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125B1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125B1 KR102305125B1 KR1020140102294A KR20140102294A KR102305125B1 KR 102305125 B1 KR102305125 B1 KR 102305125B1 KR 1020140102294 A KR1020140102294 A KR 1020140102294A KR 20140102294 A KR20140102294 A KR 20140102294A KR 102305125 B1 KR102305125 B1 KR 102305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device
- oral
- sensor
- panel
- protective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25147 Aethusa cynap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8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OXJGFHDIHLPTG-UHFFFAOYSA-N Boron Chemical compound [B] ZOXJGFHDIHLP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71 Kevl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549 Sensation of foreign bod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4 inorgan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1 kev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0 plasma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휘어짐 가능한 센서 어셈블리와; X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전송 케이블이 관통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돔(dome)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구강센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dable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X-rays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t provides an oral sensor device including a protective cov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nso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X-ray, a transmission cable connected to the sensor assembly is penetrated, and a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dome-shape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rear. .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을 향하는 물리력과 상기 구조물의 배치관계에 의한 반발력에 대해 일정범위 내에서 휘어짐 가능한 벤더블(bendable) 특성을 갖는 구강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sens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and is bendable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force toward the intraoral structure and the repulsive force due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It relates to an oral sensor device having (bendable) characteristics.
구강 내 치아 및 주변조직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한 구강 내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In oral X-ray imaging to obtain X-ray images of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in the oral cavity, a film-based method has been used in the past.
그런데, 필름 방식의 경우 구강 내에서 과도하게 휘어져 영상 왜곡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촬영된 필름의 현상 및 보관상의 문제 등에 기인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구강센서장치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m metho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mage distortion occurs due to excessive bending in the oral cavity, and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due to problems in development and storage of the photographed film. To improve this, a digital oral sensor device is currently widely used.
디지털 방식의 구강센서장치는 일반적으로 딱딱한(rigid) 재질의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휘지 않는 특성을 갖게 된다. 때문에, 구강 내 촬영 시 영상 왜곡의 가능성은 낮지만 환자는 이물감이나 통증을 크게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치아 및 치아주변조직 등 구강 내 구조물의 X선 영상을 얻기 위한 구강 내 X선 촬영의 경우, 구강센서장치를 구강 내에 위치시키고 외부에서 X선을 조사하여 그 사이에 있는 구조물을 X선 촬영한다. 이때, 보다 정확한 X선 영상을 얻기 위해 구강센서장치는 구강 내 구조물을 향해 가압 및 밀착되는데, 이로 인해 환자는 이물감은 물론 상당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The digital oral sensor device is generally made of rigid (rigid) materials and has a non-bending characteristic. Therefore, although the possibility of image distortion during intraoral imaging is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tient feels a foreign body sensation or pain great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traoral X-ray imaging to obtain X-ray images of intraoral structures such as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the oral sensor device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and X-rays are irradiated from the outside to examine the structures in between. shoot At this time, in order to obtain a more accurate X-ray image, the oral sensor device is press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따라서,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구강센서장치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데, 이와 관련하여, 소정 정도의 휘는 특성 즉, 휘는 정도가 제한된 벤더블(bendable) 특성을 갖는 구강센서장치가 해당 기술업계에서 논의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digital oral sensor device capable of resolving the patient's discomfort, in this regard, an oral sensor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degree of bending characteristic, that is, a bendable characteristic with a limited degree of bending It is being discussed in the tech industry.
그런데, 현재로서는 벤더블 특성이라는 추상적인 개념만이 논의되고 있는 정도이고, 이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강센서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However, at present, only the abstract concept of the bendable characteristic is being discussed, and a specific study is not being conducted on the oral sensor device for realistically implementing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을 향하는 물리력과 상기 구조물의 배치관계에 의한 반발력에 대해 일정범위 내에서 휘어짐 가능한 벤더블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환자의 이물감과 고통을 줄일 수 있는 구강센서장치를 구현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and shows a bendable characteristic that can be bent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force toward the intraoral structure and the repulsive force due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There is a task to implement an oral sensor device that can reduce the patient's feeling of foreign body and pain.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휘어짐 가능한 센서 어셈블리와; X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전송 케이블이 관통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돔(dome)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구강센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dable sensor assembly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X-rays; It provides an oral sensor device including a protective cov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nso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X-ray, a transmission cable connected to the sensor assembly is penetrated, and a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dome-shaped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rear. .
여기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측면을 덮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의 외측부들 사이에는 틈새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cover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the protrusion formed thereon and facing the sensor assembly, and an outer portion bent forward at an edge side of the base to cover the side of the sensor assembly, an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base. A gap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parts of the .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X선을 검출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전송 케이블로 전달하는 회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로패널과 전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The sensor assembly includes: a sensor panel for detecting the X-rays to generate the electrical signal; and a circuit panel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nsor pane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panel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transmission cable, wherein the protrusion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circuit panel and the transmission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can be located.
상기 돌출부의 내부공간은 충진제에 의해 충진되거나 막혀있을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may be filled or blocked by a filler.
상기 충진제는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ler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that is cured by heat or UV.
상기 보호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may include polycarbonate.
상기 센서패널와 상기 회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패널과 상기 회로패널보다 큰 탄성도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ositioned between the sensor panel and the circuit panel,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control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greater elasticity than the sensor panel and the circuit panel.
상기 센서패널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커버와; 상기 구강센서장치의 외부를 감싸는 몰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a window cov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It may include a mold hous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oral sensor device.
상기 몰드 하우징은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A 30~50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ld housing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 30 to 50.
상기 몰드 하우징은 실리콘이나 우레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ld housing may include a silicone or urethan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동시에 구강 내 X선 촬영 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을 센서 어셈블리의 배면 중앙부로 집중시켜 제한된 밴더블 특성 내에서 가장자리 부분의 휘어짐 특성을 최대화하는 보호 커버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요 구성인 센서 어셈블리, 특히 센서패널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자 불편감을 상당 정도 완화할 수 있는 벤더블 특성의 구강센서장치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The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sensor assembly having a bendable characteristic and at the same time concentrates the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to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sensor assembly, and within the limited bendable characteristic of the edge of the A protective cover that maximizes the bending characteristics is used. Accordingly, the sensor assembly, which is the main component, in particular, the sensor pane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stroyed, the distortion of the image can be minimized, and the oral sensor device of the bendable characteristic can be implemented to alleviate patient discomfort to a considerable extent. .
또한,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여 보호 커버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써, 해당 연결 부위에서의 휨에 의한 스트레스의 인가 정도가 감소되어, 스트레스 인가에 의한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결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the protective cover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nsmission cabl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stress due to bending at the connection part is reduced, and the transmission cable and printing by stress application A defect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disconnected can be prevented.
또한, 연질 특성의 몰드 하우징을 사용하여 구강센서장치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oral sensor device using a molded housing of soft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during shooting to a significant exten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벤더블 특성을 갖는 구강센서장치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al sensor device having a limited bendable characteristic that can minimize image distor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stably prot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에 대응되는 탄성조절부재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astic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A" of Figure 6;
Figure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100)는,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어셈블리(sensor assembly; 105)와, 센서 어셈블리(105)의 전방(즉, X선 입사 측)에 위치하는 윈도우 커버(window cover; 170)와, 센서 어셈블리(105) 후방의 보호 커버(protect cover; 180)와, 구강센서장치(100) 외부를 감싸는 몰드 하우징(mold housing; 19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아래에서 각각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We will look at each in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105)는 센서패널(110)과, 탄성조절부재(120)와, 인쇄회로기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패널(100), 탄성조절부재(120), 인쇄회로기판(130)은 X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3 , the
센서패널(110)에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유효영역, 즉 액티브 영역에 횡방향과 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화소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전변환소자와 스위칭 소자가 구성되어,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전송하게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패널(110)의 일측에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패드들이 구성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는 CMOS 트랜지스터 또는 TFT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구강센서장치(100)의 벤더블 특성 구현을 위해, 센서패널(110) 또한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센서패널(110)은 반도체, 세라믹, 유리 등의 취성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전제로 기판의 두께가 100um 이하, 일례로 30um~70u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로 기판을 형성하게 되면, 센서패널(110)의 벤딩 강도(bending strength)가 최적화될 수 있다.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bendable characteristics of the
위와 같은 두께의 센서패널(110)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판의 배면 측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전변환소자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대해, 기계적 그라인딩(grinding), 화학적 연마, 플라즈마 에칭 등의 공정을 진행하여 기판의 두께를 전술한 바와 같은 정도로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form the
한편, 센서패널(110)은 입사된 X선을 전기적 신호로 직접 변환하는 직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나, 입사된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110)이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널(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센서패널(110)의 기판(111) 일면, 즉 광전변환소자 상에는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scintillator)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도 4에서는, 센서패널(110)에서 X선 입사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 예로서 X선 입사면의 반대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될 수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형광체층(140)은, 예를 들면, 접착제(145)를 통해 기판(111)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형광체층(140) 상에는, 형광체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투과성의 보호막(1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145)는 광투과도가 높은 연성의 접착제, 일례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보호막(150)은 방사성 투과성과 습기 차단성이 높은 수지재질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제(145)는 기판의 취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10~50um, 바람직하게는 OCA 필름을 전제로 15~4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The
한편, 형광체층(140)을 구성하는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CsI를 사용한 형광체나, 개독스(Gadox: Gd2O2:Tb)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the phosphor constituting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100)는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주상 결정 구조의 CsI 형광체 보다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독스 형광체는 미립자 구조를 갖게 되므로, 구강센서장치(100)가 휘게 되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Here, since the
참고로,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 250~500um, 바람직하게는 300~45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또한, 형광체층(140)이 형성된 기판(111)의 반대면에는 플렉서블층(1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플렉서블층(155)은 유연성을 지닌 수지재질,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층(155)은 구강센서장치(100)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00), 특히 기판(111)의 취성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50~150u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회로패널인 인쇄회로기판(130)은 센서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센서패널(1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패널(1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Referring back to FIG. 3 , the printed
인쇄회로기판(130)으로서, 센서 어셈블리(110)의 벤더블 특성 구현을 위해,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소위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printed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30)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가 구성될 수 있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rinted
패널 연결 패드부(1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의 일측에 구성되고, 여기에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연결 패드부(131)의 패드들은 센서패널(110)의 일측에 구성된 대응되는 패드들과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솔더링(soldering) 또는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패널(1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게 된다.The panel
도전 배선 패턴부(133)에는, 양단에 위치하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를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배선 패턴의 일끝단은 패널 연결 패드부(131)에 연결되어, 센서패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배선 패턴의 타끝단에 연결된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로 전달하게 된다.In the conductive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는 외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케이블(도 1, 2의 210 참조, 이하 동일하다.)이 연결되는 구성에 해당된다. 여기서, 전송 케이블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솔더링(soldering) 방식이나 커넥터(connector) 방식 또는 전도성 필름(Conductive Film)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able
한편,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 박막(137)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 박막(137)은, 예를 들면,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금속 박막(137)은 전술한 구성들인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metal
이와 같은 금속 박막(137)은 인쇄회로기판(130)의 접지 수단과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Such a metal
더욱이, 금속 박막(137)은 인쇄회로기판(130)의 벤더블 특성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Moreover, the metal
이와 관련하여, 금속 박막(137)이 없는 경우에는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가 형성된 영역과 그 외의 영역 간의 휘는 정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만, 금속 박막(137)을 형성함에 따라 그 차이를 완화시켜 인쇄회로기판(130)의 전체적인 휘어짐 정도를 영역별로 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박막(137)의 재료나, 형성 면적,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30)의 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regard, in the absence of the met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패널(1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130)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와 다른 예로서, 센서패널(11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패널 연결 패드부(131)와, 도전 배선 패턴부(133)와, 케이블 연결 패드부(135) 만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13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이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30)의 두께는 150~35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센서패널(110) 이하의 탄성도라면 족하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prin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함께 참조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탄성조절부재(120)는 일례로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에 위치하고, 센서패널(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센서패널(110) 후방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 또는 인쇄회로기판(130) 이상의 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휘어짐 정도 즉,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자신의 휘어짐 정도 이하 즉,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하여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도 내 외력의 크기에 따라 구강센서장치(100)의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면서 벤더블 특성과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구강센서장치(100)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10)의 취성을 완화시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The
즉, 사이즈나 두께 등에 따라 각각의 탄성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임의로 센서패널(110)의 탄성도를 제 1 탄성도,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제 2 탄성도라 가정하면, 센서패널(110)이 도 2의 구조 및 두께를 나타내는 것을 전제로 제 1 탄성도는 통상 제 2 탄성도 이상이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제 1 탄성도 이상의 제 3 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바, 이로써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제 3 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하여 구강센서장치(100)가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에 의해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구강센서장치(100)가 휘어진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respective elasticity according to the size or thickness, arbitrarily assuming that the first elasticity degree of the
이를 위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수지재질, 특히 2종류 이상의 소재가 조합된 복합재료의 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강화재와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더 나아가 탄성조절부재(120)는 평면적으로 볼 때 제1방향의 휨 특성과 이와 수직한 제2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관련하여, 구강센서장치(100)가 평면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길이가 이와 수직한 y축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 때,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강센서장치(100)가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x축과 y축 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when the
이와 같은 휨 특성에 따라, 구강센서장치(100)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으로 더욱 잘 휘게 되어, 구강센서장치(100)를 사용한 구강 내 촬영 시 환자의 불편감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bending characteristic, the
이와 관련하여, 구강 내 촬영 시에는, 구강센서장치(100)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환자의 불편감이 유발되며, 특히 장축 방향의 끝단 부분이 환자의 불편감 유발에 매우 큰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바, 구강센서장치(100)에 휨 특성, 특히 장축 방향에 보다 큰 휨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regard, during intraoral imaging, the patient's discomfort is induced by the corner portion of the
또한,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므로 비틀림 응력을 x, y축 방향의 응력으로 분산시키되 그 대부분을 x축 방향의 응력으로 전환시켜 센서패널(110), 특히 기판(1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는, 복합재료의 수지재질로서 예를 들면, 섬유강화재를 포함하는 FRP(fiber reinforced 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FRP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ABS, PBT, PP, SAN 등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붕소 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케블라(Keblar) 섬유 등의 유기계 섬유가 강화재로 포함된 물질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탄성조절부재(120)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7 in relation to the
도 7은 도 6의 “A”부분에 대응되는 탄성조절부재(120)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탄성조절부재(120)의 단면이 도시된다.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재(120)에는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과,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이 각각 수지기재에 함침된 상태로 두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전술한 섬유를 결집하여 일방향으로 엮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elastic adjusting
특히, 도 7에서는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의 수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의 수에 비해 적게 형성되는데,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원사층(121)은 1개, 제2원사층(122)은 2개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는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n FIG. 7 , the number of first yarn layers 121 in which the first yarns FT1 are arranged in the x-axis, that is, the long-axis direction, is the number of the second yarn layers in which the second yarns FT2 are arranged in the y-axis, that is, the short-axis direction ( 122), and in FIG. 7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이와 같이, 장축 방향의 제1원사층(121)이 단축 방향의 제2원사층(122)에 비해 적은 수로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As such, since the number of the first yarn layers 121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yarn layers 122 in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long axis direction has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high bend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is relatively Therefore, it has high elasticity, that is, low bending characteristics.
여기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200~4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조절부재(120)가 300um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 장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000~30000MPa, 단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500~180000Mpa를 나타내도록 탄성조절부재(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휨강도는 200~400um의 두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o the elasticity in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pproximately 1:1.5 to 1:6. 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원사 배열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원사층(121, 122)의 적층수를 달리함으로써,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By varying the number of layers of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원사(FT1)와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원사(FT2)가 교차된 상태로 수지기재에 함침되어 있고, 특히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원사(FT1)의 밀도(즉, 이격 간격)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2원사(FT2)의 밀도(즉, 이격 간격)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탄성조절부재(120)는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이와 같이, 장축 방향을 향하는 제1원사(FT1)의 밀도가 단축 방향을 향하는 제2원사(FT2)의 밀도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As such, since the density of the first yarn FT1 facing the major axis direction is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second yarn FT2 facing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major axis direction has a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high bend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It has a relatively high elasticity, that is, a low bending characteristic.
여기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200~4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조절부재(120)가 300um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 장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000~30000MPa, 단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500~180000Mpa를 나타내도록 탄성조절부재(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휨강도는 200~400um의 두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as before, the ratio of the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o the elasticity in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bout 1:1.5 to about 1:6. 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원사(FT1, FT2)의 밀도를 달리하여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By varying the dens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탄성조절부재(120)는 그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센서패널(110) 및 인쇄회로기판(130) 각각과 접착제(161, 16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조절부재(120)와 센서패널(110) 사이의 접착제(161)는 제1접착제(161), 탄성조절부재(120)와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의 접착제(162)는 제2접착제(162)라고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 the
제1 및 2접착제(161, 162)로는 연성이 우수한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OCA(optically clear 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the first and
이처럼 연성이 우수한 제1 및 2접착제(161, 162)를 사용함으로써 구강센서장치(100)가 휘어질 때 발생하는 층간 응력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By using the first and
이와 관련하여, 센서패널(110), 탄성조절부재(120), 인쇄회로기판(130)은 서로 이종 특성을 갖는 별개의 구성들로서, 특히 인장(tensile) 특성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구강센서장치(100)가 휘는 경우에, 위와 같은 이종 구성들 사이에는 변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장 응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이종 구성들 사이에 연성의 접착제(161, 162)를 사용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regard, the
한편, 여러 가지 제반 특성을 고려할 때, 제 1 접착제(161)는 대략 50um~70um의 두께를 갖고, 제 2 접착제(162)는 10~50u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도 1 및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윈도우 커버(170)는 센서패널(1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방의 충격 등으로부터 센서패널(11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화소가 배치된 액티브영역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 the
윈도우 커버(170)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이와 같은 윈도우 커버(170)는 휨 특성을 가지면서도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윈도우 커버(170)는 플렉서블 유리(flexible glass) 재질이나, FRP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윈도우 커버(170)는 대략 0.1mm~0.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Such a
한편, 윈도우 커버(170)는 센서패널(110)과 접착제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OCA 필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한다.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in conjunction with FIGS. 1 and 2 .
보호 커버(180)는 인쇄회로기판(13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 커버(180)의 바닥면 상의 내부 공간에는 센서 어셈블리(105)가 수납될 수 있다. The
보호 커버(180)는 인쇄회로기판(130)과 마주보며 인쇄회로기판(130) 후방을 덮어 보호하는 기저부(185)와, 기저부(185)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외측부(187)을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외측부(187)는, 기저부(185)의 가장자리 측변 양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이웃하는 가장자리 측변의 외측부들(187)은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 즉 이웃하는 외측부(187) 사이에는 틈새공간(189)이 마련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처럼, 외측부(187)가 가장자리 측변 전체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측변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틈색공간(189)이 마련됨으로써, 구강센서장치(100)가 휘는 경우에 보호 커버(180)의 모서리 부분에서 유발되는 구조적인 저항력을 줄이고 해당 부분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보호 커버(18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위와 같이 구성된 보호 커버(180)는 센서 어셈블리(105)의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180)는 그 재질/형상 등에 따라 구강센서장치(100)의 전체적인 벤더블 특성을 정의하고 제한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이와 관련하여, 보호 커버(180)는 저탄성 고강도의 재질로서, 예를 들면, 0.1mm~0.5mm 두께의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this regard, the
이와 같은 재질로 보호 커버(180)를 형성함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105)는 보호 커버(180)의 벤더블 특성 이내로 그 휨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센서 어셈블리(105)가 과도하게 휘어짐으로써 주요 구성인 센서패널(110)이 파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강센서장치(10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휘게 되는바,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s the
또한, 보호 커버(180)의 일 부분, 바람직하게는 가운데 부분에는 기저부(185)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돔(dome) 형태의 돌출부(181)가 구성되며, 돌출부(181)에는 전송 케이블(210)이 관통하는 개구부(183)가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ome-shaped
보호 커버(180)의 개구부(183)를 통해, 전송 케이블(210)은 내부로 인입되어 인쇄회로기판(130)과 연결된다.Through the
특히, 돌출부(181)는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기저부(185)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해당 연결 부위에서의 물리적 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181)의 면적은 기저부(185)의 면적 대비 10~60%를 나타낼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이와 관련하여, 구강 내 촬영시 구강센서장치(100)가 휘는 경우에, 이와 같은 휨에 의한 스트레스가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 부위에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이 끊어지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when the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기저부(185)의 가운데 부분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81)를 형성하게 되면, 그 구조적 형태에 의해 돌출부(181)가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휨 특성이 감소하게 된다. 즉, 돌출부(181)에 의해, 해당 부분의 벤더블 특성은 더욱 제한될 수 있게 된다.Howev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러한바,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여 보호 커버(180)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81)를 구성함으로써, 해당 연결 부위에서의 휨에 의한 스트레스의 인가 정도가 감소되어, 전송 케이블(2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결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such, by configuring the
더욱이, 돌출부(181)를 구성함에 따라,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 내 구조물을 향하는 물리력은 돌출부(181)를 통해 가해질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181)의 구조적 형태에 의해 구강센서장치(100)의 중심 부분은 덜 휘는 특성을 갖고 그 주변 부분은 더 휘는 특성을 갖게 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더욱 더 완화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by configuring the
즉, 구강 내 X선 촬영 시에는, 구강에 구강센서장치를 삽입한 후 치과 관련자의 손가락 등으로 구강센서장치를 구조물 방향으로 가압 밀착시켜 X선 촬영을 하게 된다. 이때, 구강센서장치의 중심 부분에 비해 양단 부분이 구강 내 조직과 대부분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That is,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after inserting the oral sensor device into the oral cavity, the oral sensor device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with the finger of a dental related person, and X-ray imag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compar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oral sensor device, both ends mostly contact the tissues in the oral cavity to cause pain.
이러한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100)는 보호커버(180)의 기저부(185) 중앙부분에 돌출부(181)를 형성하여 돌출부(181)를 누르도록 유도하는 한편, 돌출부(181)의 구조적 형태에 의해 구강센서장치(100)의 중심 부분은 덜 휘는 특성을 갖고 그 주변 부분은 더 휘는 특성을 갖게 되는바, 환자의 불편감을 더욱 더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보다 덜 휘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휨에 의한 영상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한편, 위와 같이 돌출부(181)가 구성됨에 따라, 보호 커버(180)와 센서 어셈블리(105) 사이에는 돌출부(181)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내부공간(182)이 존재하게 된다. 즉, 센서 어셈블리(105)의 후방은 보호 커버(180)의 기저부(185)에 밀착되는데, 돌출부(181)가 형성된 부분에는 돌출부(181)에 의해 센서 어셈블리(105)와 보호 커버(180) 사이에 내부공간(182)이 형성된다. Meanwhile, as the
돌출부(181)의 내부공간(182)은 개구부(183)와 연결되어, 전송 케이블(210)은 개구부(183)를 통해 내부공간(182)으로 인입된다.The
이와 같은 돌출부(181)의 내부공간(182)은 충진제(220)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진제(220)로서는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되는 경질의 수지로서, 예를 들면, 에폭시(epoxy)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진제(220)는 내부공간(182)에 주입되고, 그 후에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The
이처럼, 돌출부(181)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182)을 충진제(182)로 충진함에 따라, 해당 부분에서의 전송 케이블(210)의 전기적 접속은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돌출부(181)로 가해지는 물리력에 대해 구강센서장치(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휘어짐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As such, as the
한편, 도면과 달리 돌출부(181)는 보호 커버(180)의 기저부(185)와 별도로 구성되어 기저부(185)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전송 케이블(210)은 돌출부(181)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돌출부(181) 및 이와 접하는 보호커버(180)의 기저부(183)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81)는 전송 케이블(210)이 지나는 공간 외에는 빈 공간이 없는 경질의 블록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데, 다소 형상의 차이는 있지만 이 같은 돌출부(181)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wing,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서, 센서패널(110), 탄성조절부재(120), 인쇄회로기판(130), 윈도우 커버(170), 보호 커버(180)는 서로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된 상태의 구강센서장치(100)는, 몰드 하우징(190)으로 덮어 씌워질 수 있다. A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이처럼, 몰드 하우징(190)은 모듈화된 구강센서장치(100)의 외부를 둘러싸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에 해당된다. As such, the
이와 같은 몰드 하우징(190)은 연질 특성을 갖는 재질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몰드 하우징(190)을 구성하는 연질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A 30~5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그리고, 몰드 하우징(190)은 그 특성을 고려하여 대략 2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위와 같이 연질 특성을 갖는 몰드 하우징(190)을 사용하게 되면, 구강 내 X선 촬영 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상당한 정도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즉, 구강내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구강센서장치(100)의 최외부 구성인 몰드 하우징(190)에 대해 연질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구강센서장치(100)와의 접촉시 환자는 부드러운 질감을 느끼게 되어,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by giving a soft characteristic to the
한편, 몰드 하우징(190)으로 덮어 싸여진 구강센서장치(100)는 그 특성을 감안하여 대략 5mm 내외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는 구강 내 구조물, 즉 치아 및 주변조직의 엑스선 촬영을 위해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구조물에 밀착되는 구강 내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The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n intraoral sensor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for X-ray imaging of intraoral structures, that is, teeth and surrounding tissues,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s.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를 사용한 구강센서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상기 구조물을 향하는 밀착력과 구조물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위치 별로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는 구강 내 X선 촬영 시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 내 구조물을 향해 길이방향에 수직인 물리력이 배면의 중심에 가해질 경우, 상기 구조물의 배치관계에 따른 반발력에 대해 장축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의 최대 굽힘점에 각각 접하는 두 접선의 최대 교차각이 90°이상 180°미만의 범위에서 가변된다. At this time, the oral sensor device using the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the degree of bending for each position by the adhes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by the structure toward the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preferably in this embodiment. When the oral sensor device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and a physical for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toward the intraoral structure, both edg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for the re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The maximum intersection angle of two tangents tangent to the maximum bending point is varied in the range of 90° or more but less than 180°.
따라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과 고통은 크게 경감되고, 이미지 왜곡의 가능성도 낮다.
Therefore, the foreign body sensation and pain that the patient can feel is greatly reduced, and the possibility of image distortion is low.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장치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한편, 구강 내 X선 촬영 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을 센서 어셈블리의 배면 중앙부로 집중시켜 제한된 밴더블 특성 내에서 가장자리 부분의 휘어짐 특성을 최대화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주요 구성인 센서패널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자 불편감을 상당 정도 완화할 수 있는 벤더블 특성의 구강센서장치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sensor assembly having a bendable characteristic, while concentrating the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to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sensor assembly. It includes a protective cover that maximizes the flexing properties of the edge portion within the limited bendable properti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component of the sensor panel from being destroyed,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oral sensor device of the bendable characteristics that can alleviate patient discomfort to a considerable extent.
또한,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위에 대응하여 보호 커버에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써, 해당 연결 부위에서의 휨에 의한 스트레스의 인가 정도가 감소되어, 스트레스 인가에 의한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결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the protective cover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nsmission cabl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stress due to bending at the connection part is reduced, and the transmission cable and printing by stress application A defect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disconnected can be prevented.
또한, 연질 특성의 몰드 하우징을 사용하여 구강센서장치의 외부를 덮어 씌움으로써,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vering the outside of the oral sensor device using a molded housing of soft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during shooting to a significant exten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한된 벤더블 특성을 갖는 구강센서장치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송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al sensor device having a limited bendable characteristic that can minimize image distortion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addition to stably prot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ransmission cabl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ree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구강센서장치 110: 센서패널
120: 탄성조절부재 130: 인쇄회로기판
170: 윈도우 커버 180: 보호 커버
181: 돌출부 182: 내부공간
183: 개구부 185: 기저부
187: 외측부 189: 틈새공간
190: 몰드 하우징 210: 전송 케이블100: oral sensor device 110: sensor panel
120: elastic control member 130: printed circuit board
170: window cover 180: protective cover
181: protrusion 182: inner space
183: opening 185: base
187: outer part 189: gap space
190: molded housing 210: transmission cable
Claims (10)
X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전송 케이블이 관통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돔(dome)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공간은 충진제에 의해 충진되거나 막혀 있는 구강센서장치.
a bendable sensor assembly that detects X-rays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nsor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X-ray, a transmission cable connected to the sensor assembly passes through and includes a protective cover including a dome-shaped protrusion protruding backward,
The oral sensor device that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is filled or blocked by a filler.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어셈블리와 마주보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센서 어셈블리의 측면을 덮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 측변의 외측부들 사이에는 틈새공간이 구성된 구강센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ve cover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the protrusion formed thereon and facing the sensor assembly, and an outer portion bent forward at an edge of the base portion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sensor assembly,
An oral sensor device configured with a gap space between the outer portions of the lateral edges of the base portion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X선을 검출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패널과;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전송 케이블로 전달하는 회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로패널과 전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구강센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assembly includes: a sensor panel for detecting the X-rays to generate the electrical signal;
and a circuit panel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nsor pane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panel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transmission cable,
The protrusion, the oral sensor devic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circuit panel and the transmission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충진제는 열이나 UV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구강센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ler is an oral sensor device made of a resin material that is cured by heat or UV.
상기 보호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구강센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ective cover is an oral sensor device comprising a polycarbonate.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02294A KR102305125B1 (en) | 2014-08-08 | 2014-08-08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 EP15829636.8A EP3178398B1 (en) | 2014-08-08 | 2015-08-10 | Intraoral sensor |
| US15/502,566 US10092255B2 (en) | 2014-08-08 | 2015-08-10 | Intraoral sensor |
| PCT/KR2015/008349 WO2016022007A1 (en) | 2014-08-08 | 2015-08-10 | Intraoral sensor |
| CN201580054663.4A CN106793995B (en) | 2014-08-08 | 2015-08-10 | Intraoral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02294A KR102305125B1 (en) | 2014-08-08 | 2014-08-08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18136A KR20160018136A (en) | 2016-02-17 |
| KR102305125B1 true KR102305125B1 (en) | 2021-09-28 |
Family
ID=5545744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02294A Active KR102305125B1 (en) | 2014-08-08 | 2014-08-08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051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294301B (en) * | 2019-08-02 | 2024-12-31 | 华广生技股份有限公司 | Physiological signal sensor devic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05041A (en) * | 2004-01-23 | 2005-08-04 | Horiba Ltd | Sensor unit supporting structure of contact type measuring instrument |
| KR200396821Y1 (en) | 2005-07-04 | 2005-09-27 | 주식회사바텍 | Intraoral sensor |
| JP2009095464A (en) * | 2007-10-16 | 2009-05-07 | Hamamatsu Photonics Kk | Image sensor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134144B2 (en) * | 1994-03-11 | 2001-02-13 |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 Physiological detector |
| JPH10179571A (en) * | 1996-12-24 | 1998-07-07 | Osada Res Inst Ltd | Dental x-ray sensor cover |
-
2014
- 2014-08-08 KR KR1020140102294A patent/KR1023051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05041A (en) * | 2004-01-23 | 2005-08-04 | Horiba Ltd | Sensor unit supporting structure of contact type measuring instrument |
| KR200396821Y1 (en) | 2005-07-04 | 2005-09-27 | 주식회사바텍 | Intraoral sensor |
| JP2009095464A (en) * | 2007-10-16 | 2009-05-07 | Hamamatsu Photonics Kk | Image sens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18136A (en) | 2016-02-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25337B1 (en) | Intraoral sensor | |
| KR101963121B1 (en) | Intraoral sensor | |
| EP3178398B1 (en) | Intraoral sensor | |
| KR102301941B1 (en) | Image sensor and intraoral sensor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2336211B1 (en)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
| KR102339606B1 (en) | Intraoral sensor | |
| KR102294934B1 (en)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
| KR102305125B1 (en)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
| KR101748280B1 (en) | Intraoral sensor | |
| KR102517677B1 (en) | Intraoral sensor apparatus | |
| KR102019259B1 (en) | Intraoral sensor | |
| KR102361124B1 (en) | X-ray image sensor device | |
| TWI690942B (en) | Scintillator board and radiation detector | |
| KR20170045562A (en) | X-ray detector | |
| JP2004267593A (en) | Solid-state imaging device, electronic endoscop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