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70Y1 -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 Google Patents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370Y1 KR200451370Y1 KR2020100006415U KR20100006415U KR200451370Y1 KR 200451370 Y1 KR200451370 Y1 KR 200451370Y1 KR 2020100006415 U KR2020100006415 U KR 2020100006415U KR 20100006415 U KR20100006415 U KR 20100006415U KR 200451370 Y1 KR200451370 Y1 KR 2004513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spindle
- lower body
- hinge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4—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win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킷(Bracket)이 구비된 하부몸체에 샤프트(Shaft)의 하단부를 체결하고, 상단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한 후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또 다른 브래킷이 구비된 상부몸체를 설치하여 철도차량도어를 신속하게 문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설치공간에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핀들(Spindle)을 하부몸체의 상부에 설치하여 스프링의 장력만으로 열린 철도차량도어를 자동으로 닫기 위한 철도차량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sten the lower end of the shaft (Shaft) to the lower body provided with a bracket (Bracket), the upper e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and then the upper body provided with another bracket on the upper end of the shaft The railroad car door can be quickly detached from the door frame, and a spring is built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spindl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so that only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applied. A hinge for a railroad car door for automatically closing an open railroad car door.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도차량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for a railway vehicle door.
일반적으로, 힌지(Hinge)는 출입문(Door)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hinges are used to open and close doors.
즉, 통상 힌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출입문과 문틀에 설치되어 회전작용을 통해 상기 출입문을 개폐토록 하고 있다. 한편 힌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출입문과 문틀에 설치하되, 주로 나사를 통해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That is, the hinge is usually composed of a pair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respectively,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rough the rotation action.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is composed of a pair is installed o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respectively, is mainly installed through the screw.
따라서, 상기 출입문을 문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사를 순차적으로 풀어 힌지를 출입문과 문틀로부터 탈착한 후 상기 출입문을 벽면에서 분리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door from the door frame, first, the screws are sequentially released and the hinge is detached from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n the door is separated from the wall.
이러한 힌지의 탈부착에 의한 분리방식은 가정용 문을 분리하는 것과 같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나, 철도차량도어를 분리하는 것과 같이 긴급을 요하고 반복적인 분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ethod of detaching the hinge may not cause a problem in a general situation such as separating a home door, but may be a problem in a situation requiring an urgent and repetitive separation such as removing a railroad car door. May cause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철도차량의 경우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은 주로 동력실 등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동력실은 청소, 정비 또는 설비의 추가가 빈번하여 상기 출입문의 분리가 요구되며, 나아가 출입구가 좁은 것도 하나의 이유로 작용하고 있다.In detail, in the case of a railway vehicle,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using a hinge is mainly installed in a power room. Such a power room requires cleaning, maintenance, or addition of equipment frequently, and thus requires separation of the door. Narrow entrances also work for one reason.
특히, 고속철도차량(KTX)의 경우 정밀한 정비를 위한 장비의 출입을 위해 동력실의 출입문을 거의 필수적으로 분리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철도차량의 경우에는 나사를 풀어 힌지를 탈부착하고, 이를 통해 출입문을 문틀에서 분리하는 방식이 매우 불편하고 비합리적일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speed railway vehicles (KTX), the entrance of the power room is almost essentially separated for the access of equipment for precise maintenance.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railroad car, it may be very inconvenient and unreasonable to loosen the screws and attach and detach the hinges, thereby separating the door from the door frame.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 1)을 보면, 상기 (특허문헌 1)은 도어 클로져(Door closer)와 캡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캡부의 하부에 도어 클로져의 실린더와 핀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도 1에서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은 출입문과 문틀로부터 힌지를 탈착하지 않고 상기 출입문을 문틀에서 분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Patent Document 1) related to this,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door closer (Door closer) and the cap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ylinder of the door closer and the upper end of the pintle It is shown in FIG. Therefore, (Patent Document 1) can be expected to separate the door from the door frame without removing the hinge from the door and the door frame.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은 열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의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여 소음이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소지를 원천봉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1) has been described a technical configuration to automatically close the open door, thereby ensuring a smooth and smooth operation of the door to prevent the source of noise or safety accidents.
그러나, 이를 위해 (특허문헌 1)은 스프링과 실린더를 통해 상기 스프링의 압축 인장에 따른 탄성력과 토크(Torque)를 통해 도어의 자동 닫힘을 실현하고 있어 그 효과에서 기재한 콤팩트한 구조와는 달리 상당한 구조적 복잡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제조비용이 상승이 예상된다.However, for this purpose (Patent Document 1) realizes the automatic closing of the door through the elastic force and torque (Torque)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tension of the spring through the spring and the cylinder, unlike the compact structure described in the effect There is a structural complexity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is expected to increase.
특히,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과 토크의 조절을 도어 클로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어 외부에서는 그 조절에 어려움이 예상된다.In particular, the elastic force and torque adjustment of the spring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door closer, so the difficulty of the adjustment is expect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은 철도차량도어용 힌지로의 채택시 출입문의 분리 용이성은 제공할 수 있으나, 출입문의 자동 닫힘 측면에서 볼 때 취급 및 관리의 곤란함이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the (Patent Document 1) can provide ease of separation of the door when adopted as a hinge for a railroad car door, it may cause difficulties in handling and management in terms of automatic closing of the door.
또한, 이와 관련된 (특허문헌 2)를 보면, 스프링과 감쇄기를 통해 도어의 충격을 방지하면서 상기 도어의 회전력을 높이고 있으나, 이 역시 상기 감쇄기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열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고 있어 철도차량도어용 힌지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related to this, while preventing the impact of the door through the spring and attenuator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oor, this also depends entirely on the attenuator to automatically close the open door railroad vehicle The door hinge is considered to be unsuitable.
따라서, 본 고안은 (특허문헌 1)에서 기대할 수 있는 힌지를 탈착하지 않고 도어를 문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은 추구하는 반면,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서 공통으로 보이고 있는 열린 도어의 자동 닫힘을 위해 실린더 또는 감쇄기 등을 채택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 및 이에 따른 취급과 관리의 곤란성 등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ursues the advantage of detaching the door from the door frame without removing the hinge that can be expected in (Patent Document 1), while being commonly seen in (Patent Documents 1) to (Patent Document 2). It is design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 of adopting a cylinder or attenuator for automatic closing of the open door and the difficulty of handling and management.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차량도어를 문틀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스프링의 장력만으로 열린 철도차량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으며, 스프링의 장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remove the railway vehicle door from the door frame, and also to close the railway vehicle door automatically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and to make it easy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중공 형성되고, 외부에 제1브래킷이 구비된 하부몸체와;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hollow, the lower body provided with a first bracket on the outside;
상기 설치공간에 하단부가 설치되고, 상단부는 하부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Shaft)와;A lower end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n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탈,부착되며, 제1브래킷과 대칭되는 제2브래킷이 구비된 상부몸체를 포함하며,I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second bracket symmetrical with the first bracket,
상기 설치공간에 내장된 스프링과;A spring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와 일체화되며, 둘레에 회전유도부가 배열 형성된 스핀들(Spindle)과;A spindle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integrated with the shaft, and has a rotation induction unit arranged around the spindle;
상기 회전유도부를 통해 회전된 스핀들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복귀되지 않도록 회전유도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제2브래킷에 밀착되는 스토퍼(Stop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induction part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racket so that the spindl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induction part is not return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프링은 선단과 후단이 코일 형태로 감겨 형성된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선단은 스핀들에 삽입고정되고, 후단은 하부몸체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시 선단이 비틀리면서 장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pring is a coil spring formed by wind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n the form of a coil, the front end is fixed to the insert,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lower body to generate tension while the front end is twisted during rotation of the spindl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부몸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단마감재(Under Cap)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마감재에 샤프트의 하단부가 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cap (Under Cap)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pin is fixed to the lower cap.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단마감재의 상면에는 하부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스프링의 후단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rear end of the spr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nish material.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핀들과 하부몸체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spindle and the lower body.
본 고안에 의하면, 샤프트의 상단부를 이용한 상부몸체의 탈착을 통해 철도차량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내부공간의 청소, 점검 및 장비의 이동시 신속한 철도차량도어의 분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railway vehicle door during the cleaning, inspection, and movement of the interior space in which the railway vehicle door is installed by detaching the upper body using the upper end of the shaft.
또한, 외부노출된 스핀들을 통해 스프링의 장력이 조절하고, 이와 같이 장력이 조절된 스프링을 통해 상부몸체가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열려 있는 철도차량도어를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개폐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adjusted through the externally exposed spindle, and the upper body is automatically rotated through the spring with the tension adjusted, thereby automatically returning the open railroad car doo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opening and closing. do.
특히,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실린더 또는 감쇄기 등을 설치하지 않고 회전유도부를 이용하여 스핀들의 회전조작만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내부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취급 및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상당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spindle using the rotation guide portion without installing the cylinder or attenua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Patent Document 2)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In addition to improved handling and management convenien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한편, 본 고안은 하부마감재를 더 포함하고, 이에 샤프트의 하단부가 핀 고정됨으로써, 샤프트를 설치하기 위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마감재의 상면에 형성된 안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스프링의 후단을 마감 처리함으로써, 힌지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finishing material, the lower end of the shaft pin is fixed to this, not only can provide ease for installing the shaft, but also of the spr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nishing material By finishing the rear end, the safety of the hinge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있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스핀들을 회전시켜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스핀들과 샤프트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earing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by rotating the spindle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has the effect of inducing smooth rotation of the spindle and the shaf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탈,부착상태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통한 철도차량도어의 자동 닫힘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attached st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automatic closing of the railway vehicle door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고안에 따른 힌지(3)는 철도차량도어(1)의 신속한 분리와 더불어 열려 있는 철도차량도어(1)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도록 제1브래킷(12)이 구비된 하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10)에 하단부(21)가 내장되고 상단부(22)는 외부로 노출되는 샤프트(20), 제2브래킷(32)이 구비된 상부몸체(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에 내장되는 스프링(13), 이 스프링(13)의 장력(Tension)을 조절하기 위한 스핀들(40) 및 스토퍼(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상기 하부몸체(10)는 내부에 설치공간(11)이 중공 형성되고 외부에 제1브래킷(12)이 구비되어 문틀(벽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브래킷(12)에는 문틀(2)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구멍(12a)이 상부방향으로 배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나사구멍(12a)은 철도차량도어(1)에 고정설치되는 제2브래킷(3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이러한 하부몸체(10)는 도 1 또는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샤프트(20)의 하단부(21) 및 스프링(13)을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1)에 내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or 4, the
본 고안에 포함되는 샤프트(20)는 통상의 축으로써, 하부몸체(10)에 하단부(21)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핀(Pin)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공간(11)에 내장되며, 다만 이때의 샤프트(20)의 상단부(22)는 상기 설치공간(11)을 통과한 후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0)의 전체길이는 하부몸체(10)와 비교할 때 약 1.5:1의 비율 정도로 형성되어 제공되며, 이와 같이 설치공간(11)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20)의 상단부(22)를 이용하여 상부몸체(30)가 탈,부착됨으로써 철도차량도어(1)의 신속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도 2에서 구체적으로 보이고 있다.Therefore, the overall length of the
상기 상부몸체(30)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설치공간(11)의 상부로 노출된 샤프트(20)의 상단부(22)을 이용하여 하부몸체(1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에 제1브래킷(12)과 대칭되는 제2브래킷(32)이 구비되어 제공된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상부몸체(30)는 하부몸체(10)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동일재질 및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 구비된 제2브래킷(32)을 통해 철도차량도어(1)에 설치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The
한편, 본 고안은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열린 철도차량도어(1)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스프링(13)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3)은 하부몸체(10)에 후단(13a)이 삽입고정되고, 선단(13b)은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핀들(40)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스핀들(40)의 회전시 이에 삽입고정된 선단(13b)이 비틀리면서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innovation includes a
이러한 스프링(13)은 도 1 또는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선단(13b)과 후단(13a)이 코일 형태로 감겨 형성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고, 이를 통해 샤프트(20)를 전체적으로 감싸며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설치공간(11)의 내부에서 스프링(13)의 장력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생하여 안정적인 철도차량도어(1)의 자동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or 4, the
이와 같이 스프링(13)을 비틀어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핀들(40)은 하부몸체(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20)의 상단부(22)와 일체화된다.In this way, the
즉, 상기 스핀들(40)은 설치공간(11)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2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하부몸체(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20)에 끼움 방식을 체결됨으로써, 샤프트(20)와 일체화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스핀들(40)의 하부 둘레에는 스프링(13)의 선단(13b)이 삽입고정되도록 삽입고정부(41)가 형성되고, 상부 둘레에는 회전유도부(42)가 배열 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유도부(42) 및 삽입고정부(41)를 본 고안은 홈의 형상인 것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상기 회전유도부(42)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것을 보이고 있다.In addition, an
따라서, 상기 회전유도부(42)를 이용하여 스핀들(40)을 일 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삽입고정부(41)에 선단(13b)이 삽입고정된 스프링(13)이 비틀리면서 장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by rotating the
본 고안에 포함되는 스토퍼(43)는 상기 스핀들(40)의 둘레에 배열형성된 회전유도부(42)에 삽입되어 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회전유도부(42)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부(43a) 및 제2브래킷(32)에 밀착되는 돌출부(4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이때, 상기 돌출부(43b)는 제2브래킷(3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43b) 및 삽입고정부(43a)로 구성된 스토퍼(43)를 통해 스핀들(40)의 회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프링(13)의 장력을 유지하여 열려 있는 철도차량도어(1)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힌지(3)를 이용한 철도차량도어(1)의 분리 및 결합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몸체(10)의 설치공간(11)에 스프링(13)을 내장한 후 후단(13a)을 삽입고정하게 된다.Here,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ombining the
상기 스프링(13)의 설치가 완료되면 샤프트(20)의 하단부(21)를 설치공간(11)에 삽입하여 내장하되,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22)는 설치공간(11)의 외부로 노출토록 하게 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이와 같이 스프링(13) 및 샤프트(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몸체(10)의 상부에 스핀들(40)을 설치하되, 상기 스핀들(40)은 샤프트(20)의 상단부(22)에 끼워 하부몸체(10)의 상부에 설치토록 하게 되며, 이러한 스핀들(40)의 측면에 설치공간(11)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13)의 선단(13b)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이러한 스핀들(40)의 설치까지 완료된 하부몸체(10)는 제1브래킷(12)을 이용하여 문틀(2)에 고정설치하게 된다.The
다음으로, 상부몸체(30)는 제2브래킷(32)을 이용하여 철도차량도어(1)에 고정설치하게 되며, 상기 상부몸체(30)에 형성된 삽입공간(31)을 이용하여 샤프트(20)에 끼움 체결되는 방식으로 탈,부착됨으로써 상기 철도차량도어(1)를 문틀(2)에 결합하게 된다.Next, the
따라서, 철도차량 내부의 청소, 정비 및 장비이동시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철도차량도어(1)를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부몸체(30)가 샤프트(20)에서 탈착되어 상기 철도차량도어(1)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부몸체(30)를 샤프트(20)에 끼워 체결하는 동작만으로 문틀(2)에 철도차량도어(1)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cleaning, maintenance, and equipment movement inside the railway vehicle, the
한편, 상기 상부몸체(30)와 하부몸체(10)를 이용하여 열려 있는 철도차량도어(1)의 자동 닫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라이버와 같이 주변에 널려 있는 도구 또는 전용의 공구를 스핀들(40)에 형성된 회전유도부(42)에 삽입하여 일 방향 회전시켜 스프링(13)의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closing of the railway vehicle door (1) opened by using the
이때, 상기 스프링(13)의 장력은 철도차량도어(1)의 크기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되, 이는 회전유도부(42)를 이용한 스핀들(40)의 회전반경을 조절하여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유도부(42)를 이용하여 스핀들(40)의 회전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실린더나 감쇄기 또는 기타 부속들을 이용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크기 및 무게로 형성된 다양한 철도차량도어(1)에 적합한 최적의 회전 값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이와 같이 스프링(13)의 장력이 결정되면 제2브래킷(32)에 가장 인접한 회전유도부(42)에 스토퍼(43)를 삽입하여 스핀들(40)의 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철도차량도어(1)의 개방시 상기 제2브래킷(32)이 스토퍼(43)를 가압하면서 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43)와 연결된 스핀들(40)이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As such, when the tension of the
따라서,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열린 철도차량도어(1)에 가해졌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13)의 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철도차량도어(1)의 분리는 스토퍼(43)를 스핀들(40)로부터 빼내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open
한편, 본 고안은 하단마감재(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단마감재(Under Cap)는 도 4 내지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하부몸체(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샤프트(20)의 하단부(21)와 핀(51)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20)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하부몸체(10)에 샤프트(20)의 하단부(21)를 직접 결합하는 방식에 비해 결합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innovation further includes a lower finish material (50). As shown in Figures 4 to 5, the lower finish material (Under Cap) is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 하단마감재(50)는 샤프트(20)와의 핀(51) 결합을 통해 상기 샤프트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와 같이 하부몸체(10)에 억지 끼워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합곤란성의 해소가 기대된다.That is, the
특히, 상기 하단마감재(50)의 상면에는 안내부(52)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몸체(10)와의 분리방지를 위해 길이가 연장된 스프링(13)의 후단(13a)을 마감 처리함으로써, 힌지(3)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은 물론이고, 전체적인 형상의 유려함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본 고안은 스핀들(40)과 하부몸체(10)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6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베어링(60)은 회전유도부(42)를 이용한 스핀들(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몸체(10)와 스핀들(40) 사이에 설치되며, 이때의 베어링(60)은 볼베어링인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60)이 스핀들(40)과 하부몸체(10) 사이에 이중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베어링(60)이 이중으로 상하 배치되도록 스핀들(40)의 측면과 하부에 각각 베어링(60)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More preferably, the
따라서, 스프링(13)의 장력에 영향을 받고 있는 스핀들(40)을 어렵지 않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1 - 철도차량도어 2 - 문틀
3 - 힌지 10 - 하부몸체
11 - 설치공간 12 - 제1브래킷
13 - 스프링 20 - 샤프트
21 - 하단부 22 - 상단부
30 - 상부몸체 31 - 삽입공간
32 - 제2브래킷 40 - 스핀들
42 - 회전유도부 43 - 스토퍼
50 - 하단마감재 60 - 베어링1-railroad car door 2-door frame
3-hinge 10-lower body
11-Installation Space 12-First Bracket
13-spring 20-shaft
21-Bottom 22-Top
30-Upper body 31-Insertion space
32-2nd Bracket 40-Spindle
42-rotating guide 43-stopper
50-Bottom Finisher 60-Bearing
Claims (5)
상기 설치공간에 하단부가 설치되고, 상단부는 하부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Shaft)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탈,부착되며, 제1브래킷과 대칭되는 제2브래킷이 구비된 상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공간에 내장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몸체와 상부몸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와 일체화되며, 둘레에 회전유도부가 배열 형성된 스핀들(Spindle)과;
상기 회전유도부를 통해 회전된 스핀들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복귀되지 않도록 회전유도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다른 일단은 제2브래킷에 밀착되는 스토퍼(Stop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도어용 힌지.A lower body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hollow and having a first bracket on the outside thereof;
A lower end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an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I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 second bracket symmetrical with the first bracket,
A spring embed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 spindle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spring, is integrated with the shaft, and has a rotation induction unit arranged around the spindle;
A hinge for a railroad car door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rotation induction part and the other end closely contacting the second bracket so that the spindl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induction part is not return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
The hinge for a railway vehicle do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spindle and the low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06415U KR200451370Y1 (en) | 2010-06-17 | 2010-06-17 |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06415U KR200451370Y1 (en) | 2010-06-17 | 2010-06-17 |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51370Y1 true KR200451370Y1 (en) | 2010-12-13 |
Family
ID=4447842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0000641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370Y1 (en) | 2010-06-17 | 2010-06-17 |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51370Y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02780B1 (en) | 2012-11-13 | 2014-06-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 WO2020153517A1 (en) * | 2019-01-25 | 2020-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41847Y1 (en) | 2001-05-18 | 2001-10-15 | 안영기 | Hinge spring |
| KR200393994Y1 (en) | 2005-06-03 | 2005-08-25 | 이문수 | A hinge |
-
2010
- 2010-06-17 KR KR2020100006415U patent/KR20045137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41847Y1 (en) | 2001-05-18 | 2001-10-15 | 안영기 | Hinge spring |
| KR200393994Y1 (en) | 2005-06-03 | 2005-08-25 | 이문수 | A hing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02780B1 (en) | 2012-11-13 | 2014-06-0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
| WO2020153517A1 (en) * | 2019-01-25 | 2020-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US11921549B2 (en) | 2019-01-25 | 2024-03-05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269282B1 (en) | Shower door | |
| US12180773B2 (en) | Damping hinge | |
| US20080307606A1 (en) | Hinge | |
| KR101077227B1 (en) | Cas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 |
| KR200451370Y1 (en) | Hinge for rolling stock door | |
| CN106639691A (en) | Car door mounting structure with damping type hinges | |
| CN211166878U (en) | A supplementary displacement device for stopper sliding door | |
| KR101654051B1 (en) | Apartment Door Sag Prevention Device | |
| KR101561881B1 (en) | Hinge for rolling stock folding door | |
| CN216197296U (en) | Toothed belt locking and rotating mechanism | |
| CN111335771A (en) | Double-brake lead screw electric door transmission mechanism | |
| CN217269786U (en) | Impact-resistant concrete single-leaf protective airtight door | |
| JPH0632148Y2 (en) | Pachinko machine front frame support | |
| CN208330064U (en) | A kind of baffled sliding door and window and baffle | |
| CN201420454Y (en) | Hinge wheel | |
| CN214740663U (en) | Silent door hinge convenient for adjusting size of door gap | |
| KR20240047651A (en) | Bidirectional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 CN201095919Y (en) | Back-flap hinge | |
| KR20150085872A (en) | Hinge Apparatus | |
| EP0940544A3 (en) | Folding door | |
| CN201078147Y (en) | Heavy hinge | |
| US8893765B2 (en) | System for unevenly weighted sectional doors | |
| KR19980011002U (en) | Upper slide roller with removable folding door | |
| CN215754324U (en) | High-strength container hinge plate | |
| US1228150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ivot guide in a door section of a bifold do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