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816870B1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816870B1 KR102816870B1 KR1020240062032A KR20240062032A KR102816870B1 KR 102816870 B1 KR102816870 B1 KR 102816870B1 KR 1020240062032 A KR1020240062032 A KR 1020240062032A KR 20240062032 A KR20240062032 A KR 20240062032A KR 102816870 B1 KR102816870 B1 KR 102816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icket
- ticket information
- code
- fungi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티켓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 토큰을 발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하는 정보가 변경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티켓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티켓의 유효성 결정 결과에 따른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코드를 생성하여, 티켓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코드를 생성하여, 티켓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24)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이벤트와 관련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의해 발행된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중 하나인 제2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출된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암호화 정보(encrypted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암호화 정보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하는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이고 - ;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암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의 변경이 제한되는 시점인 제1 시점 이전에 수행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 이후에 수행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데에 실패한 경우, 상기 코드가 유효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정보는, 제1 암호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암호화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간격에 대한 제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정보이고,
상기 암호화 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가 상기 암호화 정보를 복호화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간격에 대한 제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정보를 1차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암호키와 연관된 제2 암호키에 기초하여, 1차 복호화된 상기 암호화 정보를 2차 복호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키 및 상기 제2 암호키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암호키 및 상기 제2 암호키는 대칭키 또는 세션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암호키 및 상기 제2 암호키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암호키는 공개키이고 상기 제2 암호키는 개인키인,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상기 제2 암호키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식별 데이터와 매칭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식별 데이터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코드를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식별 데이터와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데이터의 대응 관계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코드를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의 주소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계약의 주소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의 주소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계약의 주소와 매칭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코드를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티켓 관련 메타 데이터와 매칭되는 메타 데이터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한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코드를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의 주소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계약의 주소가 매칭되고,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식별 데이터와 상기 제2 티켓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데이터의 대응 관계가 상기 제1 티켓 정보에 존재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티켓 정보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식별 데이터,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티켓 관련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의 상기 티켓 관련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되는 상기 이벤트의 티켓에 관한 정보인,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관련 메타 데이터는,
상기 이벤트의 이름, 일정, 장소, 상기 티켓의 좌석 식별자, 가격 또는 구매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이벤트와 관련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의해 발행된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중 하나인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하는 제2 티켓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 정보(encrypted information)를 생성하는 단계; 및
리더기에서 상기 암호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를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의 변경이 제한되는 시점인 제1 시점 이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암호화 정보는
상기 코드를 인식한 리더기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리더기에 의해, 상기 제2 티켓 정보로 복호화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티켓 정보와 함께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에 기초가 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암호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1차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암호화하는 시점에 대응되는 제1 시간 간격에 대한 제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1차 암호화된 상기 제2 티켓 정보를 2차 암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출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를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대한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를 화면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갑에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서버로부터 제1 암호키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암호키와 연관된 제2 암호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의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이벤트와 관련된 스마트 계약에 의해 발행된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중 하나인 제2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출된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암호화 정보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하는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이고 - ;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암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의 변경이 제한되는 시점인 제1 시점 이전에 수행되는,
장치.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어들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명령어들의 실행 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이벤트와 관련된 스마트 계약에 의해 발행된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중 하나인 제2 대체 불가능 토큰과 연관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출된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암호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고 - 상기 암호화 정보는, 상기 제2 대체 불가능 토큰에 대응하는 제2 티켓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이고 - ; 및
상기 제1 티켓 정보 및 상기 암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티켓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체 불가능 토큰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의 변경이 제한되는 시점인 제1 시점 이전에 수행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62032A KR102816870B1 (ko) | 2024-05-10 | 2024-05-10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40062032A KR102816870B1 (ko) | 2024-05-10 | 2024-05-10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816870B1 true KR102816870B1 (ko) | 2025-06-05 |
Family
ID=960166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40062032A Active KR102816870B1 (ko) | 2024-05-10 | 2024-05-10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816870B1 (ko)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117301A (ja) * | 2015-12-25 | 2017-06-29 |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 |
| KR101824015B1 (ko) * | 2016-04-12 | 2018-01-31 | 김태연 | 모바일 티켓 거래 시스템 |
| KR20230120005A (ko) * | 2022-02-08 | 2023-08-16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블록체인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티켓 관리 시스템 및 티켓 관리 방법 |
| JP2024024676A (ja) * | 2021-11-15 | 2024-02-22 | 株式会社ボードウォーク |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
-
2024
- 2024-05-10 KR KR1020240062032A patent/KR10281687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7117301A (ja) * | 2015-12-25 | 2017-06-29 |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 |
| KR101824015B1 (ko) * | 2016-04-12 | 2018-01-31 | 김태연 | 모바일 티켓 거래 시스템 |
| JP2024024676A (ja) * | 2021-11-15 | 2024-02-22 | 株式会社ボードウォーク | 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
| KR20230120005A (ko) * | 2022-02-08 | 2023-08-16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블록체인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티켓 관리 시스템 및 티켓 관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05654B1 (ko) | 분산 환경에서의 신원 인증 방법 | |
| JP6524347B2 (ja) | 情報共有システム | |
| CN105684346B (zh) | 确保移动应用和网关之间空中下载通信安全的方法 | |
| CN104380652B (zh) | 用于nfc使能设备的多发行商安全元件分区架构 | |
| CN109313763A (zh) | 层次型网络系统、用于层次型网络系统的节点以及程序 | |
| JP4326443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 US12086792B2 (en) | Tokenized control of personal data | |
| US12093349B2 (en) | Method for distributing certificate of right to use digital content,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medium in order to carry out method | |
| KR20200093777A (ko) | 디지털 자산 보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 JP2006107323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 JP6195526B2 (ja) | 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決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WO2018121377A1 (zh) | 用于虚拟现实环境的交易方法、装置及系统 | |
| KR20190132159A (ko) |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 |
| KR20190132054A (ko) |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 |
| KR20200096400A (ko) | 디지털 가상화폐를 qr(또는 bar)코드와 매칭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 |
| JP4540454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設定装置、icチップ及びプログラム | |
| KR20190132160A (ko) |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 |
| CN110414957A (zh) | 智能票证系统、智能票证派发方法与与计算机可读取储存装置 | |
| CA3182400A1 (en) | Method, terminal, and coin register for transmitt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 |
| KR102816870B1 (ko)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
| KR102816874B1 (ko) | 티켓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
| KR102666287B1 (ko) | Nft 이용권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 WO2011058629A1 (ja) | 情報管理システム | |
| KR102395871B1 (ko) |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키 분산관리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 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 장치, 결제 중계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 JPWO2019107000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4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1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