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1984A -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1984A KR20070061984A KR1020050121569A KR20050121569A KR20070061984A KR 20070061984 A KR20070061984 A KR 20070061984A KR 1020050121569 A KR1020050121569 A KR 1020050121569A KR 20050121569 A KR20050121569 A KR 20050121569A KR 20070061984 A KR20070061984 A KR 200700619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ing
- region
- semiconductor layer
- photoresist pattern
-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6/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 H10D86/02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ple TFTs using masks, e.g. half-tone mask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마스크 공정으로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의 패터닝과 상기 반도체층 내의 액티브 영역에 채널도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소자 또는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함으로서 공정 마스크 수를 절감하고, 이에 따라 제조 공정 단순화와 제조 비용을 절감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폴리 실리콘, 공정단순화, 마스크 절감, 채널 도핑, CMOS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구동회로부의 CMOS 구조 인버터를 절단한 부분에 대한 일부 제조 공정에 따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m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인버터가 형성되는 부분에 대한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표시영역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화소영역에 대한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인버터가 형성되는 부분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판 113 : 버퍼층
117 : 제 1 반도체층 118 : 제 2 반도체층트 절연막
120 : 제 1 게이트 절연막 121 : 제 2 게이트 절연막
181a :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181b :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DCA : 구동회로부
nA :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
pA :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실리콘을 반도체층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 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display)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소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행렬 액정표시장치와 능동행렬 액정표시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에서 능동행렬 액정표시장치는 하나의 화소가 각 화소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동이 된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과 게이트 및 소스 전극으 로 구성되며, 이 중 반도체층은 채널이 형성되는 곳으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반도체층은 일반적으로 비정질 실리콘이나 폴리실리콘을 이용하는데, 최근들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을 비정질 실리콘에서 폴리실리콘으로 대체하고 있다. 이는 폴리실리콘이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전계 이동도가 높고 빛 누설전류가 거의 없으며 기판 상에 구동회로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와 구동회로부(5)가 같이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3)는 기판(1)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부(3)의 일측과 이에 평행하지 않은 타측에 각각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부(5a, 5b)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3)에는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부(5a)와 연결된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7)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부(5b)와 연결된 다수 개의 데이터 배선(9)이 교차하여 구성되며, 두 배선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화소영역(P)에는 화소전극(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배선의 교차지점에는 화소전극(10)과 연결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r)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부(5a, 5b)는 외부신호 입력단(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부(5a, 5b)는 상기 외부신호 입력단(12)을 통하여 입력된 외부신호를 내부에서 조절하여 각각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7, 9)을 통해 표시부(3)로 디스플레이 컨트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회로부(5a, 5b) 내부에는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하게 출력시키기 위하여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PMOS(positive type metal-oxide semiconductor) 인버터(inverter)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은 구동회로부 내부에 인버터로서 CMOS를 구성하느냐 또는 PMOS를 구성하느냐에 따라 CMOS 또는 PMOS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일례로써 CMOS타입의 소자로써 구성되는 어레이 기판은 구동회로부의 구동소자를 구성하는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에 있어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에 각각 n+ 도핑 및 p+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후에는 일반적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CMOS 타입의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구동회로부의 CMOS 구조 인버터를 절단한 부분에 대한 일부 제조 공정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동회로부의 n타입 불순물이 도핑되어 n타입 채널을 갖는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을 n영역(nA), p타입 불순물이 도핑되어 p타입 채널을 갖는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부분을 p영역(pA)이라 정의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기판(20)에 비정질 실리콘(a-Si)을 전면에 증착하고,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또는 열처리 하거나 또는 금속유도법 등에 의한 결정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을 폴리실리콘층으로 결정화시킨다. 이후, 마스크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n영역(nA)과 p영역(pA)에 각각 섬형상의 제 1, 2 반도체층(23, 24)을 형성한다.(제 1 마스크 공정)
다음,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섬형상의 제 1, 2 반도체층(23, 24)이 형성된 기판(20)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 위로 투과영역과 차단영역을 갖는 마스크(미도시)를 위치시키고, 상기 마스크(미도시)를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에 노광을 실시하고, 상기 노광된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현상함으로써 상기 n영역(nA) 있어, 상기 제 1 반도체층(23)의 중앙부의 채널이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양측의 소정폭을 덮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81)과, 상기 p영역(pA)의 제 2 반도체층을 완전히 덮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83)을 형성한다.(제 2 마스크 공정)
다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81, 83)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p타입 불순물 예를들면 붕소(B)를 전면에 제 1 도즈량(~개/㎠)으로 이온주입에 의한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n영역(nA)의 제 1 반도체층(23)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23a)을 형성한다.
이렇게 채널이 형성될 영역 즉 제 1 액티브 영역(23a)에 도핑을 실시하는 것을 채널도핑이라 하며, 상기 채널도핑을 실시하는 이유는 CMOS구조 인버터에서 n타입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문턱전압 인가에 따른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며, 문 턱전압의 포지티브 쉬프트(positive shift) 현상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2c의 81, 83)을 스트립(strip)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2 반도체층(23, 24) 위로 무기절연물질을 전면에 증착하여 게이트 절연막(27)을 형성하고, 금속물질을 상기 게이트 절연막(27) 위로 전면에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2 반도체층(23, 24) 각각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제 1, 2 게이트 전극(30, 31)을 형성한다.(제 3 마스크 공정)
다음,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내지 제 6 마스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소정 형태의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각 마스크 공정별로 형성하고, 상기 각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 및 상기 제 1, 2 게이트 전극(31, 31)을 도핑 마스크로 이용하여 n-도핑, n+도핑 및 p+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23)에 n-도핑된 LDD영역(23b, 23c)과, n+ 도핑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23d, 23e)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제 2 반도체층(24)에는 p+도핑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24b, 24c)을 형성한다.
다음,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7 및 제 8 마스크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23d, 23e), (24b, 24c))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37a, 37b, 39a, 39b)을 갖는 층간절연막(34)과, 그 상부로 서로 각각 이격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37a, 37b, 39a, 39b)을 통해 상기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23d, 23e), (24b, 24c))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41, 43), (45, 47))을 형성함으로서 각각 n타 입 박막트랜지스터(nTr)와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pTr)를 완성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회로부 이외의 표시영역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소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미도시)는 각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화소전극과 연결되는 구조로써 형성되어야 하는 바, 상기 구동회로부의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 pTr)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영역의 스위칭 소자 위로 전면에 보호층(50)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미도시)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미도시)을 형성(제 9 마스크 공정)하고, 상기 보호층(50)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미도시)을 각 화소영역별로 형성(제 10 마스크 공정)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20)을 완성하고 있다.
전술한 CMOS 타입의 인버터를 구비한 구동회로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에는 전술한 바 총 10회의 마스크 공정을 진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마스크 공정은 포토레지스트의 도포(photo resist coating)와 상기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를 노광(exposure), 현상(develop)하고, 더불어 선택적으로 특정형태로 패터닝하고자 하는 물질층을 식각하는 등의 단위 공정을 포함하는 바, 마스크 공정을 많이 진행할수록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비용 및 공정시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하여 생산수율이 떨어지게 되며, 더욱이 마스크 공정을 많이 진행할수록 박막트랜지스터 소자에 결함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에 있어 공정 마스크 수를 줄임으로써 공정수 및 공정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수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은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과 그 상부로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의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불순물로 채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및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2 게이트 절연막 상부로 각각 제 1 및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의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반도체층과,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상기 n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제 1 절연층 및 그 하부의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도핑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제 1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은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두께를 달리하는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위로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및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 중앙부가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상기 n 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도즈량을 갖는 도핑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2 특징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티브층의 형성은, 상기 두께를 달리하는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낮은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도즈량을 갖는 불순물을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형성 이전에 제 4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각각 LDD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과 LDD영역과 제 1 및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p영역에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 제 2 반도체층을 완전히 가리도록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을 도핑 마스크로하여 제 4 도즈량의 n-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에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양측으로 LDD(lightly dopped drain)영역을 형성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을 완전히 덮은 제 4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n영역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양측으로 소정폭의 상기 LDD영역을 덮는 제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및 제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제 2 도즈량의 n+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끝단에 각각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n영역에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완전히 덮는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제 3 도즈량의 p+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반도체층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에 대응해서는 제 2 액티브 영역을, 상기 제 2 액티브 영역의 양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이때, 상기 제 1 도즈량은 상기 제 4 도즈량보다는 크고, 상기 제 3 도즈량보다는 작은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 3 도즈량은 상기 제 1 도즈량보다 큰 것이 특징이다.
제 1, 2 특징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상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정질실리콘층에 ELA(Eximer Laser Annealing)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SPC(Solid Phase Crystallization)법,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결정 화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은 p타입 불순물인 붕소(B) 또는 비소(As)를 이온주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층 하부로 상기 기판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내의 화소영역에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는 스위칭 영역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과 그 상부로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n영역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영역에 그 중앙부가 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3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3 반도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반도체층 상부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 상부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층 및 제 3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3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내지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n영역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p영역에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영역에 스위칭 소자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 위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층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상기 n영역 및 스위칭 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제 1 절연층 및 그 하부의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도즈 량을 갖는 불순물을 도핑하여 상기 제 1 및 제 3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각각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내의 각 화소영역에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는 스위칭 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n영역에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영역에 그 중앙부가 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3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이 형성된 제 1 및 제 3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위로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과 제 2 및 제 3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층 및 제 3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3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n영역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p영역에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영역에 스위칭 소자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 위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층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 중앙부가 도핑된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 3 반도체층과, 상기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상기 n영역과 스위칭 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스위칭 영역에 각각 제 1 반도체층 및 제 3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도즈량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 출된 상기 제 1 및 제 3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및 제 4 특징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 및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및 제 3 드레인 영역 형성 이전에 제 2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각각 LDD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배선을 더욱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소스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을 더욱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즈량은 상기 제 4 도즈량보다는 크고, 상기 제 3 도즈량 및 제 4 도즈량 보다는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쌍을 이루며 형성되는 구동회로부의 CMOS 구조 인버터 부분이 되는 바, 상기 부분에 대한 공정 진행 위주로 설명하며, 표시영역의 동일한 공정 진행시 형성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도면없이 언급한다. 이때, 상기 CMOS 구조 인버터를 이루는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표시영역 내의 각 화소영역에 스위칭 소자로써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됨을 미리 언급하여 그 제조 공정을 상기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는 바, 이는 따로 언급하지 않으며, 상기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한 후, 어레이 기판의 완성을 위해 상기 표시영역에만 진행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도면을 추가하여 상기 공정에 해당하는 공정만 맨 마지막에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m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인버터가 형성되는 부분에 대한 제조 단계별 공정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동회로부에 있어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을 n영역(nA),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을 p영역(pA)이라 정의한다.
우선,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기판(110) 전면에 무기절연물질인 질화실리콘(SiNx) 또는 산화실리콘(SiO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증착하여 버퍼층(113)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113)은 추후공정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비정질 실리콘층을 폴리 실리콘층으로 결정화 할 경우, 레이저 조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인해 기판(110) 내부에 존재하는 알칼리 이온, 예를 들면 칼륨 이온(K+), 나트륨 이온(Na+)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알칼리 이온에 의해 상기 폴리실리콘층의 막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버퍼층(113)은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버퍼층(113) 위로 전면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비정질 실리 콘층(미도시)을 형성하고, ELA(Eximer Laser Annealing)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SPC(Solid Phase Crystallization)법,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법 중에 하나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미도시)을 결정화함으로써 폴리실리콘층(116)을 형성한다.
다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실리콘층(116) 위로 무기절연물질 예를들면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을 전면에 층착하여 제 1 절연층(119)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 1 절연층(119) 위로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제 1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층(180) 상부로 빛을 100% 투과시키는 투과영역(TA)과, 빛을 100% 차단하는 차단영역(BA) 및 빛의 투과량이 0% 내지 100% 사이에서 결정되는 특성을 갖는 반투과영역(HTA)을 포함하는 마스크(191)를 위치시킨 후, 상기 마스크(191)를 통한 노광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층(180)을 이루는 포토레지스트가 빛을 받으면 현상 시 제거되는 특성을 갖는 포지티브 타입(positive type)인 경우, 상기 p영역(pA)의 제 2 반도체층이 형성될 영역 전체에 대응해서는 차단영역(BA)이, 그리고 n영역(nA)에 있어, 추후에 LDD영역과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분에 대응해서는 차단영역(BA)이,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영역에 대응해서는 반투과영역(HTA)이 그리고 그 이외의 영역에 대응해서는 투과영역(TA)이 대응되도 록 상기 마스크(191)를 위치시키고, 상기 마스크(191)를 통한 노광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191)의 반투과영역(HTA)은 슬릿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절노광되거나 또는 빛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하프톤 구조를 이룸으로써 빛의 투과량이 상기 투과영역(BA)과 차단영역(TA)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량 사이의 값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투과영역(TA)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량을 100%라 할 때, 상기 반투과영역(HTA)의 빛의 투과량은 40% 내지 6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포지티브 타입(positive type)의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것을 보이고 있으나, 노광된 부분이 현상 시 남게되는 네가티브 타입(negative type)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도 상기 투과영역과 차단영역의 서로 바뀌어 형성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상기 반투과영역(HTA)을 포함하는 마스크(191)를 이용하여 노광한 제 1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현상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191)의 투과영역(TA)에 대응된 부분은 현상액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제거되어 상기 제 1 절연층(119)을 노출시키고, 상기 차단영역(BA)에 대응한 부분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181a)이 형성되며, 상기 반투과영역(HTA)에 대응된 부분에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181b)이 형성된다.
다음,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도 3c의 181a, 181b)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 1 절연층(도 3c의 119)과 그 하부의 폴리실리 콘층(도 3c의 116)을 연속하여 식각함으로써 상기 n영역(nA) 및 p영역(pA)에 각각 섬형상의 제 1 및 제 2 반도체층(117, 118)과 그 상부로 상기 제 1, 2 반도체층(117, 118)과 동일 형태를 갖는 제 1, 2 게이트 절연막(120, 121)을 형성한다.
다음,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반도체층(117, 118) 및 그 상부로 각각 제 1, 2 게이트 절연막(120, 121)이 형성된 기판(110) 상에 애싱(ashing)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도 3d의 181b)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117) 상부의 제 1 게이트 절연막(120) 중앙부를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애싱(ashing)에 의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181a) 또한 그 두께가 줄어들게 되나 여전히 상기 제 1, 2 게이트 절연막(120, 121) 상에 남아있게 된다.
다음,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181a)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전면에 p형 불순물 예를들면 붕소(B) 또는 비소(As)를 제 1 도즈량(~개/㎠)을 갖도록 이온주입에 의한 채널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117)의 중앙부에 채널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117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채널도핑은 상기 제 1 반도체층(117) 상부에 제 1 게이트 절연막(120)이 형성되고 있는 바, 이온주입의 세기 또는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117) 내에 도핑되도록 할 수 있다.(제 1 마스크 공정)
다음,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117a)을 갖는 제 1 반도체층(117)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118) 상부에 남아있는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도 3f의 181a)을 스트립(strip)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 1, 2 게이 트 절연막(120, 121)을 포함하여 노출된 상기 버퍼층(113) 위로 금속물질을 전면에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2 반도체층(117)의 중앙부 즉, n영역(nA)에서는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117a)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120) 상부로 제 1 게이트 전극(125)을 형성하고, 동시에 p영역(pA)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반도체층(118)의 채널이 형성되어야 할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121) 위로 제 2 게이트 전극(126)을 형성한다.(제 2 마스크 공정)
이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표시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2 게이트 전극(125, 126)을 형성한 동일한 금속물질로써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배선이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각 화소영역으로 분기하는 형태로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극 또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n영역(nA) 형성되는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바, 도시한 상기 n영역(nA)에서 진행되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로 진행되므로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까지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다음,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게이트 전극(125, 126) 위로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제 2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상기 p영역(pA)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126)을 포함하여 상기 제 2 반도체층(118)을 완전히 가리는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183)을 형성한다.(제 3 마스크 공정)
이후,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183)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n타입 불순물 예를들면 인(P)을 상기 제 1 도즈량(~개/㎠)보다 작은 제 2 도즈량(~개/㎠)으로 이온주입에 의한 n-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117)에 상기 채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117a) 외측으로 각각 LDD(lightly dopped drain)영역(117b, 117c)을 형성한다. 이렇게 LDD영역(117b, 117c)을 형성하는 이유는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는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pTr) 대비 핫 캐리어(hot carrier) 발생이 많아 이로 인해 누설전류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도 3h의 183)을 스트립(strip)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제 3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상기 n영역(nA)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125) 위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125)보다 그 양측으로 소정폭 더 연장하는 상태의 제 4 포토레지스트 패턴(185)을 형성하고, 상기 p영역(pA)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반도체층(118)을 완전히 덮는 형태의 제 5 포토레지스트 패턴(187)을 형성한다.(제 5 마스크 공정)
이후, 상기 제 4, 5 포토레지스트 패턴(185, 187)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1 도즈량(~개/㎠)보다 큰 제 3 도즈량(~개/㎠)의 n타입 불순물을 이온주입에 의한 n+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117)의 n+도핑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7d, 117e)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반도체층(117)은 그 양끝단의 소정폭은 각각 제 1 소스 영역(117d)과 제 1 드레인 영역(117e)을 이루고, 이들과 각각 인접하여 저농도 도핑된 제 1, 2 LDD영역(117b, 117c)이, 그리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125)에 대응하여 채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117a)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 3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4, 5 포토레지스트 패턴(도 3i의 185, 187)을 스트립(strip)하여 제거하고, 또 다시 새로운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전면에 제 4 포토레지스트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n영역(nA)에 상기 제 1 반도체층(117)을 완전히 가리는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189)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189)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126)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 1 도즈량(~개/㎠)보다 큰 제 4 도즈량(~개/㎠)의 p타입 불순물을 이온주입에 의한 p+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2 반도체층(118)에 p+도핑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8b, 118c)을 형성한다.(제 5 마스크 공정)
따라서, 상기 제 2 반도체층(118)은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126) 외부로 노출된 양끝단의 소정폭은 각각 제 2 소스 영역(118b)과 제 2 드레인 영역(118c)을, 그리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126)에 대응하여 도핑되지 않은 제 2 액티브 영역(118a)으로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n영역(nA)에 형성된 제 1 반도체층(117)에 LDD영역(117b, 117c)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변형예로써 상기 LDD영역을 형성하지 않고,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n-도핑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스크 공정 회수가 1회 덜 줄어들 수 있다.
다음, 도 3k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7d, 117e)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8b, 118c)과 상기 제 1, 2 게이트 전극(125, 126) 위로 전면에 무기절연물질 예를들면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을 증착하여 층간절연막(130)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절연막(130)과 그 하부의 제 1, 2 게이트 절연막(120, 121)을 일괄 또는 연속하여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7d, 117e)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8b, 118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132, 133, 134, 135)을 형성한다.(제 6 마스크 공정)
다음, 도 3l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132, 133, 134, 135)을 갖는 층간절연막(130) 위로 제 2 금속물질을 전면에 증착하고,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7d, 117e), (118b, 118c))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132, 133, 134, 135)을 통해 각각 접촉하고 서로 이격하는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0, 142)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4, 146)을 형성함으로써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 pTr)를 완성함으로써 이들 두 박막트랜지스터(nTr, pTr)의 쌍으로 구현되는 CMOS 구조 인버터를 완성한다.(제 7 마스크 공정)
이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표시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층간절연막(130) 위로 하부의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이 상기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140, 142), (144, 146))을 형성한 동일한 금속물질로써 형성되며, 이때,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하여 스위칭 소자의 소스 전극과, 이와 이격하여 스위칭 소자의 드레인 전극 또한 형성됨으로써 스위칭 소자 또한 완성된다.
이후 공정은 표시영역에만 해당하는 공정이 되는 바, 상기 구동회로부의 CMOS 구조 인버터를 완성하는 단계별 공정 단면도인 3m과 더불어 표시영역의 상기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하나의 화소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 4a 및 4b를 더욱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m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n영역(nA) 및 p영역(pA)에 형성된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pTr)와 상기 화소영역(P)의 스위칭 소자(sTr) 위로 전면에 무기절연물질 예를들면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을 증착하거나 또는 유기절연물질 예를들면 벤조사이클로부텐(BCB) 또는 포토아크릴(photo acryl)을 코팅하여 제 2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소자(sTr)의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70)을 갖는 보호층(150)을 형성한다.(제 8 마스크 공정)
이때, 상기 구동회로부(DCA)의 제 1, 2 드레인 전극(142, 146)에 대응해서는 드레인 콘택홀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구동회로부(DCA) 전면에 보호층(150)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화소영역(P)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sTr)의 드레인 전극(175)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43)을 갖는 보호층(150) 위로 투명도전성 물질 예를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를 전면에 증착하고, 이를 패터닝함으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143)을 통해 상 기 스위칭 소자(sTr)의 드레인 전극(175)과 접촉하는 화소전극(155)을 각 화소영역(P)별로 형성함(제 9 마스크 공정)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110)을 완성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변형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형성 후, 그 위로 제 1 절연층을 먼저 형성한 후 채널도핑을 실시하는 것을 보이고 있으나, 그 변형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실리콘층(미도시)을 형성 후 그 위로 그 두께를 달리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제 1, 2 반도체층(217, 218)을 형성하고, 이후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채널도핑을 실시한 후, 상기 채널도핑된 제 1 반도체층(217) 및 이와 이격한 제 2 반도체층(218) 상부로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220)을 형성하고, 그 위로 제 1, 2 게이트 전극(225, 226)을 형성한 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을 진행하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210)을 완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실시예의 경우 게이트 절연막(도 3m의 120, 121)은 제 1, 2 반도체층(도 3m의 117, 118)에 대응해서만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변형예의 경우 게이트 절연막(220)은 전면에 형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n+도핑을 p+도핑보다 먼저 진행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또 다른 변형예로써 p+도핑을 먼저 실시하고, 이후에 n+도핑을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도 3m참조)에 있어서는 구동회로부(DCA)의 n영역(nA)의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를 이루는 제 1 반도체층(117)에 LDD영역(117b, 117c)을 형성한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으나, 상기 구동회로부(DCA)의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nTr)에는 상기 LDD영역(117b, 117c)을 생략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화소영역(P)에 형성되는 스위칭 소자(sTr)에 있어서만 상기 LDD영역(160b, 160c)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채널 도핑을 포함하여 총 9회의 마스크 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10회의 마스크 공정을 통한 제조방법 대비 마스크 공정수를 줄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 비용을 저감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과 그 상부로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의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불순물로 채널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및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2 게이트 절연막 상부로 각각 제 1 및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 레인 영역 각각의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반도체층과,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및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상기 n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제 1 절연층 및 그 하부의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2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도핑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제 1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두께를 달리하는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하여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단위면적당 이온주입 개수, ~개/㎠)을 갖는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위로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및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 격하는 제 1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제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그 중앙부가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이와 이격하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상기 n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제 1 반도체층 및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제 1 도즈량을 갖는 도핑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액티브층의 형성은,상기 두께를 달리하는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낮은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제 1 도즈량을 갖는 불순물을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 형성 이전에 제 4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각각 LDD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과 LDD영역과 제 1 및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p영역에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 제 2 반도체층을 완전히 가리도록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을 도핑 마스크로하여 제 4 도즈량의 n-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에 상기 제 1 액티브 영역 양측으로 LDD(lightly dopped drain)영역을 형성하는 하는 단계와;상기 제 3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을 완전히 덮은 제 4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n영역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양측으로 소정폭의 상기 LDD영역을 덮는 제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4 및 제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제 2 도즈량의 n+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반도체층의 양끝단에 각각 제 1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4, 5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상기 n영역에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완전히 덮는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6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을 도핑 마스크로 하여 제 3 도즈량의 p+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제 2 반도체층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에 대응해서는 제 2 액티브 영역을, 상기 제 2 액티브 영역의 양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도즈량은 상기 제 4 도즈량보다는 크고, 상기 제 3 도즈량보다는 작은 것이 특징인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도즈량은 상기 제 1 도즈량보다 큰 것이 특징인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기판상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비정질실리콘층에 ELA(Eximer Laser Annealing)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SPC(Solid Phase Crystallization)법,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법 중에 하나의 방법으로 결정화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은 p타입 불순물인 붕소(B) 또는 비소(As)를 이온주입하는 것이 특징인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실리콘층 하부로 상기 기판상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씨모스(CMOS) 소자 제조 방법.
-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내의 화소영역에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는 스위칭 영역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과 그 상부로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n영역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영역에 그 중앙부가 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3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3 반도 체층과, 상기 제 1 내지 제 반도체층 상부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 상부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층 및 제 3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3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내지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n영역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p영역에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영역에 스위칭 소자를 완성하는 단계와;상기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 위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보호층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상기 n영역 및 스위칭 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제 1 절연층 및 그 하부의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p영역에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그 상부로 각각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제 1 도즈량을 갖는 불순물을 도핑하여 상기 제 1 및 제 3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각각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영역과,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p영역을 포함하는 구동회로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내의 각 화소영역에 스위칭 소자가 형성되는 스위칭 영역이 정의된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절연층 위로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n영역에 그 중앙부가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1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p영역에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스위칭 영역에 그 중앙부가 상기 제 1 도즈량의 불순물로 도핑된 제 3 액티브 영역을 갖는 제 3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이 형성된 제 1 및 제 3 반도체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층 위로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반도체층과 각각 중첩하는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과 제 2 및 제 3 반도체층에 제 2 도즈량의 n+도핑 및 제 3 도즈량의 p+도핑을 실시하여 제 1 반도층 및 제 3 반도체층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제 1 및 제 3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반도체층에는 그 주앙부에 제 2 액티브 영역과, 그 외측으로 제 2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 위로 전면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 각각을 노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층간절연막 상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영역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내지 제 6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는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n영역 n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p영역에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영역에 스위칭 소자를 완성하는 단계와;상기 n타입 및 p타입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소자 위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보호층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3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그 중앙부가 도핑된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 3 반도체층과, 상기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폴리실리콘층 위로 상기 n영역과 스위칭 영역에는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사이로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상기 제 1 두께의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제 1 및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폴리실리콘층을 식각하여 상기 n영역과 스위칭 영역에 각각 제 1 반도체층 및 제 3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p영역에는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애싱(ashing)을 실시하여 상기 제 2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와;제 1 도즈량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상기 제 1 포토레지스트 패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 1 및 제 3 반도체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3 소스 영역과 제 1 및 제 3 드레인 영역 형성 이전에 제 2 도즈량의 불순물 도핑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3 액티브 영역 각각의 외측으로 각각 LDD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내지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배선을 더욱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내지 제 3 소스 전극 및 제 1 내지 제 3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 3 소스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데이터 배선을 더욱 형성하는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도즈량은 상기 제 4 도즈량보다는 크고, 상기 제 3 도즈량 및 제 4 도즈량 보다는 작은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21569A KR20070061984A (ko) | 2005-12-12 | 2005-12-12 |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21569A KR20070061984A (ko) | 2005-12-12 | 2005-12-12 |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61984A true KR20070061984A (ko) | 2007-06-15 |
Family
ID=383575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121569A Withdrawn KR20070061984A (ko) | 2005-12-12 | 2005-12-12 |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70061984A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89062A (ko) * | 2013-01-03 | 2014-07-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구동회로 일체형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
2005
- 2005-12-12 KR KR1020050121569A patent/KR20070061984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40089062A (ko) * | 2013-01-03 | 2014-07-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구동회로 일체형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85410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의 스위칭 소자 및 구동소자및 그 제조방법 | |
| KR101877448B1 (ko) |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
| US7759178B2 (en) |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abrication thereof | |
| US7728328B2 (en) |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6300174B1 (en) |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for driver circuit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 |
| US20050219435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circu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1055188B1 (ko) | Cmos - tft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 KR100928490B1 (ko) |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 KR100924493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 |
| KR100724485B1 (ko) | 액정표시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
| US7410842B2 (en) |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 KR100491820B1 (ko) | 저온폴리실리콘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 |
| KR20070061984A (ko) | 씨모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제조 방법 | |
| KR100908850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용 구동소자 및 스위칭소자의 제조방법 | |
| KR101226975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제조방법 | |
| KR101061763B1 (ko) | 폴리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 |
| KR100441436B1 (ko) | 투과율이 향상된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 KR101981582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
| CN108766935B (zh) |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
| KR20060114863A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
| KR101560415B1 (ko) |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
| KR101106559B1 (ko) |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 |
| KR101148526B1 (ko) | 액정표시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
| KR20060127645A (ko) | Cmos-tft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 KR102084390B1 (ko) | 구동회로 일체형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