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354763B1 -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763B1
KR102354763B1 KR1020140160249A KR20140160249A KR102354763B1 KR 102354763 B1 KR102354763 B1 KR 102354763B1 KR 1020140160249 A KR1020140160249 A KR 1020140160249A KR 20140160249 A KR20140160249 A KR 20140160249A KR 102354763 B1 KR102354763 B1 KR 10235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peripheral devices
light emi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580A (ko
Inventor
김용호
손준호
성영아
한철호
김한기
천병근
최기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763B1/ko
Priority to US14/942,283 priority patent/US10397643B2/en
Priority to PCT/KR2015/012348 priority patent/WO2016080733A1/en
Priority to EP23201582.6A priority patent/EP4277286A3/en
Priority to CN201580062045.4A priority patent/CN107113226B/zh
Priority to EP15860515.4A priority patent/EP3221768B1/en
Publication of KR2016005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기기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은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하고,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변 기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전자 기기와 주변 기기 간에 상호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어 기기와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간에 상호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자 기기와 주변 기기 간에 상호 연결은 무선 통신 방식(예로, 블루투스, Wi-Fi 등)을 이용하여, 일 대 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AP(Access Point)를 가진 허브를 통하여 전자 기기와 다수의 주변 기기 간에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은 특히, 무선 홈 씨어터, 멀티 룸 스피커 등과 같은 환경에 적합할 수 있다.
전자 기기와 주변 기기 간에 상호 연결 방식은 기기 간 통신 기술의 성능 향상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노트북, 넷북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또는 PDA 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TV 등과 같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널리 개발되고 있다.
전자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주변 기기를 설정할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어 기기와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 간에 상호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취향에 적합한 사운드 청취 환경을 조장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피커를 대상으로 멀티 채널 설정 및 음향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주변 기기의 개수가 증가되고 통신 방식 및 설정 환경이 다양화됨에 따라, 주변 기기를 설정하는 과정 및 설정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손쉽게 주변 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직관적인 시각적 요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손쉽게 주변 기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색 및 점멸 패턴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 또는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제3 자에게 공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정보를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주변 기기의 발광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주변 기기에 매핑할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주변 기기와 연결된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가 식별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정 값은, 상기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 및 딜레이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이미지,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명, 상기 주변 기기의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는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 및 점멸 패턴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 또는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제3 자에게 공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에 상기 대표 정보를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주변 기기의 발광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상기 주변 기기에 매핑할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주변 기기와 연결된 허브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대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주변 기기가 식별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정 값은, 상기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 및 딜레이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이미지,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명, 상기 주변 기기의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를 설정하는 방식이 간소화됨에 따라, 주변 기기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주변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의 설정(예로, 스피커의 멀티 채널 설정 등)을 직관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변 기기 각각에 서로 다른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이 매핑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시각적이며 직관적으로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을 구분하고,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들에게 발광색을 부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들의 발광부가 발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기기가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주변 기기들을 확인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주변 기기들을 설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를 설정한 정보를 프리셋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셋으로 저장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를 제3 자에게 공유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기기들의 대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2 내지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으로 프리셋을 적용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으로 프리셋을 적용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1 및 도 4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 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버튼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에 부착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가하는 모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션 입력은, 사용자가 장치를 회전시키거나, 장치를 기울이거나, 장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실시 예에서, “다중 입력”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입력 방식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캘린더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아이콘, 인텍스 항목, 링크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등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UI 엘리먼트는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또는 상술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으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피드백이 가능한 일 영역이 있으면, 이 영역을 UI 엘리먼트라 할 수 있다. 또한, UI 엘리먼트, 예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와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N)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와 주변 기기(21~2N) 간에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N)을 제어하는 기기로서, 예로,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노트북, 데스크탑 PC, PDA,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같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N)는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하여 전자 기기(21~2N)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기로, 예로, 스피커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전자 기기(11)의 예들을 포함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변 기기들(21~2N)은 룸 시설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 LED 조명, 온도 조절계, 스마트 홈 센서 또는 플러그 등이 될 수 있으며, 미디어 기기의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 디지털 TV, 노트북, 데스크탑 PC, 카메라 또는 외장 하드 등이 될 수 있으며, 공조 기기 용도로 활용되는 경우, 에어컨, 공기 청정기, 선풍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21~2N)은 상점에서 활용되는 경우, 비콘(beacon) 신호 발신기 또는 전자 가격 표시기(ESL; Electro shelf label) 등이 될 수 있으며, 로지스틱스(logistics) 분야에서 활용되는 경우, 물류 추적용 부착 센서 또는 분실 방지용 스마트 태그 등이 될 수 있으며, 농장에서 활용되는 경우, 식물 부착 센서, 화분 부착 센서 또는 가축 부착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서 전자 기기(11)는 컨텐츠(예로, 영상 컨텐츠 또는 음악 컨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기기로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들(21~2N)은 컨텐츠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기기로서 동작될 수 있다. 예로, 전자 기기(11)가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스마트폰인 경우, 주변 기기들(21~2N)은 음악 컨텐츠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b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N), 주변 기기들(21~2N)와 연결되어 전자 기기(11)와 통신하는 허브(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31)는, 예로, 전자 기기(11)로부터 전송 받은 제어 정보 또는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변 기기들(21~2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N)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전자 기기(11)가 요청 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c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N) 및 제어 기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기(41)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거나 또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기기로 동작하며 주변 기기들(21~2N)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들(21~2N)은, 예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기기로서 동작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는, 예로, 주변 기기들(21~2N)의 데이터 출력을 설정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N)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전자 기기(11) 및 주변 기기들(21~2N)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1)는 제어 기기(41)와 통신하며, 제어 기기(41)로 주변 기기들(21~21N)을 설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기기(41)의 종류는 전술한, 전자 기기(11)들의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d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N), 허브(31) 및 제어 기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는 허브(31)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N)과 통신하여 주변 기기들(21~2N)의 데이터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한 정보를 제어 기기(41)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 기기(41)는 허브(31)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N)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기기(41)는 전자 기기(11)로부터 수신 받은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선택적 또는 변형하여 허브(31)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N)로 전송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N)은 허브(3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과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기기로서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전자 기기(11)는 휴대 단말기, 주변 기기(21~2N)는 스피커, 제어 기기(41)는 휴대 단말기 또는 디지털 TV를 대상으로 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전자 기기(11), 주변 기기(21~2N) 및 제어 기기(4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의 구성은 도 1의 전자 기기(11), 주변 기기(21~2N) 및 제어 기기(41)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감지부(180) 및 제어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전자 기기(1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전술한 블록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의 종류 또는 전자 기기(100)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획득부(1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부(110)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영상 획득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110)는 영상이 투과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이미지)는 CCD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1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획득부(1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1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또는 그래픽 처리부(1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 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감지부(180)의 터치 감지부(181)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벤디드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전자 기기(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벤디드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하지 않는 일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디드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평면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벤디드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뿐 아니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40)는 와이파이칩(141), 블루투스 칩(142), 무선 통신 칩(143), NFC 칩(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4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와이파이 칩(141), 블루투스 칩(142) 각각은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41)이나 블루투스 칩(14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4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4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저장부(150)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9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9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9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기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장부(150)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전자 기기(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OS(210), 커널(220), 미들웨어(230), 어플리케이션(240)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210)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OS(210)는 하드웨어 관리와 메모리, 보안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커널(220)은 감지부(180)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등을 비롯한 각종 신호들을 미들웨어(230)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미들웨어(230)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미들웨어(230)는 X11 모듈(230-1), APP 매니저(230-2), 연결 매니저(230-3), 보안 모듈(230-4), 시스템 매니저(230-5),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윈도우 매니저(230-8),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를 포함한다.
X11 모듈(230-1)은 전자 기기(1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이벤트란,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되는 이벤트, 시스템 알람(alarm)이 발생하는 이벤트,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 또는 종료되는 이벤트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APP 매니저(230-2)는 저장부(150)에 설치(install)된 각종 어플리케이션(240)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는 모듈이다. APP 매니저(230-2)는 X11 모듈(230-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가 감지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연결 매니저(23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이다. 연결 매니저(230-3)는 DNET 모듈, UPnP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세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230-4)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시스템 매니저(230-5)는 전자 기기(100) 내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모니터링 결과를 타 모듈들에게 제공한다. 가령,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거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통신 연결 상태가 끊어지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시스템 매니저(230-5)는 그 모니터링 결과를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나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로 제공하여 알림 메시지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는 전자 기기(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이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230-6)는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고,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는 서브 영역에 표시할 각종 UI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및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는 각종 UI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UI 엘리먼트가 표시될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합성기, 구성된 UI 엘리먼트를 산출된 좌표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30-8)는 사용자의 신체나 펜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나 기타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30-8)는 이러한 이벤트가 감지되면 메인 UI 프레임워크(230-7) 또는 서브 UI 프레임워크(230-9)로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및 드래그하는 경우, 드래그 궤적에 따라 라인을 드로잉하기 위한 필기 모듈이나, 움직임 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센서 값에 기초하여 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을 산출하기 위한 각도 산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240-1 ~ 240-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모듈, 게임 모듈, 전자 책 모듈, 달력 모듈, 알람 관리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폴트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임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CPU(194)는 UI 엘리먼트가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240)을 이용하여 선택된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자 기기(100)의 종류 또는 전자 기기(100)의 목적에 따라 일부가 생략 또는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오디오 처리부(160)는 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170)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감지부(180)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 기기(1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80)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감지 목적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181), 움직임 감지부(182)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더 다양한 목적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는, 물리적인 구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결합하여 상기 감지부들(181,18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지부(180)의 구성 또는 기능의 일부가 제어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18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 감지부(181)로부터 터치 좌표 및 터치 시간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예로,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드래그 제스처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부(181)가 획득한 터치 좌표 및 터치 시간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의 종류를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부(182)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자기장 센서(3-axis Magnet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 움직임, 틸팅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부(182)는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부(182)은 전자 기기(1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전자 기기(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버스(19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191), ROM(192), 그래픽 처리부(193), 메인 CPU(1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 195-n) 등은 버스(1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191)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RAM(191)은 디바이스(110)가 부팅되면 O/S가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ROM(1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94)는 ROM(1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91)에 복사하고, RAM(1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감지부(1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94)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95-1 내지 195-n)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21)를 식별하기 위하여,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21~2N)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경우, 제어부(190)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21~2N) 중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 및 점멸 패턴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21)를 식별하기 위하여, 발광색 및 점멸 패턴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식별된 주변 기기(21)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정 값을 식별된 주변 기기(21) 또는 식별된 주변 기기(21)와 통신 가능한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주변 기기들(21~24)의 일 예로, 스피커들을 구매하여 개봉할 수 있다(410).
다음으로, 허브(예로, 오디오 허브)(31)는 주변 기기들(예로, 스피커들)(21~24)을 감지할 수 있다(420). 허브(31)가 주변 기기들(21~24)을 감지하는 경우는, 예로, 허브(31)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감지하는 경우이거나, 주변 기기들(21~24)에 전원이 연결된 경우이거나, 또는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가 이동된 것이 감지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4)을 구매 시에 함께 구매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별도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21~24) 중 적어도 하나가 허브(31)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허브(31)가 주변 기기들(21~24)을 감지함에 따라,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421) 및 주변 기기들(21~2N)들의 개수(422)를 서버(미도시), 전자 기기(11) 또는 주변 기기들(21~2N)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허브(31) 자체가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421)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421)는, 예로, 주변 기기의 제품명(예로, 스피커), 모델명, 고유 ID(예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제품의 이미지 및 모델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4)에게 발광색을 부여하기 위하여 주변 기기들(21~24) 각각에 매핑할 발광색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발광색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기기(11) 또는 주변 기기들(21~24)로 전송할 수 있다(430). 예를 들어 허브(31)는 상이한 발광 색에 대한 정보, 상이한 점멸 패턴에 대한 정보, 또는 발광색 및 점멸 패턴이 조합된 형태의 상이한 정보를 기기(11) 또는 주변 기기들(21~24)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31)에는 주변 기기들(21~24)의 개수 별 색 조합 테이블(431)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허브(31)는 색 조합 테이블(431)을 참조하여 감지된 주변 기기들(21~24) 개수와 관련된 색 조합을 결정하고,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별로 색(예를 들어, 상이한 색)이 매핑된 테이블(432)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4)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432)을 전자 기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31)로부터 발광색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부여 받으면, 주변 기기(21~24)들은 부여 받은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으로 발광부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는 주변 기기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주변 기기와 착탈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주변 기기와 착탈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주변 기기와 발광부의 제조사 또는 판매자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패키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라 함은, 일체형으로 발광부를 구비한 주변 기기뿐만 아니라, 착탈형으로 발광부를 구비한 주변 기기까지 포함하여 통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4)에서 발광되는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의 차이에 따라 주변 기기 각각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440).
구체적으로, 도 441과 같이, 전자 기기(11)는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제어 기기(41)의 위치를 고려하여 전자 기기(11) 주변에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의 발광색을 인식한 결과로서, 도 442와 같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4)을 나타내는 대표 정보(예로,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예로, 터치 또는 터치 드래그 등)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4)을 그룹핑하거나, 또는 주변 기기들(21~24)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는 결정된 보정 값을 주변 기기들(21~24)로 전송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출력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1)가 결정된 보정 값을 허브(31)로 전송하면 허브(31)가 주변 기기들(21~24)로 전송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출력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보정 값은, 대표 정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대표 정보의 위치 좌표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51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을 통하여 발광색으로 구분된 주변 기기들(21,22)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청취자(511)의 (0,0) 좌표를 기준으로, 제1 대표 정보(511)은 좌표 (-2,2)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대표 정보(512)은 (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주변 기기들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1-2)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5의 520과 같이, 제1 대표 정보(21-1)는 (-2,0)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대표 정보(21-1)가 이동되면, 제어부(190)는 최초의 제1 대표 정보(21-1)의 위치와 이동된 제1 대표 정보(21-1)의 위치 간에 거리의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 결과에 따라, 제어부(190)는 차이 값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들에서 출력될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 딜레이(delay) 시간(또는, 위상(phase)의 크기)과 같은 출력 파라미터의 보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21)에 대응하는 대표 정보의 위치가 청취자의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는 증가하고, 딜레이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에 대응하는 대표 정보의 위치가 청취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는 감소하고, 딜레이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들이 복수 개라면 출력 파라미터의 보정 값은 주변 기기들의 출력 데이터들 간의 결합에 따른 출력 데이터의 집중점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을 통하여 발광색으로 구분된 주변 기기들(21,22)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청취자(511)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청취자(511)의 위치와 대표 정보들(21-1,21-2)의 위치 간에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에서 출력될 출력 파라미터의 보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대표 정보들(21-1,21-2)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2)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주변 기기 설정 화면 상에 대표 정보들(21-1,21-2)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4에서,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4) 각각을 설정한 정보를 기초로 프리셋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50). 프리셋 정보는, 예로, 사용자 별, 설정 시간 별 또는 설정 장소 별로 주변 기기들 설정한 정보들을 미리 결정된 포맷으로 생성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생성된 프리셋 정보는 전자 기기(11) 또는 전자 기기(11)와 연결된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프리셋 정보를 제3 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460). 프리셋 정보는 제3 자에게 일대일로 제공되거나 또는 블로그 등을 제공하는 서버에 업로드되어 다수의 제3 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들(21~2N)에게 발광색을 부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의 610을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들(21~23)로부터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주변 기기들(21~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허브(31)로부터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 및 주변 기기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예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 및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저장부(150)에 주변 기기들(21~23) 별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도 6의 620과 같이, 저장부(150)에 저장된 개수 별 색 조합 테이블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 별 색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 별 색 조합은, 특정 색들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색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들(21~22)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붉은색과 파란색으로 구성된 색 조합(621) 또는, 붉은색과 노란 색으로 구성된 색 조합(622)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주변 기기들(21~23)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붉은색, 파란색, 녹색으로 구성된 색 조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으로 구성된 색 조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주변 기기들(21~23)에 매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색 조합들이 결정되면, 도 6의 630과 같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631)을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3) 별로 색들이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632,633,634)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의 감지부(180)는 추천 받은 적어도 하나의 조합들(632,633,634) 중에서 하나(63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주변 기기 설정 화면(631)은 주변 기기 설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행된 화면일 수도 있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부로 구현되어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주변 기기들(21~23) 별로 매핑되는 하나의 색의 조합(633)을 선택함에 따라, 도 6의 640과 같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641)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들(21~23) 각각에 매핑된 색이 부여되도록 매핑된 색과 관련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의 710을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2)의 개수 및 주변 기기들(21,22)의 식별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2)의 색을 결정하기 위한 주변 기기 설정 화면(711)을 통하여 주변 기기들(21,22)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주변 기기(21)의 식별 정보(712)가 선택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80)는 일 주변 기기(21)에 매핑할 색(71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주변 기기(21)에 매핑할 색이 선택됨에 따라,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일 주변 기기(21)로 매핑된 색과 관련된 색 정보를 전달하고, 일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일 주변 기기(21)에 색이 매핑되면 사용자는 다른 일 주변 기기(22)에 매핑할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720과 같이, 다른 일 주변 기기(22)의 식별 정보(714)가 선택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80)는 다른 일 주변 기기(22)에 매핑할 색(715)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주변 기기(22)에 매핑할 색이 선택됨에 따라,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다른 일 주변 기기(22)로 매핑된 색과 관련된 색 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일 주변 기기(22)의 발광부는 수신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을 참조하면, 허브(31)에는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811)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색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로, 전자 기기(11)로부터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을 획득하거나, 허브(31)에 기 저장된 색 조합 중에서 일 조합을 임의로 선택하거나, 또는 허브(31)와 주변 기기들(21~23)과의 관계(예로, 거리, 연결 순서 등)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브(31)는 주변 기기들 각각으로 매핑된 색과 관련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허브(31)는 전자 기기(11)로 주변 기기들(21~23) 별 식별 정보 및 색 정보를 전송하여, 주변 기기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전자 기기(11)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브(31)가 주변 기기들(21~23) 별 식별 정보 및 색 정보를 관리함에 따라 허브(31)에 접근하는 전자 기기들(11,12)은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동일한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1)는 허브(31)로부터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 전술된 것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들에 매핑할 발광색들을 결정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901)은 전자 기기(11)의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들(21~23)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전자 기기들(11,12)이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901)을 각각 관리하는 경우,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연결된 전자 기기들(11,12)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의 외부에 외치한 서버(51)에 주변 기기들(21~23)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1001)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1) 또는 허브(31)는 서버(51)에 연결하여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 또는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3)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버(51)에 연결되는 다른 전자 기기(21)도 전자 기기(11) 또는 허브(31)와 동일한 발광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의 외부에 외치한 서버(51)에 주변 기기들(21~27)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1101)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서버(51)에는 주변 기기들(21~27) 별 색 정보가 사용자 계정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 기기(11) 또는 허브(31)가 일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면, 전자 기기(11) 또는 허브(31)가 일 사용자에게 할당된 주변 기기들(21~23) 별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의 통신부(140) 또는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3)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1~23)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다른 전자 기기(12)가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된 주변 기기들(24~25) 별 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전자 기기(12)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들(24~25)로 색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기기들(24~25)의 발광부는 수신한 색 정보에 기초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들(11,12) 및 허브(31)가 사용자 계정 별로 주변 기기들 별 색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5)이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를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4)이 개봉되어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1210). 이 경우, 허브(31)는 근거리 통신 방식(예로, Wi-Fi)을 이용하여 일정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주변 기기들(21~24)과 통신하여 연결될 수 있다(1220). 다음으로, 허브(31)는 상기 네트워크 내의 주변 기기들(21~24)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1230). 주변 기기의 개수가 1개 이상인 경우, 허브(31)는 색 조합 테이블(1241)에서 주변 기기들(21~24) 개수와 관련된 색 조합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색을 결정할 수 있다(1240). 그리고, 허브(31)는 주변 기기들(21~24) 각각으로 결정된 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일정 네트워크 범위 내에 주변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허브(31)는 주변 기기의 검색을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시도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들(21~2N)의 발광부가 발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1310과 같이, 주변 기기(21)의 발광부가 오프된 상황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13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80)는 주변 기기(21)를 인식하기 위하여 주변 기기 설정 화면(1311)에 카메라 아이콘(1312)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13의 1320과 같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21) 또는 허브(미도시)로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온하는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주변 기기(21)는 발광부를 온하여 매핑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영상 획득부(11)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21)의 발광부가 촬영되는 상태는, 전자 기기(11)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프리뷰(preview) 영상을 디스플레이 중인 상태, 발광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임시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상태 또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압축하여 저장부(150)에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의 대한 영상 데이터 획득되거나, 제어부(190)가 주변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21)로 발광부를 오프하는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의 1330과 같이,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주변 기기(21)는 발광부를 오프할 수 있다.
그 밖에, 주변 기기(11)의 발광부가 온 되는 경우로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11)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자 기기(11) 또는 허브(31)가 주변 기기(21)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사용자가 주변 기기(21)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하여 발광부를 직접 온 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N)은 발광색 또는 점멸 패턴에 따라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는 색의 개수가 제한적인 상태에서, 댁 내에 설치된 주변 기기들(21~2N)이 일정 개수(예로, 8개) 이상인 경우, 주변 기기들(21~2N)은 발광색뿐만 아니라 점멸 패턴까지 고려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4)은, 예로,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 주변 기기들(21~24)의 모델명, 주변 기기들(21~24)의 크기, 주변 기기들(21~24)의 이미지 등을 고려하여 서로 그룹핑될 수 있다. 도 14에서, 주변 기기들(21~24)은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를 고려하여 ‘영역 A’ 및 ‘영역 B’로 구분될 수 있다. 예로, 거실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2)은 ‘영역 A’, 안방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3~24)은 ‘영역 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4)은 동일한 발광색을 매핑할 수 있다. 예로, ‘영역 A’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2)은 붉은색으로, ‘영역 B’에 위치한 주변 기기(22~23)들은 파란색으로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발광색을 가지는 같은 영역 내에 주변 기기들(21~24)은 1초 주기 내에서‘0’과 ‘1’의 시간으로 정의된 점멸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0’은 짧게 점멸하는 시간인 약 100ms이고, ‘1’은 길게 점멸하는 시간인 약 400ms 가 될 수 있다.
도 14의 1410에서, ‘영역 A’에 주변 기기(21)의 점멸 패턴은 1초 주기마다 ‘1001’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주변 기기(21)는 400ms 간격으로 점멸 후, 100ms 간격으로 두 번 점멸하고, 다시 400ms 간격으로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22)의 점멸 패턴은 1초 주기마다 ‘0101’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주변 기기(22)는 100ms 간격으로 점멸 후, 400ms 간격으로 점멸하고, 100ms 간격으로 점멸 후, 다시 400ms 간격으로 점멸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14의 1420에‘영역 B’의 주변 기기들(23,24)도 미리 설정된 점멸 패턴에 따라 점멸할 수 있다.
도 14의 1430은, 발광부가 발광할 수 있는 색이 2개로 제한적인 경우, 주변 기기들(21~26)을 구별할 수 있는 점멸 패턴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예로, 도 1431에서, 주변 기기들(21,22)의 개수가 2개인 경우, 주변 기기(21)는 붉은색을 발광하며, ‘1001’의 점멸 패턴을 갖고, 주변 기기(22)는 녹색을 발광하며, ‘1001의 점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432에서, 주변 기기들(21,22,23)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주변 기기(21)는 붉은색을 발광하며, ‘1001’의 점멸 패턴을 갖고, 주변 기기(22)는 녹색을 발광하며, ‘1001의 점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23)는 붉은색을 발광하며, ‘1101’의 점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433에서, 주변 기기들(21,22,23,24)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주변 기기(21)는 붉은색을 발광하며, ‘1110’의 점멸 패턴을 갖고, 주변 기기(22)는 녹색을 발광하며, ‘1110’의 점멸 패턴을 가지며, 주변 기기(23)는 붉은 색을 발광하며, ‘0011’의 점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24)는 녹색을 발광하며, ‘0101’의 점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1434 및 도 1435에서도, 주변 기기들의 점멸 패턴에 따라 주변 기기들이 각각 구별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기기가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촬영함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의 영상 획득부(110)를 통하여 획득된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프리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프리뷰 영상은 임시로 전자 기기(11)의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프리뷰 영상에서 발광부의 점멸에 따라 다른 영역과 구별되어 빠르게 가변하는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을 주변 기기(11)의 발광부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발광부 영역의 대표색을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결정된 발광색을 전자 기기(11)의 복수의 주변 기기들의 식별 정보 별로 색이 매핑된 테이블(1501)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주변 기기(21)를 인식함에 따라, 주변 기기(21)가 인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50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0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 또는 주변 기기(21)와 연결된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이 전송되기 전에, 패스워드 입력, 주변 기기(21)를 재확인하는 과정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6의 16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촬영함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촬영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1611)가 미리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6의 162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8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발광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예로, 발광부 영역(1622)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 영역(1622)을 터치하도록 사용자에게 가이드하는 알림 정보(1621)가 미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발광부 영역에서 대표색을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제어부(190)는 발광부 영역(1622)의 픽셀의 약 80%가 붉은 색 계열인 경우, 대표색으로 붉은 색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대표색을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에 대하여 매핑된 색 정보와 비교하여 촬영된 주변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90)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주변 기기(21)를 인식함에 따라, 도 16의 1630과 같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가 인식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163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 또는 주변 기기(21)와 연결된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이 전송되기 전에, 패스워드 입력, 주변 기기(21)를 재확인하는 과정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일 예에 따르면, 제어 기기(41)(예로, 디지털 TV)의 위치를 고려하여 촬영된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예로, 도 17의 17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기기(41)를 바라보는 시청 위치(1731)의 전방을 촬영함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제어 기기(41)의 일 방향(예로, 전방)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2)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1712)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촬영 위치를 가이드 하는 알림 정보(171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172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기기(41)를 등지는 시청 위치(1731)의 후방을 촬영함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제어 기기(41)의 일 방향(예로, 후방)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3~24)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1722)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촬영 위치를 가이드 하는 알림 정보(172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획득된 영상 데이터들(1712,1722)로부터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및 제어 기기(41)를 기준으로 주변 기기들(21~24)의 상대적인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및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들(21~24)(예로, 스피커들) 각각에 대하여 채널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173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 중 시청 위치(1731)의 전방으로 가장 왼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1)의 대표 정보(21-1)에는 ‘Front Lef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전방으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2)의 대표 정보(22-1)에는 ‘Front Righ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후방으로 가장 왼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4)의 대표 정보(24-1)에는 ‘Rear Righ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후방으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3)의 대표 정보(23-1)에는 ‘Rear Left’ 채널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기기(41)와 주변 기기들(21~24) 간에 거리 또는 방위 각도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의 위치가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향성 통신 기술 또는 실내 측위 기술(예로, 60GHz 지향성 안테나 기술, BLE 기술 등)등이 더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는 예는, 도 19 및 도 20에서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어 기기(41)의 근처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를 파노라마 촬영할 수 있다. 파노라마 촬영은, 영상 획득부(130)를 일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연속하여 움직여서 넓은 범위의 장면을 촬영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1810 내지 도 18의 1830을 참조하면, 파노라마 촬영을 위하여 사용자가 제어 기기(41)를 기준으로 영상 획득부(110)를 일 방향으로 연속하여 움직임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주변 기기들(21~24)이 순차적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1811)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 데이터(1811)로부터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로부터 발광하는 발광색들을 결정하고, 발광색들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및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변 기기들(21~24)이 식별될 때마다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이 식별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들(1821,1831)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및 주변 기기들(21~24)의 위치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들(21~24) 각각에 대하여 채널 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1840과 같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 중 시청 위치(1841)의 전방으로 가장 왼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1)의 대표 정보(21-1)에는 ‘Front Lef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전방으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2)의 대표 정보(22-1)에는 ‘Front Righ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후방으로 가장 왼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4)의 대표 정보(24-1)에는 ‘Rear Right’ 채널, 시청 위치(1731)의 후방으로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주변 기기(23)의 대표 정보(23-1)에는 ‘Rear Left’ 채널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9의 191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지향성 통신 기술(예로, 60GHz 지향성 안테나 모듈, 초음파 기술, IR(Infrared) 등)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의 설정이 요청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전자 기기(11)의 주변으로 지향성 신호를 여러 각도로 임의로 또는 순서대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지향성 신호를 수신 받은 주변 기기들(21~24)로부터 응답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응답 신호 및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기초하여, 전자 기기(11) 및 제어 기기(41) 간에 방위 각도를 고려한 영상 데이터(1911)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방위 각도가 고려된 영상 데이터(1911)를 기초로, 예로, 45도 근처에서 인식된 주변 기기(22)는 ‘Front Right’ 채널, 160도 근처에서 인식된 주변 기기(23)는 ‘Rear Right’채널, 240도 근처에서 인식된 주변 기기(24)는 ‘Right Left’ 채널, 320도 근처에서 인식된 주변 기기는 ‘Front Left’ 채널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도 19의 1920을 참조하면, 제어 기기(41)가 지향성 통신 기술(예로, 60GHz 지향성 안테나 모듈, 초음파 기술, IR(Infrared) 등)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의 설정이 요청되면, 제어 기기(41)는 제어 기기(41)의 주변으로 지향성 신호를 여러 각도로 임의로 또는 순서대로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 기기(41)는 지향성 신호를 수신 받은 주변 기기들(21~24)로부터 응답 신호를 획득하고, 방위 각도 별로 구분된 응답 신호를 전자 기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1)가 지향성 신호를 수신 받은 주변 기기들(21~24)로부터 응답 신호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방위 각도 별로 구분된 응답 신호 및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의 기초하여 주변 기기들(21~24) 각각에 채널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실내 측위 기술(예로, BLE 기술 등)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들(21~24)의 설정이 요청되면, 전자 기기(11)의 통신부(140)는 주변 기기들(21~24)로부터 비콘 신호(예로, BLE Beacon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24)들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의 강도 및 비콘 신호에 포함된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11)와 주변 기기들(21~24) 간에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도 20의 2001과 같이, 비콘 신호의 강도에 따른 예측 거리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 값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와 주변 기기들(21~24) 간에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주변 기기들(11)의 통신부가 지향성 통신 기술 또는 실내 측위 기술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들(21~24)의 설정이 요청되면, 주변 기기들(11)의 통신부가 전자 기기(11) 또는 제어 기기(41)와 주변 기기들(21~24) 간에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값을 전자 기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주변 기기들(21~2N)을 확인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211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발광색이 매핑된 주변 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1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 목록에 포함된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예로, 주변 기기 정보가 포함된 필드,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2111-1)는 발광색과 관련된 색(예로, 발광색 또는 발광색의 유사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주변 기기 목록에서 일 주변 기기(21)의 대표 정보(2111-1)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대표 정보(2111-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일 주변 기기(21) 또는 일 주변 기기(21)와 통신 가능한 허브(31)로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예로, 발광부를 점멸하는 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는 매핑된 발광색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주변 기기(21)에 발광색과 함께 점멸 패턴이 함께 매핑된 경우,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는 점멸 패턴에 따라 매핑된 발광색을 발광할 수 있다.
또는, 도 21의 212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발광색이 매핑된 주변 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1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입력부(예로, LED 점멸 버튼)(21-1)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가 선택되면, 주변 기기(21)는 전자 기기(11)로 주변 기기의 발광부가 점멸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 목록에서 사용자 입력부가 선택된 주변 기기(21)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2121-1)(예로, 주변 기기 정보가 포함된 필드,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가 발광색과 관련된 색(예로, 발광색 또는 발광색의 유사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21)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2121-1)는 발광색으로 점멸하며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또는, 주변 기기(21)의 대표 정보(2121-1)와 주변 기기(21)의 발광부가 동시에 점멸하면서 발광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옮겨서 주변 기기를 조작하거나, 주변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변경되거나 혹은 오랜 기간 경과 후 주변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연결 대상이 되는 주변 기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 중인 전자 기기에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정보와 주변 기기가 동시에 같은 색 또는 같은 점멸 패턴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연결 대상이 되는 주변 기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2의 221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컨텐츠 재생 화면(22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재생 화면에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하는 주변 기기에 관한 정보(2211-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부(140)는 주변 기기 설정 UI 엘리먼트(221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2a의 222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2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기기 설정 화면(2221)을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주변 기기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주변 기기 설정 화면(2221)에는 컨텐츠를 재생 중인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예로, 주변 기기의 이미지)이 좌표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절대적인 위치가 아닌 주변 기기들(21~24) 간에 상대적인 위치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주변 기기들(21~24) 간에 전/후/좌/우와 같은 상대적인 방향이 고려되어 각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도 22의 2220에서는, 주변 기기들(21~24)이 두 개씩 그룹화되어, 2개 채널의 스피커로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같은 그룹 내의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는 동일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주변 기기 설정 화면(2221)에는 주변 기기들(21~24)의 설정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주변 기기 설정 화면(2221) 상에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 각각의 위치는 주변 기기들(21~24)의 실제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 주위에 동심원의 개수 또는 크기는 주변 기기들(21~24)(예로, 스피커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40)는 주변 기기들(21~24)의 대표 정보들(21-1~24-1)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21)의 대표 정보(21-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2의 223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선택된 대표 정보(21-1)에 대응하는 주변 기기(21)를 설정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들(2231-1,2231-2)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들(2231-1,2231-2)은, 예로, 대표 정보(21-1)를 터치 드래그하거나 또는, 대표 정보(21-1)를 대상으로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제스처를 수행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대표 정보(21-1)를 터치 드래그하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의 실제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사용자가 느끼도록 주변 기기(21)의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표 정보(21-1)를 대상으로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제스처를 수행하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의 음향의 볼륨의 크기를 변경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의 2310을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예로, 주변 기기의 이미지)가 좌표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들(23,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3-1,24-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들(23-1~24-1)을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은 대표 정보들(23-1,24-1) 모두를 대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3의 232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그룹화된 대표 정보(21-1)와 대표 정보(23-1)가 분리되도록, 대표 정보(23-1)의 위치가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그룹화된 대표 정보(22-1)와 대표 정보(24-1)가 분리되도록, 대표 정보(24-1)의 위치가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룹화된 대표 정보들(21-1~24-1)이 각각 분리됨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4)은 4개 채널의 스피커로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며, 주변 기기들(21~2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 음향 대역 또는 음향의 출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들(21-1~22-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로,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들(21-1~22-1)을 터치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은, 대표 정보들(21-1~22-1) 모두를 대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3의 233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대표 정보들(21-1~22-1)의 위치를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된 위치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들(21~2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 음향 대역 또는 음향의 출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기기 설정 화면(231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주변 기기의 설정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을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과 함께 주변 기기들(21~24)의 사운드가 실시간으로 바뀌도록 렌더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24의 2410을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예로, 주변 기기의 이미지)가 좌표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들(22,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2-1,24-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22-1) 및 대표 정보(24-1)가 기기가 서로 닿도록 멀티 터치 드래그를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거나, 또는 대표 정보(22-1)를 대표 정보(24-1)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를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4의 2420과 같이, 제어부(190)는 대표 정보(22-1) 및 대표 정보(24-1)가 그룹화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4)은 3개 채널의 스피커로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화된 주변 기기들(22,24)은 동일한 발광색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설정 값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5의 2510을 참조하면,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예로, 주변 기기의 이미지)가 좌표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22-1) 주위의 동심원을 대상으로 핀치 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동심원의 크기는 주변 기기(2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로, 동심원의 크기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
도 25의 2520에서, 핀치 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대표 정보(22-1) 주위의 동심원의 크기가 줄어들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동심원의 크기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2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보정 값이 주변 기기(22)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의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23-1) 주위의 동심원을 대상으로 핀치 아웃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5의 2530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대표 정보(23-1) 주위의 동심원의 크기가 커져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동심원의 크기를 고려하여 주변 기기(2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가 커지도록 설정하는 보정 값이 주변 기기(23)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511)에서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을 대상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음향의 볼륨의 크기를 직관적이고,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볼륨의 크기에 따라 동심원과 같은 그래픽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달라짐으로써, 사용자는 주변 기기들(21~24)의 음향의 볼륨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6의 261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색 조합 테이블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들(21~24)의 식별 정보 별로 발광색을 매핑하는 컬러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2601). 컬러 코딩 작업의 수행 결과로서, 도 26의 2620과 같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6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2603). 이 때, 주변 기기 설정 화면(2621)에는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과 주변 기기들(21~24)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의 색이 동일 또는 유사한 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40)는 대표 정보들(21-1~24-1)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또는 청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605).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6의 2630과 같이, 제어부(19)는 대표 정보(21-1)의 위치 및 청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 중 적어도 하나의 볼륨의 크기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607). 볼륨의 크기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은, 예로, 주변 기기(21)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 또는 대표 정보들(21-1) 주위의 동심원을 확대하는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4)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609). 예로, 제어부(190)는 감지부(140)를 통하여 주변 기기들(21)의 설정을 완료하는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주변 기기들(21~24)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완료된 경우(S2609-Y),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21) 또는 허브(31)로 주변 기기(21)의 출력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주변 기기(21)는 수신된 보정 값에 응답하여, 주변 기기(21) 자신의 출력 데이터가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611). 그리고, 주변 기기(21)는 발광부의 발광을 오프할 수 있다(S2613). 반면에, 사용자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2609-N),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주변 기기 설정 화면(2621)에서 대표 정보(21-1)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을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주변 기기들(21)의 설정이 완료되기 전에, 제어부(19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주변 기기들(21~24)의 출력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 또는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기기들(21~24)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렌더링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2615).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7의 2710에서,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7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 목록은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로, 제1 그룹(2711-1)은 제1 주변 기기(21) 및 제2 주변 기기(22)를 포함하고, 제2 그룹(2711-2)은 제3 주변 기기(23) 및 제4 주변 기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일한 그룹 내의 주변 기기들(21~24)은 동일한 출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는 동일한 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기기들(21~24)이 그룹화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멀티 룸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멀티 룸 모드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그룹화된 주변 기기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감지부(140)는 제1 그룹(2711-1)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도 27의 2720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들(21,22)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2 그룹(2711-2)과 관련된 필드는 아래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8의 2810에서,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된 주변 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81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제1 그룹(2811-1)은 제1 주변 기기(21), 제2 주변 기기(22) 및 제3 주변 기기(23)를 포함하고, 제2 그룹(2811-2)은 제4 주변 기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일한 그룹 내의 주변 기기들(21~24)은 동일한 출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들(21~24)의 발광부는 동일한 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8의 2820에서,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된 주변 기기 목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2821)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 제1 그룹(2821-1)은 제1 주변 기기(21) 및 제2 주변 기기(22)를 포함하고, 제2 그룹(2821-2)은 제3 주변 기기(23)를 포함하고, 제3 그룹(2821-3)은 제4 주변 기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들(21~22)의 발광부는 제1 색(예로, 붉은색)을 발광하고, 제2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23)의 발광부는 제2 색(예로, 녹색)을 발광하고, 제3 그룹에 포함된 주변 기기(24)의 발광부는 제3 색(예로, 노란색)을 발광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를 설정한 정보를 프리셋(preset)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프리셋(2901)은 미리 결정된 테이블, 연결 리스트 또는 스택 포맷 등 다양한 데이터 구조로 주변 기기를 설정한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를 설정한 이력에 기초하여 프리셋(2901)을 구성할 수 있다. 프리셋(2901)에 포함되는 주변 기기 설정 정보는, 예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설정한 장소명,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 주변 기기들 간의 관계 정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를 통하여 출력한 컨텐츠(예로, 최근에 출력한 컨텐츠) 정보, 출력 컨텐츠의 이퀄라이져(equalizer) 모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서 최근 출력된 음향의 볼륨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 할당된 채널 정보 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 프리셋들은, 사용자 별, 설정 시간 별 또는 설정 장소 별(예로, 거실(2911), 침실(2912), 부엌(2913) 등)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주변 기기 설정 정보들을 포함하는 프리셋은 서버(51)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들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1)와 서버(51)가 동기화되어, 서버(51)에 저장된 프리셋의 주변 기기 설정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자가 프리셋을 획득한 경우,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별도의 UI 엘리먼트로 제3 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자가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면, 제3 자의 전자 기기(11)는 UI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주변 기기 설정 값에 기초하여, 제3 자의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의 출력 데이터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정보, 이퀄라이져 모드, 음향의 볼륨 정보가 UI 엘리먼트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UI 엘리먼트를 선택하면, 제3 자의 전자 기기(11)는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 중 채널 정보, 이퀄라이져 모드, 음향의 볼륨 정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주변 기기들(21~2N)의 출력 데이터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프리셋이 다수 개인 경우, 제어부(190)는 프리셋들이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셋이 정렬되는 기준은, 예로, 최근 사용한 시간, 장소명의 알파벳 순서 또는 사용자의 즐겨 찾기 등록 여부를 고려하여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한 정보들이 프리셋 형태로 서버(51) 또는 저장부(150)에서 유지(maintain)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존에 주변 기기들(21~2N)를 통하여 얻은 경험을 다시 느끼고 싶으면, 사용자는 저장된 프리셋을 호출함으로써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정보 값으로 주변 기기를 쉽게 재설정할 수 있다.
도 3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셋으로 저장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를 제3 자에게 공유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 또는 서버(51)는 주변 기기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3001,3002)을 제 3자의 전자 기기(12)로 공유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셋은 특정 사용자가 설정한 프리셋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주변 기기들(21~2N), 허브(31) 또는 제어 기기(41)를 제공하는 제조사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설정 정보와 제조사의 설정 정보가 결합된 프리셋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12)는 공유 받은 프리셋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 설정 정보들이 포함된 프리셋 목록(30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프리셋을 설명하는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리셋 목록(3003)을 통하여 제공되는 주변 기기 설정 정보는, 예로, 프리셋을 설정한 장소명, 프리셋을 설정 시에 주변 기기들(21~2N)에서 출력된 컨텐츠 종류/컨텐츠 속성/컨텐츠 장르, 주변 기기의 배치 또는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 설정 정보는 최초에 프리셋을 설정한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요청에 따라 일부가 재설정되도록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한편, 프리셋을 제공하는 사용자 또는 프리셋을 공유 받은 제3 자는 프리셋에 대한 리뷰(예로, 별 점수, 코멘트 등)를 주변 기기 설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버(51)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등을 통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셋 목록(3003)에는 프리셋에 대한 리뷰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프리셋을 공유 받는 제3 자는 원하는 프리셋을 검색할 수도 있다. 예로, 제3 자는 주변 기기들(21~2N)의 식별 정보, 주변 기기들(21~2N)이 설치된 장소명, 주변 기기의 개수, 시청 모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프리셋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프리셋을 자동으로 추천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자가 주변 기기들(21~2N)을 최초 연결하거나,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장소를 이동하거나, 주변 기기들(21~2N)을 이용하는 특정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특정 시간 또는 특정 날씨에 주변 기기들(21~2N)을 연결하거나, 주변 기기들(21~2N)의 개수를 추가 또는 제거하거나, 주변 기기들(21~2N)의 위치를 서로 변경하는 경우, 제3 자는 현재 주변 기기들(21~2N)를 이용하는 상황에 맞는 프리셋을 자동으로 추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3 자가 검색한 프리셋 또는 추천 받은 프리셋에 따라 주변 기기들(21~2N)의 설정을 요청하는 경우, 주변 기기들(21~2N)의 출력 값은 제3 자가 요청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으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컨텐츠 또는 특정 장소에 적합하도록 주변 기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제조사가 제공한 주변 기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주변 기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주변 기기들의 대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N)의 발광부가 발광할 색을 매핑하고, 매핑한 결과로써 주변 기기들(21~2N)의 대표 정보들(21-1~2N-1)이 도 31a 내지 도 31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주변 기기들(21~2N)의 대표 정보들(21-1~2N-1)이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입력(예로, 터치 드래그 등)에 응답하여, 이동된 주변 기기들(21~2N)의 대표 정보들(21-1~2N-1)이 도 31a 내지 도 31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1a의 311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21-1)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21)가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단일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단일 채널의 포터블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a의 312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2)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스테레오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a의 313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4)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네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서라운드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b 314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4)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 화면이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네 개의 스피커가 두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 스택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b의 315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4)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네 개의 스피커들이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한 ‘Front 4ch”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때,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가로 모드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b의 316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복수의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3111,3112,3113)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4-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4)이 주변 기기가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대상으로 스피커들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공된 멀티룸 모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을 대상으로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하는 스테레오 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룸 모드는 스피커들의 개수가 제한적일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청취가 가능하도록 가상의 룸을 제공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c의 317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3-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3)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세 개의 스피커들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입체적으로 배치된 ‘3.1ch’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c의 318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5-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5)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다섯 개의 스피커들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입체적으로 배치된 ‘5.1ch’ 모드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1의 3190에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3111)와 주변 기기를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21-1~26-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주변 기기들(21~26)이 스피커인 경우, 주변 기기 설정이 적용된 모드는 일곱 개의 스피커들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입체적으로 배치된 ‘7.1ch’ 모드가 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예로, 도 31a 내지 도 31c의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 스피커들의 일부가 추가 또는 감소되거나, 스피커들의 조합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주변 기기들 간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변경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2 내지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32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스마트폰, 제어 기기(41)로서 디지털 TV, 주변 기기(21)로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2의 3210은, 스마트폰과 디지털 TV를 연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지털 TV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2의 3220은, 스마트폰과 연결된 스피커로부터 피드백을 받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서 스피커의 대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2의 3230은, 스마트폰과 주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3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웨어러블(wearable) 와치(watch) 기기, 제어 기기(41)로서 랩탑 PC, 주변 기기(21)로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3의 3310은,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랩탑 PC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와치 기기와 랩탑 PC가 연결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3의 3320은, 웨어러블 와치 기기와 연결된 스피커로부터 피드백을 받기 위하여, 웨어러블 와치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설정 화면에서 스피커의 대표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3의 3330은,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와치 기기와 스피커와 연결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 시예로, 도 34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웨어러블(wearable) 글래스(glass) 기기, 제어 기기(41)로서 디지털 TV, 주변 기기(21)로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4의 3410은,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랩탑 PC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와 랩탑 PC가 연결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4의 3420은,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와 연결된 스피커로부터 피드백을 받기 위하여,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를 통하여 스피커를 응시하는 경우,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에 스피커에 대한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4의 3430은,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와 스피커와 연결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5a 및 도 35b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스마트폰, 제어 기기(41)로서 디지털 TV, 주변 기기들(21~2N)로서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5a의 3510은, 스마트폰과 스피커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피커들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5a의 3520은, 인식된 스피커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5b의 3530 및 3540은 스마트폰과 스피커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스피커들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5b의 3550은, 인식된 스피커들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6a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웨어러블 와치 기기 및, 주변 기기(21~2N)로서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6a의 3610은,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키퍼들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와치 기기와 스피커들이 연결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6a의 3620은, 인식된 스피커들의 목록을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6b의 3630 및 3640은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키퍼들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웨어러블 와치 기기와 스피커들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6b의 3650은, 인식된 스피커들을 대표하는 대표 정보들을 웨어러블 와치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7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로서 웨어러블(wearable) 글래스(glass) 기기 및, 주변 기기(21~2N)로서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7의 3710은,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피커들의 발광부가 촬영되어 복수의 스피커들이 인식되면, 인식된 스피커들을 그룹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7의 3720은,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스피커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면 환경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a 및 도 3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으로 프리셋을 적용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38a의 3810 및 3820은 사용자가 서버(51)에 로그인 시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프리셋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프리셋 목록에 포함된 프리셋들 각각에는 공간 정보, 컨텐츠 정보, 주변 기기의 배치 정보(예로, 주변 기기의 개수, 주변 기기의 위치, 주변 기기의 조합 등) 등과 같은 주변 기기 설정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8b의 3830은, 사용자가 프리셋 목록에서 일 프리셋에 포함된 공간 정보와 관련된 UI 엘리먼트(3831)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 중 공간 정보와 관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8c의 3840은, 사용자가 제1 컨텐츠(3841)를 재생한 후 제2 컨텐츠(3842)를 재생하는 경우, 프리셋 목록에서 일 프리셋에 포함된 제2 컨텐츠(3842) 정보와 관련된 UI 엘리먼트(3843)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 중 제2 컨텐츠(3842) 정보와 관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8d의 3850은, 사용자가 제1 배치 형태(3851)로 배치된 주변 기기들(21~2N)을 제2 배치 형태로(3852)로 변경하는 경우, 프리셋 목록에서 일 프리셋에 포함된 제2 배치 형태(3852) 정보와 관련된 UI 엘리먼트(3853)를 선택하면, 선택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 중 제2 배치 형태(3852) 정보와 관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으로 프리셋을 적용하는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 예로, 도 39a의 3910은 사용자가 서버(51)에 로그인 시에 사용자의 적합한 프리셋을 추천하고, 추천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9a의 392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로, 지문, 혈압 등)을 획득하여 사용자를 식별한 후, 사용자의 적합한 프리셋을 추천하고, 추천한 프리셋에 포함된 주변 기기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11)의 주변의 주변 기기들(21~2N)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9b의 3930 및 3940은 사용자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을 감지하고, 프리셋 목록에서 이동된 공간에 적합한 프리셋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9c의 3950 및 3960은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특정 컨텐츠의 종류, 장르 또는 무드 등을 감지하고, 프리셋 목록에서 특정 컨텐츠에 적합한 프리셋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일 실시 예로, 도 39d의 3970 및 3980은 사용자가 주변 기기들(21~2N)의 배치 형태를 변경하는 경우, 프리셋 목록에서 변경된 주변 기기들(21~2N)의 배치 형태에 적합한 프리셋을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전자 기기(11)와 전자 기기(11)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기기들(21~2N)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와 주변 기기(21~2N) 간에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11)는 영상 획득부(110), 제어부(19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 제어부(190) 및 통신부(140)의 구성의 일 예는 상술한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주변 기기들(21~2N)는 발광부(4010), 제어부(4020) 및 통신부(403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010)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모듈로서, 일반적으로 다양한 색 종류를 가지는 있는 LED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들도 발광부(401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통신부(40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전자 기기(11), 허브(31) 또는 제어 기기(41)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403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20)는 주변 기기(21)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20)는 전자 기기(11)로부터 출력 데이터 보정 값을 획득하도록 통신부(4030)를 제어하고, 통신부(4030)로부터 획득된 출력 데이터 보정 값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21)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데이터의 출력 시간,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변 기기들(21~2N)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기기(21~2N)의 디스플레이부는 주변 기기(21~2N)의 동작 상태 또는 전자 기기(11)와의 연결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와 주변 기기(21~2N)가 연결된 경우, 주변 기기(21~2N)의 디스플레이부는 전자 기기(11)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기기(11)의 영상 획득부(110)는, 주변 기기들(21)의 발광부(4010)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의 제어부(190)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4010)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들(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1 및 도 4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101). 그리고, 전자 기기(11)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할 수 있다(S4103).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21)를 식별하기 위하여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5).
다른 실시 예로, 도 4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201).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21)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11)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21)의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할 수 있다(S4203).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주변 기기(21)를 식별하기 위하여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205). 특히,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21~2N)이 있는 경우, 전자 기기(11)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21~2N)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21~2N) 중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기기(110)는 식별된 주변 기기(21)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예로, 주변 기기(21)의 이미지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4207). 그리고, 대표 정보를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S4209). 다음으로, 전자 기기(11)는 결정된 보정 값을 주변 기기(21) 또는 주변 기기(21)와 통신 가능한 허브(31)로 전송할 수 있다(S4211).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주변 기기 식별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전자 기기(11)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기기 식별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의 일 예로서 전자 기기(11)의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4)

  1.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대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 및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제3 자에게 공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색 및 점멸 패턴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주변 기기에 매핑할 발광색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주변 기기와 연결된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로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가 식별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값은,
    상기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 및 딜레이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이미지,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명, 상기 주변 기기의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기기의 식별 방법.
  13.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신부;
    식별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된 주변 기기에 대응되는 대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보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 및 상기 결정된 보정 값을 제3 자에게 공유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주변 기기의 발광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별로 서로 다른 발광색이 각각 매핑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변 기기들 중 상기 결정된 발광색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하는 발광색 및 점멸 패턴에 매핑된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변 기기에 매핑할 발광색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주변 기기와 연결된 허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의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식별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한 허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가 식별된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값은,
    상기 주변 기기에서 출력되는 출력 데이터의 볼륨의 크기 및 딜레이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이미지,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명 및, 상기 주변 기기의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40160249A 2014-11-17 2014-11-17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Active KR10235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49A KR102354763B1 (ko) 2014-11-17 2014-11-17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US14/942,283 US10397643B2 (en) 2014-11-17 2015-11-16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CT/KR2015/012348 WO2016080733A1 (en) 2014-11-17 2015-11-17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23201582.6A EP4277286A3 (en) 2014-11-17 2015-11-17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01580062045.4A CN107113226B (zh) 2014-11-17 2015-11-17 用于识别周边设备的电子装置及其方法
EP15860515.4A EP3221768B1 (en) 2014-11-17 2015-11-17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peripher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49A KR102354763B1 (ko) 2014-11-17 2014-11-17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80A KR20160058580A (ko) 2016-05-25
KR102354763B1 true KR102354763B1 (ko) 2022-01-25

Family

ID=5596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249A Active KR102354763B1 (ko) 2014-11-17 2014-11-17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97643B2 (ko)
EP (2) EP4277286A3 (ko)
KR (1) KR102354763B1 (ko)
CN (1) CN107113226B (ko)
WO (1) WO2016080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TWI647608B (zh) 2014-07-21 2019-01-11 美商蘋果公司 遠端使用者介面
KR102511376B1 (ko) 2014-08-02 2023-03-17 애플 인크. 상황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WO201603660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WO2016144385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CN107921317B (zh) 2015-08-20 2021-07-06 苹果公司 基于运动的表盘和复杂功能块
US12175065B2 (en) 2016-06-10 2024-12-2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relocating one or more complications in a watch or clock interface
US10324683B2 (en) * 2016-12-27 2019-06-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ntrol for vehicle sound output
US10542052B2 (en) 2017-04-27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rea grouping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KR101863858B1 (ko) * 2017-06-26 2018-06-29 솔티드벤처 주식회사 신발, 사용자 단말 및 이들의 페어링 방법
JP2019191751A (ja) * 2018-04-20 2019-10-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周辺機器、通信システム、中央制御機器、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CN108961422B (zh) * 2018-06-27 2023-02-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三维模型的标记方法和装置
CN110265422B (zh) * 2018-07-10 2021-10-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信号传输的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9327524A (zh) * 2018-10-24 2019-02-12 珠海智加物联网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实物搜索方法及系统
JP6921338B2 (ja) * 2019-05-06 2021-08-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電子デバイスの制限された動作
US11960701B2 (en) 2019-05-06 2024-04-16 Apple Inc. Using an illustration to show the passing of time
US11131967B2 (en) 2019-05-06 2021-09-28 Apple Inc. Clock faces for an electronic device
CN115562613A (zh) 2019-05-31 2023-01-03 苹果公司 用于音频媒体控件的用户界面
US10996917B2 (en) 2019-05-3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DK201970533A1 (en) *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WO2021021460A1 (en) 2019-07-30 2021-02-0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daptable spatial audio playback
CN117499852A (zh) 2019-07-30 2024-02-02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管理在多个扬声器上回放多个音频流
US11968268B2 (en) 2019-07-30 2024-04-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ordination of audio devices
WO2021021752A1 (en) 2019-07-30 2021-02-0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ordination of audio devices
US10852905B1 (en) 2019-09-09 2020-12-0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197071B2 (en) * 2019-10-24 2021-12-07 Sling Media Pv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edia device communications configuration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202070624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526256B2 (en) 2020-05-11 2022-1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2182373B2 (en) 2021-04-27 2024-12-31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KR102376860B1 (ko) * 2021-05-21 2022-03-22 주식회사 코어시스템즈 지하철의 요금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19376677A (zh) 2021-06-06 2025-01-28 苹果公司 用于音频路由的用户界面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US20230236547A1 (en) 2022-01-24 2023-07-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time
US12386428B2 (en) 2022-05-17 2025-08-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device contro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3643A1 (en) * 2007-06-07 2008-12-11 Aruze Corp.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73767A1 (en) * 2011-01-04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40056172A1 (en) * 2012-08-24 2014-02-27 Qualcomm Incorporated Joining Communication Groups With Pattern Sequenced Light and/or Sound Signals as Data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684B1 (ko) * 2004-06-03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저장장치, 화상획득장치, 및 드라이버를 구동하는방법 및 시스템
JP2007006090A (ja) * 2005-06-23 2007-01-1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Idタグ認識装置およびidタグ認識方法
TWI297464B (en) * 2005-07-21 2008-06-01 Lightuning Tech Inc Wireless peripheral device having a sweep-type fingerprint sensing chip
US7558950B2 (en) * 2005-10-27 2009-07-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to be operable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automatic identification thereof and related devices
KR100811701B1 (ko) 2006-08-08 2008-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개의 전자 장치들의 통합 원격 지시장치
US9870123B1 (en) * 2008-04-18 2018-01-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US8976986B2 (en) 2009-09-21 2015-03-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lume adjustment based on listener position
JP2012104871A (ja) 2010-11-05 2012-05-31 Sony Corp 音響制御装置及び音響制御方法
KR101836876B1 (ko) 2011-03-02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324031A1 (en) 2012-05-31 2013-12-05 Nokia Corporation Dynamic allocation of audio channel for surround sound systems
JP5740361B2 (ja) * 2012-07-27 2015-06-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981685B1 (ko) * 2012-10-04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외부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989893B1 (ko) * 2012-10-29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EP2728772A1 (en) 2012-10-30 2014-05-07 MAR International Ap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3260059B (zh) * 2013-04-26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机顶盒设备、位置信息确定和信息发布的方法和设备
KR101632624B1 (ko) * 2014-07-16 201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검사장치 및 광원 검사방법과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발광모듈 및 조명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3643A1 (en) * 2007-06-07 2008-12-11 Aruze Corp.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executed in individual-identifying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73767A1 (en) * 2011-01-04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40056172A1 (en) * 2012-08-24 2014-02-27 Qualcomm Incorporated Joining Communication Groups With Pattern Sequenced Light and/or Sound Signals as Data Trans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7286A2 (en) 2023-11-15
CN107113226A (zh) 2017-08-29
EP3221768A4 (en) 2018-03-14
EP3221768A1 (en) 2017-09-27
WO2016080733A1 (en) 2016-05-26
EP4277286A3 (en) 2024-01-24
US20160142763A1 (en) 2016-05-19
KR20160058580A (ko) 2016-05-25
EP3221768B1 (en) 2023-11-08
US10397643B2 (en) 2019-08-27
CN107113226B (zh) 2021-04-02
EP3221768C0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763B1 (ko) 주변 기기를 식별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주변 기기 식별 방법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420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951253B2 (en)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105497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EP3243125B1 (en)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50256957A1 (en) User terminal device,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thereof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228046B1 (en)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947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102413074B1 (ko) 사용자 단말, 전자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US201601797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KR102351634B1 (ko)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US102350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067632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