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788518B1 -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88518B1
KR102788518B1 KR1020220188003A KR20220188003A KR102788518B1 KR 102788518 B1 KR102788518 B1 KR 102788518B1 KR 1020220188003 A KR1020220188003 A KR 1020220188003A KR 20220188003 A KR20220188003 A KR 20220188003A KR 102788518 B1 KR102788518 B1 KR 10278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riving unit
magnetic
coils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05118A (en
Inventor
오선종
김성기
이보연
정영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8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8518B1/en
Publication of KR2024010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5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85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기존의 단순 변위 제어 방식과는 달리 구동부의 변위/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촉각 정보를 표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일; 하우징에 인입되어 코일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구동부의 위치 또는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that enables displacement/speed control of a driving unit, unlike a conventional simple displacement control method, so as to enable expression of various tactile information.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inside; a coil formed inside the housing; a driving unit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housing,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whose driving is controlled by a magnetic field of the coil; and a sensor unit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s a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a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촉각 구현 방법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Tacti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coil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촉각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순 변위 제어 방식과는 달리 구동부의 변위/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촉각 정보를 표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ctile display device and a tactil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multiple coils,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displacement/speed control of a driving unit, unlike a conventional simple displacement control method, to express various tactile information.

촉각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와 촉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가상현실 플랫폼, 원격 의료기술지원, 스마트폰, 게임 등 적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 시각과 청각 뿐 아니라 촉각 전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밀성과 안전성을 갖춘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이다.Tactile displays are devices that interact with users through touch. Recently, as the application fields such as virtual reality platforms, remote medical technology support, smartphones, and games increase, the importance of tactile transmission is increasing in addition to visual and auditory, and the demand for technology with precision and safety is increasing.

진동모터 형태의 전통적인 햅틱 기술에서,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파진동, 발광소자와 열변형 소재를 이용한 변형진동기술 등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기 활성 고분자나 형상기억 합금, 압전 소자 등의 유연 물질을 활용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From traditional haptic technology in the form of a vibration motor, it has developed into acoustic vibration using a microphone, deformation vibration technology using light-emitting elements and thermal deformation materials, and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using flexible materials such as electroactive polymers, shape-memory alloys, and piezoelectric elements.

다만, 전기활성 고분자(Electroactive polymer)는 전압에 따른 변위를 조절하기 쉽고 높은 반응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소금물과 같은 이온전도체 내에서만 동작을 하거나 수 kV의 높은 구동전압, 낮은 변위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electroactive polym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ontrol displacement according to voltage and having high reactivity, but they have the disadvantages of only operating in ionic conductors such as salt water, high operating voltage of several kV, and low displacement.

그리고, 형상기억 합금과 같이 온도 제어 방식의 경우는 높은 구동범위와 출력되는 힘은 크나 낮은 응답 반응성과 냉각을 위한 별도 시스템이 요구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압전 소자의 경우, 높은 응답 반응성 뿐 아니라 낮은 전압을 통한 제어가 용이하지만, 변위가 작고 낮은 진동수의 움직임 구현에 어려움이 있어 촉각 디스플레이로 활용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emperature control methods such as shape memory alloys,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a high driving range and large output power, but low response responsivity and a separate system for cooling are requi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ezoelectric elements, although they have high response responsivity and are easy to control through low voltage, there are limitations in using them as tactile displays because of the small displacement and difficulty in implementing low-frequency movements.

미국 공개특허 제2022-0184662호(발명의 명칭: Complex mass trajectories for improved haptic effect)에서는, 원통형의 영구자석 주위에 코일 형상의 전기 자성체가 형성되고, 자성체에 대한 자기력 제어로 햅틱 효과를 구현하고, 원통 형상의 영구자석 주위에 와이어가 복수 회 권선된 형상의 코일이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형상이 형성되며, 보이스 코일 하부의 자성 디스크는 다른 구성들의 결합에 주로 이용되는 특징을 구비하는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22-0184662 (Title: Complex mass trajectories for improved haptic effect), a coil-shaped electric magnetic body is formed around a cylindrical permanent magnet, a haptic effect is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magnetic force for the magnetic body, a voice coil shape is formed in which a coil in the shape of a wire wound multiple times is arranged around the cylindrical permanent magnet, and a magnetic disk under the voice coil has the feature that it is mainly used for combining other compon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9974호(발명의 명칭: 햅틱 모듈)에서는,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일어나는 물리적 변위에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구동 축에 결합된 이동체를 선형 이동시키는 다수의 압전 구동부와; 상기 구동 축이 삽입되는 다수의 홀이 구비되고, 홀에 삽입된 구동 축에 결합된 이동체가 소정 간격을 가진 배열을 이루도록 상기 압전 구동부를 지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가 하나 이상의 클램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 연결부를 포함하는 햅틱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9974 (Title: Haptic Module) discloses a haptic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actuators that linearly move moving bodies coupled to driving shafts that perform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a physical displacement caused by an applied electric field; clamps that support the piezoelectric actuators so that the moving bodie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s inserted into the hol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holes into which the driving shafts are inserted; and a clamp connection section that allows one or more clamp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미국 공개특허 제2022-0184662호U.S. Patent Publication No. 2022-018466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99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1997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장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위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manufacture a tactile display device for interaction with a user by utilizing a magnetic fiel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단순 변위 제어 방식과는 달리 구동부의 변위/속도 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촉각 정보를 표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displacement/speed control of a driving unit, unlike conventional simple displacement control methods, so as to enable expression of various tactile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내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인가하는 변위나 힘을 측정할 수 있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interaction by measuring displacement or force applied by a user through a sensor mounted in a tacti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어 상기 코일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구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pace inside; a coil formed inside the housing; a driving unit formed to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and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whose driving is controlled by a magnetic field of the coil; and a sensor unit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ing a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a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wherein a plurality of the coil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단 부위에 형성되고, 일 부위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접촉체; 및 상기 접촉체와 결합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자기장 영역에 형성되는 자기구동체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contact body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unit and formed such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magnetic driving body coupled to the contact body and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nd formed in a magnetic field region of the co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 부위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센싱자성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agnetic bod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and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provide a magnetic field to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can perform linear or rotational mo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체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driving body can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체는, 비자성체; 및 상기 비자성체와 결합되고, 상기 비자성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driving body may include a non-magnetic body; and a magnetic body that is combined with the non-magnetic body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that rotates around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on-magnetic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자성체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sensing magnetic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ody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서로 다른 값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rrents of different values can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at which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자기장을 차폐시키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hields a magnetic fiel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의 신체가 구동부와 접촉하는 제1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어부로 전기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도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의 자기장이 조절되면서 상기 구동부가 운동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촉감이 구현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comprises a first step in which a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a driving unit; a second step in which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 third step in which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electric signal to deriv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 fourth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ils or a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driving unit moves while the magnetic fiel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reby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on the user's body by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so that the current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can be controll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구동부의 감/가속 등에 의한 다양한 패턴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촉감 신호를 생성하여 촉각 구현의 자유도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by controll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coils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the degree of freedom in implementing tactile sensatio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enerating tactile signals by driving the driving unit in various patterns such as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대한 전류 인가 관련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햅틱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장비에 대한 모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related to current application to each of a plurality of coi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ptic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equipment having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join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그리고, 상방과 하방 등의 방향은 각각의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동일하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tacti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cti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a tact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s such as upward and downward are based on each drawing.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40); 하우징(140)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일(110); 하우징(140)에 인입되어 코일(1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하우징(140)의 외부로 노출되며, 코일(110)의 자기장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부(120); 및 하우징(140)의 내부에 형성되고, 구동부(1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40) having a space inside; a coil (110) formed inside the housing (140); a driving unit (120)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110)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40),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0), and whose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and a sensor unit (130) formed inside the housing (140)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하우징(140)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하우징(140)의 내부에 구동부(120), 코일(11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40), and a driving unit (120), a coil (110), etc.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40).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0) may perform movement inside the housing (140).

하우징(140)은 높이는 6 내지 12mm이고, 하우징(140)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길이는 1 내지 4mm로써, 하우징(140)은 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has a height of 6 to 12 mm, and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40) has a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1 to 4 mm, so that the housing (140) can be formed in a small size.

구동부(120)의 전체 형상은 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코일(110)의 자기장에 의해 구동되기 위해서 일 부위에 자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 overall shape of the driving unit (120) may have a columnar shape, and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ircle, an oval, a polygon, etc.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0) may have magnetism in one portion in order to be driven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구체적으로, 구동부(120)는, 구동부(120)의 일단 부위에 형성되고, 일 부위가 하우징(1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접촉체(121); 및 접촉체(121)와 결합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며, 코일(110)의 자기장 영역에 형성되는 자기구동체(122)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contact body (121)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unit (120) and formed such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0); and a magnetic driving body (122) coupled with the contact body (121),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nd formed in a magnetic field region of the coil (110).

또한, 구동부(120)는, 구동부(120)의 타단 부위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되어 센서부(130)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센싱자성체(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구동체(122)와 센싱자성체(124) 사이에는, 일단이 자기구동체(122)와 결합하고 타단이 센싱자성체(124)와 결합하는 연결몸체(123)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magnetic body (12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120) and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provide a magnetic field to the sensor unit (130). In addition, a connecting body (123) may be formed between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nd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연결몸체(123)에 의해 구동부(120)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연결몸체(123)에 의해 자기구동체(122)와 센싱자성체(124) 간 거리가 증가되어 자기구동체(122)와 센싱자성체(124)가 이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코일(110)과 센싱자성체(124)가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일(110)의 자기장에 의한 영향이 센싱자성체(124)에는 차단되고 자기구동체(122)에만 전달됨으로써, 코일(110)의 자기장에 의한 자기구동체(122)의 구동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As the length of the driving unit (120) is extended by the connecting body (123),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nd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is increased by the connecting body (123), so that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nd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can be separated, and similarly, the coil (110) and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can be separated, and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is blocked from the sensing magnetic body (124) and transmitted only to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so that the driving precision of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can be improved.

구동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촉체(121)는 외부로 노출된 상단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체(121)의 상단은 반구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접촉체(121)의 상단에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될 수 있다. 접촉체(121)의 상단 외 접촉체(121)의 하부는 자기구동체(122)와의 결합을 위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body (12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unit (120) has an upper part exposed to the outsid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body (121) is formed in a hemisphere or a similar shape, and the user's skin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body (121). The lower part of the contact body (121) ot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body (121) can be formed in a pillar shape for coupling with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접촉체(121)의 상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반구 형상의 반지름은 0.5 내지 2.5mm이고, 접촉체(121)의 상부 높이는 0.6 내지 0.8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체(121)가 소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미세한 촉각 구현이 용이할 수 있다.When the upper part of the contact body (121)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radius of the hemispherical shape may be 0.5 to 2.5 mm, and the upper height of the contact body (121) may be 0.6 to 0.8 mm. Since the contact body (121) is formed in a small size in this way, it may be easy to implement a delicate tactile sensation.

여기서,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이 접촉체(121)에 접촉될 수 있으나, 신체 부위가 이에 한정되는 곳은 아니고 다른 신체 부위도 접촉체(121)에 접촉될 수 있다.Here, the user's hand or foo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body (121), but the body par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body parts may als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body (121).

접촉체(121)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 왕복 운동, 진동 등의 운동 등을 수행하는 자기구동체(122)의 작동에 따라 접촉체(121)는 직선 왕복 운동, 진동 등의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 같은 접촉체(121)의 운동과 접촉체(121)의 탄성에 의해 생성된 촉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햅틱 효과, 즉, 다양한 촉감 효과를 느낄 수 있다.The contact body (12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that performs movements such a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vibration, the contact body (121) performs movements such a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vibration, and the tactile sensation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contact body (121) and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body (121) is transmitted to the user,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feel a haptic effect, i.e., various tactile effects.

자기구동체(122)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기구동체(122)는 코일(11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코일(110)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자기구동체(122)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자기구동체(1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be formed in a pillar shape, and 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110), and 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perform movem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

여기서, 자기구동체(122)는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부(120)는 직선(상하) 또는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agnetic drive body (122) can perform linear or rotational motion, and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20) can perform linear (up and down) or up and down motion.

코일(110)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기구동체(122)는 자성물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자기구동체(122)는 자성물질과 합성수지의 혼합물질 또는 자성물질과 금속의 혼합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nd specifically,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can be formed of a mixture of a magnetic material and a synthetic resin, a mixture of a magnetic material and a metal, etc.

먼저, 자기구동체(122)에 대한 일 실시예로써, 자기구동체(122) 자체가 자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자기구동체(122)는 자성체(122a)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일(110)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자기구동체(122)가 직선 운동, 즉, 도 1에서의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as an example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the magnetic actuator (122) itself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hat is, the magnetic actuator (122)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122a). In this case, the magnetic actuator (122) may perform a linear motion, that is, an up-and-down motion in FIG. 1,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그리고, 자기구동체(122)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구동체(122)는, 비자성체(122b); 및 비자성체(122b)와 결합되고, 비자성체(122b)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성체(122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자성체(122b)는 합성수지 또는 자성의 띠지 않는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s shown in FIG. 3,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may include a non-magnetic body (122b); and a magnetic body (122a) that is formed by being coupled with the non-magnetic body (122b)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hat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on-magnetic body (122b). Here, the non-magnetic body (122b)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a non-magnetic metal material.

자기구동체(122)에 대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자기구동체(122)가 형성되는 경우, 기둥 형상을 구비하는 비자성체(122b)에 소정의 두께를 구비하는 띠 형상의 자성체(122a)가 비자성체(122b)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이 때, 자성체(122a)는 비자성체(122b)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성체(122a)는 비자성체(122b)의 외부 표면에서 나선 또는 와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As in other embodiments of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when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is formed, a belt-shaped magnetic body (122a)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by being introduced in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non-magnetic body (122b) having a columnar shape, and at this time, the magnetic body (122a)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in a direction that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on-magnetic body (122b), and accordingly, the magnetic body (122a) can exhibit a spiral or vortex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magnetic body (122b).

자기구동체(122)에 대한 다른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코일(110)의 자기장 변화에 따라 자기구동체(122)가 직선 운동(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simultaneously perform linear motion (up and down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110).

상기와 같이 자기구동체(122)의 구성 변경에 따라 자기구동체(122)의 운동 양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각각 형상이 상이한 자기구동체(122)를 각각 다른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서 다양한 구동부(120)의 구동이 수행되어, 다양한 촉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pattern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and by arranging magnetic actuators (122) with different shapes in different areas, various driving units (120) can be driven in each area, thereby implementing various tactile effects.

자기구동체(122)는 자성을 띄게 되며,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자기구동체(122)에 인가되는 자기력이 변화되면서 자기구동체(122)의 운동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기구동체(122)의 운동이 변화되면서 구동부(120)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The magnetic actuator (122) becomes magnetic, and as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magnetic actuator (122)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is controlled,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can be performed as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actuator (122) changes in real time.

센서부(130)는 하우징(140)의 바닥벽에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하우징(140)의 바닥면 상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130)는, 센싱자성체(124)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함으로써 구동부(120)의 위치 또는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0)에서는 구동부(120)의 운동에 따른 센싱자성체(124)의 자기장 세기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와 같은 전기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30)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140), or may be installed by being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40), and the sensor unit (13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by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of the sensing magnet (124). The sensor unit (130)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intensity of the sensing magnet (124)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and such an electric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와 같이 제어부로 전달되는 센서부(130)의 전기 신호는 소정의 파형(진폭, 주파수)을 구비하고, 제어부는 센서부(130) 전기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구동부(120)의 위치 또는 구동부(120)에 가해지는 힘을 도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has a predetermined waveform (amplitude, frequency), and the control unit can analyze the waveform of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to deriv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센싱자성체(124)와 센서부(130) 간 거리가 가변하는 경우, 구동부(12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센서부(130)를 기준으로 한 센싱자성체(124)의 속도가 가변하는 경우 또는 센싱자성체(124)와 센서부(130) 간 거리 및 센싱자성체(124)의 속도 모두가 가변하는 경우 등에 따라 전기 신호의 파형에서 진폭, 주파수 등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magnet (124) and the sensor unit (130) is variable, when the speed of the sensing magnet (124) with respect to the sensor unit (130) is variable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or when both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magnet (124) and the sensor unit (130) and the speed of the sensing magnet (124) are variable, the amplitude, frequency, etc. of the waveform of the electric signal may be formed differently.

그리고, 제어부에는 센싱자성체(124)와 센서부(130) 간 거리 또는 센싱자성체(124)의 속도의 가변에 따른 센서부(130)의 전기 신호 파형에 대한 데이터인 센서파형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는 센서부(130)의 전기 신호 파형과 센서파형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접촉체(121)에 사용자의 접촉 수행 시 구동부(120)의 위치 및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의 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tores sensor waveform data, which is data on the electric signal waveform of the sensor unit (13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magnet (124) and the sensor unit (130) or the speed of the sensing magnet (124), and the control unit can compare and analyze the electric signal waveform of the sensor unit (130) and the sensor waveform data to deriv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valu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when the user makes contact with the contact body (121).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1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코일(110)은 원형 링, 다각형 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110)은 구동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il (11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t this time, the coil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ircular ring, a polygonal ring, etc.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ils (110) may b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120).

다만, 코일(1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일(110)은 스프링과 같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동일한 형상의 코일(110)이 복수 개 배치되거나, 또는, 배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110) 중 어느 하나의 코일(110)과 다른 코일(110)의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coil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coil wound like a spring, and a plurality of coils (110) of the same shape may be arranged, or the shape of one coil (110) among the plurality of arranged coils (110)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another coil (110).

이와 같이, 하나의 코일(110)과 다른 코일(110)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하나의 코일(110)과 다른 코일(110) 각각의 자기장이 상이하게 형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기구동체(122)의 운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shapes of one coil (110) and the other coil (110) differently, the magnetic fields of each of one coil (110) and the other coil (110) are formed differently, and by using this, the movements of various magnetic actuators (122)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단일의 코일(110)일 경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나 출력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자기구동체(122)의 길이와 코일(110)의 높이에 따라 가변 거리, 즉, 자기구동체(122)의 이동 거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임의로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ingle coil (110), the speed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pplied current, but the output power can be adjusted, and since the variable distance, i.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gnetic driving body (122) and the height of the coil (110), it is not easy to arbitrarily control it.

따라서, 복수 개의 코일(110)을 구성하여 코일(110) 간 인가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구동부(120)가 시간에 따라 리니어(linear)한 움직임과 출력힘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코일(110)의 두께 또는 턴수(권선수)가 다른 코일(110) 각각의 배열 방식에 따라 구동부(120)의 다양한 가변 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촉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coils (110) and finel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ime between the coils (110), the driving unit (120) can maintain linear movement and output force over time. In addition, various variable combinations of the driving unit (120) can be form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method of each coil (110)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or number of turns (windings), and thus,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대한 전류 인가 관련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서로 다른 값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이 상이할 수 있다.FIG. 4 is a graph related to current application to each of a plurality of coils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in FIG. 4, currents of different values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may be different.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서로 다른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구동부(120)의 운동에 의한 구동부(120)의 위치에 따라 구동부(120)에서 받는 자기장의 세기가 가변하게 될 수 있다.When different currents ar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received by the driving unit (120)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due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여기서, 구동부(120)의 운동은 자기력의 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써, 코일(110)의 자기장 세기, 구동부(120)의 운동에 따른 자가장 변화에 따라 구동부(120)의 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되거나 일정하게 형성되는 모든 경우가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is controlled by the power of the magnetic force, and all cases in which the speed of the driving unit (120) is accelerated, decelerated, or formed constant depending on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coil (110) and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can be implemented.

그리고,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이 상이한 경우, 구동부(120)의 위치 또는 특정 시점에 따라 구동부(120)에서 받는 자기장의 세기가 가변하게 될 수 있다.And, if the time at which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is differen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received by the driving unit (120)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a specific point in time.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구동부(120)의 운동을 구현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구동부(120)에 가한 힘에 대한 저항력이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구동부(120)를 이용한 다양한 촉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various movements of the driving unit (120) can be implem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resistanc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by the user can be varied, and as a result,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driving unit (120).

즉, 구동부(120)의 감/가속 등에 의한 다양한 패턴의 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한 촉감 신호를 생성하여 촉각 구현의 자유도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That is, the degree of freedom in implementing tactile sensatio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generating tactile signals by driving the driving unit (120) in various patterns such as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제어부에서는 상기와 같이 센서부(130)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촉감 구현을 위하여 제어부에는 구동부(120)의 위치와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에 대한 데이터인 촉감구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u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Specifically, in order to implement the sense of touch, the control unit can store sense of touch implementation information, which is data on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which changes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또한, 제어부에서는 상기와 같이 센서부(130)의 전기 신호로 구동부(120)의 위치와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와 촉감구현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analyz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using the electric signal of the sensor unit (130) as described above,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using the data and tactile implementation information.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복수 개의 코일(110) 중 어느 하나의 코일(110)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and accordingly, the current valu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one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can be controlled.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써, 복수 개의 코일(110)은, 가장 하부에 위치한 제1코일(111), 제1코일(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코일(112), 제2코일(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3코일(113), 제3코일(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코일(114)을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lurality of coils (110) may include a first coil (111) positioned at the bottom, a second coil (112)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il (111), a third coil (113)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il (112), and a fourth coil (114) positioned above the third coil (113).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a시간(s) 동안에는 제1코일(111)에만 전류가 인가되어 제1코일(111)에서만 A 값의 구동 전압(V)이 형성될 수 있으며, b시간 동안에는 제1코일(111)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1코일(111)에서 A 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2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2코일(112)에서 B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4,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current can be applied only to the first coil (111) for a time (s), so that a driving voltage (V) of value A can be formed only in the first coil (111), and during a time b, curren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coil (111),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A can be formed in the first coil (111), and at the same time, current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coil (112),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B can be formed in the second coil (112).

여기서, 구동 전압은 자기구동체(122)를 구동시키기 위해 코일(110)에서 생성된 전압으로써, 구동 전압 증가 시, 구동부(120)의 운동을 위한 자기장이 세기도 증가한다. 이하, 동일하다.Here, the driving voltage is a voltage generated from the coil (110) to drive the magnetic actuator (122), and as the driving voltage increases, the magnetic field for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120) also increases in strength.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또한, c시간 동안에는 제2코일(112)에만 전류가 인가되어 제2코일(112)에서만 B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d시간 동안에는 제2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2코일(112)에서 B 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3코일(113)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3코일(113)에서 C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ime c, current is applied only to the second coil (112),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B can be formed only in the second coil (112), and during time d, current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112),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B is formed in the second coil (112), and at the same time, current is applied to the third coil (113),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C can be formed in the third coil (113).

또한, e시간 동안에는 제3코일(113)에만 전류가 인가되어 제3코일(113)에서만 C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f시간 동안에는 제3코일(113)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3코일(113)에서 C 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4코일(114)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4코일(114)에서 D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ime e, current is applied only to the third coil (113),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C can be formed only in the third coil (113), and during time f, current is applied to the third coil (113),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C is formed in the third coil (113), and at the same time, current is applied to the fourth coil (114),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D can be formed in the fourth coil (114).

그리고, f시간 동안에는 제4코일(114)에만 전류가 인가되어 제4코일(114)에서만 D값의 구동 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And, during the f time, current is applied only to the fourth coil (114),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value D can be formed only in the fourth coil (114).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구동부(120)에 가한 힘에 따른 구동부(120)의 위치에 따라 시간 별로 순차적으로 각각의 코일(11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상이하도록 제어되고, 이에 따라, 정밀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촉감 구현에 용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values sequentially applied to each coil (110) are controlled to be different over tim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by the user, and accordingly, it is easy to implement precise and diverse forms of tactile sens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햅틱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ptic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햅틱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다중코일(110)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복수 개와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200); 및 복수 개의 다중코일(110)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햅틱 시스템은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hap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ctile display device (100) formed as described above; a support unit (200) that supports and combines a plurality of tactile display devices (100) using multiple coils (110); and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s (100) using multiple multi-coils (110). In addition, the hap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each of the multiple coils (110).

하우징(140)은 자기장을 차폐시키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40)은 철, 니켈 또는 코발트 등과 같이 고투자율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 하우징(140)의 외측에 상기와 같은 고투자율 금속층을 형성시켜 자기장 차폐 성능을 하우징(140)에 부가할 수 있다.The housing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hields a magnetic field. For this purpose, the housing (140) may include a high-permeability metal such as iron, nickel, or cobalt. Specifically, a high-permeability metal layer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0) formed of a synthetic resin to add magnetic field shielding performance to the housing (140).

또한, 하우징(140) 자체를 상기와 같은 고투자율 금속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투자율 금속의 입자와 합성수지를 혼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우징(140)을 형성시킴으로써 하우징(140)에 자기장 차폐 성능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40) itself can be formed of a high-permeability metal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by mixing particles of the high-permeability metal and a synthetic resin and using this to form the housing (140), a magnetic field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formed in the housing (140).

본 발명의 햅틱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 개 포함되고, 각각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근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The hap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actile display devic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tactile display device (100) can b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이 때, 하우징(140)의 자기장 차폐 기능에 의해 하나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이 다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방지되어, 각각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은 해당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부(120)에만 영향을 주므로,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촉각 구현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function of the housing (140) prevent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one tactile display device (100) affects another tactile display device (100), so that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each tactile display device (100) only affects the driving unit (120) of the corresponding tactile display device (100), and thus the precision of tactile implementation using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이 햅틱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부에서는 복수 개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각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햅틱 시스템에 의한 촉각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actile display devic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the haptic system, and by controll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current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actile display devices (100), thereby implementing a tactile effect by the hapt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비하는 장비에 대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현실 체험용 장갑(1)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갑(1)의 외피(11)의 외측 표면에는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 등이 형성되는 장치층(12)이 형성될 수 있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equipment having a tactil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glove (1)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nd a device layer (12) in which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ircuit for supplying current are formed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11) of the glove (1).

그리고, 외피(11)와 장치층(12)에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입 고정되고, 사용자는 장갑(1)을 착용하고 소정의 물체를 만질 때, 해당 물체의 표면과 관계없이 특정 촉감을 장갑(1)을 통해 느끼게 될 수 있다.And, when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outer shell (11) and the device layer (12), the user can feel a specific tactile sensation through the glove (1) when wearing the glove (1) and touching a predetermined object, regardless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이하,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촉각 구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actile implementation method using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단계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구동부(120)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계에서, 센서부(130)에서 구동부(120)의 위치 또는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을 감지할 수 있다.First, in the first step, the user's body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120). Then, in the second step, the sensor unit (130)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다음으로, 제3단계에서, 센서부(130)로부터 제어부로 전기 신호가 전달되고, 제어부에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구동부(120)의 위치 또는 구동부(120)에 가해진 힘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단계에서, 제어부에서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Next, in the third step,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130)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analyze the electric signal to deriv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120)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120). Then, in the fourth step,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제4단계에서,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로 제어부의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In the fourth step,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so that the current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can be controlled.

그 후, 제5단계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복수 개의 코일(110) 각각의 자기장이 조절되면서 구동부(120)가 운동하여 구동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촉감이 구현될 수 있다.After that, in the fifth step, the driving unit (120) moves while the magnetic fiel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a sense of touch can be implemented on the user's body by the driving unit (120).

본 발명의 촉각 구현 방법에 대한 나머지 상세한 사항은, 상기된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하다.The remaining details of the tactil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프린팅으로 제조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소형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부품을 3D 프린팅으로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각각의 제조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작동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ufactured by 3D printing, and by manufacturing each component formed in a small size as described above by 3D printing, the manufacturing precision of each component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while also improving the operating precision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장갑 11: 외피
12: 장치층
100 :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코일
111 : 제1코일 112 : 제2코일
113 : 제3코일 114 : 제4코일
120 : 구동부 121 : 접촉체
122 : 자기구동체 122a : 자성체
122b: 비자성체 123 : 연결몸체
124 : 센싱자성체 130 : 센서부
140 : 하우징 200 : 지지부
1: Gloves 11: Outer shell
12: Device layer
100 : Tactile display device 110 : Coil
111: 1st coil 112: 2nd coil
113: 3rd coil 114: 4th coil
120: Drive unit 121: Contact body
122 : Magnetic drive body 122a : Magnetic body
122b: Non-magnetic 123: Connecting body
124: Sensing magnet 130: Sensor part
140 : Housing 200 : Support

Claims (15)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어 상기 코일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구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단 부위에 형성되고, 일 부위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접촉체; 및
상기 접촉체와 결합하고 자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자기장 영역에 형성되는 자기구동체; 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의 타단 부위에 형성되고 자성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센싱자성체;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A housing having a space inside;
A coil formed inside the above housing;
A driving unit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oil by being inserted into the housing,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whose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coil; and
A sensor part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par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part;
Including,
The above coils ar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The above driving part,
A contact formed at one end of the driving unit and formed so that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magnetic driving body is provided, which is combined with the above contact body and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and is formed in the magnetic field region of the coil;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ensing magnetic bod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unit and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provide a magnetic field to the sens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 또는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driving unit performs linear or rotational mo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체는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driving body is formed of a magnetic subst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체는,
비자성체; 및
상기 비자성체와 결합되고, 상기 비자성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The above magnetic drive body is,
Non-magnetic; and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ic body that is form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non-magnetic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hat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non-magnetic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싱자성체의 자기장 세기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sensing magn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탄성을 구비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ntact body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co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s are formed in a ring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서로 다른 값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coils,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values of current ar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multiple co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s at which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are differ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자기장을 차폐시키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shields a magnetic field.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복수 개와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 시스템.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12;
A support unit that supports a plurality of tactile display devices using multi-coils; and
A haptic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tactile display devices using the plurality of multi-coils.
청구항 1의 다중코일을 이용한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촉각 구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가 구동부와 접촉하는 제1단계;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어부로 전기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구동부의 위치 또는 상기 구동부에 가해진 힘을 도출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 값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결정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의 자기장이 조절되면서 상기 구동부가 운동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촉감이 구현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구현 방법.
In a method for implementing tactile sensation using a tactile display device using a multi-coil of claim 1,
The first stage where the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A second step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n the sensor unit;
A third step in which an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electric signal to derive the position of the driving unit or the force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in the above control unit or the time for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and
A tactile implement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fth step in which the driving unit moves while the magnetic fiel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reby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on the user's body by the driving uni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가 전달되어 상기 복수 개의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각 구현 방법.
In claim 14,
A tactile implement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urth step,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a power supply unit that applies curr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thereby controlling the current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ils.
KR1020220188003A 2022-12-28 2022-12-28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Active KR102788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03A KR102788518B1 (en) 2022-12-28 2022-12-28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03A KR102788518B1 (en) 2022-12-28 2022-12-28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5118A KR20240105118A (en) 2024-07-05
KR102788518B1 true KR102788518B1 (en) 2025-03-31

Family

ID=9194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03A Active KR102788518B1 (en) 2022-12-28 2022-12-28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851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42B1 (en) *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Haptic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74B1 (en) 2007-10-23 2009-10-05 (주)피에조테크놀리지 Haptic module
KR100981269B1 (en) * 2008-02-14 2010-09-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Touchpad device for tactile feedback using tactile sensor
KR101580022B1 (en) * 2011-03-04 2015-12-23 애플 인크. Linear vibrator providing localized and generalized haptic feedback
US10710118B2 (en) 2014-02-11 2020-07-14 Vibrant Composites Inc. Complex mass trajectories for improved haptic effect
KR101763395B1 (en) * 2015-11-04 2017-08-14 주식회사 닷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165883B1 (en) * 2018-08-17 2020-10-1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Tactile sensing device, tactile sensing method and tactile learning method
KR102693958B1 (en) * 2021-03-15 2024-08-12 한국과학기술원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for real-time two-dimensional tactile input/output interac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42B1 (en) *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Haptic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5118A (en) 202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3738B1 (en) Flexible haptic actuator
KR101805473B1 (en) Vibration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886711B1 (en) Magnetic tactile supply device
KR101856461B1 (en) Tactile actuator
US12251730B2 (en) Flexible tactile actuator
KR102416316B1 (en) Radial magnet actuator
JP2009015815A (en) Tactile device
KR102129214B1 (en) Haptic system comprising wearable haptic feedback device and 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KR102756008B1 (en) Haptic Device and Haptic Module
KR20210083241A (en) Curved haptic actuator and wearable device comprising same
KR102788518B1 (en)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by using multiple coils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ense of touch using the same
JP2013149005A (en) Tactile force presenting device
JP2015533326A5 (en)
KR102597888B1 (en) Haptic Device and Haptic Module
KR20220063072A (en)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Haptic Device and Haptic Module
US11075028B2 (en) Impact actuator with 2-degree of freedom and impact controlling method
Son¹ et al. A Two-DOF Impact Actuator for Haptic
JP2024117594A (en)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