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044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044B1 KR102368044B1 KR1020140151275A KR20140151275A KR102368044B1 KR 102368044 B1 KR102368044 B1 KR 102368044B1 KR 1020140151275 A KR1020140151275 A KR 1020140151275A KR 20140151275 A KR20140151275 A KR 20140151275A KR 102368044 B1 KR102368044 B1 KR 102368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action
- bezel
- area
- keyboard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영역의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키보드 UI를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30, 280: 제어부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처리부 240: 오디오 출력부
250: 저장부 260: 통신부
Claims (20)
-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키보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
상기 베젤에 위치하고, 상기 베젤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베젤의 제1 영역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키보드 UI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베젤의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제2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키보드 UI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키보드 UI 중 상기 일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2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텍스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좌우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영역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영역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선택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인접한 두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핀치-아웃(pinch-out) 또는 핀치-인(pinch-in)하는 핀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핀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복사하거나 불여넣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한 지점을 터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2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노출 영역을 변경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핀치-아웃 또는 핀치-인하는 핀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핀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를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베젤 영역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표시되는 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보드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베젤 영역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키보드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하우징하는 베젤의 제1 영역에 대한 제1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키보드 UI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1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베젤의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제2 영역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상기 키보드 UI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서로 상이한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키보드 UI 중 상기 일 지점에 대응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2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텍스트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좌우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영역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영역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선택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인접한 두 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베젤 영역을 터치한 후 핀치-아웃(pinch-out) 또는 핀치-인(pinch-in)하는 핀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핀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복사하거나 불여넣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한 지점을 터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2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드래그 인터렉션의 방향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노출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베젤 영역 중 제1 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의 두 지점을 터치한 후 핀치-아웃 또는 핀치-인하는 핀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핀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 영역에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키보드 UI의 표시되는 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표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베젤 영역의 기설정된 영역을 터치하는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1275A KR102368044B1 (ko) | 2014-11-03 | 2014-11-03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14/926,507 US10628034B2 (en) | 2014-11-03 | 2015-10-29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 PCT/KR2015/011646 WO2016072678A1 (en) | 2014-11-03 | 2015-11-02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 CN201580059799.4A CN107077296B (zh) | 2014-11-03 | 2015-11-02 | 用户终端设备和用于控制用户终端设备的方法 |
| EP15858005.0A EP3215915B1 (en) | 2014-11-03 | 2015-11-02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1275A KR102368044B1 (ko) | 2014-11-03 | 2014-11-03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51373A KR20160051373A (ko) | 2016-05-11 |
| KR102368044B1 true KR102368044B1 (ko) | 2022-02-25 |
Family
ID=558526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51275A Active KR102368044B1 (ko) | 2014-11-03 | 2014-11-03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10628034B2 (ko) |
| EP (1) | EP3215915B1 (ko) |
| KR (1) | KR102368044B1 (ko) |
| CN (1) | CN107077296B (ko) |
| WO (1) | WO201607267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0379737B2 (en) * | 2015-10-19 | 2019-08-13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keyboard interface functionalities |
| US10691166B2 (en) * | 2016-07-04 | 2020-06-23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touch sensitive areas outside of viewable display area |
| KR102607564B1 (ko) | 2016-09-13 | 2023-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10318130B2 (en) | 2016-12-12 | 2019-06-11 | Google Llc | Controlling window using touch-sensitive edge |
| US10956033B2 (en) * | 2017-07-13 | 2021-03-23 | Hand Held Products, Inc.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keyboard with a highlighted area of interest |
| JP2019040398A (ja) * | 2017-08-25 | 2019-03-14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CN110351426B (zh) * | 2019-05-31 | 2021-01-26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智能手表信息输入方法、智能手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9883451A (zh) * | 2020-10-27 | 2025-04-25 | 华为技术有限公司 | 索引显示方法及可穿戴设备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80096610A1 (en) * | 2006-10-20 | 2008-04-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ext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 US20090295753A1 (en) * | 2005-03-04 | 2009-12-03 | Nick King |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
| US20110209098A1 (en) * | 2010-02-19 | 2011-08-25 | Hinckley Kenneth P | On and Off-Screen Gesture Combin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95922B1 (ko) * | 1998-01-26 | 2006-07-05 | 웨인 웨스터만 | 수동 입력 통합 방법 및 장치 |
| US6429846B2 (en) * | 1998-06-23 | 2002-08-06 | Immersion Corporation |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
| EP2141566B1 (en) | 2006-03-03 | 2021-01-27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surfaces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
| US7556204B2 (en) | 2006-04-19 | 2009-07-07 | Nokia Corproatio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
| US7978181B2 (en) * | 2006-04-25 | 2011-07-12 | Apple Inc. | Keystroke tactility arrangement on a smooth touch surface |
| US8154523B2 (en) * | 2007-12-13 | 2012-04-10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
| US8098141B2 (en) * | 2009-02-27 | 2012-01-17 | Nokia Corporation | Touch sensitive wearable band apparatus and method |
| CN102043434A (zh) * | 2009-10-23 | 2011-05-04 |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 电子产品、电子产品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1626621B1 (ko) | 2009-12-30 | 2016-06-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US20110242138A1 (en) * | 2010-03-31 | 2011-10-06 | Tribble Guy L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current Virtual Keyboards |
| KR101688944B1 (ko) | 2010-10-01 | 2016-1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키보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729523B1 (ko) | 2010-12-21 | 2017-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WO2013051762A1 (ko) | 2011-10-05 | 2013-04-11 | 한국과학기술원 | 베젤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
| KR102086799B1 (ko) * | 2013-02-21 | 2020-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WO2014171606A1 (en) * | 2013-04-19 | 2014-10-23 | Lg Electronics Inc. | Device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US20150160849A1 (en) * | 2013-12-06 | 2015-06-11 | Microsoft Corporation | Bezel Gesture Techniques |
| KR102144339B1 (ko) * | 2014-02-11 | 2020-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US9392095B2 (en) * | 2014-04-03 | 2016-07-1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
| US10592095B2 (en) * | 2014-05-23 | 2020-03-17 | Apple Inc. | Instantaneous speaking of content on touch devices |
-
2014
- 2014-11-03 KR KR1020140151275A patent/KR102368044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0-29 US US14/926,507 patent/US10628034B2/en active Active
- 2015-11-02 WO PCT/KR2015/011646 patent/WO2016072678A1/en not_active Ceased
- 2015-11-02 CN CN201580059799.4A patent/CN107077296B/zh active Active
- 2015-11-02 EP EP15858005.0A patent/EP32159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90295753A1 (en) * | 2005-03-04 | 2009-12-03 | Nick King |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
| US20080096610A1 (en) * | 2006-10-20 | 2008-04-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ext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
| US20110209098A1 (en) * | 2010-02-19 | 2011-08-25 | Hinckley Kenneth P | On and Off-Screen Gesture Combination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3215915A4 (en) | 2017-11-01 |
| US10628034B2 (en) | 2020-04-21 |
| CN107077296B (zh) | 2020-11-10 |
| WO2016072678A1 (en) | 2016-05-12 |
| US20160124637A1 (en) | 2016-05-05 |
| KR20160051373A (ko) | 2016-05-11 |
| EP3215915A1 (en) | 2017-09-13 |
| CN107077296A (zh) | 2017-08-18 |
| EP3215915B1 (en)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68044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US9285953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 |
| US10747416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 |
| KR102024187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 US10712918B2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 KR102132390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 US20150339018A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 |
| KR2016003544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
| KR2014002056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US20140173516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 US20150339026A1 (en) |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 |
| US20160334988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acters from same | |
| KR20140100306A (ko) |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 |
| US10289270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ighlight thereof | |
| KR2016003395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KR20140075424A (ko) | 컨텐츠 확대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 US10083164B2 (en) | Adding rows and columns to a spreadsheet using addition icons | |
| KR20150142347A (ko) |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 |
| KR2014007273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 |
| US20140129979A1 (en) | Display device and list display method thereof | |
| KR2017004295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US20160132478A1 (en) |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 |
| KR20150135039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 |
| KR2016013937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