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435B1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435B1 KR102436435B1 KR1020180029212A KR20180029212A KR102436435B1 KR 102436435 B1 KR102436435 B1 KR 102436435B1 KR 1020180029212 A KR1020180029212 A KR 1020180029212A KR 20180029212 A KR20180029212 A KR 20180029212A KR 102436435 B1 KR102436435 B1 KR 102436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
- electronic pen
- pen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55 kin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아이콘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5b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아이콘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통화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6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메모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도 6f는 일 실시 예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및 SNS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된 아이콘을 나타낸다.
제1 신호 | 제2 신호 | 실행 앱 및 버튼 프레스 형식에 따른 기능 | |||
앱(App) | Single press | Long press | Double press | ||
○ | ○ | 홈(home) | 글로벌 액션 | - | - |
카메라 (camera) |
글로벌 액션 | - | - | ||
갤러리(gallery) | 글로벌 액션 | - | - | ||
○ | X | 홈 | 글로벌 액션 | - | - |
카메라 | 글로벌 액션 | - | - | ||
갤러리 | 글로벌 액션 | - | - | ||
X | ○ | 홈 | 글로벌 액션 | 숏컷 (shortcut) 세팅 |
액션 메모 호출 |
카메라 | 셔터 | 연속 촬영 | 동영상 촬영 | ||
갤러리 | 다음 이미지 출력 | 숏컷 세팅 | 이전 이미지 출력 | ||
X | X | 홈 | - | - | - |
카메라 | - | - | - | ||
갤러리 | - | - | - |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고,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이격 거리 내에 있을 경우,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펜 감지 패널,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펜 감지 패널,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펜 감지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펜 감지 패널을 통해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고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전자 펜에 포함되는 버튼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이격 거리보다 먼 제2 이격 거리 내에 있을 경우,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이격 거리 보다 멀고 상기 제2 이격 거리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이격 거리 보다 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펜 감지 패널 및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전자기 공명(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고,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Bluetooth)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 내부로 삽입되는 슬롯(slot)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내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고, 전자 펜이 제1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펜 감지 패널,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보다 큰 제2 영역 내에 상기 전자 펜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펜 감지 패널, 상기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제1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고,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2 영역 밖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에 실장되는 버튼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에 실장되는 버튼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면, 상기 펜 감지 패널은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독립적으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에 실장되는 버튼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아이콘들이 배열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나머지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에 실장되는 버튼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나머지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에 실장되는 버튼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면,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아이콘을 상기 제2 아이콘으로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으로 변경시키는, 전자 장치. - 삭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전자 장치 내부로 삽입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212A KR102436435B1 (ko) | 2018-03-13 | 2018-03-13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US16/352,188 US10936095B2 (en) | 2018-03-13 | 2019-03-13 |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ased on signal received from electric pen |
EP19162578.9A EP3540585B1 (en) | 2018-03-13 | 2019-03-13 | 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based on signal received from electric p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212A KR102436435B1 (ko) | 2018-03-13 | 2018-03-13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7901A KR20190107901A (ko) | 2019-09-23 |
KR102436435B1 true KR102436435B1 (ko) | 2022-08-26 |
Family
ID=6581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212A Active KR102436435B1 (ko) | 2018-03-13 | 2018-03-13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936095B2 (ko) |
EP (1) | EP3540585B1 (ko) |
KR (1) | KR10243643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08488B2 (en) | 2016-09-27 | 2020-07-07 | Snap Inc. | Eyewear device mode indication |
US11006043B1 (en) * | 2018-04-03 | 2021-05-11 | Snap Inc. | Image-capture control |
KR102817906B1 (ko) | 2020-10-29 | 2025-06-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US11816275B1 (en) * | 2022-08-02 | 2023-11-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air control region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8518B1 (ko) | 2001-04-12 | 2003-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용 전자펜 데이타 입력장치 및 좌표 측정 방법 |
KR100972335B1 (ko) | 2008-08-25 | 2010-07-26 | (주)디코인 |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노트 |
KR20140076261A (ko) * | 2012-12-12 | 2014-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
US9785259B2 (en) * | 2013-03-11 | 2017-10-10 |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 Stylus-based slider functionality for UI control of computing device |
US9766723B2 (en) * | 2013-03-11 | 2017-09-19 |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 Stylus sensitive device with hover over stylus control functionality |
US20150002482A1 (en) * | 2013-06-28 | 2015-01-01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Switching Stylus Transmissions Between Stylus-Modality Signals and Non-Stylus-Modality Signals |
KR102180236B1 (ko) * | 2014-02-20 | 2020-11-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
US10817124B2 (en) * | 2014-06-03 | 2020-10-27 | Lenovo (Singapore) Pte. Ltd. | Presenting user interface on a first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a second device within a proximity to the first device |
KR102272343B1 (ko) * | 2014-10-13 | 2021-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CN104320579A (zh) | 2014-10-22 | 2015-01-28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一种拍照装置及方法 |
JP6386897B2 (ja) | 2014-12-10 | 2018-09-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電子黒板、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
KR102527330B1 (ko) * | 2015-09-17 | 2023-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0474280B2 (en) * | 2015-12-31 | 2019-11-12 | Lg Display Co., Ltd. |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active stylus pen |
US10564740B2 (en) * | 2016-07-21 | 2020-02-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en device—panel interaction based on electromagnetic signals output by the pen device |
EP3525069B1 (en) * | 2016-10-06 | 2021-03-17 | Wacom Co., Ltd. | Stylus and controller |
KR102766959B1 (ko) * | 2017-01-17 | 2025-0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2018
- 2018-03-13 KR KR1020180029212A patent/KR102436435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3-13 US US16/352,188 patent/US10936095B2/en active Active
- 2019-03-13 EP EP19162578.9A patent/EP354058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7901A (ko) | 2019-09-23 |
US20190286253A1 (en) | 2019-09-19 |
EP3540585B1 (en) | 2023-12-06 |
US10936095B2 (en) | 2021-03-02 |
EP3540585A1 (en) | 2019-09-18 |
EP3540585C0 (en) | 2023-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66584B2 (en) |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r content associated with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carrying out same | |
KR102481894B1 (ko)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 |
KR20200100918A (ko) | 카메라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JP2019128961A (ja) | 指紋認識のための方法、電子装置及び格納媒体 | |
KR102716974B1 (ko)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102734793B1 (ko) | 메시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436435B1 (ko)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
KR20200045241A (ko) |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 |
KR20210140949A (ko) |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표시 제어 방법 | |
KR20190112406A (ko) |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00072727A (ko) |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00085531A (ko) |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2527824B1 (ko) | 복수의 출력 화면 환경에서 가상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00022574A (ko) |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 |
KR20200040554A (ko) |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
KR102697163B1 (ko) |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39578B1 (ko) |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매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20210082910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
KR20200133945A (ko) | 전자 장치 및 페이지를 고속 스크롤하는 방법 | |
KR102806813B1 (ko) |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102458719B1 (ko) |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666045B1 (ko) |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43993B1 (ko) | 시구간을 나타내는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2751924B1 (ko) |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 |
US12014102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