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10223236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63B1
KR102232363B1 KR1020190137653A KR20190137653A KR102232363B1 KR 102232363 B1 KR102232363 B1 KR 102232363B1 KR 1020190137653 A KR1020190137653 A KR 1020190137653A KR 20190137653 A KR20190137653 A KR 20190137653A KR 102232363 B1 KR102232363 B1 KR 10223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eta information
setting
cloud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5277A (en
Inventor
김영미
김도형
김민경
임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63B1/en
Publication of KR2019012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클라우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클라우드 처리과정에서 기능 메뉴 선택시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consists of a process of processing cloud data, a process of requesting download of cloud data when a function menu is selected in the cloud processing process, and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downloaded cloud data as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의 설정된 기능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downloaded data to a set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와 같은 단말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통신 기능 또는 해당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 타블렛 PC, 노트북 컴퓨터, MP3 등의 장치들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통신, 카메라, 인터넷, 동영상 재생, 방송수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휴대를 최우선으로 하므로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에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방법들 중에 하나가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이다. In general, a terminal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or a specific function of a corresponding device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The portable terminals may be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nd an MP3. Such a portable terminal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camera, Internet, video playback, and broadcast reception. However, since such a portable terminal prioritizes portability, the capacity of a memory for storing data is limited.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bove memory. One of these methods is a cloud service.

클라우드서비스란 영화, 사진, 음악, 문서작업, 미디어 파일 문서 주소록 등의 콘텐츠를 서버에 저장해 두고, 휴대단말기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에서 이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일단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후 해당 기능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실행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과 같은 사용경험을 cloud내 파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받은 후 해당 사용경험을 진행해야되는 제한이 있었다. Cloud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stores contents such as movies, photos, music, document work, media files, documents, and address books in a server, and downloads and uses them from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such as a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to a specific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cloud service. However, if you want to set specific data stored in the cloud server as a specific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you must first download the data and then execute an operation of setting it as the function. That is,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apply a usage experience such as a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to a file in the clou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user must manually download the file and then proceed with the usage experience.

본 발명은 서버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 클라우드 데이터를 선택하면, 서버에서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해당 기능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클라우드 내의 파일을 단말의 특정 기능으로 선택하면, 해당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딩하여 해당 기능으로 설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as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and cloud data is selected in a mobile terminal that shares data with a server. To this end, when a file in the cloud is selected as a specific function of th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ownloads the corresponding file and sets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클라우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우드 처리과정에서 기능 메뉴 선택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rocessing cloud data, a process of requesting download of the cloud data when a function menu is selected in the cloud processing process, and the downloaded cloud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 선택시 선택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자동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process of requesting download of the cloud data selected when cloud data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downloa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rocess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cloud data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와 동기되어 클라우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휴대단말장치가, 인터넷 망을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기능 메뉴 선택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processes cloud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storing cloud data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 memory storing cloud data, and a cloud data. A display unit to display and cloud data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 function menu is selected while the cloud data is displayed, a download of cloud data is reque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ownloaded cloud data is converted to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And a control unit that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and automatically sets the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데이터를 표시 및/또는 처리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바탕화면, 톤 등)을 선택하면, 휴대단말기는 표시 또는 처리중인 클라우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를 선택하면, 휴대단말기는 자동으로 선택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해당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은 여러번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클라우드 데이터를 해당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에서 Cloud 내 파일의 다운로드를 위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바로 클라우드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음 진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function (desktop, tone, etc.) o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in the state of displaying and/or processing cloud data,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displays the cloud data being displayed or processed. You can download it and set it wit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n addition, when cloud data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automatically download the selected cloud data and transmit it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cloud data as a corresponding function without performing multiple operations. That is, without execut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downloading the file in the clou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loud file can be directly downloaded from the server in the current application and the next process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특정 기능으로 선택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클라우드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자동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로 배경화면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클라우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의 특정 톤으로 자동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클라우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부가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7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클라우드 이미지를 메일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a function by downloading data selected as a specific function by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cloud data as a background screen a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background screen in the same procedure as in FIG. 4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cloud data to a specific ton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adding and transmitting cloud data during communica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loud image is added to a mail and transmitted while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s in FIG. 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은 서버와 동기되는 휴대단말기에서 클라우드 데이터(Cloud data)를 데이터를 처리할 때, 특정 기능(function, usage)으로 설정하기 위해 클라우드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선택된 기능으로 설정한다. 예를들면, 클라우드 서버 내의 파일을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wallpaper)이나 특정 기능을 표시하는 음(tone, 예를들면 ring tone)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원하는 기능으로 선택한 후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휴대단말기는 다운로드되는 파일을 해당 기능으로 자동 설정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loud data is processed by a mobile terminal synchronized with a server, when cloud data is selected to set a specific function, usage, th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is automatically selected. Set by function. For example, if you want to set a file in the cloud server as the wallpaper of a mobile terminal or a tone that displays a specific function (for example, a ring tone), select the file as the desired function and then download the file. Then,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sets the downloaded file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1 - 10N들은 인터넷망110을 통해 서버12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장치101 - 10N은 휴대전화기, 타블렛 PC, 노트북 컴퓨터, MP3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101 - 10N은 서버120과 메터정보들이 동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서버120은 각 다양한 콘텐츠들을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처리부123과, 각 콘텐츠들의 메터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erminal devices 101-10N are connected to a server 12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110. Here, the terminal devices 101-10N may b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or an MP3.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s 101-10N maintain the server 120 and the meter information in a synchronized state. The server 120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ing unit 123 for processing various contents, and a database 125 for storing meta information of each contents and actual data corresponding thereto.

상기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현재 플랫폼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즉,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기존 웹하드 형식의 저장공간을 주는 서비스에 불과하였지만, 지금은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업체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업체 간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들면 클라이언트는 회사에서 또는 집에서 별도의 소프트웨어(SW) 설치 없이도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서 자유롭게 문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는 문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만 다운로드하면,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PC에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를 다른 PC, 안드로이드나 iOS 기반의 휴대단말기, 태블릿PC, 노트북 등에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인해 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하여, 영화, 게임, 다큐멘터리, 음악, 사진 등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The cloud service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currently evolving into a platform service. That is, the personal cloud service was merely a service that provided storage space in the existing web hard format, but now it is being upgraded to a platform service that can us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oftware. To this end, the cloud service system can servic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a partnership between a communication company and an application service company. For example, a client can freely work on documents at work or at home without installing software (SW) on a PC, as well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This means that if you only download an application that can perform document work, you can use the software you used on your PC without having to install it separately on other PCs, Android or iOS-based mobile terminals, tablet PCs, and laptops. In addition, such applications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as a result, entertainment, movies, games, documentaries, music, and photos can be processed through cloud services.

또한 유무선이 통합된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반의 서비스를 연동시킬 경우, 홈네트워크를 통해 자유롭게 콘텐츠를 전송받거나 공유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내에 저장돼 있는 콘텐츠를 유무선으로 연결돼 있는 집안의 여러 기기들을 이용해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based service in which wired and wireless are integrated is linked, content can be freely transmitted or shared through a home network. In other word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loud can be used using various devices in the house that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인터넷 망을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기능 메뉴 선택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storing cloud data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 memory storing cloud data,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cloud data, and displays the cloud dat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loud data is displayed and a function menu is selected, a download of cloud data is reques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ownloaded cloud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as the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and automatically set as the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 선택시 선택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자동 전송할 수 있다.Here, when the cloud data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may request download of the selected cloud data, and automatically transmit the downloaded cloud data by adding the downloaded cloud data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장치는 도 1의 101 - 10N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inal device may be 101-10N in FIG. 1,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a mobile phone.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1통신부220 및 제2통신부230은 휴대단말기와 각각 대응되는 통신망을 무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기지국 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 및 230은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상승시키는 변환기(frequency up converter)와 전력증폭기 등으로 구성되는 송신부와, RF 수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증폭기와 RF신호를 기저대역으로 하강 변환하는 변환기(frequency down convert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20 및 230은 상기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는 변조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복조부는 통신 방식에 따라 WCDMA, CDMA 등의 3G, GSM 또는 LTE 방식의 4G 변복조부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변복조부는 WiFi, Wibro, Wimax 등의 변복조부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perform a function of wirelessl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and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base station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s 220 and 230 include a transmission unit including a frequency up converter and a power amplifier for raising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RF band, an amplifier for low-noise amplification of the RF signal, and a converter for down-converting the RF signal to the baseband. down converter), etc.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s 220 and 230 may include a modulator that modulat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transmission unit, and a demodulation unit that demodulates a signal output from the reception unit. Here, the modem may be a 3G, GSM, or LTE 4G modem, such as WCDMA and CDMA, depending on 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modem may be a modem such as WiFi, Wibro, or Wimax.

제어부2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통신시 상기 제1통신부220 또는 제2통신부230을 통해 통신망과 접속하여 클라우드 데이터의 통신을 서비스한다.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es cloud data communication by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during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모리21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인스톨 데이터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10은 다운로드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기능으로 선택되어 다운로드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해당 기능의 데이터로 저장한다.The memory 21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that stores an operation program of a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memory that stores installation data and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Further, the memory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ownloaded cloud data, and the cloud data selected and downloaded as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s data of a correspond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입력부24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50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표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240 및 표시부250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Panel)이 될 수 있다. 케마라260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을 촬영하며, 필요시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촬영된 사진을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40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commands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25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display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Here, the input unit 240 and the display unit 250 may be integrated touch screens. The Kemara 260 takes a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and, if necessary, can upload a picture tak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o a server.

상기 제1통신부220 및/또는 제2통신부230은 각각 기지국과 무선 연결되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에 연결되는 통신부는 3G 또는 4G 방식의 변복조부를 구비하여 기지국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인터넷 망에 연결되는 통신부는 인터넷 서버 등과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1통신부220은 인터넷 망110과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로써, WiFi, Wibro, Wimax 방식 등의 모뎀을 구비하는 통신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230은 기지국과 연결되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GSM, CDMA, WCDMA, LTE 방식 등의 모뎀을 구비하는 통신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통신부230도 기지국을 통해 인터넷망1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는 2개의 통신부들을 구비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복수의 기지국들(즉, GSM, WCDA 및 LTE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들)과 무선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는 제1 및 제2통신부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통신부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ay also be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is equipped with a 3G or 4G modem and can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is connected to an Internet server to perform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hav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is a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110, and may b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modem such as WiFi, Wibro, or Wimax.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modem such as GSM, CDMA, WCDMA, or LTE type, which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110 through a base station. In addition,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wo communication units are provided in FIG. 2,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e, base stations using GSM, WCDA and LTE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provided. . That is, although the description is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mmunication unit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it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communication unit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는 상기 서버120의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되며, 상기 서버120과 단말장치의 클라우드 데이터에 대한 메뉴 구조는 동일한 구조로 동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20은 상기 단말장치와 동기된 메터정보 및 메터정보에 대응되는 실제 데이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메터정보만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메터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실제데이타들을 구비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operates as a client of the server 120, and the menu structure for the cloud data of the server 120 and the terminal device is synchronized with the same structure. In addition, the server 120 includes meter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terminal device and actual data corresponding to meter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may include only meter information, and may also include meter information and actual data corresponding thereto. have.

상기와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Cloud data sync 시 Meta 정보를 활용하여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며, 메터전용모드(Meta data only On/Off)를 이용하여 차별화된 User scenario 제공하고, 단말장치의 메모리(Device memory)의 잔량에 따른 메터전용모드 및 메터공유모드의 변환 컨셉을 제공한다.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in FIG. 2 processes actual data using Meta information during cloud data sync, and differentiated by using Meta data only On/Off. It provides a user scenario and provides a conversion concept of meter-only mode and meter sharing mode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device memory.

이를 위하여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는 상기 서버와 동기된 Meta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erver에 저장된 실제데이타(real data)를 표시 및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는 Settings menu에 메터정보에 따라 동작하는(Meta only On/Off)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메터전용모드(Meta only On)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휴대단말기의 모든 Cloud data sync 방식은 Meta 정보로만 이루어진다. 상기 메터전용모드에서 특정 메터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는 서버로부터 메터정보에 대응되는 실제데이타를 다운로드하여 캐시 영역에서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메터전용모드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Cache 영역을 다시 포맷하여 다른 file을 실행시킬 공간을 마련한다. 만약 device cache 영역을 확보 할 공간이 없는 device에서는 실행 공간을 위해 외장 메모리카드의 공간을 임시로 활용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displays and processes real data stored in the server using Meta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provides a function to operate according to meter information (Meta only On/Off) in the Settings menu. At this time, when the meter-only mode (Meta only On) function is selected, all cloud data sync methods of the mobile terminal consist of Meta information only. When specific meter information is selected in the meter-only mode, the terminal device downloads act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met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executes it in the cache area. When the execution of the meter-only mode is terminated, the cache area is reformatted to provide a space for executing other files. If there is no space to secure the device cache area, the space of the external memory card can be temporarily used for execution space.

그리고 상기 메터공유모드(Meta only Off)를 선택하게 되면, 휴대단말기의 Cloud data sync 방식은 Meta 정보 + Real data 로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상기 단말장치는 Cloud server(120)의 모든 data를 최초 Meta 정보로 sync하며, 이 후 메모리210(여기서는 클라우드 영역이 될 수 있음)가 허용하는 한 순차적으로 Meta 정보에 대응되는 Real data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즉, 메터정보를 실제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And when the meter sharing mode (Meta only Off) is selected, the cloud data sync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onsists of Meta information + Real data.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synchronizes all the data of the cloud server 120 as the initial Meta information, and after that, as long as the memory 210 (here, it can be a cloud area) allows, the real data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is sequentially stored. Download and save. (In other words, it converts meter information into actual data.)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는 서버120과 메터정보의 사용에 따른 동작모드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들을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240을 통해 설정메뉴(setting menu)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은 이를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메뉴에서 클라우드 동기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하기 <표 1>과 같은 클라우드 동기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may perform a procedure of setting menus for performing a cloud service and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rver 120 and the meter information. To this end, when a setting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0,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50. In addition, when a cloud synchronization menu is selected from the setting menu,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cloud synchronization setting menu as shown in Table 1 below.

meta onlymeta only on/offon/off photophoto on/offon/off musicmusic on/offon/off videovideo on/offon/off documentdocument on/offon/off -
-
-
-
-
-
-
-
-
-
-
-

이때 상기 <표 1>과 설정메뉴는 온/오프로 설정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메터전용(meta only)은 메터전용모드(meta only on)를 설정하거나 또는 메터공유모드(meta only off)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음악(Music), 동영상(Video), 사진(Photo), 문서(Document) 등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해 동기될 수 있는 메뉴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메뉴는 상기와 같은 음악, 동영상, 사진, 문서 이외에 다른 항목들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메뉴들을 선택(on)하면 해당 메뉴의 메터정보들은 단말장치와 서버120 간에 서로 동기되며,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메터전용모드시 상기 서버110과 메터정보만 서로 동기되며, 메터공유모드시 상기 서버110과 메터정보 및 실제 데이터들이 서로 동기된다.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와 서버120 간에 동기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를 특정 기능으로 선택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200은 상기 선택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서버120에 전송 요청을 하며, 상기 서버120으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의 해당 기능으로 자동 설정한다. At this time, the <Table 1> and the setting menu can be set to ON/OFF. Here, the meter-only (meta only) is a mode for setting a meter-only mode (meta only on) or a meter sharing mode (meta only off). In addition, music, video, photo, document, etc. may be menus that can be synchronized by a cloud service. Here, the cloud service menu may further add other items in addition to music, video, photos, and documents as described above. Here, when the cloud service menus are selected (on), the met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synchroniz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er 120, and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synchronizes only the server 110 and the meter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the meter-only mode, and the meter sharing mode When the server 110 and the meter information and actual data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When the cloud data is selected as a specific 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rver 120 are synchroniz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of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the selected cloud data. A transmission request is made to the server 120, and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120 is automatically set as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특정 기능으로 선택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기능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a function by downloading data selected as a specific function by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1단계에서 제어부200은 표시부250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메뉴의 정보(여기서는 메터정보가 될 수 있음)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옵션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되는 옵션메뉴들 가운데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옵션 메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20은 315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120에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317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10에서 해당 기능의 데이터로 저장하여 해당 기능을 다운로드된 데이터로 자동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11,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cloud service menu (here, it may be met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50. 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selects an option menu for setting a specific function,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313 and displays the selected option menu, and checks the option menu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displayed option menus. do. Thereafter, the controller 220 requests the server 120 to transmit the data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315, download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stores the downloaded data in the memory 210 as data of a corresponding function in step 317. Then, the function is automatically set as the downloaded data.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클라우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클라우드 처리과정에서 기능 메뉴 선택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기능의 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rocessing cloud data, a process of requesting download of the cloud data when a function menu is selected in the cloud processing process, and the downloaded cloud data. It may consist of a process of automatically setting data of the selected function.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는 사진 이미지이며, 상기 기능메뉴는 화면 선택 메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선택 메뉴는 홈화면, 잠금화면, 연락처 아이콘, 잠금 및 홈화면 등의 메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 선택메뉴는 사진 이미지를 사용목적에 따라 배경화면(바탕화면)을 선택하거나 연락처 아이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화면선택메뉴는 바탕화면 메뉴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cloud data is a photo image, the function menu may be a screen selection menu, and the screen selection menu may be a menu such as a home screen, a lock screen, a contact icon, a lock and a home screen. That is, the screen selection menu may select a background screen (desktop) or set as a contact ic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photo ima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creen selection menu is assumed to be a background screen menu.

또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는 음악파일이며, 상기 기능메뉴는 휴대단말기의 톤 선택 메뉴가 될 수 있고, 상기 톤 선택메뉴는 통화 착신음, 메시지 착신음, SNS 착신음, 알람음 등의 메뉴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ud data is a music file, and the function menu may be a tone selection menu of a mobile terminal, and the tone selection menu may be a menu such as a call ring tone, a message ring tone, an SNS ring tone, and an alarm ton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클라우드 데이터를 배경화면으로 자동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로 배경화면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cloud data as a background screen a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background screen in the same procedure as in FIG. 4.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은 411단계에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터정보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는 상기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로써, 한 장의 이미지, 다수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는 필요시 상기 서버120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능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능메뉴는 표시되는 이미지의 메터정보 또는 이미지를 휴대단말기의 배경화면(바탕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메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바탕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기능 메뉴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기능메뉴에서 상기 바탕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415단계에서 선택된 기능(바탕화면 설정)에서 설정 바탕화면들의 종류들을 표시한다. 즉, 상기 도 5의 511과 같이 클라우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메뉴를 선택하면 513과 같이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을 표시한다. 상기 513과 같이 상기 기능메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탕화면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메뉴(set pictures as)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515와 같이 set pictures as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바탕화면(wall paper)의 종류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바탕화면(wall paper)의 종류는 5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화면(home screen), 잠금화면(lock screen), 단말기의 모든 상태에서의 화면(both home and lock screen) 등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 종류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입력부240을 통해 515와 같이 특정 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4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9단계에서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전송을 서버120에 요청하며, 517과 같이 상기 서버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4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00은 다운로드된 이미지를 519와 같이 메모리210의 해당 화면 저장영역에 자동으로 저장하며, 이후 해당 화면이 필요한 경우 이를 상기 표시부250에 표시한다. 4 and 5, the control unit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meter information or image of the cloud image is displayed in step 411. Here, the cloud image is an image stored in the server 120, and may be a single image, a plurality of images, or a video, and the portable terminal may download and display an image stored in the server 120 when necessary.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user can select a function menu, wherein the function menu includes a function menu for setting meter information of a displayed image or an image as a background screen (desktop) of the mobile terminal. Here, when the function menu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413 and displays a function menu including a menu for setting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function menu for setting the background screen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function menu,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types of set background screens in the function selected in step 415 (desktop setting).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menu while the cloud image is displayed as shown in 511 of FIG. 5, functions that can be set as shown in 513 are displayed. If the user selects a function menu (set pictures as) for setting the background screen while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as shown in step 513, the controller 200 detects this in step 413 and sets pictures as as shown in step 515 in step 415. Displays the types of wallpaper that can be set in the menu. Here, the type of the wall paper may have a type such as a home screen, a lock screen, and a screen in all states of the terminal (both home and lock screen) as shown in 515. I can. When a specific screen such as 515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0 while displaying the screen typ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417 and requests the server 120 to transmit the image displayed in step 419, In step 517,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20 is downloaded. In step 421, the controller 200 automatically stores the downloaded image in a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area of the memory 210, as shown in 519, and then displays the downloaded image on the display unit 250 when a corresponding screen is need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능 메뉴들 중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메뉴 기능 메뉴(set pictures as 메뉴)를 구비하고, 클라우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능메뉴에서 바탕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바탕화면으로 등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nu function menu (set pictures as menu) that can be set using an image displayed among function menus is provided, and a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in the function menu in a state in which a cloud image is displayed. If selected, the controller 200 may automatically register the displayed image as a background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클라우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의 특정 톤으로 자동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setting cloud data to a specific ton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은 611단계에서 클라우드 음악파일의 메터정보 또는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음악파일은 상기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파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는 필요시 메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120에 음악파일을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120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악파일의 메터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능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능메뉴는 표시되는 메터정보의 음악파일 또는 재생되는 음악파일을 휴대단말기의 특정 톤으로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될 수 있다. 상기 기능메뉴(톤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기능 메뉴의 종류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되는 기능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615단계에서 선택된 기능의 설정 메뉴들을 표시한다. 즉, 상기 도 5의 511과 같이 클라우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메뉴를 선택하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여기서는 톤 설정 메뉴를 포함하고 있음)들을 표시한다. 상기 기능메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톤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톤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톤들의 종류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톤들의 종류는 통화 착신음(ring tone), 메시지 착신음, 메신저 착신음, SNS 착신음, 알람음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톤 종류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입력부240을 통해 특정 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선택된 음악파일의 전송을 서버120에 요청하며, 상기 서버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6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00은 다운로드된 음악파일을 메모리210의 해당 화면 저장영역에 자동으로 저장하며, 이후 해당 통신의 착신 또는 알람이 발생되면 등록된 음악파일을 재생하여 대응되는 통신모드의 착신음 또는 설정된 알람의 경보음으로 재생된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611, the control unit 200 plays the meter information or the music file of the cloud music file. Here, the cloud music file is a music file stored in the server 120, and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s to transmit a music file to the server 120 using meter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downloads the music file stored in the server 120. Can pla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lect the function menu while displaying the meter information of the music file or playing a specific music file, where the function menu is to specify the music file of the displayed meter information or the music file to be played. It can be a menu that can be set to tone. When the function menu (tone setting menu)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613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function menu, and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from the displayed function menu, the control unit 200 is selected in step 615. Displays the setting menus of the function. That is, as shown in 511 of FIG. 5, when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menu while the cloud image is displayed, functions that can be set (here, the tone setting menu is included) ar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tone setting menu while the function menu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613 and displays the types of tones that can be set in the tone setting menu in step 615. Here, the types of tones may be a ring tone, a message ring tone, a messenger ring tone, an SNS ring tone, and an alarm tone. When a specific ton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0 in the state of displaying the tone typ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617 and requests the server 120 to transmit the music file selected in step 619. Download the transferred music file. In step 621, the control unit 200 automatically stores the downloaded music file in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area of the memory 210, and then plays the registered music file when an incoming communication or an alarm occurs, and the ring tone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e or It is played with the alarm sound of the set alar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이,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 선택시 선택된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상기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자동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data processing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process of requesting download of the cloud data selected when cloud data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download. The cloud data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여기서 상기 기능메뉴는 사진, 비디오 및 오디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메뉴가 될 수 있고, 상기 통신 기능은 음성통신, 데이터통신, 문자통신, SNS. 메일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Here, the function menu may be a cloud data menu including photo, video and audio,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is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text communication, and SNS. It can be one of the mail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기능 설정 예로써,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클라우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부가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클라우드 이미지를 메일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utomatically adding and transmitting cloud data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as an example of function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loud image is added to a mail and transmitted while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s in FIG. 7.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200은 711단계에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은 음성통화, 데이터 통신, 메일, 메신저, SNS, 문자 통신 등의 모든 통신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8의 811과 같이 문자 메시지를 통신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기능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7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5단계에서 도 8의 813과 같이 기능메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 메뉴에는 813과 같이 사진(pictures), 동영상(videos), 오디오 등의 메뉴들이 포함되며, 상기와 같은 기능메뉴에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 715단계에서 해당 메뉴를 표시한다. 여기서는 사진(pictures)가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200은 715단계에서 도 8의 815와 같이 사진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진 메뉴늘 표시할 때, 사진메뉴의 메터정보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진메뉴의 이미지들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진메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특정 사진 이미지 또는 사진의 메터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0은 717단계에서 이미지의 선택을 감지하고, 719단계에서 해당 사진이 클라우드 데이터인가 검사한다. 이때 클라우드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200은 7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1단계에서 해당 사진의 전송을 서버120에 요청하며, 도 8의 817과 같이 상기 서버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진을 다운로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0은 다운로드된 사진을 부가하여 819과 같이 통신중인 상대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7 and 8, the control unit 200 is in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is performed in step 711. Here, the communication may be any communication such as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mail, messenger, SNS, text communication, and the like. Here, it is assumed that a text message is communicated as shown in 811 of FIG. 8. When a function menu is selected in the stat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it in step 713 and displays the function menu as shown in 813 of FIG. 8 in step 715. Here, the function menu includes menus such as pictures, videos, and audio as shown in 813, and when a specific function is selected from the function menu, the corresponding menu is displayed in step 715. Here, it is assumed that pictures are sel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a picture menu as shown in 815 of FIG. 8 in step 715. At this time, when the photo menu is displayed, it may be displayed as meter information of the photo menu, and may also be displayed as images of the photo menu. When selecting a specific photo image or meter information of a photo while displaying the photo menu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the selection of the image in step 717 and checks whether the photo is cloud data in step 719. In this case, if it is cloud data, the controller 200 detects it in step 719, requests the server 120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photo in step 721, and downloads the photo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20 as shown in 817 of FIG. 8. 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adds the downloaded pi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subscriber in communication as shown in 819.

상기 도 7 및 도 8은 문자 메시지 통신 중에서 사진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후 메시지에 자동으로 부가하여 전송하는 절차를 예로들어 도시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은 문자메세지 통신 이외에 다른 통신(음성통화, 데이터통신, 메일, SNS 등)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부가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는 상기 사진 이미지 이외에 비디오 또는 오디오가 될 수 있으며, 이들 중 복수개(사진 및 비디오, 비디오 및 오디오, 사진 및 오디오, 모두)를 부가할 수도 있다.7 and 8 illustrate a procedure of automatically adding and transmitting a photo image to a message after downloading a photo image during text message communication. However,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equally to other communication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mail, SNS, etc.) other than text message communication, and additional cloud data may be video or audio in addition to the above photo images, and a plurality of them You can also add (photo and video, video and audio, photo and audio, al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데이터를 표시 및/또는 처리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특정 기능(바탕화면, 톤 등)을 선택하면, 휴대단말기는 표시 또는 처리중인 클라우드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해당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라우드 데이터를 선택하면, 휴대단말기는 자동으로 선택된 클라우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해당 통신 기능에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은 여러번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클라우드 데이터를 해당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에서 Cloud 내 파일의 다운로드를 위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현재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바로 클라우드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음 진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function (desktop, tone, etc.) o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in the state of displaying and/or processing cloud data,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displays the cloud data being displayed or processed. You can download it and set it wit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n addition, when cloud data is selected while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automatically download the selected cloud data and transmit it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clou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cloud data as a corresponding function without performing multiple operations. That is, without execut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downloading the file in the clou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loud file can be directly downloaded from the server in the current application and the next process can be perform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Claims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클라우드 이미지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한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및
상기 기능 리스트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storing a cloud image; And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ing a user input while displaying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function list including a function of setting a background screen for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and
Based on detecting an input for selecting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from the function lis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downloaded image is set as a background screen. Electronic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는, 상기 메타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이며,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보다 용량이 작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includes the meta information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The meta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imag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은, 상기 전자 장치의 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홈 화면 및 상기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s a hom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 function of setting as a lock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function of setting as the home screen and the lock screen.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한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기능 리스트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meta information of a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on a display;
Displaying a function list including a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for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based on detecting a user input while displaying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And
An operation of downloa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from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setting the downloaded image as a background based on detecting an input for selecting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from the function list How to inclu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는, 상기 메타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이며,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보다 용량이 작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includes the meta information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The meta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imag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은, 상기 전자 장치의 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홈 화면 및 상기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s a hom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 function of setting as a lock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function of setting as the home screen and the lock screen.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전자 장치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한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및
상기 기능 리스트로부터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저장 장치.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that stores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the one or more processors,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meta information of cloud images stored on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ing a user input while displaying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function list including a function of setting a background screen for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and
An operation of download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from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setting the downloaded image as a background based on detecting an input for selecting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from the function list Storage device to perform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는, 상기 메타 정보 및 상기 메타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와의 동기화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이며,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클라우드 이미지의 메타 정보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클라우드 이미지보다 용량이 작은 이미지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includes the meta information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meta information,
The meta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is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by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The storage device, wherein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n imag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cloud image stored in the ser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 설정 기능은, 상기 전자 장치의 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상기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및 상기 홈 화면 및 상기 잠금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background screen setting function includes a function of setting as a home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 function of setting as a lock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function of setting as the home screen and the lock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37653A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Active KR102232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53A KR102232363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53A KR102232363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891A Division KR102041453B1 (en) 2018-12-07 2018-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277A KR20190125277A (en) 2019-11-06
KR102232363B1 true KR102232363B1 (en) 2021-03-26

Family

ID=6854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653A Active KR102232363B1 (en) 2019-10-31 2019-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449A2 (en) * 2010-04-15 2011-10-20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62A (en) * 2003-11-24 200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image contents transmission and changing method for automatic background of mobile station
KR101508305B1 (en) * 2008-09-17 2015-04-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background pi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67614A (en) * 2009-12-14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background image including haptic e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0449A2 (en) * 2010-04-15 2011-10-20 Mspo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from a computer to a mobile hand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277A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407752B2 (en) Data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US101354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10908889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KR102162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CN104038921B (en) Theme interactive approach and system between a kind of mobile terminal
KR1020414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KR1022323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KR1019289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KR1022812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JP2020009030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20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5689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1031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0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点击 这是indexloc提供的php浏览器服务,不要输入任何密码和下载