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699259B1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9259B1
KR102699259B1 KR1020160153858A KR20160153858A KR102699259B1 KR 102699259 B1 KR102699259 B1 KR 102699259B1 KR 1020160153858 A KR1020160153858 A KR 1020160153858A KR 20160153858 A KR20160153858 A KR 20160153858A KR 102699259 B1 KR102699259 B1 KR 10269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mponents
vehicle
power
ord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84A (ko
Inventor
이영일
윤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9259B1/ko
Priority to US15/435,605 priority patent/US10081319B2/en
Publication of KR2018005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92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circuits concerning the atmospheric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장 부품;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일부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차체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순서를 제2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제한으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고 운전자에게 편의와 재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장 부품이 마련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주행 보조 시스템, 시트 열선 등 큰 전력을 소비하는 전장 부품들이 마련되고 있다.
그 결과, 시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소모가 증가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배터리의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장 부품의 동작 제한으로 인한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장 부품;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일부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차체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순서를 제2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외기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과 상기 차량의 구동 시간으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 장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레인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건강 정보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는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 혈당, 혈압 및 질병 정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턴온 시간을 상기 제2 순서로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출력을 상기 제2 순서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차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발전기의 발전량, 배터리의 충전량 및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외기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과 상기 차량의 구동 시간으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을 산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외기 온도, 외기 습도 및 강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는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 혈당, 혈압 및 질병 정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턴온 시간을 상기 제2 순서로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출력을 상기 제2 순서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의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장 부품의 동작 제한으로 인한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체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대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차체 제어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 순서를 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은 엔진의 회전력 및/또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사람 및/또는 물건을 운송하는 기계/전기 장치이다.
차량의 엔진은 휘발유, 경유, 가스 등의 화석 연료를 폭발적으로 연소시키고, 화석 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병진 운동력을 회전 운동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차량은 내영기관이 생성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차량은 엔진의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 모터와, 시동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시동용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운전자에게 안전 및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전장(電裝) 부품들을 포함하며, 전장 부품들은 시동용 배터리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장 부품들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함으로 인하여, 배터리는 방전될 수 있다. 배터리가 시동 모터를 구동할 수 없을 정도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의 제어가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차량과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체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차대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을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고 운전자 및/또는 수화물을 수용하는 차체(body) (10)와, 차체(10) 이외의 동력 생성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제동 장치, 조향 장치, 차륜 등을 포함하는 차대(chassis) (20)와, 운전자를 보호하고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전장 부품(30)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는 운전자가 머무를 수 있는 실내 공간,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 및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렁크 룸을 형성한다.
차체(20)는 후드(hood) (11),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12), 루프 패널(roof panel) (13), 도어(door) (14), 트렁크 리드(trunk lid) (15), 쿼터 패널(quarter panel) (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차체(10)의 전방에는 프런트 윈도우(front window) (17)가 설치되고, 차체(10)의 측면에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 (18)가 설치되고, 차체(10)의 후방에는 리어 윈도우(rear window) (19)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대(20)는 운전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1)이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 생성 장치(21), 동력 전달 장치(22), 조향 장치(23), 제동 장치(24), 차륜(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대(20)는 동력 생성 장치(21), 동력 전달 장치(22), 조향 장치(23), 제동 장치(24), 차륜(25)을 고정하는 프레임(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생성 장치(21)는 차량(1)이 주행하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며, 엔진(21a), 연료 공급 장치(21b), 배기 장치(2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22)는 동력 생성 장치(21)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차륜(25)으로 전달하며, 클러치/변속기(22a), 변속 레버, 차동 장치, 구동축(2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23)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며, 스티어링 휠(23a), 조향 기어(23b), 조향 링크(23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 장치(24)는 차륜(25)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실린더(24a), 브레이크 디스크(24b), 브레이크 패드(24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25)은 동력 생성 장치(21)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22)를 통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차륜(25)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과,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계 부품뿐만 차량(1)의 제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전장 부품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 (31),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32), 전자 제동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33), 전동 조향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EPS) (34), 승객 감지 센서(occupant detection sensor, ODS) (35), 환경 정보 수집 장치 (36),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 무선 통신 장치(38), 배터리 센서(39) 및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 시트 히터(42), 리어 시트 히터(43), 프런트 암레스트 히터(44), 리어 암 레스트 히터(45), 스티어링 휠 히터(46), 리어 윈도우 히터(47), 사이드 미러 히터(48) 및 프런트 블로워(4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B)가 마련될 수 있다.
엔진 관리 시스템(31)은 가속 페달(31a)을 통한 운전자의 가속 명령에 응답하여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고 엔진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관리 시스템(31)은 엔진 토크 제어, 연비 제어, 엔진 고장 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제어 유닛(32)은 변속 레버(32a)를 통한 운전자의 변속 명령 또는 차량(1)의 주행 속도에 응답하여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기 제어 유닛(32)은 변속 제어, 클러치 제어 및 변속 중 엔진 토크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제동 페달(33a)을 통한 운전자의 제동 명령에 응답하여 차량(1)의 제동 장치를 제어하고 차량(1)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안티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 및 안정성 제어 장치(Electric Stability Control, E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조향 장치(34)는 운전자가 쉽게 스티어링 휠(34a)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조향 장치(34)는 저속 주행 또는 주차 시에는 조향력을 감소시키고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력을 증가시키는 등 사용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할 수 있다.
승객 검출 센서(35)는 차량(1)의 각 시트(S1, S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시트(S1, S2)에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검출 센서(35)는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착석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 내부 및/또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눈 및/또는 비가 오는지를 검출하는 레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스티어링 휠(23a)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을 감지할 수 있다. 생성 정보 수집 장치(37)는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혈당, 혈압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무선 통신 장치(38)를 통하여 외부의 의료 서버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질병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38)는 차량(1) 외의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38)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다른 차량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장치(38)는 기지국 또는 다른 차량을 통하여 외부 의료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의료 서버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생체 정보, 질병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엔진의 회전력으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차량(1)에 포함된 각종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주행 중에 발전기는 엔진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배터리(B)는 발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주차 중에 시동 모터에 엔진의 시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량(1)의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39)는 배터리(B)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센서(39)는 배터리(B)의 정격 용량, 배터리(B)의 충전 비율(State of Charge, SoC), 배터리(B)의 잔존 수명(State of Health, SoH), 배터리(B)의 출력 전압, 배터리(B)의 출력 전류, 배터리(B)의 온도 등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차량(1)에 설치된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 시트 히터(42), 리어 시트 히터(43), 프런트 암레스트 히터(44), 리어 암 레스트 히터(45), 스티어링 휠 히터(46), 리어 윈도우 히터(47), 사이드 미러 히트(48) 및 프런트 블로워(49)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 보조 히터(41)는 차량(1)에 포함된 공조 장치에 의한 난방 시에 공조 장치를 보조할 수 있다. 전기 보조 히터(41)는 엔진(21a)의 냉각수가 충분히 가열되기 전에 차량(1)의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는 운전석 시트(S1) 및 조수석 시트(S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 및/또는 시트(S1, S2)의 온도에 따라 시트(S1, S2)를 가열할 수 있다.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는 운전석 시트(S1)과 조수석 시트(S2) 사이의 암 레스트(A)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 및/또는 암 레스트(A)의 온도에 따라 암 레스트(A)를 가열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히터(46)는 스티어링 휠(34a)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 및/또는 스티어링 휠(34a)의 온도에 따라 스티어링 휠(34a)를 가열할 수 있다.
리어 윈도우 히터(47)는 리어 윈도우(19)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리어 윈도우(19)에 발생된 습기 및/또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리어 윈도우(19)를 가열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 히터(48)는 사이드 미러(14a)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14a)에 발생된 습기 및/또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14a)를 가열할 수 있다.
프런트 블로워(49)는 차량(1)의 공조 장치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차량(1)의 내부로 송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런트 블로워(49)는 차량(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공조 장치에 의하여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블로워(49)는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장 부품들(3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 부품들(30)은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은 차량용 전력 네트워크(PNT)를 통하여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B)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주차 중에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가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시동 모터(M), 엔진(21a), 발전기(G), 배터리(B) 및 전장 부품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시동 모터(M)은 엔진(21a)이 정지 중에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엔진(21a)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시동 모터(M)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시동 모터(M)가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매우 많은 전력량을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B)는 시동 모터(M)의 동작을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량(예를 들어, 대략 80% 이상의 충전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
엔진(21a)은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엔진(21a)은 연료의 폭발적 연소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엔진(21a)의 회전력은 변속기(22a)를 거쳐 차륜(2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차량(1)은 차륜(25)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엔진(21a)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 중 일부는 발전기(G)로 제공될 수 있다.
발전기(G)는 엔진(21a)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엔진(21a)의 회전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 즉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G)는 차량(1)의 주행 상태 및 배터리(B)의 충전 비율(SoC)에 따라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G)는 회전자와 고정자가 모두 코일을 포함하는 모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자는 엔진(21a)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고정자는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회전자가 회전하는 중에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하는 자계가 발생하며, 회전하는 자계로 인하여 고정자의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를 이용하여 발전기(G)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자계의 크기가 변화하며, 고정자의 코일에 발생하는 기전력 역시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발전기(G)는 전력의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발전기(G)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의 일부는 차량(1)의 전장 부품들(30)에 공급되며, 다른 일부는 차량(1)의 배터리(B)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전기(G)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은 전장 부품들(30)에 공급되고, 남은 전력이 배터리(B)에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B)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전력을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B)는 엔진(21a)의 정지 시에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한 전력을 시동 모터(M)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엔진(21a)이 정지된 주차 중에는 발전기(G)가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배터리(B)는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이 소비하는 전력이 발전기(G)가 생산하는 전력보다 큰 경우, 배터리(B)는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발전기(G)와 배터리(B)는 상호 보완적으로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장 부품들(30)은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차량(1)의 구성을 제어하거나 운전자에게 안전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차체 제어 모듈(100)은 운전자에게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는 각종 전장 부품들(30)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차체 제어 모듈(100)은 시동 모터(M)가 동작할 수 있는 배터리(B)의 충전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전장 부품들(30)이 소비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체 제어 모듈(100)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차체 제어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제어 모듈(100)은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를 통하여 전장 부품들(30)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전장 부품들(3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121)를 포함할 수 있다. 캔 트랜시버(121)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로부터 아날로그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통신 신호를 디지털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121)는 제어부(110)로부터 디지털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통신 데이터를 아날로그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부(12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를 통하여 차량(1)의 전장 부품들(3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차체 제어 모듈(100)은 통신부(120)을 통하여 차량(1)의 전장 부품들(30)과 통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차체 제어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2차 메모리(131)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메모리(131)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메모리(131)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 HDD)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체 제어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1차 메모리(112)와, 1차 메모리(11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메모리(112)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1차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1)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11)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메모리(112)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차 메모리(112)는 차체 제어 모듈(100)의 부팅 또는 파워 온 리셋(power on reset)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12)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발전기(G)에 관한 데이터와 배터리(B)에 관한 데이터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차량(1)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발전기(G)에 관한 데이터와, 배터리(B)에 관한 데이터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이 이용할 수 있는 전력의 가용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장 부품들(30)이 현재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을 전력 가용량이라 하며, 제어부(11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력 가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발전량은 발전기(G)가 현재 생산하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충전량은 배터리(B)에 현재 저장된 전력량을 나타내고, 소비량은 전력 부품들(30)이 현재 소비하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전력 가용량은 전장 부품들(30)이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전력 가용량은 발전량, 충전량 및 소비량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발전량은 발전기(G)의 회전 속도, 발전기(G)의 온도 및 전압으로부터 산출되며, 충전량은 배터리(B)의 충전 비율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소비량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정보 또는 배터리(B)의 출력 전류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이 최대로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을 최대 가용량이라 하며, 제어부(110)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최대 가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발전량은 발전기(G)가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충전량은 배터리(B)에 최대로 저장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소비량은 전력 부품들(30)이 기본적으로 소비하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최대 가용량은 전장 부품들(30)이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최대 가용량은 최대 발전량, 최대 충전량 및 기본 소비량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최대 발전량, 최대 충전량 및 기본 소비량은 실험을 통하여 사전에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이 최대로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에 대하여 전장 부품들(30)이 현재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의 비율 즉 전력 가용량에 대한 최대 가용량의 비율을 전력 가용률이라 하며, 제어부(110)는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전력 가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여기서, 전력 가용량은 전장 부품들(30)이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최대 가용량은 전장 부품들(30)이 최대로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고, 전력 가용률은 전장 부품들(30)이 최대로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에 대하여 전장 부품들(30)이 현재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전력 가용률은 발전기(G)와 배터리(B)가 전장 부품들(30)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력에 대한 발전기(G)와 배터리(B)가 전장 부품들(30)에 공급하는 현재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며,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가용률이 높으면 제어부(110)는 차량(1)이 전력 공급 상태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전력 가용률이 낮으면 제어부(110)는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소비 제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과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0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01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발전기(G)에 관한 데이터와 배터리(B)에 관한 데이터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이 이용할 수 있는 전력의 가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발전기(G)의 발전량, 배터리(B)의 충전량 및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량을 산출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발전기(G)의 최대 발전량, 배터리(B)의 최대 충전량 및 전장 부품들(30)의 최대 소비량으로부터 최대 가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전력 가용량과 최대 가용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02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과 기준 가용률을 비교하고,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 가용률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 제한 동작이 개시되는 가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가용률이 80%일 때 전장 부품(도 8에 의하면 전기 보조 히터)의 동작이 제한된다면, 기준 가용률은 80%로 정의될 수 있다.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지 않으면(1020의 아니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의 산출을 반복한다.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1020의 예),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제1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한다(103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차량(1)은 발전기(G)의 발전량보다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량이 많음으로 인하여 배터리(B)의 충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력 가용률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전장 부품들(30)의 개별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1단계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주기적으로 턴온/턴오프되는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 스티어링 휠 히터(46), 리어 윈도우 히터(47) 및 사이드 미러 히터(48) 각각을 온 타임 동안 가동하고, 오프 타임 동안 가동을 중지할 수 있다.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아지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1단계로서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기 보조 히터(41), 리어 윈도우 히터(47),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의 순서로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으면 전기 보조 히터(41)의 턴온 시간을 대략 5초 내지 10초 지연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78% 보다 작으면 리어 윈도우 히터(46)의 턴온 시간을 대략 10초 내지 20초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76% 보다 작으면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턴온 시간을 대략 30초 내지 60초 지연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74% 보다 작으면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의 턴온 시간을 대략 10초 내지 20초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2단계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시트 히터(42), 프런트 암레스터 히터(44), 리어 시트 히터(43),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스티어링 휠 히터(46)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아지면 프런트 시트 히터(42)의 출력을 대략 50% 감소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68% 보다 작아지면 프런트 암레스트 히터(44)의 출력을 대략 50%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66% 보다 작아지면 리어 시트 히터(43)의 출력을 대략 50% 감소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64%보다 작아지면 리어 암레스트 히터(45)의 출력을 대략 50%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56% 보다 작아지면 스티어링 휠 히터(45)의 출력을 대략 50%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3 단계로써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사이드 미러 히터(48),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전기 보조 히터(41), 리어 윈도우 히터(47), 프런트 블로워(49)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아지면 사이드 미러 히터(48)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48% 보다 작아지면 스티어링 휠 히터(46)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44% 보다 작아지면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40% 보다 작아지면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38% 보다 작아지면 전기 보조 히터(41)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전력 가용률이 36% 보다 작아지면 리어 윈도우 히터(46)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30% 보다 작아지면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전장 부품들(30)의 출력을 시키거나, 전장 부품들(30)의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운전자의 편의를 희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이 단계적으로 제한됨으로 인하여, 운전자는 불편을 격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특정한 전장 부품(30)의 사용을 선호하더라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장 부품(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온도, 습도 등의 기상 상태 및/또는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상 상태와 무관하게 전력 가용률에 따라 일률적으로 전장 부품(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전장 부품(30)의 사용 패턴과, 온도, 습도 등의 기상 상태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상 상태에 따라 전장 부품(30)의 동작을 차단하거나, 전장 부품(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와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1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110).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120).
동작 1110 및 동작 1120은 도 7의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는 미탑승 시트를 검출한다(1130).
차량(1)의 승객 감지 센서(35)는 차량(1)의 각 시트(S1, S2)에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를 차체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감지 센서(35)는 시트(S1, S2) 상에 미리 정해진 무게(15kg) 이상이 감지되면 승객 검출 신호를 차체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체 제어 모듈(100)은 승객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시트(S1, S2)에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감지 센서(35)는 시트(S1, S2) 상에 미리 정해진 무게(15kg) 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객 미검출 신호를 차체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체 제어 모듈(100)은 시트(S1, S2)에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는 미탑승 시트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114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승객 미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미탑승 시트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미탑승 시트에 대한 가동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차체 제어 모듈(100)은 미탑승 시트를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 감지 센서(35)로부터 리어 시트의 승객 미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가 리어 시트 히터(43)의 가동에도 불구하고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시트 히터를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미리 정해진 제1 순서로 제한한다(115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발전기(G)의 발전량보다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량이 많음으로 인하여 배터리(B)의 충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동작 1130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시트에 대한 전장 부품의 가동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 순서를 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 도 11 및 도 12와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2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210).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220).
동작 1210 및 동작 1220은 도 7의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차량(1)은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1230).
차량(1)의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의 습도 센서는 차량(1) 내부 및/또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고, 온도 센서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레인 센서는 눈 및/또는 비가 오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무선 통신 장치(38)를 통하여 외부 기상 서버로부터 온도, 습도, 눈 또는 비 등의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수집된 환경 정보를 차체 제어 모듈(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은 환경 정보에 따른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을 산출한다(124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사전에 환경 정보에 따른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사전에 비가 오는 경우의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사용 시간, 외기 온도에 따른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사용 시간 등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차체 제어 모듈(100)은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으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과 차량(1)의 구동 시간으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여기서, 전장 부품의 사용률은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은 특정한 환경 조건에서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을 나타내고, 차량의 구동 시간은 특정한 환경 조건에서 차량(1)의 구동 시간을 나타내고, 특정한 환경 조건에서 차량(1)의 구동 시간에 대한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 온도가 3℃이고 습도가 62%일 때,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으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 온도가 3℃이고 습도가 62%일 때, 프런트 시트 히터(42)의 사용률이 95%로 가장 높고, 리어 윈도우 히터(46)의 사용률이 10%로 가장 낮을 수 있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2 순서를 설정한다(125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2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 온도가 3℃이고 습도가 62%에서 차체 제어 모듈(3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 사이드 미러 히터(48),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전기 보조 히터(41), 리어 시트 히터(43), 프런트 블로워(49),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 암레스트 히터(44), 프런트 시트 히터(42)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정 부품들(30)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한다(126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앞서 설정된 제2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전장 부품들(30)의 개별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1단례로써 제2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가용률에 따라 리어 윈도우 히터(47),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리어 암레스터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2단계로써 제2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가용률에 따라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리어 시트 히터(43),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 암레스터 히터(44), 프런트 시트 히터(42)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잇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3 단계로써 제2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리어 윈도우 히터(47), 사이드 미러 히터(48),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 블로워(49),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에 운전자의 사용 패턴을 반영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와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3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310).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320).
동작 1310 및 동작 1320은 도 7의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차량(1)은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1330).
차량(1)의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차체 제어 모듈(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3 순서를 설정한다(134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환경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3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가 비가 오는 것을 감지하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동작 제한 순서를 늦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개별 기준 가용률을 낮출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정 부품들(30)의 동작을 제3 순서로 제한한다(135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앞서 설정된 제3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전장 부품들(30)의 개별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1단례로써 제3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특히,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턴온 시간 지연을 위한 개별 기준 가용률을 72%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체 제어 모듈(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2단계로써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시트 히터(42), 프런트 암레스터 히터(44), 리어 시트 히터(43),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스티어링 휠 히터(46)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3 단계로써 제3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개별 기준 가용률을 26%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사이드 미러 히터(48),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 블로워(49),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환경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에 외부 환경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4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410).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420).
동작 1410 및 동작 1420은 도 7의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한다(1430)
차량(1)의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차량(1)에 마련된 센서와 차량(1)과 별도로 마련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스티어링 휠(23a)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을 감지하거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혈당, 혈압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무선 통신 장치(38)를 통하여 외부의 의료 서버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질병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4 순서를 설정한다(1440).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3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가 탑승자의 천식 질환을 획득하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 제한 순서를 늦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브로워(49)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개별 기준 가용률을 낮추고,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정 부품들(30)의 동작을 제4 순서로 제한한다(145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앞서 설정된 제4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전장 부품들(30)의 개별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1단례로써 전기 보조 히터(41), 리어 윈도우 히터(47),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2단계로써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시트 히터(42), 프런트 암레스터 히터(44), 리어 시트 히터(43),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스티어링 휠 히터(46)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으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절전 3 단계로써 제4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블로워(49)의 개별 기준 가용률을 20%로 감소시키고,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을 차단하는 대신 프런트 블로워(49)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사이드 미러 히터(48),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전기 보조 히터(41),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하고, 프런트 블로워(49)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전력 가용률이 더욱 낮아지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전장 부품들(30)의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동작 제한 방법에 의한 전장 부품들의 동작 제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과 함께, 차량(1)의 동작 제한 방법(15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가용률을 산출한다(1510). 이후, 차량(1)은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520).
동작 1510 및 동작 1520은 도 7의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는 미탑승 시트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1530).
차량(1)의 승객 감지 센서(35)는 차량(1)의 각 시트(S1, S2)에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가 탑승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를 차체 제어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승객 미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미탑승 시트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가 미탑승 시트에 대한 가동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차체 제어 모듈(100)은 미탑승 시트를 가동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5 순서를 설정한다(1540).
차량(1)의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차체 제어 모듈(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사전에 환경 정보에 따른 전장 부품들(30)의 사용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사전에 저장된 전장 부품들(30)의 사1용 시간으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을 산출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5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차량(1)은 환경 정보에 따라 제5 순서를 변경한다(1550).
차량(1)의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는 차량(1)의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차체 제어 모듈(100)은 환경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5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제5 순서를 변경한다(1560).
차량(1)의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는 차량(1)에 마련된 센서와 차량(1)과 별도로 마련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38)를 통하여 외부의 의료 서버로부터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질병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을 위한 제5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1)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정 부품들(30)의 동작을 제5 순서로 제한한다(1570).
전력 가용률이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차량(1)의 전력 공급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앞서 설정된 제5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전장 부품들(30)의 개별 기준 가용률보다 작아지면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 장치(36)에 의하여 3℃의 외기 온도, 62%의 습도, 및 강우가 감지되고 건강 정보 수집 장치(37)에 의하여 운전자의 천식 질환이 감지되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우선,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전장 부품들(30)의 사용률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차체 제어 모듈(100)은 환경 정보에 따라 제5 순서를 변경하고,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제5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80% 보다 작아지면 절전 1단계로서 전력 가용률에 따라 전기 보조 히터(41), 프런트/리어 암 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 리어 윈도우 히터(47)의 순서로 턴온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70% 보다 작으면 절전 2단계로 리어 암레스트 히터(45), 리어 시트 히터(43),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 암레스터 히터(44), 프런트 시트 히터(42)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을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이 50% 보다 작으면 절전 3 단계로써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차체 제어 모듈(100)은 전력 가용률에 따라 사이드 미러 히터(48), 전기 보조 히터(41), 스티어링 휠 히터(46), 프런트/리어 암레스트 히터(44, 45), 프런트/리어 시트 히터(42, 43)의 순서로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차단하고, 프런트 블로워(49)를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가용률이 더욱 낮아지면 차체 제어 모듈(100)은 리어 윈도우 히터(47)와 프런트 블로워(49)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배터리(B)의 충전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 외부 환경 정보,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제한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차량(1)은 운전자의 취향, 외부 환경, 운전자 및/또는 탑승자의 건강에 따라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35: 승객 감지 센서
36: 환경 정보 수집 장치 37: 건강 정보 수집 장치
38: 무선 통신 장치 39: 배터리 센서
41: 전기 보조 히터 42: 프런트 시트 히터
43: 리어 시트 히터 44: 프런트 암레스트 히터
45: 리어 암 레스트 히터 46: 스티어링 휠 히터
47: 리어 윈도우 히터 48: 사이드 미러 히터
49: 프런트 블로워 100: 차체 제어 모듈

Claims (20)

  1.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장 부품;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일부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차체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순서를 제2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고,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과 차량의 구동 시간으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을 산출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외기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을 저장하는 차량.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수집 장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레인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7.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장 부품;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일부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발전기의 발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차체 제어 모듈;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건강 정보 수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순서를 제2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고,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는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 혈당, 혈압 및 질병 정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턴온 시간을 상기 제2 순서로 지연시키는 차량.
  10. 제1항 또는 제7항 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출력을 상기 제2 순서로 감소시키는 차량.
  11. 제1항 또는 제7항 에 있어서,
    상기 차체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차단하는 차량.
  12. 발전기의 발전량, 배터리의 충전량 및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과 차량의 구동 시간으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 시간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사용률의 역순으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외기 온도, 외기 습도 및 강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발전기의 발전량, 배터리의 충전량 및 복수의 전장 부품의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전력 가용률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전력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가용률보다 작으면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1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
    운전자의 전장 부품 사용률과, 외부 환경 정보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건강 정보는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온, 땀, 심박수, 맥박, 혈당, 혈압 및 질병 정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12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턴온 시간을 상기 제2 순서로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12항 또는 제17항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출력을 상기 제2 순서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12항 또는 제17항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의 동작을 상기 제2 순서로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60153858A 2016-11-18 2016-11-18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269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8A KR102699259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5/435,605 US10081319B2 (en) 2016-11-18 2017-02-17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8A KR102699259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84A KR20180056084A (ko) 2018-05-28
KR102699259B1 true KR102699259B1 (ko) 2024-08-28

Family

ID=6214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58A Active KR102699259B1 (ko) 2016-11-18 2016-11-18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81319B2 (ko)
KR (1) KR102699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8919B2 (en) 2017-04-1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module activation of vehicles in a key-off state to determine driving routes
US10363796B2 (en) * 2017-04-19 2019-07-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module activation of vehicles in a key-off state
CN111775698B (zh) * 2019-04-04 2021-11-16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里程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汽车
US11137814B2 (en) * 2019-04-30 2021-10-05 Thales Avionics, Inc. Managing application execution by in-flight processing systems to protect health and capacity of multi-cell battery packs
US12319178B2 (en) * 2021-04-02 2025-06-03 Mubeen Aziz Elevated vehicl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05A (ja) * 2000-12-28 2002-07-12 Denso Corp 車両用電源装置及びエンジン駆動規制支援装置
JP2009253993A (ja) * 2008-04-01 2009-10-29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電力制御装置
US20140172214A1 (en) 2012-12-18 2014-06-19 Kia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motor torque for hybrid vehicle
WO2016013243A1 (ja) 2014-07-24 2016-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198A (ja) 2004-12-27 2006-07-1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配電制御装置
JP2007216817A (ja) 2006-02-16 2007-08-30 Fujitsu Ten Ltd 給電制限装置、及び制御装置
JP4728839B2 (ja) 2006-03-02 2011-07-20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車載機器制御装置
US7539881B2 (en) * 2006-04-15 2009-05-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power caps for electronic components based on power consumption
JP5019571B2 (ja) 2006-09-29 2012-09-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JP4333743B2 (ja) * 2007-01-10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舵装置
EP2200142B1 (en) * 2008-12-19 2014-04-16 ABB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limiting electric power required by electric loads
EP2424746A2 (en) * 2009-04-27 2012-03-07 AB Volvo Lastvagnar A battery charging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330069B1 (ko) 2012-07-04 2013-11-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변 환경 정보를 고려한 차량 전력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4162345A1 (ja) * 2013-04-01 2014-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車両制御装置、車両、充電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方法
WO2015134311A1 (en) * 2014-03-03 2015-09-11 Inrix Inc Traffic obstruction detection
TW201541238A (zh) * 2014-04-18 2015-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力控制系統及方法
KR102200520B1 (ko) * 2014-11-14 2021-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10109122B2 (en) * 2016-04-22 2018-10-23 Hitachi, Ltd. System for maintenance recommendation based on maintenance effectiveness esti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05A (ja) * 2000-12-28 2002-07-12 Denso Corp 車両用電源装置及びエンジン駆動規制支援装置
JP2009253993A (ja) * 2008-04-01 2009-10-29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電力制御装置
US20140172214A1 (en) 2012-12-18 2014-06-19 Kia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motor torque for hybrid vehicle
WO2016013243A1 (ja) 2014-07-24 2016-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1319B2 (en) 2018-09-25
US20180141508A1 (en) 2018-05-24
KR20180056084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925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7571860B (zh) 用于运行电驱动的或能电驱动的车辆的方法及车辆
US20200043254A1 (en) Data storage device of vehicle
US99692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CN107472169B (zh) 电动汽车的控制系统和汽车
CN107627978B (zh) 车辆及其控制方法和用于车辆的电力控制设备
CN107471954A (zh) 自主车辆动态气候控制
CN110186793A (zh) 用于轮胎磨损预测的系统和方法
CN108333518B (zh) 电池健康状况评估
CN109944695B (zh) 车辆及该车辆的发动机停机计时器诊断方法
KR102485229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361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80065499A (ko)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전력 분배 장치
KR102425886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Nagy Hierarchical mapping of an electric vehicle sensor and control network
KR10262632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11284474B (zh) 车辆及控制该车辆的方法
US12311733B1 (en) Solar aggressiveness factor for determining airflow and discharge temperature of a vehicle HVAC system
KR102403353B1 (ko)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US20200346507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528233B1 (ko)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전력 관리 장치
CN107380109A (zh) 一种安全气囊控制器和制动能量回收系统集成装置
US20240067030A1 (en) Powernet domain controll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7666368B2 (ja) 車両、制御装置
US20230373344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