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458A - Image forming system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53458A KR20070053458A KR1020050111267A KR20050111267A KR20070053458A KR 20070053458 A KR20070053458 A KR 20070053458A KR 1020050111267 A KR1020050111267 A KR 1020050111267A KR 20050111267 A KR20050111267 A KR 20050111267A KR 20070053458 A KR20070053458 A KR 200700534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forming
 - function
 - limit
 - forming apparatus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부와 표시부를 갖는 호스트장치와, 상기 호스트장치와 연결되며 소정의 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사용을 제한할 적어도 하나의 제한기능을 선택받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기능제한선택부와; 상기 기능제한선택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한기능을 제한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호스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a host apparatus having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host apparatus and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s for processing predetermined image data. A function limitation select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receive from the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t least one restriction function to be restricted; And a host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o limit the limit func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function limit selector. As a result, the fun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be partially limited according to the manager's selec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제한선택부의 일실시예을 도시한 예시도,Figure 2a, 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unction limit se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화상형성시스템 100 : 호스트장치1: Image forming system 100: Host device
110 : 입력부 120 : 표시부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 기능제한선택부 140 : 종료감지부130: function limit selector 140: end detection unit
150 : 타이머 160 : 저장부150: timer 160: storage
170 : 호스트제어부 200 : 화상형성장치170: host controller 200: image forming apparatus
210 : 출력부 220 : 스캐닝부210: output unit 220: scanning unit
230 : 팩스통신부 240 : 데이터통신부230: fax communication unit 240: data communication unit
250 : 저장부 260 : 타이버250: storage 260: Tyver
270 : 화상형성제어부270: image forming control unit
본 발명은,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장치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system capable of limiting the func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a host apparatus.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시스템은 개인용컴퓨터(PC)와 같이 화상데이타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호스트장치와, 호스트장치에 연결되어 호스트장치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출력신호에 따라 용지에 잉크 또는 토너를 통해 가시화시키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기능과, 화상데이타를 원거리의 수신팩스와 송수신할 수 있는 팩스기능과, 화상데이타를 스캐닝하는 스캐닝기능 등 다수의 기능을 포함한다. In general, an image forming system includes a host device that generates and stores image data,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nd visualizes the image data generated or stored in the host device through ink or toner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s such as an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image data, a fax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data with a remote receiving fax, and a scanning function for scanning image data.
종래 화상형성시스템은 다수의 호스트장치와 다수의 화상형성장치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관리자는 출력을 희망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호스트장치를 통해 선택하여 화상데이타를 처리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system, a plurality of host apparatuses and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n administrator may process an image data by select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desired for output through the host apparatus.
그런데, 종래 화상형성시스템은 호스트장치의 전원종료 여부와 관리자의 사용유무와 관계없이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은 항상 켜져 있어 전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always turned on regardless of whether the host device is powered off and whether or not the manager is used.
또한, 관리자가 퇴근하는 경우와 같이 장기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이 작동하게 되므로 비관리자가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호스트장치에 저장된 보안을 요하는 화상데이타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In addition, all functio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re operated even when the administrator is not us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 long time, such as when the administrator leaves the offic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ould be prin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호스트장치를 통해 화상형 성장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system capable of selectively restricting the function of an image growth value through a host apparatus according to a manager's selec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부와 표시부를 갖는 호스트장치와, 상기 호스트장치와 연결되며 소정의 화상데이타를 처리하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사용을 제한할 적어도 하나의 제한기능을 선택받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기능제한선택부와; 상기 기능제한선택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한기능을 제한하도록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호스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n image forming system comprising a host apparatus having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host apparatus and having a plurality of functions for processing predetermined image data. The apparatus includes: a function limitation selection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receive a selection of at least one restriction function for limiting use of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y a user; And a ho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o limit the limit func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 the function limit selecting unit.
여기서, 상기 기능제한선택부는, 사용자가 상기 호스트장치에 소정의 전원종료 신호를 인가하였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unction limit selector is preferab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power off signal to the host device.
여기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소정의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제한선택부는 사용자로부터 제한기능을 제한할 시간을 설정받을 수 있다.The hos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timer, and the function limit selector may receive a time for limiting the limit function from the user.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능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기능의 동작을 제한하는 화상형성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an image forming controller configured to limit an operation of a restriction function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기능제한선택부(13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 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은 호스트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호스트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입력부(110)와,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후술할 화상형성장치(200)의 복수의 기능 중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기능제한선택부(130)와, 호스트장치(100)의 종료여부를 감지하는 종료감지부(1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타이머(150)를 포함한다.The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키보드와 마우스로 구현되며, 경우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표시부(120)는 사용자가 호스트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표시하며, 각종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기능제한선택부(130)는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화상형성장치(200)의 복수의 기능 중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기능제한선택부(130)는 호스트장치(100)의 운영체제와 화상형성장치(200)와 연계되는 드라이버 등으로 실행되며, 일반적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구현된다.The 
           기능제한선택부(130)를 구현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일례를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GUI1(131)은 호스트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로 결합된 화상형성장치 종류(A)와, 모델명(B)과, 기능제한설정여부(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GUI1(131)과 연관된  GUI2(133)는 선택된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이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사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mplementing the 
           기능제한선택부(130)는 호스트장치(100) 사용 중 사용자가 임의로 실행시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으며, 후술할 종료감지부(140)의 감지에 따라 호스트장치(100)의 종료시 자동으로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The 
           한편, 기능제한선택부(130)는 호스트장치(100)의 관리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ID와 패스워드 등을 입력받아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는 관리자를 제한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function 
           종료감지부(140)는 호스트장치(100)의 전원종료를 감지하여 전원이 종료되는 경우,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종료감지부(140)는 호스트장치(100)의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실행된다. 일례로, 운영체제가 윈도우기반일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시작메뉴의 종료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기능제한선택부(130)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호스트제어부(170)는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화상형성장치(200)에 제한신호를 인가한다. 즉, 호스트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 드라이버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의 화상형성제어부(270)에 제한신호를 인가한다.  The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데이타를 잉크 또는 현상제를 통하여 용지에 가시화시키는 출력부(210)와, 스테이지글래스에 적재된 문서의 화상이미지를 독취하는 스캐닝부(220)와, 원거리 이격된 수신팩스와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팩스통신부 (230)와, 이동가능한 호스트장치와 결합되어 화상데이타를 전송받는 데이터통신부(240)와, 화상데이타가 저장되는 저장부(250)와, 호스트장치(100)로부터 제한신호를 인가받고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기능이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화상형성제어부(270)를 포함한다.The 
           출력부(210)는 화상데이타를 용지에 가시화시키며, 가시화시키는 방법에 따라 잉크젯방식과 전자사진방식과 열전사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잉크젯방식은 왕복이동하는 잉크카트리지가 용지에 잉크액적을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고, 전자사진방식은 감광체와 현상제와 현상롤러의 전위차에 의해 용지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고, 열전사방식은 잉크가 코팅된 잉크리본을 TPH가 용지에 접촉가압함으로 잉크를 용지에 코팅하여 화상을 형성시킨다. The 
           스캐닝부(220)는 스테이지글라스(미도시)에 적재되는 문서의 화상이미지를 독취하여 화상데이타로 변환한다. 변환된 화상이미지는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팩스통신부(230)는 문서의 화상이미지를 독취하여 원거리의 수신팩스와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한다. The 
           데이타통신부(24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외측에 마련되어 휴대용 호스트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통신부(240)는 USB포트와 패러럴포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USB메모리, 휴대용 저장매체, 디지털카메라 등과 결합하여 화상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저장부(250)는 데이터통신부(240)를 통해 송수신한 화상데이타와, 스캐닝부(220)에서 독취한 화상데이타가 저장된다. 저장부(250)는 RAM, ROM, HDD 등으로 구 현될 수 있다.The 
           네트워트통신부(280)는 호스트장치(100)의 네트워크통신부(180)와 송수신하며, 호스트장치(100)에서 인가하는 각종 신호와 데이터를 후술할 화상형성제어부(270)로 전달한다. The 
           화상형성제어부(270)는 호스트제어부(170)로부터 제한기능 신호가 인가되면, 해당하는 기능이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한기능에 시간설정을 선택한 경우, 해당하는 시간동안 제한기능이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limit fun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먼저, 호스트장치(100)는 관리자 인증절차를 통하여 인증된 관리자인지 판단한다(S100). 인증된 관리자로 판단되면 관리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를 통해 화상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다.First, the 
           관리자는 호스트장치(100)의 사용 중에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한하고자하면,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활성화시켜 표시부(120)에 실행시킬 수 있다(S200). 한편, 관리자가 호스트장치의 사용 중에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제한하기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호스트장치(100)의 전원을 종료할 때(S400), 기능제한선택부(130)가 자동으로 표시부(120)에 표시된다(S300). 즉, 종료감지부(140)는 사용자가 호스트장치(100) 운영체제의 종료를 선택한 시점을 인식하여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If the administrator wants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표시부(120)에 표시된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통해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 중 제한하고 싶은 기능을 선택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GUI의 일례를 통해 설명한다.The user selects a function to be restricted among the 
           표시부(120)에 도 2a에 도시한 GUI1(graphic user interface) 화면(131)이 나타나면, 관리자는 호스트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화상형성장치(200)를 확인할 수 있다. GUI1(131)는 화상형성장치(200)의 개수와 종류(A), 모델명(B), 그리고 제한기능설정유무(C)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화면을 통해 각 화상형성장치(A)에 대한 제한기능설정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1)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선택한 경우, 기능제한선택부(13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GUI2 화면(133)을 연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GUI2 화면(133)은 사용자가 선택한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의 기능(D)과 해당 기능의 제한설정 유무(E)와, 제한설정할 시간(F)을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A, when the user selects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network 
           여기서, 도 2b에 도시한 GUI2화면(133)은 GUI1화면(13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이 갖는 기능들을 표시하게 되므로, 각 다른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마다 서로 다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능을 제한하는 메뉴(D)도 도 2b에 도시한 GUI2화면(133)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Here, since the 
           여기서 일례로, 사용자가 GUI2화면(133)을 통해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의 출력기능과 복사기능과 USB포트 기능을 제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GUI2 화면(133)을 통해 출력기능과, 팩스기능과, USB포트 기능의 제한을 선택하고, 출력기능의 제한은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퇴근 후 관리자가 아닌 비관리자가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1을 이용하여 문서를 출력하거나 복사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user restricts the output function, the copy function, and the USB port function of the network 
한편, 사용자는 심야시간에 원거리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팩스기능은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not limit the fax function to receive the data sent from a long distance at night time.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관리를 설정하여, 호스트장치에 인증된 인증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user management to restrict the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y a user other than the authenticated user authenticated with the host apparatus.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통해 사용을 제한할 화상형성장치와,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제한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호스트제어부(170)는 기능제한선택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기능을 제한하도록 화상형성제어부(270)로 제한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제한신호는 네트워크통신부(180, 280)를 통해 전송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t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o limit the use through the function 
           화상형성제어부(270)는 호스트제어부(170)로부터 인가된 제한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기능이 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기능, 복사기능, USB포트를 포함하는 데이터송신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호스트장치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form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limit the functio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ho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reby effectively managing the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es connected to the network.
이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관리자별, 시간별, 요일별로 별도록 관리할 수 있으므로 심야시간에 비관리자로 인한 데이터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므로 보안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rough this, the fun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managed separately for each administrator, hourly, and day of the week,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data due to non-administrators at midnight hours, thereby helping to maintain secur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호스트장치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전원관리와 보안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화상형성시스템이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limit the fun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host apparatus, an image forming system can be provided that can effectively manage power and maintain securit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11267A KR20070053458A (en) | 2005-11-21 | 2005-11-21 | Image form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111267A KR20070053458A (en) | 2005-11-21 | 2005-11-21 | Image forming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53458A true KR20070053458A (en) | 2007-05-25 | 
Family
ID=382756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111267A Withdrawn KR20070053458A (en) | 2005-11-21 | 2005-11-21 | Image forming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70053458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45489B1 (en) * | 2007-08-02 | 2010-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curity work method using touch screen and office equipment with touch screen | 
- 
        2005
        
- 2005-11-21 KR KR1020050111267A patent/KR2007005345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45489B1 (en) * | 2007-08-02 | 2010-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Security work method using touch screen and office equipment with touch screen | 
| US8289131B2 (en) | 2007-08-02 | 2012-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curity method and system using touch scree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10675B1 (en) | Starting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 JP5002277B2 (en) | Job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job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program | |
| KR20110065148A (en) | Host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setting information | |
| EP2182716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 EP2275917A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 JP6906991B2 (en) | Image form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mage formation system | |
| KR20100050196A (en) |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modifying method of backgroun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707717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s | |
| US907608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fault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
| KR20120037144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job performing method thereof | |
| CN101877755A (en) |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 |
| KR101236392B1 (en) | Host apparatus for image foaming apparatus and power save mode control method thereof | |
| JP5404350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
| JP2003136789A (en) | Printer, print control device, and print control method | |
| JP2010063040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 JP201703445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 JP600562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 US8285882B2 (en) |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 |
| KR20070053458A (en) | Image forming system | |
| JP463991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 JP2009075451A (en) | Image forming device | |
| KR101299450B1 (en) |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remote device configuration system and remote configuration method using host apparatus | |
| JP7305845B2 (en) |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 |
| US1093900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4272596A (en) | Printout equipment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