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497B1 -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 Google Patents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2497B1 KR102552497B1 KR1020180094787A KR20180094787A KR102552497B1 KR 102552497 B1 KR102552497 B1 KR 102552497B1 KR 1020180094787 A KR1020180094787 A KR 1020180094787A KR 20180094787 A KR20180094787 A KR 20180094787A KR 102552497 B1 KR102552497 B1 KR 102552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polarization
- unit
- vehicle
-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20—Dashboard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B60K2370/1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이미지가 분할되어, 한 화면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이 합성된 표시판과, 표시판의 후면에 접착되되, 제1 화면에 제1 편광영역을 형성하고, 제2 화면에 제2 편광영역을 형성하며, 제1 및 2 편광영역의 상호 편광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시킨 고정 편광부와, 표시판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광원부와 고정 편광부 사이에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정 편광부에 조사하는 회전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divided, a display panel in which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are synthesized on one screen, and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first polarization region on the first screen. and a fixed polarization unit in which a second polarization region is formed on the second screen, and the polariz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reg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light source unit that emits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and a light source unit and a fixed polarization unit. It may include a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units and radia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fixed polarization unit by rot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라고 불리는 차량 계기판은 운전자에게 차량의 전반적인 주행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계기판으로서,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는 중에 수시로 차량 계기판을 보고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In general, a vehicle instrument panel called a cluster is an instrument panel that informs the driver of the overall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driver frequently looks at the vehicle instrument panel while looking ahead to determine the driving state.
차량 계기판은 단순히 차량의 속도, RPM, 유량 등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그에 따라 바늘의 움직임이 변화함으로써 해당 바늘의 위치변화를 통해 바늘이 가리키는 숫자를 읽어내어 운전자가 운행중인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vehicle instrument panel simply detects the vehicle's speed, RPM, flow rate, etc. through a sensor, and the movement of the needle changes accordingly. It is structured to provide information.
그러나, 종래의 차량 계기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 숫자 등이 인쇄된 아날로그 게이지로 구성되어, 디자인 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1, it is composed of an analog gauge on which scales, numbers, etc. are printed, and design changes are impossible.
따라서, 클러스터의 이미지 표현이 변경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image representation of the cluster to a design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클러스터의 이미지 표현이 변경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design desired by a user because the image representation of the cluster is changeab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한 화면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이 합성된 표시판, 상기 표시판의 후면에 접착되되, 상기 제1 화면에 대응되게 제1 편광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화면에 대응되게 제2 편광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편광영역의 편광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시킨 고정 편광부, 상기 표시판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고정 편광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화면 중 하나가 표시되도록, 회전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고정 편광부의 상기 제1 및 제2 편광영역 중 하나를 투과하게 하는 회전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are combined on one screen, a first polarization reg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creen while being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fixed polarization unit in which a second polarization reg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2 screens and the polariz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reg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light source unit for radiating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and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fixed polarization unit Rotational polarization provided between the units and configured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pass throug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regions of the fixed polarization unit by rotation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is displayed. wealth may be included.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클러스터의 디자인 변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운전자의 시각적 재미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of the cluster to meet the user's needs, thereby enhancing the driver's visual enjoyment.
도 1은 종래의 클러스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판에 고정 편광부가 접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라 A화면 혹은 B화면이 보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라 표시판에 화면이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A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B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luster struct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fixed polarizer bonded to the display panel of FIG. 2 .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at an A screen or a B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screen is changed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of FIG. 6 .
8 is a photograph showing screen A.
9 is a photograph showing a B scree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표시판에 고정 편광부가 접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및 5는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라 A화면 혹은 B화면이 보이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라 표시판에 화면이 달라지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회전 편광부의 위치에 따른 A,B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A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9는 B화면을 나타낸 사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fixed polarizer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of FIG. 2, and FIGS. 4 and 5 show 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도 2 내지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계기판의 경우, 눈금, 숫자 등이 인쇄, 인화된 아날로그 게이지로 구성되어, 인쇄된 형태의 계기판의 경우, 디자인 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In general, in the case of a vehicle instrument panel, it is composed of analog gauges on which scales, numbers, etc. are printed and printed, and in the case of a printed instrument pa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design cannot be changed.
본 발명은 종래의 디자인 변화가 불가능했던 클러스터를 이미지 표현을 변경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The bas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luster, which was impossible to change in design in the prior art, can be converted into a design desired by the user by changing the image express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표시판(10), 고정 편광부(20), 광원부(30), 회전 편광부(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includes a
표시판(10)은 차량의 속도, 엔진회전수, 연료량 및 차량의 동작 상태등을 나타내는 차량의 계기판일 수 있다.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판(10)은 복수 개의 이미지(a,b)가 분할되어, 한 화면(11)에 제1 화면(A)과, 제2 화면(B)이 합성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 the
제1 화면(A)은 복수 개의 이미지(a)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화면(B)은 복수 개의 이미지(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면(A)과, 제2 화면(B)은 서로 다른 그래픽 화면일 수 있다.The first screen (A)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s (a), and the second screen (B)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s (b). The first screen (A) and the second screen (B) may be different graphic screens.
도면에는 확대되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이미지들은 도면에 도시된 것 보다 미세하게 분할될 수 있다. Although shown enlarged in the drawing, in reality the images may be divided more finely than shown in the draw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편광부(20)는 상호 편광각이 서로 상이한 제1 편광영역(21) 및 제2 편광영역(22)을 형성하여 표시판(10)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제1 화면(A)의 하단에 제1 편광영역(2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화면(B)의 하단에 제2 편광영역(22)이 배치될 수 있다. A
고정 편광부(20)는 제1 화면(A)에 제1 편광영역을 형성하고, 제2 화면(B)에 제2 편광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2 편광영역(21,22)의 상호 편광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광영역(21)은 -45° 편광필름일 수 있으며, 제2 편광영역(22)은 45° 편광필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제1 화면 및 2 화면(A,B)의 이미지(a,b)들끼리 상호 편광각은 90°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호 편광곽은 90°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구조이면 모든 적용가능하다.The mutual polarization angle between the images a and b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 and B may be configured to be 90°. The mutual polarization angle is not limited to 90°, and any structu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s applicable.
제1 및 2 편광영역(21,22)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이에, 제1 화면(A)은 타코게이지 화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화면(B)은 에코게이지 화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화면(B)은 'ㅇ'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화면(B)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제1 화면(A)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creen (A) may form a tacho gauge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B) may form an echo gauge screen. For example, the second screen B may be formed in an 'ㅇ' shape, and the first screen A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second screen B.
제1 화면 및 2 화면(A,B)의 이미지(a,b)들은 각도별로 분할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s a and b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 and B may be divided by angle.
제1 화면(A)에 에코게이지, 제2 화면(B)에 타코게이지 화면이 형성된 구조 또한 가능하다.A structure in which an echo gauge is formed on the first screen (A) and a tach gauge screen is formed on the second screen (B) is also possible.
제1 및 2 화면(A,B)은, 에코게이지, 타코게이지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이면 모든 적용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screens A and B are not limited to echo gauges and tach gauges, and any screen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vehicle can be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30)는 표시판(10) 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빛은 후술할 회전 편광부(40)를 통해, 고정 편광부(20)를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회전 편광부(40)는 광원부(30)와 고정 편광부(20)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광원부(30)에서 조사되는 빛을 고정 편광부(20)에 조사하도록 구성된다.The
회전 편광부(40)는 구동부(41), 편광필름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편광필름부(47)는 구동부(41)의 축(42)에 구비될 수 있다. 편광필름부(47)는 광원부(30)의 빛이 통과되는 제1 부분(43)과,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제2 부분(45)이 상호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The polarizing
편광필름부(47)는 45° 편광필름일 수 있다. 편광필름부(47)는 45° 편광필름혹은 -45° 편광필름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편광필름부(47)는 45° 편광필름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및 2 편광영역(21,22)의 편광각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조이면 모든 적용 가능하다.The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부(47)는 회전에 의하여, 편광방향을 변화시켜, 제1 혹은 2 편광영역(21,22)의 편광각에 맞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축(42)의 회전에 의해, 제1 부분(43)은 제1 편광영역(21) 혹은 제2 편광영역(22)으로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By rotation of the
일예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43)은 편광필름이 부착된이미지(a), 이미지(b)들의 대각선 방향의 라인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편광필름부(47)의 편광각과 편광필름이 부착된 이미지(a)의 편광각이 일치하게될 시, 빛은 제1 부분(43)을 통해 이미지(a)들로 통과되게 되고, 편광 방향이 90도 차이나는 이미지(b)들로는 빛이 차단되어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화면(A)만 조명되고 이미지(b)들은 조명을 받지 못하게 되어, 이미지(a)들의 집합체인 제1 화면(A)만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polarization angle of the
편광필름부(47)의 편광각과 편광필름이 부착된 이미지(b)의 편광각이 일치하게될 시, 빛은 이미지(b)들로 통과되게 되고, 편광 방향이 90도 차이나는 이미지(a)들로는 빛이 차단되어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화면(B)만 조명되고 이미지(a)들은 조명을 받지 못하게 되어, 이미지(b)들의 집합체인 제2 화면(B)만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polarization angle of the
제1 부분(43)에, 편광필름이 부착된 이미지(a) 혹은 이미지(b)의 편광곽이 일치할 시, 한 화면에 제1 화면(A) 혹은 제2 화면(B)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polarization contours of the image (a) or image (b) to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attached to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베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베이스(70)의 하면에는 구동부(41)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41)의 축(42)이 통과되도록 통과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70)는 차량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7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광원부(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41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몸체(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몸체(80)는 편광필름부(47)가 요입되도록 요입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요입홈(81)과 연통되게, 광원부가 통과되도록 통과홀(83)이 형성될 수 있다.A
몸체(80)는 베이스(70)에 결합되어, 통과홀(83)을 통해 광원부(30)들이 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입홈(81)은 편광필름부(47)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한 편광필름부(4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일예로, 베이스(70)의 하면에는 추가 구동부(미도시)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추가 구동부(미도시)의 축에 포인트 니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포인트 니들(미도시)은 화면(A,B)을 가르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구동부(미도시)의 축과 구동부(41)의 축은 각각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For example, an additional driving unit (not shown)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제어부(100)는 축(42)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부(47)를 제1 편광부분(21)의 편광각에 평행하게 회전시키거나, 편광필름부(47)를 제2 편광부분(22)의 편광각에 평행하게 회전시켜,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화면(A) 혹은 제2 화면(B)을 표시판에 투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는 버튼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버튼부(110)는 제1 화면(A) 혹은 제2 화면(B)을 선택하여, 화면 선택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부(110)로 제1 화면(A)을 설정할 경우, 제어부(100)는 표시판에 제1 화면(A)을 투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구동부(41)의 축(42)을 회전시켜, 제1 부분(43)에 수직한 방향과 제1 편광영역(21)의 수직한 방향이 일직선이 되도록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30)의 빛은 제1 부분(43)을 통과하여 제1 편광영역(21)을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user sets the first screen A through the
편광필름부(47)의 편광각과 이미지(a)의 편광각이 일치하게 되어 빛은 이미지(a)들로만 빛이 통과되게 되고, 편광 방향이 90도 차이나는 이미지(b)들로는 빛이 차단되어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olarization angle of the
따라서, 제1 화면(A)만 조명되고 이미지(b)들은 조명을 받지 못하게 되어, 운전자에게는 이미지(a)들의 집합체인 제1 화면(A)만 보이게되고, 이미지(b)들의 집합체인 제2 화면(B)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Therefore, only the first screen A is illuminated and the images b are not illuminated, so that the driver sees only the first screen A, which is a collection of images a, and the second screen A, which is a collection of images b. Screen B may be made invisible.
일예로, 사용자가 버튼부(110)로 제2 화면(B)을 설정할 경우, 제어부(100)는 표시판에 제2 화면(B)을 투과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이전의 편광필름부(47)를 90° 혹은 -90°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이미지(a)들에 빛의 투과량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이미지(b)들로 빛의 투과량을 통과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second screen B through the
이때, 제1 화면(A)의 밝기는 서서히 어두워지고 제2 화면(B)은 밝아지면서 운전자는 제2 화면(B)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screen (A) gradually decreases and the second screen (B) becomes brighter so that the driver can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second screen (B).
일예로, 사용자는 스포츠모드일 경우, 제1 화면(A)을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으며, 에코모드일 경우, 제2 화면(B)을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can drive by selecting the first screen (A) in the case of sports mode, and can drive by selecting the second screen (B) in the case of eco mode.
회전 편광부(40)의 회전에 따라, 표시판(10)에 설정되는 제1 화면, 제2 화면이 변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클러스터의 디자인 변화가 가능해짐으로써, 운전자의 시각적 재미를 높일 수 있다.As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제1 화면 B: 제2 화면
a,b: 이미지
10: 표시판 20: 고정 편광부
21: 제1 편광영역 22: 제2 편광영역
30: 광원부 40: 회전 편광부
41: 구동부 42: 축
43: 제1 부분 45: 제2 부분
47: 편광 필름부 70: 베이스
80: 몸체 81: 요입홈
83: 통과홀A: 1st screen B: 2nd screen
a,b: image
10: display panel 20: fixed polarization unit
21: first polarization region 22: second polarization region
30: light source unit 40: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41: driving unit 42: axis
43
47: polarizing film part 70: base
80: body 81: concave groove
83: through hole
Claims (6)
한 화면에 제1 화면과 제2 화면이 합성된 표시판;
상기 표시판의 후면에 접착되되, 상기 제1 화면에 대응되게 제1 편광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화면에 대응되게 제2 편광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편광영역의 편광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시킨 고정 편광부;
상기 표시판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고정 편광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화면 중 하나가 표시되도록, 회전에 의해,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고정 편광부의 상기 제1 및 제2 편광영역 중 하나를 투과하게 하는 회전 편광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In the cluster structure of the vehicle,
a display panel in which a first screen and a second screen are synthesized on one screen;
A first polarization are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screen and a second polarization are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creen, and the polarization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areas are Fixed polarizers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 light source unit radiating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fixed polarization unit,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s rotated so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is displayed,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xed polarization unit i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regions of the fixed polarization unit. a rotational polarization unit that transmits;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회전 편광부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축에 구비되되, 상기 광원부의 빛이 통과되는 제1 부분과,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제2 부분이 상호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편광영역 혹은 제2 편광영역에 상기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필름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polarizer,
driving unit;
It is provided on the axis of the drive unit, and a first portion through which light passes through and a second portion through which light does not pass through the light source unit are alternately arranged. a polarizing film unit that transmits the light to the polarization area or the second polarization area;
A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제1 화면의 하단에 상기 제1 편광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화면의 하단에 상기 제2 편광영역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2 편광영역의 분할폭은 서로 대응되며, 상호 편광각은 90°인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olarization area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polarization area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screen;
The cluster structure of a vehicle of claim 1 , wherein division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polarization reg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utual polarization angles are 90°.
상기 제2 화면은 에코게이지 화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화면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제1 화면은 타코게이지 화면이 형성된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The method of claim 3,
The vehicle cluster structure of claim 1 , wherein an echo gauge screen is formed on the second screen, and a tach gauge screen is formed on the first screen disposed outside the second screen.
상기 축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1 편광영역에 마주하게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편광영역에 마주하게 회전시켜, 상기 제1 화면 혹은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표시판에 투과시키는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haft,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first portion to face the first polarization region or rotates the first portion to face the second polarization region, so that the first screen or the secon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cluster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vehicle.
상기 제1 화면 혹은 상기 제2 화면을 선택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화면 선택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차량의 클러스터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button unit for selecting the first screen or the second screen,
The button unit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screen selection to the control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4787A KR102552497B1 (en) | 2018-08-14 | 2018-08-14 |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4787A KR102552497B1 (en) | 2018-08-14 | 2018-08-14 |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3665A KR20200023665A (en) | 2020-03-06 |
| KR102552497B1 true KR102552497B1 (en) | 2023-07-06 |
Family
ID=698024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94787A Active KR102552497B1 (en) | 2018-08-14 | 2018-08-14 |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52497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142563A (en) | 2012-01-07 | 2013-07-22 | Denso Corp | Pointer display device |
| US20140198384A1 (en) | 2011-09-26 | 2014-07-17 | Fujifilm Corporation | Variable color display method using retardation film |
| JP2015087381A (en) * | 2013-09-24 | 2015-05-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Display device |
| JP2016122002A (en) | 2014-12-24 | 2016-07-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Display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963A (en) * | 1996-04-16 | 1998-01-06 |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 Vehicle display device |
| KR102190423B1 (en) * | 2014-10-02 | 2020-1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Mirror display capable of controlling reflexibilit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787A patent/KR1025524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40198384A1 (en) | 2011-09-26 | 2014-07-17 | Fujifilm Corporation | Variable color display method using retardation film |
| JP2013142563A (en) | 2012-01-07 | 2013-07-22 | Denso Corp | Pointer display device |
| JP2015087381A (en) * | 2013-09-24 | 2015-05-07 | 株式会社デンソー | Display device |
| JP2016122002A (en) | 2014-12-24 | 2016-07-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Displa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3665A (en) | 2020-03-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830043B2 (en) | Vehicle instrument | |
| JP6105533B2 (en) | Projec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 |
| KR20180133559A (en) | Display device | |
| CN110192238A (en) | Multi-layer display systems for vehicle dashboards, etc. | |
| CN101412374A (en) | Display device | |
| US10365485B2 (en) | Display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 |
| WO2006057168A1 (en) | Display device | |
| JP2005055293A (en) | Virtual image meter | |
| EP3358392A1 (en) | Display device | |
| JP2016223936A (en) | Display device | |
| JP5202861B2 (en) | Display device | |
| KR102552497B1 (en) | Cluster structure of vehicle | |
| JP2012083613A (en) | Display device | |
| WO2016035304A1 (en) | Display device | |
| CN102126434A (en) | Scale instrument | |
| US20140000508A1 (en) | Needle indicator oriented by periphery electromagnets | |
| JPH0416901Y2 (en) | ||
| JP6409427B2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 KR20080085256A (en) |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6384356B2 (en) | Vehicle instrument | |
| JP5900423B2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 JP2021012059A (en) | Display device | |
| JP6583236B2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 JP2021110849A (en) | Display device | |
| JP2016133422A (en) | Vehicl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