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617A -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 Google Patents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4617A KR20130134617A KR1020120058246A KR20120058246A KR20130134617A KR 20130134617 A KR20130134617 A KR 20130134617A KR 1020120058246 A KR1020120058246 A KR 1020120058246A KR 20120058246 A KR20120058246 A KR 20120058246A KR 20130134617 A KR20130134617 A KR 201301346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upply port
- ferrous metals
- vehicle body
- meta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차체를 프레스로 압축시킨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된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는, 장방형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부가 지하실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며, 폐자동차의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차체절단편을 지상에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상기 공급구의 배출측과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공급구의 내부면 최하단과 연이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밑판이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제1 지지대 상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호형으로 설치되며, 제1 개폐유닛에 의하여 상기 공급구의 배출측이 개폐되는 제1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 하부의 전,후면에 내,외부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공급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차체절단편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봉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 회전축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각각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 고정되어 탄발력으로 상기 회전축이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 피동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ㄷ"자형 연결대와; 상기 "ㄷ"자형 연결대의 피동롤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의 피동롤러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여 눌러주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 설치한 롤러회전대에 장착되는 상,하부 구동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 상부에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분리한 미세한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과; 상기 공급구 하단의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공급구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분리된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 및 잔존한 비철금속류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제2 개폐유닛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이 개폐되는 제2 본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ver the ferrous metals of the waste vehicle body by quickly separating th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cut pieces to a small size by using a press die in the pressurized vehicle body compressed by the press body of the wast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rrous metal recovery apparatus for a scrapped vehicle body.
The iron metals collection device of the abandoned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bliquely in a rectangular shape, the upper part is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basement, the body cut pieces cut the compacted body of the old car by using a press mold A supply port for supplying ground from the ground;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one side of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in series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ort, and the base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nd fixed to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upper surfaces; A first main body cover slid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st main body cover being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 rotating shaft rotatably mounted inward and outwar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which are horizontally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and fixed to the rotation shaft at regular intervals to strike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s that are suppli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ly port; It is respectively insert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A ten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the tension spring being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n angle with elastic force; A "c" shaped connecting rod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and mounted with a driven roller at the center thereof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driven roller of the "c" shaped connector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en roller,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by a drive of a driving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Upper and lower drive rollers mounted on a roller swivel fix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so as to b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radially penetrating through the duct so that fin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separated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ucts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and hing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ort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non-ferrous metals and the remaining non-ferrous metals of the non-ferrous metals and shredded residues are discharged down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ody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차체 압축물로부터 철금속류를 회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자동차의 차체를 프레스로 압축시킨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된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ferrous metals from a body compact of an automobi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ferrous metals from a body compact of a used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vering ferrous metals of an abandoned automobile body, by which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ferrous metals to recover ferrous metals of an abandoned vehicle body.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유 대수의 증가와 함께 수명을 다한 자동차에 대한 폐자동차 처리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수명을 다한 자동차는 폐차장 등에서 해체가 이루어져 폐차 처리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량을 줄이면서 폐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을 재질별로 수거하여 고철 및 일부의 구성부품이 재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disposal of used cars for cars that have reached the end of their life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is a serious social problem. Scrap and some components are being recycled by collecting the parts constituting the material by material.
상기한 폐자동차 처리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폐자동차의 외장류와 내장류를 순차적으로 해체하여 재활용 가능한 구성부품으로 분리한 것 중에서 부피가 큰 바디 즉, 차체를 압축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한 후 차체 압축물을 폐자동차 처리용 슈레더(Shredder)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250㎜ 이하)의 스크랩(Scrap)으로 파쇄하여 철,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분리ㆍ선별한 후 제철소 등에서 재활용되어 다시 사용되고 있으나, 차체 압축물에는 철뿐만이 아니라 차체에 부착된 각종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그 밖의 다른 재질이 혼재해 있음으로써 순수한 철금속류를 회수하여 재활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The waste vehicle treatment method uses a press to sequentially dismantle the exterior and interior parts of the waste vehicle and separate them into recyclable components,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by compressing the bulky body, that is, the vehicle body. Compressed materials are shredded into small scraps (250 mm or less) using shredder for the disposal of waste cars to separate and select ferrous and nonferrous metals and shredded residues, and then recycled and reused in steel mills. In addition to the iron, the compacts of the car body have various materials attached to the car body, such as plastic or other materials, so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recovering and recycling pure ferrous metals.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철금속류에 대한 고철 단가의 하락을 유발시키고, 폐기물량이 늘어남으로써 폐기물 매립장 부족 문제가 발생되고, 또 고부가가치를 갖는 자동차 재료의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심각한 자원 낭비가 발생되고 있다.For the reason as described above, the fall of scrap metal prices for ferrous metals, the amount of wast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of shortage of landfills, and serious resource waste in terms of resource recycling of high value-added automotive materials.
따라서, 자동차를 폐차할 때 구성부품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부품은 재활용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은 매립이나 폐기 처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disposing of a car, it is preferable to recycle parts that can be separated and recycl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components, and to dispose of those that are not recyclable.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폐자동차 처리용 슈레더는 피파쇄물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회전날이 설치되며, 수평 축심 둘레로 회전하는 파쇄로터와; 상기 파쇄 로터에 대향 배치된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파쇄처리부와; 상기 파쇄로터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쇄처리부에서 파쇄처리된 피파쇄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스크린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일축의 파쇄장치가 있다.Currently used shredder for the disposal of waste vehicles is generally used and a hopper to put the crushed object; A crushing rotor disposed below the hoppe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A shredding processing unit comprising a fixed blade disposed opposite the shredding rotor; There is a uniaxial shredding device which is arrang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redding rotor, and has a screen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 selectively passing the shredded material shredded by the shredding treatment part.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폐자동차 처리용 슈레더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05773호(2007.04.03)에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위에 전동모터(3)가 설치되고 전방으로 배출구(4)가 형성된 프레임(2)과; 프레임(2) 상면에 설치되고 배출구(4)와 연통되는 토출공(11)이 형성되며, 중앙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어 소정 높이를 갖는 회전축(13)이 수직되게 결합된 하부몸체(10)와; 양측방향으로 밀편(21)이 결합되고, 하부몸체(10)의 수납공간(12)에 위치되도록 회전축(13)에 끼워져 결합되는 푸셔(20)와; 원통형태로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동심원을 이루다 중간지점에서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되어 파쇄물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측면칼날(31)이 등간격을 이루며 결합되어지되, 상기 측면칼날(31)은 1차파쇄부(40)와 2차파쇄부(50)의 회전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파쇄물의 파쇄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의 1차파쇄부(40)와 2차파쇄부(50)에 파쇄물이 잘씹혀질 수 있게 하며, 파쇄물을 상부몸체(30)의 내부로 밀어 넣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파쇄날(34)이 커버(35)에 씌워져 측면칼날(31)과 대응하는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있는 상부몸체(30)와; 회전판(41) 상면 중앙에 하우징(42)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는 다수개의 제 1, 2, 3칼날(43, 44, 45)이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도록 결합된 1차 파쇄부(40)와; 다수개의 작동홈(51)이 형성된 상, 중, 하판(52, 53, 54)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고, 상부파쇄날(55)과 하부파쇄날(56)이 고정축(57)에 의해 한 쌍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고정쇠(58a)와 협지부재(58b) 및 탄성스프링(59)에 의해 유동되도록 결합된 2차 파쇄부(50)와; 1차 파쇄부(40)와 2차 파쇄부(5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2차 파쇄부(50)에 소정의 반발력을 부여하는 바운드스프링(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hredder for the treatment of waste vehicles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05773 (2007.04.03) shredder for th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 and waste vehicles. 9 and 10, the
이는 고철이나 금속재질 및 비금속재질의 피파쇄물의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이하, 피파쇄물이라 통칭함)을 재활용하기 위해 파쇄함에 있어, 컨베이어 방식에 의해 1차로 절단되어진 피파쇄물을 자동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된 피파쇄물이 다단형태로 설치된 제 1, 2파쇄부를 거치면서, 작은 크기로 절단 및 파쇄됨은 물론, 부피가 작은 덩어리형태 또는, 미립자형태로 파쇄되도록 함으로써, 파쇄물의 재활용을 위한 후처리 공정, 즉, 보관 및 운반에 대한 편리함과 효율성을 제공하며, 특히, 파쇄물의 공급단가를 높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산업 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를 제공하고, 피파쇄물이 파쇄되는 과정에서,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즉, 고철은 작은 토막형태로 파쇄되고, 연질의 금속이나 비금속 재질의 피파쇄물은 파쇄 후, 덩어리형태를 이루게 되며, 목재나 유리 등의 재질은 미립자 형태로 파쇄됨으로써, 파쇄 후, 재질에 따른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recycle industrial wastes and waste veh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ushed products) of scrap metal, metal and non-metallic crushed materials, the crushed materials cut by the conveyor method are automatically supplied. After the supplied crush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rushing units provided in a multi-stage form, the crushed material is cut and crushed in a small size, as well as pulverized in a small lump form o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so as to recycle the crushed material. That is, it provides convenience and efficiency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in particular, provides a new type of shredder for processing industrial wastes and used vehicl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conomy by increasing the supply cost of crushed products, and crushed crushed materials. In the process, depending on the material, different forms, ie, scrap, are broken into small pieces, and soft or nonmetallic materials. Of blood lysate is formed after the crushing, loaf shape, material, such as wood or glass is a so a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shredded by being in particulate form, after crushing, material.
이와 같은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에서는 상기 1차 파쇄부(40)와 2차 파쇄부(50)에 의해 파쇄됨에 있어, 제 1, 2, 3칼날(43, 44, 45) 또는, 상,하부 파쇄날(55, 56)에 의한 파쇄시, 과다한 접촉(타격)으로 인해 과다한 충격이 1차 파쇄부(40) 및 2차 파쇄부(50)에 가해지게 되면, 과부하가 발생되고, 파쇄날에 쉽게 마모되거나 훼손되는바, 이러한 과다한 충격이나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에는 파쇄날의 마모 및 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바운드스프링(60)을 장착하였으며, 특히, 2차 파쇄부(50)가 바운드스프링(6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반발력을 갖도록 탄성력이 부여되므로, 과다한 충격이나 과부하에 대한 흡수 완충작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the shredder for industrial waste and waste vehicle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cond, and
이는 피파쇄물이 상부몸체(30)내에 공급되어 회전되는 1, 2차 파쇄부(40, 50)에 의해 절단 및 파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2차 파쇄부(50)의 상, 하부 파쇄날(55, 56)과 보조 파쇄날(34)은 칼날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쇄를 위해 접촉되는 부위가 전면에 걸쳐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일부위부터 점차적으로 깍아지듯 부분적으로 접촉되며 파쇄가 이루어지므로, 접촉에 따른 충격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절단 및 파쇄시 타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파쇄날의 마모현상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나, 그 구조가 대형이고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고가이고,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의 운전비용 증가하게 되며, 1차로 절단되어진 피파쇄물을 자동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된 피파쇄물이 다단형태로 설치된 제 1, 2파쇄부를 거치면서, 작은 크기로 절단 및 파쇄함으로 인해 폐자동차에 대한 파쇄공정을 다단계로 거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is because the crushed material is cut and crushed by the primary and
한편, 다른 종래의 폐자동차 처리용 슈레더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84-0006447호(1984.11.30)에 충격식 파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에 셀라이너를 고정한 상부가 넓게 된 상부셸과, 마찬가지로 안쪽에 셸라이너를 고정한 원통형상의 하부셸과 셸의 중앙에 위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회전축과, 상부셸내에 있고 회전축에 로우터를 개재해서 부착된 상부타격자와 하부셸내에 있고 링크 기구에 의해서 회전축에 부착된 하부타격자를 구비하여 하부타격자와 하부셸내의 셸라이너 사이의 간곡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shredder for waste vehicle processing, a shock crusher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84-0006447 (1984.11.30).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upper shell is a widened upper shell fixed to the inside, the cylindrical lower shell and the shell is fixed in the center of the shell and the rotary drive by the drive device And the lower percussion shaft in the upper shell and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via the rotor and the lower percussion shaft in the lower shell and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by the link mechanism. It is to be adjusted.
상기 상부타격자를 편심돌부를 가진 착탈자재한 축제와 조인트를 개재해서 로우터에 부착하고, 축제의 편심돌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부타격자와 셸라이너 사이의 간곡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부 셸 및/혹은 하부셸의 안쪽에 고정한 셸라이너를 철부를 가진 셸라이너와 평평한 저셸라이너와의 2종류의 라이너를 교호로 배치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striker is attached to the rotor via a detachable festival and a joint having an eccentric protrusion, an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ccentric protrusion of the festival, the gap between the upper hitter and the shell liner can be adjusted, and the upper shell and / Or alternatively arrange two types of liner, a shell lin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shell and a flat shell liner and a flat low shell l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격식 파쇄기에서는 링크방식에 의해 상,하부 타격자가 회전되면서 피파쇄물을 부수고 찢어 파쇄함으로 인해 파쇄편이 찌그러져서 접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분리하기가 상당히 어려우므로 인해 고철 단가의 하락을 유발시키고, 또한 고철 단가를 올리기 위해 별도로 일일이 수작업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파쇄된 파쇄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소각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폐자동차의 차체 철금속류를 재활용하기 위한 고철처리비용 증가와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impact crusher as described above, as the upper and lower hitters are rotated by the link method, the crushed pieces are crushed and crushed due to the crushing and tearing of the crushed object,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ferrous metal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it causes a drop in scrap metal prices and also incineration of non-ferrous metals and shredded residues from ferrous metals of shredded pieces by hand using gas separately to raise scrap pric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scrap metal treatment costs for recycling metals are increased and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r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폐자동차를 일정두께로 압착한 차체 압축물을 종래의 폐자동차 처리용 슈레더(Shredder)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파쇄시키지 않고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된 차체절단편을 공급하여 다수의 타격봉으로 수회 연속반복하여 타격함으로써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a press mold without shredding the compressed car body to a certain thickness using a conventional shredder for processing waste cars (shredder) to a small size By supplying the car body cut pieces cut into small size and hitting it repeatedly with several strike rods, it is possible to quickly separate th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cut pieces to recover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rrous metal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는, 장방형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부가 지하실 내부의 천장에 매설되며, 폐자동차의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차체절단편을 지상에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상기 공급구의 배출측과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공급구의 내부면 최하단과 연이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밑판이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제1 지지대 상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호형으로 설치되며, 제1 개폐유닛에 의하여 상기 공급구의 배출측이 개폐되는 제1 본체커버와; 상기 본체 하부의 전,후면에 내,외부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공급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공급되는 차체절단편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봉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 회전축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각각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 고정되어 탄발력으로 상기 회전축이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 피동롤러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ㄷ"자형 연결대와; 상기 "ㄷ"자형 연결대의 피동롤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의 피동롤러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여 눌러주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고정 설치한 롤러회전대에 장착되는 상,하부 구동롤러와; 상기 본체의 타측면 상부에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분리한 미세한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과; 상기 공급구 하단의 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공급구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분리된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 및 잔존한 비철금속류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제2 개폐유닛에 의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면이 개폐되는 제2 본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pparatus for recovering ferrous metals of an automobi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obliquely pene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basement. A supply port for supplying the body cut pieces cut to size from the ground;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one side of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in series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ort, and the base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nd fixed to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upper surfaces; A first main body cover slid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st main body cover being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A rotating shaft rotatably mounted inward and outwar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triking rods which are horizontally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and fixedly fixed to the rotation shaft at regular intervals to strike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s that are suppli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ly port; It is respectively insert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A tension spring,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the tension spring being installed to be rotatable at an angle with elastic force; A "c" shaped connecting rod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and mounted with a driven roller at the center thereof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driven roller of the "c" shaped connector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en roller,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by a drive of a driving motor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Upper and lower drive rollers mounted on a roller swivel fix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so as to b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radially penetrating through the duct so that fin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separated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ucts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ort by a hinge coupling and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non-ferrous metals and the remaining non-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fragments from which the non-ferrous metals and the crushed residues are separated are discharged down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ody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one side of the main body by the unit.
상기 본체의 전,후측 외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오일레스 부싱이 각각 대응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illess bushing to which the rotary shaft is coupled correspondingly mounted.
상기 제1 개폐유닛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지하실 천장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는 상기 제1 본체커버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is a hydraulic cylinder, the cylinder body is hingedly coupled to the basement ceiling, the pull-in and pull-out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upling is inclined to the first body cover.
상기 타격봉은 상기 회전축의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고정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iking ro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rotat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a plurality of fixing bolts.
상기 제2 개폐유닛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공급구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는 상기 제2 본체커버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is a hydraulic cylinder, the cylinder body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by a hinge coupling, the pull-in and pull-out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upling is inclined to the second body cover.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의하면, 폐자동차를 프레스를 통해 일정두께로 압축시킨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차체절단편을 공급하여 다수의 타격봉으로 수회 연속반복하여 타격함으로써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폐자동차의 차체 철금속류를 재활용하기 위한 고부가가치의 고철을 회수할 수 있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ron metals collection apparatus of the wast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a vehicle body cut pieces cut to a small size by using a press mold of the compressed body body compressed the waste vehicle to a certain thickness through a press a plurality of impact rods By repeatedly hitting several times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quickly separat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fragments, so that high value-added scrap metals can be recovered for recycling the ferrous metals of used cars.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non-ferrous metals and shredded residue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cut by han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work.
또한 타격봉의 점검 또는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개폐유닛을 작동시켜 제2 본체커버를 열면 간편하게 타격봉의 점검이나 교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or replace the striking ro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rated to open the second body cover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check or replace the striking rod.
또한 지하실 공간에 설치하여 차체절단편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의 분리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타격작용에 의한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space to separate th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body cut piec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noise due to the impact 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과 타격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차체절단편의 공급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서 차체절단편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충격식 파쇄기의 일부를 발췌한 요부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Ⅱ-Ⅱ선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rrous metal recovery apparatus of the abandoned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excerpt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errous metal collection apparatus of the abandoned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strik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excerpts showing the supply state of the car body fragments to the iron metal collection apparatus of the abandoned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errous metal recovery apparatus of the abandoned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ssential part excerpt showing the discharge state of the car body fragment in the waste metal body recovery apparatus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dustrial waste and shredder for waste vehicle processing;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taken from a part of the conventional impact crusher,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ron metals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과 타격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 차체절단편의 공급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에서 차체절단편의 배출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ron metal recovery device of the wast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ron metal recovery device of the wast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art in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strik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junk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vehicle body fragment supply state to an iron metal recovery device of a vehicle body, and FIG.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cavation state of the car body fragment in the scrap metal recovery device of the car body.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상부가 지하실 내부의 천장(300)에 매설되며, 폐자동차의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차체절단편(200)을 지상에서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10)와; 상기 공급구(10)의 배출측과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공급구(10)의 내부면 최하단과 연이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밑판(21)이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제1 지지대(22) 상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호형으로 설치되며, 제1 개폐유닛(31)에 의하여 상기 공급구(10)의 배출측이 개폐되는 제1 본체커버(30)와; 상기 본체(20) 하부의 전,후면에 내,외부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40)과;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공급구(10)를 통해 본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차체절단편(200)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40)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봉(50)과;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 회전축(40)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각각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2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 고정되어 탄발력으로 상기 회전축(40)이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텐션스프링(60)과; 상기 회전축(40)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 피동롤러(7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20)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40)과 일체로 회전되는 "ㄷ"자형 연결대(70)와;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지지대(84)의 상면에 고정 설치한 구동모터(81)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여 눌러주도록 상기 구동모터(81)의 모터축(82)에 고정 설치한 롤러회전대(83)에 장착되는 상,하부 구동롤러(80a)(80b)와; 상기 본체(20)의 타측면 상부에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분리한 미세한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덕트(4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25)과; 상기 공급구(10) 하단의 본체(20)의 일측면에 상기 공급구(10)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분리된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 및 잔존한 비철금속류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제2 개폐유닛(91)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이 개폐되는 제2 본체커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ron metals collection devic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8 are formed obliquely obliquely through the rectangle is buried in the ceiling 300 of the interior of the basement, the compressed body of the waste vehicle A supply port 10 for supplying the body cut pieces 200 cut to a small size using a press die from the ground;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10, one s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series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ort 10 and the bottom plate 21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22) A main body 20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main body cover 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slidable and having a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10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31; A rotating shaft 40 rotatably mounted inward and outwar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Positioned horizontally inside the main body 20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rotating shaft 40 at regular intervals to strike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 200 which is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supply port 10. A number of hitting
이때, 상기 차체절단편(200)은 일정두께로 압축한 폐자동차의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250㎜ 이하)로 절단한 원형편과 상기 원형편을 절단하고 남은 스크랩(Scrap)으로 이루어져 있다.At this time, the car
상기 본체(20)의 전,후측 외부에는 상기 회전축(40)이 결합되는 오일레스 부싱(45)이 각각 대응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회전축(4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회전축(40)이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본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오일레스 부싱(45) 대용으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일반 부싱, 오일레스 베어링 등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Before and after the outside of the
상기 본체(20)의 밑판(21)은 상기 차체절단편(200)을 타격봉(50)으로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저감하고, 마모나 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2 본체커버(90)는 상기 공급구(10)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20)에 힌지결합으로 연결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1 개폐유닛(31)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지하실 천장(300)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325)는 상기 제1 본체커버(30)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다.The first opening and
상기 타격봉(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의 결합공(41)으로 삽입되어 상면의 체결공(42)을 통해 다수의 고정볼트(43)로 고정 설치된다. 이는 상기 타격봉(50)의 휨이나 마모 발생시 상기 회전축(40)으로부터 다수로 이루어지는 타격봉(5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고정볼트(43)를 풀어서 휨이나 마모가 발생하여 훼손된 타격봉(5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제2 개폐유닛(91)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공급구(10)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925)는 상기 제2 본체커버(90)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opening /
한편, 상기 제1 개폐유닛(31)의 유압실린더와 제2 개폐유닛(91)인 유압실린더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제어부의 제어로 작동되며, 유선 또는 무선리모컨으로 조작버튼을 눌러 제1 본체커버(30)와 제2 본체커버(90)의 개폐상태를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ydraulic cylinder of the first opening an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errous metal collection apparatus of the wast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는 지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하실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유닛(31)의 로드(325)가 인입되어 제1 본체커버(30)를 공급구(10)의 배출측이 개방될 때까지 열게 된다.Iron metals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but to be installed in the basement to minimize the impact noise generated when hitting, first, as shown in FIG. The
이후 폐자동차의 차체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정두께로 압축한 차체 압축물을 지상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250㎜ 이하)로 절단한 차체절단편(200)들을 지상에서 공급구(10)를 통해 공급하게 되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공급구(10)와 제2 본체커버(90)의 내부면을 따라 하부로 미끄러지거나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으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차체절단편(200)은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지상에 설치되는 차체절단편공급용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공급구(10)로 공급할 수도 있고, 프레스 금형을 공급구(10)의 투입측 상부에 연결 설치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body cut
상기와 같이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에 차체절단편(200)의 수용이 완료되면 제1 개폐유닛(31)에 유압을 공급하여 로드(325)가 인출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본체커버(30)가 상기 공급구(10)의 배출측을 닫게 됨과 동시에 구동모터(81)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8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부 구동롤러(80a)가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를 접촉하여 눌러주게 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된 타격봉(50)을 상부로 회전,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0)은 텐션스프링(60)의 인장력에 의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driving
상기 상부 구동롤러(80a)가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를 접촉하여 눌러주다가 구동모터(8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구동롤러(80a)가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로부터 접촉이 벗어나게 되면 텐션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타격봉(50)을 하부로 회전, 즉 본체(20) 밑판(2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타격봉(50)이 회전되면서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으로 수용된 차체절단편(200)들을 타격하게 된다.The
이후 하부 구동롤러(80b)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 구동롤러(80a)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면서 다수의 타격봉(50)에 의해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으로 수용된 차체절단편(200)들을 타격하게 된다.After the
즉, 구동모터(81)의 구동에 의해 상,하부 구동롤러(80a)(80b)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를 접촉하여 눌러주게 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된 타격봉(50)을 상부로 회전, 즉 일정 각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상,하부 구동롤러(80a)(80b)가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로부터 접촉에 의한 누름상태를 벗어나게 되면 텐션스프링(60)의 탄발력으로 본체(20) 밑판(21)의 내부 바닥면을 향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타격봉(50)이 회전되면서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으로 수용된 차체절단편(200)들을 타격하게 되는 동작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회 연속반복하게 된다.That is, the upper and
또한 상기 상,하부 구동롤러(80a)(80b)와 피동롤러(71)는 접촉시 회전이 되어 바깥둘레면 전체에 접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느 한 부분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이때, 다수의 타격봉(50)에 의해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으로 수용된 차체절단편(200)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회 연속반복하여 타격함으로써 타격에 의한 충격에 의해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차체절단편(200)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250㎜ 이하)로 절단되어 있으므로 차체절단편(200)의 크기가 일정하고 절단면이 매끈하여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용이하게 비철금속류와 파쇄잔재물이 분리된다. 아울러 타격작용에 의해 분리된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와 크기가 커서 상기 다수의 배출공(25)을 통과하지 못하여 잔존한 비철금속류는 자체 무게에 의하여 본체(20) 내부의 바닥면에 남아 있게 되고,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되는 미세한 크기의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은 덕트(400)를 통해 본체(20)의 타측면 상부에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25)으로 배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 처리장소로 이송되어 분리 처리된다.At this time, by repeatedly hitting the vehicle
상기와 같이 타격작용에 의해 분리된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와 비철금속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유닛(91)의 로드(925)가 인입되어 제2 본체커버(90)를 열리게 하여 본체(20)의 일측면을 개방함으로써 본체(20)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차체절단편(200)의 배출량에 따라 제2 개폐유닛(91)의 로드(925)의 인입에 의해 제2 본체커버(9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20) 밑판(21)의 내부 바닥면에 남아 있는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와 잔존한 비철금속류는 경사진 밑판(21)의 하부로 미끄러져 본체(20)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배출된다.As shown in FIG. 8, the ferrous metals and the nonferrous metals of the vehicle
상기 본체(20)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배출된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와 잔존한 비철금속류는 본체(20) 하방에 설치된 통상의 마그네틱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며, 이후 도시하지 않은 철금속류과 비철금속류를 분리하는 선별기로 공급된다.Ferrous metals and the remaining non-ferrous metals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폐자동차를 프레스를 통해 일정두께로 압축시킨 차체 압축물을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차체절단편(200)을 공급하여 타격작용에 의한 충격에 의해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을 신속하게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타격봉(50)의 훼손시 타격봉(50)의 점검 또는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개폐유닛(91)을 작동시켜 제2 본체커버(90)를 열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vehicle
또한 지하실 내부에 설치하여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의 분리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타격작용에 의한 충격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차체절단편(200)의 공급 및 배출이 유압실린더인 제1 개폐유닛(31) 및 제2 개폐유닛(91)에 의해 제1 본체커버(30)와 제2 본체커버(90)의 개폐상태가 각각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 the basement to separate th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ca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공급구 20 : 본체
21 : 밑판 22 : 제1 지지대
25 : 배출공 30 : 제1 본체커버
31 : 제1 개폐유닛 40 : 회전축
41 : 결합공 42 : 체결공
43 : 고정볼트 45 : 오일레스 부싱
50 : 타격봉 60 : 텐션스프링
70 : 연결대 71 : 피동롤러
80a : 상부 구동롤러 80b : 하부 구동롤러
81 : 구동모터 82 : 모터축
83 : 롤러회전대 84 : 제2 지지대
90 : 제2 본체커버 91 : 제2 개폐유닛
200 : 차체절단편 300 : 천장
325, 925 : 로드 400 : 덕트
500 : 마그네틱 컨베이어10: supply port 20: main body
21: base plate 22: first support
25: discharge hole 30: the first body cover
31: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40: rotating shaft
41: coupling hole 42: fastening hole
43: fixing bolt 45: oilless bushing
50: batting rod 60: tension spring
70: connecting rod 71: driven roller
80a:
81: drive motor 82: motor shaft
83: roller swivel 84: second support
90: second body cover 91: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200: body cut 300: ceiling
325, 925: Rod 400: Duct
500: Magnetic Conveyor
Claims (5)
상기 공급구(10)의 배출측과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공급구(10)의 내부면 최하단과 연이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밑판(21)이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다수의 제1 지지대(22) 상면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호형으로 설치되며, 제1 개폐유닛(31)에 의하여 상기 공급구(10)의 배출측이 개폐되는 제1 본체커버(30)와;
상기 본체(20) 하부의 전,후면에 내,외부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40)과;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공급구(10)를 통해 본체(20)의 내부로 공급되는 차체절단편(200)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40)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봉(50)과;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연장 돌출된 회전축(40)의 양측으로 대응되게 각각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20)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 고정되어 탄발력으로 상기 회전축(40)이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텐션스프링(60)과;
상기 회전축(40)의 양단에 연결 고정되며, 중앙에 피동롤러(71)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20)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40)과 일체로 회전되는 "ㄷ"자형 연결대(70)와;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 지지대(84)의 상면에 고정 설치한 구동모터(81)의 구동에 의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ㄷ"자형 연결대(70)의 피동롤러(71)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접촉하여 눌러주도록 상기 구동모터(81)의 모터축(82)에 고정 설치한 롤러회전대(83)에 장착되는 상,하부 구동롤러(80a)(80b)와;
상기 본체(20)의 타측면 상부에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로부터 분리한 미세한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덕트(40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25)과;
상기 공급구(10) 하단의 본체(20)의 일측면에 상기 공급구(10)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비철금속류 및 파쇄잔재물이 분리된 차체절단편(200)의 철금속류 및 잔존한 비철금속류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제2 개폐유닛(91)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이 개폐되는 제2 본체커버(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The inlet is formed obliquely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upper part is embedded in the ceiling 300 inside the basement, and the supply port for supplying the body cut pieces 200 cut to a small size by using a press mold of the body compact of the scrapped vehicle from the ground. 10;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10, one s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series with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ort 10 and the bottom plate 21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22) A main body 20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main body cover 3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slidable and having a discharge side of the supply port 10 opened and closed by a first opening / closing unit 31;
A rotating shaft 40 rotatably mounted inward and outwar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Positioned horizontally inside the main body 20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rotating shaft 40 at regular intervals to strike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 200 which is supplied in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supply port 10. A number of hitting rods 50;
Insert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4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A tension spring (6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40) and installed so that the rotary shaft (40) is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elastic for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40, and a driven roller 71 is mount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 c " connecting rod 7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40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The " c " shaped connector 70 is spaced apart from the driven roller 71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81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84. The upper and lower parts mounted on the roller swivel 83 fixed to the motor shaft 82 of the drive motor 81 so as to contact and press the driven rollers 71 of the female connecting rod 7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rive rollers 80a and 80b;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5 radially penetrating through the duct 400 so that fin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separated from the ferrous metals of the vehicle body cutting piece 200 are discharged through the duct 400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0; ;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of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ort 1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10 and hingedly installed rotatably, the non-ferrous metals and crushed residues of the iron body of the cut body 200 is separated Discarded vehic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ody cover 90 which is opened and closed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by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91 so that metals and remaining non-ferrous metals are discharged downwards. Recovery equipment for ferrous metals.
상기 본체(20)의 전,후측 외부에는 상기 회전축(40)이 결합되는 오일레스 부싱(45)이 각각 대응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20, the oilless bushing 45 to which the rotary shaft 40 is coupled correspondingly mounte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ron metals collection device of the abandoned vehicle body.
상기 제1 개폐유닛(31)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지하실 천장(300)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325)는 상기 제1 본체커버(30)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31 is a hydraulic cylinder, the cylinder body is hingedly coupled to the basement ceiling 300, the rod 325, which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is hinged inclined to the first body cover 30. Iron metals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upling.
상기 타격봉(50)은 상기 회전축(40)의 결합공(41)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고정볼트(43)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riking rod 5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41 of the rotary shaft 40 is fixed to a plurality of fixing bolts 43, characterized in that the iron metal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상기 제2 개폐유닛(91)은 유압실린더이며, 실린더 본체가 상기 공급구(10)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고,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로드(925)는 상기 제2 본체커버(90)에 경사지게 힌지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opening / closing unit 91 is a hydraulic cylinder, a cylinder body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10 by a hinge coupling, and the rod 925 which is pulled in and pulled out is hinged inclined to the second body cover 90. Iron metals recovery device of the vehic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upl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246A KR20130134617A (en) | 2012-05-31 | 2012-05-31 |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246A KR20130134617A (en) | 2012-05-31 | 2012-05-31 |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617A true KR20130134617A (en) | 2013-12-10 |
Family
ID=4998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246A Abandoned KR20130134617A (en) | 2012-05-31 | 2012-05-31 |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4617A (en)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246A patent/KR20130134617A/en not_active Abandon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460B1 (en) | waste mattress decomposition processing device | |
CN206064585U (en) | A kind of optional colliery of broken thickness is layered disintegrating machine | |
CN111014232B (en) | Device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construction waste | |
US9375721B1 (en) | Scrap material shredding and compressing apparatus and system | |
JPH04227861A (en) | hammer crusher | |
CN212596048U (en) | Reduce construction cost's construction waste recovery device | |
CN104759336B (en) | A kind of double-deck disintegrating machine | |
CN104014407A (en) | A material smashing device | |
KR20130141126A (en) | How to recover ferrous metals in the car body | |
CN206716166U (en) | A kind of abandoned car disintegrating machine unit | |
US8002211B2 (en) | Scrap material shredding and compressing apparatus and system | |
CN2882782Y (en) | Semi-wet pulverizer for life refuse | |
JP5074730B2 (en) | Glass molded body crusher and crushing system | |
KR20130134617A (en) | A steel scrap withdrawing apparatus from body of scrapped vehicles | |
CN216181946U (en) | Rubber tire rubber crusher with cooling device | |
KR200371484Y1 (en) | shredder for disused car | |
CN211160016U (en) | Metal material's reducing mechanism | |
KR101529938B1 (en) | Tin plate shredder | |
KR20210154636A (en) | shredder for disused car | |
KR101303610B1 (en) | One of the mutual contacts of waste crushing and sift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material available for drum-type high speed rotating crusher | |
KR100705773B1 (en) | Shredder for Industrial Waste and Waste Vehicle Treatment | |
CN107837928B (en) | A scrap car shredder unit | |
CN206881797U (en) | A kind of urban architecture solid refuse processing disintegrating machine | |
KR200446606Y1 (en) | Shredder for Industrial Waste Treatment | |
KR102826045B1 (en) | the combustible waste compression wave crusher in which the milling attachment insta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