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0537B1 -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Display pa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0537B1 KR102720537B1 KR1020190034458A KR20190034458A KR102720537B1 KR 102720537 B1 KR102720537 B1 KR 102720537B1 KR 1020190034458 A KR1020190034458 A KR 1020190034458A KR 20190034458 A KR20190034458 A KR 20190034458A KR 102720537 B1 KR102720537 B1 KR 1027205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ensing
- driving
- layer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표시 패널은 일측에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 및 제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패턴부 및 패턴부와 마주보고, 제1 구동 전극 및 제1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구비한다.A display panel is provided.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one 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driving electrode and a first sensing electrod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and a cover portion including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facing the pattern portion and overlapp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소자로서 우수한 시야각을 가져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The importance of display devices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In response,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OLEDs) are being used. Among the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because they are self-luminous elements with excellent viewing angles.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패드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터치 패널에서 더 나아가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다양한 입력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touch panels that recognize touch inputs are being widely applied to display devices, especially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e convenience of the touch method is replacing existing physical input devices such as keypad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go beyond touch panels and install pressure sensors on display devices to implement various inputs.
압력 센서는 구동 전극, 감지 전극 등을 포함하는 기판과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기판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구조로서, 제어용 회로 보드와 전기적 연결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용 회로보드는 압력센서의 접속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슬림화로 인해 제어용 회로 보드는 커넥터 단자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압력 센서와 제어용 회로 보드의 일체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The pressure sens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including a driving electrode, a sensing electrode, etc., and a substrate including a pressure sensing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and can be driven through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ontrol circuit board. Accordingly, the control circuit board may include a connector terminal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sure sensor. As display devices become slimmer,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mounting the connector terminal in the control circuit board, and therefore research on integ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and the control circuit board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력 센서와 제어용 회로 보드를 일체화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integrate a pressure sensor and a control circuit boar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일 측에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 및 제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display panel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one 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driving electrode and a first sensing electrod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and a cover portion including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facing the pattern portion and overlapp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을 노출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insulating layer can expos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패턴부는 제2 구동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접하는 제2 압력 감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2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구동 전극의 적어도 일 측면과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can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압력 감지층과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A gap may exist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spacer that maintains the gap.
상기 커버부는 일 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ver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aterial on one surface.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과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bent and join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by the adhesive member.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패널 하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lower panel member may further be included betwee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패턴부의 제1 면 상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전극들과 제1 감지 전극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상기 제1 감지 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상기 제1 감지 전극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first sensing electrodes are arrang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to be lo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can be arranged alternately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상기 제2 구동 전극이 접속되는 구동 연결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들과 상기 제2 감지 전극이 접속되는 감지 연결 전극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s are connected; and a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to which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e connected.
상기 구동 연결 전극에 접속되고,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구동 라인; 및 상기 감지 연결 전극에 접속되는 감지 라인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line connected to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and to which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a sensing line connected to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면인 제2 면 상에 압력 감지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 구동부는 상기 구동 라인 및 상기 감지 라인과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driving unit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driving un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and the sensing line through a contact ho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일 측에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 제1 감지 전극, 제2 구동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압력 감지층 및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display panel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on one 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driving electrode, a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and a cover portion including a first pressure-sensing layer facing the pattern portion and overlapp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pressure-sensing layer overlapping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구동 전극, 상기 제1 감지 전극,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을 노출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insulating layer can expos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압력 감지층과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다.A gap may exist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spacer that maintains the gap.
상기 제2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접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can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커버부의 일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dhesive material may further be included on one surface of the abov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센서와 제어용 회로 보드를 일체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sensor and a control circuit board can be integrat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가 벤딩되어 패널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에 일체화된 압력 센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 영역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 따른 도 7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커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압력 센서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 따른 도 7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커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a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bent and placed on a lower member of a panel.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4.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ure sensor integrated into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rea A of FIG. 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ttern portion of FIG. 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ver portion of FIG. 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1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ressure sensor of Fig. 7.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ttern portion of Fig.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ver part of Fig.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When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cases where there are other layers or elements intervening. In contras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other intervening elements or layer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 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on," "on," "upper," and the like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one element or component to another element or component,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elem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depicted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n ele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flipped, an element described as being "below" another element may end up being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the above and below directions. Th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in which case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or identical or similar par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터치 회로 보드(210), 표시 패널(300), 표시 회로 보드(310), 패널 하부 부재(400), 압력 센서(500), 하부 브라켓(600), 메인 회로 보드(710), 및 하부 커버(8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window (100), a touch sensing device (200), a touch circuit board (210), a display panel (300), a display circuit board (310), a panel lower member (400), a pressure sensor (500), a lower bracket (600), a main circuit board (710), and a lower cover (800).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윈도우(10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패널 하부 부재(40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In this specification, “upper”, “top”, and “upper surface”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100) is arranged based on the display panel (300), i.e., the Z-axis direction, and “lower”, “bottom”, and “lower surface”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anel member (400) is arranged based on the display panel (300), i.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Z-axis direction.
표시 장치(1)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Z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Z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도 1과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n a plane having a short side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a long side in a second direction (Z-axis direction). An edge where the shor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long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Z-axis direction) meet may be formed roun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formed at a right angle, as shown in Fig. 1. The plan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1)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polygonal, circular, or oval shape.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접착층을 통해 터치 감지 장치(20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ed resin, OCR)일 수 있다.The cover window (1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nel (30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0). Accordingly, the cover window (100) may function to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cover window (100) may be attached to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via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may be an 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or an optically cleared resin (OCR).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투과부(DA100)와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는 차광부(NDA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차광부(NDA100)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커버 윈도우(100)의 차광부(NDA100)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의 차광부(NDA100)에는 “SAMSUNG”과 같이 회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문자가 패턴될 수 있다.The cover window (100) may include a transparent portion (DA10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a light-shielding portion (NDA100)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light-shielding portion (NDA100) of the cover window (100) may be formed opaquely. Alternatively, the light-shielding portion (NDA100) of the cover window (100) may be formed as a decorative layer having a pattern formed thereon that can be shown to the user when an image is not displayed. For example, a company logo or various characters, such as “SAMSUNG,” may be patterned on the light-shielding portion (NDA100) of the cover window (100).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window (100) may be made of glass, sapphire, and/or plastic. The cover window (100) may be formed to be rigid or flexible.
커버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들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적외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A touch detection device (200) including touch sensors for detecting a user's touch may be placed between the cover window (100) and the display panel (300). The touch detection device (200) is a device for detecting a user's touch posi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ostatic capacitance manner, such as a self-capacitance manner or a mutual capacitance manner, or in an infrared manner.
터치 감지 장치(200)는 패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200)는 표시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장치(200)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 패널(300)을 봉지하기 위한 배리어 필름(barrier film)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device (200) may be formed in a panel form or a film form. Alternatively,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panel (300). For example, when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is formed in a film form,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 barrier film for encapsulating the display panel (300).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는 터치 회로 보드(2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회로 보드(21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 보드(210)에는 터치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접속부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A touch circuit board (21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Specifically, the touch circuit board (210) may be attached to pad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n addition, a touch conn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touch circuit board (210), and the touch conn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The touch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chip on film.
터치 구동부(220)는 터치 감지 장치(200)에 터치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고, 터치 감지 장치(200)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The touch driver (220) can apply touch driving signals to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detect detection signals from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and analyze the detection signals to calculate the user's touch position. The touch driver (220) can be formed as an integrated circuit and mounted on a touch circuit board (210).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NDA)의 주변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도 2와 같이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영역(DA)은 커버 윈도우(100)의 투과부(100DA)에 중첩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커버 윈도우(100)의 차광부(100NDA)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300)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The display area (DA) is an are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and the non-display area (NDA) is an area where an image is not displayed, and may be a surrounding area of the display area (NDA).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s shown in FIG.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area (D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transparent portion (100DA) of the cover window (100), and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light-shielding portion (100NDA) of the cover window (100).
표시 패널(3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300)은 도 3과 같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display panel (300) may be a light-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300)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 ultra-small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using an ultra-small light emitting diode (micro LED), an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the display panel (300) will be described mainly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 3.
표시 패널(300)의 표시 영역(DA)은 발광 소자층(304)이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가리키며,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 영역을 가리킨다.The display area (DA) of the display panel (300) refers to the area where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is formed to display an image, and the non-display area (NDA) refers to the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DA).
도 3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300)은 지지 기판(301), 플렉서블 기판(302), 박막 트랜지스터층(303), 발광 소자층(304), 봉지층(305), 및 배리어 필름(30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panel (300) may include a support substrate (301), a flexible substrate (302), a thin film transistor layer (303), a light emitting element layer (304), an encapsulation layer (305), and a barrier film (306).
지지 기판(301) 상에는 플렉서블 기판(302)이 배치된다. 지지 기판(301)과 플렉서블 기판(302)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판(301)과 플렉서블 기판(302) 각각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A flexible substrate (302) is placed on a support substrate (301). Each of the support substrate (30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02)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having flexibility. For example, each of the support substrate (30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02) may be polyethersulphone (PES), polyacrylate (PA), polya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polyethylenenap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cellulosetriacetate (CAT),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or a combination thereof.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303)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303)은 박막 트랜지스터(335)들, 게이트 절연막(336), 층간 절연막(337), 보호막(338), 및 평탄화막(339)을 포함한다.A thin film transistor layer (303) is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302).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303) includes thin film transistors (335), a gate insulating film (336),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7), a protective film (338), and a planarizing film (339).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는 버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투습에 취약한 지지 기판(301)과 플렉서블 기판(302)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335)들과 발광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A buffer film may be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02). The buffer film may be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302)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s (335) and light-emitting elements from moisture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substrate (301) and the flexible substrate (302) that are vulnerable to moisture permeation. The buffer film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inorganic films that are alternately laminated. For example, the buffer film may be formed as a multi-film in which one or more inorganic films of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and SiON are alternately laminated. The buffer film may be omitted.
버퍼막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335)는 액티브층(331), 게이트전극(332), 소스전극(333) 및 드레인전극(334)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335)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335)들은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방식 또는 게이트전극(332)이 액티브층(331)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 thin film transistor (335) is formed on the buffer film. The thin film transistor (335) includes an active layer (331), a gate electrode (332), a source electrode (333), and a drain electrode (334). In FIG. 8, the thin film transistor (335)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top gate manner in which the gate electrode (332) is positioned above the active layer (331),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hin film transistors (335) may be formed in a bottom gate manner in which the gate electrode (332) is positioned below the active layer (331), or in a double gate manner in which the gate electrode (332) is positioned both above and below the active layer (331).
버퍼막 상에는 액티브층(33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331)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과 액티브층(331) 사이에는 액티브층(33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An active layer (331) is formed on the buffer film. The active layer (331) may be formed of a silicon-based semiconductor material or an oxide-based semiconductor material. A light-blocking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uffer film and the active layer (331) to block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active layer (331).
액티브층(331)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33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316)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ate insulating film (336) may be formed on the active layer (331). The gate insulating film (31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film, for example,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film thereof.
게이트 절연막(316) 상에는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ate electrode (332) and a gate line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316). The gate electrode (332) and the gate line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on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게이트전극(33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막(337)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337)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7) may be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332) and the gate line.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7)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film, for example,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film thereof.
층간 절연막(337) 상에는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과 드레인전극(334) 각각은 게이트 절연막(336)과 층간 절연막(337)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33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ource electrode (333), a drain electrode (334), and a data line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7).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333) and the drain electrode (334) may be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331)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gate insulating film (336)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7). The source electrode (333), the drain electrode (334), and the data line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made of any on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chromium (Cr), gold (Au), titanium (Ti), nickel (Ni), neodymium (Nd), and copper (Cu), or an alloy thereof.
소스전극(333), 드레인전극(33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막(338)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338)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film (338) for insulating a thin film transistor (335) may be formed on the source electrode (333), the drain electrode (334), and the data line. The protective film (338)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film, for example, a silicon oxide film (SiOx), a silicon nitride film (SiNx), or a multi-film thereof.
보호막(338)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335)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막(339)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339)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anarization film (339)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338) to level the step caused by the thin film transistor (335). The planarization film (339) may be formed of an organic film such as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amide resin, or a polyimide resin.
박막 트랜지스터층(303) 상에는 발광 소자층(304)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304)은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을 포함한다.A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layer (303).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includes light-emitting elements and a pixel definition film (344).
발광 소자들과 화소 정의막(344)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일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들, 및 캐소드 전극(343)을 포함할 수 있다.Light-emitting elements and pixel defining film (344) ar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film (339). The light-emitting element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is case, the light-emitting element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341), light-emitting layers (342), and a cathode electrode (343).
애노드 전극(341)은 평탄화막(33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은 보호막(338)과 평탄화막(339)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35)의 소스전극(333)에 접속될 수 있다.The anode electrode (341) can be formed on the planarization film (339). The anode electrode (341) can be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333) of the thin film transistor (335)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protective film (338) and the planarization film (339).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구획하기 위해 평탄화막(339) 상에서 애노드 전극(34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344)은 화소들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으로서 역할을 한다.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 전극(341), 발광층(342), 및 캐소드 전극(34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애노드 전극(341)으로부터의 정공과 캐소드 전극(343)으로부터의 전자가 발광층(342)에서 서로 결합되어 발광하는 영역을 나타낸다.The pixel defining film (344) may be formed to cover the edge of the anode electrode (341) on the planarizing film (339) to define pixels. That is, the pixel defining film (344) serves as a pixel defining film that defines pixels. Each pixel represents a region in which an anode electrode (341), a light-emitting layer (342), and a cathode electrode (343) are sequentially laminated, and holes from the anode electrode (341) and electrons from the cathode electrode (343)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light-emitting layer (342) to emit light.
애노드 전극(341)과 화소 정의막(344) 상에는 발광층(342)들이 형성된다. 발광층(342)은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발광층(342)은 적색(red) 광, 녹색(green) 광 및 청색(blue) 광 중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적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620㎚ 내지 750㎚일 수 있으며, 녹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495㎚ 내지 570㎚일 수 있다. 또한, 청색 광의 피크 파장 범위는 약 450㎚ 내지 495㎚일 수 있다. 또는, 발광층(342)은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Emission layers (342) are formed on the anode electrode (341) and the pixel defining film (344). The emission layer (342) may be an organic emission layer. The emission layer (342) may emit one of red light, green light, and blue light. The peak wavelength range of the red light may be about 620 nm to 750 nm, and the peak wavelength range of the green light may be about 495 nm to 570 nm. In addition, the peak wavelength range of the blue light may be about 450 nm to 495 nm. Alternatively, the emission layer (342) may be a white emission layer that emits white light, and in this case, the red emission layer, the green emission layer, and the blue emission layer may be laminated and may be a common layer commonly formed in the pixels.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3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lor filter for displaying red, green, and blue.
발광층(34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342)은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택들 사이에는 전하 생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layer (342) may inclu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layer (342) may be formed in a tandem structure of two or more stacks, and in this case, a charge generation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stacks.
캐소드 전극(343)은 발광층(342)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343)은 발광층(34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343) is formed on the light-emitting layer (342). The second electrode (343) may be formed to cover the light-emitting layer (342). The second electrode (343) may be a common layer formed commonly on the pixels.
발광 소자층(304)이 상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또한, 캐소드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343)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is formed in a top emission manner in which light is emitted upward, the anode electrode (341) can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ivity, such as a laminated structure of aluminum and titanium (Ti/Al/Ti), a laminated structure of aluminum and ITO (ITO/Al/ITO), an APC alloy, and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PC alloy and ITO (ITO/APC/ITO). The APC alloy is an alloy of silver (Ag), palladium (Pd), and copper (Cu). In addition, the cathode electrode (263)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material (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or IZO that can transmit light, or a semi-transmissive metal material (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agnesium (Mg), silver (Ag), or an alloy of magnesium (Mg) and silver (Ag). When the cathode electrode (343) is formed of a semi-transparent metal material,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 micro cavity.
발광 소자층(304)이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애노드 전극(341)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34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341)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미세 공진(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When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is formed in a bottom emission manner that emits light in a downward direction, the anode electrode (3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CO) such as ITO or IZO, or a 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agnesium (Mg), silver (Ag), or an alloy of magnesium (Mg) and silver (Ag). The second electrode (343)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ivity, such as a laminated structure of aluminum and titanium (Ti/Al/Ti), a laminated structure of aluminum and ITO (ITO/Al/ITO), an APC alloy, and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PC alloy and ITO (ITO/APC/ITO). When the anode electrode (341) is formed of a semi-transmissive metal material,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by a micro cavity.
발광 소자층(304) 상에는 봉지층(305)이 형성된다. 봉지층(305)은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305)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층(305)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봉지층(305)을 뚫고 발광층(342)과 캐소드 전극(34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 encapsulating layer (305) is formed on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The encapsulating layer (305) serves to prevent oxygen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light-emitting layer (342) and the cathode electrode (343). To this end, the encapsulating layer (305) may include at least one inorganic film. The inorganic film may be formed of silicon nitride, aluminum nitride, zirconium nitride, titanium nitride, haf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silicon oxide, aluminum oxide, or titanium oxide. In addition, the encapsulating layer (305)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ganic film. The organic film may be formed to a sufficient thicknes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particles) from penetrating the encapsulating layer (305) and entering the light-emitting layer (342) and the cathode electrode (343). The organic film may include any one of epoxy, acrylate, and urethane acrylate.
봉지층(305) 상에는 배리어 필름(306)이 배치된다. 배리어 필름(306)은 발광 소자층(304)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봉지층(305)을 덮도록 배치된다. 배리어 필름(306)은 터치 감지 장치(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 barrier film (306) is placed on the encapsulating layer (305). The barrier film (306) is placed to cover the encapsulating layer (305) to protect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304) from oxygen or moisture. The barrier film (30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표시 패널(300)의 상면에는 외부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A polarizing film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0) to prevent reduced visibility due to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회로 보드(310)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A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Specifically,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be attached to pad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터치 회로 보드(210)와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패널(3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부러질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는 커넥터를 통해 터치 회로 보드(210)의 터치 접속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표시 회로 보드(310)는 커넥터 대신에 그에 대응되는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회로 보드(310)는 이방성 도전 필름들을 이용하여 터치 회로 보드(210)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접속부(350)를 통해 메인 회로 보드(71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touch circuit board (210) and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be ben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be connected to the touch connection portion of the touch circuit board (210) through a connector. Alternatively,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include corresponding pads instead of the connector, in which case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be connected to the touch circuit board (210) using anisotropic conductive films.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oard (710) through the display connection portion (350).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The display driver (320) outputs signals and voltages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300) through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The display driver (320) may be formed as an integrated circuit and mounted on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driver (32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패널 하부 부재(400)는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400)는 표시 패널(3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층,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층,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anel member (400) may be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lower panel member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dissipation layer for efficiently dissipating heat of the display panel (300),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yer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 light blocking layer for block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 light absorption layer for absorb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a buffer layer for absorbing impact from the outside.
구체적으로, 패널 하부 부재(400)는 광 흡수 부재, 완충 부재, 및 방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panel member (400)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member, a buffer member, and a heat dissipating member.
광 흡수 부재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압력 센서(500)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 흡수 부재는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absorbing member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light absorbing member blocks the transmission of light,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sensor (50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light absorbing member from being viewed from the top of the display panel (300). The light absorbing member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material, such as a black pigment or dye.
완충 부재는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쿠션층일 수 있다.The buffer member may be placed under the light absorbing member. The buffer member absorbs external impact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300) from being damaged. The buf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may be formed of a polymer resin such as polyurethane,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or the like, or may includ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sponge formed by foaming rubber, a urethane-based material, or an acrylic-based material. The buffer member may be a cushion layer.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member may be arranged under the buffer member. The heat dissipation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layer.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heat dissipation layer including graphite or carbon nanotubes, and a second heat dissipation layer formed of a metal film such as copper, nickel, ferrite, or silver that can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and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압력 센서(500)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가 벤딩되는 경우 압력 센서(500)는 패널 하부 부재(400)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커버 윈도우(100)의 투과부(DA100a)로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표시 장치(1)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When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is bent,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placed close to one side of the lower panel member (400). The pressure sensor (500) may detect a pressure applied to the transparent portion (DA100a) of the cover window (100).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utilized as a substitute for a physical button of the display device (1).
예를 들어, 패널 하부 부재(400)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된 압력 센서(500)는 표시 장치(1)의 홈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패널 하부 부재(400)의 일 측에 가깝게 배치된 압력 센서(500)로부터 제1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표시 장치(1)의 화면을 턴-온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500) positioned close to one side of the lower panel member (400)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home button of the display device (1). That is, when a first pressure is detected from the pressure sensor (500) positioned close to one side of the lower panel member (400),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 can be turned on.
패널 하부 부재(400)의 하부에는 하부 브라켓(600)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600)은 합성 수지, 금속, 또는 합성 수지와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 lower bracket (600) may be plac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lower member (400). The lower bracket (600) may include synthetic resin, metal, or both synthetic resin and metal.
구체적으로, 하부 브라켓(600)은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 패널 하부 부재(400), 압력 센서(500), 터치 회로 보드(210), 표시 회로 보드(310) 등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브라켓(600)의 측면은 표시 장치(1)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또는 하부 브라켓(600)은 생략되고 하부 커버(800)만이 존재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lower bracket (60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cover window (100),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the display panel (300), the panel lower member (400), the pressure sensor (500), the touch circuit board (210),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etc.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1), the side of the lower bracket (600) may be exposed to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or the lower bracket (600) may be omitted and only the lower cover (800) may be present.
하부 브라켓(600)의 하부에는 메인 회로 보드(71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10)는 메인 커넥터(790)에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의 또 표시 접속부(350)에 접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회로 보드(71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터치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1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A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bracket (600). 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isplay connection portion (350)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via a cable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790). As a result, 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and the touch circuit board (210). 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메인 회로 보드(710)는 도 2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720)와 카메라 장치(7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메인 프로세서(720), 카메라 장치(760), 및 메인 커넥터(790)가 하부 브라켓(600)과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10)의 일 면 상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메인 프로세서(720), 카메라 장치(760), 및 메인 커넥터(790)는 하부 커버(800)와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10)의 타 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720) and a camera device (760) as shown in FIG. 2. In FIG. 2, the main processor (720), the camera device (760), and the main connector (790) ar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circuit board (710) facing the lower bracket (600),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ain processor (720), the camera device (760), and the main connector (79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ircuit board (710) facing the lower cover (800).
메인 프로세서(720)는 표시 장치(1)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20)는 표시 패널(3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표시 회로 보드(310)의 표시 구동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20)는 터치 구동부(220)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20)는 표시 장치(1)의 음향 크기를 제어하거나 햅틱(haptic)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20)는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시스템 칩(system chip)일 수 있다.The main processor (720) can control all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1). For example, the main processor (720) can output image data to the display driver (320)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so that the display panel (300) displays an image. In addition, the main processor (720) can receive touch data from the touch driver (220), determine the user's touch location, and then execute an application indicated by an icon displayed at the user's touch location. In addition, the main processor (720) can control the sound volume of the display device (1) or implement haptics. The main processor (720) can be an application processor formed of an integrated circuit,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ystem chip.
카메라 장치(760)는 카메라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메인 프로세서(720)로 출력한다.The camera device (760)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camera mode and outputs them to the main processor (720).
이외, 메인 회로 보드(710)에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71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 햅틱 구현을 위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장치가 더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ddition, the main circuit board (7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n audio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and a vibration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for haptic implementation.
하부 커버(800)는 하부 브라켓(600)과 메인 회로 보드(7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800)는 표시 장치(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8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over (800) can be placed on the lower bracket (600)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circuit board (710). The lower cover (800) can form the lower surfac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1). The lower cover (800) can include plastic and/or metal.
도 4는 표시 회로 보드가 벤딩되어 패널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평면 사시도인 반면에 도 4는 저면도이므로, 도 4에서는 도 1 및 도 2의 표시 장치(1)의 좌우가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isplay circuit board is bent and placed on a lower member of the panel.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cut along line I-I' of Fig. 4.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Figs. 1 and 2 are plan perspective views while Fig. 4 is a bottom view,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device (1) of Figs. 1 and 2 are reversed in Fig. 4.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하부 부재(400)에 배치되는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구동부(320), 표시 접속부(350) 및 압력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4, and 5, a display circuit board (310) disposed on a lower panel member (400) may include a display driving unit (320), a display connecting unit (350), and a pressure sensor (500).
표시 회로 보드(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감지 셀(CE)들이 배치되는 센싱 영역(SA), 및 구동 라인(TL)과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이 배치되는 배선 영역(L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구동부(320) 및 표시 접속부(350)는 배선 영역(LA)에 배치될 수 있고, 압력 센서(500)는 센싱 영역(SA), 및 배선 영역(LA)의 일부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include a sensing area (SA) in which pressure sensing cells (CE) are arranged, and a wiring area (LA) in which driving lines (TL) and first to pth sensing lines are arranged, as illustrated in FIG. 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driving unit (320) and the display connecting unit (350) may be arranged in the wiring area (LA), and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arranged over a portion of the sensing area (SA) and the wiring area (LA).
표시 패널(300)은 표시 영역(DA) 및 패널 패드 영역(P_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일 면 상에는 터치 감지 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고,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면 상에는 커버 윈도우(100)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표시 패널(300)의 타 면 상에는 패널 하부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는 표시 패널(300)의 패널 패드 영역(P_PA)의 일 측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 때, 표시 회로 보드(310)의 일부는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300)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panel pad area (P_PA). A touch sensing device (20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a cover window (10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touch sensing device (200). On the other hand, a panel lower member (400)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panel (300). A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anel pad area (P_PA)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may be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300). At this time, a part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display area (DA).
표시 회로 보드(310)는 패널 하부 부재(400)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면(310_1S)과 제1 면(310_1S)의 반대 면인 제2 면(310_2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500)는 제1 면(310_1S)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구동부(320)는 제2 면(310_2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50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압력 센서(500)의 하면(500_2S)은 표시 회로 보드(310)의 상면인 제1 면(310_1S)과 동일 층일 수 있다. 압력 센서(500)의 상면(500_1S)에는 접착층(PSA) 포함하여, 패널 하부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310)는 패널 하부 부재(4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10_1S) facing one surface of the panel lower member (400) and a second surface (310_2S) opposite the first surface (310_1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310_1S), and the display driver (3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310_2S).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That is, the lower surface (500_2S) of the pressure sensor (500) may be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urface (310_1S),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The upper surface (500_1S) of the pressure sensor (500)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PSA),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panel lower member (400). Due to this,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can be secured to the lower panel member (400).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회로 보드(310)는 제2 면(310_2S)에 터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21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같이 구부러질 수 있고, 구부러진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단에 마련된 터치 접속부(230)와 상기 터치 커넥터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구동부(220)는 표시 회로 보드(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include a touch connector (not illustrated) on the second surface (310_2S). The touch circuit board (210) may be bent like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and the touch connector and a touch connection portion (2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bent touch circuit board (210) may be interconnected. As a result, the touch driv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에 일체화된 압력 센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압력 센서의 등가 회로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ure sensor integrated into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ea A of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Ⅱ-Ⅱ’ of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ttern portion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FIG. 8. FIG. 11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pressure sensor of FIG. 7.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500)는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형성되는 패턴부(510), 및 패턴부(510)와 중첩하게 배치되는 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to 11, the pressure sensor (500)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510) formed on a display circuit board (310), and a cover portion (520) positioned to overlap the pattern portion (5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부(510)는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p는 2 이상의 정수) 및 제2 압력 감지층(PSL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20)는 베이스층으로서 기판(SUB)을 포함하고, 기판(SUB)의 일 면에는 제1 압력 감지층(PSL1) 및 스페이서(SPC)가 배치될 수 있고, 기판(SUB)의 타 면에는 접착층(PSA)이 배치될 수 있다. 패턴부(510)와 커버부(520)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p)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ttern portion (5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 first sensing electrode (RE1), a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a driving line (TL),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where p is an integer of 2 or greater), and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The cover portion (520) may include a substrate (SUB) as a base layer, and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nd a spacer (SPC)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UB), and an adhesive layer (PSA)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B).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may be included between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압력 센서(500)는 평면상 일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력 센서(500)는 연장 방향의 길이가 폭보다 클 수 있다. 하지만, 압력 센서(5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500)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on a plane,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and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pressure sensor (500) in the extension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However, the shape of the pressure sensor (5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to which it is applied.
패턴부(510)와 커버부(520)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p)이 배치된다. 커버부(520)와 마주보는 패턴부(510)의 일면 상에는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이 배치된다. 패턴부(510)와 커버부(520)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p)이 배치된다.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are arranged between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A driving line (TL) and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are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510) facing the cover portion (520).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are arranged between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은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압력 감지 셀들(CE1~CEp)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셀들(CE1~CEp)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은 도 1과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can independently sense the pressur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Fig. 6,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are arranged in one row,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may be arranged in multiple rows as needed. In addition, each of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in Fig. 1, or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압력 감지 셀들(CE1~CEp)은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압력 감지 셀들(CE1~CEp)이 표시 장치(1)의 전면으로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압력 감지 셀들(CE1~CEp)은 압력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may have different areas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are used to detect pressure appli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 as shown in Fig. 6,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ing area.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압력 감지 셀들(CE1~CEp)은 하나의 구동 라인(TL)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감지 라인들(RL1~RLp)에는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압력 감지 셀(CE1)은 구동 라인(TL)과 제1 감지 라인(RL1)에 접속되고, 제2 압력 감지 셀(CE2)은 구동 라인(TL)과 제2 감지 라인(RL2)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3 압력 감지 셀(CE3)은 구동 라인(TL)과 제3 감지 라인(RL3)에 접속되고, 제p 압력 감지 셀(CEp)은 구동 라인(TL)과 제p 감지 라인(RLp)에 접속될 수 있다.Each of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driving line and at least one sensing li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are commonly connected to one driving line (TL), whereas they can be connected one-to-one to the sensing lines (RL1 to RLp). The first pressure sensing cell (CE1)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sensing line (RL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cell (CE2)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nd the second sensing line (RL2). In addition, the third pressure sensing cell (CE3)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nd the third sensing line (RL3), and the p-th pressure sensing cell (CEp)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nd the p-th sensing line (RLp).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은 표시 구동부(350)에 접속될 수 있다. 즉, 표시 구동부(350)에 압력 센서 구동부가 통합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350)는 구동 라인(TL)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감지 라인들(RL1~RLp)로부터 전류 값들 또는 전압 값들을 감지함으로써, 압력 감지 셀들(CE1~CEp)들에 인가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은 표시 구동부(350)와 별도로 설치된 압력 센서 구동부(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detection lines (RL1 to RLp)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riving unit (350). That is, the pressure sensor driving un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display driving unit (350). The display driving unit (350) can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detection cells (CE1 to CEp) by a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driving line (TL) and detecting current values or voltage values from the detection lines (RL1 to RLp). However,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detection lines (RL1 to RLp) can be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driving unit (not shown)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driving unit (350).
커버부(520)의 스페이서(SPC)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기판(SUB)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층일 수 있다. 결합층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층은 패턴부(510)와 커버부(520)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층은 패턴부(510)와 커버부(520)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싸 압력 센서(500)의 내부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은 패턴부(510)와 커버부(5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층은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및 압력 감지 셀들(CE1~CEp), 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층은 커버부(520)의 일면에 먼저 부착된 후 합착 과정에서 패턴부(5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은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1), 제2 감지 전극(RE1), 제1 압력 감지층(PSL1) 및 제2 압력 감지층(PSL2)을 포함한다.The spacer (SPC) of the cover portion (520) may be a bonding layer that is arranged between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and the substrate (SUB) to bond them together. The bonding layer may be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bonding layer may be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In one embodiment, the bonding layer may completely surround the edges of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to seal the interior of the pressure sensor (500). In addition, the bonding layer may serve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pattern portion (510) and the cover portion (520). The bonding layer may not overlap with the driving line (TL), the sensing lines (RL1 to RLp), and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The bonding layer may be first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20) and then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510) during the bonding process. Each of the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includes a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a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a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 first sensing electrode (RE1), a second driving electrode (TE1), a second sensing electrode (RE1),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nd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1), 제2 감지 전극(RE1) 및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커버부(520)와 마주보는 패턴부(510) 상에 배치된다.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1),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are arranged on the pattern portion (510) facing the cover portion (520).
구동 연결 전극(TCE)은 구동 라인(TL)과 제1 구동 전극(TE1)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양 끝단에서 구동 라인(TL)에 연결된다. 제1 구동 전극(T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Specifically,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TL)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can be branch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감지 연결 전극(RCE)은 감지 라인들(RL1~RLp) 중 어느 하나와 제1 감지 전극(RE1)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감지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감지 라인들(RL1~RLp)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제1 감지 전극(RE1)들은 감지 연결 전극(R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nsing lines (RL1 to RLp)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Specifically,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TCE)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nsing lines (RL1 to RLp)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may be branch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패턴부(510)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ay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Ag) or copper (Cu).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may be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510) by screen printing.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은 인접하여 배치되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있다. 즉,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bu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can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can b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and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That i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can be repeatedly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and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패턴부(510)와 마주보는 커버부(52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is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20) facing the pattern portion (510).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압력 민감 물질 및 압력 민감 물질이 배치되는 고분자 수지(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미세 입자들(또는 금속 나노 입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The first pressure-sensitive layer (PSL1)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material is disposed. The pressure-sensitive material may be metal microparticles (or metal nanoparticles) such as nickel, aluminum, titanium, tin, and copper. For exampl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layer (PSL1) may be a quantum tunneling composite (QTC).
압력 센서(5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커버부(520)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 8과 같이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제1 구동 전극(TE1)들 사이와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제1 감지 전극(RE1)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즉, 압력이 커버부(520)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제1 구동 전극(TE1)들 및 제1 감지 전극(RE1)들과 이격되어 있다.When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520)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ressure sensor (500), a gap exists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as shown in FIG. 8. That is,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520),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압력 센서(50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커버부(520)으로 가해지는 경우, 제1 압력 감지층(PSL1)이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제1 압력 감지층(PSL1)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ver portion (520)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pressure sensor (500),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Therefore,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nd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can act as an electrical resistor.
압력 센서 구동부 기능도 함께 수행하는 표시 구동부(320)는 압력 센서(500)의 구동 라인(TL)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 후 압력 센서(500)의 감지 라인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압력 센서(500)의 상기 감지 라인에 접속된 압력 감지 셀의 저항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display driving unit (320), which also performs the pressure sensor driving function, can calculat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ressure detection cell connected to the detection line of the pressure sensor (500) by a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driving line (TL) of the pressure sensor (500) and then detecting the current or voltage of the detection line of the pressure sensor (5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압력 센서(500)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제1 압력 감지층(PSL1)이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1 감지 전극(RE1)과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압력 감지 셀의 저항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sensor (500) can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pressure detection cell because the area in which the first pressure detection layer (PSL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detection electrode (RE1)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ed pressure. Accordingly, the pressure sensor (500) can detec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s hand.
제2 구동 전극(TE2)은 구동 연결 전극(T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은 제1 구동 전극(TE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may be branch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TC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제2 감지 전극(RE2)은 감지 연결 전극(R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RE2)은 제1 감지 전극(RE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branched in the wid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RC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은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1 감지 전극(RE1)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은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1 감지 전극(RE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제1 기판(SUB1)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For exampl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Ag) or copper (Cu).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SUB1) by screen printing.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인접하여 배치되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bu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커버부(520)의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구동 전극(TE2)과 제1 구동 전극(TE1) 사이에는 제2 감지 전극(RE2)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 사이의 거리가 제1 구동 전극(TE1)과 제2 감지 전극(RE2)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not overlap with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of the cover portion (520).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may be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에 접할 수 있다. 즉,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제2 압력 감지층(PSL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can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at is,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도 8과 같이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의 상면과 측면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may not overlap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민감 물질 및 압력 민감 물질이 배치되는 고분자 수지(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미세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sensitive layer (PSL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pressure-sensitive layer (PSL1). In this case, it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material and a polymer resi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material is disposed. The pressure-sensitive material may be a metal microparticle such as nickel, aluminum, titanium, tin, or copper. For example,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layer (PSL2) may be a quantum tunneling composite (QTC).
제1 압력 감지 셀(CE1)은 도 7과 같이 구동 라인(TL)과 제1 감지 라인(RL1)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저항(R1)은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 사이에 배치된 제1 압력 감지층(PSL1)에 의해 생성된 저항을 가리키고, 제2 저항(R2)은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 사이에 배치된 제2 압력 감지층(PSL2)에 의해 생성된 저항을 가리킨다. 압력에 따라 제1 구동 전극(TE1)들과 제1 감지 전극(RE1)들에 접하는 제1 압력 감지층(PSL1)의 접촉 면적이 달라지므로, 제1 저항(R1)은 가변 저항에 해당한다. The first pressure sensing cell (CE1) can be expressed as including a first resistor (R1) and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sensing line (RL1), as shown in FIG. 7. The first resistor (R1) refers to the resistance genera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and the second resistor (R2) refers to the resistance genera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s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RE2).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sure, the first resistor (R1) corresponds to a variable resistance.
즉, 제1 내지 제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은 가해진 압력과 상관없는 제2 저항(R2)을 포함하므로, 제1 내지 제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각각의 저항(R)은 낮아질 수 있다.That is, since each of the first to pth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includes a second resistance (R2) that is unrelated to the applied pressure, the resistance (R) of each of the first to pth pressure sensing cells (CE1 to CEp) can be reduced.
한편,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은 제2 압력 감지층(PSL2)이 연결되어 제2 저항(R2)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구동 전극(TE2)의 개수와 제2 감지 전극(RE2)의 개수는 많을 필요가 없다. 이에 비해, 제1 구동 전극(TE1)과 제1 감지 전극(RE1)은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접촉되는 면적에 따라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동 전극(TE2)의 개수는 제1 구동 전극(TE1)의 개수보다 적고, 제2 감지 전극(RE2)의 개수는 제1 감지 전극(RE1)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to form the second resistance (R2),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s (TE2)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RE2) do not need to be large. In contrast,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are preferably formed in plural since they are intended to detect pressure according to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The number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s (TE2)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TE1),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RE2)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RE1).
또한, 제2 구동 전극(TE2)의 두께와 제2 감지 전극(RE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제2 저항(R2)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 전극(TE2)의 폭과 제2 감지 전극(RE2)의 폭이 넓을수록 제2 저항(R2)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압력 감지층(PSL2)에 접하는 제2 구동 전극(TE2)의 개수와 제2 감지 전극(RE2)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2 압력 감지층(PSL2)과 제2 구동 전극(TE2) 사이의 접촉 면적과 제2 압력 감지층(PSL2)과 제2 감지 전극(RE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커지므로, 제2 저항(R2)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에 접하는 제2 압력 감지층(PSL2)의 면적이 넓을수록 제2 저항(R2)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항(R2)의 크기는 제2 구동 전극(TE)의 두께, 제2 감지 전극(RE2)의 두께, 제2 구동 전극(TE)의 폭, 제2 감지 전극(RE2)의 폭, 제2 구동 전극(TE2)의 개수, 제2 감지 전극(RE2)의 개수, 및 제2 구동 전극(TE2)과 제2 감지 전극(RE2)에 접하는 제2 압력 감지층(PSL2)의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esistance (R2) can decrease a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become thicker. In addition, the second resistance (R2) can decrease as the width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become wider. In addition, the number of second driving electrodes (TE2) and the number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RE2) in contact with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and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increases, and therefore the second resistance (R2) can decrease. In addition, the second resistance (R2) can decrease as the area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becomes wider. Therefore, the size of the second resistor (R2) can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width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 the widt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number of second driving electrodes (TE2), the number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RE2), and the area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회로 보드(310)는 복수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일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은 제1 절연층(IL1), 제1 절연층(IL1) 상에 배치된 제1 배선층(CL1), 제1 배선층(CL1) 상에 배치된 제2 절연층(IL2), 제2 절연층(IL2) 상에 배치된 제2 배선층(CL2), 제2 배선층(CL2) 상에 배치된 제3 절연층(IL3), 제3 절연층(IL3) 상에 배치된 제3 배선층(CL3) 및 제3 배선층(CL3) 상에 배치된 제4 절연층(IL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wiring layers. The display circuit board (310)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IL1), a first wiring layer (CL1)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a second insulating layer (IL2) dispos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a second wiring layer (CL2)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L2), a third insulating layer (IL3) disposed o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 third wiring layer (CL3) disposed on the third insulating layer (IL3), and a fourth insulating layer (IL4) disposed on the third wiring layer (CL3).
다만, 도 12는 제1 배선층(CL1), 제2 배선층(CL2) 및 제3 배선층(CL3)의 일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배선층(CL1), 제2 배선층(CL2) 및 제3 배선층(CL3) 각각은 특정한 배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전기적 신호는 상기 배선 패턴을 따라 도통되는 것이지 제1 배선층(CL1), 제2 배선층(CL2) 및 제3 배선층(CL3) 각각이 층 전체로서 도통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However, Fig. 12 shows a cross-section of the first wiring layer (CL1),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wiring layer (CL3), and each of the first wiring layer (CL1),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wiring layer (CL3) may have a specific wiring pattern. That 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lectrical signal is conducted along the wiring pattern, and not that each of the first wiring layer (CL1),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wiring layer (CL3) is conducted as an entire layer.
제1 절연층(IL1)은 제1 배선층(CL1)을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배선층(CL1)을 덮어 제1 배선층(CL1)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 물질의 예로는 아크릴계 수지(polyacryC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을 들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cover the first wiring layer (CL1) and protect the first wiring layer (CL1).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Examples of the organic insulating material include polyacryCAtes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s resin, polyimides rein,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polyphenylene resin, polyphenylenesulfides resin, or benzocyclobutene (BCB).
제1 절연층(IL1)은 패널 패드 영역(P_PA) 및 압력 센서(500)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1 배선층(CL1)은 노출될 수 있다. 패널 패드 영역(P_PA) 상에는 신호 배선(PAD)이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배선(PAD)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배선(PAD)은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신호 배선(PAD)은 적층막일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may expose the first wiring layer (CL1) in the panel pad area (P_PA) and the area where the pressure sensor (500) is disposed. A signal wiring (PAD) may be disposed on the panel pad area (P_PA). The signal wiring (PA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copper (Cu). The signal wiring (PAD) may be a single film made of the materials exemplified abov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signal wiring (PAD) may be a laminated film.
제1 절연층(IL1)이 노출한 제1 배선층(CL1)은 패널 패드 영역(P_PA) 상에 배치된 신호 배선(PAD)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선층(CL1), 및 신호 배선(PAD) 사이에는 제1 도전 결합 부재(ACF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선층(CL1)은 제1 도전 결합 부재(ACF1)를 통해 신호 배선(PAD)과 전기적 결합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배선층(CL1)은 신호 배선(PAD)과 제1 도전 결합 부재(ACF1)없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즉, 제1 배선층(CL1)은 노출된 신호 배선(PAD)의 상면과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선층(CL1)은 신호 배선(PAD)과 초음파 본딩될 수 있다. 제1 배선층(CL1)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층(CL1)은 각각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ing layer (CL1) expos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can be coupled with a signal wiring (PAD) arranged on a panel pad area (P_PA). A first conductive coupling member (ACF1) can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wiring layer (CL1) and the signal wiring (PAD). That is, the first wiring layer (CL1)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ignal wiring (PAD)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coupling member (ACF1).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wiring layer (CL1)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ignal wiring (PAD) without the first conductive coupling member (ACF1). That is, the first wiring layer (CL1)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signal wiring (PAD). For example, the first wiring layer (CL1) can be ultrasonically bonded to the signal wiring (PAD). The first wiring layer (CL1) can include a metal material. The first wiring layer (CL1)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among molybdenum (Mo),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copper (Cu).
패턴부(510)의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은 제1 배선층(CL1)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510)의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1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을 제외한 영역은 제1 절연층(IL1)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즉,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은 제1 절연층(IL1)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부(520)의 제1 압력 감지층(PSL1)과 접촉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of the pattern portion (5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by screen printing. An area exclud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2),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of the pattern portion (510) may be cover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That i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may b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Due to this, when pressure is applied,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of the cover part (520).
제4 절연층(IL4)은 표시 구동부(320)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3 배선층(CL3)을 노출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L4)이 노출한 제3 배선층(CL3) 상에 회로 패드 영역 상에 배치된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결합될 수 있다. 제3 배선층(CL3), 및 회로 신호 배선(C_PAD) 사이에는 제2 도전 결합 부재(ACF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배선층(CL3)은 제2 도전 결합 부재(ACF2)를 통해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전기적 결합을 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L4)은 제1 절연층(IL1)과 동일한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배선층(CL3)은 제1 배선층(CL1)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urth insulating layer (IL4) can expose the third wiring layer (CL3) in the area where the display driver (320) is arrange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IL4) can be coupled with a circuit signal wiring (C_PAD) arranged on a circuit pad area on the third wiring layer (CL3) exposed by the fourth insulating layer (IL4). A second conductive coupling member (ACF2) can be arranged between the third wiring layer (CL3) and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That is, the third wiring layer (CL3)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coupling member (ACF2). The fourth insulating layer (IL4) can be formed including the same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s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The third wiring layer (CL3) can be formed including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first wiring layer (CL1).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배선층(CL3)은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제2 도전 결합 부재(ACF2)없이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즉, 제3 배선층(CL3)은 노출된 회로 신호 배선(C_PAD)의 상면과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배선층(CL3)은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초음파 본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wiring layer (CL3)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without the second conductive bonding member (ACF2). That is, the third wiring layer (CL3)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circuit signal wiring (C_PAD). For example, the third wiring layer (CL3) can be ultrasonically bonded to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제2 배선층(CL2)은 제2 절연층(IL2) 및 제3 절연층(IL3)에 형성되는 비아홀(VIA1, VIA2)을 통해 제1 배선층(CL1) 또는 제3 배선층(CL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은 제1 배선층(CL1)과 제2 배선층(CL2)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절연층(IL3)은 제2 배선층(CL2)과 제3 배선층(CL3) 사이에 배치되어 비아홀(VIA)을 제외한 영역에서 제1 배선층(CL1) 내지 제3 배선층(CL3)을 상호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second wiring layer (CL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layer (CL1) or the third wiring layer (CL3) through via holes (VIA1, VIA2)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L2)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L3).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L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ring layer (CL1) and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L3)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wiring layer (CL3) to physically separate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the third wiring layer (CL3) from each other in an area excluding the via holes (VIA).
제1 비아홀(VIA1)이 패널 패드 영역(P_PA)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배선층(CL1) 내지 제3 배선층(CL3) 각각은 신호 배선(PA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비아홀(VIA1)을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평면상 제1 배선층(CL1)과 신호 배선(PAD)을 연결하는 비아홀, 제2 배선층(CL2)과 신호 배선(PAD)을 연결하는 비아홀, 제3 배선층(CL3)과 신호 배선(PAD)을 연결하는 비아홀이 각각 다른 곳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via hole (VIA1) may be arranged near the panel pad area (P_PA).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the third wiring layer (CL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wiring (PA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via hole (VIA1) is illustrated as one, but the via hole connecting the first wiring layer (CL1) and the signal wiring (PAD) on a plane, the via hole connecting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signal wiring (PAD), and the via hole connecting the third wiring layer (CL3) and the signal wiring (PAD) may be formed in different locations, respectively.
제2 비아홀(VIA2)이 표시 구동부(320)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배선층(CL1) 상에 형성된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은 회로 패드가 배치되는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via hole (VIA2)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display driver (320). As a result, each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form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on which the circuit pad is arran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은 제1 배선층(CL1) 상에 형성된 배선을 따라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배선층(CL2) 및/또는 제3 배선층(CL3) 상에 배치된 배선이, 제1 배선층(CL1)을 따라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된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제2 비아홀(VIA2)은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비아홀(VIA2)을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평면상 구동 라인(TL)과 회로 신호 배선(C_PAD)을 연결하는 비아홀,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과 신호 배선(C_PAD)을 연결하는 복수의 비아홀이 각각 다른 곳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may each extend along the wiring form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an area overlapping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In this case, when the wiring disposed o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or the third wiring layer (CL3) does not overlap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that extend along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an area overlapping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the second via hole (VIA2)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ond via hole (VIA2) is illustrated as one, but a plurality of via holes connecting the planar driving line (TL) and the circuit signal wire (C_PAD), and connecting each of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and the signal wire (C_PAD) may be formed in different locations.
제2 절연층(IL2) 및 제3 절연층(IL3)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층(IL2) 및 제3 절연층(IL3)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L2)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L3) may be form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ilicon compound and a metal oxide. For exampl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L2)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IL3) may be form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aluminum oxide, tantalum oxide, hafnium oxide, zirconium oxide, titanium oxid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embodiments already described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or simplified.
도 13은 다른 실시예 따른 도 7의 Ⅱ-Ⅱ’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패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커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회로 보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cut along line II-II’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ttern portion of Fig.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Fig.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패턴부(510_1)가 아닌 커버부(520_1)에 제2 압력 감지층(PSL_1)이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6,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in that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_1) is positioned on the cover portion (520_1) rather than the pattern portion (510_1).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센서(500_1)는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형성되는 패턴부(510), 및 패턴부(510)와 중첩하게 배치되는 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부(510)는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p는 2 이상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20)는 베이스층으로서 기판(SUB)을 포함하고, 기판(SUB)의 일 면에는 제1 압력 감지층(PSL1), 제2 압력 감지층(PSL2_1) 및 스페이서(SPC)가 배치될 수 있고, 기판(SUB)의 타 면에는 접착층(PSA)이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500_1) may include a pattern portion (510) formed on a display circuit board (310), and a cover portion (520) arranged to overlap the pattern portion (5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ttern portion (5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 first sensing electrode (RE1), a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a driving line (TL), and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where p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cover portion (520) may include a substrate (SUB) as a base layer, and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_1), and a spacer (SPC) may be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UB), and an adhesive layer (PSA)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B).
제2 압력 감지층(PSL2_1)은 패턴부(510_1)와 커버부(520_1)가 결합되는 경우,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력 감지층(PSL2_1)의 일 면은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의 상면과 접촉하나,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의 측면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 상에 직접 제2 압력 감지층(PSL2)을 형성하므로, 제2 압력 감지층(PSL2)은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의 상면과 측면이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_1) can contact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respectively when the pattern portion (510_1) and the cover portion (520_1) are combined. As illustrated in FIG. 13, one surfac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_1)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but may not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Since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8 to 10 for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directly o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 can contact the upper surfaces a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력 감지층(PSL2_1)은 제1 압력 감지층(PSL1)보다 높이가 더 클 수 있다. 이는 패턴부(510_1)와 커버부(520_1)가 결합되는 경우, 제2 압력 감지층(PSL2_1)은 제2 구동 전극(TE2) 및 제2 감지 전극(RE2)과 접해야 하나, 제1 압력 감지층(PSL1)은 제1 구동 전극(TE1) 및 제1 감지 전극(RE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야 하는 것에 기인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_1) may have a greater height tha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This is because, when the pattern portion (510_1) and the cover portion (520_1) are combine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SL2_1) must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but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1) must b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도 16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500)의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과 회로 신호 배선(C_PAD)이 두께 방향으로 일직선이 아닌 비아홀(VIA3, VIA4)을 통해 연결된다는 점에서, 일직선으로 형성된 비아홀(VIA2)을 통해 연결되는 도 12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of FIG. 12 in that the drive line (TL) of the pressure sensor (500)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and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are connected through via holes (VIA3, VIA4) that are not in a straight li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re connected through a via hole (VIA2) formed in a straight lin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비아홀(VIA3) 및 제4 비아홀(VIA4)이 표시 구동부(320)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배선층(CL1) 상에 형성된 제1 구동 전극(TE1), 제1 감지 전극(RE1), 제2 구동 전극(TE2), 제2 감지 전극(RE2),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은 회로 패드가 배치되는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hird via hole (VIA3) and the fourth via hole (VIA4)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display driver (320). As a result, each of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E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RE1),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E2),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RE2),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form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on which the circuit pad is arran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은 제1 배선층(CL1) 상에 형성된 배선을 따라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배선층(CL2) 및/또는 제3 배선층(CL3) 상에 배치된 배선이, 제1 배선층(CL1)을 따라 회로 신호 배선(C_PAD)과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된 구동 라인(TL), 및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과 중첩되는 경우, 제3 비아홀(VIA3)과 제4 비아홀을 연결하는 브릿지 배선(BR)에 의해 제2 배선층(CL2) 및 제3 배선층(CL3) 상에 배치된 배선을 우회할 수 있다. 브릿지 배선(BR)은 제2 배선층(C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비아홀(VIA3) 및 제4 비아홀(VIA4)을 각각 하나씩 도시하였으나, 평면상 구동 라인(TL)과 회로 신호 배선(C_PAD)을 연결하기 위해 브릿지 배선(BR)을 통해 연결되는 비아홀들,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RL1~RLp) 각각과 신호 배선(C_PAD)을 연결하기 위해 브릿지 배선(BR)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비아홀들이 각각 다른 곳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may each extend along the wiring formed on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an area overlapping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At this time, when the wiring disposed o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or the third wiring layer (CL3) overlaps the driving line (TL) and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that extend along the first wiring layer (CL1) to an area overlapping the circuit signal wiring (C_PAD), the wiring disposed o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and the third wiring layer (CL3) may be bypassed by a bridge wiring (BR) connecting the third via hole (VIA3) and the fourth via hole. The bridge wiring (BR)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wiring layer (CL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of the third via hole (VIA3) and the fourth via hole (VIA4) is illustrated, but via holes connected through a bridge wiring (BR) to connect a planar driving line (TL) and a circuit signal wiring (C_PAD), and multiple via holes connected through a bridge wiring (BR) to connect each of the first to pth sensing lines (RL1 to RLp) and a signal wiring (C_PAD) may be formed in different locatio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L: 구동 라인 RL1~RLp: 제1 내지 제p 감지 라인들
SUB: 기판 CE1~CEp: 제1 내지 제p 압력 감지셀들
TE1: 제1 구동 전극 TE2: 제2 구동 전극
RE1: 제1 감지 전극 RE2: 제2 감지 전극
TCE: 구동 연결 전극 RCE: 감지 연결 전극
PSL1: 제1 압력 감지층 PSL2: 제2 압력 감지층
1: 표시 장치 100: 커버 윈도우
200: 터치 감지 장치 210: 터치 회로 보드
220: 터치 구동부 300: 표시 패널
310: 표시 회로 보드 320: 표시 구동부
400: 패널 하부 부재 510: 패턴부
520: 커버부 600: 하부 브라켓
710: 메인 회로 보드 720: 메인 프로세서
800: 하부 커버TL: Drive lines RL1~RLp: 1st to pth sensing lines
SUB: substrate CE1~CEp: first to pth pressure sensing cells
TE1: First driving electrode TE2: Second driving electrode
RE1: First sensing electrode RE2: Second sensing electrode
TCE: Drive connection electrode RCE: Sense connection electrode
PSL1: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SL2: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1: Display device 100: Cover window
200: Touch sensing device 210: Touch circuit board
220: Touch actuator 300: Display panel
310: Display circuit board 320: Display driver
400: Panel lower member 510: Pattern part
520: Cover 600: Lower bracket
710: Main circuit board 720: Main processor
800: Lower cover
Claims (20)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 부재; 및
상기 패널 하부 부재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 및 제1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마주보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턴부를 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타면 및 상기 패널 하부 부재에 접착된 표시 장치.display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beneath the above display panel;
A panel lower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dhesive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member of the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A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driving electrode and a first sensing electrod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and
Including a cover portion facing the above pattern portion,
The above cover part,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facing the pattern portion and the other side being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nd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is positioned on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overlaps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above adhesive member is,
A display devic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above substrate and the lower member of the above panel.
상기 제1 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the insulating layer expos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패턴부는 제2 구동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pattern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패턴부는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접하는 제2 압력 감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pattern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2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구동 전극의 적어도 일 측면과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적어도 일 측면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In the fourth paragraph,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압력 감지층과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in which a gap exists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6,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ver part includes a spacer that maintains the gap.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과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is bent and join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by the adhesive material.
상기 패턴부의 제1 면 상에는 복수의 제1 구동 전극들과 제1 감지 전극들이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상기 제1 감지 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상기 제1 감지 전극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first sensing electrodes ar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long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제1 구동 전극들과 접속되는 구동 연결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들과 접속되는 감지 연결 전극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1,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s; and a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상기 구동 연결 전극에 접속되고,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구동 라인; 및 상기 감지 연결 전극에 접속되는 감지 라인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2,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line connected to the driving connection electrode and to which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a sensing line connected to the sensing connection electrode.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면과 반대 면인 제2 면 상에 압력 감지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감지 구동부는 상기 구동 라인 및 상기 감지 라인과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3,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driving unit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driv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line and the sensing line through a contact hole.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패널 하부 부재; 및
상기 패널 하부 부재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전극, 제1 감지 전극, 제2 구동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마주보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패턴부를 향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1 압력 감지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중첩하는 제2 압력 감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타면 및 상기 패널 하부 부재에 접착된 표시 장치. display panel;
A printed circuit board located beneath the above display panel;
A panel lower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dhesive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member of the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A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driving electrode, a first sensing electrode, a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arranged on a first surface; and
Including a cover portion facing the above pattern portion,
The above cover part,
A substrate including one side facing the pattern portion and the other side being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positioned on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overlapp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positioned on the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overlapping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above adhesive member is,
A display devic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ower member of the panel.
상기 제1 면 상에는 절연층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구동 전극, 상기 제1 감지 전극,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5,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the insulating layer exposing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상기 제1 압력 감지층과 상기 제1 구동 전극 및 상기 제1 감지 전극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5,
A display device in which a gap exists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layer,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7,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ver part includes a spacer that maintains the gap.
상기 제2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 구동 전극 및 상기 제2 감지 전극과 접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7,
The second pressure sensing layer is a display devi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4458A KR102720537B1 (en) | 2019-03-26 | 2019-03-26 | Display panel |
| CN202010206188.0A CN111752406B (en) | 2019-03-26 | 2020-03-23 | Display panel |
| US16/827,559 US11127796B2 (en) | 2019-03-26 | 2020-03-23 | Display panel with integrated pressure sensor and printed circuit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4458A KR102720537B1 (en) | 2019-03-26 | 2019-03-26 | Display pane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15793A KR20200115793A (en) | 2020-10-08 |
| KR102720537B1 true KR102720537B1 (en) | 2024-10-22 |
Family
ID=726049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34458A Active KR102720537B1 (en) | 2019-03-26 | 2019-03-26 | Display panel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11127796B2 (en) |
| KR (1) | KR102720537B1 (en) |
| CN (1) | CN11175240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29293B1 (en) * | 2019-06-14 | 2025-07-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220051901A (en) * | 2020-10-19 | 2022-04-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68880A (en) | 2022-11-09 | 2024-05-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80299997A1 (en) * | 2017-04-14 | 2018-10-18 | Sensel, Inc. | Selectively adhered resistive force sensor |
Family Cites Families (1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736574B2 (en) * | 2011-05-19 | 2014-05-27 | Microsoft Corporation | Pressure-sensitive multi-touch device |
| KR101360116B1 (en) | 2011-10-13 | 2014-02-07 |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touch panel manufactured by the same |
| US20130265256A1 (en) * | 2012-04-07 | 2013-10-10 |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 Pressure sensing display device |
| KR101301277B1 (en) | 2012-07-30 | 2013-08-27 | 주식회사 마블덱스 | Input device with membrane pressure sensor and proximity sensor. |
| US9195343B1 (en) * | 2013-09-26 | 2015-11-24 | Amazon Technologies, Inc. | Force-sensing resistor sensor and applications |
| US9001082B1 (en) * | 2013-09-27 | 2015-04-07 | Sensel, Inc. | Touch sensor detector system and method |
| KR101712346B1 (en) * | 2014-09-19 | 2017-03-22 | 주식회사 하이딥 | Touch input device |
| CN106502444B (en) * | 2015-09-03 | 2019-03-19 |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 Touch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pressure detection method |
| KR102473527B1 (en) * | 2015-12-21 | 2022-12-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
| CN109074186B (en) * | 2016-04-08 | 2022-12-06 | 希迪普公司 | Pressure sensor,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same and pressure dete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2668610B1 (en) * | 2016-10-21 | 2024-05-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102668622B1 (en) * | 2016-12-29 | 2024-05-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445445B1 (en) * | 2017-03-28 | 2022-09-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
| KR101910518B1 (en) * | 2017-04-11 | 2018-10-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Biometric sensor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964857B1 (en) | 2017-05-26 | 2019-04-04 | 주식회사 시노펙스 | Thin film force sens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39808B1 (en) * | 2018-03-28 | 2020-07-31 | 주식회사 하이딥 | Pressure sensor comprising a pulurality of channels,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pressure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554586B1 (en) | 2018-07-27 | 2023-07-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44091B1 (en) | 2018-12-20 | 2024-03-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2019
- 2019-03-26 KR KR1020190034458A patent/KR102720537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3-23 CN CN202010206188.0A patent/CN111752406B/en active Active
- 2020-03-23 US US16/827,559 patent/US1112779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80299997A1 (en) * | 2017-04-14 | 2018-10-18 | Sensel, Inc. | Selectively adhered resistive force sens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15793A (en) | 2020-10-08 |
| US20200312918A1 (en) | 2020-10-01 |
| CN111752406A (en) | 2020-10-09 |
| US11127796B2 (en) | 2021-09-21 |
| CN111752406B (en) | 2024-05-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699192B1 (en) | Display device | |
| KR102811520B1 (en) |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2582263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CN110764640B (en) |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2650629B1 (en) |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US11609609B2 (en) |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2792346B1 (en) | Display device | |
| CN111950337A (en) | display device | |
| KR102720537B1 (en) | Display panel | |
| KR102802744B1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