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66B1 -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2266B1 KR102662266B1 KR1020210179085A KR20210179085A KR102662266B1 KR 102662266 B1 KR102662266 B1 KR 102662266B1 KR 1020210179085 A KR1020210179085 A KR 1020210179085A KR 20210179085 A KR20210179085 A KR 20210179085A KR 102662266 B1 KR102662266 B1 KR 102662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eam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
- vehicle
- access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유닛에 접속한 스틱 PC에서 음악 앱이 재생되고 있을 때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구분하여 음악 앱을 유지 또는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접속하는 차량 접속 장치에서 휴대단말 동작을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접속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 간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접속 장치에 저장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stream)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이 알림음인 경우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이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스트림인 경우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onn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distinguishing the type of stream received from a smartphone and maintaining or stopping the music app when a music app is being played on a stick PC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This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this purpos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a vehicle, w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ate, when the first application stored in the vehicle access device is running, the vehicle access device receives a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the vehicle access device receives the first application. 1. Continuing to execute the application, and if the stream is a stream resulting from the execution of a second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vehicle access device stops executing the first appli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유닛에 접속한 스틱 PC에서 음악 앱이 재생되고 있을 때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구분하여 음악 앱을 유지 또는 중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onnection device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distinguishing the type of stream received from a smartphone and maintaining or stopping the music app when a music app is being played on a stick PC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the vehicle. This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veicle infotainment system)은 자동차에 IT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차량 내에서 정보(information) 및 엔터테이먼트(entertainment) 기능을 구현하는 시스템이다.An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is a system that combines IT technology with automobiles and implement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s within the vehicle.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 정보 기술(IT)의 발달로 차량의 헤드 유닛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가 확대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the types of smart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a vehicle head unit are expanding.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종류가 확대됨에 따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 애플의 카플레이(CarPlay) 등의 폰 프로젝션(phone projection)의 연결이 가능하다.As the types of smart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s head unit exp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phone projection such as Google's Android Auto and Apple's CarPlay.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 애플의 카플레이 등과 같은 폰 프로젝션을 지원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구비된 입력장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설정 동작을 진행하여 폰 프로젝션을 실행시킨 후에 이용할 수 있다. If you want to use a smart device by connecting it wired or wirelessly to the head unit of a vehicle that supports phone projection, such as Google's Android Auto or Apple's CarPlay, the user must use the input device or smart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s head unit. It can be used after executing phone projection by performing setting operations through the input device provided in .
그런데 종래의 폰 프로젝션은 스마트폰을 헤드 유닛에 유선이든 무선이든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헤드 유닛의 USB 단자에 쉽게 꽂아 폰 프로젝션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틱 PC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However, conventional phone projection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nect a smartphone to the head unit, either wired or wirelessly, so the popularity of stick PCs, which can provide functions similar to phone projection by easily plugging them into the USB terminal of the head unit, is increasing. there is.
스틱 PC를 헤드 유닛에 꽂아 설정 동작을 진행한 후 쉽게 폰 프로젝션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때 스틱 PC가 헤드 유닛의 화면 제어권을 가지게 되어 스마트폰과 헤드유닛 간의 핸즈프리(HFP) 시 사용자가 헤드 유닛의 화면에서 전화 수신 및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You can easily use the phone projection function by plugging the stick PC into the head unit and going through the setup process. However, at this time, the stick PC has control over the screen of the head unit, so the user cannot use the head unit during hands-free (HFP)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head unit. You cannot check the incoming call and caller information on the screen.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스틱 PC를 블루투스(HFP)로 연결하게 되면 헤드 유닛에서 전화 수신 및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f you connect your smartphone and stick PC via Bluetooth (HFP), you can receive calls and check caller information on the head unit.
이렇게 스마트폰이 스틱 PC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틱 PC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유튜브, 음악 앱 등)이 실행되고 있을 때, 스마트폰으로부터 스틱 PC에 스트림(stream)이 수신되면 실행 중인 스틱 PC의 애플리케이션이 중지되고 이후 스마트폰의 스트림이 수신되지 않아도 다시 실행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smartphone is connected to the stick PC via Bluetooth and an application (YouTube, music app, etc.) stored on the stick PC is running,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stick PC, the running application on the stick PC is There was a fatal problem that it would not run again even if it was stopped and no stream from the smartphone was receiv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 PC에서 음악 앱이 재생되고 있을 때 스마트폰으로부터 알림음이 수신되더라도 음악 앱의 재생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layback of the music app from being interrupted even if a notification sound is received from a smartphone while a music app is being played on a stick PC.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틱 PC에서 음악 앱이 재생되고 있을 때 스마트폰으로으로부터 다른 음악 앱이 들어오면 스틱 PC의 음악 앱을 중단하고 스마트폰의 음악 앱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p the music app on the stick PC and allow the music app on the smartphone to play if another music app comes in from the smartphone while a music app is playing on the stick PC.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접속하는 차량 접속 장치에서 휴대단말 동작을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접속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 간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접속 장치에 저장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stream)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이 알림음인 경우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이 상기 휴대단말에 저장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스트림인 경우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or this purpose,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a vehicle, w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ate, when the first application stored in the vehicle access device is running, the vehicle access device receives a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the vehicle access device receives the first application. 1. Continuing to execute the application, and if the stream is a stream resulting from the execution of a second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vehicle access device stops executing the first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휴대단말 동작을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stream)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지 않거나 스트림의 위치 값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erformed by a processor.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a first application is runn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by a processor. requesting the play state of a stream from a mobile terminal; stopping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changes; and, if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change or and continuing to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if the stream position value is not receiv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판별 로직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스트림이 음악 앱인지 알림음인지 구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tinguish whether a stream received from a smartphone is a music app or a notification sound according to the logic for determining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이에 따라 스트림이 알림 음인 경우 차량 접속 장치의 음악 앱을 계속 유지하고 스트림이 스마트폰의 음악 앱이면 차량 접속 장치의 음악 앱을 중단하고 스마트폰의 음악 앱을 재생함으로써 알림 음일 때 차량 접속 장치의 음악 앱이 중단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의 음악 앱을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하여 스마트폰과 차량 접속 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음악 앱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if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the music app on the vehicle access device is maintained, and if the stream is a music app on the smartphone, the music app on the vehicle access device is stopped and the music app on the smartphone is played. When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the music app on the vehicle access device is stopped and the music app on the smartphone is played.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app interruption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priority playback of music apps on smartphone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usic app users who use smartphones and vehicle access devices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에서 휴대단말과 차량 접속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에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스트림이 스마트폰의 알림음일 때 차량 접속 장치의 볼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스트림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스트림일 때 차량 접속 장치의 볼륨 상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o which the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terminal operation of a vehic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flow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access device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lay state of a stream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a vehic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volume status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when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from a smartphone.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volume status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when the stream is a stream resulting from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note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mponents will be omitted if it is judged that the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은 차량 접속 장치(스틱 PC)(10), 휴대단말(20), 차량의 헤드 유닛(30) 등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ehicle connection device (stick PC) 10, a
일반적으로 헤드 유닛(30)은 차량 구동을 위한 차량 내부의 각종 부품이나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운전자는 헤드 유닛(30)을 통해 차량의 성능이나 상태를 점검하며 차량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In general, the
헤드 유닛(30)은 단순히 차량의 성능이나 상태를 확인하고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외에 네비게이션, A/V(오디오/비디오)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드 유닛(30)에 차량 접속 장치(10)가 연결되어 있고, 휴대단말(30)이 차량 접속 장치(1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차량 접속 장치(10)는 헤드 유닛(30)의 USB 단자(미도시)에 삽입되어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단말(20)과 차량 접속 장치(10) 간의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될 수 있다. The
차량 접속 장치(10)가 헤드 유닛(30)에 접속되어 있고 휴대단말(20)과 차량 접속 장치(10)가 블루루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 접속 장치(10)에 저장된 음악 앱이 실행 중일 때 휴대단말(20)로부터 스트림(stream)이 수신되면, 차량 접속 장치(10)는 스트림의 종류를 판별하여 그에 따라 현재 실행 중인 음악 앱을 유지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2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10)는 근거리통신부(12), 메모리(14), 헤드유닛 통신부(16), 프로세서(18)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차량 접속 장치(10)는 헤드유닛 통신부(16)를 통해 헤드유닛(30)에 접속하고, 근거리통신부(12)를 통해 휴대단말(20)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헤드유닛 통신부(16)는 USB 통신모듈이고, 근거리통신부(12)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이다. The
메모리(14)에는 각종 애플리케이션(1)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1)으로는 네비게이션 맵, 음악 앱, 유튜브(Youtub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판별 로직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프로세서(18)는 차량 접속 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프로세서(18)는 메모리(14)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1)을 실행하는 동시에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판별 로직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동작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8)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방법에서 휴대단말과 차량 접속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in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 접속 장치(10)와 휴대단말(2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어 있다(S10). Referring to Figure 3, 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차량 접속 장치(10)와 휴대단말(20) 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가 설정되어 있다. A2DP는 멀티미디어 오디오를 다른 장치로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Bluetooth Profile)이다.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is set through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the
차량 접속 장치(10)와 휴대단말(20) 간에 A2DP 프로파일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 접속 장치(10)의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2). 여기서, 제1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재생과 관련된 앱으로서 예를 들어 음악 앱, 유튜브 등이 될 수 있다. With the A2DP profile set between the
차량 접속 장치(10)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휴대단말(20)로부터 스트림이 수신되면, 차량 접속 장치(10)는 휴대단말(20)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한다(S16). 휴대단말(20)은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 접속 장치(10)로 스트림의 위치 값을 전송한다(S18). When the first application is running on the
차량 접속 장치(10)의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 및 휴대단말(20)의 응답에 따른 스트림의 위치값 전송 과정은 반복된다.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from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속 장치의 휴대단말 동작 판별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show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in detail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접속 장치(10)가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S100), 휴대단말(20)로부터 스트림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102).Referring to FIG. 4, while the
휴대단말(20)로부터 스트림이 수신되었으면, 차량 접속 장치(10)는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 레벨을 감소시키는 동시(S104), 스트림의 종류를 확인한다(S106).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스트림이 알림음인 경우 차량 접속 장치(10)는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유지한다(S110). 반면, 스트림이 알림음이 아닌 휴대단말(20)에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음악 앱)에 따른 스트림인 경우, 차량 접속 장치(10)는 현재 실행 중인 제1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한다(S108).If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the
휴대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림의 종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5에 도시된 각 단계는 차량 접속 장치(10)의 프로세서(18)에 의해 수행된다. A method of determining the type of stream received from the
휴대단말(20)로부터 스트림이 들어오면(S200), 프로세서는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PlayStatus)를 임시 상태(Transient)로 전환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일정 레벨로 감소시킨다(S202) When a stream comes in from the mobile terminal 20 (S200), the processor switches the play status (PlayStatus) of the stream to a temporary state (Transient) and reduces the volume of the first application to a certain level (S202)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가 임시 상태일 때 프로세서는 휴대단말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한다(S204). 휴대단말은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에 응답하여 스트림의 위치 값(position)을 전송한다. When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is in a temporary state, the processor requests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S204).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stream position value in response to the stream play status request.
프로세서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재생중 상태(playing)로 판단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한다(S208). When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has changed, it determines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as playing and stops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S208).
여기서, 스트림의 위치값이 변경되었다는 것은 스트림의 상태가 계속해서 변경되어 즉, 스트림의 재생 위치(playback position 또는 song position) 값이 계속해서 변경되어 들어온다는 것이고, 이는 스트림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생한 스트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Here, chang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means that the state of the stream is continuously changing, that is, the playback position (playback position or song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is continuously changing, which means that the stream occurs a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t means stream.
만약,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의 위치값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스트림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한다(S210).If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has not changed, the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stream has ended (S210).
프로세서는 스트림이 계속 수신되고 있으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 및 스트림의 위치값 변경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스트림이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중단 상태(paused)로 판단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계속 유지한다(S212). If the stream is still being received, the processor rechecks the stream's play state request and whether the stream's position value has changed. If the stream is no longer received,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stream's play state as paused and sends the first application's Continue execution (S212).
여기서, 스트림의 위치값이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은 스트림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들어오거나 스트림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것(스트림의 위치값이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는 스트림이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단순 알림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e fact that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has not changed means that the state of the stream is maintained constant or the stream is not coming in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is not received), which means that the stream is a simple notification sound generated by the smartphone. It means.
도 6은 스트림이 스마트폰의 알림음일 때 차량 접속 장치의 볼륨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스트림이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스트림일 때 차량 접속 장치의 볼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6 shows the volume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when the stream is a notification sound of a smartphone, and Figure 7 shows the volume state of the vehicle access device when the stream is a stream according to application execution of a smartphone.
도 6에서, 차량 접속 장치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스트림이 수신되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PlayStatus)가 임시 상태(Transient)가 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이 일시적으로 낮아진다. In Figure 6, when a stream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vehicle access device, the play status (PlayStatus) of the stream becomes a temporary state (Transient), and the volume of the first application is temporarily lowered.
이후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에 따른 스트림의 위치값을 확인하여 스트림이 알림음으로 판별되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가 중단 상태(Paused)가 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이 원래대로 복원되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재생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Afterwards, if the stream is determined to be a notification sound by check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stream's play state request, the play state of the stream becomes Paused, and the volume of the first applica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first application's volum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Regeneration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도 7에서, 차량 접속 장치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스트림이 수신되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PlayStatus)가 임시 상태(Transient)가 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이 일시적으로 낮아진다. In FIG. 7, when a stream is received while the first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vehicle access device, the play status (PlayStatus) of the stream becomes transient, and the volume of the first application is temporarily lowered.
이후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에 따른 스트림의 위치값을 확인하여 스트림이 휴대단말에서 실행된 제2 애플리케션에 의한 스트림으로 판별되면,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가 재생중 상태(Playing)가 되고,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은 소거되어 제1 애플리케이션의 재생이 중단된다. Afterwards, by check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play status request of the stream, if the stream is determined to be a stream by a second application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becomes Playing, and the first application The volume of is erased and playback of the first application is stopp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 접속 장치(스틱 PC) 12: 근거리통신부
14: 메모리 16: 헤드유닛 통신부
18: 프로세서 20: 휴대단말
30: 헤드 유닛10: Vehicle access device (stick PC) 12: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4: Memory 16: Head unit communication unit
18: Processor 20: Mobile terminal
30: head unit
Claims (5)
상기 차량 접속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 간에 근거리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 접속 장치에 저장된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stream)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스트림의 위치 값을 수신하여 그 위치 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거나, 상기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지 않거나 스트림의 위치 값이 없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의 위치 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이 계속 수신되는 동안 반복되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된 상태에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지 않거나 없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head unit of a vehicle,
In a state w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receives a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a first application stored in the vehicle connection device is running;
requesting the play status of a stream from the vehicle access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the vehicle access device receives the location value of the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hecks whether the location value has changed;
Including stopping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changes, or continuing to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if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does not change or there is no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The step of requesting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and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has changed are repeated while the stream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ream is maintained while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is stopped.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value does not change or the first application is re-executed.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차량 접속 장치가 스트림이 전달되는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 레벨을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vehicle access device further comprises lowering the volume level of the first application while the stream is being transmitted.
제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을 때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stream)이 수신되면 상기 휴대단말로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의 위치 값을 수신하여 그 위치 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지 않거나 스트림의 위치 값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림의 플레이 상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림의 위치 값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이 계속 수신되는 동안 반복되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된 상태에서 스트림의 위치 값이 변하지 않거나 없으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다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a method of determining a mobile terminal opera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while the first application is running, requesting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value has changed;
stopping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when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changes;
Including continuing to execute the first application if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change or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is not received,
The step of requesting the play status of the stream and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osition value of the stream has changed are repeated while the stream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tream is maintained while execu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is stopped.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value does not change or the first application is re-executed.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스트림이 수신되면 스트림이 전달되는 동안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볼륨 레벨을 낮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cording to paragraph 4,
When a stream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method further includes lowering the volume level of the first application while the stream is being transmit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79085A KR102662266B1 (en) | 2021-12-14 | 2021-12-14 |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79085A KR102662266B1 (en) | 2021-12-14 | 2021-12-14 |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90110A KR20230090110A (en) | 2023-06-21 |
| KR102662266B1 true KR102662266B1 (en) | 2024-04-30 |
Family
ID=869900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79085A Active KR102662266B1 (en) | 2021-12-14 | 2021-12-14 |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62266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111978A (en) | 2017-12-25 | 2019-07-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On-vehicle fixing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63493B1 (en) * | 2005-02-17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all in portable terminal with MP3 playback |
| KR101562272B1 (en) * | 2009-10-14 | 2015-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ncting an audio device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70082265A (en) * | 2016-01-06 | 2017-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KR102555913B1 (en) | 2018-11-22 | 2023-07-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vehicle infor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21
- 2021-12-14 KR KR1020210179085A patent/KR1026622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111978A (en) | 2017-12-25 | 2019-07-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On-vehicle fix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90110A (en) | 2023-06-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0471201C (en) | Mobile Phone and How to Operate It | |
| JP6559825B2 (en) | Display device, information terminal operation method | |
| CN107562405B (en) |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 US20170093356A1 (en) | Adapting audio output based on context | |
| JP2020042799A (en) | Earset control method and system | |
| US20090064202A1 (en) | Support layer for enabling same accessory support across multiple platforms | |
| KR20120017617A (en) |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 |
| CN101233493A (en) | conflict resolution device | |
| CN106976434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device in vehicle | |
| CN107635290B (en) | Mobile terminal, Bluetooth Key, connection method, storage medium and system | |
| KR20130004588A (en) |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nd prioritizing the mobile device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 thereof | |
| KR20170112048A (en) | Method for controlling in-vehicle infotainment system | |
| WO2023273649A1 (en) |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03546422B (en) | Vehicular screen multiplexing system, application method thereof and multimedia interaction system | |
| WO2022160612A1 (en) | Interaction method with vehicle-mounted system of vehicl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 |
| KR102662266B1 (en) | Method for distinguishing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in stick PC for vehicle | |
| KR100835793B1 (en) |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P3 using Bluetooth in a car audio system | |
| JP2004318864A (en) | Interface for digital products | |
| KR20090091712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handset | |
| KR10199341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in portable terminal | |
| JP7025107B2 (en) | Electronic device | |
| CN102789795B (en) | Method and system used for playing vehicle-mounted compact disc and based on Android operating system | |
| KR20200031062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arset | |
| CN116419192A (en) | Audio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vehicle-mounte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 KR102765262B1 (en) | Method for connecting hands-free automatically in stick PC for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