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394A - Armored keyboard - Google Patents
Armored key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1394A KR20060081394A KR1020060056778A KR20060056778A KR20060081394A KR 20060081394 A KR20060081394 A KR 20060081394A KR 1020060056778 A KR1020060056778 A KR 1020060056778A KR 20060056778 A KR20060056778 A KR 20060056778A KR 20060081394 A KR20060081394 A KR 20060081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glove
- hand
- finger
- contact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82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05 finger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5 righ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형의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장갑형으로 손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장갑형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갑 형상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밴드(1)와, 밴드(1)에 내장되며 또한 각각의 손가락으로 분지되는 연결선(31)과 연결되는 신호선(5)과, 연결선(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촉부(33)와, 접촉부(33)의 신호를 받아 신호처리하는 작동장치(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접촉부(33)는 손가락의 손톱끝 부위, 손톱끝 아래, 손가락 마디마디 마다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작동장치(21)는 손등에 위치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외부의 기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손에는, 접촉부(33)에서 접촉한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장치(25)를 구성하여, 외부의 무선수신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접촉부(33)는 내부에 접촉센서가 내장되어, 키보드의 각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ve-type keyboard, in the construction of a glove-type keyboard that can be attached to the hand in the form of a glove, the band (1)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glove shape, and is embedded in the band (1) and each finger And a signal line 5 connected to a branched connection line 31, a contact portion 33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line 31, and an operating device 21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act portion 33 and processing the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33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fingertips of the fingertips, the fingertips, every finger node, the operation device 21 is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back of the hand or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radio receiver by configuring a transmission device 25 for receiving a signal touched by the contact portion 33, the contact 33 is characterized in that a built-in touch sensor configured therein, such that the respective functions of the keyboard run
장갑, 키보드 Gloves, keyboard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키보드에 대한 개략적인 외관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illustrating an armore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밴드 부분과 그 부분에서 분지되는 연결선(31)에 대한 신호 연결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2 is for showing the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and portion and the connecting
도 3 은 손가락에서의 해당 부위의 기능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finger.
도 4 는 예를들어 손등에 형성한 작동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for example, an operating device formed on the back of a hand.
본 발명은 장갑형으로 이루어져, 손에 끼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키보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device made of a glove type, which can be worn on both hands and operated with the thumbs of both hands.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형으로 키보드를 구성하여, 소정의 기구나 공간을 요구하지 않고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장갑형의 키보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ove-type keyboard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without requiring a predetermined mechanism or space by constructing a keyboard in the form of a glov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장갑형으로 손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장갑형 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갑 형상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밴드(1)와, 밴드(1)에 내장되며 또한 각각의 손가락으로 분지되는 연결선(31)과 연결되는 신호선(5)과, 연결선(3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촉부(33)와, 접촉부(33)의 신호를 받아 신호처리하는 작동장치(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접촉부(33)는 손가락의 손톱끝 부위, 손톱끝 아래, 손가락 마디마디 마다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작동장치(21)는 손등에 위치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외부의 기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손에는, 접촉부(33)에서 접촉한 신호를 수신하는 송신장치(25)를 구성하여, 외부의 무선수신기와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접촉부(33)는 내부에 접촉센서가 내장되어, 키보드의 각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접촉부(33)는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a glove-type keyboard that can be mounted on the hand in a glove shape, the band (1) and the band (1)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glove shape
상기한 주요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Other features and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ain features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손키보드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rmored han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장갑형의 기구를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부분에 끼워 사용한다. 장갑의 하단은 밴드(1)가 형성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glove-shaped device is used by inserting the part except the thumb. The bottom of the glove is formed with a
도 2 는 밴드(1)를 전개하여 그 구성을 살펴 본 것이다2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밴드(1) 양 단부에는 결합부(2)를 형성하여 두 결합부(2)를 상호 결합시켜 장갑이 손에 견고히 장착되게 한다 결합부(2)는 벨트로 테이프 또는 단추 등과 같은 여러 결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부(2)의 위에 다른 제2 결합부(3)를 형성하여 그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여 손가락에서 벗겨지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밴드(1)에는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5)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내장된다. 노출되게 되어 있어도 무관하다Both ends of the
밴드(1)에 설치되는 신호선(5)은, 오른손의 제일 우측에 있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2째 손가락에서 부터 4째 손가락으로 분지되는 선이 형성된다. 둘째 손가락인 검지쪽에는 검지선(6)이 분지되고 그 측부에 나란히 검지측선(7)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중지선(8), 약지선(9), 소지선(10)이 나란히 각각의 손가락의 위치에 맞게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손가락 위치 측부에 검지측선(7)과 같은 선들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The
도 3 은 오른손의 4 손가락에 들어가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갑 착용시 사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wearing glo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fit into the four fingers of the right hand.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선(6)과 검지 측선(7)이 검지 손가락의 상부까지 구성된다. 이 선들에는 소정의 위치에, 예를들어 접촉 센서 등을 내장하여 그 부분을 접촉하면 소정의 신호를 보내어 그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As shown, the
예를들어, 검지 손톱 부위에는 전원부(41)르 형성하여 이곳을 누르면 전원이 온/오프되게 한다. 즉 한번 누르면 온, 한번 더 누르면 오프되게 구성한다. 그 바로 아래인 손가락의 끝부분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전환할 수 있는 전화키부(42)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접촉지점 내부에는 센서가 내장되어 그 접촉신호를 유선 인 신호선(5)으로 전달하여, 그 각각의 접촉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외부의 수신부로 보내어져 기능이 실현된다For example, the index finger nails are formed on the
그리고 검지측선(7)의 상단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손가락 마디 사이사이 위치의 접촉부(33)를 누르면, 그 위에서 부터 아래로 내려오면서 예를들어 "A", "B", "C" 의 글자가 나오도록 문자키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검지선(6)에서는 아래에서 위 마디를 올라가면서 "D", "E", "F" 의 문자키가 형성되게 한다. 위에서 밑으로 밑에서 다시 위로 문자의 순서를 배열하는 것이 사용상 바람직할 것이나 이러한 배열은 편의상 얼마든지 바꿀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n, when the
누름 조작은 우측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 따라서 검지측선(7)은 오늘손의 검지 중에서 엄지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우측 엄지손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Press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thumb of the right hand. Therefore, it is convenient for the
오른손의 소지(새끼손가락)에도 검지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손가락 마디마다 2 줄의 기능이 배열된다. 우측에는 M,N,O 영문자가 배열되고, 그 좌측에는 나란히 위에서 부터, "print screen", "sysRq", "scroll lock", "pause break" 등과 같은 기능 키를 배열한다. 중지의 경우, 손가락 상단에 문자 및 기호/숫자 및 기호 전환키를 구성하여 이곳을 누르면 변화되게 할 수 있다. 만약 숫자 변환으로 눌러 그 변환이 이루어지면, 검지 상부 첫 마디 부분을 누르면 숫자 "1" 이 실행되고 그 밑으로 "2", "3" 등이 실행되게 할 수 있다Like the index finger, the right hand (the little finger) has two rows of functions arranged for each node up and down. On the right, M, N, O alphabets are arranged, and on the left side, function keys such as "print screen", "sysRq", "scroll lock", and "pause break" are arranged side by side from above. In the case of a stop, you can configure the letter and symbol / number and symbol toggle keys on the top of your finger so that they can be changed by pressing here. If the conversion is done by tapping on the number conversion, pressing the first bar of the index finger will cause the number "1" to run and "2", "3", etc. beneath it.
중지 손톱 끝 부위에는 영한 변환키가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도면이 복잡하여 지는 이유로 한글 모드의 자모음 기호표시 등은 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키보 드에 구성된 자판의 구성을 전부 수용 가능하다At the tip of the middle finger, the English-Korean conversion key is constructed. In the drawing, although the consonant symbol of the Hangul mode is not display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drawing,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keyboard configured in the general keyboard can be accommodated.
그 외 엔터(enter)키를 중지나 약지 등의 끝단 또는 다른 위치에 구성할 수 있다. 이 엔터키를 구르면,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선택된 기능이 동작 실현되게 하는 것이다. You can also configure the enter key at the end or other location, such as a middle finger or ring finger. When the enter key is rolled up, similarly to the keyboard of a general computer, a predetermined selected function can be realized.
상기 구성 배열과 마찬가지로, 키보드의 각종 기능의 키를 손가락 안쪽에 배열한 것을 [표 1} 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Similarly to the above configuration arrangement, the arrangement of the keys of various functions of the keyboard inside the finger is exemplarily shown in [Table 1].
[표 2] 는 반대편 왼손에의 구성을 배열한 예이다. [표 1] 및 [표 2] 와 같은 구성이면 일반적인 키보드의 기능을 양손에 전부 구현시킬 수 있다Table 2 shows an example of arr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posite left hand. With the configuration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e functions of the general keyboard can be implemented in both hands.
또한 추가로 마우스 기능도 넣을 수 있다You can also add mouse functions.
예를들어 소지 끝단에 즉, 손톱 부위에 센서를 내장하여 광마우스 기능이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지 끝을 바닥에 접촉하여 이리저리 이동하면 그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커서가 이동된다For example, a sensor may be built in the end of the body, ie, the nail, to be configured as an optical mouse. In this case, if you touch the end of the body and move it around, the cursor moves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도 4 는 장갑 착용시 손등 부분의 유무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red and wireless devices of the back of the hand when wearing gloves.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1)에 내장된 신호선(5)이 손등 위치에 위치되는 작동장치(21)와 연결된다. 손가락에 구성된 모든 키보드 기능에는 접촉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그 센서의 신호를 신호선(5)으로 집중 모아져 전달된다As shown, the
작동장치(21)에는 전원, 손수신장치, 신호처리을 위한 장치, 스피커, 기타 작동에 필요한 장치들이 내장된다. 작동장치(21)는 이를 고정하는 작동장치밴드(22)에 의해 고정된다. 작동장치밴드(22)는 장갑의 손등쪽에만 형성되게 하여, 손을 끼워 장갑을 착용하면 작동장치밴드(22)가 손등 위치에 오게 한다. 도면과 같이, 장갑의 손등 위치에는 손가락이 전부 끼워지지 않고 일부분만 손가락에 끼워지는 장갑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손등에 형성시킨 작동장치(21)는 외부의 작동 기기인 컴퓨터 그외 다른 디스플레이기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실행된다The
상기한 도 3 의 각종 접촉부(33) 및 다른 해당키 기능의 접촉부 위치를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점에 있어서, 엄지손가락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엄지손가락에 골무형의 기구를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그 골무에, 터치에 유리한 딱딱한 물체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point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본 발명은 무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relessly.
도 4 에 보듯이, 소정의 부위, 예를들어, 손가락의 뒷쪽 선단부에 송신장치(25)를 설치하여 손가락에서 전해지는 모든 신호를 이 송신장치(25)에서 다른 수신 장치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손바닥이나 손등의 다른 소정의 위치에 송수신 장치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4,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키보드를 장갑형으로 구성하여 매우 편리하고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the keyboard in a glove form very convenient and fun
또한 소형으로 이루어지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It is also compact and can be used anywhere.
특히,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 누워서도 키보드를 조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노트북에 등에 적용하여 편리히게 사용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ople with uncomfortable behavi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operate the keyboard lying down. In addition, i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pplying it to a laptop.
또한, 부피가 크고 많은 부품이 들어가며, 제조공정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반 키보드에 비해 그 제작비가 저렴하고 그 제작이 간단하다In addition, it is bulky and contains many parts, and its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s production is simple compared to general keyboard which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tim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6778A KR20060081394A (en) | 2006-06-23 | 2006-06-23 | Armored key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6778A KR20060081394A (en) | 2006-06-23 | 2006-06-23 | Armored key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1394A true KR20060081394A (en) | 2006-07-12 |
Family
ID=3717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6778A Ceased KR20060081394A (en) | 2006-06-23 | 2006-06-23 | Armored key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8139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714A (en) | 2017-06-23 | 2019-01-03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KR20190001615U (en) | 2017-12-20 | 2019-06-28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KR20190002305U (en) | 2018-03-07 | 2019-09-18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
2006
- 2006-06-23 KR KR1020060056778A patent/KR2006008139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714A (en) | 2017-06-23 | 2019-01-03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KR20190001615U (en) | 2017-12-20 | 2019-06-28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KR20190002305U (en) | 2018-03-07 | 2019-09-18 | 김춘성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895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 |
KR20020097024A (en) | Hand grippable combined keyboard and game controller system | |
US20070086825A1 (en) | Circular keyboard | |
US20150002401A1 (en) | Alternative glove-based key entry for mobile devices | |
US20110199307A1 (en) | Keyboard and touchpad arrangement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 |
CN111796685A (en) | Glove type input equipment and glove type input auxiliary system | |
KR20060081394A (en) | Armored keyboard | |
CN102043474B (en) | One-hand input keyboard | |
CN204557377U (en) | Electronics input gloves | |
US9740302B2 (en) | Ambidextrous chord keying device for use with hand-held computer | |
WO2005059734A3 (en) | Input device for multiple use with a digitising tablet | |
US8803831B1 (en) | Chording sheath for computing device | |
CN109196503B (en) | Mouse, touch pad, input suit and mobile device | |
CN100365546C (en) | All-round small keyboard | |
JP2002196857A (en) | Key inputting device | |
KR20200129920A (en) | Glove type input device | |
JP4897080B2 (en) | Mobile device | |
JP2004038789A (en) | Keyboard system | |
WO2011034330A2 (en) | Thimble-type command input apparatus | |
CN110045838B (en) | Ergonomic input device | |
JP3148134U (en) | keyboard | |
KR200332058Y1 (en) | Miniaturized Keyboard Using Symmetrical Nervous Response of Fingers of Both Hands | |
JP2003177863A (en) | Glove type input device | |
KR101513969B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finger movement | |
KR20050020463A (en) | The one hand chording glove-typed input device for typing korean charac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