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736723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6723B1
KR102736723B1 KR1020190083429A KR20190083429A KR102736723B1 KR 102736723 B1 KR102736723 B1 KR 102736723B1 KR 1020190083429 A KR1020190083429 A KR 1020190083429A KR 20190083429 A KR20190083429 A KR 20190083429A KR 102736723 B1 KR102736723 B1 KR 10273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isplay device
unit
area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3627A (en
Inventor
이현주
김준우
김대원
김시용
남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861,21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32087B2/en
Priority to CN202010502964.1A priority patent/CN112083823B/en
Publication of KR2020014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72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폴딩 정보 검출부, 제어 모듈 및 왜곡 보상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된다. 폴딩 정보 검출부는 표시패널의 폴딩 정보를 검출하고, 제어 모듈은 폴딩 정보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폴딩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왜곡 보상부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a control module, and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and a folding area that is folded around a virtual folding axis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non-folding area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are defined.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control module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ompensates for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딩 영역에서 개선된 표시 품질을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in a folding area.

근래에 휘어지거나 접어지는 표시패널(이하, 플렉서블 표시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모듈은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다양한 기능층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한다. Recently, a display panel that can be bent or fol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exible display module) has been developed. This flexible display module includes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various functional members. The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es a base member, various functional layers arranged on the base member, and pixels arranged on the base member.

롤러블 표시장치 또는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A rollable display device or a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es the flexibl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영역에서의 굴곡 변형으로 표시 품질 저하를 개선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display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bending deformation in a folding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폴딩 정보 검출부, 폴딩 정보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폴딩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는 왜곡 보상부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defines a folding area that folds around a virtual folding axis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non-folding area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and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at compensates for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동작에 대한 누적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누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폴딩 정보를 생성하는 폴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폴딩 정보를 저장하는 폴딩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ccumulated information on a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a fol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the fol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ccumulated information, and a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folding information.

상기 측정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누적 폴딩 시간을 측정하는 누적 시간 측정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누적 폴딩 횟수를 측정하는 누적 횟수 측정부를 포함한다.The above measuring unit includes an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of the display panel, and an accumulated number of times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the display panel has been folded.

상기 폴딩 정보 생성부는, 폴딩 시간 및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변형량이 저장된 룩 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정보 생성부는 상기 누적 폴딩 시간 및 상기 누적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변형량을 독출하고, 독출한 변형량을 상기 폴딩 정보로써 출력한다.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look-up table in which a deformation amount is stored based on a folding time and a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and 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reads out a corresponding deformation amount from the look-up table based on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and the number of accumulated folding operations, and outputs the read-out deformation amount as the folding information.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구비된 스트레인 센서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train sensor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누적 시간 측정부 및 상기 누적 횟수 측정부는 상기 스트레인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누적 폴딩 시간 및 누적 폴딩 횟수를 각각 계산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and the above-mentioned accumulated number of times measuring unit can calculate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respectively,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from the strain sensor.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put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and the strain sensor can be plac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폴딩 정보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가 저장된 룩업 테이블,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보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ncludes a lookup table storing compens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information, and a compensation unit receiving image data, receiving the compensation data from the lookup table, and outputting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the compensation data and the image data.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폴딩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비교 결과 상기 폴딩 정보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부는 턴-오프되고, 상기 폴딩 정보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부가 턴-온될 수 있다.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foldin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if the folding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mpensation unit can be turned off, and if the folding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can be turned on.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폴딩 영역에 기 설정된 보상 패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above compensation data may be data set to display a preset compensation pattern in the folding area.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기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above compensation data may be data set to display a preset image in the above folding area.

상기 표시장치는, 기준 주파수로 동작하는 정상 동작 모드 및 상기 기준 주파수 이하로 동작하는 저주파 동작 모드에 따라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frequency driving control unit that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mode that operates at a reference frequency and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hat operates below the reference frequency.

상기 표시패널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panel includes pixels connected to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ta driver that outputs a data signal to the data line and operates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by the power control signal.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동작 모드에서 턴-온되어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The abov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provided in the data driver and can be turned on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in the folding area.

상기 왜곡 보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합성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공급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합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한다.The synthetic data output from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supplied to the data driver, and the data driver converts the synthetic data into the data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data line.

상기 표시장치는,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ensor unit that measures ambient illuminance.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주변 조도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는 조도 비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ambient illuminance measur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보상부가 턴-오프되고,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높으면, 상기 보상부를 턴-온될 수 있다.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may be turned off, and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may be turned on.

여기서, 상기 기준 조도값은 200nit일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may be 200 nit.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상기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폴딩 영역 중 제1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제1 폴딩 정보 검출부, 및 상기 폴딩 영역 중 제2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제2 폴딩 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first detection area among the folding areas, and a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second detection area among the folding areas.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입력 감지부,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되는 제1 스트레인 센서, 및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input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a first strain sensor arrang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a second strain sensor arrang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상기 제1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제1 스트레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스트레인 값에 따라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제2 스트레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스트레인 값에 따라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생성한다.The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generates fold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rain value measured through the first strain sensor, and the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generates folding information for the second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rain valu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strain sensor.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The abov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an perform different compensations for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스트레인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폴딩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는 왜곡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defines a folding area that folds around a virtual folding axis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non-folding area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an input detection unit that is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and includes a strain sensor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f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rain sensor, and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at compensates for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술한 바에 따르면, 폴딩 동작에 의해서 폴딩 영역에 굴곡 변형이 발생될 경우, 폴딩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하여 폴딩 영역의 굴곡 변형으로 인한 표시 품질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when a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a folding area due to a folding operation, the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can be compensated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display quality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olding area.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영역의 굴곡 변형이 일어난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굴곡 변형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굴곡 변형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누적 폴딩 횟수 및 누적 폴딩 시간에 따른 변형량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폴딩 정보 검출부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왜곡 보상부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3a은 도 11에 도시된 입력 감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B1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c는 도 13b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1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동 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왜곡 보상부의 블럭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bending deformation in a fold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4a.
Figure 5b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4b.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and cumulative folding time.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lock diagram of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ure 7.
Figure 9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shown in Figure 7.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10.
Figure 12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ure 11.
Fig. 13a is a plan view of the input det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1.
Figure 1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B1 portion shown in Figure 13a.
Figure 1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 shown in Figure 13b.
Figure 14a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Ⅱ-Ⅱ` shown in Fig. 14a.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of the drive module illustrated in Figure 16.
Figure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lan view of an inpu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shown in Fig. 23.
Figure 2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directly connected/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dentical drawing symbols refer to identical components.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proportion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contents.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constructs that can be defin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depicted in the drawings. Thes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인-폴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아웃-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lded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folded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 제2 표시영역(DA2), 및 폴딩영역(FA)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표시장치는 2개 이상의 폴딩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A to 1C,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DA1), a second display area (DA2), and a folding area (FA).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S. 1A to 1C is only an example, and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two or more folding areas.

폴딩영역(FA)은 제1 표시영역(DA1)과 제2 표시영역(DA2) 사이에 배치된다. 폴딩영역(FA)에는 폴딩축(FX)이 정의된다. 폴딩축(FX)은 표시장치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회전축으로써 표시장치의 기구 구조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The folding area (F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 folding axis (FX) is defined in the folding area (FA). The folding axis (FX) is a rotation axis that occurs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and can be generated by the mechanica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표시장치는 이미지(IM)를 표시하는 표시면(DS)을 포함한다. 표시면(DS)은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 및 폴딩영역(FA)의 표시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펼쳐진 상태의 표시면(DS)을 정의한다. 제3 방향(DR3)은 표시장치의 두께 방향을 지시한다. 또한, 제2 방향(DR2)은 폴딩축(FX)의 연장방향을 지시한다.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surface (DS) that displays an image (IM). The display surface (DS) can be divided into a display surface of a first display area (DA1), a display surface of a second display area (DA2), and a display surface of a folding area (FA). 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define the display surface (DS) in an unfolded state. The third direction (DR3) indicates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DR2) indicate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olding axis (FX).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과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된다. 이하, 서로 다른 표시영역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in-folding)이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표시영역(DA1)이 폴딩축(FX)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표시장치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A1)과 제2 표시영역(DA2)이 정렬되도록 표시장치를 인-폴딩하기 위해서, 폴딩축(FX)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표시장치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b and 1c, the display device is folded along the folding axis (FX) so that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face each other. Hereinafter, folding so that the display surfaces of different display areas face each other is defined as in-fold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can be in-folded by rotating the first display area (DA1) clockwise along the folding axis (FX). In order to in-fold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re aligned, the folding axis (FX) can be defin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과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축(FX)을 따라서 폴딩될 수도 있다. 이하, 서로 다른 영역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out-folding)이라 정의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c,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axis (FX) so that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face outward. Hereinafter, folding so that the display surfaces of different areas face outward is defined as out-folding.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과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이미지(IM)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영역(FA)의 표시면도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DA1), 제2 표시영역(DA2), 및 폴딩영역(FA)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A to 1C,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IM) whe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olding area (FA) exposed to the outside can also display the image (IM). As illustrated in FIG. 1A,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the image (IM) in an unfolded state.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folding area (FA) can each display images that provide independent information, or can each display portions of one image that provides one piece of informa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폴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폴딩영역들(FA1, FA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폴딩영역들(FA1, FA2)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lding areas (FA1, FA2). In this embodiment, a display device including two folding areas (FA1, FA2)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표시장치는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DA1, DA2, DA3), 및 제1 및 제2 폴딩영역(FA1, FA2)을 포함한다. 표시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폴딩영역(FA1)은 제1 표시영역(DA1)과 제2 표시영역(DA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폴딩영역(FA2)은 제2 표시영역(DA2)과 제3 표시영역(DA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폴딩 영역(FA1, FA2)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includes first to third display areas (DA1, DA2, DA3), and first and second folding areas (FA1, FA2). When the display device is unfolded, the first folding area (FA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second folding area (FA2)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third display area (DA3).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reas (FA1, FA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 및 제2 폴딩영역(FA1, FA2)에는 제1 폴딩축(FX1) 및 제2 폴딩축(FX2)이 각각 정의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제1 폴딩축(FX1) 및 제2 폴딩축(FX2)을 따라 인-폴딩되거나 아웃-폴딩될 수 있다.A first folding axis (FX1) and a second folding axis (FX2) may be defined in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reas (FA1, FA2), respectively. The display device may be in-folded or out-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the second folding axis (FX2).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제1 폴딩영역(FA1)에서 인-폴딩되고, 제2 폴딩축(FX2)을 따라서 제2 폴딩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 및 제3 표시영역(DA3)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제1 폴딩영역(FA1)의 표시면 및 제2 폴딩영역(FA2)의 표시면도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b, the display device can be in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in the first folding area (FA1) and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X2) in the second folding area (FA2).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n image (IM) whe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third display area (DA3)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folding area (FA1)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folding area (FA2) that are exposed to the outside can also display the image (IM).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제1 폴딩영역(FA1)에서 아웃-폴딩되고, 제2 폴딩축(FX2)을 따라서 제2 폴딩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1 폴딩 영역(FA1)에서 아웃-폴딩되고, 제2 표시영역(DA2)의 표시면과 제3 표시영역(DA3)의 표시면이 마주하도록 제2 폴딩영역(FA2)에서 인-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는 제1 표시영역(DA1)을 통해 외부에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비폴딩 상태의 표시장치는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DA1~DA3)의 표시면 및 제1 및 제2 폴딩영역(FA1)의 표시면에서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C, the display device can be outfolded in the first folding area (FA1)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infolded in the second folding area (FA2)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X2). The display device can be outfolded in the first folding area (FA1) so that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infolded in the second folding area (FA2) so that the display surfaces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display surfaces of the third display area (DA3) face each other.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in the folded state can display an image (IM)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e display device in the non-folded state can display an image (IM) on the display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display areas (DA1 to DA3) and the display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reas (FA1).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표시장치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의 구체화된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힌지 모듈(230)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폴딩영역(FA1) 및 제2 폴딩영역(FA2)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corresponds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The hinge module (230) described below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folding area (FA1) and the second folding area (FA2)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100)은 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표시모듈(100) 전체가 연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표시모듈(100)의 일부분(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모듈(100)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표시영역(DA1), 제2 표시영역(DA2) 및 폴딩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00) and a housing (200).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a flexible display module having flexibility.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display module (100) may have flexibility, or only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00) (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FA)) may have flexibility. The display module (10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DA1), a second display area (DA2), and a folding area (F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표시모듈(100)은 하우징(200)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결합된다. 표시모듈(100)과 하우징(200)의 결합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우징(200)은 표시모듈(100)이 배치되는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200)은 소정의 공간을 정의할 수 있고, 표시모듈(100)은 소정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단차진 공간을 정의할 수 있고, 표시모듈(100)은 단차진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00) is partially or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20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housing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housing (200) may provide a flat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module (100) is arrang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0) may define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The housing (200) may define a stepped space, and the display module (100) may be arranged in the stepped space.

표시모듈(100)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특정한 영역에서 접혀질 수 있다. 표시모듈(100)은 적어도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일 수 있다. 기능성 부재들은 보호 부재, 광학 부재,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00) can be rolled up as a whole or folded in a specific area. The display module (100) includes at least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functional members. The display panel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or an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The functional members may include a protective member, an optical member, a touch panel, and the like.

하우징(200)은 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제1 지지모듈(210), 제1 지지모듈(210)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지지모듈(220), 및 제1 지지모듈(210)와 제2 지지모듈(220)을 연결하는 힌지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표시모듈(100)의 표시영역들(DA1, DA2)에 대응하는 개수의 지지모듈을 포함한다.The housing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art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using (2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odule (210), a second support module (220) that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a hinge module (230) that connects 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the second support module (220). The housing (200) includes a number of support modul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s (DA1, DA2) of the display module (100).

제1 지지모듈(210)과 제2 지지모듈(220)은 제1 표시영역(DA1) 및 제2 표시영역(DA2)을 각각 지지하며, 제1 표시영역(DA1) 및 제2 표시영역(DA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모듈(210)과 제2 지지모듈(220) 각각은 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거나, 사출성형/압출 성형된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the second support module (220) support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respectively,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the second support module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s coupled to each other, or may have an integral shape formed by injection molding/extrusion molding.

도 3a 및 도 3b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된 2개의 힌지모듈들(23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힌지모듈(23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개의 힌지모듈들(230) 각각은 표시모듈(100)의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제1 지지모듈(210)과 제2 지지모듈(220)을 연결한다. 2개의 힌지모듈들(230) 각각의 일측 끝단은 제1 지지모듈(21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제2 지지모듈(220)에 결합된다.FIGS. 3A and 3B illustrate two hinge modules (230) spaced apart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number of hinge modules (2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ach of the two hinge modules (23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a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the second support module (220). One end of each of the two hinge modules (23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odule (2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odule (220).

본 발명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하우징(200)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200)의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housing (200) illustrated in FIGS. 3a and 3b, and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20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영역의 굴곡 변형이 일어난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굴곡 변형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4b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굴곡 변형에 따른 휘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누적 폴딩 횟수 및 누적 폴딩 시간에 따른 변형량을 나타낸 표이다.FIG. 4A and FIG. 4B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bending deformation of a fold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ending de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A, and FIG. 5B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ending de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B. FIG. 6 is a table showing deform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and cumulative folding tim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의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 동작에 의하여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표시모듈(100)에 피로가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표시모듈(100)의 형상이 변할 수 있다. 형상 변형은 표시모듈(100)의 폴딩 영역(FA)에서 처짐 또는 뭉침 등의 굴곡 변형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fatigue may accumulate in the display module (100)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FA) due to the repetitiv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00) may change in response to the folding area (FA). The shape deformation includes bending deformation such as sagging or bunching in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100).

특히, 폴딩 영역(FA)의 굴곡 변형율은 표시장치의 누적 폴딩 횟수 및 누적 폴딩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누적 폴딩 횟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누적 폴딩 시간이 증가할수록 굴곡 변형율은 커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lexural strain of the folding area (FA) may vary depending on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and the cumulative folding time of the display device. That is, as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and the cumulative folding time increase, the flexural strain may increase.

도 4a 내지 도 5b에서는 굴곡 변형율을 폴딩 영역(FA)에서의 표시모듈(100)의 높이차로 표현하였다. In FIGS. 4a to 5b, the bending strain is expressed as a height difference of the display module (100) in the folding area (F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굴곡 변형이 발생된 표시모듈(100)은 폴딩 영역(FA) 내에서 볼록하게 뭉친 형상을 갖는 제1 영역(A1) 및 오목하게 처진 형상을 갖는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폴딩 영역(FA)에 두 개의 제1 영역(A1) 및 하나의 제2 영역(A2)이 포함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 영역(A1, A2)은 폴딩 영역(FA)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display module (100) in which a bending deformation has occurred may include a first region (A1) having a convexly concave shape and a second region (A2) having a concavely sagging shape within the folding area (FA). In FIG. 4A, a structure in which two first regions (A1) and one second region (A2) are included in the folding area (FA)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regions (A1, A2) may be provided in the folding area (FA).

도 4a에서 표시모듈(100)은 제1 굴곡 변형율(t1)을 갖는다. 제1 굴곡 변형율(t1)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의 높이차로 정의된다. 한편, 도 4b에서 표시모듈(100)은 제2 굴곡 변형율(t2)을 갖는다. 제2 굴곡 변형율(t2) 역시 제1 및 제2 영역(A1, A2)의 높이차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2 굴곡 변형율(t2)은 제1 굴곡 변형율(t1)보다 클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표시 모듈(100)은 도 4a에 도시된 표시모듈(100)에 비하여 누적 폴딩 횟수가 많거나 누적 폴딩 시간이 긴 표시모듈일 수 있다.In Fig. 4a, the display module (100) has a first bending strain (t1). The first bending strain (t1) is defined a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1) and the second region (A2). Meanwhile, in Fig. 4b, the display module (100) has a second bending strain (t2). The second bending strain (t2) is also defined a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1, A2). Here, the second bending strain (t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bending strain (t1). That is, the display module (100) illustrated in Fig. 4b may be a display module having a greater number of cumulative folding times or a longer cumulative folding time than the display module (100) illustrated in Fig. 4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 폴딩 횟수가 n회인 경우보다 7n회로 증가할수록 굴곡 변형율이 40.1㎛에서 40.7㎛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 누적 폴딩 횟수에서 누적 폴딩 시간이 k시간에서 4k시간으로 증가함에 따라 대략 0.3㎛로 변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누적 폴딩 횟수 및 누적 폴딩 시간이 증가할수록 굴곡 변형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increases from n to 7n, the bending strain increases from 40.1 μm to 40.7 μm. In addition, when the cumulative folding time increases from k hours to 4k hours at the sam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the strain increases by approximately 0.3 μm. In other words, the bending strain increases as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and the cumulative folding time increase.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로, 굴곡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누적 폴딩 횟수 및 누적 폴딩 시간 만을 도시하였으나, 변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굴곡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폴딩 각도, 폴딩 영역(FA)의 위치 및 폴딩 영역(FA)의 길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Fig. 6,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and the cumulative folding time are shown as variables affecting the bending deformation, but the variables are not limited thereto. The variables affecting the bending de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ding angle, the position of the folding area (FA), and the length of the folding area (FA).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위와 같이 표시모듈(100)의 폴딩 영역(FA)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면, 폴딩 영역(FA)의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굴곡 변형에 의한 폴딩 영역(FA)의 휘도 증가는 굴곡 변형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5a의 제1 그래프(g1)는 표시모듈(100)의 변형율 곡선이고, 제2 그래프(g2)는 표시모듈(100)의 휘도 곡선이다. 표시모듈(100)의 폴딩 영역(FA)이 제1 굴곡 변형율(t1)을 갖는 경우, 폴딩 영역(FA)의 휘도가 기준 휘도값(Aref)에 대비하여 제1 값(d1)만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when a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100) as described above, the luminance of the folding area (FA) may increase. The increase in the luminance of the folding area (FA)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bending strain. That is, the first graph (g1) of FIG. 5A is a strain curv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second graph (g2) is a luminance curve of the display module (100). When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100) has a first bending strain (t1), the luminance of the folding area (FA) appears to have increased by a first value (d1) compared to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ref).

한편, 도 5b의 제3 그래프(g3)는 표시모듈(100)의 변형율 곡선이고, 제4 그래프(g4)는 표시모듈(100)의 휘도 곡선이다. 표시모듈(100)의 폴딩 영역(FA)이 제2 굴곡 변형율(t2)을 갖는 경우, 폴딩 영역(FA)의 휘도가 기준 휘도값(Aref)에 대비하여 제2 값(d2)만큼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제2 굴곡 변형율(t2)은 제1 굴곡 변형율(t1)보다 크고, 제2 값(d2)은 제1 값(d1)보다 클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graph (g3) of Fig. 5b is a strain curv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the fourth graph (g4) is a luminance curve of the display module (100). When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100) has a second bending strain (t2), the luminance of the folding area (FA) appears to have increased by a second value (d2) compared to the reference luminance value (Aref). Here, the second bending strain (t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bending strain (t1), and the second value (d2)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value (d1).

또한, 동일 굴곡 변형율에서 폴딩 영역(FA)에서의 휘도 차이에 대한 시인성은 주변 조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에 주변 조도가 낮은 경우보다 휘도 변화가 더 잘 시인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isibility of the luminance difference in the folding area (FA) at the same flexural strain may vary depending on the ambient illuminance. That is,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 the luminance change may be more visible than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

표시장치의 언폴딩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할 경우, 폴딩 영역(FA)에 굴곡 변형이 발생하면, 볼록하게 뭉친 형상에 의해서 제1 영역(A1)에서 외부광의 반사율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외광 반사에 의해서 폴딩 영역(FA)에서의 휘도가 높게 나타나거나 눈부심 현상이 시인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unfold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when displaying an image, if a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the folding area (FA), the reflectance of external light in the first area (A1) may increase due to the convexly packed shape.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high brightness in the folding area (FA) or a glare phenomenon being recognized may occur due to such external light reflection.

이로써, 폴딩 영역(FA)과 제1 및 제2 표시 영역(DA1, DA2, 즉 비폴딩 영역) 사이에서 휘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동일 계조에서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보다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휘도 편차는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As a result, a luminance deviation may occur between the folding area (FA)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DA1, DA2, i.e., non-folding areas). That is, at the same grayscale, the folding area (FA) may have higher luminance than the non-folding area, and this luminance deviation may affec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폴딩 정보 검출부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왜곡 보상부의 블럭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1)는 표시모듈(100), 제어 모듈(CM), 폴딩 정보 검출부(FID) 및 왜곡 보상부(CCP)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isplay device (DD1) includes a display module (100), a control module (CM),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and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제어 모듈(CM)은 표시장치(DD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100)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모듈(100)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기타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CM)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DD1). The control module (CM) may be a microprocessor.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CM)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display module (100). The control module (CM) may control other modules based on touch signals received from the display module (100).

제어 모듈(CM)은 폴딩 정보 검출부(FID)로부터 전달받은 표시장치(DD1)의 폴딩 정보를 기초로 왜곡 보상부(CCP)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CM) can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based on the fold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DD1) received from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장치(DD1)는 제어 모듈(CM)에 연결된 전원 공급부, 무선통신 모듈, 영상입력 모듈, 음향입력 모듈, 메모리, 및 외부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device (DD1)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C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 image input module, an audio input module, a memory, and an external interfac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폴딩 정보 검출부(FID)는 표시장치(DD1)의 폴딩 상태를 기초로 폴딩 정보를 검출한다. 폴딩 정보 검출부(FID)에서 검출된 폴딩 정보는 제어모듈(CM)을 통해서 왜곡 보상부(CCP)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detects fol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1).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can be used to control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through the control module (CM).

폴딩 정보 검출부(FID)은 측정부(AID), 폴딩 정보 생성부(FIG) 및 폴딩 정보 저장부(FIS)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AID), a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G), and a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FIS).

측정부(AID)는 표시장치(DD1)의 폴딩 동작에 대한 누적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측정부(AID)는 표시장치(DD1)의 폴딩 상태 및/또는 언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측정부(AID)는 누적 시간 측정부(ATD) 및 누적 횟수 측정부(ACD)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AID) can measure accumulated information o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DD1). To do so, the measuring unit (AID) can determine the folding state and/or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1).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unit (AID) can include an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ATD) and an accumulated number of times measuring unit (ACD).

누적 시간 측정부(ATD)는 표시장치(DD1)의 누적 폴딩 시간을 측정하고, 누적 횟수 측정부(ACD)는 표시장치(DD1)의 누적 폴딩 횟수를 측정한다.The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ATD) measures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of the display device (DD1), and the accumulated count measuring unit (ACD) measures the accumulated folding count of the display device (DD1).

폴딩 정보 생성부(FIG)는 누적 정보를 기초로 폴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폴딩 정보 생성부(FIG)는 폴딩 시간 및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변형량이 저장된 룩 업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정보 생성부(FIG)는 누적 폴딩 시간 및 누적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룩 업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변형량을 독출하고, 독출한 변형량을 폴딩 정보로써 출력한다.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G) can generate folding information based on accumulated information. 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G) can further include a look-up table in which a deformation amount is stored based on the folding time and th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G) reads out a corresponding deformation amount from the look-up table based on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and th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and outputs the read-out deformation amount as folding information.

폴딩 정보 저장부(FIS)는 폴딩 정보 생성부(FIG)로부터 출력된 폴딩 정보를 저장한다. 폴딩 정보 저장부(FIS)에 저장된 폴딩 정보는 제어 모듈(CM)로 제공될 수 있다. 폴딩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어 모듈로 제공되거나, 또는 기 설정한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제어 모듈(CM)로 제공될 수 있다.The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FIS) stores the fold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G). The fol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FIS)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CM). The fold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at the user's request, or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CM) periodically at preset time intervals.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왜곡 보상부(CCP)는 제어 신호에 따라 폴딩 정보를 수신하여 폴딩 영역(FA, 도 1a에 도시됨)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왜곡 보상부(CCP)는 룩업 테이블(11), 보상부(12) 및 비교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11)에는 폴딩 정보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보상부(12)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룩업 테이블(11)로부터 보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9,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receives fol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compensates for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a folding area (FA, illustrated in FIG. 1A).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may include a lookup table (11), a compensation unit (12), and a comparator (13). Compens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lookup table (11). The compensation unit (12) may receive image data, receive compensation data from the lookup table (11), and output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the compensation data and the image data.

비교기(13)는 폴딩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폴딩 정보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보상부(12)는 턴-오프되고, 폴딩 정보가 기준값보다 크면, 보상부(12)가 턴-온된다. 보상부(12)가 턴-오프되면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동작이 실행되지 않고, 보상부(12)가 턴-온되면 보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The comparator (13) can compare the foldin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f the folding information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12) is turned off, and if the folding information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12) is turned on. If the compensation unit (12) is turned off, the operation of compensating the image data is not performed, and if the compensation unit (12) is turned on, the operation of compensating the image data by synthesizing the compensation data and the image data can be perform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module illustrated in FIG. 10.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에서, 표시모듈(100)은 표시패널(110) 및 입력 감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in a display device (DD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odul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nd an input detection unit (120).

표시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110)이 생성하는 영상은 표시모듈(100)의 전면(front surface)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00)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 configuration that actually generates an image. The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panel (110)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 and is viewed by a user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or a quantum dot light-emitting display panel. The light-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 The light-emitting layer of the quantum dot light-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quantum dots, quantum rods,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display panel (100) is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입력 감지부(1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한다.The input detection unit (120) detects external input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can detect external input input by a user. External input includes various forms of input such as a part of the user's body, light, heat, a pen, or pressur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 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을 형성한 후 연속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입력 감지부(120)는 입력 감지층이라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placed on the display panel (110).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is formed by a continuous process after the display panel (110) is formed. Therefore,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referred to as an input detection layer.

입력 감지부(120)는 표시패널(110) 위에 접착층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감지부(120)는 입력 감지 패널이라 지칭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 또는 입력 감지층과 표시 패널(110) 사이에는 기능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은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반사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fixed on the display panel (110) through an adhesive layer. In this case,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referred to as an input detection panel. A functional layer may be further arranged between the input detection panel or the input detection layer and the display panel (110). The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n anti-reflection function.

입력 감지층 및 입력 감지 패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put detection layer and input detection panel is provid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2)는 입력 감지부(120) 내에 구비된 스트레인 센서(S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인 센서(SS)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입력 감지부(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DD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ain sensor (SS) provid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In particular, the strain sensor (SS) may be plac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FA).

스트레인 센서(SS)는 표시장치(DD2)의 폴딩 상태 및/또는 언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스트레인 센서(SS)가 폴딩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표시장치(DD2)가 접혀지는 부분인 폴딩 영역(FA)의 스트레인 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인 값은 폴딩 정보 검출부(FID)로 제공될 수 있다. 폴딩 정보 검출부(FID)는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출력된 스트레인 값을 의해 표시장치(DD2)가 폴딩 상태 또는 언폴딩 상태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strain sensor (SS) can determine the folding state and/or the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2). The strain sensor (SS) can determine the folding state based on a strain value of a folding area (FA),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display device (DD2) is folded. The strain value measured from the strain sensor (SS) can be provided to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 can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device (DD2) is in the folding state or the unfolding state based on the strain value output from the strain sensor (SS).

특히,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적 시간 측정부(ATD)는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출력된 스트레인 값에 기초하여 표시장치(DD2)가 폴딩 상태로 있는 폴딩 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누적 폴딩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누적 횟수 측정부(ACD)는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출력된 스트레인 값의 변화를 바탕으로 폴딩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 폴딩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10, the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ATD) can calculate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by counting the folding time during which the display device (DD2) is in a folded state based on the strain value output from the strain sensor (SS). In addition,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measuring unit (ACD) can calculate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of folding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based on the change in the strain value output from the strain sensor (SS).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3a은 도 11에 도시된 입력 감지부의 평면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B1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3c는 도 13b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2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1. Fig. 13a is a plan view of the input detec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1, Fig. 13b is an enlarged view of the B1 portion illustrated in Fig. 13a, and Fig. 1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 illustrated in Fig. 13b.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SG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활성 영역(AA)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lines (SGL) and a plurality of pixels (PX). The pixels (PX) are arranged in an active area (AA).

신호라인들(SGL)은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들(DL), 전원 라인(PL), 및 제어신호라인(CSL)을 포함한다. 게이트 라인들(GL) 중 일 게이트 라인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고, 데이터 라인들(DL) 중 일 데이터 라인은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 라인(PL)은 화소들(PX)에 연결된다. 제어신호라인(CSL)은 게이트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signal lines (SGL) include gate lines (GL), data lines (DL), a power line (PL), and a control signal line (CSL). One gate line among the gate lines (GL)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ixel (PX) among the pixels (PX), and one data line among the data lines (DL)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ixel (PX) among the pixels (PX). The power line (PL) is connected to the pixels (PX). The control signal line (CSL) can provide control signals to the gate driving circuit.

화소들(PX) 각각은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화소들(PX) 각각은 전원 라인(PL)으로부터 전원전압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화소들(PX) 각각은 유기발광소자 및 그에 연결된 화소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구동회로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ixels (PX) receives a gate signal from a gate line (GL) and a data signal from a data line (DL). In addition, each of the pixels (PX) receives a power voltage from a power line (PL).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ixels (PX) may include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and a pixel driving circuit connected thereto. The pixel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and capacitors.

표시장치(DD2)는 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DC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듈(DCM)은 게이트 드라이버(GDC) 및 연성 회로 기판(FPC) 및 구동칩(D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DD2)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dule (DCM)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110). The driving module (DCM) may include a gate driver (GDC), a flexible circuit board (FPC), and a driving chip (DC).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복수 개의 게이트 신호들(이하,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화소 구동회로에 또 다른 제어 신호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표시패널(110)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화소 구동회로와 동일 공정을 통해 비활성 영역(NAA)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칩 형태로 구성되어 표시패널 상에 실장되거나, 별도의 필름 상에 실장되어 표시패널(110)에 부착될 수 있다.A gate driver (GDC) generates a plurality of gate signals (hereinafter, “gate signals”) and sequentially outputs the gate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The gate driver (GDC) can further output another control signal to a pixel driving circuit. The gate driver (GDC) can be arranged in a non-active area (NAA) of the display panel (110). The gate driver (GDC) can be provided to the non-active area (NAA)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pixel driving circuit. 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driver (GDC) can be configured in a chip form and mounted on a display panel, or mounted on a separate film and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10).

연성 회로 기판(FPC)은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표시모듈(100)의 외측에 배치된 각종 모듈과 표시패널(110)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GDC)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 상에는 구동칩(DC)이 실장될 수 있다.A flexible circuit board (FPC)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a display panel (110).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 may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module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00) to the display panel (110) or a gate driver (GDC). A driving chip (DC) may be mount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

구동칩(DC)은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들 예를 들어,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FPC)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 표시패널(110)에 접속될 수 있다.The driving chip (DC) may include driving elements for driving pixels, for example, a data driver.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multiple pieces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도 12 및 도 13c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화소 정의막(PDL), 발광 소자(EMD), 및 봉지층(EC)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에 배열된 복수의 발광 영역들(PXA) 및 복수의 비발광 영역들(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c에는 발광 영역들(PXA) 중 두 개의 발광 영역들이 배치된 영역을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C, the display panel (DP) may include a base layer (BL), a pixel defining layer (PDL), a light emitting element (EMD), and an encapsulation layer (EC). The display panel (DP)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areas (PXAs) and a plurality of non-light emitting areas (NPXAs) arranged in a folding area (FA). FIG. 12C illustrates an area in which two of the light emitting areas (PXAs) are arranged.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층(BL)은 복수의 절연층들 및 복수의 도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층들 및 복수의 절연층들은 발광 소자(EMD)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base layer (BL)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layers.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ayers and the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may form a thin film transis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EMD).

화소 정의막(PD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소정의 개구부들이 정의된다. 개구부들은 각각 발광 영역들(PXA)을 정의할 수 있다. A pixel defining layer (PDL) is arranged on a base layer (BL). Specified openings are defined in the pixel defining layer (PDL). Each of the openings can define light-emitting areas (PXAs).

발광 소자(EMD)는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EMD)는 개구부들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EMD)는 베이스층(BL)을 구성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통해 전달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광을 표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EMD) is arranged on the base layer (BL). The light emitting device (EMD) can be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penings. The light emitting device (EMD) displays light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pixel driving circuit constituting the base layer (BL) to implement an image.

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EMD)는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발광 소자(EMD)는 제1 전극(EL1), 발광층(EML), 및 제2 전극(EL2)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EMD)는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 사이의 전위차에 따라 발광층(EML)을 활성화시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영역들(PXA)은 발광층(EML)이 배치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includes a first electrode (EL1), a light-emitting layer (EML), and a second electrode (EL2).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can generate light by activating the light-emitting layer (EML) according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EL1) and the second electrode (EL2). Accordingly, the light-emitting areas (PXA) may correspond to areas where the light-emitting layer (EML) is arranged.

한편, 발광 영역들(PXA)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영역들(PXA) 각각은 발하는 광의 컬러들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컬러들마다 이에 적합한 크기의 발광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컬러들에 대해 균일한 광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emitting areas (PXAs) may have different sizes. For example, each of the light-emitting areas (PXAs) may have a different size depending on the colors of the light emitted. By providing light-emitting areas of appropriate sizes for different colors, it is possible to achieve uniform light efficiency for various colors.

봉지층(EC)은 발광 소자(EMD)를 커버한다. 봉지층(EC)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C)은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EMD)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고 발광 소자(EMD)를 보호한다. 또한, 봉지층(EC)은 발광 소자(EMD)와 입력 감지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EMD)와 입력 감지부(12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봉지층(EC)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봉지층(EC)과 발광 소자(EMD) 사이에는 비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encapsulation layer (EC) covers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The encapsulation layer (EC)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film and/or organic film. The encapsulation layer (EC)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from the outside and protects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In addition, the encapsulation layer (EC) may be arranged between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and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to electrically isolate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and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eanwhile,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encapsulation layer (EC) may be provided as a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and in this case, an inert gas may be filled between the encapsulation layer (EC)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입력 감지부(120)는 봉지층(EC)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부(120)는 봉지층(EC) 상면에 증착 또는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표시장치(DD2)는 입력 감지부(120)와 봉지층(EC) 사이에 개재된 컬러 필터나 버퍼층과 같은 미 도시된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directly plac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EC). That is,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be formed by being deposited or patter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capsulation layer (EC). However, this is only illustrated as an example, and the display device (DD2) may further include unillustrated components such as a color filter or a buffe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and the encapsulation layer (EC).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감지부(120)는 복수의 제1 감지 전극들(TE1)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들(TE2)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3a and 13b,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etection electrodes (TE1) and a plurality of second detection electrodes (TE2).

제1 감지 전극들(TE1) 및 제2 감지 전극들(TE2)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다. 입력 감지부(120)는 제1 감지 전극들(TE1) 및 제2 감지 전극들(TE2)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E2) are arranged in the active area (AA). The input sensing unit (12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input through a change in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E2).

제1 감지 전극들(TE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TE1) 각각은, 제1 감지 패턴들(SP1), 제1 연결 패턴들(BP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may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b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may includ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first connection patterns (BP1).

제1 감지 패턴들(SP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다. 제1 감지 패턴들(SP1)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들(SP1)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감지 패턴들(SP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Each of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may have a rhombus shap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may have various shapes and are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제1 연결 패턴들(BP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감지 패턴들(SP1)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된 제1 감지 패턴들(SP1)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감지 패턴들(SP1)을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BP1) can connect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can be connected by being placed between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감지 패턴들(SP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다. 제2 감지 패턴들(SP2)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패턴들(SP2)은 제1 감지 패턴들(SP1)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감지 패턴들(SP2)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 감지 패턴들(SP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ar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Each of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Each of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may have a rhombus shap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are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제2 연결 패턴들(BP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감지 패턴들(SP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된 제2 감지 패턴들(SP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감지 패턴들(SP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턴들(BP2)은 제2 감지 패턴들(SP2)와 일체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BP2) can connect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For example, they can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nnect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2).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BP2) can be provided in an integral shape with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 패턴(SP1, SP2) 각각은 복수의 메쉬선들(MSL)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선들(MSL)은 제4 방향(DR4)으로 연장된 제1 메쉬선(MSL1) 및 제5 방향(DR5)으로 연장되어 제1 메쉬선(MSL1)과 교차하는 제2 메쉬선(MSL2)을 포함한다. 제1 메쉬선(MSL1)과 제2 메쉬선(MSL2)은 소정의 메쉬 개구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메쉬 개구부들은 도 13c에 도시된 발광 영역들(PXA)과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로부터 출력된 광은 메쉬선들(MSL)과 간섭되지 않고 출력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b,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patterns (SP1, SP2)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sh lines (MSL). The mesh lines (MSL) include a first mesh line (MSL1) extending in a fourth direction (DR4) and a second mesh line (MSL2) extending in a fifth direction (DR5) and intersecting the first mesh line (MSL1). The first mesh line (MSL1) and the second mesh line (MSL2) may form predetermined mesh openings. The mesh openings may correspond to the light-emitting areas (PXA) illustrated in FIG. 13c. Accordingly, light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may be outpu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esh lines (MSL).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인 센서(SS)는 입력 감지부(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레인 센서(SS)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입력 감지부(120) 내에 배치되어, 폴딩 동작에 의한 저항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스트레인 센서(SS)는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 및 스트레인 연결 패턴들(FB)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ain sensor (SS) may be arranged inside an input detection unit (120). The strain sensor (SS) is arranged inside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corresponding to a folding area (FA) and may detect a change in resistance due to a folding operation. The strain sensor (SS) includes strain detection patterns (FS) and strain connection patterns (FB).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은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은 제1 감지 전극들(TE1) 및 제2 감지 전극들(TE2)과 이격될 수 있다.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can be arranged in the folding area (FA). Each of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E2).

스트레인 연결 패턴들(FB)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된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 사이에 배치되어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을 연결할 수 있다.The strain connection patterns (FB) can connect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For example,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can be connected by being placed between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예로, 입력 감지부(120)는 더미 패턴(D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들(TE1), 제2 감지 전극들(TE2), 및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더미 패턴들(DP)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더미 패턴들(DP) 각각은, 평면상에서 하나의 제1 감지 패턴(SP1), 하나의 제2 감지 패턴(S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에워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 각각은,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상기 마름모의 중심 영역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더미 패턴들(DP)이 상기 빈 공간에 배치되고,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ensing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dummy pattern (DP). The dummy patterns (DP)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TE1),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E2), and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The dummy patterns (DP) may float from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Each of the dummy patterns (DP) may be surround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ing pattern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 (SP2) on a plane.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may have a rhombus shape, and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rhombus. At this time, the dummy patterns (DP) may be arranged in the empty space and may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더미 패턴들(DP)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에 형성된 빈 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의 형상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들(DP)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과 발광소자(EMD, 도 13c)에 포함된 전극들 간에 발생되는 기생 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패턴들(DP)을 포함함에 따라, 신뢰성이 확보된 입력 감지부(120)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dummy patterns (DP) are arranged in the empty spaces formed in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the shapes of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ternal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dummy patterns (DP) can prevent parasitic cap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and electrodes included in the light-emitting element (EMD, FIG. 13c). Therefore, by including the dummy patterns (DP), an input sensing unit (120) with secured reliability can be provided.

도 13b 및 도 13c를 참조하면, 제1 도전층(BP1, FS)은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도전층(BP1, FS)은 제1 연결 패턴(BP1),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 및 스트레인 연결 패턴들(F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b and 13c, a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is disposed on a display panel (110).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ttern (BP1), strain sensing patterns (FS), and strain connection patterns (FB).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은 제1 도전층(BP1, FS, FB) 상에 배치된다.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은 제1 감지 패턴(SP1), 제2 감지 패턴(SP2), 제2 연결 패턴(BP2), 및 더미 패턴(DP)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is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may include a first sensing pattern (SP1), a second sensing pattern (SP2), a second connection pattern (BP2), and a dummy pattern (DP).

제1 도전층(BP1, FS, FB) 및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각각을 구성하는 도전 패턴들은 평면상에서 발광 영역들(PXA)과 비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도전층(BP1, FS, FB) 및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은 불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넓은 면적을 갖더라도 발광 영역들(PXA)에 표시되는 영상(IM)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도전층(BP1, FS, FB) 및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각각은 발광 영역들(PXA)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된 도전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ductive patterns constituting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light-emitting areas (PXA) on a plane.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affect the image (IM) displayed on the light-emitting areas (PXA) even if they ar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or have a large area.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each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may include a conductive pattern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at least a part of the light-emitting areas (PXA),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제1 절연층(30)은 제1 도전층(BP1, FS, FB)과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30)은 제1 도전층(BP1, FS, FB)과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단면상에서 이격 및 분리시킨다. 한편, 제1 감지패턴(SP1)은 제1 절연층(30)을 관통하는 제1 및 제2 컨택홀(CH1, CH2)을 통해 제1 연결 패턴(BP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separates and separates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in a cross-sectional view. Meanwhile, the first sensing pattern (SP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BP1)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CH1, CH2) penetrat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제2 절연층(40)은 제1 절연층(30)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층(40)은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4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보호한다.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can cov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SP1, SP2, BP2, DP).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protects the second conductive layers (SP1, SP2, BP2, DP)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제1 절연층(30) 및 제2 절연층(40)은 절연성을 가지며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영역(PXA)이 제1 절연층(30) 및 제2 절연층(40)에 의해 커버되더라도 발광 영역(PXA)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입력 감지부(120) 상부에서 용이하게 시인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have insulating properties and can be optically transparent. Accordingly, even if the light-emitting area (PXA) is cover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emitting area (PXA) can be easily recognized above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제1 절연층(30) 및 제2 절연층(4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film and/or organic film.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1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절단선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4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Ⅱ-Ⅱ` shown in FIG. 14a.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도전층(BP1, FB)은 제1 연결 패턴(BP1) 및 스트레인 연결 패턴(F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the first challenge layer (BP1, FB)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ttern (BP1) and a strain connection pattern (FB).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FS)은 제1 도전층(BP1, FB) 상에 배치된다.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FS)은 제1 감지 패턴(SP1), 제2 감지 패턴(SP2), 제2 연결 패턴(BP2), 더미 패턴(DP) 및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FS) is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B).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FS) may include a first sensing pattern (SP1), a second sensing pattern (SP2), a second connection pattern (BP2), a dummy pattern (DP), and strain sensing patterns (FS).

더미 패턴들(DP)은 제1 감지 패턴들(SP1) 및 제2 감지 패턴들(SP2)로부터 플로팅(floating)될 수 있다. 스트레인 감지 패턴들(FS)은 더미 패턴들(DP)과 동일층 상에 배치되고, 더미 패턴들(DP)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ummy patterns (DP) can be floated from the first sensing patterns (SP1) and the second sensing patterns (SP2). The strain sensing patterns (FS) can be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dummy patterns (DP) and spaced apart from the dummy patterns (DP).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에서는 표시패널 상에 입력 감지 패널이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n input detection panel is provided on a display panel.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봉지층(EC) 상에 배치된 봉지 기판(EC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ECG)은 유리기판, 금속기판, 플라스틱기판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 기판(ECG)과 봉지층(EC) 사이에 개지된 실링층(S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층(SM)은 봉지 기판(ECG)과 봉지층(EC) 사이에 배치되어 셀갭을 형성하고, 이들을 결합 및 밀봉시킨다.Referring to FIG. 15,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capsulation substrate (ECG) disposed on an encapsulation layer (EC). The encapsulation substrate (ECG) may be a glass substrate, a metal substrate, a plastic substrate, or the lik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layer (SM) disposed between the encapsulation substrate (ECG) and the encapsulation layer (EC). The sealing layer (SM) is disposed between the encapsulation substrate (ECG) and the encapsulation layer (EC) to form a cell gap and to bond and seal them.

봉지 기판(ECG) 위로는 입력 감지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120)은 베이스층(10) 및 그 위로 배치된 제1 및 제2 도전층, 제1 및 제2 절연층(30, 4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유리기판, 금속기판, 플라스틱기판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층(10)은 무기층, 유기층 또는 복합재료층일 수 있다.An input detection panel (120) may be placed on the bag substrate (ECG). The input detection panel (120) includes a base layer (10) and first and second conductive layers, and first and second insulating layers (30, 40) placed thereon. The base layer (10) may be a glass substrate, a metal substrate, a plastic substrate, or the like.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ase layer (10) may be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or a composite material layer.

제1 도전층(BP1, FS)은 베이스층(10) 상에 배치된다.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은 제1 도전층(BP1, FS, FB) 상에 배치된다. 1 절연층(30)은 제1 도전층(BP1, FS, FB)과 제2 도전층(SP1, SP2, BP2, DP)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30)은 제1 도전층(BP1, FS, FB)과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단면상에서 이격 및 분리시킨다. 제2 절연층(40)은 제1 절연층(30)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층(40)은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절연층(4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2 도전층(SP1, SP2, BP2, DP)을 보호한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is disposed on the base layer (1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is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1 An insulating lay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separates and separates the first conductive layer (BP1, FS, FB)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in a cross-sectional view.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can cov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0) protect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SP1, SP2, BP2, DP)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입력 감지 패널(120)은 접착층(AL)을 통해 표시패널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AL)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투명접착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광학투명접착수지(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일 수 있다.The input detection panel (120)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via an adhesive layer (AL). The adhesive layer (AL) can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It can b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an optically clear resin,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동 모듈의 블럭도이다.FIG. 16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block diagram of a driving module illustrated in FIG. 16.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3)는 저주파 구동 제어부(AO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주파 구동 제어부(AOD)는 기준 주파수로 동작하는 정상 동작 모드 및 기준 주파수 이하로 동작하는 저주파 동작 모드에 따라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모듈(DCM)은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정상 동작 모드 또는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display device (DD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frequency driving control unit (AOD). The low-frequency driving control unit (AOD)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mode that operates at a reference frequency and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hat operates below the reference frequency. The driving module (DCM) receives the power control signal and may operate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or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정상 동작 모드에서 구동 모듈(DCM)은 기준 주파수(예를 들어, 60Hz)로 동작할 수 있고, 저주파 동작 모드에서 구동 모듈(DCM)은 기준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이하, 저주파, 예를 들어 1Hz)로 동작할 수 있다. 구동 모듈(DCM)이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구동 모듈(DCM)을 구성하는 회로들 중 하나 이상이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drive module (DCM) can operate at a reference frequency (e.g., 60 Hz), and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he drive module (DCM) can operate at a frequency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hereinafter, low frequency, e.g., 1 Hz). That the drive module (DCM) operates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may include that one or more of the circuits constituting the drive module (DCM) operate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구동 모듈(DCM)이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경우, 구동 모듈(DCM)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DD3)의 전체적인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drive module (DCM) operates in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he power consumed by the drive module (DCM)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DD3) can be reduced.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DCM)은 게이트 드라이버(GDC) 및 데이터 드라이버(DDC)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GDC)는 표시패널(100)의 게이트 라인(GL, 도 12에 도시됨)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고, 데이터 드라이버(DDC)는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DL, 도 12에 도시됨)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7, a driving module (DC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te driver (GDC) and a data driver (DDC). The gate driver (GDC) provides a gate signal to a gate line (GL, illustrated in FIG. 12) of a display panel (100), and the data driver (DDC) provides a data signal to a data line (DL, illustrated in FIG. 12) of a display panel (110).

게이트 드라이버(GDC) 및 데이터 드라이버(DDC) 중 어느 하나가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GDC) 및 데이터 드라이버(DDC)가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모두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Either the gate driver (GDC) or the data driver (DDC) can receive a power control signal and operate in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or both the gate driver (GDC) and the data driver (DDC) can receive a power control signal and operate in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DDC)는 왜곡 보상부(CCP)를 포함할 수 있다. 왜곡 보상부(CCP)는 폴딩 정보를 수신하고, 폴딩 정보에 따라 폴딩 영역(FA)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한다. 왜곡 보상부(CCP)는 저주파 동작 모드에서 턴-온되어 폴딩 영역(FA)에서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A data driver (DD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receives folding information and compensates for distortion of an image displayed in a folding area (FA) according to the folding information.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may be turned on in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in the folding area (FA).

왜곡 보상부(CCP)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왜곡 보상부(CCP)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드라이버(DCC)를 구성하는 일부 회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고, 데이터 드라이버(DCC)의 입력단으로 제공되기 이전(즉, 처리되기 이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receive image data. Here, the image data provided to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be data processed by some circuits constituting the data driver (DCC), or can be data before being provid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ata driver (DCC) (i.e., before being processed).

왜곡 보상부(CCP)는 영상 데이터와 기 저장된 보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상 처리를 실시한다. 즉, 왜곡 보상부(CCP)는 보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왜곡 보상부(CCP)의 왜곡 보상 과정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performs compensation processing using image data and previously stored compensation data. In other words,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output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compensation data and image data. The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왜곡 보상부(CCP)는 보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nd FIG. 18,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output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compensation data and image data.

표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원시 영상(OI),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보상 패턴 영상(CI1) 및 합성 데이터에 기초한 합성 영상(MI1)이 도시된다. 여기서, 보상 패턴 영상(CI1)은 폴딩 영역(FA)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폴딩 영역(FA)에서 기 설정된 패턴이 표시되도록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보상 패턴 영상(CI1)은 모자이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상 패턴 영상(CI1)에는 암부와 명부가 행열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A raw image (OI) based o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a display panel (110), a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based on compensation data, and a composite image (MI1) based on composite data are illustrated. Here, the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may include a preset pattern in a folding area (FA). The compensation data may be data set so that a preset pattern is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FA). The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based on the compensation data may include a mosaic pattern. That is, dark areas and bright areas may appear repeatedly in a row-column direction in the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합성 영상(MI1)은 원시 영상(OI)과 보상 패턴 영상(CI1)이 합성된 영상일 수 있다. 보상 패턴 영상(CI1)이 원시 영상(OI)에서의 휘도 편차를 완화시키기 때문에, 합성 영상(MI1)에서는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육안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omposite image (MI1) may be a composit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OI) and the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Since the compensation pattern image (CI1) alleviates the luminance deviation in the original image (OI), the luminance deviation due to the curvature deformation may not be visible to the naked eye in the composite image (MI1).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3)는 화면 전체적으로 폴딩 영역(FA)에서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제거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DD3)의 표시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8, the display device (DD3) can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luminance deviation due to bending deformation in the folding area (FA) is eliminated over the entire screen, and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DD3) can be improved.

도 16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보상 데이터는 폴딩 영역에서 기 설정된 보상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6 and 19, the compensation data may be data for displaying a preset compensation image in a folding area.

표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원시 영상(OI),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보상 영상(CI2) 및 합성 데이터에 기초한 합성 영상(MI2)이 도시된다. 여기서, 보상 영상(CI2)은 폴딩 영역(FA)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폴딩 영역(FA)에서 기 설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보상 영상(CI2)은 특정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보상 영상(CI2)은 폴딩 영역(FA)을 따라 표시되는 꽃 영상일 수 있다. 보상 영상(CI2)에는 꽃 영상 이외에도 다양한 영상이 적용될 수 있다. A raw image (OI) based o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a compensation image (CI2) based on the compensation data, and a composite image (MI2) based on the composite data are illustrated. Here, the compensation image (CI2) may include a preset pattern in the folding area (FA). The compensation data may be data set so that a preset image is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FA). The compensation image (CI2) based on the compensation data may include a specific image.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ensation image (CI2) may be a flower image displayed along the folding area (FA). In addition to the flower image, various images may be applied to the compensation image (CI2).

합성 영상(MI2)은 원시 영상(OI)과 보상 영상(CI2)이 합성된 영상일 수 있다. 보상 영상(CI2)이 폴딩 영역(FA)에 표시됨으로 인해 원시 영상(OI)에서의 휘도 편차가 시인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The composite image (MI2) can be a composit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OI) and the compensation image (CI2). Since the compensation image (CI2) is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FA), the luminance deviation in the original image (OI) can be alleviated.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3)는 화면 전체적으로 폴딩 영역(FA)에서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제거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DD3)의 표시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display device (DD3) can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luminance deviation due to bending deformation in the folding area (FA) is eliminated over the entire screen, and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DD3)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왜곡 보상부(CCP)에 의해 보상 처리된 합성 데이터는 데이터 드라이버(DCC)의 일부 회로 또는 입력단으로 공급된다. 데이터 드라이버(DCC)는 합성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ynthetic data compensated by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is supplied to some circuits or input terminals of the data driver (DCC). The data driver (DCC) can convert the synthetic data into a data signal and supply it to the data line (DL).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부의 평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왜곡 보상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20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lan view of an inpu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4)는 제1 및 제2 폴딩 정보 검출부(FID1, FI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딩 정보 검출부(FID1)는 폴딩 영역(FA) 중 제1 검출 영역(C1)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하고, 제2 폴딩 정보 검출부(FID2)는 상기한 폴딩 영역(FA) 중 제2 검출 영역(C2)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한다. 제1 및 제2 검출 영역(C1, C2)은 폴딩축(FX, 도 1a)을 기준으로 폴딩 영역(FA)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정의한 영역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0 and 21, a display device (DD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s (FID1, FID2). The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1)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first detection area (C1) among the folding areas (FA), and the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2)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second detection area (C2) among the folding areas (FA).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C1, C2) may be areas defined by dividing the folding area (FA) into two areas based on the folding axis (FX, FIG. 1a).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검출 영역(C1)의 굴곡 변형량은 제2 검출 영역(C2)의 굴곡 변형량과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폴딩 정보 검출부(FID1, FID2)는 제1 및 제2 검출 영역(C1, C2) 각각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각 검출 영역에 대해 서로 다른 왜곡 보상을 진행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detection area (C1) may be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second detection area (C2).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s (FID1, FID2) detect fold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C1, C2), thereby performing different distortion compensations for each detection area.

표시 장치(DD4)는 제1 검출 영역(C1)에 대응하여 입력 감지부(120)에 구비된 제1 스트레인 센서(SS1) 및 제2 검출 영역(C2)에 대응하여 입력 감지부(120)에 구비된 제2 스트레인 센서(SS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트레인 센서(SS1, SS2)는 표시장치(DD2)의 폴딩 상태 및/또는 언폴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스트레인 센서(SS1)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인 값은 제1 폴딩 정보 검출부(FID1)로 제공되고, 제2 스트레인 센서(SS1)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인 값은 제2 폴딩 정보 검출부(FID2)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폴딩 정보 검출부(FID1, FID2)는 제1 및 제2 스트레인 센서(SS1, SS2)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스트레인 값을 의해 제1 및 제2 검출 영역(C1, C2)에서의 굴곡 변형량을 검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4) includes a first strain sensor (SS1) provided in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area (C1) and a second strain sensor (SS2) provided in the input detection unit (12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C2). The first and second strain sensors (SS1, SS2) can determine a folding state and/or an u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2). A strain value measured from the first strain sensor (SS1) can be provided to a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1), and a strain value measured from the second strain sensor (SS1) can be provided to a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FID2).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s (FID1, FID2) can detect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C1, C2) by the strain value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train sensors (SS1, SS2), respectively.

왜곡 보상부(CCP)는 제1 및 제2 검출 영역(C1, C2)에 대한 왜곡을 각각 보상할 수 있다. 왜곡 보상부(CCP)는 제1 검출 영역(C1)에 대한 제1 보상 데이터와 제2 검출 영역(C2)에 대한 제2 보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에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compensate for distor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C1, C2), respectively.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can output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the first compensation data for the first detection area (C1) and the second compensation data for the second detection area (C2) into the image data.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원시 영상(OI)는 제1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1 보상 패턴 영상(SCI1) 및 제2 보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 보상 패턴 영상(SCI2)과 합성된다. 따라서, 표시장치(DD4)는 합성 결과 합성 데이터에 기초한 합성 영상(MI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상 패턴 영상(SCI1)은 제1 검출 영역(C1)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보상 패턴 영상(SCI2)은 제2 검출 영역(C2)에서 기 설정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2, the raw image (OI) based on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is synthesized with a first compensation pattern image (SCI1) based on the first compensation data and a second compensation pattern image (SCI2) based on the second compensation data.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DD4) can display a synthesized image (MI3) based on the synthesized result synthesized data. Here, the first compensation pattern image (SCI1) can include a preset pattern in the first detection area (C1), and the second compensation pattern image (SCI2) can include a preset pattern in the second detection area (C2).

도 22에서는 제2 검출 영역(C2)보다 제1 검출 영역(C1)의 굴곡 변형량이 큰 경우를 일 예로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제1 보상 패턴 영상(SCI1)에 포함된 모자이크 패턴이 제2 보상 패턴 영역(SCI2)에 포함된 모자이크 패턴보다 더 미세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 22, an example is shown wher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detection area (C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detection area (C2), and in this case, the mosaic pattern included in the first compensation pattern image (SCI1) is finer than the mosaic pattern included in the second compensation pattern area (SCI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합성 영상(MI3)은 원시 영상(OI)과 제1 및 제2 보상 패턴 영상(SCI1, SCI2)이 합성된 영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보상 패턴 영상(SCI1, SCI2)이 원시 영상(OI)에서의 휘도 편차를 완화시키기 때문에, 합성 영상(MI3)에서는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육안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omposite image (MI3) may be an image synthesized from the original image (OI) and the first and second compensation pattern images (SCI1, SCI2).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mpensation pattern images (SCI1, SCI2) alleviate the luminance deviation in the original image (OI), the luminance deviation due to the curvature deformation may not be visually recognized in the composite image (MI3).

따라서, 표시장치(DD4)는 화면 전체적으로 폴딩 영역(FA)에서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제거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DD4)의 표시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DD4) can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luminance deviation due to bending deformation in the folding area (FA) is eliminated over the entire screen, and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DD4) can be improved.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왜곡 보상부의 블럭도이다.FIG. 2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block diagram of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23.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5)는 조도 센서부(IO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부(IOD)는 표시장치(DD5)의 하우징(200, 도 3a에도시됨) 등에 구비되어, 주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display device (DD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unit (IOD). The illuminance sensor unit (IOD) is provided in a housing (200, shown in FIG. 3A) of the display device (DD5) and can measure the surrounding illuminance.

왜곡 보상부(CCP)는 주변 조도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는 조도 비교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비교기(14)의 비교 결과,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비교기(13) 및 보상부(12)가 턴-오프될 수 있다. 즉,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폴딩 영역(FA)에서의 왜곡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왜곡 보상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왜곡 보상이 실시되지 않을 수 있다.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nce comparator (14) that compares the ambient illuminance with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illuminance comparator (14), the comparator (13) and the compensation unit (12) may be turned off. That is,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distortion in the folding area (FA) may not be recognized, and thus distortion compensation may be unnecessary. Therefore, in this case, distortion compensation may not be performed.

조도 비교기(14)의 비교 결과,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높으면 비교기(13) 및 보상부(12)가 턴-온될 수 있다. 즉,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높으면, 폴딩 영역(FA)에서의 왜곡이 시인될 수 있으므로, 왜곡 보상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왜곡 보상이 실시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illuminance comparator (14),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comparator (13) and the compensation unit (12) may be turned on. That is,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distortion may be recognized in the folding area (FA), so distortion compensation may be required. Therefore, in this case, distortion compensation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예로, 기준 조도값은 200nit일 수 있다. 그러나, 기준 조도값은 누적 폴딩 시간 및 누적 폴딩 횟수 등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즉, 누적 폴딩 시간 및 누적 폴딩 횟수가 증가하면, 기준 조도값을 최초 기준 조도값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may be 200 nit. However,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cumulative folding time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That is, if the cumulative folding time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 operations increase,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may increase compared to the initial reference illuminance value.

여기서, 주변 조도에 따라 비교기(13) 및 보상부(12)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주변 조도에 따라 왜곡 보상의 보상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왜곡 보상량을 작게 설정하고, 주변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높으면 왜곡 보상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tructure for turning on or off the comparator (13) and the compensation unit (12)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distortion compens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That is,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distortion compensation amount can be set small, and when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distortion compensation amount can be set large.

이로써, 표시장치(DD5)는 주변 조도와 무관하게 화면 전체적으로 폴딩 영역(FA)에서 굴곡 변형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DD5)의 표시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DD5) can prevent brightness deviation due to bending deformation from being recognized in the folding area (FA) across the entire screen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illuminance, and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DD5) can be improved.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Figure 25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6)는 도 16에 도시된 표시장치(DD3)에 대비하여 폴딩 정보 검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25에 따른 표시장치(DD6)는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제공된 스트레인 값을 근거로 표시장치(DD6)에 대한 폴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CM)은 스트레인 센서(SS)로부터 제공된 스트레인 값에 근거하여 룩 업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변형량을 독출하고, 독출한 변형량을 폴딩 정보로써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5, a display device (DD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have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unlike the display device (DD3) illustrated in FIG. 16. That is, the display device (DD6) according to FIG. 25 may generate folding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DD6) based on a strain value provided from a strain sensor (SS). That is, the control module (CM) reads out a corresponding strain amount from a look-up table based on the strain value provided from the strain sensor (SS) and outputs the read-out strain amount as folding information.

왜곡 보상부(CCP)는 제어 신호에 따라 폴딩 정보를 수신하여 폴딩 영역(FA, 도 1a에 도시됨)에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을 보상한다. 왜곡 보상부(CCP)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receives fol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compensates for the distortion of the image displayed in the folding area (FA, illustrated in FIG. 1a).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CCP)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24, so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DD1~DD6: 표시장치 100: 표시모듈
110: 표시패널 120: 입력 감지부
CM: 제어모듈 FID: 폴딩 정보 검출부
CCP: 왜곡 보상부 ATD: 누적 시간 측정부
ACD: 누적 횟수 측정부 FIG: 폴딩 정보 생성부
FIS: 폴딩 정보 저장부 11: 룩업 테이블
12: 보상부 13: 비교기
SS: 스트레인 센서 AOD: 저주파 구동 제어부
IOD: 조도 센서부 14: 조도 비교기
DD1~DD6: Display device 100: Display module
110: Display panel 120: Input detection unit
CM: Control module FI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CCP: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ATD: Accumulated Time Measurement Unit
ACD: Accumulated count measurement unit FIG: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IS: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1: Lookup Table
12: Compensation section 13: Comparator
SS: Strain sensor AOD: Low frequency drive control unit
IOD: Illuminance sensor part 14: Illuminance comparator

Claims (24)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폴딩 정보 검출부;
폴딩 정보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폴딩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표시패널이 비폴딩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의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높이차로 인해 상기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보상하는 왜곡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defines a folding area that folds about a virtual folding axis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non-folding area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of the above display panel;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f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at compensates for image distortion occurring in the folding area due to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folding area when the display panel is in a no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동작에 대한 누적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누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폴딩 정보를 생성하는 폴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폴딩 정보를 저장하는 폴딩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ccumulated information on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above display panel;
A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he fol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bove accumulated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ol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누적 폴딩 시간을 측정하는 누적 시간 측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measuring unit,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of the above display pa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누적 폴딩 횟수를 측정하는 누적 횟수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measuring unit,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umulative cou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cumulative number of foldings of the display pan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 생성부는,
폴딩 시간 및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변형량이 저장된 룩 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정보 생성부는 상기 누적 폴딩 시간 및 상기 누적 폴딩 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변형량을 독출하고, 독출한 변형량을 상기 폴딩 정보로써 출력하는 표시장치.
In the fourth paragraph, th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look-up table storing the deformation amount based on the folding time and the number of foldings,
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a display device that reads out a corresponding deformation amount from the look-up table based on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foldings, and outputs the read-out deformation amount as the folding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구비된 스트레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적 시간 측정부 및 상기 누적 횟수 측정부는 상기 스트레인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누적 폴딩 시간 및 누적 폴딩 횟수를 각각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In the fourth paragraph, the measur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strain sensor provided on the above display panel,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umulated time measuring unit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measuring unit calculate the accumulated folding time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times, respectively,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from the strain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입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센서는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In the sixth paragraph, an input detec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The above strain sensor is a display device plac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폴딩 정보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가 저장된 룩업 테이블;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보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합성한 합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A lookup table storing compens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mpensation unit that receives image data, receives compensation data from the lookup table, and outputs composite data that synthesizes the compensation data and the image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폴딩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딩 정보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부는 턴-오프되고, 상기 폴딩 정보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부가 턴-온되는 표시장치.
In the 8th paragrap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above foldin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 display device in which, when the folding information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is turned off, and when the fold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is turned 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폴딩 영역에 기 설정된 보상 패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인 표시장치.
In the 8th paragraph, the compensation data is,
A display device having data set to display a preset compensation pattern in the above folding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데이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기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인 표시장치.
In the 8th paragraph, the compensation data is,
A display device that is set to display a preset image in the above folding area.
제8항에 있어서, 기준 주파수로 동작하는 정상 동작 모드 및 상기 기준 주파수 이하로 동작하는 저주파 동작 모드에 따라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저주파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in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low-frequency driving control unit that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mode operating at a reference frequency and a low-frequency operation mode operating below the reference frequenc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력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저주파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12th paragraph, the display panel,
Contains pixels connected to gate lines and data lines,
The above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ata driver that outputs a data signal to the data line and operates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by the power control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저주파 동작 모드에서 턴-온되어 상기 폴딩 영역에서의 왜곡을 보상하는 표시장치.
In the 13th paragrap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in the above data driver and turned on in the low-frequency operation mode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in the folding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상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합성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공급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합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하는 표시장치.
In the 13th paragraph, the synthetic data output from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is supplied to the data driver,
The above data driver is a display device that converts the above synthetic data into the above data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above data line.
제2항에 있어서, 주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sensor unit for measuring ambient illuminance in the second paragraph.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주변 조도와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는 조도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16th paragrap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comparator that compares the ambient illuminance measur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unit with a preset reference illuminance valu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보상부가 턴-오프되고, 상기 주변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값보다 높으면, 상기 보상부를 턴-온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in which, in clause 17,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is turned off, and if the ambient illuminanc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the compensation unit is turned 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도값은 200nit인 표시장치. A display device in claim 18, wherein the reference illuminance value is 200 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display panel,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폴딩 영역 중 제1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제1 폴딩 정보 검출부; 및
상기 폴딩 영역 중 제2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제2 폴딩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A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first detection area among the above folding areas;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for a second detection area among the above folding area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된 입력 감지부;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되는 제1 스트레인 센서; 및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감지부 내에 배치되는 제2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In Article 21,
Input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above display panel;
A first strain sensor dispos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area;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strain sensor arranged within the input dete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area.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제1 스트레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스트레인 값에 따라 상기 제1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폴딩 정보 검출부는 상기 제2 스트레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스트레인 값에 따라 상기 제2 검출 영역에 대한 폴딩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왜곡 보상부는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영역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보상을 실시하는 표시장치.
In the 22nd paragraph, the first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generates fold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rain value measured through the first strain sensor,
The second folding information detection unit generates folding information for the second detection area according to the strain valu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strain sensor.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performs different compensa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areas, respectively.
영상을 표시하고, 평면 상에서 가상의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복수의 비폴딩 영역들이 정의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폴딩 정보를 검출하는 스트레인 센서를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
상기 스트레인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폴딩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표시패널이 비폴딩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의 제1 및 제2 영역 사이의 높이차로 인해 상기 폴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보상하는 왜곡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defines a folding area that folds about a virtual folding axis on a plane and a plurality of non-folding area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An input detection unit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strain sensor that detects fold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fol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rain sens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tortion compensation unit that compensates for image distortion occurring in the folding area due to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folding area when the display panel is in a no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KR1020190083429A 2019-06-14 2019-07-10 Display device Active KR102736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61,217 US11132087B2 (en) 2019-06-14 2020-04-29 Display device
CN202010502964.1A CN112083823B (en) 2019-06-14 2020-06-05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1037 2019-06-14
KR1020190071037 2019-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627A KR20200143627A (en) 2020-12-24
KR102736723B1 true KR102736723B1 (en) 2024-12-04

Family

ID=7408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429A Active KR102736723B1 (en) 2019-06-14 2019-07-10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67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4968B (en) * 2021-07-12 2023-11-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Display debugging method, debugg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of foldable display panel
KR20230013688A (en) * 2021-07-1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19291A (en) 2021-07-29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30033332A (en) 2021-09-01 2023-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41143A (en) 2021-09-16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102657518B1 (en) * 2022-07-14 2024-04-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mpensation circuit for stretchable display and stretchable display including same
WO2024014931A1 (en) * 2022-07-14 2024-01-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tretchable display device compensation circuit and stret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16543646A (en) * 2023-04-28 2023-08-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Folda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894A1 (en) 2011-03-18 2012-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JP2015518579A (en) 2012-04-08 2015-07-0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70025059A1 (en) 2015-07-24 2017-01-26 Everdisplay Optronics (Shanghai)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gamma compensation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25B1 (en) * 2008-09-0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258327B1 (en) * 2010-10-13 2013-04-25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943357B1 (en) * 2012-06-0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603440B1 (en) * 2016-10-10 2023-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894A1 (en) 2011-03-18 2012-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foldable display
JP2015518579A (en) 2012-04-08 2015-07-0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Flexi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70025059A1 (en) 2015-07-24 2017-01-26 Everdisplay Optronics (Shanghai)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gamma compensation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627A (en)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36723B1 (en) Display device
CN112083823B (en) Display apparatus
EP3678354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46215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JP7300903B2 (en)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674839B1 (en) Display device
US993388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493265A1 (en) Display apparatus
KR102514820B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001578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2334001B2 (en) Display device
US11514863B1 (en) Display device
EP3699726B1 (en) Display device
US12288529B2 (en) Driving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72452B2 (en) Display device
US12340733B2 (en) Drive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2812499B1 (en) Display device
KR20230064067A (en) Display device
CN116224670A (en) Light source embedded reflective display
KR20230045655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2412518B2 (en) Driving controll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US12106732B2 (en) Display device
US2024026463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177645A1 (en) Display device
KR20230006720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