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394319B1 -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319B1
KR102394319B1 KR1020220002157A KR20220002157A KR102394319B1 KR 102394319 B1 KR102394319 B1 KR 102394319B1 KR 1020220002157 A KR1020220002157 A KR 1020220002157A KR 20220002157 A KR20220002157 A KR 20220002157A KR 102394319 B1 KR102394319 B1 KR 10239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ensor
horizontal
bridge
vertical
cover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용
유근한
양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102022000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3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거동에 따른 교량의 상태 등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량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교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받침부로 이루어진 교량받침대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상하측정센서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수평방향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수평측정센서와;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는 자체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bridge }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거동에 따른 교량의 상태 등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온도에 따른 길이신축과 차량의 진행과정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한 교량의 거동에 의해 길이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교각과 상판 사이에 교량을 받쳐주는 교량받침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교량받침장치는 고정 교량받침장치와 가동 교량받침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량상판의 신축 발생시 가동 교량받침장치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하여 길이방향 변형를 흡수하였다.
여기서, 상기 가동 교량방침장치는 힌지로 이루어진 것과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내진설계의 강화에 따라 교량받침장치가 길이방향과 상하 방향의 변형에 대하여도 이를 흡수 완충할 수 있게 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교량받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상 하부에 결속플랜지를 형성한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탄성 교량받침장치는 설계치 이상의 변형 발생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교각에 내려가 그 상태를 시각적으로 관찰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탄성 교량받침장치의 관리가 일정주기로 이루어지는 시각적인 관찰에 의하여 이루어져 그 피로상태 및 손상상태의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교량이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량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700805 공개특허 10-2014-000158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 및 활하중 등의 외력 작용에 의한 교량의 거동시 교량 하부에서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받침대의 상태 및 각종 센서의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교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량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교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받침부로 이루어진 교량받침대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상하측정센서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수평방향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수평측정센서와;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는 자체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상하측정센서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다수개의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수평측정센서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각각의 상기 상하측정센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상하구동부와; 각각의 상기 수평측정센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수평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1차 고장난 해당 상하측정센서에 장착된 상하구동부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하고, 조정 후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상하측정센서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리고,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평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1차 고장난 해당 수평측정센서에 장착된 수평구동부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하고, 조정 후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수평측정센서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리도록 한다.
상기 상하측정센서 및 수평측정센서에는 각각 램프가 장착되어 있되,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 또는 수평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최종 고장난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고장나지 않은 상하측정센서 또는 수평측정센서에 장착된 램프가 켜지도록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량받침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상하측정센서 및 수평측정센서에 이물질이 유입 또는 부착되는 것이 차단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에는 먼지측정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팬과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에는 흡입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먼지측정센서에 측정된 상기 커버부재 안쪽의 먼지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팬과 모터는 작동하여 상기 커버부재 안쪽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동시에 외부공기가 상기 흡입공 및 흡입필터를 투과한 후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온도 및 활하중 등의 외력 작용에 의한 교량의 거동시 교량 하부에서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받침대의 상태 및 센서의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교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대에서 상하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과정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대에서 수평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대의 구조도.
본 발명의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대(10)와, 상하측정센서(20)와, 수평측정센서(25)와, 게이트웨이(30)와, 관리서버(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교량받침대(10)는 상부판(11)과 하부판(12)과 탄성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판(11)은 교량상판(1)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판(12)은 교각(2)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교량받침대(10)는 상기 상부판(11)과 하부판(12) 사이에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판(11)과 하부판(12)의 상대적인 이동을 완충 또는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교량받침대(1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 등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하측정센서(20)는 상기 상부판(11) 또는 하부판(12)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11)과 하부판(12) 상호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측정센서(20)는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레이저센서 등을 이용하면 된다.
상기 상하측정센서(20)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측정센서(20)는 4개로 이루어지고, 각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측정센서(25)는 상기 상부판(11) 또는 하부판(12)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11)과 하부판(12) 상호간의 수평방향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측정센서(25)는 일예로 카메라 등을 이용하면 된다.
상기 수평측정센서(25)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측정센서(25)는 4개로 이루어지고, 각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에 의해 교량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교량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상하측정센서(20)와 수평측정센서(25)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35)로 전송한다.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로부터 측정된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30)에 유선 또는 무선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하측정센서(20)와 수평측정센서(25)는 자체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게이트웨이(30)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교량상판(1)의 하부에서 상기 교량받침대(10)에 장착되는 상기 상하측정센서(20)와 수평측정센서(25)가 각각 자체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를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선 등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 및 관리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30)는 가로등으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30)가 항상 작동되면서,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5)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5)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3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관리서버(35)에서는, 다수개의 상하측정센서(20)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상하측정센서(20)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린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5)에서는, 다수개의 수평측정센서(25)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수평측정센서(25)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다수개의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 중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센서의 고장 여부를 관리자에게 쉽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5)는 상기 게이트웨이(30)에 명령 신호를 내릴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하구동부(40)와 수평구동부(4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구동부(4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구동부(40)는 각각의 상기 상하측정센서(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구동부(45)는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구동부(45)는 각각의 상기 수평측정센서(2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관리서버(35)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오차범위를 벗어나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고장난 해당 상하측정센서(20)에 장착된 상하구동부(40)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2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한다.
조정 후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20)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계속하여 벗어나면 해당 상하측정센서(20)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린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관리서버(35)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평측정센서(2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오차범위를 벗어나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고장난 해당 수평측정센서(25)에 장착된 수평구동부(45)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25)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한다.
조정 후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25)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계속하여 벗어나면 해당 수평측정센서(25)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리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또는 수평측정센서(25) 중 일시적으로 오작동되는 센서를 1차적으로 조정하여 보고, 그래도 계속하여 오작동되면 최종 고장이라는 내용을 관리자에 알려, 일시적 오작동과 센서의 영구 고장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에는 각각 램프(21,26)가 장착되어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또는 수평측정센서(2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최종 고장난 경우, 도 3(c)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서버(35)에서는 고장나지 않은 상하측정센서(20) 또는 수평측정센서(25)에 장착된 램프(21,26)가 켜지도록 작동시킨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현장에서 최종 고장난 상하측정센서(20) 또는 수평측정센서(25)의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 고정나지 않은 센서와 최종 고장난 센서를 쉽게 구분하여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 및 활하중 등의 외력 작용에 의한 교량의 거동시 교량 하부에서 교량을 지지하는 교량받침대(10)의 상태 및 센서의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어, 교량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교량받침대(10)를 감싸는 커버부재(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교량받침대(10)를 감싸는 상기 커버부재(50)에 의해,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안쪽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5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50)의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 또는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상하측정센서(20) 및 수평측정센서(25)의 작동시 이물질에 의해 측정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측정센서(51), 팬과 모터(52), 흡입필터(5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먼지측정센서(51)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50)가 감싸고 있는 공간의 먼지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팬과 모터(52)는 상기 커버부재(50)에 장착되어 필요에 작동하며, 상기 팬과 모터(5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50) 안쪽에 존재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50)에는 흡입공(53)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53)에는 상기 흡입필터(54)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먼지측정센서(51)에 측정된 상기 커버부재(50) 안쪽의 먼지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팬과 모터(52)는 작동하여 상기 커버부재(50) 안쪽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커버부재(50) 안쪽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50)의 안쪽에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상기 흡입공(53) 및 흡입필터(54)를 투과한 후 상기 커버부재(50)의 안쪽으로 자동 유입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50)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센서(20,25)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50) 안쪽의 먼지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자동으로 공기와 먼지를 배출하고 깨끗한 공기를 유입하도록 할 수 있어, 센서(20,25)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정확한 값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교량상판, 2 : 교각,
10 : 교량받침대, 11 : 상부판, 12 : 하부판, 13 : 탄성받침부,
20 : 상하측정센서, 21 : 램프, 25 : 수평측정센서, 26 : 램프,
30 : 게이트웨이, 35 : 관리서버,
40 : 상하구동부, 45 : 수평구동부.
50 : 커버부재, 51 : 먼지측정센서, 52 : 팬과 모터, 53 : 흡입공, 54 : 흡입필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교량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교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받침부로 이루어진 교량받침대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측정하는 상하측정센서와;
    상기 상부판 또는 하부판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상호간의 수평방향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수평측정센서와;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받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관리서버와;
    각각의 상기 상하측정센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상하구동부와;
    각각의 상기 수평측정센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수평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측정센서는 상기 탄성받침부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하측정센서와 수평측정센서는 자체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상하측정센서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고,
    다수개의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 중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측정한 수평측정센서는 1차 고장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며,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1차 고장난 해당 상하측정센서에 장착된 상하구동부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하고, 조정 후 1차 고장난 상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상하측정센서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리고,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다수개의 상기 수평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1차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1차 고장난 해당 수평측정센서에 장착된 수평구동부를 작동시켜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에 들어오도록 조정하고, 조정 후 1차 고장난 수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평균치의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수평측정센서를 최종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교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정센서 및 수평측정센서에는 각각 램프가 장착되어 있되,
    다수개의 상기 상하측정센서 또는 수평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최종 고장난 경우,
    상기 관리서버에서는,
    고장나지 않은 상하측정센서 또는 수평측정센서에 장착된 램프가 켜지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교량받침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상하측정센서 및 수평측정센서에 이물질이 유입 또는 부착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에는 먼지측정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팬과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에는 흡입필터가 장착되되,
    상기 먼지측정센서에 측정된 상기 커버부재 안쪽의 먼지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팬과 모터는 작동하여 상기 커버부재 안쪽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동시에 외부공기가 상기 흡입공 및 흡입필터를 투과한 후 상기 커버부재의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002157A 2022-01-06 2022-01-06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ctive KR10239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57A KR102394319B1 (ko) 2022-01-06 2022-01-06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157A KR102394319B1 (ko) 2022-01-06 2022-01-06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319B1 true KR102394319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157A Active KR102394319B1 (ko) 2022-01-06 2022-01-06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2920A (zh) * 2023-02-13 2023-03-10 广州继善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基基础检测方法及其装置
KR20230146265A (ko) * 2022-04-12 2023-10-19 (주)대림전력공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전반의 하부완충부재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805B1 (ko) 2004-11-15 2007-03-27 주식회사 브이테크 계측용 광섬유센서가 일체로 내장결합된 교량받침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4-01-07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KR101599311B1 (ko) * 2014-11-20 2016-03-0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의 열화 손상 판단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81142A (ko) * 2017-06-19 2017-07-11 박창오 교좌 점검 시스템
KR102338979B1 (ko) * 2021-04-26 2021-12-14 (주)에이피엠텍 레이저 기반의 구조물 변위량 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805B1 (ko) 2004-11-15 2007-03-27 주식회사 브이테크 계측용 광섬유센서가 일체로 내장결합된 교량받침
KR20140001586A (ko) 2012-06-28 2014-01-07 주식회사 비엠연구소 탄성 교량받침장치를 갖는 교량의 무선 계측관리 시스템
KR101599311B1 (ko) * 2014-11-20 2016-03-04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의 열화 손상 판단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81142A (ko) * 2017-06-19 2017-07-11 박창오 교좌 점검 시스템
KR102338979B1 (ko) * 2021-04-26 2021-12-14 (주)에이피엠텍 레이저 기반의 구조물 변위량 계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265A (ko) * 2022-04-12 2023-10-19 (주)대림전력공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전반의 하부완충부재 관리 시스템
KR102705556B1 (ko) 2022-04-12 2024-09-12 (주)대림전력공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전반의 하부완충부재 관리 시스템
CN115772920A (zh) * 2023-02-13 2023-03-10 广州继善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地基基础检测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319B1 (ko)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N104236840B (zh) 垂直坠落式冲击测试系统
ES2702536T3 (es) Control y evaluación de estado de par de frenado
BR112021015188A2 (pt) Sistema para predizer falhas em amortecedores
CN110382390B (zh) 一种用于自动电梯状态检查的方法和电梯
JP7529295B2 (ja) 制振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101452388B1 (ko) 교량 감시 시스템
KR102108115B1 (ko) 교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용 상황 진동 감지 전자식 멀티 센서 모듈
KR102166859B1 (ko)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구간 모니터링 장치
JP2015108468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および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制御システム
WO2016194375A1 (ja) 橋梁異常検知装置
KR101857393B1 (ko) 구동부의 정밀 예지 보전방법
CN109850031B (zh) 底盘及机器人
WO2018134891A1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復旧システム
JP6601872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090114296A (ko) 전차선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705556B1 (ko)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배전반의 하부완충부재 관리 시스템
JP6744453B1 (ja) 異常診断システム
IL257436B2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and like structures
US10365293B2 (en) Monitoring the structural health of columns and like structures
JP2016088716A (ja) 乗客コンベア用スカートガードスイッチ点検装置
KR20200092833A (ko) 전투 체계의 장비 모니터링 장치
KR102410750B1 (ko) 스마트 센서 볼트 및 이것이 결합된 교량의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27050B1 (ko) 송전선 변이측정모듈을 구비한 선로 감시진단 장치
CN211472131U (zh) 一种铁路桥梁振动检测传感器安装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