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080003635U - Handheld devices - Google Patents

Handheld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635U
KR20080003635U KR2020070003271U KR20070003271U KR20080003635U KR 20080003635 U KR20080003635 U KR 20080003635U KR 2020070003271 U KR2020070003271 U KR 2020070003271U KR 20070003271 U KR20070003271 U KR 20070003271U KR 20080003635 U KR20080003635 U KR 200800036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ain body
display unit
display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2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주)에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트리 filed Critical (주)에이트리
Priority to KR2020070003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635U/en
Publication of KR20080003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35U/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보드의 경사각이 사용자의 입력조건에 적합하도록 힌지체결구조를 개선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본체부(20)에는 키보드(26)가 본체부(20)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단에 힌지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30)에는 상기 본체부(20)에 대해서 회동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40)가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에는 휴대용 배터리가 안착되는 안착홈(44)이 형성되고, 배터리커버(46)는 상기 안착홈(44)을 덮어 감추게 된다.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는 대략 90도의 각을 이루어 돌출된 힌지체결부(5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은 상기 힌지체결부(50)가 회전함에 따라 소정 높이 상승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aving an improved hinge fastening structure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eyboard is suitable for a user input condition. In the main body 20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board 26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 hinge portion 30 is provided at one end. The display unit 40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3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44 in which the portable battery is seated, and the battery cover 46 covers the seating groove 44 to hide. In order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by the rotation about the hinge portion 30, the display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 hinge fastening portion 50 protruding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20 rises a predetermined height as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rotates.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부품 없이도 키보드가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장시간 작업에 따른 손목의 피로가 완화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체결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어 전원공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keyboard forms a constant angle of inclination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the user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the fatigue of the wrist caused by the long time work,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a portable battery using the hinge fastening por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varied in power supply.

휴대용 기기, 키보드, 힌지, 경사각 Handheld device, keyboard, hinge, tilt angle

Description

휴대용 기기{A Portable Device}Portable device {A Portable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Figure 2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6a to 6c is a use state showing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본체부 22: 메인베이스20: main body 22: main base

25: 키보드데크 26: 키보드25: Keyboard Deck 26: Keyboard

30: 힌지부 32: 힌지핀30: hinge portion 32: hinge pin

40: 디스플레이부 42: 표시화면40: display unit 42: display screen

44: 안착홈 46: 배터리커버44: seating groove 46: battery cover

50: 힌지체결부 52: 힌지홀50: hinge fastening 52: hinge hole

54: 지지탭54: support tab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hingedly connected to a display unit relative to the main body.

휴대용 기기에는 전자사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등이 있다.Portable devices include electronic dictionaries, notebook computers, and tablet computer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구성이 우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부(11)로 구성된다. 1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llustrates a right side view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rtable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 and a display 11 th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in body 1.

상기 본체부(1)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의 내부에는 휴대용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의 일측면에는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다양한 입출력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The main body 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al shape, and various parts constituting a portable device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 One side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various input / output port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상기 본체부(1)의 외관은 메인케이스(3)와 키보드데크(5)가 구성한다. 상기 본체부(1)의 하면 외관은 상기 메인케이스(3)가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1)의 상면 외관은 상기 키보드데크(5)가 구성한다. 상기 키보드데크(5)에는 키보드(7)가 설치된다. The main body 3 is composed of a main case 3 and a keyboard deck 5. The main body 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 is configured, and the keyboard deck 5 of the main body 3 of the main body 3 is configured. The keyboard deck 5 is provided with a keyboard (7).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힌지부(9)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부(11)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힌지부(9)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에 대해 겹쳐지거나 소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동작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는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표시화면(13)이 구비된다. The display 1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 via a hinge 9. The display unit 11 is operated to overlap or unfol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9. The display unit 11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13 in which a liquid crystal display is generally us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키보드데크(5)는 상기 휴대용 기기의 본체부(1)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장착 고정된다. 그러나 키보드데크(5)가 수평한 상태인 경우에 손목이 굽어지는 각도가 적합하지 않아서 키보드(7)를 조작할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결국 짧은 시간을 작업하더라도 사용자의 손목이 쉽게 피로해지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 keyboard deck 5 is mounted and fixed 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of the portable device. However, when the keyboard deck 5 is in a horizontal state, the angle at which the wrist is bent is not suitable, so that the user feels discomfort when operating the keyboard 7. After all, even if you work a short time, the user's wrist is easily fatigued,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decrease in working efficienc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키보드(7)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조절을 위한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받침대를 설치하기 위해서 항시 받침대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eparate stand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so as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eyboard (7). However, there is always the hassle of carrying a pedestal to install the pedestal.

또한, 내장형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기기에서는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지 않으면 더 이상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a portable device that is powered by a built-in battery,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 inconvenience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no longer be used unless charging through the charger.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휴대용 배터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나,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공간이 필요하여 휴대용기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portable battery may be detachable, but in order to be able to install the portable battery, an additional space is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기기의 키보드가 수평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발생하는 키보드 조작의 불편함을 별도의 받침대 설치 없이 해결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keyboard operation caused by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keyboard of the portable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edestal.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기기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auxiliary power to a portable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키보드가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중심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후단을 승강시키는 힌지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portion is installed keyboard, and the display portion is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hinge portion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nd a hinge faste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display part and provided with a center of rotation of the display part centered on the hinge part to elevate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splay part.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후단을 상승시키는 힌지체결부와, 상기 힌지체결부와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휴대용 배터리가 안착되고 배터리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ortion, a display portion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portion to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It comprises a hinge fastening portion for raising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rotation,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fastening portion, the portable battery is seated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battery cov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겹쳐지거나 소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힌지체결부에 연결된다.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hinge fastening unit so as to overlap or unfol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힌지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하단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체결부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힌지체결부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까지의 거리가 길게 형성된다.The hinge fastening part is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rt, and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splay part to the rear end of the display part tha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splay part provided at the hinge fastening part to the tip of the hinge fastening part. The distance is formed long.

상기 힌지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직교하도록 돌출형성된다.The hing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체결부의 양단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 구 비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힌지체결부와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체결부에는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힌지핀이 삽입되도록 힌지홀이 형성된다.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the hinge fastening portion, the hinge fastening portion is the hinge portion A hinge hole is formed to insert the provided hinge pin.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에 접하는 부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tab that may support the display unit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oor in an unfolded state from the main body unit.

상기 지지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돌출되어 구비된다.The support tab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a material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 order to prevent sliding of the display unit.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힌지체결부에는 상기 힌지부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hinge fastening por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without hinder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에 의하면, 키보드의 적절한 경사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휴대용 기기 자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키보드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에서 키보드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하도록 하므로, 휴대용 기기를 소형화시키면서도 사용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keyboard can be formed by the geometrical shape of the portable device itself without a separate device for maintaining the proper inclination of the keyboard.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battery to be mount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tilt of the keyboard in the portable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ximize the use time while miniaturizing the portable devic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FIG. 4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bottom view, and FIG. 5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ar view.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의 본체부(20) 외관을 메인베이스(22) 와 키보드데크(25)가 형성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20)의 하면 외관을 상기 메인베이스(22)가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20)의 상면 외관을 상기 키보드데크(25)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데크(25)에는 키보드(26)가 구비된다.As shown, the main base 22 and the keyboard deck 25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20 of the portable device. In more detail, the main base 22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keyboard deck 25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the keyboard deck 25 is provided with a keyboard 26.

상기 메인베이스(22)의 일측면에는 측벽(23)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23)은 상기 본체부(20)의 측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베이스(22)의 후단에는 측벽(23)의 끝부분에 연결되도록 배면벽(24)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23)과 배면벽(24)에는 다수개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커넥터나 전원잭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One side surface of the main base 22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23. The side wall 23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The rear wall 24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ase 22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ide wall 23. A plurality of opening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side wall 23 and the rear wall 24. The opening is for exposing the connector or the power jack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기판상에는 중앙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다. 상기 메인기판 중, 상기 측벽(23)과 배면벽(24)이 서로 연결되는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각종 커넥터와 전원잭이 실장된다. On the other hand, a main board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0.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re mounted on the main board. Various connectors and power jacks are mounted along an edge corresponding to a portion adjacent to a corner between the sidewall 23 and the rear wall 24 of the main board.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부(40)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30)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30)는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에 연장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20)의 후단 좌우측에 1쌍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30)의 측면에는 힌지핀(32)이 각각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부(4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있는 힌지체결부(5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참고로 반드시 상기 힌지부(30)에 힌지핀(32)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20)에 대해 디스플레이부(40)가 상대회전하도록 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힌지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30 for connecting the display unit 40 to be described below. As shown in FIG. 3, the hinge portion 30 extends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and preferably,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The hinge pins 32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hinge part 30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hinge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exten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40 to be described below to be relatively rotatable. For reference, a hinge pin 32 is provided on the hinge part 30 so that the display part 40 does not rotate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20, and various hinge devices may be adopted.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본체부(20)를 통한 프로그램 수행과정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전면에는 상기 본체부(20)의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화면(42)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20)에 대해 회전한다. The display unit 40 is for displaying a program execution process and the like through the main body 20.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40 is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42 for display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20. The display unit 4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0 about the hinge portion 30.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에는 비상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용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4)에는 휴대용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44 in which a portable battery can be mounted so as to supply power in an emergency. The seating grooves 44 are provided so that connection terminals (not shown) face each other so that a portable battery can supply power.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상기 안착홈(44)은 휴대용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체결부(50)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 하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돌출된 상기 힌지체결부(50)의 내부 및 그 인접공간을 휴대용 배터리 장착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경박단소화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seating groove 44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fasten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display unit 40 in order to efficiently use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battery can be mounted, that is, the display unit ( 4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bottom bottom of the back. As a result, the inside and the adjacent space of the protruding hinge fastening portion 50 can be used as a space for mounting a portable battery, and the portable device can be made light and small.

상기 배터리커버(46)는 상기 안착홈(4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배터리커버(46)가 닫히면 상기 안착홈(44)에 구비되는 휴대용 배터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The battery cover 46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ating groove 44. When the battery cover 46 is closed, the portable battery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44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부(20)의 힌지부(30)와 대응되게 힌지체결부(5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체결부(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전면 하단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체결부(5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서 직교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체결부(5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힌지핀(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홀(52)이 형성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40 is provided with a hinge fastening portion 50 to correspond to the hinge portion 30 of the main body portion 20. The hinge fastening part 50 is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rt 4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hinge fastening part 50 protrudes from the display part 40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hinge holes 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inge fastening part 50 so that the hinge pins 32 can be inser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핀(32)이 상기 힌지부(30)에 구비되었으나, 상기 힌지핀(32)이 상기 힌지체결부(50)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홀(52)이 상기 힌지부(30)에 형성되는 힌지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힌지핀(32)을 통해서는 상기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40) 사이의 신호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통과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pin 32 i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30, but the hinge pin 32 is provided in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and the hinge hole 52 is the hinge portion ( It may have a hinge structure formed in 30). A wire for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20 and the display portion 40 passes through the hinge pin 32.

상기 힌지홀(52)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회전중심으로, 상기 힌지홀(52)에서 상기 힌지체결부(50)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탭(54)까지의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된다.The hinge hole 52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40, and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40 is more precisely below the distance from the hinge hole 52 to the tip of the hinge fastening unit 50. The distance to the support tab 54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longer.

상기 힌지홀(52)에는 상기 힌지핀(32)이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회전하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hinge pin 32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52 to rotate the display 40. In other words, the display unit 40 rotates around the hinge pin 32.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힌지체결부(50)의 회전반경, 즉 상기 힌지체결부(50)의 연장길이에 따라 키보드데크(25)의 경사 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키보드데크(25)의 경사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eyboard deck 25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around the hinge pin 32, that is, the extension length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eyboard deck 25 may vary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40.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본체부(20)에서 펼쳐질 때, 책상 등의 거치면과 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 하단에는 펼쳐진 디스플레이부(4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탭(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탭(5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표면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지지탭(5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 하단 양측에 1쌍이 구비된다.When the display unit 40 is unfolded from the main body 20, a support tab 54 capable of supporting the unfolded display unit 4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which is in contact with a mounting surface of a desk or the like.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upport tab 54 also serves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The support tabs 54 are provided in one pair at both bottom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탭(54)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이 있고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돌출되어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tab 54 is protrud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display unit 40, and to prevent the display unit 40 from slipping It is provided.

상기 지지탭(54)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삽입가능하며,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일부표면이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로 코팅처리 하여도 무방하다.The support tab 54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but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groove in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and also may form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to protrude to provide a friction coefficient. It can be coated with a large synthetic resi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고안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기기가 지면에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showing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state that the portable device is placed on the ground.

본체부(20)에서 디스플레이부(40)를 개방하면,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가 대략 90도를 이룰 때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힌지부(30)의 힌지핀(32)이 힌지체결부(50)의 힌지홀(5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도 6a에는 이와 같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40 is opened in the main body 20, the display unit 40 is centered on the hinge pin 32 until the angl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display is approximately 90 degrees. Rotate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4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hinge pin 32 of the hinge unit 30 is fitted into the hinge hole 52 of the hinge fastening unit 50. Is shown.

한편, 도 6b와 같이,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각도가 90도 이상이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에 구비된 지지탭(54)이 지면에 닿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탭(5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탭(54)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체결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힌지체결부(50)의 선단(힌지홀 부분)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20)의 힌지부(30)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b, when the angl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display unit 40 is 90 degrees or more, the support tab 54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unit 4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40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tab 54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40. At this time, since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ile the support tab 54 is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ront end (hinge hole portion)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is raised. Accordingly, the hinge portion 30 of the body portion 20 is lifted from the ground.

상기 힌지부(3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은 상기 본체부(20)의 선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구비된 키보드데크(25)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As the hinge portion 30 rises,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maintains a relatively high position compar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 Therefore, the keyboard deck 25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forms an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상기 본체부(20)로부터 90도 이상 펼쳐질 때부터, 상기 힌지체결부(50)가 본체부(20)의 후단을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펼쳐진 각도가 커질 경우, 그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본체부(20)의 후단부도 더 높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의 회동각도에 따라 키보드데크(25)의 경사각이 조절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hinge fastening part 50 lifts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art 20 when the display part 40 is unfolded more than 90 degrees from the main body part 20. As shown in FIG. 6C, when the unfolded angle of the display unit 40 is increased,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is also lifted higher in proportion to the angle. Thu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keyboard deck 25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40.

반대로 상기 본체부(2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접는 경우에,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은 키보드데크(25)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키보드데크(25)의 경사가 완만해진다.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이루는 각도가 대략 90도 일 때, 본체부(20)의 후단은 지면에 닿게 되고, 상기 지지탭(54)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play unit 40 is folded to the main body 20,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keyboard deck 25. As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descends, the inclination of the keyboard deck 25 becomes gentl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body 20 and the display 40 is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support tab 54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최종적으로 상기 본체부(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0)가 이루는 각이 대략 90도 일 때, 상기 본체부(20)의 후단은 상기 본체부(20)의 선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0)의 상면에 구비된 키보드데크(25)는 경사를 가지지 않게 된다.(도 6a 참고)Finally,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body 20 and the display 40 is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20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 Therefore, the keyboard deck 2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does not have an inclination (see FIG. 6A).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내장형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내장형배터리의 경우는 충전기를 통해 충전하지 않으면 즉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device for a long time, the internal battery may be discharged. The built-in battery cannot be used immediately unless it is charged through a charger.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안착홈(44)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 하단에서 상기 힌지체결부(50)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4)에는 휴대용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용 배터리(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커버(46)는 상기 안착홈(44)을 차폐하여 상기 안착홈(44)에 안착된 휴대용 배터리가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groove 44 is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hinge fastening portion 50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40. The seating grooves 44 are seated with a portable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The battery cover 46 shields the mounting groove 44 so that the portable battery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44 is not removed.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배면을 통해서 안착홈(44)에 휴대용 배터리를 삽입하고, 배터리커버(46)로 휴대용 배터리를 덮어 감추게 된다. 상기 휴대용 배터리가 삽입되면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inserts the portable battery into the seating groove 44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40 and covers the portable battery with the battery cover 46. When the portable battery is inserted, power is su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portable device.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을 휴대용 기기 중 전자사전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전자사전에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컴퓨터 등의 다양한 휴대용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ictionary among portable devic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lectronic dictionary,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portable devices such as a portable computer.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키보드 조작시에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키보드데크에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시간 작업에 따른 손목의 피로를 완화할 수 있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보드데크의 경사 조절을 위한 받침대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간편한 이동이 가능하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on the keyboard deck so that the user does not overwork the wrist during the keyboard operation. Therefore, the user can alleviate the fatigue of the wrist caused by the long time wor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carry a pedestal for adjusting the tilt of the keyboard deck, which allows for easy movement.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키보드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체결부의 내부공간을 휴대용 배터리 장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를 소형화하면서도 사용시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pace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formed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keyboard can be used as a portable battery mounting spa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ximize the use time while miniaturizing a portable device.

Claims (7)

키보드가 설치되는 본체부와;A main body unit on which a keyboard is installed;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되는 디스플레이부와; A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by a hinge unit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중심이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후단을 승강시키는 힌지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And a hinge faste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display part and provided with a center of rotation of the display part centered on the hinge part to move up and down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ar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splay part. 본체부와;A main body;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by a hinge uni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후단을 상승시키는 힌지체결부와;A hinge fastening part which protrudes at a lower end of the display part and raises a rear end of the main body part by rotation about the hinge part; 상기 힌지체결부와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휴대용 배터리가 안착되고 배터리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안착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And a seating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hinge fasten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seat a portable battery an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battery co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하단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힌지체결부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 플레이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힌지체결부 선단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까지의 거리가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display portion, the distan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to the tip of the hinge portion And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s lo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직교하도록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The portable device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hing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체결부의 양단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힌지체결부와의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체결부에는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힌지핀이 삽입되도록 힌지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hinge fastening portion,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the hinge fastening portion, the hinge fastening portion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hole is formed so that the hinge pin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is inser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에 접하는 부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The portable device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tab that can support the display uni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a floor in an unfolded state from the main body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The portable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tab protrudes from a material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to prevent sliding of the display unit.
KR2020070003271U 2007-02-26 2007-02-26 Handheld devices Ceased KR2008000363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71U KR20080003635U (en) 2007-02-26 2007-02-26 Handheld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271U KR20080003635U (en) 2007-02-26 2007-02-26 Handheld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35U true KR20080003635U (en) 2008-08-29

Family

ID=4149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271U Ceased KR20080003635U (en) 2007-02-26 2007-02-26 Handheld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635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71A3 (en) * 2009-09-11 2011-08-0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Hinge device for laptop computers
WO2021060571A1 (en) * 2019-09-24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71A3 (en) * 2009-09-11 2011-08-0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Hinge device for laptop computers
WO2021060571A1 (en) * 2019-09-24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721B1 (en) Fold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recting display unit
US9494971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427467Y1 (en) Computer desk
US86931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40066611A1 (en) Computer keyboard with backup battery
KR101092956B1 (en) Connection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oupling system
KR102182133B1 (en) Vertical folding electric outlet system for mounting furniture
KR20080003635U (en) Handheld devices
TWM525043U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6868147A (en) Flexible electrical inter-component coupling circuit for foldable devices
US6765790B2 (en) Notebook computer with metal frame
JP4594483B2 (en) Electronics
JP3100165U (en) Computer
KR20080090902A (en) Computer monitor
JP2003167643A (en) Computer device
KR101345652B1 (en) Desktop computer
KR101069242B1 (en) hinge apparatus for notebook computer
JPH09114554A (en) Electronic equipment
TWM568991U (en) Electronic device
KR101283875B1 (en) Battery pack for notebook computer have Port replicator
KR200307289Y1 (en) Plug bag
KR100619166B1 (en) Portable port replicator
KR20030080133A (en) Support bracket for notebook computer
KR100315563B1 (en)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cable guiding structure
KR100824722B1 (en) Removable input device fo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80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