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This organization was marked as archived by an administrator on Aug 27, 2025. It is no longer maintained.
@ssu-unithon

UNITHON

모여봐요 정보섬 🏝️

University

Frontend

React Native TypeScript HTML5 CSS3

Backend

TypeScript NestJS Python Flask

AI/ML

scikit-learn TensorFlow OpenCV

Infrastructure & Tools

Git GitHub Railway

🔗 Pillink

"고령층의 복약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을 가족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하는 헬스케어 앱"

🎯 Problem & Solution

Problem:

  • 🧓 65세 이상 시니어 다약제 복용률 높아 약물 부작용·상호작용 및 복용 누락 위험 증가
  • 📊 75세 이상 노인 중 70.2%가 3개월 이상 5개 이상의 약물을 만성 복용 (OECD 최고수준)
  • 👨‍👩‍👧‍👦 서로 다른 의료기관 처방으로 통합 관리 부재, 가족·의료진이 실시간 확인 어려움

Solution: AI 기반 약물 상호작용 분석과 보호자-대상자 실시간 연동을 통한 안전하고 지속적인 복약 관리 플랫폼

🏗 아키텍처 요약

┌─────────────────┐    ┌─────────────────┐    ┌────────────────────┐
│   Frontend      │───▶│     Backend     │───▶│   Flask Service    │
│ (React Native)  │    │    (Nest.js)    │    │     (Python)       │
│                 │    │                 │    │                    │
│ • User Interface│    │ • RESTful API   │    │ • AI Analysis      │
│ • Responsive UI │    │ • Auth & Roles  │    │ • Interaction Check│
└─────────────────┘    └─────────────────┘    └────────────────────┘

🎪 상세 기획

💡 핵심 아이디어

"시니어 복약 관리 + 가족 연동 + AI 위험도 분석"

40-50대 보호자가 70-80대 부모님의 복약을 원격으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헬스케어 솔루션

🔍 타겟 사용자

1차 타겟: 보호자 (40-50대)

  • 페르소나: 김미영 (50세, 중견기업 정규직)
  • 상황: 75세 부모님 (고혈압·당뇨 복합), 직장-가정 병행으로 원거리 부모 건강관리 어려움
  • 니즈: 실시간 건강 상태 확인 수단 절실히 필요

2차 타겟: 보호 대상자 (70-80대)

  • 상황: 다량의 약물 복용, 복용 시간 및 순서 혼란 빈번
  • 니즈: 간단하고 직관적인 복약 알림 시스템

🚀 핵심 기능 상세

1. 복용 검증 캘린더

  • 보호대상자: 해당 캘린더를 통해 자신의 알약 섭취 사실을 기억 가능
  • 보호자: 보호대상자의 복용 여부를 캘린더를 통해 실시간 확인
  • 실시간 동기화: 복용 완료 시 즉시 보호자에게 알림 전송

2. AI 기반 위험도 시각화

  • 색상 코딩 시스템:
    • 🟢 안전 (0점): "현재 약물 상호작용에 문제가 없습니다"
    • 🟡 주의 (1-33점): "상호작용 위험 존재, 의사·약사 상담 고려"
    • 🟠 경고 (34-66점): "위험 점수 높음, 약물 변경 또는 중단 상담 필요"
    • 🔴 위험 (67-100점): "즉시 의료진과 상담 필요"
  • 원형 게이지: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층도 쉽게 이해 가능한 직관적 UI

3. 상호작용 분석 리포트

  • MVP 단계: 공공 데이터(KPIC) 기반 기본 상호작용 분석 제공
  • 고도화 단계: 머신러닝 기반 개인 맞춤 예측 기능
  • 실시간 분석: 새로운 약물 추가 시 즉시 위험도 재계산

4. 보호자-보호대상자 상호 연동 시스템

  • 약물 리스트 관리: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모든 약물 정보 통합 관리
  • 알람 설정: 약물별 개별 복용 알람 스케줄링
  • 복용 확인: 설정된 알람 → 보호대상자 복용 → 보호자 확인 워크플로우

5. 스마트 약물 등록

  • OCR 기반 처방전 인식: 처방전 촬영으로 약물 정보 자동 추출
  • AI 라벨 인식: 약통 사진 촬영으로 약명, 용법, 용량 자동 등록
  • 약품 검색: 식품의약품안전처 API 연동 실시간 검색

6. AI 챗봇 상담

  • Hybrid 구조: 규칙 기반 + AI 챗봇 결합
  • 3단계 질의응답:
    • 사용 문의 → 사전 작성된 FAQ (규칙 기반)
    • 약 관련 질문 → koBERT + 식약처 API
    • 개인 프로필 문의 → 사용자 DB 연동

🎨 UX/UI 설계 철학

시니어 중심 UX

  • 이중 모드 설계: 보호자와 보호대상자 각각 최적화된 별도 인터페이스
  • 보호대상자 모드: 홈화면 + 알람화면 단순 구성, 모바일 앱 사용 미숙자도 쉽게 이용
  • 색상 대조: 시니어 색상 구별 능력 고려한 명확한 대비 (회색/파란색/빨간색)

핵심 화면 구성

  1. 온보딩: 보호자/보호대상자 역할 선택
  2. 프로필 선택: 넷플릭스 스타일 다중 프로필 관리
  3. 홈 대시보드: 복용 현황 캘린더 + 위험도 게이지
  4. 약물 관리: 복용 중인 약물 리스트 + 추가/수정 기능
  5. 리포트: 상호작용 분석 결과 + 의료진 상담 권장사항

📂 레포지토리 구조

🗂 레포지토리

🎨 프론트엔드

Pillink

  • Language: TypeScript + React Native
  • Features: 시니어 친화적 UI, 실시간 동기화
  • 핵심 화면: 복용 캘린더, 위험도 대시보드

⚙️ 백엔드

Pillink-Backend

  • Language: TypeScript + NestJS
  • Features:
    • 사용자 인증 및 가족 그룹 관리
    • 약물 데이터 CRUD 및 복용 기록
    • 실시간 알림 시스템

🐍 AI 분석 서비스

Pillink-Flask

  • Language: Python + Flask
  • AI Features:
    • 🧠 약물 상호작용 분석 (KPIC 데이터 기반)
    • 🎯 위험도 스코어링 (머신러닝 모델)
    • 🔍 자연어 처리 (koBERT 기반 챗봇)
    • 📊 개인화 추천 (복용 패턴 학습)

🎨 스크린샷

🏠 홈

홈

📈 리포트

리포트

💬 AI 챗봇

AI 챗봇

🧑‍🧑‍🧒‍🧒 가족 구성원 관리

가족 구성원 관리 구성원 약물 관리

👥 Team 모여봐요 정보섬

Role Name Contribution & Expertise
PM 남지윤 프로젝트 전략 기획, 팀 협업 조율, 요구사항 분석
• 시장분석 및 사업계획서 작성
• 개발 일정 관리 및 품질 관리
Designer 유은정 UI/UX 디자인 시스템, 사용자 리서치, 브랜드 아이덴티티
• 시니어 친화적 UX 설계
• 직관적 색상 시스템 및 아이콘 디자인
Frontend Lead 홍준우 React Native 개발, 모바일 앱 아키텍처
• 크로스플랫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현
• 실시간 데이터 바인딩 및 상태 관리
Backend Lead 이재헌 NestJS API 서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 RESTful API 및 실시간 알림 시스템
• 가족 그룹 관리 및 권한 시스템
AI Lead 이수아 Python Flask ML 서비스, 자연어 처리
• KPIC 데이터 기반 약물 상호작용 분석
• OCR 및 koBERT 챗봇 개발

🏆 성과 및 학습

📊 정량적 성과

개발 성과:

  • ⏱️ 5일 집중개발: 기획부터 배포까지 완전한 서비스 구현
  • 🖥️ 4개 독립 서비스: Frontend, Backend, AI 각각 배포 완료
  • 📱 12개 핵심 화면: 온보딩부터 리포트까지 완전한 사용자 여정 구현
  • 🔗 15개 API 엔드포인트: 인증, 약물관리, 가족연동, 알림, 챗봇 등 구현
  • 🧠 3개 AI 모듈: OCR, 상호작용 분석, NLP 챗봇 통합

기획 완성도:

  • 📈 시장규모 분석: TAM 350만명, SAM 255만명, SOM 12.7만명
  • 💰 수익모델 설계: B2C 구독제 + B2B 제휴 + 데이터 수익화
  • 🎯 경쟁분석: 기존 3개 주요 서비스 대비 4개 차별화 요소 도출
  • 📋 사업계획: 5개 단계별 성장전략 및 자금조달 계획 수립

🎓 질적 성장

기술적 역량:

  • 시스템 설계 능력: 복잡한 헬스케어 도메인을 명확한 서비스 아키텍처로 구현
  • AI 실전 적용: 학술적 지식을 실제 사용자 문제 해결에 활용
  • 풀스택 개발: 각자의 전문 영역에서 전체 시스템에 기여하는 통합적 사고

협업 및 소통:

  • 애자일 방법론: 짧은 스프린트와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빠른 개발
  • 의사결정 과정: 기술적 제약과 사용자 니즈 사이의 균형점 찾기
  • 위기관리: 개발 중 발생한 기술적 이슈들을 팀워크로 신속하게 해결

Made with ❤️ by Team 모여봐요 정보섬
UNITHON 2025 • Soongsil University IT College
Connect. Create. Change.

Wave Footer

Popular repositories Loading

  1. Pillink-Backend Pillink-Backend Public archive

    Unithon

    TypeScript 1

  2. Positioning-Map Positioning-Map Public archive

    개인정보취급방침

    HTML

  3. Pillink Pillink Public archive

    TypeScript

  4. Pillink-Flask Pillink-Flask Public archive

    Python

  5. .github .github Public archive

Repositories

Showing 5 of 5 repositories

Top languages

Loading…

Most used topics

Loading…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