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20131663A -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663A
KR20120131663A KR1020110049995A KR20110049995A KR20120131663A KR 20120131663 A KR20120131663 A KR 20120131663A KR 1020110049995 A KR1020110049995 A KR 1020110049995A KR 20110049995 A KR20110049995 A KR 20110049995A KR 20120131663 A KR20120131663 A KR 2012013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memory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1200B1 (en
Inventor
최고운
석지혜
김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200B1/en
Priority to EP11008232.8A priority patent/EP2528339B1/en
Priority to EP19211575.6A priority patent/EP3634001A1/en
Priority to US13/288,522 priority patent/US9015758B2/en
Priority to CN201510259264.3A priority patent/CN104883601B/en
Priority to CN201110397441.6A priority patent/CN102802087B/en
Publication of KR2012013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663A/en
Priority to US14/663,259 priority patent/US9762969B2/en
Priority to US15/692,283 priority patent/US100850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00B1/en
Priority to US16/120,811 priority patent/US10484744B2/en
Priority to US16/664,018 priority patent/US11388479B2/en
Priority to US17/752,174 priority patent/US11902627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edit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CONSTITUTION: A display device receives a first command requesting a list about multiple applications. The display device has access to a memory which stores application groups.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graphic data indicating the list about the multiple applications. The display device mixes video data and the generated graphic data of a broadcasting program.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video data and the graphic data on each region. [Reference numerals] (1130) Search; (1140) Edit; (1150) Exit; (1160) Sport; (1170) Entertainment; (1180) News; (AA) My App.; (BB) Num+; (CC) Recent; (DD) App1; (EE) App2; (FF) App10; (GG) App11; (HH) App12; (II) App13; (JJ) App14; (KK) App22; (LL) App23; (MM) App24; (NN) App25; (OO) App26; (PP) MB; (QQ) GB; (RR) Trash can

Description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a 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HBBTV), an internet TV, a web TV,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는, 예컨대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디바이스이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A display apparatus is, for example,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nd processing a broadcast image that a user can watch.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cent trend of switch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worldwide, including Korea.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및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 TV(Smart TV)가 논의되고 있다.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for transmitting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Digital broadcasting is more resistant to external noise than analog broadcasting, so it has less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er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er picture. In addition,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s. On the other hand, smart TV (Smart TV) that combines the func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has recently been discussed.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여러가지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편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CPU, 메모리 등의 성능 개선으로 인하여, 향후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저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은 더 심각할 수 밖에 없다.However,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edit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In particular, due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CPU, memory, etc. of the display device, it is expected that more applications will be stored in the memory in the future. Therefore, the above problem is inevitably more seriou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관리하고 또한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ution capable of quickly managing and easily edit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memory of a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종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편집 가이드 OSD (On Screen Display)를 복수개로 설계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iting guide OSD (On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type of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1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다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을 포함)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s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s audio data and video data), the received audio data and Demultiplexing video data, receiving a first command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accessing a memory storing an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a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And generating graphic data display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 Mixing th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the generated graphic data, and displaying the video data in a first area and displaying the graphic data in a second area (the first area). Includes the second reg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디멀티플렉서와,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와, 그리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for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s audio data and video data), and the received audio data and video.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data, a memory storing an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a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a command for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n OSD generator for generating graphical data represent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a mixer for mixing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graphics data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and the mixed video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h data and the graphic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관리하고 또한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을 그룹별로 편집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lution capable of quickly managing and easily edit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memory of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system applications, premium applications, and downloaded applications can be edited by group.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종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편집 가이드 OSD (On Screen Display)를 복수개로 설계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RF 신호를 처리하는 디바이스, IR 신호를 처리하는 디바이스 또는 RF 신호 및 IR 신호를 모두 처리하는 디바이스에 해당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iting guide OSD (On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type of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is designed. The remote controller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device for processing an RF signal, a device for processing an IR signal, or a device for processing both an RF signal and an IR signal.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More specific eff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the table of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그룹별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하기 전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한 후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상태가 변경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상태가 변경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1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1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2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에서,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필터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컨트롤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로부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mory that stores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in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before execut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fter execut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6.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stat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stat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first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to 12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C illustrate a process of deleting an editable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and 1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first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illustrate a second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to 16D illustrate a process of restoring a deleted application in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17B illustrate a search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mory that stores metadata of a previously stor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A and 19B illustrate a category filtering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A and 20B illustrate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21A to 21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n application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22 to 24 illustrate a process of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from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herei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network TV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but has an Internet function added thereto. It can have a more convenient interface than a remote contro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나아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reover,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view showing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n entire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110), 디모듈레이터(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컨트롤러(160), 유저 인터페이스(170), 디스플레이 모듈(180), 그리고 스피커(190)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모듈들은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 network interface 13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and a memory 150. , A controller 160, a user interface 170, a display module 180, and a speaker 190. However, the modules shown in FIG. 1 are one embodiment, and it is possible to add or delete some modules as requi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in principle by the claims.

상기 튜너(110)는,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디모듈레이터(120)는, 상기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tuner 110 selects, for example,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상기 디모듈레이터(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TS(Transport Stream)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TS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The demodulator 120 outputs a TS (Transport Stream) signal after performing channel decoding. In this case, the TS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nd the like.

상기 디모듈레이터(120)에서 출력한 TS 신호는 상기 컨트롤러(160)로 입력된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피커(190)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TS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performs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video data to the display module 180 and outputs audio data to the speaker 190.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BD(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한다. 나아가,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러(160) 또는 상기 메모리(150)로 전달한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connects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player, a BD (Blu-ray Disc) player,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ly. . Furthermor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a neighboring external device is received and transferred to the controller 160 or the memory 15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The network interface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example,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130 selects and receives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컨트롤러(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한다. 나아가,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튜너(11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The memory 15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60, and stores a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 addition, the memory 150 stores channel information or an application received from the tuner 110, the network interface 130,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외부에 위치한 리모트 컨트롤러(195)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로컬 키 버튼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95)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user interface 17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195 or design a local key button attach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remote controller 19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튜너(110), 상기 디모듈레이터(12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 그리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160)의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controller 160 demultiplexes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the network interface 130,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40,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The controller 1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상기 컨트롤러(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예를 들어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display module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etc.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The display module 18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상기 스피커(190)는, 상기 컨트롤러(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모듈에 해당한다.The speaker 190 corresponds to a module that receiv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6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내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controll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내 컨트롤러는, 디멀티플렉서(161), 영상 처리부(163), OSD 제너레이터(162), 믹서(167),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168), 포맷터(169), 그리고 오디오 프로세서(166) 등을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실시예이며,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multiplexer 161, an image processor 163, an OSD generator 162, a mixer 167, and a frame rate converter 168. , Formatter 169, and audio processor 166. However, the controller shown in Figure 2 is one embodiment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inci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디멀티플렉서(161)는, 입력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TS)를 역다중화 하고, 영상 처리부(163)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63)는, 디코더(164) 및 스케일러(165)를 더 포함하고 있다.The demultiplexer 161 demultiplexes input data (for example, TS), and the image processor 163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herefore, the image processor 163 further includes a decoder 164 and a scaler 165.

전술한 디코더(164)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16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166)는,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한다.The decoder 164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16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The audio processor 166 processes the demultiplexed audio data in a form that can be output through a speaker.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The OSD generator 162 generates an OS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or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interface or automatically,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screen of a display module in graphic or text is generated.

믹서(167)는,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163)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한다. 따라서, 방송 데이터 및 각종 OSD 그래픽이 동시에 오버레이된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된다.The mixer 167 mixes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162 and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or 163. Thus, broadcast data and various OSD graphics are displayed in an overlaid type at the same time.

상기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Frame Rate Conveter; FRC)(168)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rate converter (FRC) 168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a 60Hz frame rate is converted to 120Hz or 240Hz.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or insert a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three predicted frames.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additional conversion.

상기 포맷터(169)는,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168)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formatter 169 receives an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ter 168 and changes the format to a format that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For example,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nd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도 1 및 도 2를 모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Application Browser)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and 2, a process of performing an application browser function by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튜너(110)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110 of the display apparatus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receives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 station.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s, for example, audio data and video data.

디멀티플렉서(161)은,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메모리(150)는,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demultiplexer 161 demultiplexes the received audio data and video data. The memory 150 described above stores the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the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수신한다. 상기 커맨드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요청하는 최초 명령 신호에 해당하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리모트 컨트롤러(195)와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The user interface 170 receives a command for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150. The command corresponds to, for example, an initial command signal for requesting an application browser, and the user interface 170 is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remote controller 195.

전술하여 설명한 OSD 제너레이터(162)는,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OSD generator 162 described above generates graphic data that displays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상기 믹서(167)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18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5 또는 도 11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mixer 167 mixes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graphic data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162.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ixed video data and the graphic data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80.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or FIG.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에디트 모드를 시작하는 커맨드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160)는,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나아가, 상기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영역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제2영역을, 나머지 영역과 다른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를 제어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170 receives a command to start an edit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or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In addition, when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first region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move or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icon may be deleted, from the rest of the region. The OSD generator 162 is controlled to display another graphic.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리(150)에서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설계한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the controller 160 removes the specific application from the memory 150, and It is designed to store address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n the memory 150.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1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60)는, 상기 메모리(150)에 액세스 하여, 각 타입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입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OSD 제너레이터(162)는, 각 타입별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계한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terface 170 receives a command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150 according to a type, the controller 160, The memory 150 is accessed to classify applications for each type. For example, the application has metadata that identifies the type. In addition, the OSD generator 162 is designed to generate graphic data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lassified for each type.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그룹별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그룹별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mory that stores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in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in grou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2가지 그룹으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하였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o that a user can easily check and edit a number of applications stored in a memory of the display device.

제1그룹은, 편집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속해 있으며, 제2그룹은 편집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속해 있도록 설계한다. 도 3에 도시된 다운로드된(downloaded) 어플리케이션들이 전술한 제2그룹에 속한다. 편집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동작이 모두 자유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한다.The first group belongs to applications that are not editable, and the second group is designed to belong to applications that can be edited. The downloaded applications shown in FIG. 3 belong to the second group described above. An application that can be edited defines, for example, an application in which the operation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list and the operation of deleting the application are free.

도 3에 도시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은 전술한 제1그룹에 속한다. 편집이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리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동작이 모두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정의한다. The system applications shown in FIG. 3 belong to the first group described above. An application that cannot be edited defines an application for which neither an operation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list and an operation for deleting the application are possible.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어플리케이션, "넘버 어플리케이션", "리센트(recent) 어플리케이션", "DVR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져 어플리케이션" 등이 존재한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들은, TV의 생산 단계에서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이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경우, TV의 기본 기능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삭제 및 편집 등이 불가능하도록 셋팅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system application, there are "home application," number application "," recent application "," DVR application "," web browser application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are data stored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TV, and when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 is deleted, it may cause problems in the basic functions of the TV. Belongs to the range.

반면,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들은, TV를 구매한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downloaded applications refer to applications in which a user who purchases a TV directly accesses and stores an Internet website.

한편,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제1그룹 또는 제2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제3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리스트 상에서 위치의 이동은 가능하나 삭제가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premium application may be set to belong to the aforementioned first group or the second group, or may be defined to belong to a separate third group. That is, the premium application means, for example, an application that can move a position on a list but cannot be deleted.

또한, 전술한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구별하기 위하여, 해당 아이콘들의 칼라, 톤(tone) 등을 다르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삭제가 모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과, 이동만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과, 그리고 이동/삭제가 모두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aforementioned download application, premium application, and system application,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play and set different colors, tones, etc. of the corresponding icons. In this design,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between an application group that can move / delete, an application group that can only move, and an application group that cannot move / delet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하기 전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하기 전 스크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before execut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before executing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일반 방송 화면(410)을 출력하고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420)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인디케이터(411)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실행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20)의 특정 키 버튼(예를 들어, 핫키 또는 확인키)을 누른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실행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2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utputs a general broadcast screen 410.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browser may be designed to be executed by using the indicator 411 whos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420. Of course, even when a specific key button (for example, a hot key or a confirma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420 is pressed, the application browser shown in FIG. 5 is executed. The remote controller 4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한 후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fter execut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실행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2가지 분할된 영역을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기능을 새롭게 정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기능은,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리스팅 하는 옵션이다. 특히, 이하에서 후술할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는, 편집 및 액세스 면에서 탁월한 장점이 있다.When a command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browser is received through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4 or another method,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wo divided regions. d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browser function is newly defined. The application browser function is, for example, an option of listing 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each application stored in a memory. In particular, an application brows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s an excellent advantage in terms of editing and access.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제1영역(510)에 현재 튜닝중인 채널의 방송 데이터를 유지한다. 반면, 제2영역(520)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들 또는 아이콘들(521, 522, 523, 524, 525)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2영역(520)에 리스팅된 5개의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함을 암시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526)를 추가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display apparatus 500 maintains broadcast data of a channel currently being tuned in the first region 510.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area 520, graphic data or icons 521, 522, 523, 524, and 525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re output. In addition,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graphic data 526 to imply that there are more applications than the five applications listed in the second area 520.

나아가, 도 3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521, 522, 523)과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들(524, 525)을 구별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ystem applications 521, 522, and 523 are distinguished from the downloaded applications 524 and 525. Thus,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not attempting to edit the system application.

또한, 전술한 제2영역(520)에 리스팅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 또는 편집하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530)가 사용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530)의 움직임에 따라, 대응하는 인디케이터(531)도 움직이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530 is used to select or edit the applications list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area 520. As the remote controller 530 moves, the corresponding indicator 531 also move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컨트롤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a motion of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리모트 컨트롤러(610)에 대응하는 포인터(61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모듈들로 설계되어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6A, an example in which a pointer 611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6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600 is illustrated.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600 is designed with,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module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상하, 좌우(도 6의 (b)), 앞뒤(도 6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포인터(611)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러(61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61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모션 리모콘 또는 공간 리모컨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ler 61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6B) and front and rear (FIG. 6C). The pointer 611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600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610. The remote controller 610 is referred to as a motion remote controller or a spatial remote controller because the pointer 611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as shown in the figure.

도 6의 (b)는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표시된 포인터(611)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6B illustrates that when the remote controller 610 is moved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611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60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리모트 컨트롤러(6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61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896)를 표시한다. 상기 포인터(611)의 그래픽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살표 모양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또는 십자가 모양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61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ler 61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600. The display apparatus 600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611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610. The display device 600 displays a pointer 896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The graphic data of the pointer 611 may be design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n arrow or may be designed in the shape of a cross.

도 6의 (c)는, 리모트 컨트롤러(61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디스플레이 장치(60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61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10)를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611)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FIG. 6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610 away from the display apparatus 60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ler 610. As a result,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apparatus 60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611 may be zoomed in and enlarged.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610 to be closer to the display apparatus 600,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apparatus 60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611 may be zoomed out and reduce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6.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internal components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725), 사용자 입력부(735), 센서부(740), 출력부(750), 전원공급부(760), 저장부(770), 제어부(7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remote controller 701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25, a user input unit 735, a sensor unit 740, an output unit 750, a power supply unit 760, and a storage unit. 770, a control unit 780.

무선통신부(7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7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72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25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ler 701 may include an RF module 7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display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701 may include an IR module 7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display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한편, 도 7에서는 RF 신호 및 IR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701)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700)를 제어하기 위해 RF 신호만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IR 신호만 처리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RF 신호 및 IR 신호를 모두 처리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이하 설명하도록 하겠다.Meanwhile, although FIG. 7 illustrates only a remote controller 701 capable of processing both an RF signal and an IR signal, a remote capable of processing only an RF signal to control the display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may be used. Alternatively, a remote control capable of processing only IR signals may be us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processing both an RF signal and an IR signal will be described below.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디스플레이 장치(700)로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7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디스플레이 장치(7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721)을 통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701)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7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701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1 and the like to the display apparatus 700 through the RF module 721.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701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700 through the RF module 721. The remote controller 701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display apparatus 700 via the IR module 723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7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735)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740)는 자이로 센서(741) 또는 가속도 센서(743)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자이로 센서(741)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735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display apparatus 7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735. The sensor unit 740 may include a gyro sensor 741 or an acceleration sensor 743. In addition, the gyro sensor 7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701.

자이로 센서(741)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743)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7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7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701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74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ler 701.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apparatus 700 can be sensed.

출력부(750)는 사용자 입력부(7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7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7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7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750)는 사용자 입력부(7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7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7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7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7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7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757)을 더 구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output unit 7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7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apparatus 70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735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display apparatus 700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750. The output unit 750 is an LED module 7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735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display apparatus 7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25, a vibration module 753 generating vibrations, Designing to further include a sound output module 7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757 for outputting an image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원공급부(760)는 리모트 컨트롤러(701)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760)는 리모트 컨트롤러(701)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760)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7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ler 701. The power supply unit 76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701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7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701 is operated.

저장부(770)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리모트 컨트롤러(701)의 제어에 관련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7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required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701. The controller 780 performs overall function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701.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움직여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상에 표시된 옵션들을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에 표시된 옵션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Thus, the option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browser may be selected by moving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S. 6 and 7, or the option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browser may be selected using a user input unit (for example, an arrow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You can also choos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상태가 변경되는 프로세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stat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최초 실행된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에 1-layer 로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일부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확인하고 싶어 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application browser is executed for the first time, as shown in FIG. 8 (a), some applications previously stored as 1-layer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would like to see a list of more applications.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810)를 움직여서, 인디케이터(811)가 업(up)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layer의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At this time, when controlling the indicator 811 to move in the up direction by moving the remote controller 810, as shown in (b) of FIG. 8, a list of more applications of the 2-layer is Is displayed.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811)를 화면의 상단 끝까지 움직인 경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layer 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전술하여 설명한 레이어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이즈 및 크기를 변경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when the indicator 811 is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8C, a list of all applications of the 3-layer is displayed. Of course,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ange the size and size of the above-described layer or the displayed applic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상태가 변경되는 프로세스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stat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reducing the siz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8과 반대로, 인디케이터를 다운(down)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도 9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사이즈가 축소된다. 즉, 리스팅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숫자가 작아져서, 방송 화면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In contrast to FIG. 8, when the indicator is moved in the down direction, the size of the application browser is reduced as shown in FIGS. 9A, 9B, and 9C. That is, the number of applications listed is small, which increases the visibility of the video data of the broadcast screen.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1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1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1모드는,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layer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보여 주는 모드를 의미한다. 10A to 10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first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0A to 10C,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first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refers to a mode that shows a list of applications of the 1-layer as shown in FIG. 10A, for example.

우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1모드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유저가 리스팅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1010)의 인디케이터(1011)가 편집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일정 시간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다른 단축키를 통해 편집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0A, the displa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utputs a first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0 wants to edit the location of the listed application, the indicator 1011 of the remote controller 1010 is positio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application to be edited. Of course, you can use the other shortcut keys to select the application you want to edit.

그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할 수 있는 영역들(1012, 1013)을 다른 영역과 달리 하이라이트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은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는 전술한 영역들(1012, 1013)이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할 수 있다는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10)의 인디케이터(1011)의 그래픽 데이터도 변환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비교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B, the display apparatus 1000 displays the areas 1012 and 1013 in which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can move in a highlighted form unlike other areas. As shown in FIG. 10B, since the system applications cannot move their positions, the above-described areas 1012 and 1013 are not displayed between the system applications. Meanwhile, the graphic data of the indicator 1011 of the remote controller 1010 is also converted in order to provide a guide for moving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comparing Figs. 10A and 10B.

마지막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10) 및 인디케이터(1011)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1012)의 위치를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10a와 도 10c를 비교하여 볼 때,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들인 하키 어플리케이션과 42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 10C,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application 1012 may be moved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010 and the indicator 1011. Accordingly, when comparing FIG. 10A and FIG. 10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sitions of the hockey application and the 42 application, which are download applications, are chang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layer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보여 주는 모드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보다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Hereinafter, the second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second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refers to a mode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of the 3-layer as shown in FIG. 11, for example. The advantage is that the user can see a list of more applications at on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1120)를 출력한다. 물론,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1110)도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display apparatus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list 1120 of applications belonging to a plurality of groups stored in a memory.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ata 1110 for the broadcast program is also display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0)는, 특정 타이틀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는 옵션(1130), 리스트에 나열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를 편집할 수 있는 옵션(1140), 이전 방송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는 옵션(1150),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들만 분류할 수 있는 옵션들(1160, 1170, 1180), 그리고 총 메모리 용량 대비 현재 사용된 메모리 용량을 표시하는 옵션(1190)을 디스플레이 한다. 각각의 옵션들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100 may include an option 1130 for searching for an application of a specific title, an option 1140 for editing the positions of applications listed in a list, and an option for returning to a previous broadcast screen ( 1150, options 1160, 1170, and 1180 for classifying only applications belonging to a specific category, and an option 1190 for displaying the currently used memory capacity relative to the total memory capacity. Each of these op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2A to 12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2A to 12C, a process of editing a location of an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에 도시된 편집 옵션(1140)이 선택된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변경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210)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1211)을 선택한 경우, 이동 가능한 위치들을 안내하는 그래픽 데이터(1220)가 디스플레이 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는 상기 그래픽 데이터(1220)가 출력되지 않는다.When the editing option 1140 illustrated in FIG. 11 is selected, as illustrated in FIG. 12A, the display apparatus 1200 provides a changed application browser scree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application 1211 is select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10, graphic data 1220 guiding the movable positions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graphic data 1220 is not output between system applications that cannot move their positions.

그 다음으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210) 및 인디케이터(1211)를 이용하여, 2번 어플리케이션을 24번 어플리케이션과 25번 어플리케이션 사이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Next, as shown in FIG. 12B, it is assumed that the application 2 is moved between the application 24 and the application 25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210 and the indicator 1211.

마지막으로,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00)는 위치가 변경된 2번 어플리케이션(1220)을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구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위치를 변경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편집이 완료된 경우, 인디케이터(1211)의 모양을 손모양에서 십자가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편집 기능이 완료하고,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인지할 수가 있다.Lastly, as shown in FIG. 12C, the display apparatus 1200 distinguishes and displays the second application 1220 whose location is changed from other applications,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application whose location has been changed. . 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the shape of the indicator 1211 is changed from hand to cross. By designing in this wa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editing function is completed and other functions can be used.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3A to 13C illustrate a process of deleting an editable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deleting an editable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3C.

도 11에 도시된 편집 옵션(1140)이 선택된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변경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310) 및 인디케이터(1311)를 이용하여 특정 2번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 이동 가능한 위치들을 안내하는 그래픽 데이터(1320)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삭제가 가능한 영역에 해당하는 그래픽 데이터(1330)도 하이라이트된 형태로 표시한다.When the editing option 1140 illustrated in FIG. 11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3A, the display apparatus 1300 provides a changed application browser screen.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pplication is select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310 and the indicator 1311, graphic data 1320 guiding the movable positions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graphic data 1330 corresponding to the erasable region is also displayed in a highlighted form.

그 다음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310) 및 인디케이터(1311)를 이용하여 전술한 특정 2번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삭제가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통의 그래픽 데이터를 이전(도 13a)과 달리 다소 열린 상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될 수도 있음을 다시 한번 워닝 받는 장점이 있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13B, the specific second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moved to the erasable regio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310 and the indicator 131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B, the graphic data of the trash can is changed to a somewhat open state unlike the previous (Fig. 13A). In this design, the user is warned once again that the application of his choice may be deleted.

마지막으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2번 어플리케이션을 삭제가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 완료시킨 경우, 다시 해당 그래픽 데이터(1330)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시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삭제된 2번 어플리케이션의 위치에, 바로 인접하였던 3번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도 한 블록씩 좌로 이동한다.Finally, as shown in FIG. 13C, when the specific second application is moved to the erasable region, the corresponding graphic data 1330 is highlighted agai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3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maining applications and displays the display again. For example, it is designed such that application 3 immediately adjacent to the location of the deleted application 2 is located. The positions of other applications also move left by one block.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1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1그룹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4A and 1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first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a first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the second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에서 설명한 제1그룹은 예를 들어, 도 3에서 전술한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은 가능하나 삭제가 불가능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쓰레기통을 표시하는 영역(1420)으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410) 및 인디케이터(1411)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group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premium applic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FIG. 14A, it is assumed that a specific application, which can be moved but cannot be deleted, is moved to an area 1420 displaying a trash can. At this time,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be mov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410 and the indicator 1411.

그러나, 도 13에서의 설명과 달리,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없음을 가이드 하는 메시지(1430)를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치만 이동 시키려고 재시도할 수 있으나, 상기 영역(1420)으로 재이동시키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unlike the description in FIG. 13, as shown in FIG. 14B, the display device 1400 displays a message 1430 guiding that the selected application cannot be deleted. Therefore, the user may retry to move only the location,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move back to the area 1420.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2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제2모드에서, 편집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그룹들 중 제2그룹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5A and 15B illustrate a second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a second mode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5A and 15B, a second group of non-editable application groups in the second mode of the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5에서 설명한 제2그룹은 예를 들어, 도 3에서 전술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5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510) 및 인디케이터(1511)를 이용하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아주 작은 범위(1512)내에서만 이동하는 효과를 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자체가 불가함을 1차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group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corresponds to the system applic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FIG. 15A, the display apparatus 1500 outputs an application browser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system application is to be moved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510 and the indicator 1511, the effect is to move only within a very small range 1512. Thus, the user can primarily recognize that the movement itself is not possible.

만약, 사용자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예를 들어, 5회 이상) 반복하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고자 할 때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및 삭제가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임을 안내하는 메시지(1530)가 디스플레이 된다.If the user wants to repeatedly edit the system application over a preset range (for example, five or more times), as shown in FIG. 15B, a message 1530 indicating that the application cannot be moved or deleted is displayed. do.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에서,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에서,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6A to 16D illustrate a process of restoring a deleted application in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restoring a deleted application in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to 16D.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을 출력한다. 이 때, 유저는 삭제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확인하고, 복원 여부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610) 및 인디케이터(1611)를 이용하여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1620)를 선택한다.As shown in FIG. 16A, the display apparatus 1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application browser screen. At this time, the user may identify deleted applications and search for restoration.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16A, the remote controller 1610 and the indicator 1611 are used to select the graphic data 1620 for identifying the deleted application.

그 다음으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삭제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간 순서에 따라 위치가 배열되어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610) 및 인디케이터(1611)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복원 버튼(1620)을 선택한다.Next, as shown in FIG. 16B, the display apparatus 1600 displays a list of deleted applications. For example, the positions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1610 and the indicator 1611 are used to select a restore button 1620 for a specific application.

한편, 삭제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정보, URL 정보 등이 메모리에 기저장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보다 신속한 어플리케이션 복원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such that the link information, URL information, etc. that can download the deleted applications again in the memory. Thus, faster application restoration is possible.

그 다음으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00)가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복원하는 동안(즉, 해당 링크(URL)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중), 이를 안내하는 메시지(1630)를 출력한다.Next, as shown in FIG. 16C, while the display apparatus 1600 restores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downloading and accessing the link (URL)), a message 1630 for guiding this is output. .

마지막으로, 복원이 완료된 경우,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6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자동으로 편집한다. 즉, 리스트의 마지막 부분에, 복원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위치하도록 설계한다.Finally, when the restor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6D, the display apparatus 1600 automatically edits the application browser. That is, at the end of the list, the icon of the restored application is designed to be located.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7A and 17B illustrate a search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earch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A and 17B.

도 11에 도시된 검색 옵션(1130)이 선택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때,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710) 및 인디케이터(1711)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을 입력한다. 물론, 도 17a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710)의 쿼티 자판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00)의 스크린 상에서 가상 쿼티 자판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7a에서는, "baseball"을 키워드로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였다.Assume that the search option 1130 shown in FIG. 11 is select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7A, the title of the application to be searched is input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710 and the indicator 1711.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7a, it may be in the form including a QWERTY keyboard of the remote controller 1710, or it is also designed to display a virtual QWERTY keyboar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700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In FIG. 17A, it is assumed that "baseball" is entered as a keyword.

이 때,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워드인 "baseball"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들(1730, 1740)만 하이라이트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물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관련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7B, only applications 1730 and 1740 having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keyword “baseball” are displayed in a highlighted form. Of course, it is applicable when the application has the relevant metadat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8.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1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mory that stores metadata of a previously store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8, a memory storing metadata of pre-stored appli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리미엄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은 여러가지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데이터는, 타이틀, 타입 등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물론, 도 18에 도시된 메타데이터는 일실시예이며,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따라 더 많은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들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System applications, premium applications, and downloaded applications have many different metadata. For example, the metadata i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title, a type, and the like. Of course, the metadata shown in FIG. 18 is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pplications including more metadata according to design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필터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가 제공하는 카테고리별 필터링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9A and 19B illustrate a category filtering function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9A and 19B, a filtering function for each category provided by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은 각각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910) 및 인디케이터(1911)를 이용하여, 특정 타입(예를 들어, 스포츠)(1920)을 선택한 경우, 스포츠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1930, 1940)만 하이라이트된 형태로 표시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18, it is assumed that previously stored applications each have metadata.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9A, when a specific type (for example, sport) 1920 is select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910 and the indicator 1911, 2 having metadata corresponding to the sport may be set to 2. Only the applications 1930 and 1940 are highlighted.

물론, 도 19a와 달리,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타입별(예를 들어, 스포츠, 뉴스, 게임)로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한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Of course, unlike FIG. 19A, as shown in FIG. 19B, displaying graphic data classifying applications by all types (eg, sports, news, game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 및 도 20b는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컨트롤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컨트롤 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0A and 20B illustrate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0A and 20B,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will be described.

이전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RF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과 관계없이 IR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이하 도 20 및 도 21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 drawings, it is assumed that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browser even when transmitting an IR signal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and 21.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현재 인디케이터가 위치하는 영역(2020)을 표시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010)의 특정 화살표 버튼(우측방향)(2011)이 눌러진 경우, 도 20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이 변경된다.As shown in FIG. 20A, the display apparatus 2000 displays an area 2020 in which a current indicator is located. At this time, when the specific arrow button (right direction) 2011 of the remote controller 2010 is pressed, the application browser screen is changed as shown in FIG. 20B.

즉,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선택 가능한 옵션들 중에서 오른쪽 블록으로 한칸 이동한 영역(2030)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한다. 반대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2010)의 특정 화살표 버튼(좌측 방향)(2012)이 눌러진 경우, 도 20a의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살표 버튼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을 컨트롤할 수가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0B, the display apparatus 2000 highlights and displays the area 2030 moved one space to the right block among the selectable options. Conversely, as shown in FIG. 20B, when the specific arrow button (left direction) 2012 of the remote controller 2010 is pressed, the application browser screen of FIG. 20A is returned. 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application browser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only the arrow button.

도 21a 내지 도 21c는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1a 내지 도 21c를 참조하여, IR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1A to 21C illustrate a process of editing an application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Hereinafter, a process of editing an application of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that transmits an IR sig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A to 21C.

우선, 도 11에 도시된 에디트 모드(1140)가 선택된 경우로 가정한다. 이 때,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100)는 특정 2번 어플리케이션이 이동할 수 있는 방향(2120)을 디스플레이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2110)의 특정 화살표 버튼(하측 방향)(2111)이 눌러진 경우, 도 21b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으로 변경된다.First, it is assumed that the edit mode 1140 shown in FIG. 11 is select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1A, the display apparatus 2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direction 2120 in which a specific second application can move. When a specific arrow button (downward direction) 2111 of the remote controller 2110 is pressed, the application browser screen shown in FIG. 21B is changed.

즉,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2번 어플리케이션(2130)이 아래 방향으로 한칸 이동되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110)의 특정 확인 버튼(2111)이 눌러진 경우, 도 21c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화면으로 변경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1B, the specific second application 2130 has been moved one space downward. At this time, when the specific confirmation button 2111 of the remote controller 2110 is pressed, the application browser screen shown in FIG. 21C is changed.

즉,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모드가 완료되었으므로, 더 이상 화살표 인디케이터(2140)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최종 이동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1C, since the edit mode is completed, the arrow indicator 2140 is no longer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specific application is finally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로부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로부터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2 to 24 illustrate a process of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from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rocess of returning to a previous screen from an application brow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디스플레이 장치(22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간섭을 받지 않는 순수한 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2220)에 출력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210)의 인디케이터(2211)가 상기 제1영역(2220)에 위치하는 경우,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실행 및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영역(223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As shown in (a) of FIG. 22, the display device 2200 outputs pure broadcast video data to the first area 2220 without receiving interference from the application browser. At this time, when the indicator 2211 of the remote controller 221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2220, as shown in FIG. 22B, execution and display of the application browser are stopped and broadcast video is stopped. The data is designed to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2230.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디스플레이 장치(23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간섭을 받지 않는 순수한 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2320)에 출력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310)의 인디케이터(2311)가 상기 제1영역(2320)에 위치하는 경우,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실행 및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영역(233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As shown in FIG. 23A, the display device 2300 outputs pure broadcast video data to the first region 2320 without receiving interference from the application browser. At this time, when the indicator 2311 of the remote controller 231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2320, as shown in FIG. 23B, execution and display of the application browser are stopped and broadcast video is stopped. The data is designed to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2330.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디스플레이 장치(2400)는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 내에, 엑시트 모드(2420)를 함께 출력한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2410)의 인디케이터(2411)가 상기 엑시트 모드(2420)에 위치하는 경우,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의 실행 및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방송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영역(243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설계한다.As shown in FIG. 24A, the display device 2400 outputs an exit mode 2420 together in an application browser. At this time, when the indicator 2411 of the remote controller 2410 is located in the exit mode 2420, as shown in FIG. 24B, execution and display of the application browser are stopped and broadcast video data is stopped. It is designed to display the full area 2430.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져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 25를 해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by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cation browser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4, the interpretation of FIG. 25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2501). 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 station (S2501).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s, for example, audio data and video data.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고(S2502),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1커맨드를 수신한다(S2503).The display apparatus demultiplexes the received audio data and video data (S2502), and receives a first command for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2503).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하고(S2504),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S2505).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다르도록 설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과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명암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display apparatus accesses a memory storing the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the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S2504) and generates graphic data display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S2505). The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the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are designed to be different. As shown in FIG. 5, setting contrast ratios between the system application and the downloaded application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고(S2506),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S2507). 상기 제1영역은 예를 들어, 상기 제2영역을 포함한다. 이전에 설명한 도 5 또는 도 11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도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ixes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the generated graphic data (S2506), displays the video data in a first area, and displays the graphic data in a second area (S2507). The first area includes, for example, the second area. It may b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FIG. 5 or 11 previously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디트 모드를 시작하는 제2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영역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제2영역을, 나머지 영역과 다른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receiving a second command for starting an edit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or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And if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displaying a first region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move or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icon may be deleted in a different graphic from the rest of the region. It further includes. This can b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리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전 도 16을 참조하여 해석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removing the specific application from the memory, and the specific application Storing the downloadable address information in the memory. This can b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FIG. 16.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제3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각 타입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단계와, 각 타입별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타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제1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그리고 제2타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제2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입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전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해석할 수가 있다.Furthermor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third command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 type, accessing the memory, classify each type of application Generating graphic data including icon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classified by each type;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belonging to the first type in a first sub area; And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belonging to the second type in the second sub area. The application has metadata that identifies the type. This can b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Fur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rawings are divided and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An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sig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limited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both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of the method are explain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two inventions can be supplementarily applied as necessary.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95 : 리모트 컨트롤러
100: display device
195: remote controller

Claims (11)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단계;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제1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 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와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가 다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을 포함-;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 station, the broadcast program including audio data and video data;
Demultiplexing the received audio data and video data;
Receiving a first command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ccessing a memory storing an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a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Generating graphic data indicat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rein the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the graphic data indicating an application belonging to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are different;
Mixing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the generated graphic data; And
Displaying the video data in a first area and displaying the graphic data in a second area, the first area including the second area;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에디트 모드를 시작하는 제2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영역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제2영역을, 나머지 영역과 다른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second command to start an edit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or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And
If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displaying a first region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may move or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icon may be deleted in a different graphic from the rest of the reg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리에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Removing the particular application from the memory; And
Storing address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n the memory;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제3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각 타입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단계-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입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그리고
각 타입별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third command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 type;
Accessing the memory to classify applications of each type, the application having metadata identifying a type; And
Generating graphic data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lassified for each type;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제1타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제1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그리고
제2타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제2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belonging to the first type in a first sub area; And
Displaying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s belonging to the second type in a second sub area;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상기 방송 프로그램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
상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싱 하는 디멀티플렉서;
편집 가능한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과 편집 불가능한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OSD 제너레이터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를 믹싱하는 믹서; 그리고
상기 믹싱된 비디오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 tuner for receiving a broadcast program from a broadcast station, the broadcast program including audio data and video data;
A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the received audio data and video data;
A memory storing an editable first application group and a non-editable second application group;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command requesting a list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n OSD generator for generating graphical data displaying a list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A mixer for mixing video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and graphic data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ixed video data and graphic data to be output through a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디트 모드를 시작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 또는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a command for starting edit mode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controll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or the second application gro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는 제1영역 또는 삭제될 수 있는 제2영역을, 나머지 영역과 다른 그래픽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OSD 제너레이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f the selected specific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rst application group,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OSD generator to display a first area in which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can be moved or a second area in which the icon can be deleted in a different graphic from the remaining area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상기 제2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모리에서 제거하고, 그리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I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applica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The controller,
Remove the particular application from the memory, and
And a display device storing address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specific application in the memo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타입에 따라 분류하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하여, 각 타입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타입을 식별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user interface receives a command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 type,
The controller,
Accessing the memory to classify applications of each type, the application having metadata identifying a type
Display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제너레이터는,
각 타입별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OSD generator,
Generating graphic data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classified by each type
Display device.
KR1020110049995A 2011-05-26 2011-05-26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tive KR101821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995A KR101821200B1 (en) 2011-05-26 2011-05-26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1008232.8A EP2528339B1 (en) 2011-05-26 2011-10-12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9211575.6A EP3634001A1 (en) 2011-05-26 2011-10-12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288,522 US9015758B2 (en) 2011-05-26 2011-11-03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259264.3A CN104883601B (en) 2011-05-26 2011-12-02 Handle the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of multiple applications
CN201110397441.6A CN102802087B (en) 2011-05-26 2011-12-02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663,259 US9762969B2 (en) 2011-05-26 2015-03-19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692,283 US10085065B2 (en) 2011-05-26 2017-08-31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120,811 US10484744B2 (en) 2011-05-26 2018-09-04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664,018 US11388479B2 (en) 2011-05-26 2019-10-25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752,174 US11902627B2 (en) 2011-05-26 2022-05-24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995A KR101821200B1 (en) 2011-05-26 2011-05-26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663A true KR20120131663A (en) 2012-12-05
KR101821200B1 KR101821200B1 (en) 2018-01-23

Family

ID=4751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995A Active KR101821200B1 (en) 2011-05-26 2011-05-26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2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11A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148A (en)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a device having at least one memory
USD901534S1 (en) * 2013-06-10 2020-11-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4005402A1 (en)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98437A1 (en) 1999-03-31 2000-09-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conic groups
US20100262931A1 (en) * 2009-04-10 2010-10-14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1534S1 (en) * 2013-06-10 2020-11-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50075011A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72796B2 (en) 2013-12-24 2021-04-06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36960B2 (en) 2013-12-2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148A (en)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a device having at least one memory
US10671534B2 (en) 2014-11-18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memory, and smart TV
WO2024005402A1 (en) * 2022-06-28 2024-0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200B1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627B2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907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2811753B1 (en)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multiple remote control devices
US896531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KR10154549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1202847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JP201412017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i thereof
KR20160019693A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56165B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21200B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7297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150117212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9315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60037449A (en)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KR10169179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30116661A (en) Mobile terminal
KR20250037147A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667658B2 (en) Display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10872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JP2015084566A (en) Display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0170613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outputting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