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401B1 - System for trading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trading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9401B1 KR102349401B1 KR1020170123554A KR20170123554A KR102349401B1 KR 102349401 B1 KR102349401 B1 KR 102349401B1 KR 1020170123554 A KR1020170123554 A KR 1020170123554A KR 20170123554 A KR20170123554 A KR 20170123554A KR 102349401 B1 KR102349401 B1 KR 1023494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cy
- user
- blockchain
- block chain
- requ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사용자 정의 화폐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은, P2P(peer-to-peer)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를 기초로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기록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ding system that can safely trade user-defined currencies is provided.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peer-to-peer (P2P)-based blockchain network, and distributes and manages blockchain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connected in a chain form A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that record transaction data for a user-defined currency defined based on virtual currency using the block-chain data and the block-chain network work together to provide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It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체인 상의 가상 화폐에 기반하여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하여 안전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ransaction system that provides a secure transaction service for a user-defined currency defined based on virtual currency on a block chai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블록체인(blockchain)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특정 단위의 블록에 기록하고,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이 상기 블록을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 또는 상기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때,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된 블록체인 데이터는, 중앙 시스템 없이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형태로 운영된다.Blockchain is a data management technology in which continuously increasing data is recorded in a specific unit of block, and each node constituting a peer-to-peer (P2P) network manages the block as a chain-type data structure. Or, it means the data itself composed of the chain-type data structure. At this time, blockchain data composed of a chain-type data structure is operated in the form of a distributed ledger at each node without a central system.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료 구조로 블록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이 기록되며, 상기 해시 값을 통해 이전 블록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이 쌓일수록 블록 내에 기록된 거래 데이터의 위변조는 어려워지고, 각 블록에 기록된 거래 데이터의 신뢰도는 향상되게 된다.Each block chain node constituting the block chain network manages blocks in the data structure shown in FIG. 1 . Here, in each block, a hash value for the previous block is recorded, and the previous block can be referenced through the hash value. Accordingly, as blocks are accumulated,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the transaction data recorded in the block becomes difficult, and the reliability of the transaction data recorded in each block is improved.
현재, 상술한 블록체인 기술의 이점을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되고 유통되는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상 화폐 거래 시스템으로는 비트코인(bitcoin) 시스템을 들 수 있다.Currently, various systems have been proposed that provide transaction services for virtual currency issued and circulated through a block chain by using the 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block chain technology. A representative virtual currency trading system is the Bitcoin (bitcoin) system.
비트코인 시스템은 이중지불(double spending) 문제를 방지하고 안전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거래 별로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검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래 데이터(10)가 수신되면, 입력부(11)에 기록된 UTXO의 소유자 정보가 지급자와 일치하는지, 입력부(11)에 기록된 UTXO의 합이 출력부(13, 15)에 기록된 UTXO의 합보다 큰지 등에 대한 검증이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에서 수행된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거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받게 된다.The Bitcoin system performs UTXO (unspent transaction output) verification for each transaction to prevent double spending problems and provide secure transaction services. For example, when the
한편, 오픈 애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은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되는 가상 화폐의 유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파생 기술 중 하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 애셋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프로토콜 레이어(21)의 오버레이 레이어(23)에 위치하여,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되는 가상 화폐(또는 native asset)를 토대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정의 화폐(또는 custom asset)를 정의하고 발행하는 자산 발행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the open asset protoco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erivative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virtual currency traded through the block chain. As shown in FIG. 3 , the open asset protocol is located in the
상기 오픈 애셋 프로토콜이 비트코인 시스템에 적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코인 트랜잭션(30)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용자 정의 화폐(e.g. 포인트, 주식 등)를 거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n asset protocol is applied to the Bitcoin system, as shown in FIG. 4 , user-defined currency (e.g. points, stocks, etc.) can be traded using the Bitcoin
그러나, 오픈 애셋 프로토콜을 통해 정의되고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는 가상 화폐 위에 오버레이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UTXO 검증이 수행되더라도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안전한 거래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는 블록체인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UTXO 검증과 별도로 사용자 정의 화폐의 이중 지불 여부 등의 거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별도의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별도의 거래 검증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user-defined currency defined and issued through the open asset protocol is made in the form of an overlay on the virtual currency, even if UTXO verification is performed, the safety of transactions with the user-defined currency is not guaranteed.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safe transaction services, a separate mechanism for performing transaction validation such as double payment of user-defined currency is required 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separate from the UTXO verification performed by the blockchain itself. For example, a separate transa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that validates the transaction for a user-defined currency needs to be provided.
하지만, 별도의 거래 검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 추가하는 것은 본래 거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요소를 활용하지 못하는 접근 방식이다. 또한, 사용자 정의 화폐가 새롭게 정의될 때마다 매번 새로운 거래 검증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므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서비스를 확장하는 데 상당한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However, adding a separate transa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to the custom currency transaction system is an approach that does not utilize the core elements of blockchain technology, which is a technology to ensure transaction safety. In addition, since a new transa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is required every time a user-defined currency is newly defined, it can be a significant constraint in expanding the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er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 상의 가상 화폐를 기초로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하여 안전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that provides a secure transaction service for user-defined currency defined based on virtual currency on the block chai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를 검증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안전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that provides a secure transaction service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without a separate application that verifies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은, P2P(peer-to-peer)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를 기초로 정의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기록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래 데이터는, 거래되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제1 화폐량에 대한 정보 및 거래되는 가상 화폐의 제2 화폐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block 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peer-to-peer (P2P) based block chain network, and a plurality of blocks are in the form of a chain Distributed management of blockchain data connected by It may include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definition currency. In this case, the transac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irst amount of money of the user-defined currency to be traded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amount of money of the virtual currency to be tra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을 통해 정의된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defined currency may be defined through an open asset protoco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가 처리될 때, 상기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가 함께 처리되고, 상기 제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2 화폐량의 가치는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is processed, the transaction for the virtual currency may be processed together, and the value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and the value of the second amount of money may be the s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래 데이터의 검증은, 상기 제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2 화폐량의 가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제1 검증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data may be performed through a first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value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matches the value of the second amount of mone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추가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mining)하는 블록 생성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생성 노드가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함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양의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되고, 상기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됨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가상 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신규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lock chain nodes include a block generating node that generates (mining) a new block added to the block chain data, wherein in response to the block generating node generating the new block, A set amount of new virtual currency is issued, and in response to the new virtual currency being issued, a new user-defined currency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new virtual currency may be issu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제1 사용자 정의 화폐 및 제2 사용자 정의 화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 및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되, 제4-1 화폐량의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화폐의가 발행될 때, 제4-2 화폐량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며, 상기 제3-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3-2 화폐량의 가치는 동일하고, 상기 제4-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4-2 화폐량의 가치도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defined currency includes a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a second user-defined currency,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s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the second user-defined currency. provided that, when the second user-defined currency of the 4-1 monetary amount is issued, the virtual currency of the 4-2 monetary amount is used, the value of the 3-1 monetary amount and the value of the 3-2 monetary amount may be the same, and the value of the 4-1 money amount may be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4-2 money amou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의 화폐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구매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기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처리 단계의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2 처리 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purchase request of the user-defined currency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comprising a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purchase request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the purchase request In the processing for, the first blockchai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responds to the purchase process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and user-defined the amount of user-defined currency that corresponds to the purchase request among the previously issued user-defined currencies. A first processing step of transferring money to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nd a second processing step of recording the transaction data of the first processing step in the block chain data may be perform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은, P2P(peer-to-peer)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복수의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 및 상기 가상 화폐를 기초로 정의된 포인트형 화폐를 발행하고, 상기 가상 화폐 및 상기 포인트형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기록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포인트형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발행된 포인트형 화폐는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처리되기 전까지 지정된 전자 지갑에 보관되고,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발행에 따른 데이터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block chain-based point type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P2P (peer-to-peer) based block chain network, and a plurality of blocks are in the form of a chain Distributed management of blockchain data connected by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point type currency by interworking with a plurality of block chain nodes and the block chain network, wherein the issued point type currency is a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until the user's charging request is processed , and data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the point type currency may be recorded in the block chain data.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화폐량의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상기 제1 화폐량과 동일한 가치를 갖는 가상 화폐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가 거래될 때마다, 가상 화폐 또한 함께 거래되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가상 화폐 거래에 대한 유효성 검증(e.g. UTXO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의 자체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 또한 자동으로 검증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defined currency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is issued, virtual currency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first amount of money is used. In addition, whenever the user-defined currency is traded, the virtual currency is also operated to be traded together. Accordingly, when the blockchain's own function that performs validation (e.g. UTXO validation) for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is performed, the validity of transactions for user-defined currency is also automatically verified.
또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가 자동으로 검증됨에 따라 추가적인 검증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사용자에게 안전한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검증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요구되는 인적 비용 및 시간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is automatically verified, there is an effect that a safe transaction service is provided to the user without an additional verification applic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human cost and time cost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verification application.
또한, 추가적인 검증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지 않는 바, 블록체인 기반 거래 서비스의 확장성 및 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additional verification application is not required, the scalability and usability of the blockchain-based transaction service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사용자 정의 화폐를 실물 화폐와 연동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구매, 적립 및 출금 등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의 유용성이 향상되고,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가 수행됨에 따라 거래 서비스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사용자 편의성 또한 제고될 수 있다.In addition, user-defined currency can be linked with real money, and transaction services such as purchase, accumulation, and withdrawal of user-defined currency can be provided based on block chain. Accordingly, the usefulness of the user-defined currency is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transaction service is guaranteed as transactions are performed through the block chain, and user convenience can also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블록체인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데이터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거래 유형 중 포인트 충전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거래 유형 중 포인트 적립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거래 유형 중 포인트 출금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block chain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ransaction data for virtual currency that can be referenc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n asset protocol that can be referenc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based on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ransaction data for user-defined currency that may be referenc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transaction data ve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sing a plurality of user-defined currenc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which is one component of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which is a component of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point charging is processed among types of transactions performed in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point accumulation is processed among types of transactions performed in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point withdrawal is processed among types of transactions performed in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본 명세서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clarified.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데이터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가 유지하는 데이터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체인 형태의 자료 구조로 구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각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랜잭션 데이터인 경우,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는 분산 원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각 블록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In this specification, block chain data is data maintained by each block chain node constituting a block chain network, and means data in which at least one block is configured as a chain-type data structure. When the data recorded in each block is transaction data, the block chain data can be used as a distributed ledger. However, the type of data recorded in each block may vary. Refer to FIG. 1 for the structure of the block chain data.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란,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P2P 구조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blockchain network refers to a P2P-structured network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operating according to a blockchain algorithm.
본 명세서에서, 블록체인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 머신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일 컴퓨팅 장치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lock chain node means a subject that configures a block chain network and maintains and manages block chain data based on a block chain algorithm. The blockchain node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uting device, bu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virtual machine or the like. When implemented as a virtual machine, a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may exist on a single comput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 블록 생성 노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 중 채굴(mining)을 통해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a block generating node means a node that generates a new block through mining among the block chain nodes constituting the block chain network.
본 명세서에서, 가상 화폐란, 광의의 의미로 실물 없이 사이버 상으로 거래되는 전자 화폐를 의미한다. 협의의 의미의 가상 화폐는 예를 들어 비트코인과 같이 블록체인 상에 채굴을 통해 발행되는 전자 화폐를 의미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네이티브 애셋(native asset)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virtual currency refers to electronic money that is transacted online without a real thing in a broad sense. Virtual currency in a narrow sense refers to electronic money issued through mining on a block chain, such as, for example, Bitcoin,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native asset in the technical field.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정의 화폐란, 상기 가상 화폐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화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거래 서비스의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화폐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가상 화폐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서 "화폐"란 용어는 교환 수단이 되는 화폐 외에도 거래 대상이 되는 자산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포인트형 화폐, 실물 화폐 외에 주식, 채권 등의 금융 자산까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커스텀 애셋(custom asset)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user-defined currency means money defined by a user based on the virtual currency. For example, the user-defined currency may be a currency defined by an operator of a transaction service using an open asset protocol. For reference, in the virtual currency and/or the user-defined currency, the term “money” may be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including not only a currency as an exchange means but also an asset to be traded. For example, the user-defined currency may include point-type money such as points and mileage, and financial assets such as stocks and bonds in addition to real money. The user-defined currency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custom assets in the technical field.
본 명세서에서, 오픈 애셋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상의 가상 화폐에 기반하여 사용자 정의 화폐를 발행하는 자산 발행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오픈 애셋 프로토콜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컬러드 코인(colored coin)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open asset protocol refers to an asset issuance technology that issues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virtual currency on the blockchain. The open asset protocol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a colored coin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퍼미션(permission)은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ermission may be understood a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authorization).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에서 후술될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가상 화폐는 비트코인이고, 사용자 정의 화폐는 포인트(e.g. 멤버십 포인트)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특정 종류의 가상 화폐 또는 사용자 정의 화폐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ssumed that the virtual currency is Bitcoin and the user-defined currency is a point (e.g. membership point).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virtual currency or user-defined currenc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based on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및 사용자 단말(300, 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 400)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산 수단 및 통신 수단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거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성능의 서버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포인트 구매, 적립 및 포인트 출금 등 다양한 거래 유형을 포함하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실물 화폐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구매하고, 구매된 포인트를 다시 본래의 실물 화폐로 출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의 화폐가 실물 화폐와 연동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의 유용성 및 가치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인트를 화폐로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제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로 구성된 P2P 구조의 네트워크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 생성, 전파, 검증, 기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동일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한다.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the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거래 내역이 기록된 거래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블록체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거래 데이터에 함께 기록된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e.g. UTXO 검증)을 검증한다.Each blockchain node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transaction (e.g. UTXO verification) for the virtual currency recorded together with the transaction data according to the blockchain algorithm whenever transaction data in which the transaction details of user-defined currency are recorded are recei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 또한 함께 검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TXO 검증을 통해, 가상 화폐의 이중 지불 여부가 검증되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이중 지불 여부 또한 함께 검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다음의 규칙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ch of the blockchain nodes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transaction for the virtual currency, the validity of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can also be verified. For example, if double payment of virtual currency is verified through UTXO verification, double payment of user-defined currency may also be verified. To this end, the
제1 규칙은 제1 화폐량의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제2 화폐량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고, 상기 제1 화폐량과 상기 제2 화폐량의 가치는 동일하다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이용된 소정의 제1 가상 화폐에 마킹(marking)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킹은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의 발행에 이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후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가 거래될 때 상기 마킹 된 제1 가상 화폐가 함께 거래될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발행에 이용된 상기 제1 가상 화폐가 아니라 소정의 제2 가상 화폐가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가 거래될 때 함께 거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화폐와 가상 화폐의 가치는 1:1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량과, 발행에 이용되는 가상 화폐의 화폐량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의 화폐의 제1 화폐량과 가상 화폐의 제2 화폐량이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화폐량의 화폐 가치와 상기 제2 화폐량의 화폐 가치가 동일하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ule is that when the user-defined currency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is issued, the virtual currency of the second amount of money is used, and the value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and the value of the second amount of money are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rking may be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first virtual currency used when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is issued. The marking means that it is used for issuance of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when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is later traded, the marked first virtual currency may be traded together.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a predetermined second virtual currency, not the first virtual currency used for issuance, is traded together when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is tra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 values of the user-defined currency and the virtual currency are 1:1 and will be described.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user-defined currency issued and the amount of virtual currency used for issuance are the same.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t that the first amount of money of the user-defined money and the second amount of virtual currency are the same may include the meaning that the monetary value of the first amount of money and the monetary value of the second amount of money are the same. can
상기 제1 규칙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일정량의 사토시(가상 화폐)를 미리 발행해 놓고, 미리 발행된 사토시 중에서 100 사토시를 이용하여 100 포인트(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특정 블록 생성 노드가 채굴에 성공하여 100 사토시가 발행되면, 100 포인트도 함께 발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는 거래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시스템 전자 지갑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전자 지갑은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가 사용자에 의해 구매되기 전까지 보관되는 곳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According to the first rul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amount of satoshi (virtual currency) may be issued in advance, and 100 points (user-defined currency) may be issued using 100 satoshis from among the previously issued satoshis. Or, conversely, if a specific block generating node succeeds in mining and 100 Satoshi is issued, 100 points may also be issued. Here, the issued user-defined currency may be stored in the system electronic wallet existing on the transaction system. The system electronic wallet may be understood as a place where the issued user-defined currency is stored until purchased by the us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manner.
제2 규칙은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가 처리되는 경우,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 또한 함께 처리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100 포인트를 지급하는 거래가 처리될 때,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에게 100 사토시를 지급하는 거래가 함께 처리되게 된다.The second rule is that when a transaction for user-defined currency is processed, a transaction for virtual currency is also processed together. For example, when a transaction in which the first user pays 100 points to the second user is processed, a transaction in which the first user pays 100 satoshi to the second user is also processed.
상기 제1 규칙 및 상기 제2 규칙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발행 총량(또는 총 발행 가치)와 사용자 정의 화폐의 발행에 이용된 가상 화폐의 총 화폐량(또는 총 화폐 가치)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동작하며, 동일한 화폐량(또는 화폐 가치)의 사용자 정의 화폐 및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가 항상 함께 처리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 또한 자동으로 검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상에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검증이 수행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rough the first rule and the second rul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퍼미션(permission)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일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만이 참여하여 구성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미션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설 블록체인 네트워크(private blockchain network)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의미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특정 노드의 참여가 배제되기 때문에, 블록 생성에 소요되는 과도한 작업 증명이 요구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보다 안전한 거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 퍼미션 기반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사용자 영역, 블록체인 노드 영역 및 블록 생성 노드 영역 각각에 대하여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영역에서 수행되는 퍼미션 검증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ermission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user area, the block chain node area, and the block generation node area of the block chain application service in order to configure the block chain network based on the permission. Hereinafter, the permission verification method performed in each area will be briefly described.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사용자 영역의 경우,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또는 권한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 레벨에서 ACL(access control list)을 통해 접근 제어가 수행되거나, 트랜잭션 요청에 이용되는 사용자의 전자 서명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area of the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 authentication and/or authority management for service user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ccess control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ccess control list (ACL) at the API level, or permission verification for a corresponding user may be performed using a user's electronic signature used for a transaction request.
블록체인 노드 영역의 경우, 각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하기 위해 기동하는 시점에 각 노드에 기 저장된 퍼미션 정보(e.g. 환경 설정 파일에 기록된 퍼미션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미션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관리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각 블록체인 노드가 다른 블록체인 노드가 P2P 통신을 셋업하는 단계에서 노드 간 상호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호 퍼미션 검증은 예를 들어 블록체인 데이터 상에 저장된 퍼미션 정보(e.g. 허가된 블록체인 노드 정보가 포함된 화이트 리스트 등)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 상에 퍼미션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퍼미션 정보의 위변조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퍼미션 정보는 예를 들어 소정의 관리 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lockchain node area,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permission information (e.g. permiss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configuration file) pre-stored in each node at the time each blockchain node starts up to participate in the blockchain network. Here, the permiss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management device or periodically upd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ternatively, mutual permission verification between nodes may be performed when each blockchain node sets up peer-to-peer communication with other blockchain nodes. In this case, mutual permission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permission information stored on the blockchain data (e.g., a white list including permissioned blockchain node information, etc.). When permission information is stored on the block chain data, there may be an effect of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permission information. The permiss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set by a predetermined management device.
블록 생성 노드 영역의 경우, 신규 블록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블록체인 노드는 퍼미션이 검증된 블록 생성 노드가 생성한 신규 블록만을 블록체인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퍼미션의 검증은 상기 블록체인 노드 영역의 검증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블록 생성 노드가 신규 블록 생성 시 상기 신규 블록에 자신의 전자 서명을 기록하도록 강제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전자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신규 블록에 대한 퍼미션 검증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block generation node region, permission verification for a new block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each blockchain node can only add new blocks created by block generating nodes whose permission has been verified to the blockchain data. In this case, the verification of the permiss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verification method of the block chain node area. Alternatively, permission verification for the new block may be performed by forcing the block generating node to record its electronic signature in the new block when generating a new block, and other blockchain nodes verify the electronic signature.
참고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블록 생성 노드의 선의 여부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블록체인 노드의 퍼미션 검증 기준인 제1 퍼미션보다 블록 생성 노드의 퍼미션 검증 기준인 제2 퍼미션이 더 높은 퍼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goodness of the block generating node greatly affects the reliability of the block chain network, the second permission verification criterion of the block generating node rather than the first permission which is the permission verification criterion of the block chain node The permission may be set to a higher permission.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300, 4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단말이다. 거래 당사자의 어느 일방이 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 400)을 통해 자신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사용자 정의 화폐를 거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 400)을 통해 실물 화폐의 결제를 통해 포인트를 충전하거나,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상품을 구매하거나, 상기 보관된 포인트를 다시 실물 화폐로 출금하는 등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the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매장의 운영자이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매장용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은 매장용 단말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거래 당사자의 일방이 매장의 운영자인 경우, 사용자 단말(400)이 매장용 단말로 이용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user using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ervice is an operator of a store, and the user's terminal is used for a store, the user's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store terminal. Hereinafter, when one of the transaction parties is an operator of a store, it is assumed that the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lock 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can communicate through a network. Here, the network includes all types of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can be implemented.
지금까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거래 데이터의 검증 방법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검증 방법은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각 블록체인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o far,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based on a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Next, a method of verifying transaction data performed 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7 . The verif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each block chain node constituting the
도 6a 및 도 6b는 비트코인에 기반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거래 데이터 검증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ransaction data for a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Bitcoin, and FIG. 7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transaction data verification metho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데이터의 각 블록에 기록된 거래 데이터(40)는 메타부(41), 입력부(43) 및 출력부(45)를 포함하고, 메타부(41)에는 해당 거래에 사용되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종류를 가리키는 ASSET ID와,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의 거래 금액을 가리키는 ASSET AMOUNT 정보가 포함된다. 입력부(43)와 출력부(45)는 비트코인의 UTXO 정보가 포함된다.6A and 6B, the
보다 자세한 예를 들어, 홍길동(지급인)이 김갑순(수취인)에게 100 포인트를 지급하는 거래(50)의 경우, 메타부(51)에 거래되는 화폐량 정보 "100"이 포함되고, 입력부(53)에 홍길동이 보유한 포인트와 연결된 비트코인의 UTXO 정보가 포함되며, 출력부(55)에는 거래 결과로 발생하는 UTXO 정보가 포함된다.For a more detailed example, in the case of a
그러면,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부(51)에 기록된 포인트의 화폐량 정보와 출력부(55)에 기록된 비트코인 화폐량 정보인 UTXO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즉, 화폐 가치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제1 검증 단계(S150)가 수행되고, 지급인의 비트코인 보유량을 가리키는 UTXO 정보 등에 대한 제2 검증 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추가로 기 발행된 포인트의 총 발행가치와 포인트 발행에 이용된 비트코인의 총 가치가 일치하는지에 대한 제3 검증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검증 단계에 따라 거래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포인트의 이중 지불 여부 또한 자동으로 검증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규칙 및 제2 규칙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상에서 제1 화폐량의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가 처리될 때 상기 제1 화폐량과 동일한 가치를 갖는 제2 화폐량의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가 연동되어 처리되기 때문이다.Then, as shown in FIGS. 6B and 7, whether the monetary amount information of the points recorded in the
이와 같이, 거래되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화폐가치와 거래되는 가상 화폐의 화폐가치의 일치 여부에 따라, 별도의 거래 검증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가 그대로 이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거래 검증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거래 서비스 확장성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In this way,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cy value of the traded user-defined currency matches the currency value of the traded virtual currency, the validity of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can be verified without a separate transa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That is, in the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re elements of the block chain are used as it is, there is no need to add a separate transaction verification application, and thus, transaction service scalability can be easily provided.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은 추가 구성 요소 없이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user-defined currency tr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transaction service for a plurality of user-defined currencies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은 비즈니스 유스케이스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transaction service for a plurality of user-defined currencies defined according to a business use case.
도 8을 참조하면, 오픈 애셋 프로토콜(67)을 통해 블록체인(69) 상의 가상 화폐(e.g. 비트코인, 이더)에 연동된 다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65a 내지 65c)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스템의 운영자는 사용자 정의 화폐(65a 내지 65c)를 각각 충전용 포인트, 리워드용 포인트, 마케팅용 포인트 등 서로 다른 종류의 포인트를 가리키도록 정의하거나, 국내용 포인트, 미주용 포인트, 중국용 포인트 등 지역을 기준으로 구별되는 포인트를 가리키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비즈니스 유스케이스(61a, 61b)에 따라 운영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 정의되더라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 8 , a plurality of user-defined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사용자 정의 화폐(65a 내지 65c)가 발행될 때, 동일한 가치를 갖는 가상 화폐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 정의 화폐와 가상 화폐의 화폐 가치가 동일하고, 제1 사용자 정의 화폐가 국내용 포인트로 정의되고, 제2 사용자 정의 화폐가 미주용 포인트로 정의된 경우, 1,000 포인트의 국내용 포인트가 발행되기 위해 1,000 만큼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고, 100 포인트의 미주용 포인트가 발행되기 위해 100 만큼의 가상 화폐가 이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each user-defined
이를 통해, 비즈니스 유스케이스의 확장으로 사용자 정의 화폐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각각의 사용자 정의 화폐의 단위 가치가 달라지더라도, 블록체인 프로토콜에 따라 거래 검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확장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ype of user-defined currency is diversifi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usiness use case, and even if the unit value of each user-defined currency is different, transaction ver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block chain protocol, so the scalability of the system is greatly improved can b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화폐와 연동되어 발행되는 사용자 정의 화폐는 고객의 구매 요청이 있기 전까지 시스템 전자 지갑에 보관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가 정의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 전자 지갑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통합 관리하는 전자 지갑(70)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별도의 전자 지갑(81 내지 85)으로 관리하는 전자 지갑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user-defined currency issued in conjunction with the virtual currency may be stored in the system electronic wallet until there is a purchase request from the customer. When a plurality of user-defined currencies are defined, the system electronic wallet may be implemented as an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별도로 관리하는 경우, 계층형 전자 지갑(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HD-Wallet)의 구조로 시스템 전자 지갑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전자 지갑의 계층적 위상 관계에 따라 서로 다른 권한 및 역할이 용이하게 부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each user-defined currency is managed separately, the system electronic wallet may be implemented in the structure of a hierarchical deterministic wallet (HD-Wallet).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fferent rights and roles can be easily grant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topological relationship of each electronic wallet.
지금까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복수의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o far, an example of providing a transaction service for a plurality of user-defined currencies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도 11은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 인증 처리부(130), 통신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서비스 요청 처리부(110)는 사용자 단말(300) 및/또는 매장용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다양한 거래 요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처리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Looking at each component, the service
인증 처리부(130)는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로그인 등의 인증 관련 제반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로그인의 방식은 패스워드 기반 로그인, 인증서 기반 로그인 등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The
통신부(150)는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유선 인터넷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한편,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회원 정보, 인증 정보 등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ROM(Read Only Memory), 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1 , the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인 사용자 단말(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2 , the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인증 처리부(310), 전자 지갑(330), 통신부(350), 표시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인증 처리부(310)는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수행에 요구되는 각종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증 처리부(310)는 거래 서비스 요청 시, 입력된 사용자의 전자 서명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하여 처리한다.Looking at each component, the
전자 지갑(330)은 사용자 소유의 사용자 정의 화폐 및/또는 가상 화폐가 보관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및/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하여 거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블록체인 응용이다.The
통신부(350)는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50)는 유선 인터넷 모듈, 이동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표시부(370)는 거래 진행 현황, 거래에 이용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70)는 모니터, 터치스크린 등의 출력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제어부(390)는 사용자 단말(3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한편, 도 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2 , the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미도시)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not shown) receives various types of inputs from the user to perform a transaction service for user-defined currency. To this end, the input unit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or a touch screen.
저장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ROM(Read Only Memory), 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참고로, 매장용 단말(400) 또한 사용자 단말(300)과 유사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매장용 단말(400)은 인증 처리부(310)가 제외되거나, 전자 지갑(330)이 매장용 전자 지갑 및 리워드용 전자 지갑으로 구현되는 등,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또는 제외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지금까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00, 300)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Up to now, each component of the
지금까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다양한 유형의 거래가 처리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화폐는 포인트인 것으로 가정한다.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거래 유형 중 포인트 충전이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point charging is processed among types of transactions performed in a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포인트 충전(또는 구매)은 사용자가 소정의 실물 화폐를 지불하고, 지불된 가치만큼의 포인트를 운영자로부터 구매하는 거래 유형을 의미한다.Point charging (or purchase) refers to a transaction type in which a user pays a predetermined real currency and purchases points equal to the value paid from an operator.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포인트 충전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실물 계좌 이제 또는 카드 결제 등의 지불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지불 결과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정의 포인트가 시스템 전자 지갑에서 사용자 전자 지갑으로 이전되도록 처리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포인트가 발행되고, 발행된 포인트는 시스템 전자 지갑에 보관된다(S210, S220). 예를 들어, 블록 생성 노드의 채굴을 통해 가상 화폐가 발행됨에 따라, 동일한 양의 포인트가 발행될 수 있다. 포인트의 발행 기록은 블록체인 데이터인 분산원장에 기록된다.Referring to FIG. 14, first, points are issued in the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포인트 충전 요청이 수신되면(S23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포인트 충전이 처리되도록 요청한다(S240). 그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는 시스템 전자 지갑에서 해당 사용자이 전자 지갑으로 포인트를 이전하는 거래를 검증 및 처리하고, 해당 거래를 블록에 기록한다(S250, S280). 요청한 거래가 처리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처리 완료가 통보되고(S26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포인트 충전 완료를 통보한다(S270).Next, when a point charg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S230), the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포인트 적립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a process for accumulating points will be described.
포인트 적립은 사용자의 상품 및/또는 서비스 구매에 따른 리워드를 포인트로 제공하는 거래 유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휴 매장에서 포인트 또는 실물 화폐로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포인트가 적립되는 경우를 가리키는 거래 유형으로 볼 수 있다.Point accumulation refers to a type of transaction that provides a reward according to a user's purchase of goods and/or services as points. For example, it may be viewed as a transaction type indicating a case in which points are accumulated at a predetermined rate as a user purchases a product with points or real money at an affiliated store.
도 15를 참조하면, 매장용 단말(400)로부터 포인트 적립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소정의 포인트가 매장용 전자 지갑에서 사용자 전자 지갑으로 이전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매장용 전자 지갑에 보관된 적립용 포인트는 매장의 운영자가 사전에 구매한 포인트일 수 있다. 단, 실시예에 따라, 매장의 운영자가 포인트를 미리 구매하지 않고, 시스템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를 사용자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방식으로 포인트 적립이 수행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실시예에 따라, 적립용 포인트는 일반 포인트와 다른 별도의 사용자 정의 화폐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매장용 단말(400)은 일반 포인트를 보관하는 매장용 전자 지갑과 적립용 포인트를 보관하는 리워드용 전자 지갑을 각각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리워드용 전자 지갑에서 사용자의 전자 지갑으로 적립용 포인트가 이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ints for accumulation may be defined as a separate user-defined currency different from the general points. In this case, the
도 16은 사용자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구매함에 따라 매장의 운영자가 구매한 적립용 포인트가 사용자 전자 지갑에 적립되는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16 illustrates a processing process in which points for accumulation purchased by the store operator are accumulat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s the user purchases goods and/or services.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매장용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적립용 포인트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립용 포인트에 대한 구매 처리가 수행된다(S310 내지 S360). 이는, 사용자의 포인트 구매 처리 과정과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6 , first,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points for accumulation received from the
다음으로, 매장용 단말(400)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상품 및/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S370),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포인트 적립 요청을 송신한다(S380).Next, when the
상기 적립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포인트 적립의 처리를 요청하고(S390), 매장용 전자 지갑에서 사용자 전자 지갑으로 적립용 포인트가 이전되고(S400), 해당 거래 내역이 분산 원장에 기록됨으로써 포인트 적립이 완료된다(S440).In response to the earning request, the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포인트 출금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rocess in which point withdrawal is proces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포인트 출금은 사용자가 구매한 포인트를 실물 화폐로 다시 변환하는 거래 유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트 출금을 통해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동된 실물 화폐 지급기를 통해 기 구매한 포인트를 실물 화폐로 지급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실물 화폐 지급기는 ATM(automatic teller machine) 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Point withdrawal refers to a type of transaction in which the points purchased by the user are converted back into real money. For example, through the point withdrawal, the user may receive points purchased in real money through a real money dispenser linked to the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포인트 출금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ATM(500)으로 지급 요청을 송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포인트에 대한 차감 처리가 수행되도록 요청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포인트 출금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먼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포인트 잔액을 확인한다(S510 내지 S540). 잔액 확인 결과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출금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사용자 단말(300)로 통보하며(S550), 출금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이후의 과정을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18 , the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실물 화폐를 지급할 ATM(5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ATM(500)기로 전달한 인증 정보(e.g. 비밀번호, QR 코드)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달함으로써, ATM(500)에 대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S560 내지 S600). 단, 실시예에 따라 ATM에 대한 인증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Next, the
ATM(500)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인증 및 해당 출금 거래에 대한 전자 서명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S610 내지 S630).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은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되더라도 무방하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인증 및 출금 거래에 대한 전자 서명 처리가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ATM(500)으로 실물 화폐의 지급 요청을 송신하고(S650), 사용자는 ATM(500)으로부터 차감되는 포인트만큼의 실물 화폐를 지급받게 된다(S660).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지급 처리 완료가 통지되면(S670),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의 포인트의 차감 거래가 처리되도록 요청한다(S680). 예를 들어, 상기 포인트 차감은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서 시스템 전자 지갑으로 포인트가 이전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S690).When the payment processing completion is notified (S670), the
지금까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다양한 유형의 거래가 처리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8 , the operation of processing various types of transactions in a blockchain-based user-defined currency transaction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 정의 화폐를 실물 화폐와 연동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구매, 적립 및 출금 등의 거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의 유용성이 향상되고,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가 수행됨에 따라 거래 서비스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사용자 편의성 또한 제고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defined currency is linked with the real currency, and transaction services such as purchase, accumulation, and withdrawal of the user-defined currency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block chain. Accordingly, the usefulness of the user-defined currency is improved, the stability of the transaction service is guaranteed as transactions are performed through the block chain, and user convenience can also be improved.
지금까지 도 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8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removable recording medium (CD, DVD, Blu-ray disk, USB storage device, removable hard disk) or a fixed recording medium (ROM, RAM, computer-equipped hard disk). can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nstall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thereby being used in the other computing devic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acts are shown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drawing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act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acts must be performed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requiring such separation,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7)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가 처리될 때, 상기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가 함께 처리되고,
상기 거래 데이터는,
거래되는 사용자 정의 화폐의 제1 화폐량에 대한 정보, 거래되는 가상 화폐의 제2 화폐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지급인의 보유 화폐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데이터의 검증은,
상기 제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2 화폐량의 가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제1 검증 단계; 및
이중 지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급인의 보유 화폐량의 가치를 검증하는 제2 검증 단계를 통해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Configures a peer-to-peer (P2P) based block chain network, distributes and manages block chain data in which multiple blocks are connected in a chain form, and uses the block chain data to define a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virtual currency a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that record transaction data fo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block chain network, includ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When the transaction for the user-defined currency is processed, the transaction for the virtual currency is processed together,
The transaction data is
Information on the first amount of money of the user-defined currency to be trade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amount of virtual currency to be traded,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money held by the payer who pays the virtual currency,
The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data is
a first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value of the first monetary amount matches the value of the second monetary amount; and
Performed through a second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the value of the money held by the payer in order to prevent double payment,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제3 화폐량의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제4 화폐량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고,
상기 제3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4 화폐량의 가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defined currency of the third monetary amount is issued, the virtual currency of the fourth monetary amount is u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third amount of money and the value of the fourth amount of money are the same,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오픈 애셋 프로토콜(open asset protocol)을 통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user-defined currency is characterized in that defined through an open asset protocol (open asset protocol),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거래 데이터의 검증은,
기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의 총 발행 가치와 사용자 정의 화폐의 발행에 이용된 가상 화폐의 총 가치의 일치 여부를 더 검증하는 제3 검증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hrough a third verification step of further verifying whether the total issued value of the previously issued user-defined currency matches the total value of the virtual currency used for the issuance of the user-defined currency,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추가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mining)하는 블록 생성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생성 노드가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함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양의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되고,
상기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됨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가상 화폐와 동일한 가치의 신규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are
A block generating node that generates (mining) a new block added to the block chain data,
In response to the block generating node generating the new block, a preset amount of new virtual currency is issued,
In response to the issuance of the new virtual currency, a new user-defined currency of the same value as the new virtual currency is issued,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사용자 정의 화폐는,
제1 사용자 정의 화폐 및 제2 사용자 정의 화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 및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되,
제3-1 화폐량의 제1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제3-2 화폐량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고,
제4-1 화폐량의 제2 사용자 정의 화폐가 발행될 때, 제4-2 화폐량의 가상 화폐가 이용되며,
상기 제3-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3-2 화폐량의 가치는 동일하고,
상기 제4-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4-2 화폐량의 가치도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user-defined currency is
a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a second user-defined currenc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e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the second user-defined currency,
When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of the 3-1 monetary amount is issued, the virtual currency of the 3-2 monetary amount is used;
When the second user-defined currency of the 4-1 monetary amount is issued, the virtual currency of the 4-2 monetary amount is used,
The value of the 3-1 money amount is the same as the value of the 3-2 money amou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4-1 money amount and the value of the 4-2 money amount are also the same,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기 발행된 제1 사용자 정의 화폐 및 기 발행된 제2 사용자 정의 화폐는 사용자의 구매 요청이 처리되기 이전까지 지정된 전자 지갑에 보관되되,
상기 제1 사용자 정의 화폐는 제1 전자 지갑에 보관되고, 상기 제2 사용자 정의 화폐는 상기 제1 전자 지갑과 다른 제2 전자 지갑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viously issued first user-defined currency and the previously issued second user-defined currency are stored in the designated e-wallet until the user's purchase request is processed,
The first user-defined currency is stored in a first electronic wallet, and the second user-defined currency is stored in a second electronic wallet different from the first electronic wallet,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의 화폐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구매 요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구매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기 발행된 사용자 정의 화폐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사용자 정의 화폐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처리 단계의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2 처리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정의 화폐 거래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for user-defined currency received from a user's terminal, comprising a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purchase request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The processing of the purchase request is,
In response to a purchase process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a first blockchai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sends an amount of user-defined currency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request among previously issued user-defined currenc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hrough a first processing step of transferring to an electronic wallet and a second processing step of recording the transaction data of the first processing step in the block chain data,
Blockchain-based custom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포인트형 화폐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발행된 포인트형 화폐는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처리되기 전까지 지정된 전자 지갑에 보관되고,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발행에 따른 데이터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되고,
상기 포인트형 화폐에 대한 거래가 처리될 때, 상기 가상 화폐에 대한 거래가 함께 처리되고,
상기 거래 데이터는,
거래되는 포인트형 화폐의 제1 화폐량에 대한 정보, 거래되는 가상 화폐의 제2 화폐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가상 화폐를 지급하는 지급인의 보유 화폐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데이터의 검증은,
상기 제1 화폐량의 가치와 상기 제2 화폐량의 가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제1 검증 단계; 및
이중 지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급인의 보유 화폐량의 가치를 검증하는 제2 검증 단계를 통해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Configures a peer-to-peer (P2P) based blockchain network, distributes and manages blockchain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connected in a chain form, and uses the blockchain data to define virtual currency and the virtual currency based a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that issue the point-type currency and record transaction data for the virtual currency and the point-type currency; and
In conjunction with the block chain network, including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transaction service for the point type currency,
The issued point type currency is stored in a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until the user's charging request is processed, and data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the point type currency is recorded in the block chain data,
When the transaction for the point type currency is processed, the transaction for the virtual currency is processed together,
The transaction data is
Information on the first amount of money of the point type currency to be traded,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amount of virtual currency to be traded,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money held by the payer who pays the virtual currency,
The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data is
a first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whether the value of the first monetary amount matches the value of the second monetary amount; and
Performed through a second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the value of the money held by the payer in order to prevent double payment,
Blockchain-based point-type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포인트형 화폐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구매를 위한 실물 화폐의 지불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구매 요청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매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구매 처리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된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형 화폐 중에서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포인트형 화폐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처리 단계의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2 처리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the point-type currency purchase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confirm the payment result of real money for the purchase of the point-type currency, and process the purchase request for the point-type currency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including a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The processing of the purchase request is,
A first block chai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 chain nodes responds to a purchase processing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and from among the point type currency stored in the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an amount of point type currency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hrough a first processing step of transferring to the user's electronic wallet and a second processing step of recording the transaction data of the first processing step in the block chain data,
Blockchain-based point-type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장의 단말로부터 수신되고, 지정된 사용자를 수취인으로 하는 포인트형 화폐의 적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적립 요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립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적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형 화폐 중에서 상기 적립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포인트형 화폐를 상기 지정된 사용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1 처리 단계 및 상기 제1 처리 단계의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2 처리 단계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tha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store and responds to a request for accumulation of point-type currency to a designated user as a payee, and processes the request for accumulation of the point-type currency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The processing of the above accumulation request,
A first block chai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 chain nodes responds to the deposit request received from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and points type currency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posit request among the point type money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sto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through a first processing step of transferring to the designated user's electronic wallet and a second processing step of recording the transaction data of the first processing step in the block chain data,
Blockchain-based point-type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포인트형 화폐의 출금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출금 요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실물 화폐 지급기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서비스 요청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금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형 화폐의 보유량을 확인하고 상기 출금 요청의 처리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가, 상기 판정의 결과 출금 요청의 처리가 가능한 경우, 상기 실물 화폐 지급기로 상기 출금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실물 화폐의 지급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지급 요청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가, 상기 처리 결과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포인트형 화폐의 차감 요청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되도록 하는 제3 단계를 통해 수행되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 중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서비스 요청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포인트형 화폐의 차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 지갑에 보관된 포인트형 화폐 중에서 상기 출금 요청에 대응되는 양의 포인트형 화폐를 상기 지정된 전자 지갑으로 이전하는 제3-1 단계 및 상기 제3-1 단계의 거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기록하는 제3-2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withdrawal of point type currency received from a user's terminal, a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quest for withdrawal of point type currency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and real money dispenser,
The processing of the withdrawal request is
A first step in which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checks the amount of point-type currency stor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and determines whether the withdrawal request can be processed;
When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can process the withdrawal reque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transmits a payment request for the amount of real money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request to the real money dispenser, and receive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ayment request Step 2 and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processing result, is performed through a third step of processing the request for deduction of the point type currency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through the block chain network,
The third step is
A first block chain nod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 chain nodes responds to a request for deduction of point type currency received from the service request processing unit, and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request among point type currency stored in the user's electronic wallet Step 3-1 of transferring the point-type currency of , to the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and a 3-2 processing step of recording the transaction data of step 3-1 in the block chain data,
Blockchain-based point-type currency trading system.
상기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에 추가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mining)하는 블록 생성 노드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 생성 노드가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함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양의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되고,
상기 신규 가상 화폐가 발행됨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가상 화폐와 동일한 양의 신규 포인트형 화폐가 발행되며, 상기 발행된 신규 포인트형 화폐는 상기 지정된 전자 지갑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인트형 화폐 거래 시스템.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blockchain nodes are
A block generating node that generates (mining) a new block added to the block chain data,
In response to the block generating node generating the new block, a preset amount of new virtual currency is issued,
In response to the issuance of the new virtual currency, the same amount of new point type currency as the new virtual currency is issued, and the issued new point type currency is stored in the designated electronic wallet,
Blockchain-based point-type currency trading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5/933,546 US20180293576A1 (en) | 2017-04-05 | 2018-03-23 | System for custom currency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70044428 | 2017-04-05 | ||
| KR1020170044428 | 2017-04-05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143A KR20180113143A (en) | 2018-10-15 |
| KR102349401B1 true KR102349401B1 (en) | 2022-01-11 |
Family
ID=638658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23554A Active KR102349401B1 (en) | 2017-04-05 | 2017-09-25 | System for trading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4940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493227B (en) * | 2018-11-23 | 2021-10-22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Energy internet-based block chain weak centralized energy online transaction method |
| SG11201903527QA (en) | 2018-11-30 | 2019-05-30 | Alibaba Group Holding Ltd | Platform for atomic transfer of smart assets within blockchain networks |
| SG11201903539PA (en) | 2018-11-30 | 2019-05-30 | Alibaba Group Holding Ltd | Platform for atomic transfer of smart assets within blockchain networks |
| KR102204403B1 (en) | 2019-01-02 | 2021-01-18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nabling extension of block chain |
| KR102006329B1 (en) * | 2019-01-14 | 2019-08-01 | 이준암 | A Network Marketing System using a blockchain technology And A Method thereof |
| KR102258222B1 (en) * | 2019-01-21 | 2021-05-31 | 박근철 | Method for product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KR102132122B1 (en) * | 2019-01-25 | 2020-07-09 | 주식회사 카사코리아 | Method for issuing DABS(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and trading DABS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KR102252954B1 (en) * | 2019-03-05 | 2021-05-17 | 주식회사 헤세그 | System for trading intellectual property using block chai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291436B1 (en) * | 2019-08-26 | 2021-08-20 | 주식회사 이멜벤처스 | Point Distribution Method Using Block chain Network in Karaoke App and System Thereof |
| KR102201083B1 (en) | 2019-10-21 | 2021-01-08 | 윤성민 |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2431546B1 (en) | 2019-10-21 | 2022-08-11 | 윤성민 |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WO2021187709A1 (en) * | 2020-03-18 | 2021-09-23 | 주식회사 카사코리아 | Blockchain-based fund securit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
| KR20220112741A (en) | 2020-06-02 | 2022-08-11 | 윤성민 |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2494106B1 (en) | 2021-09-13 | 2023-02-06 | 이민형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stributing profit service based on Blockchain |
| CN114331408A (en) * | 2021-12-29 | 2022-04-12 |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 Digital asset transact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50170112A1 (en) * | 2013-10-04 | 2015-06-18 | Erly Dalvo DeCastro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currency platforms comprising means for exchanging and interconverting tangible and virtual currencies in various transactions, banking operations, and wealth management scenarios |
| US20160267472A1 (en) * | 2015-03-13 | 2016-09-15 | Gyft, Inc. | Securing digital gift cards with a public ledger |
| US20170032365A1 (en) * | 2015-07-31 | 2017-02-02 | Mozido, Inc. | Crypto-currency-based accrued value interopera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84219B1 (en) | 2016-06-15 | 2017-10-12 |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 Financial institution document verific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the block chain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554A patent/KR1023494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50170112A1 (en) * | 2013-10-04 | 2015-06-18 | Erly Dalvo DeCastro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currency platforms comprising means for exchanging and interconverting tangible and virtual currencies in various transactions, banking operations, and wealth management scenarios |
| US20160267472A1 (en) * | 2015-03-13 | 2016-09-15 | Gyft, Inc. | Securing digital gift cards with a public ledger |
| US20170032365A1 (en) * | 2015-07-31 | 2017-02-02 | Mozido, Inc. | Crypto-currency-based accrued value interoperabilit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13143A (en) | 2018-10-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49401B1 (en) | System for trading user-defined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20180293576A1 (en) | System for custom currency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US12387191B2 (en) | Cloud-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sumer financial data | |
| US1137981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management for supporting mobile payments | |
| KR102005158B1 (en) | Apparatus of generating credit virtual currency and apparatus of managing credit virtual currency | |
| EP3582168A1 (en) | Semi-private blockchain virtual currency exchange systems | |
| US10970685B2 (en) | Electronic funds transfers based on automatic cryptocurrency transactions | |
| RU2713703C2 (en) | Advance authorization of digital requests | |
| KR102384321B1 (en) | Method for processing a payment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thereof | |
| CN109636593B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in a network transaction | |
| US11461783B2 (en) | Merchant verification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 |
| US20240086918A1 (en) |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for payment transactions | |
| CN112749957A (en) | Asset r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lock chain | |
| CA2943230C (en) | Virtual currency system | |
| Schueffel et al. | The Crypto Encyclopedia: Coins, tokens and digital assets from A to Z | |
| KR102407187B1 (en) |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money automatically based on blockchain and system thereof | |
| KR20200134622A (en) | Transaction methods and systems using direct trading and auction, reverse auction and joint auction of blockchain-based valu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 |
| KR20220065259A (en) | A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73A (en) | A method for providing liquidity value adjustment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71A (en) | A method for providing liquidity value adjustment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56A (en) | A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58A (en) | A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55A (en) | A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57A (en) | A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
| KR20220065274A (en) | A method for providing liquidity value adjustment services of ownership item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 chain networks, an apparatus and a system using 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