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20020019607A -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607A
KR20020019607A KR1020027001617A KR20027001617A KR20020019607A KR 20020019607 A KR20020019607 A KR 20020019607A KR 1020027001617 A KR1020027001617 A KR 1020027001617A KR 20027001617 A KR20027001617 A KR 20027001617A KR 20020019607 A KR20020019607 A KR 20020019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remote control
control
us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얀 반에에
마우리스 요트. 엠. 츄이퍼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1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60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21Programming remote control devices via third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소비자 전자 장치의 제어는 제 1 및 제 2 리모트(remote)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리모트는 상기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고, 제 2 리모트는 상기 제 1 리모트를 통해 상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리모트는 제 1 리모트에 분리가능한 모듈의 형태이다.Control of the consumer electronic device is accomplish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remotes. The first remote can directly control the device, and the second remote can control the device via the first remote. The second remote is in the form of a module detachable from the first remote.

Description

모듈러 원격 제어 디바이스{MODULAR REMOTE CONTROL DEVICE}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의 출원 문헌들이 참조 문헌으로 병합되어 있다.The following application documents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1999년 11월 4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434,155호(대리인 관리 번호-PHA 23,783);No. 09 / 434,155, filed November 4, 1999 (Agent Control Number-PHA 23,783);

1998년 8월 4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128,839호(대리인 관리 번호-PHA 23,469);No. 09 / 128,839 filed on August 4, 1998 (Agent Control Number-PHA 23,469);

1998년 8월 5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129,300호(대리인 관리 번호-PHA 23,470);No. 09 / 129,300, filed August 5, 1998, Representative Control Number-PHA 23,470;

1999년 3월 17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271,200호(대리인 관리 번호-PHA 23,607);No. 09 / 271,200, filed March 17, 1999 (Agent Control Number-PHA 23,607);

1999년 5월 13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311,128호(대리인 관리 번호-PHA 23,501);No. 09 / 311,128, filed May 13, 1999 (Agent Control Number-PHA 23,501);

1998년 12월 11일에 미국 출원된 제 09/210,416호(대리인 관리 번호-PHA23,522).No. 09 / 210,416, filed December 11, 1998 (Agent Control Number-PHA23,52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리모트" 또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란 용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무선 통신을 통해 또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알려진 범용의 프로그램가능한 리모트에는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사에 의해 1998년 9월에 시장에 소개된 PRONTOTM이 있다. PRONTOTM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http://www.pronto.philips.com인 웹사이트에서 입수가능하다.The term "remote" or "remote control device" as used herein refers to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ontrol another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 known universal programmable remote with a touch screen is PRONTO ™, which was introduced on the market in September 1998 by Philips Electronics. More information about PRONTO is available on the website at http://www.pronto.philips.com.

본 발명은 "리모트(remotes)"로도 알려져 있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리모트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remote control devices, also known as "remotes,"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tes that inclu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ith a touch scree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형 리모트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1-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bined remo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든 도면에 걸쳐, 같은 참조 번호는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특징부를 나타낸다.Throughout all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similar or identical features.

터치 스크린 및 배터리 팩(battery pack)은 그러한 적격의(full-fledged) 리모트를 더 커지고 무겁게 한다. 그러한 리모트를 통해 채널 서핑하는 것은 보다 일반적이면서 얇은 리모트를 사용하는 것만큼 편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rontoTM과 같은 범용의 프로그램가능한 리모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인간 환경 공학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1 원격 제어 디바이스와,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2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결합체를 제공한다. 유리하게도, 제 2 리모트는 제 1 리모트에 대해 분리가능한 모듈이나 분리가능한 키 또는 버튼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도, 제 1 리모트는 사용자 프로그램가능하다.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후의 설명에서 자명해질 것이다.Touch screens and battery packs make such a full-fledged remote larger and heavier. Channel surfing through such a remote may not be as convenient as using a more general and thinner remo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rgonomic solution while retaining the advantages of a universal programmable remote such as Pronto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remote control device for enabling a user to directly control a device, and a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for enabling a user to control the device via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It provides a conjugate comprising. Advantageously, the second remote may be in the form of a detachable module or detachable key or button for the first remote. Advantageously, the first remote is also user programmable.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will be apparent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제한적이지 않은 예를 통해 이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greater detail hereinafter through non-limit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결합체(101)에 대한 개략도이다. 결합체(101)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여기서는 별도의 개체로 도시되어 있는 제 1 리모트(102)와 제 2 리모트(106)를 포함한다. 결합체(101)는, 사용자가 결합체(101)와 상호작용할 때, CE 장치(112)의 제어를 위해 ProntoTM과 같은 범용의 프로그램가능한 리모트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112)는, 본 예에서는, 텔레비전 세트, 오디오 시스템, VCR, 가정용 오락 시스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디지털 레코더 등과 같은 소비자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PC와 같은 다른 타입의 장치도 또한 리모트(102 및 106)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bination 10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101 includes a first remote 102 and a second remote 106, which are shown here as separate entities for clarity. The combiner 101 preferably functions as a universal programmable remote such as Pronto for control of the CE device 112 when the user interacts with the combiner 101. Device 112 includes, in this example,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set, audio system, VCR, home entertainment system, hard-disk drive (HDD) digital recorder, and the like. Other types of devices, such as, for example, PCs, may also be adapted to be controlled remotely by remotes 102 and 106.

제 1 리모트(102)는 무선 연결(104)을 통해 CE 장치(112)와 직접 통신한다. 무선 연결(104)은 RF{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나 IR(적외선)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연결이다. CE 장치는 전형적으로 원격 제어를 위해 IR 입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결(104)은 추가적인 RF 연결을 위한 선택 특징을 가지면서 IR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만약 연결(104)이 단지 RF이고 장치(112)는 IR로 제어가능하다면, RF-IR 변환 유닛(미도시)이 사용된다. 그러한 유닛은 제어될 디바이스의 임의의 IR 수신기 가까운 곳에 유선의 IR 슈터(shoot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변환 유닛은 장치(112) 근처의 어딘가에 배치되는 강력한 IF 블래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리모트(106)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리모트(102)를 통해 장치(112)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 first remote 102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CE device 112 via the wireless connection 104. The wireless connection 104 is any suitable type of connection such as RF (radio frequency) or IR (infrared). Since the CE device typically requires an IR input for remote control, the connection 104 is preferably IR with optional features for additional RF connection. Optionally, if the connection 104 is only RF and the device 112 is IR controllable, an RF-IR conversion unit (not shown) is used. Such a unit would preferably include a wired IR shooter near any IR receiver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Alternatively, the conversion unit may use a powerful IF blaster disposed somewhere near the device 112. The second remote 106 allows the user to indirectly control the device 112 via the first remote 102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제 1 리모트(102)는 터치 감응식 LCD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10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03)는, 예컨대 장치(112)의 제어에 무엇이 필요한 지에 따라서, 제어 선택 사항이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한 메뉴를 그래픽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다. 제 1 리모트(102)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프로그램가능하고, 대규모의 편집 성능 및 전용 데이터 처리 성분을 포함한다. 연결(104)은 장치(112)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을 공급하는 것 외에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모트(102)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프로그래밍 되기보다는 처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미도시된 PC나 모뎀)로부터 프로그래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리모트(102)의 프로그램 능력은, 특히, a) 결합체(101)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은 기능이나 장치를 포함하여 한 타입 이상의 장치를 처리할 수 있게 하거나, b)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과 같은 결합체(101) 자체의 일부 기능을 변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The first remote 102 includes a display 103 with a touch sensitive LCD screen. The display 103 is suitable for graphically displaying a menu containing control options or other user interface elements, for example, depending on what is required for control of the device 112. The first remote 102 is preferably user-programmable and includes massive editing capabilities and dedicated data processing components. The connection 104 may be used to receive information in addition to supplying commands to control the device 112. For example, the remote 102 may receive programming information from a processing device (eg, a PC or modem not shown) rather than being manually programmed by the user. The program capability of the first remote 102 may in particular be such that a) the assembly 101 can handle one or more types of devices, including functions or devices that are not currently known, or b) combinations such as user interface functions. 101) It is possible to change some functions of itself.

제 2 리모트(106)는 버튼(107)과 같은 다수의 하드(hard) 버튼이나 하드 키를 포함한다. 제 2 리모트(106)는 비교적 간단한 부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트(106)는 제 1 리모트(102)에 대해 국한된 처리 성능을 통해서 해석될 정해진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하드 키(107)를 구비한다. 제 2 리모트(106)는 연결(105), 이를테면 RF 또는 IR 연결에 의해서 무선으로 제 1 리모트(102)와 통신할 수 있다. 연결(104 및 105)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연결(104)은 예를 들어 IR인 반면에 연결(105)은 RF이거나, 두 연결(104 및 105) 모두가 IR이지만 기능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제 2 리모트(106)는 제 1 리모트(102)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리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리모트(106 및 105)간의 통신은 무선 연결(105)을 사용하거나 연결(105)의 신호 경로의 무선 부분을 바이패싱하는 갈바닉 연결(galvanic connection)을 사용할 수 있다. 후자는 적절한 장착용 슬롯 및 플러그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second remote 106 includes a number of hard buttons or hard keys, such as the button 107. The second remote 106 is preferably of a relatively simple class. The remote 106 has a hard key 107 to provide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be interpreted through localized processing capabilities for the first remote 102. The second remote 106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remote 102 wirelessly by a connection 105, such as an RF or IR connection.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connections 104 and 105, connection 104 is, for example, IR while connection 105 is RF, or both connections 104 and 105 are IR, but functionally different frequency bands. use. In addition, the second remote 106 is prefera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first remote 102.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s 106 and 105 when physically connected may use a wireless connection 105 or a galvanic connection that bypasses the wireless portion of the signal path of the connection 105. The latter is achieved through suitable mounting slots and plugs.

리모트(102 및 106)는 분리된 별도의 리모트로서 각각 고려될 수 있다. 결합체(101)에 대한 기능 선택 사항은 스크린(1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들과 버튼(107)에 의해서 명시되는 것들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능 선택 사항은 하드 버튼(107)에 할당된다. 이를테면, 텔레비전 수신기의 제어를 위해서, 버튼(107)은 볼륨 업, 볼륨 다운, 소리 죽임(mute), 채널 업, 및 채널 다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리모트(102)는 프로그램가능하기 때문에, 키(107)에는 장치(112)와 제 2 리모트(106)간의 프로그램가능한 인터페이스로서 후자의 기능에 따라 유닛(102) 내에서의 매핑을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기능이 할당될수 있다. 이러한 기능 할당은 리모트(102)에서의 변경이 매핑을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다이내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102)를 "TV 모드"로부터 "CD 모드"로 변경하는 것은 리모트(106)의 볼륨 업 및 볼륨 다운 버튼(107)의 매핑을 TV 볼륨 업/다운 또는 CD/플레이어의 볼륨 업/다운 코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Remotes 102 and 106 may each be considered as separate separate remotes. The functional options for the combination 101 are separated into those displayed on the screen 103 and those specified by the button 107. Preferably, the most frequently used function choices are assigned to hard buttons 107. For example, for control of a television receiver, the button 107 preferably includes volume up, volume down, mute, channel up, and channel down. Since the first remote 102 is programmable, the key 107 is a programmable interface between the device 112 and the second remote 106, which is optional by changing the mapping within the unit 102 according to the latter function. The function of can be assigned. This function assignment can be dynamic in the sense that a change at the remote 102 can change the mapping. For example, changing the remote 102 from "TV mode" to "CD mode" changes the mapping of the volume up and volume down buttons 107 of the remote 106 to the TV volume up / down or the volume of the CD / player. You can change it with either up or down code.

도 2는, 제 2 리모트(106)가 제 1 리모트(102)의 상단에 분리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장착되는 결합체(101)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리모트(102 및 106) 사이의 기능상 연결은 무선 연결(105)을 사용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예를 들어 리모트(102 및 106)에 위치한 보완성의 전기 전도성 부분(202 및 204)을 사용하여 리모트(102 및 106)간에 갈보닉 연결을 초래한다. 선택적으로는, 리모트(102 및 106)간에 기계적인 연결이 구축되었을 때, 상기 기계적인 연결은, 예를 들어 리모트(106)의 하드 버튼(107)의 제어 선택 사항이 터치 스크린(103)에 그래프적으로 표시되는 선택 사항과 중복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예컨대 스크린(103) 상에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변경하도록 리모트(102)를 트리거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리모트(102 및 106)는 알려진 PRONTO's와 유사한 형태로 함께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부분(106)을 분리하여 상기 리모트(106)만을 조정함으로써 TV 채널을 바꾸는 한편 리모트(102)는 테이블 상에 그대로 남겨 놓을 수 있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assembly 101 in which a second remote 106 is physically mounted such that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op of the first remote 102. The func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remotes 102 and 106 uses a wireless connection 105, or. Alternatively, complementary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s 202 and 204 located at remotes 102 and 106, for example, result in a galvanic connection between remotes 102 and 106. Optionally, when a mechan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emotes 102 and 106, the mechanical connection is such that, for example, the control selection of the hard button 107 of the remote 106 is graphed on the touch screen 103.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with the options that are displayed as an option, the remote 102 is triggered to change the display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n the screen 103,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s 102 and 106 can work together in a similar fashion to known PRONTO's. However, the user can change the TV channel by separating the part 106 and adjusting only the remote 106 while leaving the remote 102 on the table.

도 3 및 도 4는 리모트(102 및 106)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특정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리모트(102 및 106)간의 기계적인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106)는 리모트(102)의 상단 표면에 적절하게 프로파일된 레일이나 채널에 의해서 플레이스 가이드(place guide)에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리모트(102)의 표면에 있는 홈에 꼭 맞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장착된 금속 볼과 탄력성의 스냅 맞춤부를 통해 적소에 고정된다(lock). 예를 들어, 부분(202 및 204)은, 리모트(106)가 적소에 고정되어 유지될 때, 리모트(102 및 106)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금속 볼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모트(102)를 통한 장치의 제어를 위해 리모트(106)로부터 리모트(102)까지 유선 신호 경로를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는 결합체(101)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리모트(102)의 상단면(302)은 터치 스크린(103)을 수용하고 프로파일된 홈(304)을 구비한다. 홈(304)의 모양은 리모트(106)의 하단에 있는 슬라이딩 슈(sliding shoe)(306)의 모양과 부합한다. 슬라이딩 슈(306)가 홈(306)에 끼워졌을 때, 리모트(106)의 위치는 홈(304)의 벽에 의해서 측면적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딩 슈(306)는, 스프링-장착된 금속 볼(308)이 홈(304)에 있는 홀(310)에 물리었을 대,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스프링-장착된 볼은 리모트(102 및 106)를 서로 떨어지도록 당김으로써 구성(101)과 같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홀(310)과 협력한다.3 and 4 illustrate a particular way of mechanically connecting remotes 102 and 106. 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remotes 102 and 106 can be made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he remote 106 slides into a place guide by rails or channels properly profi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remote 102 or fits into a groove in the surface of the remote 102. It is locked in place via one or more spring-loaded metal balls and an elastic snap fit. For example, portions 202 and 204 may include metal balls to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remotes 102 and 106 when the remote 106 remains fixed in place, and thus the remote Provides a wired signal path from remote 106 to remote 102 for control of the device via 102. More specifically, FIGS. 3 and 4 show an embodiment of the combination 101, where the top surface 302 of the remote 102 receives the touch screen 103 and defines the profiled groove 304. Equipped. The shape of the groove 304 matches the shape of the sliding shoe 306 at the bottom of the remote 106. When the sliding shoe 306 is fitted into the groove 306, the position of the remote 106 is laterally fixed by the wall of the groove 304. The sliding shoe 306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pring-loaded metal ball 308 is snapped into the hole 310 in the groove 304. The spring-loaded ball cooperates with the hole 310 to be easily detached, such as the configuration 101, by pulling the remotes 102 and 106 apart from each other.

또 다른 구성(미도시)에 있어서, 슈(306)는 리모트(102)의 상단 표면(302) 상에 수용되고, 홈(304)은 리모트(106)의 배면 상에 형성된다. 슈(306)와 홈(304)은 조작 상의 사용에 있어 리모트(102 및 106)를 취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둥근 모퉁이를 갖는 적절한 인간 환경 공학적인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configuration (not shown), the shoe 306 is received on the top surface 302 of the remote 102, and the groove 304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remote 106. Shoe 306 and groove 304 preferably have a suitable ergonomic shape, for example with rounded corners, to facilitate handling of remotes 102 and 106 for operational use.

유리하게, 본 발명에서 결합체(101)의 리모트(102)에는 알려진 리모트 보다 더 큰 스크린이 장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 2 리모트(106)가 여전히 소형이라서 핸드핼드 형태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예컨대 채널 서핑을 위해 더 큰 스크린을 갖는 리모트(102)는 테이블 상에 남겨 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Advantageous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102 of the assembly 101 can be equipped with a larger screen than the known remote, since the second remote 106 is still small and can be easily used in handheld form. For example, a remote 102 with a larger screen for channel surfing can be left on the table.

본 개시를 읽음으로써, 당업자들에게 다른 변경이 자명해질 것이다. 그러한 변경은 리모트의 설계,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 이미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된 특징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청구 범위는 본 출원서에서 특징들의 특정한 결합에 대해 공식화되었지만, 본 출원서의 개시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거나 함축적으로 개시된 임의의 신규한 특징이나 그 특징들의 임의의 신규한 결합, 또는 그것의 임의의 일반화가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 것과 동일한 기술적인 문제의 일부나 모두를 경감시키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일반화를 또한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로써, 본 출원인은 새로운 청구항들이 본 출원이나 또는 그로부터 유도되는 임의의 다른 출원의 진행단계 동안에 그러한 특징에 대해 공식화될 수 있다는 주시(notice)를 제공한다.By reading this disclosure, other change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may include other features that are already known in the design, manufacture, and use of the remote, and that may be us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features already described herein. Although the claims are formulated for a particular combination of feature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fined as any novel feature or any novel combination of features, or any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clearly or implicitly disclosed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generalization also includes the generaliz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alleviates some or all of the same technical problems as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Applicant provides a notice that new claims may be formulated for such features during the progress of this application or any other application derived therefrom.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로도 알려져 있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 분야,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리모트에 이용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field of remote control devices, also known as "remotes", in particular to remotes compri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touch screen.

Claims (11)

결합체로서,As a binder,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장치(112)를 원격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1 원격 제어 디바이스(102)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 1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2 원격 제어 디바이스(106)를 포함하는, 결합체.A first remote control device 102 for enabling a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12 remotely, and for enabling the user to remotely control the device via the first remote control device. An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remote control device (10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결합체.The combination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evice is physically detachable connectable with the first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성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결합체.3. The combination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device can serve as a component of a user-interface of the first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제 1 프로토콜(104)을 사용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해 제 2 프로토콜(105)을 사용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결합체.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evice uses a first protocol 104 for communicating with the apparatus and the second device uses a second protocol 105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tocols are differ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은 IR(104)을 사용하고, 상기 제 2 프로토콜은 RF(105)를 사용하는, 결합체.5. The combination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rotocol uses IR (104) and the second protocol uses RF (105).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디바이스나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프로그램가능한, 결합체.The combination of claim 1, wherein at least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is user-programm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범용의 프로그램가능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결합체.The combination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evice comprises a universal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1의 복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가능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제 2의 복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의 복수의 제어 기능 수는 상기 제 1의 복수의 제어 기능 수 보다 더 작은, 결합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evice is configurable to provide a first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the second device provides a second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plurality of control functions. 다른 원격 제어 디바이스(102)를 통해서 전자 장치(112)를 간접적으로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106)로서,As a remote control device 106 for a user to indirectly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12 via another remote control device 102,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장치의 직접적인 사용자-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The other device is capable of providing direct user-control of the apparatu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원격 제어 디바이스.10.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claim 9, removably connectable to the other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을 땐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성분으로써 역할을 하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The remote control device of claim 10, wherein when connected to the other device, the remote control device serves as a component of a user-interface of the other device.
KR1020027001617A 2000-06-09 2001-05-15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Ceased KR200200196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055600A 2000-06-09 2000-06-09
US09/590,556 2000-06-09
PCT/EP2001/005576 WO2001095283A2 (en) 2000-06-09 2001-05-15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607A true KR20020019607A (en) 2002-03-12

Family

ID=2436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617A Ceased KR20020019607A (en) 2000-06-09 2001-05-15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95272A2 (en)
JP (1) JP2003536305A (en)
KR (1) KR20020019607A (en)
TW (1) TW508968B (en)
WO (1) WO2001095283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914A (en) * 2002-12-23 2004-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ntrol Protocol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339B2 (en) 2001-03-14 2004-04-2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US8054854B2 (en) 2004-08-26 2011-11-08 Sony Corporation Network remote control
EP1789939A1 (en) * 2004-09-01 2007-05-30 Wilfried Beck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djustable and controllable household appliances with the aid of a multipart remote control
KR100630103B1 (en) * 2005-05-2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FR2897186B1 (en) 2006-02-06 2008-05-09 Somfy Sas METHOD FOR RELAY COMMUNICATION BETWEEN A NOMAD REMOTE CONTROL AND DOMOTIC EQUIPMENT.
JP5151644B2 (en) * 2008-04-16 2013-02-27 ソニー株式会社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signal processing method
DE102011053341B4 (en) * 2011-09-07 2014-05-15 Insta Elektro Gmbh Electric / electronic device
KR20130037801A (en) * 2011-10-07 201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WI543119B (en) 2012-01-06 2016-07-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Remote controller with dual power supplying units
US9741242B2 (en) * 2015-02-18 2017-08-22 Jinrong Yang Handheld terminal with integrated wireless appliance control
EP3460645B1 (en) * 2016-06-10 2020-06-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696A (en) * 1985-10-09 1987-04-18 Haru Kenkyusho:Kk Infrared remote controller for operating plural devices
JPS62109587A (en) * 1985-11-08 1987-05-20 マツクスデザイン株式会社 Building blocks and production thereof
JPH07110046B2 (en) * 1986-09-10 1995-11-22 ソニー株式会社 Remote commander
JPH0716268B2 (en) * 1989-04-07 1995-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Remote control device
US5005084A (en) * 1989-12-19 1991-04-0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Remote control television system using supplementary unit for simplified personalized control
US5281970A (en) * 1990-07-05 1994-01-25 Blaese Herbert R Device for accentuating the range of hand-held remote control transmitters
JP3128141B2 (en) * 1991-03-19 2001-0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System controller
JPH066875A (en) * 1992-06-17 1994-01-14 Canon Inc Remote control transmitter and receiver
JPH09130879A (en) * 1995-10-31 1997-05-16 Sharp Corp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s
US6208384B1 (en) * 1996-07-11 2001-03-27 Douglas G. Brow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television using a personal computer
US6130625A (en) * 1997-01-24 2000-10-10 Chambord Technologies,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incoming signal ident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914A (en) * 2002-12-23 2004-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ntrol Protocol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36305A (en) 2003-12-02
TW508968B (en) 2002-11-01
WO2001095283A2 (en) 2001-12-13
EP1295272A2 (en) 2003-03-26
WO2001095283A3 (en) 200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9444B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US6127941A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20019607A (en) Modular remote control device
US9874942B2 (en) Control system for augmenting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US8760269B2 (en) Control system for augmenting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US6786822B1 (en) Dedicated wireless digital video dics (DVD) controller for video game consoles
EP26413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infrared signalling in smart phone devices
EP2034709A1 (en) Mobile telephone with remote-controlling capability, remote-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WO200005921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KR100597400B1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gear and how to use graphic user interface
KR20060124594A (en) Remote control unit, instrument operation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CN101536419A (en) Remote control of apparatus with media player wirelessly connected to a display
US20050179816A1 (en) Display apparatus
AU2005203274B2 (en) Inpu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input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450251B1 (en) Multi-purpose remote controller used toge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13929A (en) Remot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equipment operating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KR100531301B1 (en) Multi functional Remote Controller
KR1005101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V by universal remote controller
JP3606378B2 (en) Video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20020066633A (en) Common remote controller
KR100490259B1 (en) The portable remote controller
KR101213231B1 (en) Automatic interworking control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y instrument
KR19990035290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JP2006352301A (en) Control side av equipment and audio visual system
JP2003047076A (en) Controller-cum-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0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