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537149B1 -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149B1
KR102537149B1 KR1020210155833A KR20210155833A KR102537149B1 KR 102537149 B1 KR102537149 B1 KR 102537149B1 KR 1020210155833 A KR1020210155833 A KR 1020210155833A KR 20210155833 A KR20210155833 A KR 20210155833A KR 102537149 B1 KR102537149 B1 KR 10253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point
mesh
setting
polygon
ident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9638A (en
Inventor
최형균
이다연
김선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21015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49B1/en
Publication of KR2023006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키기 위한 그래픽 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 processing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for necessarily locating a pivot point within a mesh area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Description

그래픽 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Graphic process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necessarily locating a pivot point within a region of a mesh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는 오브젝트의 외관을 생성하기 위해 연결된 폴리곤(Polygon)들의 집합인 메시(Mesh)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를 3차원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거나,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해야 한다.A mesh, which is a set of polygons connected to creat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can be located in a 3D plane model, and rotation,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is mesh on a 3D plane can be performed. To do this, you need to set a pivot point.

기존 3차원 평면에서의 피벗 포인트의 경우, 메시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 중 x, y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길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에 따라서 메시를 포함하게 되는 가장 작은 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the pivot point on the existing 3D plane, the lengths of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x and y among the vertice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mesh, are calculated,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mallest rectangle that includes the mesh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t is common to set based on .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피벗 포인트 설정 방식에서는, 피벗 포인트와 메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벗 포인트를 이용하여 메시를 정상적으로 조작(예: 회전, 확장, 및 축소)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ivot point setting method, a case may occur where the positions of the pivot point and the mes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in normal manipulation (eg, rotati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esh using the pivot point Difficulties will follow.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키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o be re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pivot point within a mesh area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It has to be positio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는,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Mesh)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aphic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 mesh, which is an object to be located on a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from the mesh; and a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pivot point within the mesh region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tting unit may identify a polygon, which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nd set the pivot point within an area of the identified polycon.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상기 2 이상의 폴리곤 각각의 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wo or more polygons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re identified, the setting unit compares the areas of each of the two or more polygons to set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wo or more meshes are identifi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setting unit may set the pivot poin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there is.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특정 폴리곤에 대한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상기 중심점의 위치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tting unit may calculate a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nd set the pivot point at a position of the midpoi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Mesh)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graphic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ck step of checking a mesh, which is an object positioned on a 3D plane model;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from the mesh; and a setting step of setting a pivot point within the mesh region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tting step, a polygon that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may be identified, and the pivot point may be set within an area of the identified polycon.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상기 2 이상의 폴리곤 각각의 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tting step, when two or more polygons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re identified, the area of each of the two or more polygon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o set the pivot point within the area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tting step, when two or more meshes are identifi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pivot point is se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can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특정 폴리곤에 대한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상기 중심점과 일치하는 지점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etting step, a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may be calculated, and the pivot point may be set at a point coincident with the midpoint.

이에, 본 발명의 그래픽 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를 기반으로 메시의 영역으로부터 피벗 포인트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벗 포인트를 이용한 메시의 정상적인 조작을 상시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a mesh is generated based on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 mesh.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vot point from deviating from the region, an effect of enabling normal manipulation of the mesh using the pivot point at all times can be achieved.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그래픽 처리 환경에 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점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n exemplary view of a 3D graphics proces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raphic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vertex set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graphic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하는 기술을 다룬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for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is dealt with.

3차원 평면 모델에는 오브젝트의 외관을 생성하기 위해 연결된 폴리곤(Polygon)들의 집합인 메시(Mesh)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를 3차원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거나,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피벗 포인트를 설정해야 한다.A mesh, which is a set of polygons connected to create the appearance of an object, can be located in a 3D plane model, and a pivot point is set to rotate, expand or contract this mesh on a 3D plane. Should be.

여기서, 피벗 포인트란, 오브젝트의 중심점이자 변형의 기준점, 내지는 무게중심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pivot point can be understood as the center point of the object, the reference point for deformation, or the center of gravity.

기존 3차원 평면에서의 피벗 포인트의 경우, 메시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 중 x, y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길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에 따라서 메시를 포함하게 되는 가장 작은 사각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the pivot point on the existing 3D plane, the lengths of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x and y among the vertice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mesh, are calculated, and the center point of the smallest rectangle that includes the mesh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t is common to set based on .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피벗 포인트 설정에서는, 자동으로 매핑되는 피벗 포인트의 위치가 메시의 위치와 대부분 일치하게 되나, 가령 초승달 모양 같은 기하학적인 메시를 처리해야 할 경우 실제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se existing pivot point settings,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ally mapped pivot point mostly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mesh, but when a geometric mesh such as a crescent moon is to be processed, the pivot point is located within the real mesh area. It may happen that you do not.

더욱이, 하나의 3차원 평면 모델 안에서 2 이상의 메시가 구분되는 경우라면, 3차원 평면 모델의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가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가 위치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Moreover, if two or more meshes are distinguished within one 3D plane model, the pivot point is generally set at the loc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3D plane model, resulting in the pivot point not being located within the mesh area. there is.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피벗 포인트 설정 방식에서는, 피벗 포인트와 메시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벗 포인트를 이용하여 메시를 정상적으로 조작(예: 회전, 확장, 및 축소)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ivot point setting method, a case may occur where the positions of the pivot point and the mes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in normal manipulation (eg, rotation,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esh using the pivot point Difficulties will follow.

물론, 피벗 포인트의 위치를 메시의 영역 내로 조정하는 방식 또한 고려해볼 수 있으나, 메시의 개수(양)이 많은 경우라면, 처리 속도가 그 만큼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 한계점을 예상할 수 있다.Of course,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point within the mesh area can also be considered, but if the number (amount) of meshes is large, a limit point at which the processing speed increases proportionally can be expected.

이에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는, 3차원 평면 모델에서 피벗 포인트 설정 시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상시 위치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a new method for always loca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mesh area is proposed.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그래픽 처리 환경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1 exemplarily shows a 3D graphic proces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그래픽 처리 환경에서는, 3차원 평면 모델에 대한 피벗 포인트 설정을 지원하는 그래픽 처리장치(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3D graphic proces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that supports pivot point setting for a 3D plane model.

이러한 그래픽 처리장치(100)는 3차원 평면 모델 내 메시(Mesh)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를 기반으로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소프트웨어(예: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한 컴퓨팅장치(예: PC),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that sets a pivot point based on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 mesh in a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and is, for example, a computer loaded with software (eg, an applica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vice (eg, PC) or a server accessib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만약, 이러한 그래픽 처리장치(10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If the graphic processing unit 1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web server, database server, proxy server, etc. One or more of a variety of software enabling operation on a network may be installed, and through this, a computerized system may also be implement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그래픽 처리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3차원 평면 모델에서 피벗 포인트 설정 시 메시의 영역으로부터 피벗 포인트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3D graphic process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vot point from escaping from the mesh area. Hereinafter, graphics for realizing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process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는, 메시를 확인하는 확인부(110), 정점을 추출하는 추출부(120), 및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설정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cker 110 that checks a mesh, an extractor 120 that extracts vertices, and a pivot point set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tting unit 130.

이상의 확인부(110), 추출부(120), 및 설정부(130)를 포함하는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All or at least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including the confirmation unit 110, the extraction unit 120, and the setting unit 13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or software module, or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rdware module and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oftware modules.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그래픽 처리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그래픽 처리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 a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 command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controls an operation withi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100, and such a command may have a form loaded in a memory withi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100.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 시, 전술한 구성 이외에, 외부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모듈인 통신부(14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0, which is a communication module in charge of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이러한, 통신부(14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ncludes, for exampl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a tuner,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nd a memo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Known circuits to perform may include all.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3차원 평면 모델에서 피벗 포인트 설정 시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상시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ways position the pivot point within the mesh area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in the 3D plane model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for the above will be continued.

확인부(110)는 메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erification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verifying the mesh.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0)는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를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checking unit 110 checks the mesh, which is an object to be located on the 3D plane model.

이와 관련하여, 3차원 공간에서는, 공간 상에서의 위치(position)를 나타내는 3개의 정점이 모이면 하나의 면(face)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3개의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을 폴리곤(Polygon)이라 말한다.In this regard, in a 3D space, when three vertices representing positions in space are gathered, one face can be made, and a triangle made of these three vertices is called a polygon.

또한, 폴리곤에서 정점과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엣지(edge)라고 하며, 폴리곤이 모여서 하나의 3차원 물체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메시라고 한다.In additi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vertices to vertices in a polygon is called an edge, and polygons are gathered to form a single 3D object, which is called a mesh.

즉, 메시는 폴리곤이 모여서 만들어진 3차원 공간 상의 오브젝트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mesh can be understood as an object in a 3D space created by gathering polygons.

추출부(120)는 정점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traction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vertices.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부(12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메시가 확인되면, 확인된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을 추출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esh is identifi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the object, from the identified mesh.

이때, 추출부(12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된 경우라면, 확인된 각 메시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정점을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f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vertices individually for each identified mesh.

설정부(130)는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tting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 pivot point.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 내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이 추출되면,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mesh in the 3D plane model, the setting unit 130 sets a pivot point 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이때, 설정부(130)는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여,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may identify a polygon (Polygon), which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nd set a pivot point within an area of the identified polycon.

즉,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 내 메시를 구성하고 있는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식별된 각 폴리곤의 면적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하게 되며, 비교 결과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한다.That is, when two or more polygons constituting the mesh in the 3D plane model are identified,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rea of each identified polygon and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area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Set the pivot point within

특히, 설정부(130)는 메시 내 가장 큰 면적의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 설정 시, 상기 특정 폴리곤의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계산된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tt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nd set the pivot point at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midpoint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the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n the mesh.

이렇듯,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메시를 구성하는 정점을 활용하여 피벗 포인트의 설정 위치가 계산됨에 따라,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초승달 모양 같은 기하학적인 형상의 메시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ivot point is calculated using the vertices constituting the mesh, even when a mesh having a geometric shape such as a crescent moon is proces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mesh It can be seen that the pivot point can necessarily be located within the area of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를 고려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a 3D plane model is considered.

이 경우, 설정부(130)는 2 이상의 메시 각각을 구성하는 폴리곤의 면적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하게 되며, 비교 결과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rea of the polygon constituting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and sets the pivot point within the area of the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다시 말해,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라면,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setting unit 130 sets a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It can.

물론, 설정부(130)는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 설정 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특정 폴리곤의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계산된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한다.Of course,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s described above. Set the pivot point at the location of the calculated center point.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3차원 평면 모델 안에 2 이상의 메시가 구분되어 구성되더라도, 메시를 구성하는 정점을 활용하여 피벗 포인트의 설정 위치가 계산됨에 따라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기존과 같이 3차원 평면 모델의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의 설정되는 것이 아닌, 가장 큰 면적의 폴리곤을 가지는 특정 메시의 중심점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wo or more meshes are separately configured in one 3D plane model, a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ivot point is calculated using vertices constituting the mes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 it can be seen that the pivot point can be set to the center point of a specific mesh having the largest area polygon, rather than the pivot point being set at the loc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3D plane model as in the pas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를 기반으로 피벗 포인트를 메시의 영역 내에 반드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피벗 포인트를 이용한 메시의 정상적인 조작을 적극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of the mesh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in the 3D plane model (3D Plane Model) Since the pivot point can always be located with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vertex of , it can be seen that normal manipulation of the mesh using the pivot point can be positively support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an operating method of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ontinued with reference to FIG. 5 .

먼저, 확인부(110)는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를 확인한다(S110).First, the checking unit 110 checks the mesh, which is an object to be located on the 3D plane model (S110).

이와 관련하여, 3차원 공간에서는, 공간 상에서의 위치(position)를 나타내는 3개의 정점이 모이면 하나의 면(face)을 만들 수 있고, 이렇게 3개의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을 폴리곤(Polygon)이라 말한다.In this regard, in a 3D space, when three vertices representing positions in space are gathered, one face can be made, and a triangle made of these three vertices is called a polygon.

또한, 폴리곤에서 정점과 정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엣지(edge)라고 하며, 폴리곤이 모여서 하나의 3차원 물체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메시라고 한다.In additi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vertices to vertices in a polygon is called an edge, and polygons are gathered to form a single 3D object, which is called a mesh.

즉, 메시는 폴리곤이 모여서 만들어진 3차원 공간 상의 오브젝트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mesh can be understood as an object in a 3D space created by gathering polygons.

그리고 나서, 추출부(12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메시가 확인되면, 확인된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을 추출한다(S120).Then, when the mesh is identifi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extraction unit 120 extracts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the object, from the identified mesh (S120).

이때, 추출부(12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된 경우라면, 확인된 각 메시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정점을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if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vertices individually for each identified mesh.

그런 다음,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 내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이 추출되면,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한다(S130-S160).Then, when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is extracted from the mesh in the 3D plane model, the setting unit 130 sets a pivot point 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S130-S160).

이때, 설정부(130)는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여,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tting unit 130 may identify a polygon (Polygon), which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nd set a pivot point within an area of the identified polycon.

즉,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 내 메시를 구성하고 있는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식별된 각 폴리곤의 면적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하게 되며, 비교 결과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한다.That is, when two or more polygons constituting the mesh in the 3D plane model are identified,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rea of each identified polygon and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area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Set the pivot point within

특히, 설정부(130)는 메시 내 가장 큰 면적의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 설정 시, 상기 특정 폴리곤의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계산된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tting unit 130 may calculate the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nd set the pivot point at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midpoint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the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n the mesh.

이렇듯,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메시를 구성하는 정점을 활용하여 피벗 포인트의 설정 위치가 계산됨에 따라, 앞서 예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초승달 모양 같은 기하학적인 형상의 메시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메시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ivot point is calculated by utilizing vertices constituting the mesh, even when processing a mesh having a geometric shape such as a crescent moon shape as shown in FIG. , it can be seen that the pivot point must be located within the region of the mesh.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를 고려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a 3D plane model is considered.

이 경우, 설정부(130)는 2 이상의 메시 각각을 구성하는 폴리곤의 면적을 계산하여 상호 비교하게 되며, 비교 결과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area of the polygon constituting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compares them with each other, and sets the pivot point within the area of the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다시 말해, 설정부(130)는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라면,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wo or more meshes are confirmed from the 3D plane model, the setting unit 130 sets a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It can.

물론, 설정부(130)는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 설정 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특정 폴리곤의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계산된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를 설정한다.Of course,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the setting unit 130 calculates the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s described above. Set the pivot point at the location of the calculated center point.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3차원 평면 모델 안에 2 이상의 메시가 구분되어 구성되더라도, 메시를 구성하는 정점을 활용하여 피벗 포인트의 설정 위치가 계산됨에 따라 앞서 예시한, 도 4에서와 같이, 기존과 같이 3차원 평면 모델의 중심점의 위치에 피벗 포인트의 설정되는 것이 아닌, 가장 큰 면적의 폴리곤을 가지는 특정 메시의 중심점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wo or more meshes are separately configured in one 3D plane model, as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ivot point is calculated using vertices constituting the mesh, in FIG.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pivot point can be set to the center point of a specific mesh having the largest area polygon, rather than the pivot point being set at the loc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3D plane model as in the prior ar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를 기반으로 피벗 포인트를 메시의 영역 내에 반드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피벗 포인트를 이용한 메시의 정상적인 조작을 적극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esh when setting the pivot point in the 3D plane model (3D Plane Model) It can be seen that normal manipulation of the mesh using the pivot point can be positively supported because the pivot point can always be located with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vertex, which is an element.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mplementations of functional operations and subjec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digital electronic circuits, implemented a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ts structural equivalents, or one or more of these.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is, one or more modules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or being executed by a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A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 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system" or "apparatus" herein includes all devices, devices and machines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programmable processors, computers, or multiple processors or computers. A processing system may include, in addition to hardware, code that creates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on demand, such as, for example, code constituting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may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files that store portions of code), or part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CDs. - may include all forms of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orporated into,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back-end components, such as, for example, data servers, or may include middleware components, such as, for example, application servers, or may include, for example, web browsers or graphical users through which users may interac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puting system that includes a front-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having an interface, or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s,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are interconnectable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contains many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what is claimed,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unique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Likewise,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also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while features may operate in particular combinations and are initially depicted as such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at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is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desired results.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you can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alter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3차원 평면 모델(3D Plane Model)에서 피벗 포인트(Pivot Point) 설정 시 메시(Mesh)의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를 반드시 위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graphic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tting a pivot point in a 3D plane model, the pivot point can be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mesh, As it goes beyond the limits of existing technology,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available for related technology, but also ha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and can be clearly implemented in reality.

100: 그래픽 처리장치
110: 확인부 120: 추출부
130: 설정부
100: graphics processing unit
110: confirmation unit 120: extraction unit
130: setting unit

Claims (10)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Mesh)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상기 2 이상의 폴리곤 각각의 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the mesh (Mesh), which is an object to be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from the mesh;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pivot point 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The setting unit,
Identifying a polygon (Polygon), which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nd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the region of the identified polygon;
When two or more polygons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re identified, areas of each of the two or more polygon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pivot point is se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ing unit,
When two or more meshes are identified from the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the pivot point is se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특정 폴리곤에 대한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상기 중심점의 위치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setting unit,
The graphics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calculating the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nd setting the pivot point at the position of the midpoint.
3차원 평면 모델에 위치하게 되는 오브젝트인 메시(Mesh)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메시로부터 오브젝트의 구성 요소인 정점(Vertex)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정점을 기반으로 상기 메시 영역 내에 피벗 포인트(Pivot Point)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인 폴리곤(Polygon)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폴리콘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며,
상기 추출된 정점으로 만들어진 2 이상의 폴리곤이 식별되면, 상기 2 이상의 폴리곤 각각의 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 confirmation step of checking a mesh (Mesh), which is an object to be located in a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vertex, which is a component of an object, from the mesh; and
A setting step of setting a pivot point in the mesh area based on the extracted vertex,
In the setting step,
Identifying a polygon, which is a triangle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nd setting the pivot point within an area of the identified polygon,
When two or more polygons made of the extracted vertices are identified, an area of each of the two or more polygons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pivot point is se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3차원 평면 모델로부터 2 이상의 메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메시 각각과 관련하여 식별되는 폴리곤 전체 중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특정 폴리곤의 영역 내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etting step,
When two or more meshes are identified from the three-dimensional plane model, the pivot point is set within a region of a specific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among all polygons identifi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meshes. how it works.
제 6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특정 폴리곤에 대한 중심점(Midpoint)을 계산하여, 상기 중심점과 일치하는 지점에 상기 피벗 포인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처리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or 9,
In the setting step,
A method of operating a graphic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calculating a midpoint of the specific polygon, and setting the pivot point at a point coincident with the midpoint.
KR1020210155833A 2021-11-12 2021-11-12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ctive KR102537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33A KR102537149B1 (en) 2021-11-12 2021-11-12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33A KR102537149B1 (en) 2021-11-12 2021-11-12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38A KR20230069638A (en) 2023-05-19
KR102537149B1 true KR102537149B1 (en) 2023-05-26

Family

ID=8653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33A Active KR102537149B1 (en) 2021-11-12 2021-11-12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4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0248A1 (en) * 2011-08-09 2013-02-14 Intel Corporation Image-based multi-view 3d face generation
KR101591427B1 (en) * 2014-04-28 2016-02-15 (주)이지스 Method for Adaptive LOD Rendering in 3-D Terrain Visualiz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38A (en)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2201B2 (en) Extracting card data from multiple cards
CN107533771B (en) Mesh simplification through 3D model reconstruction
US9594972B2 (en) Payment card OCR with relaxed alignment
CN112767551B (en) Three-dimensional model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0459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system
US10572612B1 (en) Converting finite element models to CAD models using feature recognition
CN105493104B (en) Payment Card OCR with Slack Alignment
US20220393952A1 (en) Interactive graphical model-based configuration control of networked physical assets using logical transactional configuration change rules
CN111475106A (en) RAID customization creating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230163921A (en)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interactive reproduction of target object
KR102537149B1 (en)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56649B2 (en) Semiconductor package metal shadowing checks
CN117745940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model by park plan view and electronic equipment
Kim An efficient approach for solving mesh optimization problems using Newton’s method
CN115062388A (en)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component orientation
KR102229777B1 (en) Remodeling apparatus for collision are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747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diting shapes of faceted geometries
CN117908956A (en) Model migr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636681A (en) Drawing object inference system and method
CN119248226A (en)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Flutter
CN115640103A (en) Operation response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386546A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risk
HK40032933A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isk
HK40032933B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isk
KR201300299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image using 3 dimension cascading styl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