2 단말의 사용자는 통화 요청이 있음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120). Specifical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In the mVoIP service, when the first terminal makes a call request,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can transmit a push notification to inform the second terminal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Here, the push notification may mean providing a notice to the user of the terminal in the form of an alarm together with various effects.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push notification,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the alert sound and the alert vibration during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otification time "), have.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second terminal. For example, if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equal to the call connection time,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a notification sound and a notification vibration during the call connection time by receiving the push notification once from the server. However, when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by receiving the push notification once,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notification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only for the limited notification time.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terminal does not transmit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notification vibration after the notification time,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may not be able to detect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 시간은 단말의 운영체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단말의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알림 시간의 제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은 단말의 운영체제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함으로써 단말의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수신측인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time may be determined by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notification time is limited by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In an embodiment, the version of the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Therefore, the server can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ystem of the terminal by checking the version of the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and thus can determine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의 버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버디 리스트는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용자들의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버디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버디 리스트는 복수의 버디들 각각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은 버디 리스트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버디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주기를 기초로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제1 단말의 버디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버디 리스트의 복수의 버디들 각각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를 기초로 복수의 버디들 각각의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restricted using the buddy list of the first terminal. Here, the buddy list may mean a list of users who can exchange instant messages with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Specifical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obtain the buddy list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At this time, the buddy li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instant messaging service ID and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ddies.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buddy list to a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the buddy list at the user's selection, and can automatically transmit based on the predetermined period.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may include a buddy list of the first terminal.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ystem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ddies based on the instant message service I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uddies of the buddy list.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수신한 버디 리스트가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f the received buddy list i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use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buddy list to limi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Can be determined.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mVoIP 서버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mVoIP 서버는 통화 요청 메시지에 반응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로 푸시 알림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ay send a call request messag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mVoIP server. The mVoIP server may send a message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instant message server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In response to this, the instant message server can determine whether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또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130). 여기서,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은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전송 주기 등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된다고 판단한 경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은 푸시 알림을 적어도 한 번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형은 푸시 알림을 한 번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set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130). Here,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the transmission period,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set to the first type. Here, the first type may be to send the push notification at least on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et to the second type. Here, the second type may be to send the push notification once.
보다 구체적으로,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 제2 단말은 한 번의 푸시 알림을 수신함으로써, 통화 연결 시간 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의 사용자는 통화 연결 시간 동안 통화 요청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여러 번의 푸시 알림의 전송은 불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제2 단말은 한번의 푸시 알림의 수신에 응답하여, 알림 시간 동안만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알림 시간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알림 시간 이후에는 제2 단말이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요청이 있음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푸시 알림을 여러 번 수신하는 경우, 알림 시간은 푸시 알림의 수신 횟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은 연장된 알림 시간 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알림 시간이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notification time is not limited,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a notification sound and a notification vibration during a call connection time by receiving one push notification. Accordingly, since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can detect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during the call connection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unnecessary. However, if the notification time is limited, the second terminal may send a notification sound and a notification vibration only during the notification time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of one time. Therefore, since the notification time is limited, the second terminal may not transmit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notification vibration after the notification time, and accordingly, the user may not be able to detect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However, if the push notification is received several times, the notification time may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ush notification is received.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notification vibration during the extended notification time, the notice time can be substantially extended.
실시예에서,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단말의 설정에 의하여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제2 단말로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은 메시지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제2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입력받는 경우,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이를 수신함으로써,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even if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et to the first type by the setting of the second terminal. For example,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may send a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o activate the interface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The second terminal can activate the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message. When a message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is input from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transmits By receiv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et to the first type.
또 다른 예로서, 제2 단말은 푸시 유형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푸시 유형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may transmit a message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type to the first type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nd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may transmit the push type The type can be set to the first type.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도,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푸시 알람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even whe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may set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alarm to the first type.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예컨대,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세부 속성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한 도2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And,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can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s (e.g.,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At this time, the detailed attribute may be set by the user or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기초하여 제2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140).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전송함과 동시에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에 통화 요청이 있음을 나타내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간의 통화가 연결되거나 통화 연결이 실패할 때까지, 즉, 통화 연결 시간 동안 제2 단말에 푸시 알림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가 연결되거나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푸시 알림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send a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140). In more detai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transmit a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nd may transmit an instant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to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In addition, the server may transmit a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until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a call connection fails, that is, during a call connection time. Therefore, if the call is connected or the connection fails, the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topped.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2 단말에 적어도 한번의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에서, 전송 횟수가 한 번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이 통화 연결을 요청할 때 제2 단말에 단 한 번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세부 속성에서 전송 횟수가 두 번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세부 속성에 따라 제2 단말에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는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의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주기의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이 제2 단말의 알림 시간과 동일한 경우에는, 알림 시간이 끝나는 시점에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미리 전송 주기를 20초로 설정한 경우에는 통화 연결 요청 시점을 기준으로 20초 마다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s set to the first type,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t least once. For example, in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i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is set to one,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send a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only once when the first terminal requests a call connection . However, i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is set to more than one in the detailed attribute,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ailed attribut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or may be prese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basic setting of the transmission period is the same as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transmitted at the end of the notification time. However, if the user has previously set the transmission period to 20 seconds,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transmitted every 20 seconds based on the time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다른 예로서,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2 단말에 한 번의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은 경우인 바,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시간 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통화 요청 연결 시점에 단 한 번의 푸시 알림을 제2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s set to the second type, one push notifi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This is because, in the case where the notification time is not limited, the second terminal can transmit a notification sound and a notification vibration during the call connection time. Therefore,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can transmit only one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call reques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계 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하,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하,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210). 여기서, 제2 유형은 푸시 알림을 한 번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한 번의 푸시 알림의 전송으로도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시간 동안 계속하여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푸시 알림의 반복적인 전송이 없이도 통화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of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method in which a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set to the second type (210). Here, the second type may mean sending the push notification once. This is because, in a case where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the second terminal can continu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sound and the notification vibration during the call connection time even by one push notification transmission.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ct the call request without repetitive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또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220). 여기서, 제1 유형은 푸시 알림을 적어도 한 번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형의 경우, 알림 시간이 제한되므로, 푸시 알림을 한 번만 전송한다면, 사용자가 통화 요청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형의 경우, 푸시 알림을 반복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f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determines that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set to the first type (220). Here, the first type may mean transmitting the push notification at least onc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since the notification time is limited, if the push notification is transmitted only onc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detect the call reques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의 푸시 알림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 나눠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제1 단말이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2 단말에 아이콘 또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할지 여부에 대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be divided into a case of using the interface for the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and a case of not using the interface to set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Here, the interfac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r an image on the second terminal by the first terminal for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And,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can be set in advance as to whether or not to use the interface for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230).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ase where the interface is not used for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230) . Specifically,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a first terminal.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의 사용자는 미리(예컨대, 통화 연결 요청 전)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의 사용자는 제2 단말의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를 위해,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의해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을 재전송 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만을 설정한 경우, 전송 주기는 알림 시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설정이 완료된 경우, 제1 단말은 설정에 따라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획득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푸시 알림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을 재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를 한 번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user of a first terminal may set a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in advance (e.g., prior to a call connection request). Specificall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can set whether or not the push notification is retransmitted, in case the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At this time, when the push notification is not set to be retransmitted,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can be determined by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When the push notification is set to be retransmitted, the user can set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only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he transmission period can be automatically set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time. In addition, the user can independently set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first terminal can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can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o re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ush notification is not to be retransmitted, the number of times of 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et to one.
실시예에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단말로부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a second terminal.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According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can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can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그리고,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따라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is not obtained,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또한, 제1 단말이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를 제1 단말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240).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수신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uses the interface for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activate a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face) for receiv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240). Specifical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first terminal to activate the interface. The first terminal can activate the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message. The first terminal can receive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user using the interface.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경우, 제1 단말의 사용자는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에 대해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을 재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단말은 이에 응답하여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terface is activated,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can select whether to resend the push notification. And, if it is desired to re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the user can select the activated interface, and the first terminal can 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in response thereto.
제1 단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250). 구체적으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은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1 단말에 미리 저장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단말에 세부 속성에 관련된 정보가 미리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se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250). Specifically,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a first terminal. Then,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can be se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Here,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may b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a push notific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can be set by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terminal. However, wh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is not stored in advance in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attribute of the first type can be set based on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또한,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푸시 알림이 한 번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260).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통화 연결 시간과 동일한 시간을 의미할 수도 있고,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 미리 설정한 시간일 수도 있으며, 제1 단말에 저장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 중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이내의 시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resend request of the push notification has not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rver can set the call announcement notification method to transmit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to the push notification once (260).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the same time as the call connection time,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be a preset time,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among the detailed attributes of the first type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Or more.
예를 들어, 제1 단말에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됨에도 불구하고,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1 단말의 사용자가 푸시 알림의 재전송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에 저장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와 상관없이,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푸시 알림이 한번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though the interface is activated in the first terminal, if the push notify retransmission request can not b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notify that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does not want to resend the push notification It can be judged. Thus, regardless of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the push notification can be set to send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once.
         실시예에서,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로부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푸시 알림을 한 번 전송하도록 설정할지 또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에 관련된 정보를 기초로 푸시 알림을 전송하도록 설정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a second terminal. Her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nd the transmission period. In this case,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push notification to be transmitted on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r to set the push notification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received from the second terminal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supporting mVoIP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이하,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버디 리스트 또는 대화방 리스트를 기초로 제2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310). 여기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mVoIP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연동됨으로써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에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는 제1 단말에 버디 리스트 및 대화방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버디 리스트는 제1 단말 사용자의 친구들의 목록을 의미할 수 있고, 대화방 리스트는 제1 단말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의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버디 리스트 또는 대화방 리스트에서 통화를 요청하고자 하는 제2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first terminal) of a first terminal supporting an mVoIP service may select a second terminal based on a buddy list or a chat room list of an instant message service (310). Her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an support an instant message service. In an embodiment, the mVoIP service may provide a call to a user of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by interworking with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This may mean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ubscribed to the instant message service, and thu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stored in the instant message server. The instant message service may provide a buddy list and a chat room list to the first terminal. Here, the buddy list may refer to a list of buddies of the first terminal user, and the chat room list may refer to a list of chat rooms in which the first terminal user participates. According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can select the buddy list of the instant message service or the second terminal to request the call from the chat room list.
또한,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에게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320). 구체적으로, 제2 단말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화 요청 메시지는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제1 단말이 사용자와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request a call connection using the mVoIP service to the second terminal (320). Specifically, in order to request a call connection to the second termina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a call request message to a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t this time, the call request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information on the chat room in which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
또한,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메시지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330).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의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도록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가 설정된 경우,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메시지를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은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a message to activate a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to the mVoIP service From a supporting server (330). In the embodiment, when a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is set to use the interface for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responds to the call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A message enabling the interface to be activ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can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또한,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수신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340). 이에 따라, 제1 단말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activate the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message (340).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can receive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from the user by activating the interface.
또한,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350).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using the interface (350). In particular, the first terminal may receive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using the interface. Then,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can be transmitted to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대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 및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푸시 알림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대한 세부 속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의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의 수신에 대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지 않도록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가 설정된 경우,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통화 요청 메시지와 함께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따른 세부 속성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When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attribute o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received from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gether. In the embodiment, if a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is set so as not to use the interface for reception of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Together with the call request messag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attribute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푸시 알림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ransmission of a push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연결 시간 구간(410)은 제1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시점부터 통화 연결 시점 또는 통화 연결 실패 시점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all 
         실시예에서, 푸시 알림 전송 유형이 제1 유형이고, 세부 속성의 전송 횟수가 4회로 설정된 경우,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은 통화 연결 시간 동안 푸시 알림 1(421) 내지 푸시 알림 4(424)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푸시 알림 1(421)은 통화 연결 요청 시점에 제2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 1(421)은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에도 통화 연결 요청 시점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 2(422) 내지 푸시 알림 4(424)는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의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주기는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세부 속성에 관한 정보를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본 설정에 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0초로 설정된 경우, 푸시 알림 1(421)의 전송 시점 t1(431)은 통화 연결 요청 시점으로부터 10초 후 일 수 있고, 전송 시점 t2(432)는 20초 후, 전송 시점 t3(433)는 30초 후 일 수 있다.  그러나, 통화 연결 시점이 통화 연결 요청 시점으로부터 25초 후 일 경우, 푸시 알림 4(424)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when the push notification transmission type is the first type and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detailed attribute is set to four, the server's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transmits push notification 1 (421) to push notification 4 (424) Lt; / RTI > At this time, the push notification 1 421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at the time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And the push notification 1 421 may be transmitted at the time of the call connection request even i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s the second type. And, the push notification 2 422 to the push notification 4 424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Here, the transmission period may be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attribut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or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basic setting.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period is set to 10 seconds, the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510)이 제2 단말(520)에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제1 단말(510)은 통화 연결 시간에 대한 정보, 제1 단말(510)의 사용자 및 제2 단말(52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 1)(512) 및 통화 연결 취소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인터페이스 2)(511)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 1(512)은 제2 단말의 환경에 따라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520)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1(512)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말(520)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제1 단말(510)은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인터페이스 1(512)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단말(510)은 인터페이스 1(512)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인터페이스 1(512)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5, when the first terminal 510 requests the 
         제1 단말(510)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제2 단말(520)은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푸시 알림(521)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2 단말(520)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 경우에는 푸시 알림(521)을 한 번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응답하여 제2 단말(520)은 통화 연결 시간 동안 알림음 또는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If there is a call request of the 
         그리고, 제2 단말(520)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제2 단말(520)은 적어도 한 번의 푸시 알림(521)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전송 주기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푸시 알림 전송 유형에 대한 세부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 알림(521)을 수신하는 경우, 제2 단말(520)은 알림 시간 동안 알림음 및 알림 진동을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푸시 알림(521)을 수신하는 경우, 알림 시간은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If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4)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이 통화 연결을 요청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푸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Receiving a call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using an mVoIP service from a first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terminal has requested a call connec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ransmitting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와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화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 request message
A server supporting an mVoIP service including information on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information on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and information on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a chat room in which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participates How to notify a call request.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설치된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Determining whether a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버디들 각각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 및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버디 리스트가 상기 제2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버디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in response to the call request message
When a buddy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ID and an operating system of each of a plurality of buddies includes information on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Lt; RTI ID = 0.0 >
Wherein the mVoIP service is further configured to: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유형들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된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푸시 알림이 적어도 한 번 전송되는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라,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푸시 알림이 한 번 전송되는 제2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a first type in which the push notification is transmitted at least onc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And
Setting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a second type in which the push notification is once transmitted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that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not limited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from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And
Setting a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시 알림을 재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etting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based on the informa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push notification is retransmit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Sett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o re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단말에 활성화되게 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ransmitting, to the first terminal, a message for enabling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retransmission request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a user to be activated by the first terminal if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is set to the first type; And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mVoIP service is further configured to: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compris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type of detailed attribute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Setting a detailed attribute of the first type based on the information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etting the first type of detail attribute based on the information comprises:
Sett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A call request notification method of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을 상기 제1 유형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세부 속성을 상기 푸시 알림이 한 번 전송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인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etting the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to the first type comprises:
And setting the push notification to be transmitted once when the subscriber does not receive the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2 단말에게 mVoIP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시간이 제한되는 경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메시지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요청을 상기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Selecting a second terminal based on a buddy list or chat room list of an instant messaging service;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using the mVoIP service to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from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a message for activating an interface for receiv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from a user when the call request notification time of the second terminal is limited;
Activating the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message; And
Transmitting a push notification retransmission request to the server supporting the mVoIP service using the interfac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VoIP service is a mVoIP service.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유형에 대한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를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부 속성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푸시 알림의 재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푸시 알림의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m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단말의 통화 요청 알림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tailed attribute of a transmission type of the push notification from the us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ailed attribute to a server supporting mVoIP service
Further comprising: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tail attribute
Wherein the push notif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retransmission of the push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push notification, and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period of the push notific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6353A KR101423840B1 (en) | 2012-11-28 | 2012-11-28 |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36353A KR101423840B1 (en) | 2012-11-28 | 2012-11-28 |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70870A true KR20140070870A (en) | 2014-06-11 | 
| KR101423840B1 KR101423840B1 (en) | 2014-07-29 | 
Family
ID=5112549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36353A Active KR101423840B1 (en) | 2012-11-28 | 2012-11-28 |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23840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09311A (en) * | 2016-05-04 | 2019-01-28 | 기제케+데브리엔트 모바일 서큐리티 게엠베하 | Subscriber self-activating device, program and method | 
| WO2019054779A1 (en) * | 2017-09-14 | 2019-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ss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6712B1 (en) * | 2009-05-28 | 2012-04-20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AND APPARATUS FOR VoIP SERVICE | 
| KR101080383B1 (en) | 2010-05-24 | 2011-11-07 |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 VIP call setup method and VIP communication system performing the same | 
| KR101028487B1 (en) | 2010-06-30 | 2011-04-14 |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 How to connect to the Internet | 
| KR101041386B1 (en) | 2011-03-09 | 2011-06-20 |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 Internet telephony system that allows a smartphone to connect to an internet phone using a push server | 
- 
        2012
        
- 2012-11-28 KR KR1020120136353A patent/KR101423840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09311A (en) * | 2016-05-04 | 2019-01-28 | 기제케+데브리엔트 모바일 서큐리티 게엠베하 | Subscriber self-activating device, program and method | 
| WO2019054779A1 (en) * | 2017-09-14 | 2019-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ss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10911908B2 (en) | 2017-09-14 | 2021-02-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ss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23840B1 (en) | 2014-07-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305946B2 (en) |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viding group call service using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
| US8583076B2 (en) |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 KR101437565B1 (en) | Messaging system for reliability of push message | |
| CN103581429A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shutdown | |
| US952126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terminal to join conference | |
| KR20130022224A (en) |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 |
| CN107770035B (en) | Method and device for pushing offline notification | |
| KR20130062983A (en) | Web based access to video content associated with voicemail | |
| KR101423840B1 (en) | METHOD FOR NOTIFYING CALL REQUEST USING PUSH NOTIFICATION IN mVoIP SERVICE | |
| CN107342965A (en) | Rich media communications method, system and server | |
| EP2879354A1 (en) | WebRTC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 |
| KR101790896B1 (en) | Apparatus for message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10113671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oIP SERVICE | |
| KR10239663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f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CN108881774B (en) | Call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network call | |
| KR101646019B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fect analysis service | |
| JP2010183268A (en) | Message communication system,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program | |
| JP4769686B2 (en) |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 |
| KR101836655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 bound call of the messenger subscriber | |
| CN101909256A (en) | Method for querying user information and multimedia message center | |
| KR100805056B1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e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 |
| KR102066753B1 (en) | Method and device of voice absence notification in ip phone service | |
| KR101361336B1 (en) | METHOD OF OPERATING AN INSTANT MESSAGE APPLICATION,AN mVoIP SERVER AND AN INSTANT MESSAGE SERVER PROVIDING mVoIP SERVICE | |
| KR101879163B1 (en) | Method of operat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group call service using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
| KR20150094069A (en) | Message processing server, a authentication server of providing dual number service under the open mobile alliance(oma) standard and a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