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536935B1 -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935B1
KR102536935B1 KR1020200189664A KR20200189664A KR102536935B1 KR 102536935 B1 KR102536935 B1 KR 102536935B1 KR 1020200189664 A KR1020200189664 A KR 1020200189664A KR 20200189664 A KR20200189664 A KR 20200189664A KR 102536935 B1 KR102536935 B1 KR 10253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ount
profile
public profile
user
publ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846A (ko
Inventor
성소연
이지선
류범선
유지원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0018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935B1/ko
Priority to JP2021214828A priority patent/JP7317935B2/ja
Priority to US17/565,451 priority patent/US12363121B2/en
Publication of KR2022009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46A/ko
Priority to KR1020230065811A priority patent/KR102765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935B1/ko
Priority to US19/234,200 priority patent/US20250310339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identity of one or more communicating identities is hidd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참여 권한이 확인된 제2 사용자 계정을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아래 실시예들은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정보 공유 및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2 이상의 사용자 간의 실시간 컨텐츠 통신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등이 있다.
이러한 SNS, IMS 등의 서비스에서 프로필은 사용자의 이름, 사진 등 자신을 나타내기 위한 개인 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필은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타인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 측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익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여 허용 옵션은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및 임의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중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대응하는 프로필로 상기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참여 허용 옵션이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이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상기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참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퍼블릭 프로필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기 퍼블릭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된 신원 정보; 상기 인증된 자격 정보; 및 상기 인증된 소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설정된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계정과의 채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채팅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계정 및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은 상기 퍼블릭 프로필로 상기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태그를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된 상기 태그를 검색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허용 옵션은 임의의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및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채팅방에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인증에 기초한 인증된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자격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인증에 기초한 인증된 자격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소속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상기 인증에 기초한 인증된 소속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고,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고,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설정된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서버에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을 설정하며,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채팅방에 상기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참여에 관한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사용자 계정 및 프로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에 관한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퍼블릭 프로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설정된 외부 웹페이지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참여에 관한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1)는 서버(101)에 연결 또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2) 및 제2 사용자 단말(103)은 컴퓨터,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타블렛(web tablet) 등의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서버(101)와 관련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02) 및 제2 사용자 단말(103)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101)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버(101)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제1 사용자가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된 제1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단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103)은 제2 사용자가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된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프로필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1) 및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은 기본 프로필과 구분되는 유형의 프로필에 관한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130),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150),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170), 및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프로필 또는 프로필은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프로필 이름, 프로필 사진, 소개 메시지 등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단일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2 이상의 복수의 프로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필들은 각 프로필에 포함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필들 중 제1 프로필에 포함된 프로필 이름과 제2 프로필에 포함된 프로필 이름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한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필들 중 제1 프로필에 포함된 프로필 사진과 제3 프로필에 포함된 프로필 사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복수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의 공개 대상에 따라 비공개형 프로필과 공개형 프로필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필의 공개 대상은 프로필에 포함된 식별 정보의 조회가 허용되는 대상으로, 예를 들어 비공개형 프로필은 사용자 계정과 일정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 구독 관계 등)에 있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게 공개되는 프로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의 연락처, 아이디 등을 등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 계정과 일정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비공개형 프로필은 사용자 계정의 연락처, 아이디 등을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계정과 일정 관계에 있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만 공개될 수 있다. 한편, 공개형 프로필은 공개 대상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과 일정 관계에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 계정에도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공개형 프로필이 공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개형 프로필은 비공개형 프로필과 달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프로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한없이 검색될 수 있다.
공개형 프로필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익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익명 정보는 개인이 특정되지 않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이 특정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실명 정보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명 정보는 개인의 실명, 실명 소유의 휴대폰 번호, 실명 소유의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익명 정보는 개인이 임의로 설정 가능한 닉네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개형 프로필은 익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공개형 프로필의 구성에 실명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개형 프로필을 실명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퍼블릭 프로필은 공개형 프로필에 해당하는 프로필로, 공개형 프로필 중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된 프로필을 의미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관한 인증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관한 인증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신원, 자격, 소속에 관한 인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실명, 신분, 주소, 직업 등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 특정 자격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 특정 소속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신원, 자격, 소속에 관한 인증에 기초하여 획득된 인증된 신원 정보, 인증된 자격 정보, 인증된 소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는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 자연인인 사용자의 신분, 지위 등의 신원, 사용자가 보유한 자격, 사용자가 소속된 기관, 단체 등의 소속을 증명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성인임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의 직업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거주 중임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가 특정 자격증을 보유함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가 특정 학교의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가 특정 기관의 구성원임을 인증하는 정보,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200)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210, 220)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각 계정(210, 2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필들(211, 212, 213, 214)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로필들(211, 212, 213, 214)은 각각 비공개형 프로필 또는 공개형 프로필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계정(210)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비공개형 프로필에 해당하는 제1 프로필(211) 및 제2 프로필(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개형 프로필에 해당하는 제3 프로필(213) 및 제4 프로필(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된 프로필(211, 214)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공개형 프로필은 실명 정보를 포함하는 바, 비공개형 프로필 중 인증된 프로필(211)은 본인 인증된 프로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본인 인증된 프로필(211)은 인증된 실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개형 프로필 중 인증된 프로필(214)은 퍼블릭 프로필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인증된 프로필(211, 214)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해당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interfacing)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략하게 인터페이스 또는 UI로 지칭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는 인터페이스 내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도록 구현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클릭 입력에 의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현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의 UI에 부가되는 인터페이싱 객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1)에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120)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120)는 서버(101)를 통해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1)를 통해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자격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 및/또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소속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110)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서버(101)에 인증에 기초한 인증된 신원 정보, 인증된 자격 정보, 및/또는 인증된 소속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을 요청(120)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는 제1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퍼블릭 프로필 생성 요청에 반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130)할 수 있으며, 생성된 퍼블릭 프로필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130)는 생성된 퍼블릭 프로필에 제1 사용자 계정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된 인터페이싱 객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서버(101)는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150)할 수 있다.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는 동작은 채팅방 생성 이전에 설정된 참여 허용 옵션을 채팅방 생성 시에 적용하는 동작, 채팅방 생성과 함께 참여 허용 옵션을 설정하는 동작, 및 채팅방 생성 이후 참여 허용 옵션을 사후적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참여 허용 옵션은 채팅방에 참여가 허용되는 프로필에 관한 조건으로, 예를 들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특정 유형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임의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의 참여 허용 옵션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특정 인증 정보는 해당 채팅방의 생성에 이용된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방 생성에 이용된 퍼블릭 프로필이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채팅방에는 참여 허용 옵션으로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의 참여 허용 옵션이 특정 유형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특정 유형은 해당 채팅방의 생성에 이용된 프로필의 유형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방 생성에 이용된 프로필이 퍼블릭 프로필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채팅방에는 참여 허용 옵션으로, 임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 또는 본인 인증된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의 참여 허용 옵션이 임의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채팅방에 참여 가능한 프로필의 유형,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 등 프로필에 관한 조건은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채팅방에 참여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은 임의의 프로필로 해당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참여 허용 옵션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 허용 옵션은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이 생성되기 이전에 해당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통하여 기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이 생성될 때 해당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통하여 기 설정된 참여 허용 옵션이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참여 허용 옵션은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을 생성할 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서버(101)에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이용하여 채팅방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채팅방에 해당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참여 허용 옵션은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을 생성한 이후에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2)은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기 생성된 채팅방의 참여 허용 옵션을 사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은 제1 사용자 단말(102)의 요청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2)은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을 통하여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채팅방 생성을 서버(101)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은 제2 사용자 단말(103)의 요청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103)은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을 통하여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도 4의 430)를 이용하여 채팅방 생성을 서버(101)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1 사용자 단말(102)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03)의 요청에 따라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계(150)에서 생성된 채팅방의 참여 요청을 수신(160)할 수 있으며, 참여 요청에 반응하여, 채팅방에 대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170)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는 단계(150) 이후에 단계(160)을 도시하였으나,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는 채팅방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단계(160)이 단계(150)에 선행할 수 있다.
서버(101)는 채팅방에 설정된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170)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은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 중 참여 허용 옵션을 만족하는 프로필이 존재하는 경우 참여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서버(101)는 참여 권한이 확인된 제2 사용자 계정을 채팅방에 참여시킬 수 있으며(180), 채팅방의 참여 권한이 확인되지 않은 제2 사용자 계정을 채팅방에 참여시키지 않을 수 있다. 채팅방에 대한 참여 권한이 확인된 제2 사용자 계정은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 중 참여 허용 옵션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참여 허용 옵션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이 복수인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은 참여 허용 옵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퍼블릭 프로필들 중 어느 하나로 해당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채팅방에 설정된 참여 허용 옵션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인 경우,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은 채팅방에 대한 참여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들) 중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은 채팅방에 대한 참여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채팅방에 설정된 참여 허용 옵션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인 경우,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하여, 채팅방에 제2 사용자 계정을 참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사용자 계정은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일 예로, 채팅방에 참여 허용 옵션으로,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이 설정된 경우, 해당 채팅방에 참여 요청한 사용자 계정은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있으면 해당 채팅방에 참여 권한이 확인되어, 해당 채팅방에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채팅방에 참여 요청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B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등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없으면 참여 권한이 확인되지 않아 해당 채팅방에 참여할 수 없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에 관한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1), 제1 사용자 단말(302) 및 제2 사용자 단말(303)은 도 1에서 상술한 서버(101), 제1 사용자 단말(102) 및 제2 사용자 단말(102)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301)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330), 제2 사용자 단말(303)로부터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350), 퍼블릭 프로필에 설정된 인증 정보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퍼블릭 프로필에 대한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360),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제공하는 단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310) 내지 단계(330)는 도 1에서 상술한 단계(110) 내지 단계(13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302)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검색 허용 옵션을 설정(340)할 수 있다. 검색 허용 옵션은 퍼블릭 프로필이 생성된 이후에 설정될 수도 있고, 퍼블릭 프로필의 생성 요청 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3은 단계(340)를 단계(330) 이후로 도시하고 있으나, 단계(340)는 반드시 단계(330) 이후에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퍼블릭 프로필 생성 요청 단계(32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허용 옵션은 퍼블릭 프로필이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대상에 관한 조건으로, 예를 들어 특정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특정 유형의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임의의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은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이 특정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특정 인증 정보는 해당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블릭 프로필이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퍼블릭 프로필에는 검색 허용 옵션으로, A 학교 학생임을 인증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해당 프로필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이 특정 유형의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특정 유형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의 유형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은 임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본인 인증된 프로필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이 임의의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퍼블릭 프로필이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다른 사용자 계정은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퍼블릭 프로필은 임의의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한 해당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에 반응하여, 검색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350)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인증 정보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특정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은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들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들 중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들)의 검색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350)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된 태그를 검색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는 퍼블릭 프로필의 특징 또는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관련된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로, 사용자 계정의 설정에 의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부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태그는 서버(301)에서 태그로 식별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자와 텍스트가 결합한 형태(예를 들어, '#text')의 형태로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301)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330)함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태그를 퍼블릭 프로필에 부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태그는 검색어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은 특정 태그를 서버(301)에서 제공된 검색창에 입력하여 서버(301)에 특정 태그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301)는 제2 사용자 단말(303)에서 수신된 검색 요청에 반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에 대한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을 확인(360)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은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 중 검색 허용 옵션을 만족하는 프로필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 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서버(301)는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된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검색 결과로 제공(370)할 수 있다. 서버(301)는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을 검색 결과로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2 사용자 계정의 특정 인증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350)에 의해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공되는 검색 결과에는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퍼블릭 프로필들 중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된 퍼블릭 프로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에 의할 때,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제1 퍼블릭 프로필은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공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퍼블릭 프로필의 검색 허용 옵션에 의할 때,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권한이 확인된 경우, 제2 퍼블릭 프로필은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공되는 검색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검색 결과로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을 제공받은 제2 사용자 단말(303)은 서버(301)로부터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1)는 제2 사용자 단말(303)에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사용자 단말(303)은 서버(301)에 제1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과의 채팅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301)는 채팅 요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 및 제2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사용자 계정은 해당 퍼블릭 프로필로 생성된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프로필의 UI를 통해 제공되는 퍼블릭 프로필에 기초한 서비스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퍼블릭 프로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4에 예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제1 퍼블릭 프로필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제1 퍼블릭 프로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프로필 사진, 프로필 이름, 프로필 소개 등의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에는 태그의 식별자 '#'과 제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특징 또는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관련된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결합한 형태의 태그들(401)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는 제1 퍼블릭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인터페이싱 객체(410)는 인증된 프로필과 인증되지 않은 프로필을 구분하기 위하여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프로필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410)는 반드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페이싱 객체(410)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도록 청각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410)와 제2 사용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를 통해 인터페이싱 객체(410)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5a또는 도5b에 예시된 인증 정보가 표시된 UI 화면으로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를 통해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퍼블릭 프로필은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를 통해 제1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인증된 실명 정보에 관한 항목, 인증된 자격 정보에 관한 항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는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2 사용자는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420)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제2 사용자 계정으로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는 인터페이싱 객체(420)를 선택함으로써, 서버에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를 요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2 사용자 계정에 의해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가 요청된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의 팔로우 승인을 통해 제2 사용자 계정과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페이싱 객체(420)의 선택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6a에 예시된 제2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으로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다. 도 6a에 예시된 제2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통해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필들 중 어떤 프로필을 이용하여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하기 위한 제2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은 제1 퍼블릭 프로필에 설정된 팔로우 허용 옵션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로우 허용 옵션은 인증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등 팔로우가 허용되는 프로필을 제한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사용자 계정이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하는 경우, 도 6b에 예시된 것과 같이 UI를 통하여 제1 퍼블릭 프로필을 팔로우하는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목록이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인터페이싱 객체(420)는 제2 사용자 계정과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제2 사용자 계정과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 관계가 성립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싱 객체(420)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계정과 제1 퍼블릭 프로필의 팔로우 관계가 성립됨에 따라 인터페이싱 객체(420)의 형태에서 도 6c에 예시된 인터페이싱 객체(620)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는 제1 사용자 계정과의 채팅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인터페이싱 객체(430)를 선택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제1 사용자 계정과의 채팅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채팅 요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 계정 및 제2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채팅방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은 제1 퍼블릭 프로필을 이용하여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계정은 채팅방에 참여하기 위한 프로필을 선택하여, 선택된 프로필을 이용하여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채팅방의 UI에는 채팅방에 포함된 각 사용자 계정이 이용하는 프로필이 각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방의 UI에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제1 퍼블릭 프로필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채팅방 참여를 위해 선택된 제2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퍼블릭 프로필의 UI는 제1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설정된 외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싱 객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인터페이싱 객체(440)를 선택함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제1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설정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는 퍼블릭 프로필에 포함된 해당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속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퍼블릭 프로필과 관련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인터페이싱 객체(440)의 선택 입력에 반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은 제1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설정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7a 또는 도 7b에 예시된 웹사이트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에 관한 UI(8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UI(800)에 포함된 프로필 생성을 위한 버튼(810)를 통해 서버에 프로필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로필들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프로필 생성 요청 시, 생성될 프로필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공개형 프로필의 생성이 요청된 경우, 공개형 프로필 설정에 관한 UI(801)가 제공될 수 있다. 공개형 프로필 설정에 관한 UI는 프로필에 포함되는 프로필 이름, 프로필 사진, 프로필 소개 등의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820), 프로필과 관련된 태그를 설정할 수 있는 영역(830) 및 프로필을 이용하여 생성된 채팅방에 관한 참여 허용 옵션 및 프로필에 관한 검색 허용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영역(8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퍼블릭 프로필은 공개형 프로필 중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로, 공개형 프로필에 사용자 계정에 관한 인증 수행에 기초한 인증 정보를 부가하여 퍼블릭 프로필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d는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계정의 퍼블릭 프로필의 UI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퍼블릭 프로필의 UI에는 해당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850)가 부가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는 서비스에 관한 UI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들)이 표시되는 영역(860)에 인증된 프로필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프로필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로, 서버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8e를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프로필 관리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메모리는 상술한 프로필 관리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예를 들어, 다른 단말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이 상기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익명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 허용 옵션은
    상기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및
    임의의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은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 중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대응하는 프로필로 상기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이 상기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로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참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블릭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퍼블릭 프로필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기 퍼블릭 프로필이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된 신원 정보;
    상기 인증된 자격 정보; 및
    상기 인증된 소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퍼블릭 프로필- 상기 퍼블릭 프로필은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함 -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계정의 상기 퍼블릭 프로필에 대응하여,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한 퍼블릭 프로필로 참여하는 것을 허용하는 참여 허용 옵션이 설정된 채팅방을 생성하고,
    상기 참여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채팅방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 제2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퍼블릭 프로필이 상기 특정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의 참여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참여 권한이 확인된 상기 제2 사용자 계정을 상기 채팅방에 참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189664A 2020-12-31 2020-12-31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53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64A KR102536935B1 (ko) 2020-12-31 2020-12-31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21214828A JP7317935B2 (ja) 2020-12-31 2021-12-28 ユーザプロフィ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US17/565,451 US12363121B2 (en) 2020-12-31 2021-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KR1020230065811A KR102765285B1 (ko) 2020-12-31 2023-05-22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US19/234,200 US20250310339A1 (en) 2020-12-31 2025-06-1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664A KR102536935B1 (ko) 2020-12-31 2020-12-31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811A Division KR102765285B1 (ko) 2020-12-31 2023-05-22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46A KR20220096846A (ko) 2022-07-07
KR102536935B1 true KR102536935B1 (ko) 2023-05-26

Family

ID=82117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664A Active KR102536935B1 (ko) 2020-12-31 2020-12-31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30065811A Active KR102765285B1 (ko) 2020-12-31 2023-05-22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811A Active KR102765285B1 (ko) 2020-12-31 2023-05-22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2363121B2 (ko)
JP (1) JP7317935B2 (ko)
KR (2) KR102536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3070B2 (ja) * 2019-08-21 2021-11-05 株式会社カカオ 匿名基盤プロフィールを介して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の表示方法及び装置
KR102844747B1 (ko) * 2022-10-17 2025-08-12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846880B1 (ko) * 2023-08-10 2025-08-18 주식회사 카카오 사용자 단말의 채널 참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61B1 (ko) * 2015-06-25 2016-09-05 주식회사 카카오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단말
JP2020096244A (ja) * 2018-12-11 2020-06-18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708A (ja) * 2002-04-19 2003-11-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利用者検索における被検索条件指定システム,利用者検索方法,利用者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WO2005101978A2 (en) * 2004-04-22 2005-11-03 Fortress Gb Ltd. Certified abstracted and anonymous user profiles for restricted network site access and statistical social surveys
JP2009169921A (ja) * 2008-01-14 2009-07-30 Kiyotaka Nakayama 同一人物に属する複数アイデンティティの管理装置、認証方法、制御方法及び活用方法
US20210006870A1 (en) * 2008-11-26 2021-01-07 Ashwin Navin Object detection from media data rendered on a device networked to a client device
US10217117B2 (en) * 2011-09-15 2019-02-26 Stephan HEATH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interactions using online consumer browsing behavior, buying patterns, advertisements and affiliate advertising, for promotions, online coupons, mobile services, products, goods and services, entertainment and auctions, with geospatial mapping technology
US20140173644A1 (en) * 2012-12-14 2014-06-19 The Talent Channels Jv Operating Co Limited Interactive celebrity portal and methods
US20140171179A1 (en) * 2012-12-14 2014-06-19 The Talent Channels Jv Operating Co Limited Real-time presentation of fan-generated content
US20140173648A1 (en) * 2012-12-14 2014-06-19 The Talent Channels Jv Operating Co Limited Interactive celebrity portal broadcast systems and methods
US9330183B2 (en) 2013-05-08 2016-05-03 Facebook, Inc. Approximate privacy indexing for search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1462348B1 (ko) 2013-07-11 2014-11-21 권태호 모바일 메신저에 적용 가능한 태그를 이용한 재능 교환 및 공통 관심 사용자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713379B2 (en) * 2014-04-21 2020-07-14 David Lane Smith Distributed storage system for long term data storage
US10069914B1 (en) * 2014-04-21 2018-09-04 David Lane Smith Distributed storage system for long term data storage
US9491192B2 (en) * 2014-07-08 2016-11-08 Marcio Veloso Antunes Universal relationships, system and method to build and operate a repository to manage and share trusted information of entities and their relationships
US10867708B2 (en) * 2015-07-10 2020-12-15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Social virtual dialysis clinic
US10659299B1 (en) * 2016-06-30 2020-05-19 Facebook, Inc. Managing privacy settings for content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2379397B1 (ko) * 2016-06-30 2022-03-2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메탄을 프로판알로 전환하기 위한 방법
US20190028844A1 (en) * 2017-07-18 2019-01-24 Mark Shaffer Annet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mely messages based on determination that no longer driving
US20200374286A1 (en) * 2017-09-15 2020-11-26 PAG Financial International LLC Real time selfie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user identify verification
US20200167699A1 (en) * 2018-11-26 2020-05-28 Tickitin Experiences LLC Event management and coordination platform
CA3125064A1 (en) * 2019-02-27 2020-09-03 Ocas System and method of apprenticeship program management
US11201944B2 (en) * 2019-05-24 2021-12-14 Bedoe Ralph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device users
US11457075B2 (en) * 2019-11-21 2022-09-27 Farzad Salimi Jazi Authorization and content management in authorized profiles based on associated standardized hierarchical identif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61B1 (ko) * 2015-06-25 2016-09-05 주식회사 카카오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오픈 채팅방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단말
JP2020096244A (ja) * 2018-12-11 2020-06-18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46A (ko) 2022-07-07
US12363121B2 (en) 2025-07-15
KR102765285B1 (ko) 2025-02-07
JP7317935B2 (ja) 2023-07-31
JP2022105323A (ja) 2022-07-13
US20220210159A1 (en) 2022-06-30
KR20230075385A (ko) 2023-05-31
US20250310339A1 (en) 202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586B2 (en) Systems, apparatuse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history of user
KR102765285B1 (ko)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7292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externally from a group-based communication platform
CN113568970B (zh) 应用业务数据管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9361004B2 (en) Indicating organization of visitor on user interface of user engaged in collaborative activity with visitor
JP2014531650A (ja) グループ・オプトイン・リンク
US10785045B2 (en) Socially enabled consensus blockchain summarization
US2017032458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servers using different user identification systems
CN112351350B (zh) 一种内容显示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10547612B2 (en) System to resolve multiple identity crisis in indentity-as-a-service application environment
US11765112B2 (en) Context driven dynamic actions embedded in messages
US20250254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profile
JP6494990B2 (ja) サービスアカウントに対するユーザ認証方法とユーザ認証システム、および記憶媒体
EP3513316B1 (en) Personalized search environment
KR20240046138A (ko) 자격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24525A (ko)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5203671A (zh) 账户登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95018A (ko)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6375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139861A (ko) 외부 서비스 연계를 위한 오픈챗 브릿지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24158A (ko)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7478341A (zh) 业务管理权限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56245A (ko) 서명된 컨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883634A (zh) 会话群迁移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