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79509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95099B1
KR102795099B1 KR1020200043787A KR20200043787A KR102795099B1 KR 102795099 B1 KR102795099 B1 KR 102795099B1 KR 1020200043787 A KR1020200043787 A KR 1020200043787A KR 20200043787 A KR20200043787 A KR 20200043787A KR 102795099 B1 KR102795099 B1 KR 10279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rea
light
display device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804A (ko
Inventor
이현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50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50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 그리고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는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제2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반사 방지층 및 상기 광 제어층이 위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표시 장치 같은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screen)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센서의 터치 전극은 표시 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센서, 카메라 같은 광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장치는 화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표시 장치의 베젤 영역(화면을 둘러싸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베젤을 줄이면, 표시 장치의 화면 대 몸체 비율(screen-to-body ratio), 즉 표시 장치를 정면에서 볼 때 화면이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화면 대 몸체 비율은 표시 장치의 기술 수준을 반영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표시 장치의 베젤을 줄임에 따라 광학 장치를 베젤 영역에 배치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광학 장치를 화면 내에 배치하면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개선하고 광학 장치를 위한 광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 그리고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는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제2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반사 방지층 및 상기 광 제어층이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층은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층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층은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전극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터치 전극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패시베이션층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는 녹색 색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색 색필터는 상기 봉지층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은 차광 부재 및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탄층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색필터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터치 전극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광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 그리고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는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제2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는 평탄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는 상기 투과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층은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렌즈층의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센서층은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전극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터치 전극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투과 영역에서 상기 렌즈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은 차광 부재 및 색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탄층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색필터와 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터치 전극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광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광학 장치를 화면 내에 배치하면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광학 장치를 위한 광학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색필터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대략 하나의 화소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체인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x, y 및 z는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x"는 제1 방향이고, "y"는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이고, "z"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그리고 표시 패널(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광학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on-display area)(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screen)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소들(PX)이 대략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화소(PX)는 화면을 구성하는, 즉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각각의 화소(PX)는 입력 영상 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한 색을 다양한 휘도로 표시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DA)에 인가되는 각종 신호들을 생성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회로들 및/또는 신호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PX)에는 게이트선, 데이터선, 구동 전압선 등의 신호선들이 연결되어, 화소(PX)는 이들 신호선으로부터 게이트 신호, 데이터 전압, 구동 전압 등을 인가받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영상을 표시하는 고유의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1 표시 영역(DA1)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 여기서 투과율은 표시 패널(10)을 제3 방향(z)으로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광은 가시광 및/또는 가시광 외의 파장의 광(예컨대, 적외광)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보다 화소(PX)의 밀도, 즉 단위 면적당 화소(PX)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 내에 위치하고 제1 표시 영역(DA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비표시 영역(NA)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상단에서 좌측, 우측 및/또는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상단을 완전히 가로질러 제1 방향(x)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영역(DA)의 좌측단 및/또는 우측단을 가로질러 제2 방향(y)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생성 및/또는 처리하는 구동 장치(driving unit)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 게이트선들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signal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 패널(10)에 집적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좌우 양측 또는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 및 신호 제어부는 집적회로 칩(구동 IC 칩이라고도 함)으로 제공될 수 있고, 집적회로 칩은 표시 패널(10)의 비표시 영역(NA)에 실장될 수 있다. 집적회로 칩은 연성 인쇄 회로막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영역(TSA)은 표시 영역(DA)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영역(TSA)에는 터치 전극들(TE)이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터치 전극(TE)은 다수의 화소(PX)에 걸쳐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들(TE)은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각각의 터치 전극(TE)이 자기 축전기(self-capacitor)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하거나, 인접하는 터치 전극들(TE)이 상호 축전기(mutual capacitor)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터치 스크린 패널로 불릴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터치 전극들(TE)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고 터치 전극들(TE)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는 터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구동부는 집적회로 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기판(110)을 포함할 수 있고, 기판(110) 위에 화소들(PX)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에 걸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화소들(PX)을 전체적으로 덮는 봉지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200)은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밀봉하여 표시 패널(10) 내부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봉지층(200) 위에는 터치 전극들(TE)이 배열되어 있는 터치 센서층(TS)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전극(TE)은 메탈 메시(metal mesh)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전극(TE)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전극(TE)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 위에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 방지층(AR)이 위치할 수 있고, 반사 방지층(AR)은 차광 부재와 색필터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AR) 위에는 출광 효율 및 정면 휘도를 높이기 위한 광 제어층(LC)이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장치(20)는 표시 패널(10)의 배면에 표시 패널(10)과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장치(20)는 카메라, 센서, 플래시 등일 수 있다. 광학 장치(20)가 센서인 경우, 광학 장치(20)는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일 수 있다. 광학 장치(20)가 이용하는 파장의 광은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해 더욱 높은 투과율로 표시 패널(10)을 통과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배면에는 광학 장치(20) 외에도 다양한 전자 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장치(20)는 표시 패널(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물체(OB) 쪽으로 일정 파장 범위의 광(L)을 출사하거나 물체(OB)에서 반사되는 광(L)을 입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일정 파장 범위의 광(L)은 광학 장치(20)에서 처리 가능한 파장의 광이고, 가시광 및/또는 적외광일 수 있다. 일정 파장의 광은 제2 표시 영역(DA2)에 위치하는 투과 영역을 주로 통과할 수 있다. 광학 장치(20)는 표시 패널(10)의 전면에 조사되는 일정 파장의 광을 입사받을 수도 있다. 광학 장치(20)는 제2 표시 영역(DA2) 전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에만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는 복수의 광학 장치(20)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화소 영역들(PA1)을 포함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은 제2 화소 영역들(PA2)과 투과 영역들(TA)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 화소 영역(PA1)의 크기와 하나의 제2 화소 영역(PA2)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1 화소 영역들(PA1)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제2 화소 영역들(PA2)과 투과 영역들(TA)이 행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으로 하나 이상의 제2 화소 영역(PA2)과 하나 이상의 투과 영역(TA)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화소 영역들(PA2)과 투과 영역들(TA)이 고르게 혼재할 수 있도록, 제2 화소 영역들(PA2)과 투과 영역들(TA)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1개의 제2 화소 영역(PA2)과 3개의 투과 영역(TA)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제2 화소 영역(PA2)의 크기와 하나의 투과 영역(TA)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각각의 투과 영역(TA)은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2 화소 영역들(PA2)과 투과 영역들(TA)의 배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투과 영역들(TA)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화소 영역(PA2) 대 투과 영역(TA)의 면적 비가 대략 1:3이지만, 대략 1:1, 1:7, 1:15 등 다양한 면적 비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화소 영역(PA2) 대 투과 영역(TA)의 면적 비는 약 1:2n-1일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 제2 화소 영역(PA2) 대 투과 영역(TA)의 비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 밀도와 투과율이 변할 수 있다. 화소 밀도와 투과율은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일 수 있다.
제1 화소 영역(PA1) 및 제2 화소 영역(PA2)은 각각 하나 이상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화소 회로 및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발광 다이오드(LED) 같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트랜지스터(transistor), 축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발광 소자에서 발광되는 광이 방출되는 영역이다. 발광부는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화소(PX)는 한 방향, 즉 제3 방향(z)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단면 구조를 제2 표시 영역(DA2)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화소 영역(PA1)의 단면 구조는 제2 화소 영역(PA2)의 단면 구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인접하는 제2 화소 영역(PA2)과 그 사이의 투과 영역(TA)의 단면을 나타낸다. 화소 영역에 위치할 수 있는 몇몇 구성요소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두 제2 화소 영역(PA2) 사이에 하나 이상의 투과 영역(TA)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기저층인 기판(110) 위에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 신호선(도시되지 않음) 같은 회로 소자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연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110)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층과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머층과 배리어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110)의 가장 하부층은 폴리머층일 수 있고 가장 상부층은 배리어층일 수 있다. 배리어층은 규소 산화물(SiOx), 규소 질화물(SiNx) 등의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다. 도 1에서 기판(110)은 제1 폴리머층(110a) 및 제2 폴리머층(110b)을 포함한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20)은 액티브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110)으로부터 액티브층으로 확산할 수 있는 불순물을 차단하고 기판(110)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버퍼층(120)은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같은 회로 소자들(circuit elements)이 배치되어 있는 회로 소자층(CEL)이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회로 소자층(CEL)으로 도시하였지만, 회로 소자층(CEL)은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층, 액티브층(반도체층) 및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CEL) 위에는 층간 절연층(160)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 위에는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 위에는 연결 전극(LE)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전극(LE)은 회로 소자층(CEL)에 위치하는 회로 소자, 예컨대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1 평탄화층(181)이 위치할 수 있고, 제1 평탄화층(181) 위에는 제2 데이터 도전층(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고, 제2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2 평탄화층(18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181) 및 제2 평탄화층(182)은 폴리이미드, 아크릴계 폴리머,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제1 평탄화층(181) 및 제2 평탄화층(182)은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182) 위에는 제1 전극(E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및 제2 평탄화층(181, 182)의 접촉 구멍을 통해 연결 전극(LE)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은(Ag), 니켈(Ni),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구리(Cu), 알루미늄네오듐(AlNd), 알루미늄니켈란타늄(AlNiLa)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불릴 수 있다.
제2 평탄화층182) 위에는 제1 전극(E1)과 중첩하는 개구(OP1)를 가진 화소 정의층(36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층(360)은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화소 정의층(360)은 흑색 포토레지스트(black photoresist)를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는 흑색 화소 정의층일 수 있다. 화소 정의층(360)은 흑색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층(360)의 개구(OP1)는 화소(PX)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즉, 개구(OP1)와 발광 영역(EA)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전극(E1) 위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부재(EM)가 위치할 수 있고, 발광 부재(EM)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불릴 수 있다.
제1 전극(E1), 발광 부재(EM) 및 제2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룬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일 수 있고,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일 수 있다.
제2 전극(E2) 위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보호하는 봉지층(200)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200)은 무기 절연층 사이에 유기 절연층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봉지층(200) 위에는 터치 센서층(TS)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은 터치 전극(TE)을 포함하고, 터치 전극(TE)을 덮는 패시베이션층(21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TE)은 화소 정의층(360)의 개구(OP1)와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메시(mesh) 형태일 수 있다. 터치 전극(TE)은 개구(OP1)와 중첩하지 않게 위치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210)은 규소 질화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 절연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층(TS) 위에는 차광 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흑색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의 금속층 등에 의한 광 반사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터치 전극(TE)과 중첩할 수 있고, 발광 영역(EA) 및 개구(OP1)와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로 불릴 수 있다.
터치 센서층(TS) 위에는 색필터(230)가 위치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한 색을 투과시킬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을 나타내는 색필터(230)는 차광 부재(220)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중첩할 수 있다. 색필터(230)와 차광 부재(220)는 조합하여 반사 방지층(AR)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반사 방지층(AR)으로서 편광층을 요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패널(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편광층에 의한 투과 영역(TA)의 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양자점이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방출되는 광을 적색 또는 녹색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AR) 위에는 렌즈층(310)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층(310)은 아크릴계 폴리머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층(310)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층(310)은 화소 정의층(360)의 개구(OP1)와 중첩하는 개구(OP2)를 가질 수 있다.
렌즈층(310) 위에는 평탄층(fattening layer)(320)이 위치할 수 있다. 평탄층(320)은 렌즈층(31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평탄층(320)은 아크릴계 폴리머, 실록산계 폴리머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고굴절률의 산란체(S), 예컨대 지르코늄 산화물(ZrOx) 같은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층(320)은 잉크젯 프린팅 방식, 스크린 프린팅 방식 등을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렌즈층(310)과 평탄층(320)은 조합하여 광 제어층(LC)을 형성할 수 있다. 광 제어층(LC)은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경사 방향으로 출사된 광을 정면 쪽으로 진행되도록 변경시켜 출광 효율 및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제어층(LC)에 대한 좀더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제2 화소 영역(PA2)에 위치하는 층들 중 적어도 일부는 투과 영역(TA)에 위치하지 않는다. 특히, 반사 방지층(AR)을 구성하는 차광 부재(220) 및 색필터(230)는 투과 영역(TA)에 위치하지 않는다. 또한, 렌즈층(310)은 투과 영역(TA)에서 개구(OP2)를 포함하지 않고, 상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투과 영역(TA)에는 표시 패널(10)의 하부에 광학 장치(20)가 위치하므로, 표시 패널(10)의 상부에서 광학 장치(20)로 입사하는 광이 높은 투과율로 투과 영역(TA)을 투과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광이 가급적 회절 없이 투과 영역(TA)을 투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에서 반사 방지층(AR)을 형성하지 않고, 렌즈층(310)의 개구(OP2)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회절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의 투과율 향상을 위해, 기판(110)과 봉지층(200) 사이에 있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 영역(TA)에 위치하지 않는다. 특히, 투과율이 낮은 도전층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CEL)은 투과 영역(TA)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버퍼층(120), 층간 절연층(160), 제1 평탄화층(181), 제2 평탄화층(182) 및/또는 화소 정의층(360)은 투과 영역(T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기판(110)이 제1 폴리머층(110a) 및 제2 폴리머층(110b)을 포함하는 경우, 제2 폴리머층(110b)이 제거될 수 있다. 봉지층(200) 위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TE)은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투과 영역(TA)에는 광의 투과를 방해할 수 있는 층들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 영역(TA)은 제2 화소 영역(PA2)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제2 전극(E2)이 투과 영역(TA)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전극(E2) 또한 투과 영역(T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몇몇 변형 가능한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색필터의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 화소 영역(PA2)에서 봉지층(200) 위로 터치 전극(TE), 패시베이션층(210),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이 위치한다. 이와 달리, 투과 영역(TA)에서는 봉지층(200) 위로 패시베이션층(210)이 위치하지만,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은 위치하지 않는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제2 화소 영역(PA2)에서 봉지층(200) 위로 터치 전극(TE), 패시베이션층(210),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이 위치한다. 하지만, 투과 영역(TA)에서는 봉지층(200) 위로 패시베이션층(210),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은 위치하지 않는다. 투과 영역(TA)에서는 표시 패널(10)의 최상부층이 봉지층(200)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투과 영역(TA)에서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이 더 제거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투과 영역(TA)에서 패시베이션층(210)이 더 제거되어 있다. 봉지층(200) 위에 위치하는 패시베이션층(210),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은 광학 장치(20)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회절)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더 제거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화소 영역(PA2)에서 봉지층(200) 위에 위치하는 패시베이션층(210), 렌즈층(310) 및 평탄층(320)이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그 대신, 투과 영역(TA)에는 봉지층(200) 위에 색필터, 특히 녹색 색필터(230G)가 위치한다. 도 8은 적색 색필터(R), 녹색 색필터(G) 및 청색 색필터(B)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녹색 색필터(G)는 약 550nm 부근의 파장 영역(녹색 파장 영역)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가지고, 청색 파장 영역과 적색 파장 영역에 대해 낮은 투과율을 가진다. 따라서 녹색 색필터(G)는 광학 장치(20), 예컨대 카메라의 투광 효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외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광학 장치(20) 관점에서 녹색 색필터(G)는 반사 코팅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녹색 색필터(230G)는 제1 및 제2 화소 영역(PA1, PA2)에서 녹색 화소를 위한 녹색 색필터 형성 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투과 영역(TA)에서 패시베이션층(210)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녹색 색필터(230G)는 패시베이션층(210)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에서 대략 하나의 화소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10)의 단면 구조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영역(PA1) 및 제2 화소 영역(PA2)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기판(110) 위에 버퍼층(120)이 위치하고, 버퍼층(120) 위에 트랜지스터(TR)의 액티브층(AL)이 위치할 수 있다. 액티브층(AL)은 채널 영역(channel region)과 그 양측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L)은 다결정 규소, 산화물 반도체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L) 위에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는 제1 게이트 절연층(14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 스토리지 커패시터(CS)의 제1 전극(C1), 게이트선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액티브층(AL)의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무기 절연층일 수 있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층(142) 위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의 제2 전극(C2)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층(141) 및/또는 제2 게이트 절연층(142)은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 및/또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탄탈륨(Ta), 티타늄(Ti)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액티브층(AL)과 함께 트랜지스터(TR)를 이룬다. 제1 전극(C1) 및 제2 전극(C2)은 이들 사이의 제2 게이트 절연층(142)와 함께 스토리지 커패시터(CS)를 이룬다. 화소 회로를 구성하는 이러한 트랜지스터(T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 특히 제1 게이트 도전층 및 제2 게이트 도전층은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회로 소자층(CEL)은 액티브층(AL),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제1 게이트 도전층,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제2 게이트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층간 절연층(160)이 위치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60) 위에는 연결 전극(LE), 데이터선(DL) 등을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연결 전극(LE)은 제1 게이트 절연층(141), 제2 게이트 절연층(142) 및 층간 절연층(160)의 접촉 구멍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또는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1 평탄화층(181)이 위치할 수 있고, 제1 평탄화층(181) 위에는 구동 전압선(DVL)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2 평탄화층(18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 및/또는 제2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크롬(Cr), 탄탈륨(Ta)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 및 제2 데이터 도전층은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평탄화층(181) 및 제2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2 평탄화층(18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182) 위에는 제1 전극(E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평탄화층(181) 및 제2 평탄화층(182)의 접촉 구멍을 통해 연결 전극(LE)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182) 위에는 제1 전극(E1)과 중첩하는 개구(OP1)를 가진 화소 정의층(360)이 위치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의 투과율 향상을 위해, 버퍼층(120), 층간 절연층(160), 제1 평탄화층(181), 제2 평탄화층(182) 및/또는 화소 정의층(360)은 투과 영역(T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1 전극(E1) 위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부재(EM)가 위치할 수 있고, 발광 부재(EM)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할 수 있다. 발광 부재(EM)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등의 기본색의 광을 고유하게 내는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부재(EM)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내는 복수의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발광 부재(EM)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에서 제2 전극(E2)은 제1 화소 영역들(PA1) 전체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표시 영역(DA) 전체를 덮도록 위치하거나, 표시 영역(DA)에서 투과 영역(TA)을 제외한 영역을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 위에는 봉지층(200)이 위치할 수 있고, 봉지층(200) 위에는 터치 전극(TE)이 위치할 수 있고, 터치 전극(TE) 위에는 패시베이션층(2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과 봉지층(200) 사이에는 캐핑층(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고, 봉지층(200)과 터치 전극(TE) 사이에는 버퍼층(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210) 위에는 차광 부재(220) 및 색필터(230)가 위치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 및 색필터(230)는 반사 방지층(AR)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색필터(230) 위에는 렌즈층(310)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층(310)은 화소 정의층(360)의 개구(OP1)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출광면(발광 영역 또는 화소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OP2)를 가질 수 있다. 렌즈층(310)은 대략 1.5 이하, 예컨대 약 1.4 내지 약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렌즈층(310) 위에 위치하는 평탄층(320)은 렌즈층(310)의 개구(OP2)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평탄층(320)의 상부 표면은 평탄할 수 있다. 평탄층(320)은 개구(OP2) 내에서 렌즈층(310)의 측면과 접할 수 있고, 색필터(23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평탄층(320)은 렌즈층(31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평탄층(320)은 아크릴 수지 같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층일 수 있지만, 지르코늄 산화물(ZrOx) 입자, 티타늄 산화물(TiOx) 입자, 알루미늄 산화물(AlOx) 같이 굴절률을 높이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층(320)은 대략 1.6 이상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저굴절률의 렌즈층(310)과 개구(OP2) 내의 고굴절률의 평탄층(320)은 집광 렌즈(오목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층(310)과 평탄층(320)은 표시 영역(DA)에 걸쳐 마이크로 광 제어 패턴(micro light-control pattern)인 광 제어층(LC)을 형성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경사 방향으로 출사된 광은 집광 렌즈에 의해 반사, 굴절 및/또는 회절되어 정면 쪽으로 진행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집광 렌즈는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방출된 경사 방향의 광을 개구(OP2)의 경사면에 의해 정면 방향으로 굴절(전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출광 효율 및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인접 화소 간의 혼색을 줄일 수 있다.
투과 영역(TA)의 광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렌즈층(310)의 개구(OP2), 렌즈층(310) 및/또는 평탄층(320)은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소자들의 위치 및 배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110: 기판
20: 광학 장치
200: 봉지층
210: 패시베이션층
220: 차광 부재
230: 색필터
230G: 녹색 색필터
310: 렌즈층
320: 평탄층
360: 화소 정의층
AR: 반사 방지층
CEL: 회로 소자층
DA: 표시 영역
DA1: 제1 표시 영역
DA2: 제2 표시 영역
EA: 발광 영역
LC: 광 제어층
LED; 발광 다이오드
NA: 비표시 영역
OP1: 화소 정의층의 개구
OP2: 렌즈층의 개구
PA1: 제1 화소 영역
PA2: 제2 화소 영역
PX: 화소
TA: 투과 영역
TE: 터치 전극
TR: 트랜지스터
TS: 터치 센서층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 그리고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는 광 제어층
    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제2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반사 방지층 및 상기 광 제어층이 위치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투과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은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평탄층은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층의 측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층은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전극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터치 전극이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패시베이션층이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는 녹색 색필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화소 정의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층은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차광 부재 및 색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층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색필터와 접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터치 전극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광학 장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반사 방지층, 그리고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는 광 제어층
    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 그리고 제2 화소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는 평탄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는 상기 투과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투과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은 상기 기판을 향하여 돌출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반사 방지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평탄층은 상기 렌즈층의 상기 개구를 채우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층의 측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층은 터치 전극 및 상기 터치 전극을 덮는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 영역에는 상기 터치 전극이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투과 영역에서 상기 렌즈층은 상기 패시베이션층과 접하는 표시 장치.
  17. 제12항에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차광 부재 및 색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광 제어층은 개구를 가진 렌즈층, 그리고 상기 렌즈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렌즈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평탄층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층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색필터와 접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봉지층과 상기 반사 방지층 사이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터치 전극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0. 제12항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화소 정의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층은 상기 투과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KR1020200043787A 2020-04-10 2020-04-10 표시 장치 Active KR10279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87A KR102795099B1 (ko) 2020-04-10 2020-04-10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87A KR102795099B1 (ko) 2020-04-10 2020-04-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04A KR20210126804A (ko) 2021-10-21
KR102795099B1 true KR102795099B1 (ko) 2025-04-11

Family

ID=7826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87A Active KR102795099B1 (ko) 2020-04-10 2020-04-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95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896077A (zh) * 2023-08-24 2025-04-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080B1 (ko) * 2015-08-24 2022-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102367247B1 (ko) * 2017-07-04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4168B1 (ko) * 2017-08-08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618411B1 (ko) * 2018-07-30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장치
KR102653424B1 (ko) * 2018-08-30 202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04A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8168B (zh) 显示设备
TWI740431B (zh) 顯示裝置
CN109817109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66154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830116B1 (ko) 발광 표시 장치
KR102755468B1 (ko) 표시 장치
JP7511051B2 (ja) 検出装置付き表示機器
KR10273095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20184227A (ja) 検出装置
US12353075B2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97681A (ko) 표시장치
US20120256207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102795099B1 (ko) 표시 장치
KR20230071874A (ko) 표시 장치
CN206610811U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14721182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20082518A (ko) 표시 장치
KR20210090754A (ko) 표시장치
KR102839079B1 (ko) 표시 장치
US20240138242A1 (en) Display device
KR20240153477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5013832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50149229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39830A (ko) 표시장치
KR2025002120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4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