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416A -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00416A KR20060000416A KR1020040049272A KR20040049272A KR20060000416A KR 20060000416 A KR20060000416 A KR 20060000416A KR 1020040049272 A KR1020040049272 A KR 1020040049272A KR 20040049272 A KR20040049272 A KR 20040049272A KR 20060000416 A KR20060000416 A KR 20060000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housing
- guide
- body housing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길이 이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측면을 감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딩부와, 상기 가이드 홀딩부와 대면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종료 지점을 촉각적으로 제공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의 종료 시점을 인지하여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facilitate a sliding movement of a terminal, and for this purpose,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ousing and a sliding housing slidingly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A sliding device of a communication device, the sliding device of which is formed along one sid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beyond the sliding length of the sliding housing,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At least one guide hold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and the side holding module is mounted to face the guide holding portion to provide a tactile sliding end point of the sliding housing in the main body housing And to,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ware of the end of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device on the device to facilitat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evice.
휴대용 통신 장치, 본체 하우징, 슬라이딩 하우징,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body housing, sliding housing, side sliding modu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작동 전 정면도,1 is a front view befor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작동 후 측단면도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사시도,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vement of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 중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side sliding module of the slid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의 구성 중 돌출부와 가이드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vement of the protrusion and the guide protrus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ide sliding module of FIG. 7;
도 9은 도 8의 가이드 돌기가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에 형성된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of FIG. 8 slides by an elastic force of a protrusion formed in the side sliding module;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딩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liding movement of FIG.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 돌기가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에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of FIG. 10 is slid and moved in the side sliding module;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하우징의 후면을 나타낸 배면도,
12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sliding housing of the slid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하우징을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 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Thes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in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hat can pursu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1)는 다수의 키패드 (2a)및 마이크 장치(2b)가 구비된 메인 바디(2)를 기준으로 볼때, 슬라이딩 바디(3)가 상기 메인 바디(2) 길이의 1/2정도 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메인 바디(2)에 3x4 키패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바디(3) 전면상에 스피커 장치(3a) 및 디스플레이 장치(3b)를 설치할 수 있다.1 and 2, the sliding type
도 2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1)는 메인 바디(2)와, 상기 메인 바디(2)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디(3)와, 상기 메인 바디(2) 및 슬라이딩 바디(3)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디(3)를 메인 바디(2)상에서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4)과, 상기 슬라이딩 바디(3)와 메인 바디(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디(3)를 상, 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스프링(미도시 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에서 상기 슬라이딩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 사용자가 개방 및 폐쇄되는 종료지점을 미연에 알지 못하여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 수단에 충격을 가하고. 이로인해 충격피로도에 의해 단말기가 파손되고, 반복적으로 슬라아딩 이동에 따른 상기 구동 스프링의 탄 성력이 저하되어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know the end poi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user when sliding the sliding body in the main body, and thus impacts the guide means by the user's pushing force. Due to this, the terminal is damaged by the impact fatigu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driving spring is repeatedly decreased due to the sliding movement, thereby reduc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erminal.
또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미국특허번호 제 10, 379, 551 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그 구성으로는 메인 바디와, 슬라이딩 바디와, 가이드 수단과, 2개의 구동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단순히 슬라이딩 바디를 상, 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구동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바디가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described in detail in US Patent No. 10, 379, 551,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a sliding body, a guide means, and two driving springs. The sliding body is simply configured to move naturally in the direction of opening or closing of the sliding body by the driving spring when the sliding body moves up and down.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는 2개의 구동 스프링이 구비됨으로, 상기 스프링의 회전 반경이 상기 각각의 바디 및 가이드 수단의 넓비 폭에 의해 이동거리가 결정되었기 때문에 단말기의 부피 및 크기가 켜지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two driving springs,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pring is determined by the width and width of the width of each of the body and the guide means the disadvantage that the volume and size of the terminal is turned on There was thi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개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of a housing of a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이동 종료지점을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device of the terminal by tactilely providing the user with a movement end point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using of the terminal.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부피 및 크기를 줄여 소형 화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reduced in size by reducing the volume and size of the terminal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ide sliding modules to facilitate the sliding movement in the housing of the terminal.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딩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ousing and a sliding housing slidingly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fa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길이 이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측면을 감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딩부; 및At least one guide holding formed along one side end of the main body housing beyond the sliding length of the sliding housing,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liding housing; part; And
상기 가이드 홀딩부와 대면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슬라이딩 종료 지점을 촉각적으로 제공하는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side sliding module mounted to face the guide holding part and tactilely providing a sliding end point of the sliding housing in the body housin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12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10)는 본체 하우징(20)과, 슬라이딩 하우징(30)과, 다수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 하우징(20)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과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길이 이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일측면을 감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홀딩부(21)를 제공하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은 상기 본체 하우징(20)과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홀딩부(21)에 의해 가이드 및 홀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가깝거나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홀딩부(21)와 대면하게 장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20)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이동 종료 지점을 촉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사이드 양측면에 구성되어 있다.3 to 12, the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면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에 형성된 슬라이딩 이동부(36)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홈(23)은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깊이로 단차지게 리세스(recessed)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홀딩부(21)는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양측단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모듈(40)내에서 선형이동하도록 다수의 가이드 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돌기(22)는 서로 맞주보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면에는 마이크 장치(2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 장치(24)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개의 키(25a)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 1 키 어레이(25)가 구비되어 있다.4 and 5, the
도 4과 및 도 5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상면에는 제 1 스피커 장치(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스피커 장치(31)와 이웃한 위치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스피커 장치(31)와 이웃한 위치에는 항시 외부에 노출되도록 대형 액정표시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대형액정표시장치(33)와 이웃한 위치에는 다수개의 키(34a)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 2 키 어레이(34)가 구비되어 있다.4 and 5, the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20)이 슬라이딩 홈(23)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부(3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36)의 사이드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을 장착하도록 다수의 장착홈(37)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sliding moving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36)의 후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2 스피커 장치(35)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은 가이드 트랙(41)과, 가이드 레일(42)과, 돌출부(4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트랙(41)은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하도록 상기 각각의 장착홈(37)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트랙(41)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홀딩부(2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2)를 선형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홀(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42)은 상기 가이드 홀딩부(21)의 가이드 돌기(22)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가이드 돌기(22)를 상기 가이드 홀(41a)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41a)내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가이드 돌기(22)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의 종료 지점을 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4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 힌지 모듈(40)은 각각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7 to 11, each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42)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고,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이드 홀(41a)의 양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41b)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2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22) 측벽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42)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레일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lid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5 and 6, the sliding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방되는 다수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 1 키 어레이(2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제 1 키 어레이(25)가 개방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면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이동부(36)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홈(23)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양측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 홀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홀딩부(21)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이 가이드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since a pair of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홀딩부(21)는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사이드 양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과 대면한 상태로 구비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pair of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36)의 사이드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홈(37)에 장착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each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은 상기 각각의 가이드 홀딩부(21)와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슬라이딩 이동 종료 지점을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7 and 8, each of the
이때, 도 8과 같이,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의 가이드 트랙(41)에는 가이드 홀(4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홀(41a)내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 홀딩부(2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가 상기 홀(41a)을 따라서 선형이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since the
이때,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홀(41a)내에는 상기 홀(41a)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22)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4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42)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2)가 가이드 된다.8 and 9, since the guide rails 42 are provided in the guide holes 41a to guide the
이때,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42)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2)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의 종료 지점을 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돌출부(43)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돌기(22)가 상기 가이드 홀(41a)내에서 소정의 거리로 가이드 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43)에 접촉되면, 상기 돌출부(43)의 중심부에 형성된 만곡점(A1)에 도달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and 9,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가이드 홀(41a)의 폭을 좁아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돌기(22)에 의해 돌출부(43)의 만곡점(A1)이 내측으로 조여 들어가고,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2)가 상기 돌출부(43)의 만곡점(A1)을 통과하면, 상기 돌출부(4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펼쳐지면서 이동함 과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의 종료 시점을 미연에 알려준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since the
이때,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22)는 상기 가이드 홀(41a)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 홈(41b)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22)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된다.10 and 11, the
이때,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30)을 반대로 상기 본체 하우징(20)으로 가깝게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각각의 사이드 슬라이딩 모듈(40)은 상기 동작을 역으로 작동한다.In this case, when the sliding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이동 종료지점을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tactilel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movement end point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using of the terminal,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erminal can be facilit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slid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lid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단말기의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이동 종료지점을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단말기의 부피 및 크기를 줄여 단말기의 슬림화 할 수 있을 뿐아니라,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by tactilely providing a movement end point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using of the terminal,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erminal can be facilitated, thereby improving the use of the terminal and improving the volume and size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o making the terminal slimmer, the terminal can be made smaller.
Claims (1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272A KR20060000416A (en) | 2004-06-29 | 2004-06-29 |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9272A KR20060000416A (en) | 2004-06-29 | 2004-06-29 |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0416A true KR20060000416A (en) | 2006-01-06 |
Family
ID=3710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9272A Withdrawn KR20060000416A (en) | 2004-06-29 | 2004-06-29 |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0041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0808B1 (en) * | 2006-09-27 | 2008-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2004
- 2004-06-29 KR KR1020040049272A patent/KR2006000041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0808B1 (en) * | 2006-09-27 | 2008-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US7869846B2 (en) | 2006-09-27 | 2011-01-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04031B1 (en) | Du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US7184806B2 (en) |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KR100689410B1 (en) | Semi automatic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713414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up / down keys | |
KR100606004B1 (en) | Du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05862B1 (en) | Sliding type wireless terminal | |
KR100640388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touch key | |
KR100576000B1 (en) | Spring module of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50105791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pop up type keypad | |
KR20120069167A (en) |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35304B1 (en) | Slid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800808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754594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573452B1 (en) | Sliding device of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 |
KR20060000416A (en) | Sliding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803457B1 (en) | Sliding module of dual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90188B1 (en) |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and its sliding guide device | |
KR100677364B1 (en) |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703510B1 (en) | Sliding handheld device with optical zoom lens assembly | |
KR100929104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20080067864A (en) | Sliding device of the double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98629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350570Y1 (en) |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20040105944A (en) |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101058654B1 (en) |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