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730141B1 -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0141B1
KR102730141B1 KR1020220011087A KR20220011087A KR102730141B1 KR 102730141 B1 KR102730141 B1 KR 102730141B1 KR 1020220011087 A KR1020220011087 A KR 1020220011087A KR 20220011087 A KR20220011087 A KR 20220011087A KR 102730141 B1 KR102730141 B1 KR 10273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865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음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음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음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01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141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1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urge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트윈/메타버스 기반 가상 관제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원격진료 매칭 서비스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공지능 기반 진단명 및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NFT 기반 디지털 처방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TELEMEDICINE BASED ON ICT}
본 발명은 원격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진료는 환자가 먼저 의사를 만나고 싶은 시간에 예약을 하고 의사가 예약 시간이 되면 환자에게 전화를 거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의사의 경우 진료하고 있는 다른 환자의 진료 시간이 늘어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예약된 시간에 맞춰서 전화를 거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예약 시간이 상당히 경과하게 되면 환자는 진료를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여 다른 의사를 찾게 된다.
상기 과정은 환자의 입장에서는 진료를 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지연시켜 필요한 시점에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고, 의사 입장에서도 진료 기회 상실에 따른 수익 창출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원격진료 후 원격진료만으로 진단 및 치료가 어려워 대면 진료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환자가 원격진료를 받았던 병원이 멀리 위치해 있으면 가까이 위치한 다른 병원을 찾아가야 하고 다시 찾아간 병원에서 처음부터 진료 과정을 다시 시작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원격의료를 주로 요구하는 수요자는 노인과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하고 의료기관 밀집 지역에서 멀리 거주하고 있는 사람인데, 원격의료를 시행할 때 환자가 노인인 경우 안전한 약물 처방을 위하여 원격의료를 시행받고 있는 노인이 인지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검사를 시행하여야 할 일이 빈번하다. 따라서 노인에게 원활한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에 문제점이 있다.
원격의료를 제공하는 의사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원격진료는 통신을 통하여 진료를 하기 때문에 환자가 이야기하는 내용이 잘 들리지 않을 수 있고 환자가 원격으로 전송하는 사진과 검사결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의무기록 한꺼번에 작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원격진료가 완료된 이후 처방전을 약국에 전송하게 되는데 사진과 파일의 형태로 전송이 되게 되므로 위조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때, 특히 약국에서는 대면으로 전달된 처방전에 비하여 처방전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대면으로 전달된 처방전은 전달자의 성별과 생년월일을 비교하여 처방전에 씌여진 환자 본인인지를 대략적인 유추가 가능하나, 원격으로 전달된 처방전은 처방전을 전달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9277호(공개일: 2020.12.14)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위치에 기반하여 가까운 병원에서 지금 바로 진료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인지기능/재활치료 등 원격진료 과정에 영향을 주는 팩터에 대해 사전 검사를 통한 원활한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환자와의 진료(면담) 내용과 전송된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무 기록이 자동 기록 완성되도록 하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원격진료에 따른 디지털 처방전이 위, 변조되지 않도록 상기 디지털 처방전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원격진료 매칭 서비스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공지능 기반 진단명 및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블록체인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기반으로 제1 범위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 신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제2 단말과 제1 단말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진료 정보가 음성 데이터이면 STT(Speech to Text) 처리하여 진료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진료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되면,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른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제1 단말의 환자 정보, 진단 요약 정보 및 수집된 제1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에 대한 진단명과 추천 진단 검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생성된 진단명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처방전에 관한 블록체인 NFT 블록을 생성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서 수신한 블록체인 NFT 기반 디지털 처방전 정보가 제3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사이 및 상기 제2 단말과 제3 단말 사이의 결제는 가상화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단말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진료 매칭 서비스를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고,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며, 인공지능 기반 진단명 및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블록체인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를 빠른 시간 내에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이나 치매 등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인지 기능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대면진료로 연계하거나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재활치료 효과를 원격으로 확인하고 원격으로 재활 치료를 처방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으로 진료된 내용의 의무기록을 의사들은 별도의 노력없이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진료를 한 후에 처방전을 NFT의 형태로 만들어 전송하여 위, 변조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을 처방받는 것을 방지 및 원격진료를 한 의사와 약사가 본인부담금 면제와 같은 불법행위를 할 수 없도록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T 발행된 디지털 처방전 데이터는 영구히 보관하여 환자들의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통계분석의 재료로써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과정에서 환자에 따른 (사전) 검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서 진단 내용 요약 정보를 위한 변환 모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원격진료(telemedicine)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제공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원격진료와 관련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과 같은 ICT 기술이 이용되며, 상기 원격진료에 따른 결제 서비스는 가상화폐(cryptocurrency)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인공지능, 블록체인 및 가상화폐 기술에 관한 설명은 공지된 구성요소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한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원격진료 또는 원격의료’는, 일반적으로 환자가 직접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하는 것이 아닌 형태를 통칭하는 것으로, 전화나 비디오 콜 등을 통한 비대면 또는 온라인 방식을 이용한 진료나 의료를 말한다.
상기 원격진료와 관련하여 필요한 구성은 본 발명에 기술되는 단말(들)이나 컴퓨팅 디바이스상에 탑재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필수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관련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크게 환자 단말(100), 컴퓨팅 디바이스(200) 및 의사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복수개일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복수 개(도 1에서, n과 m은 각각 자연수)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이상 환자 단말'과 의사 단말'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환자 단말과 하나의 의사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 사이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 사이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처리, 저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공이라 함은, 해당 단말의 특성에 따른 데이터의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되는 원격진료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에 관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PC, TV,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형 단말,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등과 같은 이동형 단말, 또는 상기 원격진료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용 단말(dedicated devic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program) 등 소프트웨어(software) 내지 펌웨어(firmware)를 탑재하거나 그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은 각각, 그와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플러그-인(plug-in)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원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서버(server), 제어부, 컨트롤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크게 메모리(memory)와 프로세서(processor)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집, 획득하는 데이터와, 그러한 데이터를 가공, 생성, 처리 등이 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0)에서 수행하는 모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또는 프로세서)는, 통신모듈(210), 진료 매칭 모듈(220), 의무기록 처리모듈(230), 처방전 발급 처리모듈(24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비록 개별 구성요소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통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거나 반대일 수도 있다.
통신모듈(210)은 환자 단말(100)과 의사 단말(300) 사이에 유/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환자 단말(100) 사이와 컴퓨팅 디바이스(200)와 의사 단말(300) 사이의 통신 환경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한편, 특히 상기 무선 통신 환경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LTE, LTE-A, 5G, 6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모듈(2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특히, 진단명, 추천 진단 검사 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소스(external source)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기반 기계학습 데이터(훈련 데이터 등)로 수집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소스에는, 의료 또는 공공 의료 데이터베이스, 의료기관 데이터베이스, 의료 논문 제공 데이터베이스 등 원격진료나 의료 관련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진료 매칭 모듈(220)은 환자 단말(100)과 의료 단말(300) 사이에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상기 매칭은 후술하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나 무선 AP(Access Point) 기반으로 위치 정보 산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진료 매칭 모듈(220)은 하나의 환자 단말(100)과 하나의 의료 단말(300)을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서, 진료 매칭 모듈(220)은 하나의 환자 단말(100)과 복수의 의료 단말(300)을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의무기록 처리모듈(230)은 원격진료 서비스 과정에서 의사 단말(300)의 진료 내용 내지 의료 관련 내용을 수신하여 도 9와 같은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요약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의무기록의 'present illness '에 기록할 수 있다.
처방전 발급 처리모듈(240)은 환자 단말(100)에 의해 입력된 질병, 증상,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한 환자 정보와 상기 의무기록 처리모듈(230)의 데이터, 의사 단말(300)의 요청에 따른 진료 전/후의 환자의 생체 정보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출되는 진단명, 상기 진단명에 따른 추천 진단 검사 등에 기초하여 디지털 처방전을 발급 처리할 수 있다.
처방전 발급 처리모듈(240)은 상기 발급되는 디지털 처방전에 대하여 블록체인의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를 발행할 수 있다. 이렇게 디지털 처방전에 대하여 발행되는 NFT에 따르면, 해당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위, 변조가 거의 불가능하고, 추후 관련 증빙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250)은 도 2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의 관점에서 기술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제1 단말(환자 단말(100))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1 단말(100)에서 원격의료를 받기 위해서 본인의 증상, 증상의 발생시기, 과거 병력 등을 포함한 상기 환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의료 요청 및 환자 정보의 입력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말(100)에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된 원격의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정보에는 환자의 개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에는, 나이, 성별, 주거 지역, 현재 위치, 가족관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원격진료 매칭 서비스를 상기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의사 단말(300)) 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S120).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을 제어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 신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제2 단말과 제1 단말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환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거리 기준으로 의사 단말(300)을 원격진료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노령이거나 특정 질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원격진료 후에 추후 진단검사나 치료 등을 위하여 보다 쉽게 접근 가능하고 이용 가능한 의사를 진료단계에서부터 매칭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진료와 추후 검사나 치료의 주체가 달라지면 환자에 대한 파악에 시간이 재소요되거나 재진료 요청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혼동의 우려가 있어 의료 사고 발생 가능성 등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먼저, 제1 거리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단말(300)(예를 들어, 상기 단말에 설치된 원격의료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에 도 4의 (b)와 같이 환자가 기록한 서식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1 거리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사 단말(300) 중 현재 진료 가능 상태이며 상기 원격의료 서비스 요청에 응답 신호를 전송한 의사 단말(300)을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다만,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1 거리에 모든 의사 단말(300) 중 현재 진료 가능하고 원격의료 서비스 요청에 응답한 의사 단말(300)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제2 범위로 확장하여 다시 전술한 내용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서비스 매칭 가능한 의사 단말(300)이 나올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무한 반복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상기 서비스 매칭 가능한 의사 단말(300)이 나오지 않으면, 리셋하여 다시 제1 범위부터 새롭게 전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범위에는 1개의 의사 단말(301)이 존재하고, 제2 범위에는 3개의 의사 단말(302 내지 304)이 존재한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해당 의사 단말(301)이 현재 진료 가능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도 4의 (b)와 같이, 환자 단말(101)에서 제공한 증상 등이 해당 의상 단말(301)의 전문/전공 과목과 연관이 있는 경우에만,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각 의사 단말의 전문 과목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환자 단말(101)의 증상 입력에 따라 비록 해당 의사 단말(300)이 환자 단말(101)의 근거리(제1 거리 등)에 위치하더라도 처음부터 서비스 매칭의 대상에서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과정에서 의사 단말(300)이 서치되면 즉시 또는 자동 원격의료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전술한 과정에서 의사 단말(300)이 서치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즉시 또는 자동 원격의료 서비스 매칭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매칭 가능 리스트를 환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상기 환자 단말(100)의 선택에 따라 특정 의사 단말(300)을 배제하거나 서비스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제1 범위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미리 정한 범위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범위까지 모든 대상 의사 단말(300) 원격의료 가능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리스트를 작성 후 환자 단말(10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리스트에 범위, 상기 범위에 따라 서치되는 모든 대상 의사 단말과 각 의사 단말의 현재 원격의료 서비스 매칭 가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격의료 서비스가 매칭되면 또는 매칭 전에 미리, 필요에 따라 환자에 대한 검사 또는 사전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과정에서 환자에 따른 (사전) 검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예를 들어, 환자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노인을 원격진료 할때 인지기능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대면진료로 연계할 수 있다. 또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장애인의 재활치료 효과를 원격으로 확인하고 원격으로 재활치료를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환자가 치매 증상이 있거나 노령으로 인해 원격의료 서비스 이용 여부가 불투명한 경우에는 검사 방식의 예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g)는 각각 개별 질문이거나 서로 연관된 질문이거나 순차 레벨 질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5의 (a) 내지 (g)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임의로 선택되어 대상 환자 단말(100)에 제공되어 검사가 수행되고, 도 5의 (h)와 같이 상기 수행 결과로 측정된 합산 점수와 그에 기초하여 판단된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f)의 경우를 예로 하면, 해당 질문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300초) 내에 정답을 제공하면 해당 검사 항목에 대한 점수는 '1'로 판정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응답이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0'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 5의 (a) 내지 (g) 각 항목에 대하여 응답에 따라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점수를 배정하여, 도 5의 (h)에서 합산 점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e) 항목을 예로 하면, 해당 항목에 대하여 반복 수행을 요청하고, 반복 수행 결과에 따라 점수를 책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5회 반복 수행에서 성공 횟수가 3번인 경우에는 3점을 부여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에서 4회의 반복까지 점수를 책정하되, 1회만에 성공하면 5점, 2회만에 성공하면 4점과 같은 식으로 점수를 책정할 수 있다. 본 방식을 다른 항목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2가지의 방식을 항목별로 다르게 설정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점수를 합산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예에서, 도 5의 (h)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 여부 판단의 기준값은 컴퓨팅 디바이스(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의사 단말(300)의 도움을 받아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환자 단말(100)에 따라 개인화하여 도 5의 (a) 내지 (g)의 항목을 다르게 구성하거나 도 5의 (h)의 합산 점수에 기초한 인지기능 저하 여부 판단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지기능 의심 환자라고 하더라도 연령이나 성별 등을 참조할 때, 도 5의 (a) 내지 (h)의 내용이 조금 다르게 구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5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점수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격의료 서비스 이용 불가로 판단하여, 의료기관 직접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상 환자의 가족이나 지인 등 등록된 단말에 검사 결과 및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가 노인이거나 치매와 같은 질병이 있는 경우, 의사 단말(300)은 환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 검사를 대상 환자에게 시행하도록 의뢰할 수 있다.
전술한 도 5의 (a) 내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늘의 날짜, 환자의 현재 위치, 현재의 상황 등 다양한 내용을 말하도록 하여 대상 환자의 지남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문장을 읽어주고 이를 따라읽게 하여 기억의 등록과 언어 기능이 원활한지를 평가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간단한 더하기와 빼기 문제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대상 환자의 주의 집중력과 계산 능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숫자가 그려진 원을 여러 개 화면에 표시하고 숫자가 낮은 것부터 원들을 연결하게 하여 공간지각능력을 평가한다. 기억의 등록과 언어기능을 평가할때 보여주었던 문장을 다시 기억하게 하여 기억회상이 문제가 없는지를 평가한다. 이런 검사 결과들의 점수를 합산하여 통계학적으로 하위 5퍼센트 미만의 환자라면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의사에게 전송한다.
반면, 도 6은 예를 들어, 재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대상으로, 원활한 원격의료 서비스 또는 지속적인 서비스 관찰을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환자 단말(100)에 가동범위 측정 관절 선택을 수신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관절의 가동범위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의 (b)에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분석 결과 데이터는 주기/비주기 또는 실시간 대상 의사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 중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팅 디바이스가 아닌 대상 의사 단말(300)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6의 (c)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동영상에서 가이드 하는 대로 관절을 움직이도록 제어하여 대상 관절의 가동 범위를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대상 관절의 가동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자이로스코프의 각속도와 이동시간을 곱하여 각도 계산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6과 관련하여 테스트 과정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이 수신되면, 정확한 측정 및 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이미지 처리 필터를 이용하거나 해상도 개선 등을 처리를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테스트 이미지로부터 선택 관절에 대응하는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를 설정하여 배경을 제거하고 필요한 영역만을 추출하여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이미지 처리 기술,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 대하여 의사는 대상 환자에게 단말을 이용하여 관절 가동 범위를 측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단말에 내장된 가속 센서와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대상 환자가 재활받고 있는 관절을 이용하여 이동한 각도를 구할 수 있고 이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의 기록된 관절가동범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환자에게 시행하고 있는 재활 치료가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2 단말(300)로부터 원격진료 서비스 과정에서의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S130),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S110 과정에서 수신한 환자 정보와, 상기 S130 과정에서 수신한 진료 정보 내지 상기 S140 과정에서 생성한 의무 기록 정보를 포함하여, 인공지능 기반, 즉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원격진료 서비스의 대상인 환자에 대한 진단명 및 상기 진단명에 따른 적절한 추천 서비스 예를 들어,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300)(또는 제1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상기 S150 과정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제2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00) 사용자(즉,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신한 생체 정보를 상기 기계학습 모델의 입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서 진단 내용 요약 정보를 위한 변환 모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의료 정보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S210, S220), 수신한 진료 정보를 STT(Speech to Text) 처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30).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S230 단계의 STT 처리 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된 진료 정보로부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내용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40).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도 8의 (d)에 되시된 바와 같이 대상 의사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진료 전/후에 또는 전/후의 대상 환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50).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수신한 환자 의료 정보, 진료 내용 요약 정보(또는 변환된 의무기록정보), 생체 정보 등을 학습하여 대상 환자의 진단명과 상기 진단명에 대한 진단 검사 내용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260). 수신된 생체 정보는 의사 단말(300)로 전달되어 Physical Examination'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대상 의사 단말(300)에서 상기 S26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진단명에 기초하여 디지털 처방전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STT 처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통상 원격의료 서비스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방식이 이용되는바, 대상 환자와 의사 사이에 음성을 통한 진료 내지 진단 대화가 이루어지는바, 그 경우에는 STT 처리를 통한 진료 텍스트 데이터의 생성이 요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TTS(Text to Speech)를 통해 재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를 대상 환자 단말(100) 또는 의사 단말(300)에 제공하여 원격의료 서비스에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S240 단계 또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료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되면, 변환 모델(transformer model)을 이용하여 진단 요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변환 모델의 예시가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의사 단말(300)은 원격으로 진료된 내용의 의무기록을 별도의 노력없이 손쉽게 기록 및 획득할 수 있다.
대상 환자가 최초에 보내온 주 증상과 발생 시기를 기록하여 의무 기록의 'Chief Complaint' 항목을 작성할 수 있으며, 진료(면담) 내용을 인공지능의 STT 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로 전환하여,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요약하며 이러한 요약 결과를 의무 기록의 'Present Illness'에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대상 환자가 찍어서 보내온 병변 사진은 의무기록의 Objective에 기록할 수 있으며, 대상 환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시행한 검사 결과는 의무 기록의 'Physical Examination' 항목에 기록할 수 있다. 이렇게 모아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예를 들어, 순환신경망을 이용하여 가능한 진단을 추천할 수 있다. 의사가 진단을 선택하면 다시 순환신경망이 작동하여 다음 단계를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제2 단말(300)로부터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여 생성된 디지털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하여 블록체인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S160).
상기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0)는 상기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블록체인 NFT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상기 디지털 처방전이 재발행, 추가, 정보 변경 등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처방전에 대해 발행된 블록체인 NFT 블록을 갱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NFT 발행 즉, NFT 블록 생성 이후에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의사 단말(300)은 원격진료를 끝내고 약품 처방을 하면 환자의 정보와 의료기관의 정보, 처방의사의 정보, 약품 처방에 관한 정보 등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NFT 블록(NFT 처방전)이 생성되어, 의사의 지갑에서 환자의 지갑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의사 단말(300)은 처방전 생성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으며, 환자 단말(100)은 본인부담금전액을 지불하고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다(B).
환자 단말(100)은 약품을 조제받고자 하는 약국으로 내원하여 약사 단말(1010)의 지갑으로 NFT 처방전을 전송하고, 약사 단말(1010)은 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주면서 NFT 처방전을 수신하여 보관하며, 의사 단말(100)에게 지불한 진료비 전액 중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금액과 약제비의 차액을 환자 단말(100)에게 돌려줄 수 있다. 이 때, 가상 화폐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환자에게 모아진 NFT 처방전을 건강보험공단(1020)이 추후에 조제료를 약사에게 지급하면서 인수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NFT 처방전은 영구히 보관되며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일시적으로 건강보험본인부담금을 환자와 약사 단말(1010)이 과다 부담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과다 부담 케이스에서, 가상 화폐의 경우는 건강보험공단(1020)이 일시적으로 Defi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를 빌려주고 추후 진료비 건강보험 부담금을 약사 단말(1010) 또는 건강보험공단(1020)에게 받게 되면 건강보험공단(1020)에 다시 상환하게 한다.
즉, NFT 처방전에 대한 결제 방식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진료를 한 후에 처방전을 NFT의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위, 변조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을 처방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진료를 한 의사 단말과 약사 단말에 대하여 본인부담금 면제와 같은 불법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NFT 처방전은 영구히 보관 가능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병력 히스토리를 그래프나 다양한 직관적인 형태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관련하여 환자들의 장기적인 예후나 질병 예측 등 다양한 통계 분석의 재료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증상, 증상의 발생시기, 과거 병력 및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인지 기능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인지 기능 사전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원격진료 매칭 서비스를 상기 인지 기능 사전 검사 결과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제2 단말과의 원격진료 매칭을 제공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인공지능 기반 진단명 및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블록체인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 기능 사전 검사는 미리 정해진 복 수의 사전 질문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복 수의 사전 질문은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지남력, 기억의 등록, 기억 회상, 언어 기능, 주의 집중력, 계산 능력 및 공간 지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서로 연관된 질문 또는 서로 개별적인 질문의 집합이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사전 질문에 대한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응답이 미리 정해진 정답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각각의 응답마다 개별적으로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각각의 응답마다 산출된 점수의 합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원격진료 매칭은 대면진료 연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환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 매칭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기반으로 제1 범위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에 상기 제1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 신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제2 단말과 상기 제1 단말의 연결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진료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진료 정보가 음성 데이터이면 STT(Speech to Text) 처리를 수행하여 진료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텍스트 데이터가 생성되면,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진단 요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른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제1 단말의 환자 정보, 진단 요약 정보 및 수집된 제1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학습하여,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에 대한 진단명과 추천 진단 검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하여 블록체인 NFT 블록을 생성 또는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 서비스 이용 비용 및 블록체인 NFT가 발행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결제 방식은,
    가상화폐를 이용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10.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단말로부터 증상, 증상의 발생시기, 과거 병력 및 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인지 기능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의 사용자에 대해 인지 기능 사전 검사를 수행하며, 상기 인지 기능 사전 검사 결과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제2 단말과의 원격진료 매칭을 제공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 의무 기록 정보를 생성하며, 인공지능 기반 진단명 및 진단 검사에 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생성된 진단명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처방전을 수신하며, 수신된 디지털 처방전에 대한 블록체인 NFT를 발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지 기능 사전 검사는 미리 정해진 복 수의 사전 질문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선택되어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복 수의 사전 질문은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지남력, 기억의 등록, 기억 회상, 언어 기능, 주의 집중력, 계산 능력 및 공간 지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서로 연관된 질문 또는 서로 개별적인 질문의 집합이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사전 질문에 대한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응답이 미리 정해진 정답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단말 사용자의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각각의 응답마다 개별적으로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각각의 응답마다 산출된 점수의 합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원격진료 매칭은 대면진료 연계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환되는,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20011087A 2022-01-25 2022-01-25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273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087A KR102730141B1 (ko) 2022-01-25 2022-01-25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087A KR102730141B1 (ko) 2022-01-25 2022-01-25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865A KR20230114865A (ko) 2023-08-02
KR102730141B1 true KR102730141B1 (ko) 2024-11-15

Family

ID=8756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087A Active KR102730141B1 (ko) 2022-01-25 2022-01-25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0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85887A (ko) 2023-12-05 2025-06-1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의 민감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한 비대칭 키 암호화 기반 원격 진료시스템 및 방법
KR102812611B1 (ko) * 2024-11-15 2025-05-26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 과정에서의 진료기록 자동요약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2283A1 (en) * 2014-05-13 2015-11-19 Nant Holdings Ip, Llc Healthcare transaction validation via blockchain proof-of-work, systems and methods
KR102309022B1 (ko) * 2021-02-09 2021-10-07 메디팜소프트(주)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191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원격 진료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80055234A (ko) * 2016-11-16 2018-05-25 (주)라우기술 음성을 이용한 치과진료 시스템
KR102190056B1 (ko) * 2018-08-31 2020-12-11 주식회사 모노라마 빅데이터 기반의 환자 맞춤형 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복약 정보 제공 방법
KR20200139277A (ko) 2019-06-03 2020-12-14 주식회사 스마트솔루션 메신저 인증 서버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1197A (ko) * 2020-05-15 2021-11-23 코리 컴퍼니 리미티드 원격 진료를 위한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2283A1 (en) * 2014-05-13 2015-11-19 Nant Holdings Ip, Llc Healthcare transaction validation via blockchain proof-of-work, systems and methods
KR102309022B1 (ko) * 2021-02-09 2021-10-07 메디팜소프트(주)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865A (ko)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ton et al. The Health-e Babies App for antenatal education: Feasibility for socially disadvantaged women
Pilgrim et al. Provider perspectives on PrEP for adolescent girls and young women in Tanzania: The role of provider biases and quality of care
Rutt et al. Effectiveness of cognitive processing therapy and prolonged exposure in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JP7479168B2 (ja) 問診装置
Lee et al. Valid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measuring motor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US20070143151A1 (en) Preventive health care device, system and method
Williams et al. Parkinsonian hand or clinician’s eye? Finger tap bradykinesia interrater reliability for 21 movement disorder experts
Mooney et al. Patient decision aid for medication treatment for opioid use disorder (PtDA-MOUD): Rationale, methodology, and preliminary results
Clays et al. Proof-of-concept trial results of the HeartMan mobile personal health system for self-management in congestive heart failure
KR102730141B1 (ko) Ict 기반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archenko et al. Sources of safety data and statistical strategies for design and analysis: real world insights
Cvetkovski et al.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allergic rhinitis net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tient
Paré et al. Medical students’ intention to integrate digital health into their medical practice: a pre-peri COVID-19 survey study in Canada
Hsu et al. Primary care physician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from BP-CHECK qualitative interviews
Huang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eHealth literacy measurement too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Yarznbowicz et al. Pain pattern classification and directional preference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olvanen et al. Patient enablement after a single appointment with a GP: analysis of Finnish QUALICOPC data
Perez‐Bustos et al. A patient navigation initiative to improve access to breast cancer care in Cali, Colombia
Reaney et al. The potential role of individual-level benefit-risk assessment in treatment decision making: a DIA study endpoints community workstream
WO2019130495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薬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44907B1 (ja) 保険の引受査定を支援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McCleary et al. Perceived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decision making by General Practitioners: a systematic review of scenario studies
Grant et al. The decision to intensify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an experiment using a clinical case vignette
Jensen et al. Public perception of cancer survival rankings
Chiou et al. Usability testing of a mobile application for alleviating postpartum emotional disorders: a case of w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1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