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100118117A -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117A
KR20100118117A KR1020107018385A KR20107018385A KR20100118117A KR 20100118117 A KR20100118117 A KR 20100118117A KR 1020107018385 A KR1020107018385 A KR 1020107018385A KR 20107018385 A KR20107018385 A KR 20107018385A KR 20100118117 A KR20100118117 A KR 2010011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coating
pressure
pressure control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뷕
미카엘 바우만
라이너 멜허
Original Assignee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1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1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1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6/18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an external source
    • G05D16/18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an external source using membranes within the main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05B12/088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membrane, diaphragm, 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3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membra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72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several spring-loaded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 Y10T29/49407Repairing, converting, servicing or salv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장비에서, 적용될 코팅제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제어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에 관한 것이며, 작동시에 코팅제에 직접 작용하고, 압력 조절을 위해 이동가능 및/또는 변형가능한 부품(6, 14)을 구비한다. 코팅제에 작용하는 부품(6, 14)은 더 긴 사용 기간을 얻기 위해 적어도 일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Pressure control member, in particular paint pressure regulator or coating agent valve}
본 발명은 페인트 장비에 적용될 코팅제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예를 들어 EP 1 376 289 A1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페인트 장비에서 사전정의된 코팅제 압력을 설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페인트 입구와 페인트 출구를 구비하며, 스프링 하중 유입 밸브가 페인트 입구에 배치되고, 유입 밸브는 미작동 상태에서 페인트 입구를 폐쇄한다. 또한,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페인트실과 인접하며 유연한 멤브레인(membrane)에 의해 페인트실과 분리된 제어 공기실을 구비한다. 조절가능한 제어 공기 압력이 작동시에 제어 공기실에 적용되며 제어 공기실과 페인트실 사이의 멤브레인에 작용하여, 멤브레인은 페인트실과 제어 공기실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변형된다. 유입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멤브레인은 그 중심에 위치하며 멤브레인의 압력 유도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유입 밸브를 개방할 수 있는 구동축을 구비한다.
만일 페인트실 내의 페인트 압력이 사전정의된 공칭 값의 아래로 떨어지면, 제어 공기실 내의 제어 공기 압력은 페인트실 내의 페인트 압력을 넘어서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 공기실과 페인트실의 사이에 위치하는 멤브레인은 구동 부재와 함께 유입 밸브 쪽으로 편향되어서 유입 밸브를 개방한다. 일단 유입 밸브가 개방되면, 페인트는 페인트실로 유입되며, 그에 따라 페인트실 내의 압력이 사전정의된 공칭 값과 일치하여 유입 밸브가 닫힐 때까지 페인트실 내의 압력은 증가한다.
제어 공기실과 페인트실 사이의 멤브레인은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작동시에 자주 변형되므로,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과 같이 탄성을 갖고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된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한가지 단점은 멤브레인과 유입 밸브의 마모에 대한 낮은 저항성으로서, 특히 높은 고체 함유율을 가지며 연마성 페인트 성분을 함유하는 페인트의 사용시에 분열성 효과를 초래한다. 그에 따라, 멤브레인과 유입 밸브의 밀봉 시트(seat)의 사용 기간은 1주 내지 2주가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부품의 잦은 교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된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다른 단점은 유입 밸브가 별도의 씰(seal)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페인트 압력 조절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마모되기 쉬운 부품(멤브레인 및 밸브 시트)의 사용 기간 증가 및/또는 부품 수의 감소가 요구된다. 또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페인트 압력 조절기가 확실히 폐쇄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경우 마모되기 쉬운 부품(밸브 시트 및 멤브레인)이 작동시 발생하는 변형에는 저항하지만 높은 고체 함유량 및/또는 연마성 페인트 성분을 갖는 페인트에 의해 손상된다는 기술적 사실에 기초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압력 제어 부재(예를 들면,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에서 마모되기 쉬운 부품(예를 들면, 밸브 시트, 멤브레인)의 제조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을 제공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마성 페인트 성분에 더 잘 저항할 수 있는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져서,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고 마모되기 쉬운 부품의 잦은 교체를 줄이게 한다.
세라믹 물질을 멤브레인 제조에 사용하는 것은 지금까지 고려되지 않았는데, 그것은 세라믹 물질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깨지기 쉬워서 작동시 자주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빨리 고장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 영구적 변형성을 제공하는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 합성 물질은 예를 들어 탄소, 탄화 규소 또는 산화 알루미늄 특히 Al2O3 재질의 섬유와, 탄화 규소 또는 산화 알루미늄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합성 물질은 예를 들어 2차원 또는 3차원 매트릭스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라믹 물질은 0.2%, 0.5%, 1% 또는 2%보다 큰 파단 신도를 가져서, 상기 멤브레인은 작동시에 파괴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물질은 그 파단 연장시까지 실질적으로 탄성 거동하여 상기 멤브레인은 초기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 제어 부재는 특허출원 EP 1 376 289 A1에서 유사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페인트 압력 조절기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이미 명확하므로,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본 발명의 설명에 완전히 포함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부재는 코팅제 밸브 또는 다른 압력 제어 부재일 수 있다.
페인트 압력 조절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에서, 상기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코팅제 입구와 코팅제 출구를 구비하는 페인트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 밸브는 상기 코팅제 입구를 통해 상기 페인트실로 코팅제의 공급을 제어한다. 추가로, 상기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상기 코팅제 압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제어 공기 압력이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공기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 공기실 내의 상기 제어 공기 압력은 상기 코팅제 압력의 공칭 값을 결정한다. 상기 제어 공기실과 상기 페인트실의 사이에 위치하는 멤브레인은 그 위치에 따라 상기 페인트실의 상기 유입 밸브를 구동시킨다.
만일 상기 페인트실 내의 상기 코팅제 압력이 상기 사전정의된 제어 공기 압력 아래로 떨어지면, 상기 제어 공기실과 상기 페인트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페인트실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상기 멤브레인 또는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된 구동 부재는 상기 유입 밸브를 개방하며, 코팅제는 상기 페인트실 내로 유입되고 상기 페인트실 내의 상기 코팅제 압력을 증가시킨다.
일단 상기 페인트실 내의 상기 코팅제 압력이 상기 제어 공기실 내의 상기 제어 공기 압력까지 상승하면, 상기 멤브레인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페인트실의 입구의 유입 밸브는 닫힌다.
이렇게 하여, EP 1 376 289 A1에서 상세히 설명된 것 처럼 상기 페인트 압력 조절기는 상기 코팅제 압력을 상기 제어 공기실 내의 상기 제어 공기 압력에 의해 사전정의된 공칭 값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멤브레인은 가능한 한 연마성 페인트 성분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입 밸브도 사용 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인트실의 상기 유입 밸브는 밸브 볼과 밸브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볼 및/또는 상기 밸브 시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시트가 세라믹 물질로 제조되므로 상기 유입 밸브가 별도의 씰, 특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밀봉 링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인트 압력 조절기에서, 상기 제어 공기실과 상기 페인트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멤브레인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유입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유입 밸브를 개방하지 않아서, 상기 유입 밸브는 닫힌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 공기 압력 및/또는 상기 코팅제 압력이 다른 어떠한 멤브레인 위치도 형성하지 않을 때, 상기 멤브레인을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리턴 메커니즘은 상기 페인트 압력 조절기가 닫히는 정의된 위치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점에 있어서는, 상술한 리턴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한 본 발명은 종래의 압력 제어 부재, 특히 예를 들어 PTFE 재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멤브레인과 EP 1 376 289 A1에 따른 종래의 유입 밸브를 구비하는 페인트 압력 조절기에 대해서도 적용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상기 리턴 메커니즘은 상기 멤브레인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턴 스프링은 예를 들어 정지 하우징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멤브레인 중심에 부착된 구동축에 반대측이 지지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의 구조적 설계에 대하여 수많은 가능성이 있다. 예로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압력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스프링은 상기 멤브레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 제어 부재는, 만일 상기 코팅제가 50%, 60%, 70%, 80% 또는 90%보다 큰 고체 함유량을 갖는 액체 페인트인 경우에, 연속된 작동에서 사용 기간이 2주, 1개월, 6개월 또는 1년이 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별 부품으로서 상술된 압력 제어 부재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압력 제어 부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페인트 장비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페인트 장비를 위한 신규한 작동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코팅제에 노출되며 마모되기 쉬운 상기 압력 제어 부재의 상기 부품(예를 들면, 멤브레인, 밸브 시트)은 상기 코팅제의 연마성 효과에 의해 주어진 사용 기간 후에 교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상기 부품의 사용 기간이 2주, 1개월, 6개월 또는 1년을 넘어서 마모되기 쉬운 상기 부품(예를 들어, 멤브레인, 밸브 시트)이 덜 자주 교체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페인트 장비의 압력 제어 부재의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세라믹 물질의 신규한 사용을 제공하며, 상기 부품은 코팅제에 노출되어서 압력 조절 목적을 위해 이동가능 및/또는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적인 추가적 개선점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되며,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압력 조절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세라믹 재질의 멤브레인과 밸브 시트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멤브레인용 리턴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페인트 장비에서 코팅제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압력 조절기(1)를 보여준다.
페인트 압력 조절기(1)는 예를 들어 특허출원 EP 1 376 289 A1에 기재된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와 대체로 일치하므로, 상기 특허출원의 내용은 페인트 압력 조절기(1)의 구성 및 기능과 관련하여 본 설명에 완전히 포함된다.
페인트 압력 조절기(1)는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하며 나사(5)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연결된 3개의 하우징부(2, 3, 4)를 구비한다.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멤브레인(membrane)(6)은 하우징부(3)과 하우징부(4)의 사이에 위치하며, 멤브레인(6)은 페인트실(7)과 제어 공기실(8)을 분리시킨다.
하우징부(2)와 하우징부(3)의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 멤브레인(9)은 동일하게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어 공기실(8)과 장벽 공기실(10)을 분리시킨다.
멤브레인(6)의 중심에는 구동축(11)이 배치되는 구멍이 마련되며, 구동축(11)의 기술적 의미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 공기실(8) 내에서, 고리형의 정지판(12)이 하우징부(3) 내부에 삽입되며, 정지판(12)은 상부방향으로 구동축(11)의 운동 여유 및 멤브레인(6)의 운동 여유의 한계를 정한다. 이것은 구동축(11)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까만 위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후 구동축(11)은 정지판(12)에 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페인트 압력 조절기(1)는 코팅제 입구(13)를 구비하며, 코팅제 입구(13)를 통해 코팅제가 페인트실(7) 내부로 흐를 수 있다.
코팅제 입구(13)에 위치하는 유입 밸브는 기본적으로 밸브 시트(seat)(14), 밸브 볼(ball)(15), 밸브 스프링(16)과 밸브 하우징(17)을 구비한다. 밸브 스프링(16)은 밸브 볼(15)을 주어진 스프링 힘으로 밸브 시트(14)로 가압해서, 페인트실(7)로 인도하는 유입 밸브는 미작동 상태에서 닫힌다.
페인트 압력 조절기(1)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코팅제 출구를 더 구비하는데, 적용될 코팅제가 코팅제 출구를 통해 바람직한 코팅제 압력으로 페인트실(7) 밖으로 흐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장벽 공기실(10)은 장벽 공기 압력을 장벽 공기실(10)에 적용하기 위한 압축 공기 연결부(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한다. 장벽 공기실(10)과 제어 공기실(8) 사이의 멤브레인(9)은 마찬가지로 구동 부재(18)가 배치되는 중심에 위치하는 구멍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하우징부(2)는 커버(19)에 의해 닫히며, 커버(19)는 아래로부터 하우징부(2) 안으로 나사결합되고, 커버(19)와 하우징부(2) 사이의 공간은 밀봉 링에 의해 밀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압력 조절기(1)의 작동 상태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먼저, 코팅제 압력의 바람직한 공칭 값이 제어 공기실(8) 내의 제어 공기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사전정의된다. 정지판(12)의 구멍들을 통해, 제어 공기실(8) 내의 제어 공기 압력은 제어 공기실(8)과 페인트실(7) 사이의 멤브레인(6)에 작용하게된다.
페인트실(7)의 코팅제 압력이 제어 공기실(8) 내의 제어 공기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어 공기 압력은 구동축(11)과 함께 멤브레인(6)을 아래로 편향시킨다. 이러는 동안, 구동축(11)은 밸브 볼(15)을 밸브 시트(14)의 바깥으로 밀며, 그에 따라 유입 밸브는 열린다. 코팅제는 페인트실(7) 안으로 흘러가며, 그에 따라 페인트실(7) 내의 코팅제 압력은 증가한다.
페인트실(7) 내의 코팅제 압력이 제어 공기실(8) 내의 제어 공기 압력과 일치하면, 멤브레인(6)는 더 이상 아래로 편향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페인트실(7)의 유입 밸브는 닫힌다. 페인트실(7)로부터의 코팅제의 흐름은 페인트실(7) 내의 코팅제 압력을 다시 감소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페인트실(7) 내의 감소된 코팅제 압력 이 유입 밸브를 다시 개방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페인트실(7) 내의 코팅제 압력은 사전정의된 공칭 값으로 조절된다.
추가적으로, 페인트 압력 조절기(1)는 예를 들어 피깅(pigging)시에 필요한 다른 압력 조건에 독립적으로 유입 밸브의 개방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충분히 높은 장벽 공기 압력이 장벽 공기실(10)에 적용되며, 그에 따라 멤브레인(9)은 구동 부재(18)와 함께 아래로 편향된다. 그후 구동 부재(18)는 밸브 볼(15)이 밸브 시트(14)로부터 밀릴 때까지 구동축(11)을 밀며, 그에 따라 유입 밸브는 개방된다.
페인트 압력 조절기(1)의 경우에, 두 멤브레인(6, 9)과 밸브 시트(14)가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는 멤브레인(6, 9)과 밸브 시트(14)가 연마성 페인트 성분에 더 잘 견딜 수 있게 해서 사용 기간을 증가실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장점은 밸브 시트(14)가 종래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밀봉을 위해 어떠한 별도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밀봉 링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인트 압력 조절기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 1에서의 실시예의 설명을 따르며, 동일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의 한가지 특별한 특징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부 방향으로 구동 축(11)과 멤브레인(6)을 복귀시키는 리턴 메커니즘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리턴 메커니즘은 일측이 고리형 정지판(12)의 상면에 지지되고 다른 측이 구동축(11)에 지지되는 리턴 스프링(20)을 구비하며, 리턴 스프링(20)은 도면에서 도시된 정지 위치로 멤브레인(6)을 위로 민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 메커니즘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유입 밸브가 확실히 닫히도록 하여 코팅제가 적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멤브레인(6, 9)과 밸브 시트(14)는 위에서 설명된 장점과 관련하여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멤브레인(6, 9)은 예를 들어 PTFE와 같은 종래의 재질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유입 밸브는 종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시트(14)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을 이용하면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부호 리스트
1 페인트 압력 조절기
2-4 하우징부
5 나사
6 멤브레인
7 페인트실
8 제어 공기실
9 멤브레인
10 장벽 공기실
11 구동축
12 정지판
13 코팅제 입구
14 밸브 시트
15 밸브 볼
16 밸브 스프링
17 밸브 하우징
18 구동 부재
19 커버
20 리턴 스프링

Claims (16)

  1. 작동시에 코팅제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압력 조절 목적을 위하여 이동가능 및/또는 변형가능한 부품(6, 14)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제에 노출되는 상기 부품(6, 14)의 적어도 일부분은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장비에서 적용될 코팅제의 코팅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제어 부재(1),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코팅제 입구와 코팅제 출구를 구비하는 페인트실(7)과,
    상기 코팅제 입구를 통해 상기 페인트실(7)로의 상기 코팅제 공급을 제어하는 유입 밸브(14, 15, 16, 17)와,
    상기 코팅제 압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코팅제 압력을 결정하는 제어 공기 압력이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공기실(8)과,
    상기 제어 공기실(8)과 상기 페인트실(7)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페인트실(7)의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를 구동시키는 멤브레인(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압력 조절기 형태의 압력 제어 부재(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6)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다는 점, 및/또는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실(7)의 유입 밸브(14, 15, 16, 17)은 밸브 볼(15)과 밸브 시트(14)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볼(15) 및/또는 상기 밸브 시트(14)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는 별도의 씰 특히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밀봉 링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6)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를 개방하는 반면에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를 개방하지 않으며,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상기 멤브레인(6)을 복귀시키는 리턴 메커니즘(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턴 메커니즘(20)은 상기 멤브레인(6)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밸브(14, 15, 16, 17)를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11)가 상기 멤브레인(6)의 중심부에 부착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20)은 일측이 상기 구동 부재(11)에 지지되고 타측이 정지 하우징부(1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세라믹 섬유 합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섬유 합성 물질은 탄소, 탄화 규소 또는 산화 알루미늄, 특히 Al2O3 재질의 섬유를 포함한다는 점, 및/또는
    상기 섬유 합성 물질은 탄화 규소 또는 산화 알루미늄 재질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섬유 합성 물질은 2차원 매트릭스 구조 또는 3차원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0.2%, 0.5%, 1% 또는 2%보다 큰 파단 신도(elongation at break)를 갖는다는 점, 및/또는
    상기 세라믹 물질은 파단시 연장까지 실질적으로 탄성을 갖는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부재(1).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50%, 60%, 70%, 80% 또는 90%보다 큰 고체 함유량을 갖는 액체 페인트이며,
    상기 압력 제어 부재(1)는 코팅제의 연속 작동시에 2주, 1개월, 6개월 또는 1년이 넘는 사용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압력 제어 부재(1).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제어 부재(1)를 포함하는 페인트 장비.
  15. 페인트 장비, 특히 청구항 14에 따른 페인트 장비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코팅제에 노출되는 상기 압력 조절 부재(1)의 부품은 상기 코팅제의 상기 부품에 대한 연마 작용으로 인해 주어진 사용 기간 후에 교체되며,
    상기 부품의 사용 기간은 2주, 1개월, 6개월 또는 1년이 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16. 코팅제에 노출되고 압력 조절 목적을 위하여 이동가능 및/또는 변형가능한 페인트 장비의 압력 제어 부재(1)의 부품(6, 14) 제조에서의 세라믹 물질의 사용.
KR1020107018385A 2008-01-22 2009-01-21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Ceased KR20100118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5492.5 2008-01-22
DE200810005492 DE102008005492B3 (de) 2008-01-22 2008-01-22 Druckstellglied, insbesondere Farbdruckregler oder Beschichtungsmittel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17A true KR20100118117A (ko) 2010-11-04

Family

ID=4079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385A Ceased KR20100118117A (ko) 2008-01-22 2009-01-21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030616A1 (ko)
EP (1) EP2277089B1 (ko)
KR (1) KR20100118117A (ko)
CN (1) CN101978333B (ko)
DE (1) DE102008005492B3 (ko)
ES (1) ES2438775T3 (ko)
MX (1) MX2010007946A (ko)
PL (1) PL2277089T3 (ko)
RU (1) RU2010134881A (ko)
WO (1) WO2009092572A2 (ko)
ZA (1) ZA2010059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46A (ko) 2017-07-06 2019-0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스테가노그래피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8706B (zh) * 2012-05-10 2013-11-06 市下控股有限公司 喷雾器喷枪的调压、稳压装置
US9257585B2 (en) * 2013-08-21 2016-02-09 Siva Power, Inc. Methods of hermetically sealing photovoltaic modules using powder consisting essentially of glass
DE102014200150A1 (de) * 2014-01-08 2015-07-09 Binder Gmbh Ventil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Fluids, insbesondere eines abrasiven Dickstoffs
CN105396717B (zh) * 2015-12-24 2017-10-24 上海震界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气控膜片式喷嘴
DE102017123628B3 (de) 2017-10-11 2019-03-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rbdruckregler-Testanordn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s Farbdruckreglers
IT202000004504A1 (it) * 2020-03-04 2021-09-04 Da Ma Service S R L Dispositivo compensatore di pressione e regolatore di portata
CN114776873B (zh) * 2022-05-17 2023-11-10 安徽春辉仪表线缆集团有限公司 一种易于更换的气动罐底调节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150B2 (ja) * 1977-12-03 1983-06-21 ナカヤ産業株式会社 噴霧装置
JPS58146776A (ja) * 1982-02-20 1983-09-01 Shuichi Nakagawa ダイヤフラム
JPH0427274U (ko) * 1990-06-29 1992-03-04
DE4124339A1 (de) * 1990-07-28 1992-01-30 Josef Nemetz Kugelhahn in einem mit kunststoff ausgekleideten gehaeuse
DE9308058U1 (de) * 1993-05-28 1993-08-19 Hewlett-Packard GmbH, 71034 Böblingen Ventil
IT1287785B1 (it) * 1996-05-16 1998-08-18 Htm Sport Spa Riduttore di pressione, per il primo stadio di riduzione degli autorespiratori subacquei bistadio.
DE19807903C2 (de) * 1998-02-25 2001-11-2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raftübertragung
US6367546B1 (en) * 1999-11-30 2002-04-09 Carpenter Advanced Ceramics, Inc. Ceramic components for high pressure oil wells
US6679476B2 (en) * 2000-08-08 2004-01-20 Puregress, Inc. Control valves
US6685164B1 (en) * 2000-09-11 2004-02-03 Hamai Industries Limited Control valve and diaphragm for use in the control valve
DE10153142A1 (de) * 2001-10-27 2003-05-22 Itw Oberflaechentechnik Gmbh Ventilnadel, insbesondere für Spritzbeschichtungsflüssigkeit
WO2003042586A1 (en) * 2001-11-13 2003-05-22 Emech Control Limited (Formerly Technology Development Group Limited) Process control valve
DE10228276A1 (de) * 2002-06-25 2004-01-22 Dürr Systems GmbH Druckstellglied
JP2004183678A (ja) * 2002-11-29 2004-07-02 Nippon M K S Kk 電磁バルブ
US7459110B2 (en) * 2003-12-04 2008-12-02 Ceramtec Ag Porous fiber-ceramic composi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346A (ko) 2017-07-06 2019-0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스테가노그래피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2572A2 (de) 2009-07-30
MX2010007946A (es) 2010-09-30
ZA201005953B (en) 2011-10-26
CN101978333A (zh) 2011-02-16
EP2277089A2 (de) 2011-01-26
PL2277089T3 (pl) 2014-02-28
RU2010134881A (ru) 2012-02-27
US20110030616A1 (en) 2011-02-10
EP2277089B1 (de) 2013-09-25
WO2009092572A3 (de) 2010-11-18
ES2438775T3 (es) 2014-01-20
DE102008005492B3 (de) 2009-11-12
CN101978333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8117A (ko) 압력 제어 부재, 특히 페인트 압력 조절기 또는 코팅제 밸브
US7624755B2 (en) Gas valve with overtravel
US8544816B2 (en) Valve with lip seal
CN1764879B (zh) 减压流体调节器
JP3276936B2 (ja) 流量コントロールバルブ
US8931516B2 (en) Pilot-controlled valve having a ceramic control piston
EP2072871A2 (en) Check valve
CA1041869A (en) Gas pressure regulator
US20120318384A1 (en) Valve for controlling a flow channel
JP6629348B2 (ja) 抽気弁
CN110242779B (zh) 具有双隔膜及冗余密封的压强加载调节器
US9971359B2 (en) Controlled three-way proportional valve unit
JP2017501348A (ja) 加圧ガス容器用バルブ装置
WO2021002907A3 (en) Piezoelectric ring bender servo valve assembly for aircraft flight control actuation and fuel control systems
CN102369376A (zh) 压强无关型控制阀
US10697560B2 (en) Valve mechanism for controlling a fluid, in particular an abrasive high-viscosity material
US9416893B2 (en) Fluid controller actuator
US5318271A (en) Piezo valve
US444082A (en) Pressure-regulator
KR101601758B1 (ko) 유체 제어밸브
EP0981707B1 (en) Valve
SE521975C2 (sv) Balanserad ventilanordning och andningsregulator innefattande sådan ventilanordning
US11612901B2 (en) Print head comprising a micro-pneumatic control unit
CN111684187B (zh) 流动路径的转换阀
JP4694159B2 (ja) 流体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